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라프샨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라프샨강은 타지키스탄의 파미르-알라이 산맥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약 300km를 흐르며 펜지켄트를 지나 우즈베키스탄으로 들어가는 강이다. 사마르칸트, 나보이, 부하라를 지나 카라쿨 너머의 사막에서 소실되며, 과거에는 아무다리야강의 지류였으나 현재는 도달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의 강 - 나린강
나린 강은 키르기스스탄을 흐르는 강으로, 키치-나린, 온-아르차, 앗-바시, 카지르티, 알라-부가, 쾨키림, 쾨쾨메렌, 치치칸, 우즌-악마트, 카라-수우 등의 주요 지류를 거느리고 있다. - 우즈베키스탄의 강 - 시르다리야강
시르다리야강은 톈산산맥에서 발원하여 아랄해로 흘러드는 중앙아시아의 주요 강으로, 농업 관개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과도한 물 사용으로 아랄해 축소에 영향을 미쳤다. - 타지키스탄의 강 - 시르다리야강
시르다리야강은 톈산산맥에서 발원하여 아랄해로 흘러드는 중앙아시아의 주요 강으로, 농업 관개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과도한 물 사용으로 아랄해 축소에 영향을 미쳤다. - 타지키스탄의 강 - 바흐시강
바흐시강은 키르기스스탄에서 발원하여 타지키스탄을 거쳐 아프가니스탄에서 아무다리야강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타지키스탄 수력 발전의 핵심이며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제라프샨강 | |
---|---|
개요 | |
이름 | Zarafshon (영어) 자라프샨 강 제라프샨 강 |
다른 이름 | 다르요이 자라프숀 (타지크어) 자라프숀 (우즈베크어) |
어원 | '금을 뿌리는 자'를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Zar-afshân에서 유래함 |
지리 | |
발원지 | 제라프샨 빙하 |
발원지 좌표 | 39°30′N 70°35′E |
하구 | 코라콜 오아시스 |
국가 |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
길이 | 877km |
유역 면적 | 17,700km2 |
왼쪽 지류 | 판다리야, 크슈투트, 마기얀 |
도시 | 펜지켄트, 사마르칸트, 부하라 |
2. 지리
제라프샨강은 타지키스탄 파미르 고원 주변부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약 300km를 흘러 펜지켄트를 지나 우즈베키스탄으로 들어간다. 이후 서북서 방향으로 바뀌어 사마르칸트를 지나고, 나보이 북쪽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남서쪽으로 흐르며 부하라를 지난 후 코라쿨(카라쿨) 도시 너머의 사막에서 소실된다.[5] 과거에는 아무다리야강으로 유입되었으나[6], 현재는 아무다리야강에 도달하지 않는다.
2. 1. 발원지
제라프샨 빙하에서 발원하며, 타지키스탄의 투르케스탄 산맥과 제라프샨 산맥이 파미르-알라이 산맥에서 만나는 지점 근처에 있다.[5] 상류 지역에서는 "마차"라고도 불린다.[5]2. 2. 상류
제라프샨 빙하에서 발원하며, 타지키스탄의 투르케스탄 산맥과 제라프샨 산맥이 파미르-알라이 산맥에서 만나는 지점 근처에 위치한다. 판다리야와의 합류 지점 상류 지역은 "마차"라고도 불린다.[5]2. 3. 하류
판다리야와 합류한 후, 펜지켄트를 지나 우즈베키스탄으로 들어선다. 이후 서북서 방향으로 바뀌어 사마르칸트를 지나며, 이 도시를 관통하는 오아시스에 물을 공급하는 다르곰 운하가 있다. 나보이 북쪽에서 다시 서쪽으로 방향을 틀고, 남서쪽으로 흐르며 부하라를 지난 후 코라쿨(카라쿨) 도시 너머의 사막에서 소실된다.[5] 과거에는 아무다리야강으로 유입되었으나[6], 현재는 아무다리야강에 도달하지 않는다.3. 주요 도시
제라프샨강은 타지키스탄의 펜지켄트를 지나 우즈베키스탄으로 들어서면 사마르칸트, 나보이를 거쳐 부하라에 이르고, 카라쿨 너머 사막에서 소실된다.[5][6]
3. 1. 펜지켄트
제라프샨강은 상류 지역에서는 "마차"라고도 불리며, 서쪽으로 약 300km를 흘러 펜지켄트를 지난다.[5] 펜지켄트는 타지키스탄에 위치한 도시이다.3. 2. 사마르칸트
우즈베키스탄에서 제라프샨 강은 서북서 방향으로 바뀌어 전설적인 도시 사마르칸트를 지나며, 이 도시를 관통하는 오아시스에 물을 공급하는 다르곰 운하에 물을 공급한다.[5]3. 3. 나보이
나보이주의 주도인 나보이 북쪽에서 제라프샨강이 서쪽으로 방향을 틀고, 더 나아가 남서쪽으로 흐르며 관개에 영향을 미친다.[5]3. 4. 부하라
부하라를 지나 카라쿨 너머의 사막에서 소실된다. 과거에는 아무다리야강의 지류였으나[6], 현재는 아무다리야강에 도달하지 않으며, 아무다리야강의 지류는 아니다.4. 수계 변화
제라프샨 빙하에서 발원하며, 타지키스탄의 투르케스탄 산맥과 제라프샨 산맥이 파미르-알라이 산맥에서 만나는 지점 근처에 위치한다. 상류 지역에서는 "마차"라고도 불린다.[5] 이 강은 서쪽으로 약 300km를 흘러 펜자켄트를 지나 우즈베키스탄으로 들어선다. 우즈베키스탄에서 서북서 방향으로 바뀌어 사마르칸트를 지나며, 이 도시를 관통하는 오아시스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다르곰 운하에 물을 공급한다. 이후 나보이 북쪽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틀고, 남서쪽으로 흐르며 부하라를 지난 후 코라쿨(카라쿨) 너머의 사막에서 소실된다. 과거에는 아무다리야강의 지류였으나,[6] 현재는 아무다리야강에 도달하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Samarkand, Uzbekistan
http://earthobservat[...]
[2]
학술지
Assessment of the Toxic Metals Pollution of Soil and Sediment in Zarafshon Valley, Northwest Tajikistan (Part II)
2020-11-23
[3]
서적
Oxia Palus
[4]
백과사전
Зеравшан (река в Ср. Азии)
http://bse.sci-lib.c[...]
[5]
웹사이트
Third National Communication of the Republic of Tajikistan under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https://unfccc.int/r[...]
[6]
웹사이트
ゼラフシャン川
2024-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