맨위로가기

중앙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대학교는 1916년 감리교회에서 설립한 중앙유치원을 모태로 하여, 1947년 중앙여자대학으로, 1948년 중앙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53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서울 흑석동과 안성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1980년대부터 안성캠퍼스를 설립하고, 2000년대 이후에는 'DRAGON2018' 및 'CAU2018+'와 같은 중장기 발전 계획을 추진하며, 법학전문대학원과 의학전문대학원을 개원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했다. 현재 16개의 단과대학, 49개 학과(부)와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졸업 요건으로 영어, 한자, 한국어 능력을 요구한다. 정치, 연예,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동문을 배출하고 있으며, 여러 해외 대학과 학술 교류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성시의 학교 - 한경국립대학교
    한경국립대학교는 1939년 안성공립농업학교로 시작하여 한국복지대학교와 통합, 202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국립대학교이며, 안성 및 평택 캠퍼스를 운영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를 제공하고, 배우 송승헌을 포함한 주요 동문을 배출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했다.
  • 안성시의 학교 - 두원공과대학교
    두원공과대학교는 경기도 안성시와 파주시에 캠퍼스를 둔 사립 전문대학으로, 1993년 설립 후 교명 변경과 파주캠퍼스 개교를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두 캠퍼스는 공학 분야를 중심으로 특성화된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 서울 동작구의 학교 -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는 1897년 평양에서 시작하여 신사참배 거부로 폐교되었던 기독교 정신의 사립대학교로, 해방 후 재건되어 서울에 위치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와 컴퓨터공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축구 명문으로도 알려져 있다.
  • 서울 동작구의 학교 - 총신대학교
    총신대학교는 1901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교 후 재건, 1975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개혁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사립대학교이다.
  • 중앙대학교 -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는 1934년 조선직업강습학원으로 시작하여 여러 교명 변경과 통폐합을 거쳐 1965년 현재의 교명으로 개칭되었고, 1997년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으며, 2017년 기준 48,961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오랜 역사의 학교이다.
  • 중앙대학교 -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는 1934년 조선 직업 강습 학원으로 설립되어 1965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고 1997년 부속여자고등학교와 통합, 강남구로 이전한 중앙대학교와 연관된 사립 고등학교이다.
중앙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중앙대학교
로마자 표기Jungang Daehakgyo
한자 표기中央大學校
영문 표기Chung-Ang University
다른 이름CAU, 중대, 앙대
표어진리안에 살고, 정의를 위해 살자
한국어 표어의에 죽고 참에 살자
설립일1916년 10월 17일
학교 종류사립 종합대학
설립자임영신
학교 법인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총장박상규
교색파랑
마스코트
신문'중대신문'
웹사이트중앙대학교 홈페이지
영어 웹사이트중앙대학교 영어 홈페이지
캠퍼스 정보
캠퍼스 위치서울 (서울특별시 동작구) 및 안성 (경기도 안성시)
캠퍼스 종류도시형 캠퍼스
캠퍼스 규모4개 캠퍼스, 16개 단과대학, 17개 대학원
학생 및 교직원 정보
전체 학생 수21,847명
학부생 수14,506명
대학원생 수7,341명
교수진 수2,055명
교직원 수1,101명 (2021년)
대학 정보
단과대학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대학
공과대학
창의ICT공과대학
소프트웨어대학
경영경제대학
의과대학
약학대학
적십자간호대학
예술대학
예술공학대학
체육대학
다빈치교양대학
상징
교목느릅나무
교조청룡
기타 정보
이미지 정보
중앙대학교 휘장
중앙대학교 휘장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영신관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영신관

2. 연혁

1916년 감리교회가 설립한 중앙유치원을 모태로 현재의 중앙대학교에 이르기까지, 학교는 여러 중요한 변화와 발전을 겪었다. 중앙대학교의 연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시기주요 내용
1916년 ~ 1945년
일제강점기
1945년 ~ 1953년
해방과 한국전쟁 시기
1953년 ~ 1979년
종합대학 승격 및 발전
1980년 ~ 1986년
안성캠퍼스 건립
1987년 ~ 1999년
김희수 이사장 취임 이후
2000년대 이후



약학대학 및 연구개발센터


서울캠퍼스 기숙사 (블루미르관)

2. 1. 일제강점기 (1916년 ~ 1945년)

1916년 10월 17일 감리교회에서 선교를 위해 설립한 '''중앙유치원'''이 중앙대학교의 시초이다.[41] 중앙유치원은 "교육을 통한 실력 양성으로 독립을 얻자"는 교육운동을 펼쳤고, 이에 1920년대 여러 유치원이 설립되었다. 중앙유치원은 유치원 교사 양성을 위해 사범과를 설치하여 전문 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했다. 1922년 중앙유치원 사범과는 '''중앙보육학교'''로 승격되었는데, 법적으로는 전문학교가 아닌 각종 학교였지만, 사회적으로는 전문학교로 인식되었다.[42]

1933년 임영신이 중앙보육학교를 인수하여 교장에 취임했다. 임영신1932년 미국에서 귀국하여 교육을 통한 민족 구원을 목표로 흑석동에 학교 부지를 마련했다.[43] 흑석동 이전 후에도 재정적 어려움과 일제의 탄압으로 학교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임영신은 미국에서 모금 활동을 통해 파이퍼재단을 설립하여 학교를 지원했고, 1938년 5월 흑석동에 영신관을 건립하고 학교를 이전했다.[44]

1937년 중일전쟁과 1941년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일제는 1940년 동아일보조선일보를 폐간하고, 1943년 교육에 관한 전시비상조치령을 공포하는 등 탄압을 강화했다. 중앙보육학교는 교장 임영신의 미국 유학 경험과 기독교 신앙 때문에 더욱 심한 탄압을 받았다. 결국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일제의 압력으로 1944년 중앙보육학교는 신입생 모집이 중단되고 폐교되었다.[44]

2. 2. 해방과 한국전쟁 시기 (1945년 ~ 1953년)

1945년 8월 15일 해방 후, 임영신은 같은 해 9월 28일에 중앙보육학교의 문을 다시 열고 “의에 죽고 참에 살자”라는 교훈과 교가를 제정하였다. 같은 해 10월 1일, 중앙보육학교는 '''중앙여자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 1946년 11월에는 재단법인 중앙문화학원을 설립하여 학교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1947년 4월에는 '''중앙여자대학'''으로 개편하고, 1948년 5월에는 남녀공학의 '''중앙대학'''으로 학칙을 변경하였다.[45]

1950년 5월에 제1회 전문학사학위수여식을 가졌으나, 한국전쟁으로 휴교하였고, 9월 28일 서울 수복 후 학생의 재등록을 받다가 1.4 후퇴로 학교의 모든 서류를 부산으로 옮기고 그곳에 중앙대학 임시사무소를 설치하였다. 1951년 4월, 임영신은 미국에서의 외교 활동을 마치고 귀국하여 부산 송도에서 전시연합대학이 아닌 중앙대학 단독 강의를 시작하였다. 이어서 이리서울에도 분교를 설치하여 강의를 시작하였다.[45] 이러한 노력으로 1951년부터 1953년까지 2~4회의 전문학사학위수여식을 부산에서 가졌다.

2. 3. 종합대학으로 승격 및 발전 (1953년 ~ 1979년)

1953년 2월, 중앙대학은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문리과대학, 법정대학, 경상대학, 약학대학 등 4개 대학 9개 학과 및 대학원을 설치하고, 초대 총장에는 임영신이 취임하였다. 그 후, 8월에 흑석동으로 교사를 옮겼으나, 미8군이 주둔하고 있어 가교사에서 강의를 진행하였다. 1954년 4월, 미군으로부터 교사를 인수하였다.[46]

1955년부터 1959년까지 학과를 증설하여 4개 대학 19개 학과 정원 2,850명 규모로 성장하였다. 1956년에 파이퍼홀을, 1959년에는 중앙도서관을 준공하였다. 국제문화연구소 등을 설치하여 연구활동을 강화하고, 낙양중·공업고등학교, 영신여자중학교, 영신중학교, 부속유치원 등을 두어 교육사업도 확장하였다.[46]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나자 중앙대학교 학생들도 3.15 부정선거에 항의하며 시위에 참여하였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임성희 박사가 제2대 총장으로 취임하였으나, 1963년 5월 다시 임영신 박사가 3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47]

1965년 1월, 문리과대학을 문과대학, 이공대학, 사범대학으로 분리하고, 법정대학, 경상대학, 약학대학을 합하여 6개 대학으로 증설했다. 자매 중·고교를 사범대학 부속중·고교로 개칭하고 부속국민학교를 설치하여 유치원부터 대학원까지 일관된 교육 체계를 갖추었다. 1967년 2월 사회개발대학원을 설치하고, 1968년 8개 단과대학으로 증설 개편하였다. 1971년 12월 의과대학을 설치하고 성심병원을 부속병원으로 흡수하였다.[47]

1961년 7월 진선관과 대학극장이, 10월에는 사회과학관이 준공되었다. 1968년 개교 50주년 기념사업으로 청룡상을 건립하고, 승당관을 건립하였다. 1969년 12월 봅스트홀을 준공하였다.[47]

1972년 임철순 박사가 제4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서라벌예술대학을 합병하고, 1974년 예술대학으로 개편하였다. 1978년 2부 대학을 병설하고, 1979년 국제경영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을 설치하였다.[48] 1972년 진선관을 증축하여 서라벌홀을 준공하고, 1974년 의과대학 교사인 자연관을 준공하였다. 1976년 학생회관, 1978년 부속성심병원 신관을 준공하였다.[48] 1977년 2월, 설립자 임영신 박사가 서거하였다.

2. 4. 안성캠퍼스 건립 (1980년 ~ 1986년)

1980년 3월, 임철순 총장의 후임으로 이석희 박사가 제5대 총장에 취임하면서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 건립이 시작되었다. 서울캠퍼스에 있던 예술대학과 농과대학(現 생명공학대학)을 안성캠퍼스로 이전하고, 제1차 교사동, 제2차 기숙사, 제1차 학생회관을 준공하였다.[48]

1981년 10월, 안성캠퍼스에 외국어대학, 사회과학대학, 가정대학 등 3개 대학이 추가로 설치되었다. 1982년 3월부터는 서울캠퍼스를 제1캠퍼스, 안성캠퍼스를 제2캠퍼스로 명명하였다. 1982년 10월에는 음악대학이 신설되었고, 1983년 9월에는 농과대학이 산업대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건설대학원이 설치되었다. 1984년 10월에는 제2캠퍼스에 건설대학이 설치되어 총 7개의 단과대학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49]

이와 함께 안성캠퍼스의 교육 시설도 확충되었다. 1980년 12월 제2차 교사동 준공을 시작으로, 1981년에는 대운동장과 제2차 학생회관, 1982년에는 교수연구동, 농과대학 실험동, 예술대학 건물이 준공되었다. 1983년에는 음악대학 강의동 및 강당동, 야외 수영실습장, 체육관이, 1984년에는 음악대학 증축건물과 제3차 교사동이 준공되었다.[49]

안성캠퍼스 청룡연못

2. 5. 김희수 이사장 취임 이후 (1987년 ~ 1999년)

1987년, 재일교포 실업가 김희수 박사가 학교법인 중앙문화학원의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김희수 이사장은 13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전기 대학(東京電氣大)을 졸업하고, 일본 굴지의 기업 "금정(金井)"을 운영하고 있었다.[50] 그는 일제의 민족 차별 속에서도 애국심을 불태우며 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깨달아, 학교법인을 인수하여 한국의 고등교육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는 재일교포 실업가로서 처음 있는 일이었다.[50]

1989년에는 문리과대학을 문과대학과 이과대학으로 분리하고, 신문방송학과에서 광고·홍보 분야를 분리하여 광고홍보학과를 신설하였다. 제2캠퍼스에는 노어학과와 생물공학과를 설치하고, 행정대학원과 산업기술경영대학원을 설치하는 등 학교 규모를 확장하였다.[50] 같은 해 2월, 하경근 박사가 교직원 투표를 통해 제8대 총장에 취임하였고, 주 5일 근무제를 도입하고 신입생을 전후기로 분할 모집하였다.

1991년 2월, 학교법인 명칭을 "학교법인 중앙문화학원"에서 "학교법인 중앙대학교"로 변경하였다.[50] 제1캠퍼스에는 슈퍼컴퓨터를 도입하고 전산센터를 건설하였으며, 법과대학, 경영대학, 대학원 건물을 신축하였다. 제2캠퍼스에는 생활관, 건설대학, 산업대학, 교수숙소 등을 신축하여 교육 여건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교육부의 평가 결과와 관련하여 학내 소요가 발생하였다.

1992년 3월, 대학발전계획수립전문위원회를 구성하고, 4월에는 대학발전공동협의회를 결성하여 대학 안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6월에는 김민하 박사가 총장직무대행에 임명되어 학내 사태 수습에 나섰다.

1993년 2월, 김민하 박사가 제9대 총장에 취임하여 "민족대학", "민주대학", "선진대학", "건강하고 새로운 대학문화 창조"라는 4대 육성 지표를 제시하였다. 1994년 11월에는 의약식품관리 대학원을 설립하고, 1995년 3월에는 이과대학 건물인 수림과학관을 준공하였다.

1998년 3월, 제2캠퍼스에 체육과학대학을 신설하고, 가정대학을 생활과학대학으로, 1999년 11월에는 산업대학을 산업과학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또한, 첨단영상전문대학원을 신설하여 교육부의 "교육개혁추진 우수대학 재정지원 사업"에서 5년 연속 최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다.[50]

한편, 김희수 이사장의 의과대학 부속병원(MEDICAL CENTER) 신축 약속 이행이 지연되자, 의과대학 학생들의 농성과 수업 거부, 파업이 발생하였다. 1997년 10월, 부속고등학교 이전 부지에 부속병원 착공을 약속하면서 사태가 일단락되었다.

2. 6. 2000년대 이후

2001년 2월, 박명수 교수가 제11대 총장으로 취임하면서 "변화와 발전을 통한 새로운 중앙의 창조"를 내걸고 대학발전계획 'DRAGON2018'을 수립했다.[51] 2000년 국악대학, 2002년 국악교육대학원, 2004년 창업경영대학원이 신설되었고, 제1캠퍼스에 메디컬 캠퍼스, 교수연구동, 체육관, 복합건물, 제2캠퍼스에 국악대학, 생활관, 선수숙소 등이 신축되었다.

2005년 2월, 박범훈 박사가 제12대 총장으로 취임하여 "세계적 수준의 지식창조 및 학습역량 보유대학"으로의 발전을 위한 7대 공약을 제시했다.[52] 교육과학기술부 구조개혁 선도대학에 선정되어 91억 원의 재정지원을 받았으며, 2007년 2월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법학관을 완공했다. 같은 해 11월, 하남시와 '하남캠퍼스'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나, 이후 검단신도시에 검단캠퍼스를 건설하기로 계획을 변경했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244명의 전임교원을 초빙했고, 2009년 3월 법학전문대학원과 의학전문대학원을 개원했다.[53] 전 과목 상대평가 도입, 교양필수 과목에 '회계와 사회' 추가 등 학사 제도를 강화했다. 박범훈 총장 재임 기간 동안 총 2,216억 원의 재정을 확충하고, 성과중심 연봉제 인사제도를 도입했다.[52]

2008년 5월, 두산그룹이 학교법인 운영에 참여하면서 박용성이 제9대 이사장으로 취임했다.[55] 'CAU2018+' 중장기 발전계획을 발표하며 ‘선택과 집중, 실행력 강화, 선순환 구조 확립’이라는 새로운 전략방향을 제시하고, 100% 연봉제 도입, 학사관리제도 강화 등을 추진했다. R&D센터, 기숙사 신축,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병원 증축 등 시설 확충도 진행되었다.

2015년, 박범훈 전 총장이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재직 시절 중앙대에 특혜를 줬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54] 두산그룹의 뇌물 제공 의혹으로 박용성 회장 등이 수사를 받았다.[55] 중앙대는 검단캠퍼스 사업을 포기했다.[56]

3. 캠퍼스

중앙대학교는 서울캠퍼스와 다빈치캠퍼스(안성) 두 곳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서울캠퍼스는 임영신 초대 총장이 부지를 구입한 흑석동에 자리잡고 있으며, 182960.4m2 면적에 25개 건물이 있다. 인문,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소프트웨어, 경영경제, 의학, 약학, 간호, 예술(일부) 관련 대학 및 대학원이 이곳에 위치하며, 부속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중앙대학교병원이 캠퍼스 인근에 있다.

다빈치캠퍼스(안성캠퍼스)는 1980년에 건립되었으며,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에 위치한다. 962669m2 면적에 40여 개의 건물과 시설이 있으며, 생명공학대학, 예술대학, 예술공학대학, 체육대학, 공과대학 첨단소재공학과가 이곳에 있다. 2011년 교육부로부터 본분교 통합 및 단일교지 승인을 받아 2012년부터 이원화 캠퍼스로 운영되고 있다.

3. 1. 서울캠퍼스

초대 총장 임영신 박사가 부지를 구입한 흑석동에 위치해 있다. 182960.4m2의 부지에 25개 건물이 있으며, 인문대학, 사범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창의ICT공과대학, 소프트웨어대학, 경영경제대학, 의과대학, 약학대학, 적십자간호대학,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 일부 전공(연극, 영화, 공간연출)이 있다. 캠퍼스 근처에는 부속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와 중앙대학교병원이 있다.

대학명학과
인문대학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유럽문화학부(독일어문학전공, 프랑스어문학전공, 러시아어문학전공), 아시아문화학부(중국어문학전공, 일본어문학전공), 철학과, 역사학과
사회과학대학정치국제학과, 공공인재학부(행정학전공, 정책학전공), 심리학과, 문헌정보학과, 사회복지학부(사회복지전공),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디지털미디어콘텐츠전공, 언론정보전공),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사회학과
사범대학교육학과, 유아교육과, 영어교육과, 체육교육과
자연과학대학물리학과, 화학과, 생명과학과, 수학과
공과대학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건설환경플랜트공학전공, 도시시스템공학전공), 건축학부(건축학전공, 건축공학전공), 화학공학과, 기계공학부, 에너지시스템공학부(원자력전공, 발전기계전공, 발전전기전공)
창의ICT공과대학전자전기공학부, 융합공학부(나노소재공학전공,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차세대반도체학과
소프트웨어대학소프트웨어학부, AI학과
경영경제대학경영학부(경영학전공, 글로벌금융전공), 경제학부, 응용통계학과, 광고홍보학과, 지식경영학부, 국제물류학과, 산업보안학과
의과대학의학부
약학대학약학부(약학전공, 제약학전공)
적십자간호대학간호학과
예술대학공연영상창작학부(연극전공, 영화전공, 공연공간연출전공)
가상융합대학실감미디어학과
혁신융합공과대학혁신소재응용공학부(첨단신소재전공, 나노융합전공, 적층제조전공)
교양대학


3. 1. 1. 도서관

204관 중앙도서관은 1959년 10월 23일에 준공되었으며, 초기에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호를 따서 '우남기념도서관'으로 불렸다. 4.19 혁명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60] 2009년 8월에 리모델링 및 증축을 거쳐 3,400여 석의 열람석과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게 되었다.[60] 현재 100만여 권의 장서, 다양한 비도서 자료, 2,500여 종의 연속간행물, 80,000여 종의 전자저널, 120여 종의 Web DB, 27,000여 권의 본교 학위논문 원문 DB, 40,000여 권의 E-Book을 서비스하고 있다.[60] 중앙도서관 앞에는 4.19 혁명 때 희생된 6인의 열사를 기리는 의혈탑이 있다.[61][62]

303관 1, 2층 법학도서관은 1997년 법학도서실로 시작하여 2005년 법학도서관으로 승격되었다. 2007년 법학관 개관과 함께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법학 관련 단행본, 참고도서, 정기간행물, 국내외 DB를 소장하고 있다.

3. 1. 2. 주요 건물


  • 101관 '''영신관'''

101관(영신관)


중앙대학교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1938년 5월에 완공되었다. 설립자인 임영신 박사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일제강점기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 미국에서 모금 운동을 통해 건립되었으며,[61][65] 1968년 8월까지 대학본부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입학처가 사용 중이다.

  • 201관 '''본관'''

대학본부가 위치한 건물로, 총장실, 학생지원처, 총무처, 홍보실 등이 있다.

  • 203관 '''서라벌홀'''

1961년 '진선관'으로 건립되었으며, 1972년 서라벌예술대학 인수 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인문대학, 사범대학, 사회과학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다.[61][63]

  • 207관 '''봅스트홀'''(Bobst Hall)

제1공학관으로 1969년에 준공되었다.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건설시스템 전공), 화학신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전자전기공학부에서 사용하며, 각종 연구실 및 실험실이 있다.[61]

  • 208관 '''제2공학관'''

건축학부, 컴퓨터공학부,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도시시스템 전공), 융합공학부, 에너지시스템공학부에서 사용한다.[61] PC실습실과 설계실이 다수 존재한다.

  • 301관 '''중앙문화예술관'''

301관(중앙문화예술관)


1999년 10월에 개관하였으며, 대극장, 소극장, 예술대학원, 첨단영상대학원 등에서 사용한다.[61] 학교 행사와 각종 공연이 이곳에서 열린다.

  • 303관 '''법학관'''

2007년에 신축되었으며, 법학도서관이 내부에 위치해 있다. 사회과학대학에서 사용 중이며, 지하 1층에는 학생식당과 교직원식당 등이 있다.[61]

  • 310관 '''100주년기념관'''

100주년 기념관


2016년에 완공된 국내 대학 단일 건물 중 최대 규모의 건물이다. 경영경제대학과 창의ICT공과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다.

  • 102관 '''약학대학 및 R&D센터'''

2011년 5월에 완공되었으며, 약학대학과 일부 자연과학대학에서 사용 중이다.

  • 103관 '''파이퍼홀'''(Pfeiffer Hall)

1956년 4월에 완공되었으며, 초기에는 약학대학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적십자간호대학에서 사용 중이다.[61][64]

  • 104관 '''수림과학관'''

1995년에 건립되었으며, 자연과학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다.[61]

  • 105·106관 '''의학관'''

제1의학관은 1974년, 제2의학관은 2005년에 완공되었다. 의과대학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두 건물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61]

  • 107관 '''학생회관'''

1962년에 준공되었으며, 중앙동아리, 총학생회실 등이 위치해 있다.[61]

  • 308·309관 '''블루미르홀'''(Blue Mir Hall)

기숙사 건물로, 308관은 2010년, 309관은 2015년에 완공되었다.

  • 307관 '''글로벌하우스'''

외국인 학생 및 한국인 재학생 기숙사이다.

  • '''퓨처하우스'''

고시반 학생 기숙사이다.

3. 1. 3. 기타 시설


  • '''청룡상 & 청룡연못'''

청룡연못


중문에 위치한 청룡상과 청룡연못은 1968년 개교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47] 청룡상은 작은 용 7마리의 축복을 받으며 지구를 감싸고 승천하여 대기권 밖을 향한 우주에의 달관을 뜻하는 것으로 중앙대학교의 번영을 상징한다. 임영신 박사의 유품 등 중앙대의 보물이 담긴 타임캡슐은 개교 100주년을 맞이하는 2018년에 개봉되었다.

  • '''해방광장'''

학교의 정가운데 위치해 있고 주변에 서라벌홀, 중앙도서관, 100주년기념관 등이 둘러싸고 있다. 위치적 이점 때문에 학생들이 이곳에서 휴식을 취하고 축제 때 공간 활용하기에 편리하다.

  • '''대운동장'''

제2공학관 뒷편, 100주년기념관 옆에 위치해 있으며 1981년에 만들어졌다. 구 모래운동장은 100주년기념관 건설부지로 사용되었으며 그 자리에 작은 잔디구장으로 대체되었다.

  • '''중앙마루'''

2011년 1월에 만들어져 청룡연못과 중앙광장을 잇는 계단으로 학생회관과 영신관 사이에 위치해 있다. 학생들 사이에선 특유의 조명 디자인으로 인해 일명 '빼빼로 광장'으로 불린다.

3. 2. 다빈치캠퍼스 (안성캠퍼스)

1980년 임철순 총장의 후임으로 이석희 박사가 제5대 총장에 취임하면서 제2캠퍼스 건립이 시작되었다.[49]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에 위치한 다빈치캠퍼스(안성캠퍼스)는 962669m2의 부지에 40여 개의 건물 및 기타 장소가 있다.

1980년 3월, 제2캠퍼스 건립을 시작하여 서울캠퍼스에 있던 예술대학과 농과대학(現 생명공학대학)을 안성캠퍼스로 이전하고, 제1차 교사동과 제2차 기숙사 및 제1차 학생회관을 준공하였다.[48] 1981년 10월, 안성교사에 외국어대학, 사회과학대학 및 가정대학 등 3개 대학을 증설하였다. 1982년 3월부터 서울에 있는 교육장을 제1캠퍼스로, 안성에 있는 교육장을 제2캠퍼스로 명명하였다. 1982년 10월에는 예술대학에 있는 음악학과를 음악대학으로 확대 발전시켰고, 1983년 9월에는 농과대학을 산업대학으로 명칭 변경하고, 건설대학원도 설치하였다. 1984년 10월 안성에 있는 제2캠퍼스에 건설대학을 설치하여 제2캠퍼스에 7대 단과대학의 규모를 가지게 하였다.[49] 이후 1998년에 체육대학을 증설하고 2001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국악대학과 국악교육대학원을 증설하였다.

1980년 12월 안성교사에 제2차 교사동을 준공했고, 1981년에는 대운동장과 제2차 학생회관을 준공하였다. 이어 1982년에는 교수연구동을 비롯하여 농과대학 실험동과 예술대학 건물을 준공하였다. 1983년에는 음악대학 강의동 및 강당동, 야외 수영실습장, 체육관을 준공하였다. 1984년에는 음악대학 증축건물과 제3차 교사동을 준공하였으며, 1989년에 중앙도서관을, 1999년에는 수림체육관을 준공하여 현대적 캠퍼스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하였다.[49]

2011년 교육부로부터 본분교통합 및 단일교지 승인을 받았고, 2012년부터 이원화캠퍼스로서 학생들을 모집하고 있다. 2021년 기준으로 안성캠퍼스에는 생명공학대학, 예술대학, 예술공학대학, 체육대학, 공과대학 첨단소재공학과가 위치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청룡지


캠퍼스 내에는 호숫가 극장, 국악관 등이 있으며, 예술대학 구역과 음악대학 구역, 생명공학대학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3. 2. 1. 도서관

902관(중앙도서관)


1980년에 147평, 204석의 열람석으로 안성캠퍼스 중앙도서관이 처음 문을 열었다. 1988년 3월에 신축하여 전체 면적 17027m2으로 1,700여 석의 열람석을 갖추고 교수와 학생들의 학문 연구 및 학습을 지원하고 있다.[66] 1995년 10월에 도서관 전산화 시스템(CALIS)을 열었고, 2003년 2월에는 서지, 원문 정보, 강의·연구 정보, 인터넷 정보 등을 제공하는 통합형 디지털 도서관 시스템(CoDL)을 개설하였다.[66] 2009년 3월, 유니코드를 기반으로 한 다국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디지털 콘텐츠 연계기능이 강화된 차세대 유비쿼터스형 전자도서관 시스템(DLiⅡ)과 함께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 홈페이지를 개설하였다.[66] 스터디룸, 전자신문 등 이용자 편의시설과 국회 전자도서관 자료, 중앙도서관 소장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온라인 정보검색실, 인터넷 복합공간인 전자정보실을 갖추고 있다.[66]

지난 30년간 교수와 학생들의 연구 및 학습을 지원해 온 안성캠퍼스 중앙도서관은 현재 40만여 권의 장서와 2,000여 종의 연속간행물, 40,000여 종의 전자저널, 50여 종의 Web DB, 27,000여 권의 본교 학위논문 DB, 48,000여 종의 E-Book, 각종 비도서자료를 보유하고 있다.[66] 또한, One-Stop(원 스톱) 서비스, 찾아가는 대출서비스, 도서관 회원제 서비스, 원문복사 배달서비스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와 맞춤형 도서관 이용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66] 1996년 7월부터는 '열린도서관'을 운영하여 지역주민에게 개방하고 있다.[66]

3. 2. 2. 주요 건물

901관(본관)


901관(본관)은 1997년에 준공된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의 중심 건물로, 안성캠퍼스 부총장실, 대학본부 등이 있다.[66]

706관 (명덕동 기숙사)


706관(명덕동 기숙사)은 여자 전용 기숙사이며, 예지동 기숙사는 남자 전용 기숙사이다.[66]

'''예술대학 구역'''은 조형관, 극장, 공예관, 조각관 등 4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음악대학 구역'''에는 음악관 1호관, 음악관 2호관, 영신음악당 등 세 개의 건물이 있다.

'''국악관'''은 음악관과 영신음악당 사이 길을 따라 수면무대 쪽으로 가면 있다.

'''생명과학대학 구역'''에는 원형관, 생명과학관 1호관, 생명과학관 2호관, 생명과학관 3호관, 유전자변형생물체 실험실 등 5개의 건물이 있다.

3. 2. 3. 기타 시설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정문(등용문)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의 정문은 '등용문'(登龍門)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66] 정문과 캠퍼스의 거리가 멀어 학교순환버스가 정문부터 운행하고 있다.

청룡연못 위에는 부채꼴 모양의 ‘수상무대’가 있어 야외공연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청룡연못' 내부에는 분수대와 청룡상이 마련돼 있다.[66]

4. 교육

중앙대학교는 학부 졸업 요건으로 영어, 한자, 한국어 능력을 요구한다.[57][58]

4. 1. 졸업인정제

중앙대학교 학부생은 영어, 한자, 한국어 능력을 통과해야만 졸업할 수 있다. 영어 능력의 경우, 단과대학 및 학과별 G-TELP Level 1~3, TEPS, TOEFL, TOEIC 기준 점수를 충족하거나, G-TELP Speaking Level 5, OPIc IM, TOEFL 스피킹 섹션 25점, TOEIC Speaking Level 6 이상 중 하나를 충족하면 된다.[57][58]

5. 학과

2014년 기존 5개 계열별 부총장제를 폐지하고 5개 직능별 기능형 부총장제를 신설하면서 단과대학을 각 대학장이 운영하도록 학교를 개편하였다. 2021년 기준 16개 단과대학, 49개 학과(부)가 있다.[59]

중앙대학교 단과대학 및 학과(부) 현황 (2021년 기준)
캠퍼스단과대학학과(부)
서울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창의ICT공과대학
소프트웨어대학
경영경제대학
의과대학
약학대학
적십자간호대학
예술대학
가상융합대학
혁신융합공과대학
교양대학
다빈치 (안성)생명공학대학
공과대학
예술대학
예술공학대학
체육대학
교양대학


5. 1. 서울캠퍼스

2014년 기존 5개 계열별 부총장제를 폐지하고 5개 직능별 기능형 부총장제를 신설하면서 단과대학을 각 대학장이 운영하도록 학교를 개편하였다. (2021년 기준 16개 단과대학, 49개 학과(부))[59]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단과대학 및 학과(부) 현황 (2021년 기준)
단과대학학과(부)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창의ICT공과대학
소프트웨어대학
경영경제대학
의과대학
약학대학
적십자간호대학
예술대학
가상융합대학
혁신융합공과대학
교양대학


5. 2. 다빈치캠퍼스

2014년 기존 5개 계열별 부총장제를 폐지하고 5개 직능별 기능형 부총장제를 신설하면서 단과대학을 각 대학장이 운영하도록 학교를 개편하였다. (2021년 기준 16개 단과대학, 49개 학과(부))[59]

  • 생명공학대학
  • * 생명자원공학부(동물생명공학전공, 식물생명공학전공)
  • * 식품공학부(식품공학전공, 식품영양전공)
  • * 시스템생명공학과
  • 공과대학
  • * '''첨단소재공학과'''
  • 예술대학
  • * 공연영상창작학부(문예창작전공, 사진전공, 무용전공)
  • * 미술학부(한국화전공, 서양화전공, 조소전공)
  • *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산업디자인전공, 패션전공, 실내환경디자인전공, 공예전공)
  • * 음악학부(관현악전공, 성악전공, 작곡전공, 피아노전공)
  • * 전통예술학부(음악예술전공, 연희예술전공)
  • * 글로벌예술학부(TV방송연예전공, 실용음악전공, 게임콘텐츠ㆍ애니메이션전공)
  • 예술공학대학
  • * '''예술공학부'''(게임개발트랙, 영상특수효과트랙, 디지털아트트랙)
  • 체육대학
  • * 스포츠과학부(생활레저스포츠전공, 스포츠산업전공, 골프전공)
  • 교양대학
  • '''본관'''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의 중추인 본관은 1997년에 준공된 지상 6층 규모의 건물로서 안성캠퍼스 부총장실, 대학본부, 산업창업경영대학원이 자리하고 있다.

  • '''기숙사'''


안성캠퍼스의 기숙사는 남자 전용기숙사는 예지동, 여자 전용기숙사는 명덕동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기숙사 주변으로 생활복지관과 학생후생관이 있으며 대운동장, 테니스장, 골프장이 자리잡고 있다.[66]

6. 대학원

중앙대학교는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으로 구성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일반대학원
  • 전문대학원
  • * 법학전문대학원
  • * 경영전문대학원
  • * 의학전문대학원
  • 특수대학원
  • * 건설대학원
  • * 교육대학원
  • * 국악교육대학원
  • *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 * 사회복지대학원
  • * 산업·창업경영대학원
  • * 신문방송대학원
  • * 약학대학원
  • * 예술대학원
  • * 의약식품대학원
  • * 정보통신대학원
  • * 체육대학원
  • * 행정대학원

7. 국제 교류

중앙대학교와 학술 교류 협정을 맺은 해외 대학은 다음과 같다.


  • 오사카 대학
  • 도호쿠 대학
  • 규슈 대학
  • 고베 대학
  • 지바 대학
  • 사이타마 대학
  • 도쿄 수도 대학
  • 메이지 대학
  • 주오 대학 中央大学|주오 대학일본어
  • 호세이 대학
  • 시바우라 공업 대학
  • 오사카 공립 대학
  • 도시샤 대학
  • 간사이 가쿠인 대학
  • 리쓰메이칸 대학
  • 오사카 공업 대학
  • 삿포로 대학
  • 후쿠시마 대학
  • 오비린 대학
  • 아이치 대학
  • 나가사키 대학
  • 가고시마 대학
  • 리쓰메이칸 아시아 태평양 대학

8. 주요 학생 단체

총학생회, 홍보대사 중앙사랑, 응원단 HURRAH-C, UBS, 중대신문사, 중앙헤럴드, 중앙문화, 녹지 등이 주요 학생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8. 1. 총학생회

총학생회는 학생들의 권익 보호와 민주적인 대학 문화 조성을 위해 노력하는 학생 자치 기구이다.[1]

중앙대학교 총학생회 산하에는 다음과 같은 동아리들이 있다.[1]

분류동아리 목록
공연 예술M&M, DaCside, 댄스 스포츠 동아리, 새날지기, 영죽무대, 청룡합창단, 타박네, 가람터, 누리울림, 루바토, 멜로스, Muse, 블루 드래곤, 피카통
인문학중앙대학교 학생자치회(UNSA), 미생마, YOUTHHOSTEL, KUSA
문화 연구만화두레, 문학동인회, Art Time, 반영, 사진 동아리(Photography), 서예 동아리(Calligraphy)
봉사MRA, RCY, 사랑터, 손짓사랑, 푸름회(Purm Society; 교육 봉사 동아리)
사회 과학비꼼, 현상스케치, 휴머니즘(Humanism)
전통/관습/유산민탈, 소래얼, 한백사위
종교CARP, 천주교 동아리(Catholic Society), 불교 동아리(Buddhist Society), 정명회 동아리(Jeungism Society), CAM, CBA, CCC, CUSCM, SCA, UBF, 네비게이터스(Navigators)
스포츠CABO, LOVE4T, 랑데부(Rendezvous), 리베로, 미식축구 동아리(American Football), 자이언츠(Giants), 날파람, 보디빌딩 동아리(Body Building Society), 의혈검, 유도 동아리(Judo), 검도 동아리(Kendo), 라이너스, 산악회(Mountain Hiking), 스키 동아리(Ski), 스쿠버다이빙 동아리(Underwater Diving), 요트 동아리(Yachting)
학술CECOM, COMP, HAM, TRC, 코스모스(Cosmos)


8. 2. 홍보대사 중앙사랑

중앙사랑한국어은 중앙대학교를 대표하여 학교의 이미지를 알리고, 입시 홍보, 캠퍼스 투어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8. 3. 응원단 HURRAH-C

중앙대학교 응원단 HURRAH-C는 학교 행사 및 스포츠 경기에서 열정적인 응원을 통해 학생들의 단결과 애교심을 고취한다.

8. 4. 언론 단체


  • 총학생회
  • 홍보대사 중앙사랑
  • 응원단 HURRAH-C
  • UBS
  • 중대신문사
  • 중앙헤럴드
  • 중앙문화
  • 녹지

9. 의료원

중앙대학교는 1985년 7월 10일,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과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용산병원을 관리 운영하는 의료원 체제를 신설하였다. 이후 필동병원과 용산병원이 문을 닫고 흑석동 병원과 광명병원이 차례로 건립되었다.

중앙대학교 의료원(Chung-Ang University Healthcare System, CAUHS)은 서울 수도권 주민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울과 광명시에 각각 위치한 두 개의 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9. 1. 중앙대학교의료원

1968년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에서 한국의과학연구소 부속성심병원으로 처음 시작되었다. 1971년 12월 28일,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성심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84년 7월 1일, 중앙대학교 부속용산병원이 개원하면서 부속병원이 2개로 늘어났다.[67] 2004년 12월 18일, 필동의 부속병원은 흑석동에 위치한 현재의 부속병원으로 이전하였고, 2005년 1월 18일에 흑석동에서 개원식을 갖고 중앙대학교병원이라는 명칭으로 개원하였다. 2011년 3월 25일,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은 진료를 마감하고 중앙대학교병원으로 통합되었다.[67] 2022년 3월에는 중앙대학교 광명병원을 개원하였다.[13]

9. 2. 중앙대학교병원

1968년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에서 한국의과학연구소 부속성심병원으로 시작되었다. 1971년 12월 28일,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성심병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84년 7월 1일, 중앙대학교 부속용산병원이 문을 열면서 부속병원이 두 곳이 되었다. 2004년 12월 18일, 필동에 있던 부속병원은 흑석동에 있는 현재의 부속병원으로 옮겼고, 2005년 1월 18일에 흑석동에서 개원식을 가지며 중앙대학교병원이란 이름으로 문을 열었다. 2011년 3월 25일,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은 진료를 마치고 중앙대학교병원으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른다.[67]

9. 3. 중앙대학교광명병원

2022년 3월 중앙대학교의료원은 네 번째 병원인 중앙대학교광명병원을 개원하였다.[13]

10. 부속 학교

중앙대학교에는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중대부고),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중대부중),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중대부초)가 있다. 중대부고는 1934년 설립되어 1965년 중앙문화학원에 합병되었고, 1997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중대부중은 1934년 중대부고와 함께 설립되어 1956년 분리되었으며, 1965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 1997년 중대부속여자중학교와 통합하였다. 중대부초는 1964년 설립인가를 받아 1965년 개교, 199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0. 1.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다. 1934년 조선직업강습학원으로 설립되어 1951년 낙양공업고등학교, 1961년 낙양상업고등학교, 1962년 서울명수대상업고등학교를 거쳐 1965년 학교법인 중앙문화학원에 합병되면서 현재의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1997년 중대부속여자고등학교와 통합하여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68]

10. 2.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에 있다. 1934년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와 함께 설립되어 1956년 낙양중학교로 개명되어 고등학교와 분리되었다. 그 후 1965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1997년 중대부속여자중학교와 통합하였다.

10. 3.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에 있다. 1964년 12월에 설립인가를 받아 1965년에 개교하였다.[68] 1969년에 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1996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1. 교통

중앙대학교는 서울캠퍼스와 다빈치캠퍼스 모두 대중교통으로 접근이 용이하다.

서울캠퍼스는 흑석역(중앙대입구)과 상도역을 통해 갈 수 있다. 정문은 흑석역 3, 4번 출구에서 도보 16분, 후문은 상도역 5번 출구에서 도보 22분 거리이다. 다양한 버스 노선도 운행 중이다.

다빈치캠퍼스는 직행, 일반, 시외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강남역 (신분당선)으로 가는 4401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로 가는 8200번, 야탑역으로 가는 8201번, 동탄역으로 가는 8202번 등의 직행 버스가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일반 및 시외 버스 노선이 있다.

11. 1. 서울캠퍼스


  • 지하철
  • * 정문: 흑석역(중앙대입구) 3, 4번 출구 도보 16분
  • * 후문: 상도역 5번 출구 도보 22분
  • 버스

종류노선 번호노선
지선5511중앙대학교 - 신림2동차고지
지선5517한남운수대학동차고지 - 중앙대학교
지선5524난항차고지 - 중앙대학교
지선5536하안동 - 중앙대학교
지선6411선릉역 - 흑석역 - 신정동
지선8641개포동 - 흑석역 - 구로동
간선040개포동 - 상도역 - 용산공영차고지
간선151우이동 - 중앙대학교
간선350흑석역 - 복정역환승센터
간선360여의도환승센터 - 흑석역 - 복정역환승센터
간선361여의도 - 흑석역 - 복정역환승센터
간선452송파공영차고지 - 중앙대학교
간선501종로2가 - 상도역 - 한남동운수대학동차고지
간선506을지로입구역 - 상도역 - 신림2동차고지
간선640강남역 - 흑석역 - 신월동기점
간선641양재동 - 상도역 - 문래동
간선650낙성대입구 - 상도역 - 외발산동
간선742교대역 - 상도역 - 구산동
간선750A서울대 - 상도역 - 덕은동종점
간선750B서울대 - 상도역 - 은평차고지
간선752노량진 - 상도역 - 흑석역 - 구산동
간선753상도동 - 상도역 - 구산동
간선N64염곡공영차고지 - 상도역 - 강서공영차고지
직행6427(김포)강남역서초현대타워앞 - 흑석역 - 한가람마을우미린
직행이음2신분당선강남역 - 흑석역 - 양곡터미널
직행M6427강남역서초현대타워앞 - 흑석역 - 양곡터미널
마을동작01달마사 - 중앙대학교 - 대방역
마을동작08행복유치원 - 중대후문입구 - 노량진역
마을동작10노량진교회 - 중앙대학교 - 상도역
마을동작21상도역 - 중앙대학교 - 달마사
공항6016서울교육대앞 - 흑석동 - 인천공항
공항6019내방역 - 상도역 - 인천공항
공항N6000강남고속버스터미널 - 흑석동 - 인천공항T1
공항N6002강남고속버스터미널 - 흑석동 - 인천공항T2


11. 2. 다빈치캠퍼스

구분노선
직행
일반
시외


12. 사건 및 사고

2007년 4월 27일, 중앙대학교 졸업생이 문과대 7층에 있는 일어일문학과 학생회실에 불을 질러 내부 33m2와 집기 등을 모두 태워 소방서 추산 500만 상당의 재산 피해를 냈다.[69]

2009년 2월 23일, 박범훈 총장은 이명박 정부 출범 1주년 기념 한나라당 초청 강연회에서 여제자를 "토종"이라고 소개하며 "요렇게 생긴 토종이 애기 잘 낳고 살림 잘하는 스타일이죠. 이제 음식도 바뀌고 해서 요즘엔 키가 큰데 이쪽이 토종이고, 우리 때와 음식이 달라 길쭉해지고 했는데 사실 (조그만 게) 감칠맛이 있습니다. 이렇게 조그만데 매력이 있고, 시간상 제가 자세하게 여러 가지 내용을 설명 못 드리겠는데…."라고 발언했다.[70] 중앙대학교 대학 본부에서는 "국악하는 사람들은 키 큰 사람이 없고 작은 사람, 토종 체형을 가진 사람의 소리가 감칠맛이 난다는 의미였다"고 해명하였다.[71]

2009년 11월 29일, 학교 측은 구조조정과 관련된 비판이 담겨있던 특집 기고문과 박범훈 총장에 대한 비판이 담긴 만화를 문제삼아 교지 《중앙문화》 58호 3,000여 부를 전량 회수한 후 하루 뒤 재배포하였다. 학교 측은 원고가 늦어 기사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것은 절차상 문제가 있었다고 밝혔으며, 재배포 여부는 알아서 결정하되 추후 학교가 문제 삼을 경우 모든 책임을 발간처인 교지편집부가 져야 한다고 밝혔다.[72] 사건 3개월 뒤인 2010년 1월, 대학 본부가 《중앙문화》의 발간처인 교지편집부 예산 전액 삭감을 통보하여 언론 탄압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73]

2010년 7월 24일 오후, 서울특별시 동대문 두산타워 주변에서 두산중공업 소속 직원이 중앙대 학생들과 두산중공업 해고 노동자들이 집회하는 장면을 몰래 촬영하다 학생들에게 붙잡혔는데, 중앙대에서 퇴학당한 학생의 이날 행적과 동선, 다음날 일정 등을 기록한 A4 용지 3장 분량 문건을 소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독어독문학과에 재학 중이던 퇴학생은 두산그룹이 중앙대를 인수한 뒤 학과 통폐합 및 구조조정을 본격화하자, 이에 항의하여 학내 활동을 벌이다 퇴학 처분을 받았으며, 이후 중앙대 총학생회 측은 학생 사찰과 관련해 7월 27일에 두산그룹과 학교법인을 고소하였다.[74]

13. 학교 동문

중앙대학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동문들을 배출했다.

분야인물설명
정치 및 공직어준선기업인, 정치인
장제원정치인
정춘숙정치인
김남국정치인, 변호사
구윤철前 국무조정실장
권성동정치인
이백윤정치인, 노동운동가
이재명정치인, 202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후보
노웅래정치인
연예카오루 (피에스타)[14]가수
홍유경 (에이핑크)[15]가수
전소연 ((여자)아이들)[16]가수
주종혁 (파란)가수
김정훈 (유엔)가수
권유리 (소녀시대)[17]가수
루나 (

14. 역대 역임 교수


참조

[1] 웹사이트 ShanghaiRanking-Univiersities https://www.shanghai[...] 2023-09-15
[2] 웹사이트 Foundation of Chung-Ang Kindergarten Chung-Ang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6-03-12
[3] 웹사이트 Chung-Ang as a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 Chung-Ang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6-03-12
[4] 웹사이트 Chung-Ang as a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6-03-12
[5] 웹사이트 学校简介 中央大學校 https://web.archive.[...] 2016-03-12
[6] 웹사이트 https://www.cau.ac.k[...]
[7] 웹사이트 South Korean University Now Accepts Gamers as Student Athletes https://gizmodo.com/[...] 2014-03-19
[8] 웹사이트 This University Cares About What Truly Matters: Being Good At Gaming http://kotaku.com/th[...] 2014-03-19
[9] 웹사이트 http://ratio.uwayapp[...] 2016-03-12
[10] 웹사이트 http://ratio.uwayapp[...] 2016-03-12
[11] 뉴스 2013年大學評估中, POSTECH時隔五年再次問鼎 http://chinese.joins[...] Korea Joongang Daily 2017-10-07
[12] 웹사이트 Best film school in Korea https://m.newspim.co[...]
[13] 웹사이트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https://ch.cauhs.or.[...]
[14] 웹사이트 https://star.mt.co.k[...] 2015-12-24
[15] 웹사이트 https://n.news.naver[...] 2023-10-12
[16] 웹사이트 https://m.newsen.com[...] 2017-02-07
[17] 뉴스 http://star.mt.co.kr[...] StarNews 2016-02-15
[18] 웹사이트 https://n.news.naver[...] 2009-06-28
[19] 웹사이트 https://n.news.naver[...] 2008-10-05
[20] 뉴스 https://www.yna.co.k[...] Yonhap News 2018-11-10
[21] 웹사이트 https://www.mariecla[...] 2022-12-18
[22] 뉴스 Stars get B.A. degrees from ChungAng Univ. http://kpopherald.ko[...] The Korea Herald 2016-02-10
[23] 웹사이트 [INTERVIEW] Actor Choi Woo-shik https://www.asiae.co[...] 2011-03-09
[24] 웹사이트 Conflicting views of celebs on campus https://www.koreatim[...] 2014-02-03
[25] 웹사이트 https://www.nocutnew[...] 2009-02-10
[26] 웹사이트 Im Soo-hyang 'I am from the same year as Shin Se-kyung and Kim Soo-hyun but we are so busy' https://www.hancinem[...] 2011-07-24
[27] 웹사이트 Jang Na-ra to Finally Graduate from University http://english.chosu[...] 2010-02-12
[28] 웹사이트 Kim Beom - Park Shin-hye, We're Classmates, Jung Il-woo - Lee Tae-ran, Freshmen in 2008 https://www.hancinem[...] 2008-03-06
[29] 웹사이트 https://entertain.na[...] 2005-02-18
[30] 뉴스 https://entertain.na[...] 2018-11-08
[31] 웹사이트 [SBS Star] Kim Sae Ron Gets Accepted to University After Homeschooling https://news.sbs.co.[...] 2018-11-08
[32] 웹사이트 https://www.hankyung[...] 2012-05-02
[33] 뉴스 http://news.chosun.c[...] 2009-11-04
[34] 뉴스 http://www.spotvnews[...] 2019-02-13
[35] 웹사이트 Yeo Jin-goo accepted to Chung-Ang University http://kpopherald.ko[...] 2015-11-04
[36] 웹사이트 Yoon Eun-hye to go to grad school https://koreajoongan[...] 2022-12-24
[37] 뉴스 허동택 트리오, 코트에서 다시 뭉치나? 중앙대-기아자동차 전설들 모처럼 코트에 선다 http://jumpball.co.k[...] 2021-01-22
[38] 뉴스 빠른 세상 속 느릿한 울림, 두산베어스 유희관 동문 https://news.cau.ac.[...] Chung-Ang University 2015-01-28
[39] 뉴스 中央大学-PwCコンサルティング、産学協力MOU締結 2014-12-17
[40] 뉴스 “数え年28歳”女優チン・セヨン、9年目にして大学卒業を報告…女神ぶりはまるで新入生のよう https://www.wowkorea[...] エイアイエスイー 2021-08-25
[41] 웹인용 중앙대 역사 이념 및 역사 대학소개 - 중앙대학교 https://www.cau.ac.k[...] 2022-03-10
[42] 웹인용 전문교육기관으로 발전하는 중앙 http://www.cau.ac.kr[...] www.cau.ac.kr 2011-08-07
[43] 웹인용 임영신 교장과 중앙의 꿈 http://www.cau.ac.kr[...] www.cau.ac.kr 2011-08-07
[44] 웹인용 발전과 탄압의 시련 http://www.cau.ac.kr[...] www.cau.ac.kr 2011-08-07
[45] 웹인용 해방과 중앙의 역할 http://www.cau.ac.kr[...] www.cau.ac.kr 2011-08-07
[46] 웹인용 종합대학으로 승격 http://www.cau.ac.kr[...] www.cau.ac.kr 2011-08-07
[47] 웹인용 종합대학의 내실화 http://www.cau.ac.kr[...] www.cau.ac.kr 2011-08-07
[48] 웹인용 미래에 대한 포석 http://www.cau.ac.kr[...] www.cau.ac.kr 2011-08-07
[49] 웹인용 제2캠퍼스의 건설과 확장의 시련기 http://www.cau.ac.kr[...] www.cau.ac.kr 2011-08-07
[50] 웹인용 김희수 이사장의 취임과 새로운 전기 마련 http://www.cau.ac.kr[...] www.cau.ac.kr 2014-02-25
[51] 웹인용 새로운 중앙 건설을 위한 DRAGON 2018 수립 http://www.cau.ac.kr[...] www.cau.ac.kr 2014-02-25
[52] 웹인용 창조와 화합으로 개교 100주년을 향한 준비 http://www.cau.ac.kr[...] www.cau.ac.kr 2014-02-25
[53] 문서 이 때 하위 5%에게는 무조건 D학점을 준다.
[54] 뉴스 ‘중앙대 특혜 외압의혹’ 박범훈 전 수석 구속 https://news.naver.c[...]
[55] 웹인용 서울경제:'중앙대 비리' 박용성 전 이사장 검찰 출석 http://economy.hanko[...] 2015-10-07
[56] 뉴스 중앙대 인천캠퍼스 끝내 무산 http://www.kihoilbo.[...]
[57] 웹인용 졸업인정제 http://coe.cau.ac.kr[...]
[58] 웹인용 <영어과목 면제부터 졸업 요건까지, 지텔프 스피킹으로 가보자고!> 2022년도 중앙대학교 졸업인정제 https://blog.naver.c[...] 네이버 블로그 2022-06-15
[59] 뉴스 기능형 부총장제 도입 … 기능별로 선택과 집중한다 http://news.cauon.ne[...]
[60] 웹인용 중앙도서관 소개 http://library.cau.a[...]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2011-08-07
[61] 웹인용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캠퍼스맵 http://www.cau.ac.kr[...] 2011-08-07
[62] 뉴스 중앙대학교의 역사 http://news.cauon.ne[...]
[63] 뉴스 중앙대학교의 역사 http://news.cauon.ne[...]
[64] 뉴스 중앙대학교의 역사 http://news.cauon.ne[...]
[65] 뉴스 중앙대학교의 역사 http://news.cauon.ne[...]
[66] 웹인용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캠퍼스맵 http://www.cau.ac.kr[...] 2011-08-07
[67] 웹인용 중앙대학교의료원 역사 http://www.caumc.or.[...] 2011-08-07
[68] 웹인용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학교소개-학교연혁 http://www.cau.hs.kr[...] 2011-08-07
[69] 웹인용 “중앙대 졸업생 모교 학생회실에 방화”- 조선일보, 2007.04.27 http://news.chosun.c[...] 2011-10-13
[70] 뉴스 “박범훈 중대 총장 "조그만 토종이 감칠맛 있어"”- 오마이뉴스, 2009.2.23 http://media.daum.ne[...]
[71] 뉴스 “대학총장이 女제자에게 “조그만 게 감칠맛 있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2-26
[72] 뉴스 “재단·총장 비판 교지 회수 ‘시끌’… “학내 민주주의 위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11-30
[73] 뉴스 “중앙대, 교지발간 놓고 갈등” http://www.unn.net/N[...] 한국대학신문 2010-04-26
[74] 웹인용 총학 `사찰의혹' 두산·학교법인 고소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