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도는 신생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섬으로,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해 온대 기후를 보인다. 역사적으로 탐라, 탐라국 등으로 불렸으며, 1946년 제주도로 개칭되었다. 제주도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다양한 화산 지형과 오름, 용암 동굴, 곶자왈 등을 간직하고 있으며, 2007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또한, 2010년에는 제주도 전역이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다. 다양한 관광 명소와 특색 있는 음식으로 국내외 관광객의 방문이 잦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지질공원 -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은 지질학적, 생태학적, 문화적 가치가 뛰어난 지역을 보호하고 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정된 곳으로, 제주도, 강원평화지역, 울릉도·독도 등 전국에 16곳이 있다. - 대한민국 기후 정보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대한민국 기후 정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인 곳이다. - 대한민국의 생물권보전지역 - 금대봉
금대봉은 강원도 태백시에 있는 상함백산의 봉우리로, 한강의 발원지인 골지천이 발원하고 잣나무 수림과 고산 식물 군락을 이루며 산양 등이 서식한다. - 대한민국의 생물권보전지역 - 설악산
설악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하며, 대청봉을 중심으로 내설악, 외설악, 남설악으로 구분되고, 수려한 자연경관과 다양한 등산 코스를 제공하여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산이다.
제주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삼무도, 삼다도 ("세 가지 부족과 세 가지 풍요의 섬") |
위치 | 동아시아 |
좌표 | 33.38, 126.53 |
군도 | 제주 |
길이 | 73 km |
너비 | 31 km |
면적 | 1,826 km² |
최고봉 | 한라산 |
해발고도 | 1,950 m |
국가 | 대한민국 |
행정 구역 | 제주특별자치도 |
최대 도시 | 제주시 |
최대 도시 인구 | 501,791 명 |
인구 | 678,324 명 |
인구 기준 | 2022년 10월 |
인구 밀도 | 316 명/km² |
민족 | 제주인, 한국인 |
언어 | 제주어, 한국어 |
한국어 표기 | 제주도 |
한자 표기 | 濟州島 |
로마자 표기 | Jejudo |
일본어 표기 | さいしゅうとう |
일본어 표기(가타카나) | チェジュド |
영어 표기 | Jeju Island |
지리 | |
해역 | 황해, 동중국해, 동해 |
주변 섬 | 우도, 마라도, 가파도, 추자도, 차귀도, 비양도, 이어도 |
역사 | |
제주 4.3 사건 | 카라스도 모르는 제사 – 제주 4.3 사건을 서울이 애도한 날 |
관광 | |
관광객 수 | 한국인이 방문한 여행지, 제주·서울보다 오사카가 더 많다? |
관광 전략 | 한국 정부가 관광 전략 발표, 22년까지 방한 외국인 2,300만 명으로 확대 |
2. 역사
제주도는 역사적으로 도이, 동영주, 주호, 탐모라, 섭라, 탁라, 탐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유럽에는 켑파트(Quelpart)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네덜란드 배 이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7][8][9] 포르투갈 탐험가들은 이 섬을 "도둑의 섬"이라는 뜻의 "일랴 드 라드로네스"라고 불렀다.[14]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제주는 탐라라는 독립 왕국이었다. 삼성혈 전설에 따르면, 고, 양, 부 세 명의 시조가 기원전 24세기에 땅에서 솟아나와 탐라국을 세웠다고 한다.[16][17] 삼국 시대에는 백제와 신라에 조공을 하였고, 일본과도 독자적인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고려 시대에는 고려의 속국이 되었다가, 1404년 조선 태종 때 완전히 조선에 복속되었다.
1105년(고려 숙종 재위 기간) 탐라군으로 고려에 편입되었고,[70][69] 1214년에는 "제주"로 불리게 되었다.[70] 삼별초가 원나라에 저항하며 제주도를 마지막 거점으로 삼았으나 실패했고, 이후 원의 직할지가 되었다가 고려에 반환되었다.[70]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에 속했으며, 강화도와 함께 주요 유배지 중 하나였다. 광해군도 제주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71] 인조는 1629년에 제주도민의 본토 이주를 금지하는 출륙 금지령을 내렸는데, 이는 일제강점기인 1923년에 해제되었다.[72]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제국의 통치를 받았으며, 1915년에 "제주도"로 개칭되었다.[69] 1922년에는 오사카를 잇는 직행선이 취항하면서 많은 제주도민이 일본으로 건너갔다.[74]
1945년 해방 이후, 미군정과 인민위원회의 대립 속에서 1948년 제주 4·3 사건이 발생했다. 남조선노동당의 봉기와 이승만 정부의 진압 과정에서 최소 3만 명의 제주도민이 희생되었다.[19]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위원회는 이를 대량학살로 규정했다.[19]
2006년에는 제주특별자치도로 명칭이 변경되었다.[69] 제주도민들은 4·3 사건의 아픔을 딛고 진상 규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 진보 성향 정당의 주요 지지 기반 중 하나이다.[75]
2. 1. 형성 과정 및 자연사
화산섬 제주는 신생대 제3기말 플라이오세에서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에 걸친 화산활동의 결과로 형성되었다. 신생대 제3기말 플라이오세에 기저를 구성하고 있는 현무암이 해상에서 분출된 이후, 신생대 제4기(120만 년 전~25,000년 전) 동안 계속적인 화산활동으로 성산층, 화순층, 신양리층 등의 퇴적암층과 현무암, 조면암질, 안산암, 조면암 등의 화산암류, 그리고 후화산 작용에 따르는 각종 화산쇄설물 등으로 제주도가 형성되었다.제주에서의 화산활동은 크게 5회의 분출 단계로 구분되고 있으며, 110회 이상의 용암분출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98]
제주도의 형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28][33]
시기 | 내용 |
---|---|
약 200만 년 전 |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되었다. |
약 120만 년 전 | 해저 아래에 마그마 방(magma chamber)이 형성되어 분출을 시작했다. |
약 70만 년 전 | 화산 활동을 통해 섬이 형성되었다. 그 후 약 10만 년 동안 화산 활동은 멈췄다. |
약 30만 년 전 | 해안선을 따라 화산 활동이 재개되었다. |
약 10만 년 전 | 화산 활동으로 한라산이 형성되었다. |
약 2만 5천 년 전 | 한라산 주변의 측면 분출(lateral eruption)로 인해 여러 오름(주 분화구의 측면에 있는 작은 측화산 콘)이 남았다. |
이후 | 화산 활동이 멈추고 장기간의 풍화와 침식이 섬의 형태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 |
2. 2. 전설과 신화
설문대할망 전설은 제주도를 만들었다는 거대한 여신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와 관련된 주요 전설은 다음과 같다.- 설문대할망: 제주도를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거대한 여신이다.
- 산방산: 원래 한라산 꼭대기에 있었으나 뽑혀서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는 전설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별도의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종상 화산이다.
- 영실기암: 영주 10경 중 하나로, 기암괴석이 많은 곳이다. 설문대할망의 500명의 아들, 즉 오백장군이라고도 불린다.
- 이어도: 제주도 전설에서 유토피아로 묘사되는 섬이다. 1990년대 이후 제주도민들은 현재의 이어도를 전설 속 이어도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 백록담 : 한라산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구호(호수)이다.
- 용두암: 제주시 해안가에 있는 용암이 굳어 만들어진 바위이다. 바다 속에 잠긴 부분까지 포함하면 약 40m 정도의 바위가 용 모양을 하고 있다.
- 삼성혈: 고을나, 양을나, 부을나 삼신이 솟아난 곳이라고 전해진다.

제주도에는 “삼성신화”라는 건국 신화가 있다. 『고려사』, 『세종실록 지리지』 등에 따르면, 태고의 제주(영주)에는 사람이 살지 않았는데, 고을나, 양(梁), 부(夫) 세 형제 신인이 나타났다.[67] 이들은 어느 날 한라산에서 동쪽에서 떠내려오는 나무 상자를 발견했는데,[67] 그 안에는 붉은 띠에 보라색 옷을 입은 사자와 아름다운 세 공주, 망아지, 송아지, 오곡이 들어 있었다. 벽랑국(碧浪國)에서 온 이들이었는데, 『고려사』, 『남차록』, 『탐라지』는 벽랑국을 일본국으로 기록하고 있다.[64][65][66] 세 신인은 이들을 아내로 맞이하고, 나이 순서대로 거처를 정해 살았다. 이후 자손들은 농업과 오곡 재배를 시작하여 마을을 이루었고, 약 900년 후 고(高)씨를 왕으로 추대하여 “탐라”라는 왕국을 세웠다.[67]
2. 3. 탐라국 시대
제주도는 신석기 시대 초기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탐라의 건국이나 초기 역사에 대한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다. 전설에 따르면 고( 고|高한국어), 양( 양|梁한국어), 부( 부|夫한국어) 세 명의 신적인 건국 시조가 기원전 24세기에 땅에서 세 개의 구멍에서 나왔다고 한다. 삼성혈( 삼성혈|三姓穴한국어)로 알려진 이 구멍들은 현재도 제주시에 보존되어 있다.[16][17]삼국지에 나타나는 3세기의 주호를 제주도 사람(탐라 민족)으로 비정하는 설이 있다. 그 후, 탐라국이 성립하고, 4세기 무렵에는 백제에 조공하였다.
신라의 한반도 통일 이후에는 주로 신라에 조공하였지만, 일본에도 조공을 하였고, 일본으로부터도 사절이 파견되는 등 독자적인 외교를 하였다(견탐라사).
『삼국지』『후한서』에 따르면, 탐라국의 언어는 한과는 언어가 달랐다고 서술하고 있다.[68]
서기 938년까지 이 섬은 '섬나라'를 뜻하는 탐라라는 독립 왕국이었으며, 고려 고려 시대에 고려의 속국이 되었다. 1330년 4월, 원나라의 정치적 숙청 중에 토곤 테무르는 당시 고려의 속국이었던 이 외딴 섬으로 유배되었다.[18] 1404년 조선 태종은 이 섬을 중앙의 엄격한 통제하에 두고 탐라 왕국을 멸망시켰다.
2. 4. 고려 시대
고려 시대 1105년 숙종 재위 기간에 탐라군(耽羅郡)으로 직할령으로 편입되어 탐라는 독립국 지위를 잃게 되었다.[70][69] 1214년 고종 재위 기간에는 “바다 건너편 큰 고을”이라는 뜻에서 “제주(濟州)”라고 불리게 되었다.[70]원에 저항했던 삼별초의 잔당은 제주도를 마지막 거점으로 삼아 저항했다. 그러나 1273년 원·고려 연합군에 의해 반란이 진압되었고, 제주도는 원의 직할지로 편입되었다. 조인규의 협상으로 1294년 고려에 반환된 후에도 도적, 왕족과 관리, 승려 등 유배(流刑)된 “죄인”들의 유배지로 이용되었다.[70]
원이 제주에 목장을 설치했기 때문에 이후 제주는 말의 산지가 되었고, 원에서 이주한 사람들과 그 후손들은 목자(牧子)라고 불렸다.
1330년 4월, 원나라의 정치적 숙청 중에 토곤 테무르는 당시 고려의 속국이었던 이 섬으로 유배되었다.[18]
2. 5. 조선 시대
조선 태종은 1404년에 탐라국을 멸망시키고 이 섬을 중앙의 엄격한 통제하에 두었다.[18] 1392년부터 시작된 조선왕조 시대에는 조선팔도 중 하나인 전라도에 포함되어 제주도가 되었고, 완전히 중앙 정부의 지휘를 받는 행정 구역이 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강화도와 함께 유배지 중 하나였으며, 주로 정쟁에서 패한 왕족이나 양반이 유배되었다. 고려 시대보다 유배지로 본격적으로 이용되었으며, 왕족이나 외척, 양반과 학자, 도둑, 국경을 넘으려던 자 등 다양한 죄인들이 보내졌다.[70] 수도 한양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보내질수록 죄가 무겁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가장 먼 유배지로 이용되었다. 제15대 조선왕인 광해군도 유배를 받아 제주도에서 사망하였다.[71]인조는 1629년에 제주도 주민의 본토 이주를 금지하는 출륙 금지령을 내렸다. 이는 일본 통치 시대인 1923년에 해제되었다.[72] 1653년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선원 헨드릭 하멜(Hendrick Hamel) 등이 탑승한 "데 스페르베르"(De Sperwer)호가 표착하였다.
15세기 제주에는 배에 거주하며 해산물을 채취하는 해민이 존재했고, 본토 해안까지 나가는 자들도 있었으며, 일부는 해적화되었다.[73]
19세기 후반에는 일본 어선의 섬 주변 해역 진출과 이에 따른 어민 간의 충돌이 일·조 간의 정치 문제가 되었다(조선어업).
1896년에는 전라도의 남북 분할에 따라 제주도는 전라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2. 6. 일제강점기
1910년 대한제국 병합으로 일본 제국의 영토가 되어 1945년까지 조선총독부에 의해 통치되었다.[15]1915년, "제주"에서 '''제주도'''로 개칭되었다.[69]
1922년 오사카를 잇는 직행선 “기미가요마루”가 취항하였다. 기미가요마루 취항 후, 많은 섬 주민이 일본 내지로 건너가 이가이노 주변에 생노 코리아타운의 원형이 만들어졌다.[74]
1923년, 조선 인조에 의해 1629년부터 시행되었던 제주도 주민의 섬 밖 출륙 금지령이 해제되었다.[70]
2. 7. 해방 이후와 제주 4.3 사건
1945년 일본의 항복 후, 연합국 점령군의 도착이 한반도 본토에 비해 늦었던 제주도는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제주도 지부를 기원으로 하는 인민위원회가 통치를 담당했다. 1946년에는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어 제주도가 되었다.[69]그러나, 정책을 둘러싸고 인민위원회와 미군정청은 1947년부터 대립을 심화시켰다. 1948년 4월 3일, 조선의 남북 분단을 고정시킨다는 이유로, 남한 단독 총선거 실시에 반대하는 과정에서 제주 4·3 사건이 발생하여, 최소 3만 명의 도민이 남조선국방경비대 및 그 후신인 대한민국 국군, 서북청년회 등 민간 우익 세력, 이승만 지지파 한국인들에 의해 학살당했다.[19] 이 사건은 한국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제주도민 스스로 미래의 행방을 결정하려는 운동을 북측의 개입으로 간주하여 남측 군부와 자경단이 진압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주도는 대한민국에 편입되었다.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위원회는 이 사건을 대량학살로 규정했다. 위원회는 봉기 중 사망한 14,373명을 확인했는데, 그중 86%는 보안군에 의해, 14%는 반군에 의해 사망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사망자 수를 약 3만 명으로 추산했다.[19] 다른 자료에서는 사망자 수가 8만 명에서 10만 명에 이른다고 추산하기도 한다.[20][21] 1990년대 중반까지는 제주 4·3 사건을 언급하는 행위에 대해 남한 정부로부터 구타, 고문, 가혹한 징역형의 처벌을 받았다. 그 후 남한 정부는 마침내 제주 4·3 사건이 발생했음을 인정했다.[22] 4·3사건으로 무관한 도민을 포함해 3만 명이 희생되었다.[75] 따라서 당시 일본으로 밀항한 재일 한국·조선인의 출신지로 제주도 출신자가 많았다.[76][77]
2. 8. 대한민국 시대와 제주특별자치도
1948년 4월부터 1949년 5월까지 제주 4·3 사건이 발생하여 약 3만 명이 사망하고 4만 명이 일본으로 피난했다. 남조선노동당은 1948년 4월 정부에 반란을 일으켰고, 이는 이승만 정권의 미국의 지원을 받은 남한 정부에 의해 잔혹하게 진압되었다. 2003년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위원회는 이 사건을 대량학살로 규정했다. 위원회는 봉기 중 사망한 14,373명을 확인했는데, 그중 86%는 보안군에 의해, 14%는 반군에 의해 사망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사망자 수를 약 3만 명으로 추산했다.[19] 다른 자료에서는 사망자 수가 8만 명에서 10만 명에 이른다고 추산하기도 한다.[20][21] 1990년대 중반까지는 제주 4·3 사건을 언급하는 행위에 대해 남한 정부로부터 구타, 고문, 가혹한 징역형의 처벌을 받았다. 그 후 남한 정부는 마침내 제주 4·3 사건이 발생했음을 인정했다.[22]
2006년 7월 1일에 현재 명칭인 “제주특별자치도”로 변경되었다.[69] 제주도 주민 대다수가 자신 또는 친족이 4·3 사건의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현재 4·3 사건의 진상 규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 진보 성향 정당의 기반 중 하나이다.[75]
2018년에는 예멘에서 제주도에 온 561명 중 552명이 난민 신청을 하자 반대 여론이 들끓었다. 한국 국민들은 정부에 난민 거부를 요구하는 청원에, 2017년 대한민국 대통령실이 청원 사이트를 개설한 이후 최다인 약 70만 건이 넘는 서명이 모였다. 이후 서울에서도 반대 집회가 열리는 등 논란이 되고 있다(후술).[79][80]
3. 지리
제주도는 한국 최남단[47]에 위치한 타원형의 화산섬이며, 한국에서 가장 넓은 섬[48]이다. 섬의 중앙에는 해발 1947m의 한라산(漢拏山)이 솟아 있다. 섬의 동서 길이는 약 73km, 남북 길이는 약 41km이다.[23]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섬 안과 해안에는 360개 이상의 오름이 형성되어 있다.[51] 암석은 주로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주도의 약 12%(224km2)는 곶자왈이라고 불리는 지역이다.[29] 곶자왈은 숲을 의미하는 제주 방언으로, '아아 용암' 지대여서 농업 개발이 어려워 21세기까지 경작되지 않고 원시 상태로 남아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30] 곶자왈 숲은 빗물이 숲 아래 아아 용암의 갈라진 틈을 통해 대수층으로 직접 스며들어 지하수의 주요 공급원이 되며, 섬 주민들의 중요한 식수원이 된다.[31] 일부 연구자들은 곶자왈 숲을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간주하지만,[31] 아직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지는 않았다.[32]
행정 구역으로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주시가 섬의 북쪽 절반을, 서귀포시가 남쪽 절반을 관할하고 있다. 제주도는 일본과도 가까워, 가장 가까운 나가사키현(長崎県)의 고토 열도(五島列島)까지 약 180km 거리에 있다.
3. 1. 지질
제주도는 신생대 제3기말 플라이오세에서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에 걸친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섬이다. 신생대 제3기말 플라이오세에 해상에서 분출된 현무암이 기저를 이루고 있으며, 이후 신생대 제4기(120만 년 전~25,000년 전) 동안 화산활동이 계속되면서 성산층, 화순층, 신양리층 등의 퇴적암층과 현무암, 조면암질, 안산암, 조면암 등의 화산암류, 그리고 후화산 작용에 따르는 각종 화산쇄설물 등으로 형성되었다.[98]제주도의 화산활동은 크게 5회의 분출 단계로 구분되며, 110회 이상의 용암분출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98] 특히 제주도 면적의 90% 이상을 덮고 있는 현무암은 섬 전체에 걸쳐 '돌이 많은' 특징을 나타낸다. 이 현무암은 구멍이 많고 점착성이 있으며 검은 빛깔을 띠는데, 가옥이나 담장 등에 많이 사용된다. 360여 개에 달하는 측화산(기생화산)은 성산층 및 화순층 퇴적기에 형성된 것과 최후의 후화산활동의 산물인 제5분출기에 속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남부 해변에서는 주상절리대를 관찰할 수 있다.[104] 제주도 지역 제4기 화산암 마그마의 발생 심도는 약 150~250 km로 추정된다.[105]
제주도의 지질은 주로 감람석현무암으로 구성되며, 그 외에 조면암, 조면암질안산암, 응회암 및 화성쇄설층이 있다. 제주도의 지하수는 육지의 물이 지하로 스며들어 하부의 불투수층(치밀질암석 및 점토층)을 만나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고 고이거나, 불투수층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기저로 유입되어 해안가에서 용출된다. 제주도에서는 185개소 이상의 용출수가 해안을 따라 발달한다.[106]
제주도는 약 200만 년 전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화산 폭발로 형성되었으며,[28] 주로 현무암과 용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섬의 중앙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인 한라산이 있다. 섬의 동서 길이는 약 73km, 남북 길이는 약 41km이다.[23]
제주도에는 약 360개의 오름(소규모 사화산 또는 측화산)이 있다.[24]
제주도 형성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약 200만 년 전: 화산 활동 시작.[28]
- 약 120만 년 전: 해저 마그마 방 형성 및 분출 시작.
- 약 70만 년 전: 섬 형성, 이후 약 10만 년간 화산 활동 중단.
- 약 30만 년 전: 해안선을 따라 화산 활동 재개.
- 약 10만 년 전: 한라산 형성.
- 약 2만 5천 년 전: 한라산 주변 측면 분출로 오름 형성.
- 화산 활동 중단, 풍화와 침식 작용으로 현재의 섬 형태 형성.[33]
3. 2. 지형

제주도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산섬이다. 화산 활동으로 생긴 기생 화산인 오름, 주상 절리, 용암 동굴, 현무암 지대 등을 많이 보존하고 있다. 주봉인 한라산을 중심으로 하여 동서사면은 매우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남북 방향에서는 약간 급한 사면을 갖는다.
용암이 흐르다가 차가운 공기, 바닷물과 만나 부피가 줄어들고 고체로 굳어지면서 오각형, 육각형 모양의 돌기둥이 되었다.
용암 동굴은 굳은 용암의 표면 아래에 생긴 동굴로, 용암의 표면이 굳은 뒤 내부 용암이 빠져나가면서 만들어진다. 제주도에 있는 대표적인 동굴로는 만장굴이 있는데 이는 한라산에 의해 생긴 것이 아니라 거문오름에 의해 생긴 용암동굴계의 일부이다.
제주도는 한라산이라는 화산이 지배적인 화산섬이다. 한라산은 높이 1947m의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23] 섬의 동서 길이는 약 73km, 남북 길이는 약 41km이다.[23] 또한 제주도에는 약 360개의 오름이 있는데, 이는 소규모의 사화산 또는 측화산이다.[24] 이 중 많은 곳이 거문오름[25], 용눈이오름[26], 금오름[27]과 같이 인기 있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
이 섬은 약 200만 년 전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화산 폭발로 형성되었다.[28] 섬은 주로 현무암과 용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도의 약 12%(224km2)에 해당하는 지역은 곶자왈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숲을 의미하는 제주 방언이다.[29] 이 지역은 '아아 용암' 지대여서 농업 개발이 어려워 21세기까지 경작되지 않았다. 오랫동안 원시 상태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30]
곶자왈 숲은 지하수의 주요 공급원이며, 따라서 섬에 사는 50만 명의 주민들에게 중요한 물 공급원이 된다. 이는 빗물이 숲 아래 아아 용암의 갈라진 틈을 통해 대수층으로 직접 스며들기 때문이다. 일부 연구자들은 곶자왈 숲이 독특한 식물 종의 서식지이며 주민들의 주요 식수원이기 때문에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간주하지만,[31] 아직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지는 않았다.[32]
섬 안에는 화산 활동에 기인한 지형이 많이 남아 있으며, 다음 3곳이 "제주의 화산섬과 용암동굴"로 200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3. 3. 한라산
한라산은 거대한 화산 폭발로 바다에서 뜨거운 용암이 솟구쳐 올라와 만들어졌으며, 가장 크게 솟구친 분화구가 있다.[23] 한라산은 높이 1947m의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3. 4. 부속 도서
기생 화산의 활동으로 제주도 주변에 크고 작은 섬들이 생겨났다.섬 이름 | 행정구역 | 면적 | 인구 (2016년 말 기준) | 비고 |
---|---|---|---|---|
추자도 | 제주시 추자면 | 7.05km2 | 1,906명 | 군도(群島), 제주특별자치도 최북단, 4개 유인도와 38개 무인도 |
우도 | 제주시 우도면 | 6.18km2 | 1,788명 | 제주도 부속도서 중 가장 큼 |
가파도 |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 0.9km2 | 223명 | [107] |
마라도 |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리 | 0.3km2 | 126명 | 대한민국 육지 최남단[107] |
비양도 |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 0.52km2 | 160명 | |
차귀도 | 제주시 한경면 | 무인도 | ||
형제섬 | 서귀포시 안덕면 | 무인도 | ||
관탈도 | 제주시 추자면 | 무인도, 추자도와 제주도 사이 제주해협 위치 | ||
범섬 | 무인도, 서귀포항 인근 남쪽 바다 | |||
숲섬 | 무인도, 범섬 부근 |
4. 기후
제주도는 한국 최남단에 위치하고 근해에 난류가 흘러 온대 기후를 보인다. 연중 온난하여 제주시 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16.2°C이며, 서귀포시 지역은 이보다 더 높은 16.9°C로 한국에서 가장 연교차가 적은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연강수량은 북제주지방 1,500~1,600mm, 남제주지방 1,600~1,800mm로 한국 최다우지에 속한다. 해발 200m 이하 해안 저지대에는 눈이 잘 쌓이지 않지만, 1000m 이상 한라산 부근에는 많은 눈이 내려 5월까지도 잔설이 남아 있기도 하다. 제주도는 바람이 연중 강하게 불며, 특히 겨울철에는 10m/s를 넘는 강풍이 자주 분다.
제주도 대부분 지역은 온난 습윤 기후(쾨펜 기후 분류에서 ''Cfa'')에 속하며, 뚜렷한 사계절을 보인다. 겨울은 서늘하고 강수량이 적당하며, 여름은 덥고 습하며 강수량이 매우 많다.
제주시를 포함한 섬 북부 지역은 대륙계 계절풍의 영향으로 남부 지역보다 겨울철 기온이 더 낮다. 섬 서쪽에 위치한 고산리는 제주도에서 연평균 강수량이 가장 적은 지역이다. 추자도는 한국 본토와 제주도 사이에 있는 군도이며, 역시 온난 습윤 기후(Cfa)를 보인다.
서귀포시를 포함한 섬 남부 지역은 섬 중앙에 있는 한라산이 대륙계 계절풍을 차단하여 제주시보다 겨울철 기온이 상대적으로 따뜻하다. 서귀포시 시내는 한국 본토와 비교해도 1월 평균기온이 가장 높다. 섬 남동쪽에 위치한 성산읍은 동아시아 계절풍과 쓰시마 난류의 영향을 직접 받아 연간 강수량이 매우 많다. 서귀포시는 한국에서 연간 강수량이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
한라산이 있는 섬 중앙 고지대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평균 기온이 낮아지고 기후가 더 추워진다. 제주도 고지대는 한국에서 연간 강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제주도 주변에는 쓰시마 난류가 흘러 겨울 추위가 심한 한국 대륙성 기후에 비해 기후가 가장 온화하다. 이러한 기후를 이용하여 한국에서 유일하게 밀감을 생산한다.
하지만 겨울에는 한반도와 마찬가지로 북서계절풍 영향과 한라산이 섬 중앙에 솟아 있는 지형적 요인으로 바람이 매우 강하고 섬 남북 기온 차가 크다. 한라산 북쪽에 위치한 제주시는 도쿄와 비슷한 추위를 보이며 제법 많은 눈이 내리기도 한다. 반면 남쪽에 위치한 서귀포시는 더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 제주시 극값
- * 최고 기온: 37.5°C (1942년 7월 25일)
- * 최저 기온: -6°C (1977년 2월 16일)
- * 최심 적설: 21.5cm (1959년 1월 18일)
- 서귀포시 극값
- * 최고 기온: 35.9°C (1966년 8월 3일)
- * 최저 기온: -6.3°C (1977년 2월 16일)
- * 최심 적설: 37.8cm (1963년 1월 25일)
5. 생태계
제주도의 생태계는 한라산의 고도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인다. 제주도는 한라산이라는 화산이 지배적인 화산섬이다. 한라산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높이는 1947m이다.[23] 섬의 동서 길이는 약 73km, 남북 길이는 약 41km이다.[23] 또한 제주도에는 약 360개의 오름이 있는데, 이는 소규모의 사화산 또는 측화산이다.[24] 거문오름[25], 용눈이오름[26], 금오름[27] 등은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이 섬은 약 200만 년 전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화산 폭발로 형성되었으며,[28] 주로 현무암과 용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곶자왈은 숲을 의미하는 제주 방언으로, 제주도 면적의 약 12%(224km2)를 차지한다.[29] 이 지역은 '아아 용암' 지대여서 농업 개발이 어려워 21세기까지 경작되지 않고 오랫동안 원시 상태로 남아있어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30]
곶자왈 숲은 지하수의 주요 공급원으로, 빗물이 숲 아래 아아 용암의 갈라진 틈을 통해 대수층으로 직접 스며들기 때문에 섬 주민들에게 중요한 물 공급원이 된다. 일부 연구자들은 곶자왈 숲이 독특한 식물 종의 서식지이며 주민들의 주요 식수원이기 때문에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간주하지만,[31] 아직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지는 않았다.[32]
5. 1. 식생
제주도의 생태계는 한라산의 고도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인다. 식물 분포는 아열대·온대·한대식물 등 3대에 걸쳐 수직으로 분포한다. 제주도의 해안 지역은 연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영상의 기온을 유지하는 아열대성 기후가 나타나며, 비자나무, 동백나무, 너도밤나무와 같은 상록 활엽수의 자생지가 있다. 워싱턴 야자수, 소철과 같이 대한민국의 다른 지역에서는 야외에서 거의 제대로 기르기 힘든 외래종도 잘 자란다. 제주도의 중산간 일대에는 넓은 초지가 있어 예로부터 말을 방목하였다. 한라산 정상까지 높이 올라갈수록 벚나무 자생 군락과 같은 낙엽 활엽수와 산철쭉과 같은 관목림 지역, 그리고 구상나무와 같은 침엽수림 지역이 차례로 나타난다.
섬 내부의 생물지리학적 지역은 주로 고산 침엽수림, 온대활엽수림, 난온대 상록 활엽수림, 온대 초원의 4가지 생태계로 나뉜다. 섬과 주변 해역에는 멸종위기종 생물이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134종의 한국 고유종 식물과 103종의 동물이 섬에 분포하고 있다. 134종의 한국 고유종 식물 중 90종이 제주도 고유종 식물이며, 특히 한라산 정상 일대에는 28종의 한국 또는 제주 고유종 식물이 분포한다. 특징적인 동식물로는 벵골고양이, 흰동가리, 등줄쥐, Hynobius quelpaertensis|제주산개구리영어, 원앙, Mankyua|만큐아영어 및 토종 말의 제주마|제주마한국어, 섬 연안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57] 등이 있다. 바다표범, 검은머리갈매기, 팔색조, 독수리, 매, 검독수리, 말똥가리, 산솔새, 바다거북, Boreal digging frog|두꺼비개구리영어, 산작약, Isoetes sinensis|애기물꼬리영어 등의 멸종위기종 동식물도 서식한다.[58][59][60][61]
제주도는 2002년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58], 물영아리오름[59], 물장오리오름[60], 해발1100고지습지[62], 돈내코동백동산습지[61], 숨은물벵뒤[63]의 5곳의 습지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었다.
5. 2. 동물
다양한 식물 분포에 비해 동물의 분포는 매우 빈약하다. 제주도에는 예로부터 맹금이나 맹수가 없고 노루나 제주족제비가 있었다. 조류는 제주 특유의 제주딱다구리·박새·곤줄박이 등 50여 종에 달한다. 제주도에는 원래 까마귀가 많고 까치는 없었으나, 1989년 일간스포츠신문사가 50여 마리를 방사하여 그 수가 크게 늘었다. 외래종인 까치의 개체 수 증가는 제주도 생태계 교란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북방산개구리도 서식한다.섬 내부의 생물지리학적 지역은 주로 고산 침엽수림, 온대활엽수림, 난온대 상록 활엽수림, 온대초원의 4가지 생태계로 나뉜다. 섬과 주변 해역에는 멸종위기종 생물이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134종의 한국 고유종 식물과 103종의 동물이 섬에 분포하고 있다. 134종의 한국 고유종 식물 중 90종이 제주도 고유종 식물이며, 특히 한라산 정상 일대에는 28종의 한국 또는 제주 고유종 식물이 분포한다. 특징적인 동식물로는 벵골고양이, 흰동가리, 등줄쥐, Hynobius quelpaertensis|제주산개구리영어, 원앙, Mankyua|만큐아영어 및 토종 말의 제주마|제주마한국어, 섬 연안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57] 등이 있으며, 바다표범, 검은머리갈매기, 팔색조, 독수리, 매, 검독수리, 말똥가리, 산솔새, 바다거북, Boreal digging frog|두꺼비개구리영어, 산작약, Isoetes sinensis|애기물꼬리영어 등의 멸종위기종 동식물도 서식한다[58][59][60][61].
제주도는 2002년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58], 물영아리오름[59], 물장오리오름[60], 해발1100고지습지[62], 돈내코동백동산습지[61], 숨은물벵뒤[63]의 5곳의 습지는 람사르협약에 등록되었다.
6. 곶자왈
제주도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평면적으로는 타원형의, 입체적으로는 원추형의 모습을 띈 용암류로 뒤덮인 화산섬이다. 이러한 지표의 용암층 위에 식물과 생태계가 독특한 생태환경을 일궈나간 화산섬으로, 제주어로는 곶자왈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실상은 잡목과 잡풀이 우거진 맹지이다.
제주도의 약 12%(224km2)에 해당하는 지역은 곶자왈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숲을 의미하는 제주 방언이다.[29] 이 지역은 '아아 용암' 지대여서 농업 개발이 어려워 21세기까지 경작되지 않았다. 오랫동안 원시 상태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30]
곶자왈 숲은 지하수의 주요 공급원이며, 따라서 섬에 사는 50만 명의 주민들에게 중요한 물 공급원이 된다. 이는 빗물이 숲 아래 아아 용암의 갈라진 틈을 통해 대수층으로 직접 스며들기 때문이다. 일부 연구자들은 곶자왈 숲이 독특한 식물 종의 서식지이며 주민들의 주요 식수원이기 때문에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로 간주하지만,[31] 아직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지는 않았다.[32]
7. 세계지질공원
유네스코(UNESCO) 세계지질공원네트워크(GGN)는 2010년 10월 3일 그리스 레스보스 섬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에서 제주도 9개 지질명소(세계자연유산 3개 지구-한라산, 성산일출봉, 만장굴-에 6개 지역-천지연폭포, 서귀포층, 대포동해안 주상절리대, 산방산, 용머리해안, 수월봉-을 명소로 추가)를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했다.[117][118] 이후 2014년 우도, 비양도, 선흘곶자왈 3곳이 대표명소로 추가 지정되었다.
제주도는 세계자연유산적 가치 및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서 중요도가 높다는 점에서 세계지질공원으로 제주도 섬 전체가 인정받은 것이고, 그 가운데 한라산을 비롯한 12곳이 대표적인 지질명소라고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119] 2010년, 제주도 전역이 “제주도지오파크”로서 세계지질공원네트워크(GGN)에 가입 인증되었다. 2013년 8월에는 일본의 섬나라 반도 지오파크와 자매 결연을 맺었고,[90][91] 같은 해 9월에는 아시아태평양 지오파크 네트워크(APGN) 제3회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8. 관광
올레길은 21코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길이는 약 420km이다. 걷기 여행을 위한 길로, 마을길, 해안도로, 숲속 오솔길 등 다양한 경로로 이루어져 있다. 올레길에서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여러 사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중문관광단지에는 천제연 폭포, 대포주상절리, 테디베어 뮤지엄, 믿거나 말거나 박물관, 여미지 식물원, 제주유리박물관, 오설록 티 뮤지엄, 아프리카 박물관 등 여러 관광 명소가 있다.
그 외에도 한라산 국립공원, 산굼부리, 성산일출봉, 함덕 서우봉 해변
제주도에는 골프장과 카지노 등 다양한 관광·오락 시설이 있으며, 해산물도 풍부하여 국내뿐 아니라 일본 등 해외에서도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과거에는 외국인 관광객 대부분이 일본인이었지만, 최근에는 외국인에 대한 비자 특례 조치(제주도만 방문하는 경우 관광 비자 면제)로 인해 중국인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다.[89] 2007년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군은 2011년 한국 국민들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신세계7대자연경관재단에 의해 새로운 세계 7대 자연경관으로 선정되었다.
9. 음식
참조
[1]
웹사이트
Joshua Calder's World Island Info - Largest Islands of Selected Countries
https://www.jejupro.[...]
Worldislandinfo.com
2016-01-30
[2]
서적
Jeju Island Geopark - A Volcanic Wonder of Korea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7-01
[3]
지도
Google Earth
https://earth.google[...]
Alphabet
2022-05-15
[4]
서적
Folk-Religion: The Customs in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5]
뉴스
Jeju Island
Business Traveller
2011-02-01
[6]
뉴스
Unesco names World Heritage sit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6-28
[7]
학술지
The Island of Quelpart
[8]
이미지
Photographic image of map
http://www.drben.net[...]
2022-06-26
[9]
학술지
Quelpart Island and Its People
[10]
웹사이트
The Queen of Quelparte
https://books.google[...]
[11]
학술지
The Name of Quelpaert Island
[12]
웹사이트
Jeju Island Facts
https://www.softscho[...]
2021-01-03
[13]
웹사이트
The Island of Quelpart
http://fs.unm.edu/Th[...]
[14]
학술지
The Name Of Quelpaert Island
https://www.journals[...]
1948-02-01
[15]
웹사이트
The memory and traces of marine exchange:Jeju Island in eastern and western antique maps
http://eastsea1994.o[...]
2021-01-03
[16]
웹사이트
Jeju (Cheju) Island Travel Information: Samseonghyeol
http://www.lifeinkor[...]
2014-07-30
[17]
서적
Sources of Korean tradition. 2: From the six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ies / ed by Yong-ho Ch'oe ... with the collaboration of Donald Baker ... and contributions by Martina Deuchler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18]
서적
A History of Korea
Palgrave
[19]
보고서
The Jeju April 3 Incident Investigation Report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Republic of Korea
2003-12-15
[20]
서적
Rapprochement in Postwar History: Implications for North Korea
http://dx.doi.org/10[...]
Palgrave Macmillan US
2010
[21]
학술지
The Korean War, 1950–53: from maneuver to stalemate
2010-12-01
[22]
학술지
Blowback: The Costs and Consequences of American Empire
2000-01-01
[23]
웹사이트
Map of Korea: Cheju Island
http://www1.korea-np[...]
The People's Korea
[24]
백과사전
오름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13
[25]
백과사전
제주 선흘리 거문오름 (濟州 善屹里 거문오름)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10
[26]
백과사전
용눈이오름 (龍눈이오름)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11
[27]
웹사이트
Geumak (Geum) Oreum Volcanic Cone
https://www.visitjej[...]
2024-07-13
[28]
서적
Jeju Island Geopark - A Volcanic Wonder of Korea
2013-01-01
[29]
웹사이트
RISS 통합검색 - 국내학술지논문 상세보기
http://www.riss4u.ne[...]
[30]
웹사이트
RISS 통합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
http://www.riss4u.ne[...]
[31]
학술지
Gotjawal Forest as an internationally important wetland
[32]
웹사이트
Ramsar site list
http://www.ramsar.or[...]
2007-06-20
[33]
웹사이트
제주특별자치도 자연환경생태정보시스템
http://nature.jeju.g[...]
2016-03-14
[3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3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3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8
[37]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38]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39]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8
[40]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Jeju Regional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5-24
[41]
뉴스
Deaths, travel disruption as bitter cold grips Asia
http://edition.cnn.c[...]
CNN
2016-01-25
[42]
웹사이트
済州島と済州道
https://www.mindan.o[...]
민단
2022-12-21
[43]
서적
世界の聖地バイブル : パワースポット&スピリチュアルスポットのガイド決定版
ガイアブックス、産調出版
2011-00-00
[44]
웹사이트
木村元彦連載「塵芥の声を聴く~インビジブル・ダイアリー」第6回「カラスも知らない祭祀――済州島四・三事件をソウルが悼んだ日」
https://imidas.jp/hu[...]
2022-12-21
[45]
웹사이트
韓国人が訪問した旅行先、済州・ソウルより大阪がもっと多い?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s.japanese.j[...]
2018-09-11
[46]
웹사이트
韓国政府が観光戦略発表 22年までに訪韓外国人客2300万人へ拡大
https://jp.yna.co.kr[...]
2022-12-21
[47]
일반
[48]
일반
[49]
웹사이트
済州火山島と溶岩洞窟
http://jpn.cha.go.kr[...]
文化財庁
2016-10-00
[50]
논문
韓国,済州島の単成火山の地形学的特徴
https://hdl.handle.n[...]
東北大学東北アジア研究センター
[51]
논문
342. 韓国済州島の更新世火山岩の化学組成の時間的変遷
https://doi.org/10.1[...]
日本地質学会
[52]
일반
[53]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제주(184)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03-25
[5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제주(184)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10-02
[55]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서귀포(189)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03-25
[56]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서귀포(189)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10-02
[57]
뉴스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o be released after 17 years
https://koreajoongan[...]
2024-01-11
[58]
웹사이트
Jeju Island Biosphere Reserve, Republic of Korea
https://en.unesco.or[...]
2023-02-02
[59]
웹사이트
Mulyeongari-oreum Ramsar Sit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2-02
[60]
웹사이트
Muljangori-oreum wetland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2-02
[61]
웹사이트
Dongbaekdongsan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2-02
[62]
웹사이트
1100 Altitude Wetland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2-02
[63]
웹사이트
Sumeunmulbaengdui Ramsar Sit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2-02
[64]
서적
古代朝鮮と倭族 神話解読と現地踏査
中央公論社
1992-07
[65]
서적
朝鮮の領土:【分析・資料・文献】
三和書籍
2016-09
[66]
일반
[67]
서적
韓国済州島―日韓をむすぶ東シナ海の要石
中央公論社
1996-10-01
[68]
일반
[69]
웹사이트
동북아시아지역자치단체연합, near
http://www.neargov.o[...]
2022-12-21
[70]
웹사이트
済州の歴史visitJeju
https://m.visitjeju.[...]
2022-12-21
[71]
웹사이트
流刑地の済州島で絶命した国王は誰か?
https://korepo.com/a[...]
2022-12-21
[72]
웹사이트
痛みを乗り越えた人類の文化遺産、済州・海女の歴史
https://www.lottehot[...]
2022-12-21
[73]
논문
中世東アジア海域における海民と交流-済州島を中心として-
https://doi.org/10.1[...]
名古屋大学文学部
[74]
웹사이트
商店街沿革 {{!}} 一般社団法人大阪コリアタウン(御幸通商店街)
https://ikuno-koreat[...]
2022-12-21
[75]
뉴스
韓国・済州島「アカ狩り」の悲劇 米軍政下、3万人無差別虐殺
https://www.nishinip[...]
2021-04-05
[76]
웹사이트
済州島からなぜ伯父たちは密航してきたのか? 『家(チベ)の歴史を書く』
https://books.j-cast[...]
2022-12-21
[77]
뉴스
済州島から逃れ大阪へ、幼き双子の物語 在日1世の苦悩描いた舞台劇: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2-12-21
[78]
웹사이트
外務省: 韓国人に対する短期滞在査証免除措置について
https://www.mofa.go.[...]
2022-12-21
[79]
뉴스
済州島にイエメン難民続々 就業や医療支援、反発も
https://www.nikkei.c[...]
2018-07-16
[80]
웹사이트
済州島に逃れてきた一握りのイエメン難民にヒステリーを起こす韓国人{{!}}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オフィシャルサイト
https://www.newsweek[...]
2018-09-11
[81]
웹사이트
済州島の文化|済州島の基本情報|済州島女子旅ガイド「ベターチェジュ」
https://www2.jhc.jp/[...]
2022-12-21
[82]
웹사이트
UNESCO - Culture of Jeju Haenyeo (women divers)
https://ich.unesco.o[...]
2023-02-02
[83]
웹사이트
일본산 몰아낸 설향 딸기...제주 감귤 힘겨운 홀로서기
http://www.jejusori.[...]
제주의소리
2021-05-03
[84]
웹사이트
◆ミカンの里、済州島◆ {{!}} 鳳仙花 {{!}} ニュース {{!}} 東洋経済日報
http://www.toyo-keiz[...]
2018-12-22
[85]
웹사이트
일본 신품종 감귤 재배 제주농가, 출하·판로 막혀 '막막'
https://news.v.daum.[...]
2018-12-22
[86]
웹사이트
<インタビュー>民団団長「労働党の指示を受ける朝鮮総連とは見えない38度線」(1) {{!}} Joongang Ilbo {{!}}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2018-12-22
[87]
웹사이트
새콤달콤 제주 감귤 품종 94%는 일본에서 왔다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1-05-03
[88]
웹사이트
済州みかん、日本にロイヤリティ必要
https://web.archive.[...]
2018-12-22
[89]
뉴스
제주도 "중국인 대상 무사증 입국제도 일시 중지 검토 중"
https://www.yna.co.k[...]
聯合ニュース
2020-01-30
[90]
뉴스
済州島と島原半島ジオパーク 姉妹提携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3-08-26
[91]
웹사이트
済州島ジオパークと姉妹提携
http://www.unzen-geo[...]
[92]
뉴스
済州島に来たイエメン難民500人に立ちはだかるイスラムフォビア
http://japan.hani.co[...]
2018-07-16
[93]
뉴스
難民審査が始まったイエメン人「済州島は小さな刑務所」
http://japan.hani.co[...]
2018-07-16
[94]
웹사이트
제주 예멘인 난민 인정 0명…인도적 체류 허가 339명
http://www.hani.co.k[...]
2020-06-13
[95]
뉴스
済州島で難民申請のイエメン人 23人に人道的滞在許可=韓国
http://japanese.yonh[...]
2018-09-19
[96]
웹사이트
韓国で暮らすイエメン難民のいま 2018年、ビザなし済州島に殺到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
2020-06-13
[97]
웹인용
120417(조간)_2012년도_지적통계연보_발간(지적기획과1)
http://www.molit.go.[...]
2012-04-16
[98]
웹사이트
섬의 형성 과정
http://www.jejusamda[...]
2011-07-08
[99]
웹인용
The Island of Quelpart
[100]
웹인용
Quelpart Island and Its People
[101]
웹인용
The Queen of Quelparte
https://books.google[...]
[102]
웹인용
The Name of Quelpaert Island
http://www.journals.[...]
[103]
웹인용
Jeju Island Facts
http://www.softschoo[...]
[104]
서적
한라산,오름들의 왕국
돌베개
[105]
논문
Study on the Quaternary Volcanics and their Tectonic Environment of Southern Korea (한반도 남부의 제4기 화산암류와 이들의 tectonic한 환경)
https://www.dbpia.co[...]
1986-01
[106]
저널
濟州島 地下水의 水質特性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Cheju Island)
https://www.dbpia.co[...]
1989-09-00
[107]
웹사이트
대정읍 인구현황(2016.12.31.기준)
http://www.seogwipo.[...]
2007-03-21
[108]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제주(184)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09]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제주(184)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10]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고산(18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11]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고산(18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12]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서귀포(189)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13]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서귀포(189)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14]
기타
[115]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성산(18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16]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성산(18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17]
뉴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18]
웹인용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7-12-25
[119]
웹사이트
제주특별자치도-세계지질공원제주
https://www.jeju.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