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거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거니는 미국의 삽화가이자 작가로, 1958년 캘리포니아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고고학을 전공하고 아트 센터 칼리지 오브 디자인에서 삽화를 공부했으며, 1980년대부터 프리랜서 삽화가로 활동하며 과학 소설 및 판타지 소설 표지, 우표 도안 등을 제작했다. 특히, 《다이노토피아》 시리즈의 작가로 유명하며, 이 시리즈는 여러 상을 수상하고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거니는 미술 교육서도 저술했으며, 2012년 예술 갱신 센터에서 리빙 마스터로 추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트 센터 칼리지 오브 디자인 동문 - 마이크 시노다
마이크 시노다는 린킨 파크의 멤버로서 랩, 보컬, 키보드, 기타를 담당하며 밴드 음악에 큰 영향을 주었고, 포트 마이너 활동과 솔로 활동을 병행하며 앨범 아트워크, 의류 디자인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미국의 음악가, 랩퍼, 싱어송라이터, 프로듀서,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 아트 센터 칼리지 오브 디자인 동문 - 시드 미드
시드 미드는 《블레이드 러너》, 《트론》, 《에이리언 2》와 같은 SF 영화의 미래적인 디자인으로 유명한 미국의 산업 디자이너이자 시각 미래주의자로서, 자동차, 애니메이션, 게임 등 여러 분야에서 독창적인 비주얼 컨셉을 창조하여 영화 및 산업 디자인에 혁명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2003년 일러스트레이터 협회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미국의 삽화가 - 밥 길
밥 길은 플레처/포브스/길 디자인 스튜디오 설립에 참여하고 영화 제목 디자인, 잡지 삽화, 아동 도서 삽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뉴욕 아트 디렉터 클럽 명예의 전당 헌액 및 런던 디자이너 및 아트 디렉터 협회 평생 공로상을 수상한 미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저술가, 교육자이다. - 미국의 삽화가 - 윌리엄 월리스 덴슬로
윌리엄 월리스 덴슬로는 미국의 삽화가, 만화가, 아동 문학가로서, 특히 《오즈의 마법사》 삽화가로 알려졌으며, 시카고 만국 박람회 포스터 예술가로 시작해 로이크로프트 프레스에서 활동하며 아르누보 양식을 활용한 독창적인 화풍으로 시각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판타지 작가 - 루시어스 셰퍼드
루시어스 셰퍼드는 SF, 매직 리얼리즘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작품 활동을 했으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소설가이다. - 미국의 판타지 작가 - 레이 브래드버리
레이 브래드버리는 20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공상과학 소설가이자 단편 소설가, 시인, 극작가로서, 『화씨 451도』, 『화성 연대기』, 『민들레 와인』 등의 대표작을 통해 과학 기술, 인간 소외, 사회 문제, 향수와 추억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임스 거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58년 6월 14일 (65세) |
국적 | 미국 |
교육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문학 학사) |
추가 교육 | 아트 센터 칼리지 오브 디자인 |
직업 | 일러스트레이터, 소설가, 고생물 삽화가 |
웹사이트 | 제임스 거니 공식 웹사이트 |
2. 생애 및 교육
제임스 거니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고고학을 전공하고 인류학 학사 학위를 받으며 파이 베타 카파 명예 학생으로 선정되었다.[18][19] 이후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의 아트 센터 칼리지 오브 디자인에서 삽화를 전공했다.[19] 토머스 킨케이드와 함께 화물 열차로 전국을 여행한 뒤, 1982년에 ''미술가의 스케치 안내서''(The Artist’s Guide to Sketching)를 썼다.[19] 거니와 킨케이드는 랄프 바크시와 프랭크 프레제타가 공동 감독한 애니메이션 영화 ''불과 얼음''(Fire and Ice)의 배경 작화를 맡기도 했다.[19][20]
2. 1. 어린 시절 및 가족
제임스 거니는 1958년 6월 14일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에서 태어났다.[1] 기계 기술자인 아버지 로버트 거니와 어머니 조애나 거니 사이의 다섯 자녀 중 막내로, 캘리포니아주 팰로앨토에서 자랐다.[2][18] 어린 시절, 아버지의 작업장에서 일을 도우며 인형, 글라이더, 가면, 연 등을 만들었으며, 하워드 파일과 노먼 록웰의 책들을 통해 독학으로 그림을 배웠다.[18]어릴 적부터 공룡에 대한 관심이 많았고, 이는 고고학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집 뒷마당에서 화살촉이나 잃어버린 사원을 찾기 위해 땅을 파기도 했다.[1]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고고학을 전공하여 1979년에 인류학 학사 학위를 받고 파이 베타 카파 명예 학생으로 선정되었다.[19] 이후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의 아트 센터 칼리지 오브 디자인에서 두 학기 동안 삽화를 전공했다.[19] 아트센터 디자인 대학에서 만난 동료 예술가 재닛과 결혼하여, 뉴욕주 허드슨 계곡으로 이사하여 두 아들을 키웠다.[3][4]
2. 2. 교육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고고학을 전공하여 1979년에 인류학 학사 학위를 받고 파이 베타 카파 명예 학생으로 선정되었다.[1][18][19][20] 이후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의 아트 센터 칼리지 오브 디자인에서 두 학기 동안 삽화를 전공했다.[1][19][20]2. 3. 결혼 및 가족
거니는 아트 센터 칼리지 오브 디자인에서 스케치 파트너였던 동료 예술가 재닛을 만나 결혼했다.[3][4] 부부는 뉴욕주 허드슨 계곡으로 이사하여 두 아들을 키웠다.[4] 거니는 그림을 그릴 때 가족을 곁에 두는 것을 선호하여, 그림 테이블 근처에 놀이 공간을 마련했다.[5] 부부는 여전히 열렬한 야외 화가이며,[6] 허드슨 계곡의 작은 마을에 살고 있다.[4][7]3. 경력 및 작품 활동
제임스 거니는 1980년대부터 프리랜서 삽화가로 활동하며, 학술용 사실주의 화가들과 네덜란드 황금 시대 삽화가들과 비슷한 화풍으로 판타지 장면을 묘사하는 자신만의 특징을 발전시켰다. 70권 이상의 과학 소설 및 판타지 소설책 표지를 그렸으며, 미국 우정청을 위해 1996년의 ''공룡의 세계''(''The World of Dinosaurs'') 등 몇 장의 우표 도안을 만들었다.[21]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의뢰를 받아 고대 문명 복원, 그리스 신화 영웅 항해 묘사 등의 작업을 진행했다. 1992년에는 《다이노토피아: 공룡나라 여행》을 출간하여 휴고상 등 여러 상을 받고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이후 여러 후속작을 발표했다.
최근에는 미술 교육서인 《상상 리얼리즘 페인팅 기법》과 《컬러 앤 라이트》를 저술하여 미술가들에게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하고 있다.
3. 1. 초기 경력
거니는 1980년대부터 프리랜서 삽화가로 활동하며, 사실주의 화풍으로 판타지 장면을 묘사하는 특징을 발전시켰다. 70권 이상의 과학 소설 및 판타지 소설책 표지를 그렸다. 1982년, 토머스 킨케이드와 함께 《미술가의 스케치 안내서》(The Artist’s Guide to Sketching)를 썼으며, 랄프 바크시와 프랭크 프레제타가 공동 감독한 애니메이션 영화 《불과 얼음》의 배경 작화를 맡았다.[19][20]3. 2. 내셔널 지오그래픽 작업
1983년부터 거니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의뢰를 받아 모체, 쿠시, 에트루리아 문명을 복원하는 그림을 그렸다. 또한 팀 세버린이 실험 항해했던 그리스 신화 영웅 이아손과 오디세우스의 항해를 묘사하는 작업도 진행했다.[21]3. 3. 다이노토피아 시리즈
고고학적 재현 연구에서 영감을 받아 《폭포 도시》 (''Waterfall City'', 1988년)와 《공룡 행진》 (''Dinosaur Parade'', 1989년) 등 잃어버린 세계의 전경들을 그렸다.[21] 은퇴한 편집자 이언과 베티 볼란타인 부부의 지원을 받아, 2년 동안 《다이노토피아: 공룡나라 여행》의 글과 삽화를 맡아 1992년에 출간했다.[21] 이 책은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랐으며, 휴고상, 세계 판타지 문학상(World Fantasy Award), 체슬리상, 스펙트럼상, 콜로라도 어린이 도서상(Colorado Children’s Book awards)을 수상하였다. 1백만 부 이상이 팔렸으며 18개 언어로 번역되었다.[22]거니가 글과 삽화를 맡은 ''다이노토피아''의 후속작들로는 《다이노토피아: 지하 세계》 (''Dinotopia: The World Beneath'', 1995년), 《다이노토피아: 첫 비행》 (''Dinotopia: First Flight'', 1999년), 《다이노토피아: 찬다라 여행》 (''Dinotopia: Journey to Chandara'', 2007년)이 있다. ''다이노토피아'' 시리즈에 등장한 거니의 미술 작품들은 스미스소니언 협회의 국립 자연사 박물관, 노먼 록웰 박물관, 왕립 타이렐 박물관(Royal Tyrrell Museum)에 전시되었으며 현재는 미국과 유럽 곳곳의 미술관들을 거치는 순회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3. 4. 미술 교육 활동 및 기타
거니는 미술 교육서 《상상 리얼리즘 페인팅 기법(Imaginative Realism: How to Paint What Doesn't Exist, 2009년)[23][11]》과 《컬러 앤 라이트(Color and Light: A Guide for the Realist Painter, 2010년)[24][12]》를 저술했다. 이 책들은 그의 블로그에 기반하며, 사실주의 및 판타지 미술가들에게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한다.2012년 2월 21일, 예술 갱신 센터(Art Renewal Center)에서 리빙 마스터(Living Master)로 추대되었다.[13][14]
2014년, 공룡 ''Torvosaurus gurneyi''의 학명이 거니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25][15]
4. 한국과의 관계
1992년에 출간된 거니의 『다이노토피아 - 공룡국 표류기』는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랐으며, 휴고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 이 책은 100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 18개 언어로 번역되었는데, 한국어판도 출간되어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받았다. 『다이노토피아 지하 세계로의 모험』(1995), ''Dinotopia: First Flight'' (1999), ''Dinotopia: Journey to Chandara'' (2007) 등 후속작들도 한국어로 번역 출간되었다.[1]
거니의 작품은 과학적 상상력과 예술적 감수성을 동시에 자극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거니의 작품이 담고 있는 평화와 공존의 메시지에 주목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한다.[1]
참조
[1]
뉴스
Marvel at Dinotopia: The Fantastical Art of James Gurney
https://www.fosters.[...]
2024-02-19
[2]
간행물
Daring Deeds, Bold Dreams, in a Land Removed from Time
Smithsonian
1995-09
[3]
웹사이트
Gurney Journey: Meet Jeanette
https://gurneyjourne[...]
2024-09-06
[4]
웹사이트
James Gurney – U.S. Department of State
https://art.state.go[...]
2024-09-06
[5]
웹사이트
Gurney Journey: Art and Family
https://gurneyjourne[...]
2024-09-06
[6]
웹사이트
Facebook
https://m.facebook.c[...]
2024-09-06
[7]
웹사이트
A Visit with James and Jeanette Gurney
https://www.winsorki[...]
2024-09-06
[8]
간행물
Living with Dinosaurs: Inside the Mind of a Man Who Makes Fantasy Seem Real
Life
1992-10
[9]
논문
James Gurney: Artist and Author Extraordinaire (b. 1958)
[10]
간행물
Fact & Fantasy: The Paintings of James Gurney
American Artist
2006-11
[11]
서적
Imaginative Realism: How to Paint What Doesn't Exist
Andrews McMeel
2009-10-20
[12]
서적
Color and Light: A Guide for the Realist Painter
Andrews McMeel
2010-11-30
[13]
웹사이트
James Gurney: ARC Living Master
https://www.artrenew[...]
Art Renewal Center
[14]
웹사이트
Art Renewal Center
http://gurneyjourney[...]
2012-02-21
[15]
논문
"''Torvosaurus gurneyi'' n. sp., the Largest Terrestrial Predator from Europe, and a Proposed Terminology of the Maxilla Anatomy in Nonavian Theropods"
[16]
간행물
Daring Deeds, Bold Dreams, in a Land Removed from Time
Smithsonian
1995-09
[17]
간행물
Living with Dinosaurs: Inside the Mind of a Man who Makes Fantasy Seem Real
Life Magazine
1992-10
[18]
간행물
Daring Deeds, Bold Dreams, in a Land Removed from Time
Smithsonian
1995-09
[19]
간행물
Living with Dinosaurs: Inside the Mind of a Man who Makes Fantasy Seem Real
Life Magazine
1992-10
[20]
저널
James Gurney: Artist and Author Extraordinaire (b. 1958)
[21]
서적
다이노토피아: 공룡나라 여행
디자인하우스
1993
[22]
간행물
Fact & Fantasy: The Paintings of James Gurney
American Artist
2006-11
[23]
서적
상상 리얼리즘 페인팅 기법
비즈앤비즈
2015
[24]
서적
컬러앤 라이트
AWBooks
2015
[25]
저널
"''Torvosaurus gurneyi'' n. sp., the Largest Terrestrial Predator from Europe, and a Proposed Terminology of the Maxilla Anatomy in Nonavian Theropods"
http://www.plosone.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