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주 김녕굴과 만장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 김녕굴과 만장굴은 제주도 동북쪽에 위치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대표적인 동굴로, 원래 하나로 연결되어 있었으나 용암에 의해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만장굴은 총 연장 약 7.4km로 제주도에서 가장 크고 세계적으로도 큰 규모의 용암동굴이며, 김녕굴은 약 700m 길이의 S자형 용암동굴이다. 이들은 용암동굴의 형성과정을 연구하는 학술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일부 구간은 동굴 보호를 위해 공개 제한 지역으로 지정되어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출입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동굴 -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 제주특별자치도의 동굴 -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상류동굴군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상류동굴군은 웃산전굴, 북오름굴, 대림굴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자연환경 보존, 훼손 취약성, 생태계 복원 어려움, 안전사고 위험으로 일반인 출입이 제한되나, 학술 연구, 교육 목적, 안전 점검 등 특정 경우에 문화재청장의 승인 하에 예외적으로 공개되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의 중요한 부분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지 - 천제연폭포
    천제연폭포는 '하늘의 임금 연못'이라는 뜻을 지닌 서귀포시의 폭포로, 세 개의 폭포와 선녀 전설, 난대림, 곶자왈 지형이 어우러져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칠선녀 축제가 열리는 곳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지 - 천지연폭포
    천지연폭포는 서귀포시에 있는 높이 약 22m의 폭포로, 섬반천의 용천수를 수원으로 하며, 다양한 희귀식물이 서식하는 난대림과 천연기념물 담팔수 자생지가 있는 제주도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 대한민국의 동굴 - 천호동굴
    천호동굴은 대한민국에 위치한 동굴로, 석회 광산 개발로 훼손되어 익산시에 의해 영구 폐쇄 및 통제되고 있으며, 시민들의 알 권리 침해 논란이 있다.
  • 대한민국의 동굴 - 영월 고씨굴
    영월 고씨굴은 고씨 일가의 피난 설화가 전해지는 약 1.6km 길이의 석회암 동굴로, 다양한 종유석, 석순과 희귀 곤충이 서식하는 생태학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제주 김녕굴과 만장굴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동굴 내 세계에서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용암 기둥으로 높이가 7.6m(25')에 달한다. (2020)
동굴 내부, 세계에서 가장 큰 용암 기둥 (높이 7.6m, 2020년)
한국어 이름만장굴
한자만장굴(萬丈窟)
로마자 표기Manjanggul
면적1,434,534m²
유형천연기념물
지정 번호98
지정일1962년 12월 7일
주소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만장굴길 182
시대신생대
소유제주특별자치도 외
관리제주특별자치도
참고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지구과학기념물 / 천연동굴
웹사이트만장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문화재청16,00980000,50
길이8.928km (5½ miles)
상세 정보
설명제주도 김녕리 부근에 있는 용암 동굴. 김녕굴과 함께 천연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어 있다.
특징세계 최장의 용암 동굴 중 하나이다.
동굴 내부에는 다양한 용암 동굴 생성물이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용암 기둥이 있다.
세계유산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의 일부

2. 상세 정보

제주도 동북쪽에 있는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대표적인 동굴이다. 김녕굴과 만장굴은 원래 하나로 이어진 동굴이었으나, 동굴 내부를 흐르던 용암에 의해 중간 부분이 막히면서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6]

두 동굴 모두 용암동굴로서 내부 구조와 형태, 생성물 등의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학술적 가치는 물론 경관적 가치도 매우 큰 것으로 평가받는다.[6]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6]

현재 김녕굴 전체와 만장굴 일부 구간은 동굴 보호를 위해 공개 제한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관리 및 학술 목적 등으로 출입하려면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6]

2021년 7월 26일 문화재 명칭이 '제주 김녕굴 및 만장굴'에서 '제주 김녕굴과 만장굴'로 변경되었다.[6]

2. 1. 김녕굴

제주도 동북쪽에 있는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대표적인 동굴 중 하나이다. 원래 만장굴과 하나로 이어진 동굴이었으나, 동굴 내부를 흐르던 용암에 의해 중간 부분이 막히면서 분리된 것으로 보인다.[6]

김녕굴은 총 연장이 약 700m에 달하며, 만장굴 하류 끝에서 약 90m 떨어져 있는 S자형 용암동굴이다. 동굴의 높이는 12m, 폭은 4m에 이르며, 상류 끝 부분에는 높이 약 2m의 용암폭포가 발달해 있다.[6]

김녕굴은 만장굴과 함께 용암으로 이루어진 화산동굴로서, 화산동굴의 형성과정을 연구하는 학술자료로서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6] 현재 김녕굴은 동굴 보호를 위해 공개제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관리 및 학술 목적 등으로 출입하고자 할 때에는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6]

2. 2. 만장굴

만장굴은 제주도 동북쪽에 있는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대표적인 동굴 중 하나이다.[6] 원래 김녕굴과 하나로 이어진 동굴이었으나, 동굴 내부를 흐르던 용암에 의해 중간 부분이 막혀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6]

총 길이는 약 7.4km에 달하며, 최대 높이는 23m, 최대 폭은 18m이다. 구간에 따라 2층 또는 3층 구조가 발달해 있다. 이는 제주도에서 가장 큰 규모이며, 세계적으로도 큰 규모의 용암동굴에 속한다.[6]

용암동굴로서 드물게 동굴 내부의 구조와 형태, 동굴의 미지형, 동굴 생성물 등의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이로 인해 학술적 가치는 물론 경관적 가치도 매우 큰 동굴로 평가받고 있다.[6] 화산동굴의 형성과정을 연구하는 중요한 학술자료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6]

현재 만장굴의 일부 구간은 동굴 보호를 위해 공개 제한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관리 및 학술 목적 등으로 출입하려면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6]

3. 학술적 가치

제주 김녕굴과 만장굴은 용암동굴로서,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동굴의 형성과정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6]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6]

두 동굴은 제주도 동북쪽에 있는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대표적인 동굴이다. 원래는 하나의 긴 동굴이었으나, 동굴 내부를 흐르던 용암에 의해 중간 부분이 막히면서 현재와 같이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6] 이는 동굴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특히 만장굴은 총 길이가 약 7.4km에 달하고, 최대 높이는 23m, 최대 폭은 18m에 이르는 대규모 동굴이다. 제주도 내에서는 가장 크며, 세계적으로도 큰 규모에 속한다. 용암동굴로서는 드물게 동굴 내부의 다양한 구조와 형태, 미지형, 동굴 생성물 등이 매우 잘 보존되어 있어 학술적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경관적 가치도 뛰어나다.[6] 일부 구간에서는 2층 또는 3층 구조가 발달하여 용암동굴의 복잡한 형성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6]

김녕굴은 총 길이가 약 700m인 S자형 용암동굴로, 만장굴 하류 끝에서 약 90m 떨어져 있다. 동굴의 높이는 12m, 폭은 4m에 이르며, 상류 끝 부분에는 높이 약 2m의 용암폭포가 발달해 있어 용암의 흐름과 동굴 형성 과정을 보여주는 학술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6]

현재 김녕굴과 만장굴의 일부 구간은 동굴의 보존과 학술적 가치를 지키기 위해 공개가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관리나 학술 연구 목적으로 출입하려면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6]

4. 보존 및 관리

제주 김녕굴과 만장굴은 용암동굴이며, 화산동굴의 형성과정을 연구하는 학술자료로서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6]

현재 김녕굴과 만장굴 일부 구간은 동굴 보호를 위해 공개제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관리 및 학술 목적 등으로 출입하고자 할 때에는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6]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Manjanggul Lava Tube -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https://artsandcultu[...] 2023-12-11
[2] 웹사이트 Manjanggul Lava Tube [National Geopark] (만장굴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 VISITKOREA https://english.visi[...] 2023-12-11
[3] 웹사이트 Jeju's lava tubes are opening for the World Heritage Festival after 2 years of cancellations https://koreajoongan[...] 2023-12-11
[4] 웹사이트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https://whc.unesco.o[...] 2023-12-11
[5] 웹사이트 Manjanggul Lava Tube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https://www.visitjej[...] 2023-12-11
[6]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