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은 일제강점기, 그리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제정된 천연기념물 보호법에 따라 지정 및 관리되어 왔다.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 식물, 지질, 천연보호구역 등을 포함하며, 1호부터 209호까지 지정되어 있다. 이 중 일부는 파괴되거나 북한 지역에 위치하여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천연기념물은 분야별로 동물, 식물, 지질, 천연보호구역으로 나뉘어 관리되고 있으며, 각 기념물은 그 가치와 중요성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자연유산 - 대한민국의 명승
    대한민국의 명승은 문화재청에서 자연 경관이 뛰어난 곳을 지정하는 문화재로, 1970년대부터 제도가 도입되어 2023년 11월 기준으로 124곳이 지정되어 있으며, 신규 명승자원 지정 예고와 명승 보존 및 관리가 과제로 남아 있다.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수달
    수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며 유선형 몸매와 물갈퀴 등 수중 생활에 적합한 특징을 지닌 반수생 포유류로, 물고기 외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천연기념물 정보
명칭
한국어천연기념물
한자天然紀念物
로마자 표기cheonyeonginyeommul
개요
설명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지정된 대한민국의 자연유산
지정 현황2022년 8월 31일 기준
지정 기준
종류동물
식물
지질
광물
천연보호구역
가치 기준학술적 가치
역사적 가치
문화적 가치
경관적 가치
관련 정보
관련 기관천연기념물센터
참고 자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천연기념물 항목 참조

2. 역사

일제강점기인 1916년 7월에 일본 당국은 「고적 및 유물 보존 규칙」(고적및유물보존규칙)을 제정하였고, 1933년 8월에는 「조선 보물 고적 명승 천연 기념물 보존령」을 공포하였다.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에 천연기념물보호법을 제정하였다.[1]

3. 지정 현황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은 현재까지 600호에 걸쳐 지정되어 있으며, 동물, 식물, 지질, 천연보호구역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각 분야별 자세한 목록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천연기념물은 지정 번호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으며, 취소된 항목은 취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다음 표는 지정 현황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3. 1. 지정 목록


3. 2. 분야별 목록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은 동물, 식물, 지질, 천연보호구역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각 분야별 자세한 목록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2. 1. 동물

#이름위치설명참고자료
53진돗개전라남도 진도진도 섬에 서식하는 진돗개는 2009년 기준으로 5573마리가 천연기념물로 등록되어 있으며,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성견 수컷은 키가 48cm에서 53cm, 암컷은 45cm에서 50cm에 달한다. 민첩하고 후각과 시각이 잘 발달되어 있어 사냥개로 뛰어나다. 어떤 기록에 따르면, 이 품종은 남송 무역선이 근처에서 난파된 후 섬에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45][46][47]
73정선 정암사열목어 서식지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열목어는 20°C 미만의 물에서 사는 담수어이다. 몸에는 은백색 바탕에 작고 불규칙한 붉은 반점이 있다. 산란기에는 온몸이 붉어지고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는 무지개 같은 광채를 띤다. 주로 물속의 곤충 유충과 작은 물고기를 먹는다. 한국에서는 두만강,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 한강낙동강 상류에서 발견된다. 여름에는 보통 강 상류의 시원한 곳에 머물고, 겨울에는 중류 지역에 머문다.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는 이 물고기가 잘 발달된 숲에서 최적의 환경으로 서식할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곳이다. 보호종이며, 천연기념물 제73호로 지정되어 있다.[66][67][68]
74봉화 대현리의 열목어 서식지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대현리열목어는 20°C 미만의 물에서 사는 담수어이다. 몸에는 은백색 바탕에 작고 불규칙한 붉은 반점이 있다. 산란기에는 온몸이 붉어지고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는 무지개 같은 광채를 띤다. 주로 물속의 곤충 유충과 작은 물고기를 먹는다. 한국에서는 두만강,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 한강낙동강 상류에서 발견된다. 여름에는 보통 강 상류의 시원한 곳에 머물고, 겨울에는 중류 지역에 머문다. 봉화군 석포면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는 이 희귀한 물고기의 남쪽 한계 지역이며, 잘 발달된 숲 지역이 최적의 환경이다. 보호종이며, 천연기념물 제74호로 지정되어 있다.[69][70][71]
101진도의 백조류 도래지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수유리 1422백로는 유럽, 러시아, 몽골, 중국에서 번식하며, 아프리카, 인도, 한국으로 이동하여 11월부터 2월까지 월동한다. 한국에서는 해안가 주변에서 겨울을 나고, 봄이 되면 다시 북쪽으로 이동하여 번식한다. 백로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행운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 진도고니류도래지는 한반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백로가 남쪽 바다에서 월동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며, 이동하는 백로 무리를 위한 적합한 장소이다. 대도시에서 떨어져 있어 환경 오염으로부터 보호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간척 사업으로 인해 먹이가 줄어들어 백로들이 인근 해안가로 흩어져 월동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진도고니류도래지는 한국 남서부에서 백로가 월동할 수 있는 유일한 지역이기 때문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99]
126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울산 연안, 강원도, 경상북도울산 연안을 따라 이동하는 귀신고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구역이다.[100]
197큰오색딱따구리전국[110]
198두루미전국[111]
199황새전국[112]
200먹황새전국먹황새의 분포 지역은 이란, 아무르, 우수리, 중국 북동부 지역 북부, 한국, 일본, 아프리카, 인도 등이다. 몸길이는 96cm이며, 머리와 목, 상흉부와 등은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다. 배는 흰색이고, 부리, 다리, 눈가는 빨간색이다. 어린 새는 전반적으로 흐릿한 갈색이 섞여 있다. 논, 강가 또는 작은 계곡에 서식하며, 단독 또는 짝으로 생활한다. 외딴 높은 나무 위나 바위 절벽의 가지에 둥지를 틀고 3~5개의 흰 알을 낳는다. 9월부터 10월, 1월부터 2월까지 한국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겨울 철새이기 때문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201-1혹고니전국[113]
201-2고니전국
201-3큰고니전국
202재두루미전국[114]
203흑두루미전국[115]
204팔색조전국[116]
205-1저어새전국[117]
205-2노랑부리저어새전국
206따오기전국
329반달가슴곰전국아시아흑곰 또는 흰가슴곰으로도 알려진 반달가슴곰은 아시아 원산의 중형 곰 종으로, 주로 나무 위 생활에 적응한 종이다. 히말라야, 이란 남동부, 인도 아대륙 북부, 한반도, 중국, 러시아 극동, 일본의 혼슈와 시코쿠 섬, 그리고 대만에 서식한다.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삼림 벌채와 전통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신체 부위를 노린 밀렵으로 위협받고 있다.
330수달전국유럽수달, 유라시아강수달, 일반수달, 구세계수달로도 알려진 수달은 유라시아 원산의 반수생 포유류이다. 족제비과(Mustelidae) 수달아과(Lutrinae)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는 종으로, 유럽, 아시아의 많은 지역, 그리고 북아프리카 일부 지역의 수로와 해안에서 발견된다. 유라시아 수달은 주로 물고기를 먹으며, 강한 세력권을 가지고 있다. 서식 범위의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회복되고 있다.
368경산의 삽살개전국삽살개는 한국 반도 남동부에서 발견되는 개이다. 이 개는 용감하고 대담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주인에게 충성스럽다. 삽살개는 "악귀와 재앙을 물리치는 개"를 의미한다.[108]


3. 2. 2. 식물

번호등록명[116]학명소재지관리자
1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Platycladus orientalis대구 도동
8서울 재동 백송Pinus bungeana Zucc서울 종로구
9서울 조계사 백송Pinus bungeana Zucc서울 종로구
13진천 노원리 왜가리 번식지Ardea cinerea충북 진천군
18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Asplenium antiquum Makino제주 제주특별자치도
19제주 토끼섬 문주란 자생지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제주 제주특별자치도
28완도 주도 상록수림전남 완도군
29남해 미조리 상록수림경남 남해군
30양평 용문사 은행나무Gingko biloba경기 양평군
35강진 사당리 푸조나무Aphananthe aspera전남 강진군
36순천 평중리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et Paxton전남 순천시
38구례 화엄사 올벚나무Prunus pendula var. ascendens전남 구례군
39병영면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S. et Z.전남 강진군
40완도 예송리 상록수림전남 완도군
48울릉 통구미 향나무 자생지Juniperus chinensis L.경북 울릉군
49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Juniperus chinensis L.경북 울릉군
50울릉 태하동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군락Tsuga sieboldii
Pinus parviflora
S. et Z.
Fagus engleriana
경북 울릉군
51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Cotoneaster wilsonii
Abelia insularis
경북 울릉군
52나리동의 울릉국화, 섬백리향군락Chrysanthemum zawadskii var. lucidum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경북 울릉군
59서울 문묘 은행나무Gingko biloba서울 종로구
60송포의 백송Pinus bungeana Zucc경기 고양시
62영천리의 측백수림Thuja orientalis L.충북 단양군
63통영비진도의 팔손이나무자생지Fatsia japonica경남 통영시
64두서면의 은행나무Gingko biloba울산 울주군
65목도의 상록수림울산 울주군
66대청도의 동백나무자생북한지Camellia japonica인천 옹진군
76영월의 은행나무Gingko biloba강원 영월군
78강화갑곶리의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인천 강화군
79강화사기리의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인천 강화군
82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숲Celtis sinensis Pers.
Carpinus tschonoskii
MAX.
전남 무안군
84금산행정의 은행나무Gingko biloba충남 금산군
88송광사의 곱향나무쌍향수Juniperus chinensis전남 순천시
89경주 오류리의 등나무Wisteria floribunda경남 경주시
91내장산 굴거리나무군락Daphniphyllum macropodum Miq.전북 정읍시
93원성 성남리 성황림강원 원주시
95삼척도계읍의 긴잎느티나무Zelkova serrata var. longifolia강원 삼척시
96울진 수산리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lume경북 울진군
103속리의 정이품송충북 보은군
106예산 용궁리의 백송Pinus bungeana Zucc충남 예산군
107진도 쌍계사의 상록수림전남 진도군
108함평 향교리의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Zelkova serrata MAKINO
Celtis sinensis
Pers.
Carpinus tschonoskii
전남 함평군
110함평 기각리의 붉나무 자생 북한지Quercus acuta Thunb.전남 함평군
111진도 상만리의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S. et Z.전남 진도군
112영광 불갑사의 참식나무 자생 북한지Neolitsea sericea (Blume) Koidz.전남 영광군
114영양 감천리의 측백나무 숲Thuja orientalis L.경북 영양군
115경주 독락당의 조각자나무Gleditsia sinensis경북 경주시
136보령 외연도의 상록수림충남 보령시
138태안 안면도의 모감주나무 군락Koelreuteria paniculata Laxm.충남 태안군
147괴산 송덕리의 미선나무 자생지Abeliophyllum distichum충북 괴산군
150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경남 남해군
151강진 백련사의 동백나무 숲Camellia japonica L.전남 강진군
152남해 화방사의 산닥나무 자생지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경남 남해군
153장성 백양사의 비자나무 숲Torreya nucifera S. et Z.전남 장성군
154함양 상림경남 함양군
156제주 신례리의 왕벚나무 자생지Prunus yedoensis Matsum.제주 제주특별자치도
158울진 후정리의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L.경북 울진군
159제주 봉개동의 왕벚나무 자생지Prunus yedoensis Matsum.제주 제주특별자치도
160제주 산천단의 곰솔Pinus thunbergii Parlatore제주 제주특별자치도
161제주 성읍리의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Gingko biloba
Celtis sinensis
Pers.
제주 제주특별자치도
162제주 도순리의 녹나무 자생지Cinnamomum camphora Sieb.제주 제주특별자치도
164창원 신방리의 엄나무 군Kalopanax pictus (Thunb.) Nakai경남 창원시
165괴산 읍내리의 은행나무Gingko biloba충북 괴산군
166강릉 장덕리의 은행나무Gingko biloba강원 강릉시
167원주 반계리의 은행나무Gingko biloba강원 원주시
168부산 양정동의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부산 부산진구
169서천 마량리의 동백나무 숲Camellia japonica L.충남 서천군
172강진 가막섬의 상록수림전남 강진군
173해남 대둔사의 왕벚나무 자생지Prunus yedoensis Matsum.전남 해남군
174안동 송사동의 소태나무Picrasma quassioides (D. DON) BENN.경북 안동시
175안동 용계리의 은행나무Gingko biloba경북 안동시
176부산 범어사의 등나무 군락Wisteria floribunda부산 금정구
180청도 운문사의 처진소나무Pinus densiflora for. Pendula경북 청도군
183고창 중산리의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et Paxton전북 고창군
184고창 선운사의 동백나무 숲Camellia japonica L.전북 고창군
185김해 신천리의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et Paxton경남 김해시
189울릉 성인봉의 원시림경북 울릉군
191제주의 한란Cymbidium kanran제주 제주특별자치도
192청송 신기리의 느티나무Zelkova serrata MAKINO전북 청송군
193청송 관리의 갯버들Salix glandulosa SEEMEN경북 청송군
194창덕궁향나무Juniperus chinensis L.서울 창덕궁 관리소
473안동 하회마을 만송정숲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
485구례 화엄사 매화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3. 2. 3. 지질

구상암한국어은 특정 환경 조건에서 형성되는 둥근 돌로, 보통 화강암 암석층에서 발견된다. 운평리 구상암에는 한반도에서 약 230만 년 전 대규모 지각 변동으로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상승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여겨지는 많은 반려암이 포함되어 있다.[63] 상주 남동쪽 운평리 운곡리 계곡에서 8개의 화강암 암괴 군이 발견되었는데, 그중 6개는 계곡 물 아래에 잠겨 있고 2개는 물 위에 노출되어 있다.[63] 마을 주민들은 거북이 등껍질과 비슷하다고 하여 이 화강암 암괴를 '거북바위'라고 부른다.[63] 각 구상암은 지름이 5~13cm이고 검은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63]

이런 종류의 돌은 전 세계적으로 약 100곳에서만 발견된다.[63] 운평리에서 발견된 구상암은 지질학적으로 희귀하며, 암석 생성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63] 암석 구성에 대한 연구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천연기념물 제69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63][64][65]

군산시 옥도면 말도의 선캄브리아기 지층은 심한 변성작용과 변형에도 불구하고, 파상 화석과 경사층리와 같은 퇴적구조를 잘 보존하고 있다. 이 지층은 이 구조를 연구함으로써 한국 선캄브리아기의 퇴적 환경을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크다.[115]

또한 이 지층은 후대의 지각변형에 의해 만들어진 다양한 구조를 잘 보여준다. 이러한 구조들 중에는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습곡뿐만 아니라 습곡 형성과 관련된 다양한 구조들이 나타나는 것이 특이하다. 그중에는 한국에서 보기 드문 구조(단층면을 가진 복합습곡, 여러 단계에 걸쳐 형성된 중첩습곡 등)들이 매우 양호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115] 이들은 한국 다른 지역의 선캄브리아기 지층과 이 지층을 구분하는 중요한 특징이다.[115]

3. 2. 4. 천연보호구역

번호명칭위치설명
170홍도 천연보호구역전라남도 신안군섬 전체가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71설악산 천연보호구역강원도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속초시1965년 11월 5일 자연보존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1982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총면적은 398.539km2이다. 대청봉을 주봉으로 하여 30개의 봉우리가 있다.[105]
182한라산 천연보호구역제주도한라산을 중심으로 9162059.1m2 규모이다. 1,565종의 식물, 873종의 곤충, 198종의 조류, 17종의 포유류, 8종의 파충류가 서식하고 있다. 화산호 등 다양한 지형을 보여준다.[105][106]


4. 보존 및 관리

일제강점기인 1916년 7월에 일본 당국은 「고적 및 유물 보존 규칙」(고적및유물보존규칙)을 제정하였고, 1933년 8월에는 「조선 보물 고적 명승 천연 기념물 보존령」을 공포하였다. 한국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에 천연기념물보호법을 제정하였다.[1]

5. 남북한 천연기념물

일제강점기인 1916년 7월에 일본 당국이 「고적 및 유물 보존 규칙」을 제정하였고, 1933년 8월에는 「조선 보물 고적 명승 천연 기념물 보존령」이 공포되었다.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에 천연기념물보호법을 제정하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http://encykorea.aks[...]
[2]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명승 지정 현황(22.8.31) https://www.nhc.go.k[...] Natural Heritage Center 2022-11-15
[3]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4]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1 http://jikimi.cha.go[...] 2011-05-20
[5]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6]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8 http://jikimi.cha.go[...] 2011-05-20
[7]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8]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9 http://jikimi.cha.go[...] 2011-05-20
[9]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Animals) 2009
[10]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11 http://jikimi.cha.go[...] 2011-05-27
[11]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Animals) 2009
[12]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13 http://jikimi.cha.go[...] 2011-05-27
[13]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14]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18 http://jikimi.cha.go[...] 2011-05-20
[15]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16]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19 http://jikimi.cha.go[...] 2011-05-20
[17]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Animals) 2009
[18]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27 http://jikimi.cha.go[...] 2011-05-27
[19]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20]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28 http://jikimi.cha.go[...] 2011-05-20
[21]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22]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29 http://jikimi.cha.go[...] 2011-05-20
[23]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24]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30 http://jikimi.cha.go[...] 2011-05-20
[25]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26]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35 http://jikimi.cha.go[...] 2011-05-25
[27]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28]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36 http://jikimi.cha.go[...] 2011-05-20
[29]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30]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38 http://jikimi.cha.go[...] 2011-05-25
[31]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32]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39 http://jikimi.cha.go[...] 2011-05-25
[33]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34]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40 http://jikimi.cha.go[...] 2011-05-25
[35]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36]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48 http://jikimi.cha.go[...] 2011-05-25
[37]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38]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49 http://jikimi.cha.go[...] 2011-05-25
[39]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40]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50 http://jikimi.cha.go[...] 2011-05-25
[41]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42]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51 http://jikimi.cha.go[...] 2011-05-27
[43]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44]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52 http://jikimi.cha.go[...] 2011-05-27
[45]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Animals) 2009
[46]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53 http://jikimi.cha.go[...] 2011-05-27
[47]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제53호 (Natural Monuments 53) http://www.cha.go.kr[...] 2011-07-06
[48]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59 http://jikimi.cha.go[...] 2011-05-27
[49]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50]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60 http://jikimi.cha.go[...] 2011-07-19
[51]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52]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62 http://jikimi.cha.go[...] 2011-07-19
[53] 웹사이트 Natural Habitat of Formosa Rice Trees on Bijindo Island, Tongyeong http://english.cha.g[...]
[54]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55]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63 http://jikimi.cha.go[...] 2011-07-19
[56]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57]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64 http://jikimi.cha.go[...] 2011-07-19
[58]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59]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65 http://jikimi.cha.go[...] 2011-07-19
[60] 웹사이트 Northernmost Population of Common Camellias on Daecheongdo Island, Ongjin http://english.cha.g[...]
[61]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62]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66 http://jikimi.cha.go[...] 2011-07-19
[63] 웹사이트 Orbicular Granite in Unpyeong-ri, Sangju http://english.cha.g[...]
[64]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Geology·Landform·Scenic Sights) 2009
[65]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69 http://jikimi.cha.go[...] 2011-07-19
[66] 웹사이트 Habitat of Manchurian Trouts near Jeongamsa Temple, Jeongseon http://english.cha.g[...]
[67]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Animals) 2009
[68]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73 http://jikimi.cha.go[...] 2011-07-19
[69] 웹사이트 Habitat of Manchurian Trouts in Daehyeon-ri, Bonghwa http://english.cha.g[...]
[70]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Animals) 2009
[71]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74 http://jikimi.cha.go[...] 2011-07-19
[72]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73]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76 http://jikimi.cha.go[...] 2011-07-19
[74]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75]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78 http://jikimi.cha.go[...] 2011-07-19
[76]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77]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79 http://jikimi.cha.go[...] 2011-07-19
[78]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79]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82 http://jikimi.cha.go[...] 2011-07-19
[80]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81]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84 http://jikimi.cha.go[...] 2011-07-19
[82]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83]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88 http://jikimi.cha.go[...] 2011-07-19
[84]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85]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89 http://jikimi.cha.go[...] 2011-07-19
[86] 웹사이트 Population of Macropodous Daphniphyllum in Naejangsan Mountain http://english.cha.g[...]
[87]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88]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91 http://jikimi.cha.go[...] 2011-07-19
[89] 웹사이트 Tutelary Forest of Seongnam-ri, Wonseong http://english.cha.g[...]
[90]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91]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93 http://jikimi.cha.go[...] 2011-07-19
[92]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93]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95 http://jikimi.cha.go[...] 2011-07-19
[94]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95]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96 http://jikimi.cha.go[...] 2011-07-19
[96] 웹사이트 Gimnyeonggul and Manjanggul Lava Tubes, Jeju http://english.cha.g[...]
[97]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Geology·Landform·Scenic Sights) 2009
[98]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98 http://jikimi.cha.go[...] 2011-07-19
[99] 웹사이트 Sanctuary of Tundra Swans on Jindo Island http://english.cha.g[...] 2023-09-19
[100]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https://web.archive.[...] 2019-11-19
[101] 웹사이트 Uljin Seongryu Cave https://www.heritage[...] 2023-07-20
[102] 웹사이트 제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濟州 天池淵 膽八樹 自生地) http://www.heritage.[...]
[103] 웹사이트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舒川 馬梁里 冬柏나무 숲) https://www.heritage[...]
[104] 웹사이트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三陟 大耳里 洞窟地帶) http://www.heritage.[...]
[105]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Geology·Landform·Scenic Sights) 2009
[106]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182 http://jikimi.cha.go[...] 2011-05-27
[107]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200 http://jikimi.cha.go[...] 2013-10-05
[108] 웹사이트 경산의 삽살개 (慶山의 삽살개) https://www.heritage[...] 2022-11-21
[109]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康津 城東里 銀杏나무)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https://www.heritage[...] 2023-06-24
[110]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453 http://jikimi.cha.go[...] 2013-10-05
[111]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112]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s 473 http://jikimi.cha.go[...] 2011-05-28
[113] 간행물 Natural Monuments·Scenic Sites (Plants) 2009
[114] 웹사이트 Natural Monument 485 http://jikimi.cha.go[...] 2011-10-15
[115] 웹사이트 군산 말도 습곡구조 (群山 唜島 褶曲構造) http://www.heritage.[...]
[116] 웹사이트 문화재 검색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 천연기념물 https://www.heritage[...] 2023-02-10
[117] 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