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의회는 1991년에 실시되었으며, 고양시의회 지역구별 선거 결과를 다룬다. 각 선거구별 유권자 수, 투표수, 당선자 및 득표율 정보를 제공하며, 모든 당선자는 무소속으로 기록되었다.

2. 고양시의회 지역구별 선거 결과

wikitext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주교동 선거구는 12,377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김이업 후보가 2,155표(32.3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문동호 후보는 1,754표(26.30%), 무소속 하성용 후보는 1,475표(22.11%), 무소속 김정옥 후보는 1,285표(19.26%)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6,669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식사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447명이었다. 무소속 김현중 후보가 1,146표(53.4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차성환 후보는 997표(46.5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143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원신동 선거구는 유권자 3,297명 중 2,118명이 투표하여, 무소속 권붕원 후보가 1,500표(70.8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상복 후보는 618표(29.17%)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흥도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474명이었다. 무소속 정광연 후보가 1,586표(55.18%)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건진 후보는 1,288표(44.8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87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사1동 선거구는 15,885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이재황 후보가 2,359표(27.92%)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정완해 후보는 1,690표(20.00%)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정인순 후보가 1,641표(19.42%), 무소속 김경태 후보가 1,250표(14.79%), 무소속 이흥윤 후보가 1,072표(12.69%), 무소속 박창현 후보가 435표(5.1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447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사2동 선거구는 10,031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이종환 후보가 3,009표(51.25%)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이은길 후보는 2,862표(48.7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5,871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효자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464명이었다. 무소속 유순원 후보가 1,033표(24.73%)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양효석 후보가 860표(20.59%), 무소속 원장연 후보가 666표(15.94%), 무소속 이정덕 후보가 621표(14.87%), 무소속 이태호 후보가 546표(13.07%), 무소속 위은환 후보가 450표(10.7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4,176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도동 선거구는 8,404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송홍의 후보가 1,562표(30.09%)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박성규 후보는 1,414표(27.23%), 무소속 김운재 후보는 1,144표(22.03%), 무소속 이철의 후보는 896표(17.26%), 무소속 최덕희 후보는 175표(3.37%)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5,191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릉동 선거구는 5,832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는 총 5명으로, 무소속 진광산 후보가 1,030표(26.6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나공열 후보는 808표(20.88%), 무소속 유병희 후보는 742표(19.18%), 무소속 최세환 후보는 665표(17.19%), 무소속 장덕흥 후보는 623표(16.10%)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3,868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산1동 선거구는 유권자 16,669명 중 9,131명이 투표하여, 무소속 이순득 후보가 3,599표(39.41%)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서정주 후보는 2,559표(28.02%)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무소속 이태봉 후보가 1,602표(17.54%), 무소속 이병철 후보가 1,371표(15.01%)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산2동 선거구는 유권자 13,185명 중 6,959명이 투표하여, 무소속 이수환 후보가 3,836표(55.1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조동원 후보는 3,123표(44.87%)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산3동 선거구는 20,431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황규철 후보는 4,246표(36.00%)를 얻어 당선되었고, 유재찬 후보는 4,231표(35.87%)로 역시 당선되었다. 박종기 후보는 1,468표(12.44%), 김명권 후보는 971표(8.23%), 박복남 후보는 877표(7.4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793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풍산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170명이었다. 무소속 나훈 후보가 1,420표(51.39%)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이기성 후보는 1,343표(48.60%)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763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백석동 선거구는 18,675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는 김범수, 안운섭, 김경준, 이강민, 김경환, 이시종, 정영안으로 총 7명이었다. 투표 결과, 김범수가 2,629표(22.94%)를 얻어 당선되었고, 안운섭이 2,293표(20.01%)로 그 뒤를 이어 당선되었다. 김경준은 2,192표(19.13%), 이강민은 1,478표(12.89%), 김경환은 1,229표(10.72%), 이시종은 834표(7.27%), 정영안은 803표(7.00%)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11,458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마두1동 선거구는 유권자 14,107명 중 이상운 후보가 4,735표(57.89%)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장무길 후보는 3,443표(42.10%)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마두2동 선거구는 22,987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박삼필 후보가 3,473표(24.54%)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박종윤 후보는 2,835표(20.03%)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권오활(2,246표, 15.87%), 이봉구(1,426표, 10.07%), 이정조(1,415표, 9.99%), 최명식(1,076표, 7.60%), 김종례(1,025표, 7.24%), 최병민(655표, 4.62%) 후보가 출마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주엽1동 선거구는 고양시의회 의원 2명을 선출하는 선거구로, 총 유권자 수는 25,523명이었다. 무소속 최진영 후보가 5,103표(35.15%)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허준 후보가 4,480표(30.86%)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무소속 조애숙 후보는 3,397표(23.40%), 무소속 조남신 후보는 1,536표(10.5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4,516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주엽2동 선거구는 유권자 수 19,604명에 서주원 후보가 4,601표(40.61%), 정용대 후보가 2,872표(25.35%)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최식문 후보 2,148표(18.96%), 조규남 후보 1,001표(8.83%), 전영선 후보 707표(6.24%)를 득표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항동 선거구는 1,968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로는 무소속 이영휘 후보, 무소속 박세천 후보, 무소속 장영태 후보가 출마했다. 이영휘 후보가 518표(37.83%)를 얻어 당선되었다. 박세천 후보는 434표(31.70%), 장영태 후보는 417표(30.46%)를 득표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347명이었다. 무소속 박순배 후보가 2,727표(44.89%)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귀현 후보는 1,206표(19.85%), 무소속 김희태 후보는 904표(14.88%), 무소속 강종하 후보는 659표(10.84%), 무소속 김원종 후보는 578표(9.5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6,074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산동 선거구는 고양시의회의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시행된 선거구 중 하나이다. 관산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1,434명이었다. 후보는 총 4명이었으며, 무소속 박동빈 후보가 2,160표(33.61%)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한황 후보가 1,792표(27.88%), 무소속 리준득 후보가 1,482표(23.06%), 무소속 문대성 후보가 992표(15.43%)를 얻었다. 관산동 선거구의 총 투표수는 6,426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봉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013명이었다. 무소속 오덕진 후보가 1,508표(37.1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종복 후보는 1,445표(35.57%)를, 무소속 홍기창 후보는 626표(15.41%)를, 무소속 리임규 후보는 483표(11.8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4,062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능곡동 선거구에서는 총 9,260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임귀환 후보가 2,555표(48.6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한병옥 후보는 1,656표(31.52%), 무소속 김영구 후보는 1,042표(19.83%)를 얻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정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48명이었다. 무소속 조동민 후보가 187표(64.7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영내 후보는 83표(28.71%), 무소속 진봉기 후보는 19표(6.5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89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행주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3,549명이었다. 무소속 황석 후보가 2,787표(36.4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광배 후보는 2,634표(34.45%), 무소속 배철호 후보는 2,224표(29.0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7,645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행신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30,592명이었다. 무소속 이기택 후보가 7,256표(44.58%)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박원필 후보가 4,682표(28.7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최성극 후보는 4,338표(26.65%)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6,276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전동 선거구는 8,964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김정무 후보가 3,056표(59.2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영복 후보는 2,106표(40.7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5,162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덕동 선거구는 3,704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이장성 후보가 1,443표(57.92%)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지병열 후보는 1,048표(42.0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491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포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22명이었다. 무소속 김상경 후보가 52.3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우규 후보는 47.6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총 투표수는 1,235표였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산동 선거구는 5,389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정영진 후보가 1,856표(57.23%)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이건현 후보는 1,387표(42.7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243표였다.

2. 1. 주교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주교동 선거구는 12,377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김이업 후보가 2,155표(32.3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문동호 후보는 1,754표(26.30%), 무소속 하성용 후보는 1,475표(22.11%), 무소속 김정옥 후보는 1,285표(19.26%)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6,669표였다.

2. 2. 식사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식사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447명이었다. 무소속 김현중 후보가 1,146표(53.47%)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차성환 후보는 997표(46.5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143표였다.

2. 3. 원신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원신동 선거구는 유권자 3,297명 중 2,118명이 투표하여, 무소속 권붕원 후보가 1,500표(70.8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상복 후보는 618표(29.17%)를 얻었다.

2. 4. 흥도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흥도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474명이었다. 무소속 정광연 후보가 1,586표(55.18%)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건진 후보는 1,288표(44.8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874표였다.

2. 5. 성사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사1동 선거구는 15,885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이재황 후보가 2,359표(27.92%)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정완해 후보는 1,690표(20.00%)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정인순 후보가 1,641표(19.42%), 무소속 김경태 후보가 1,250표(14.79%), 무소속 이흥윤 후보가 1,072표(12.69%), 무소속 박창현 후보가 435표(5.1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8,447표였다.

2. 6. 성사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사2동 선거구는 10,031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이종환 후보가 3,009표(51.25%)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이은길 후보는 2,862표(48.7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5,871표였다.

2. 7. 효자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효자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464명이었다. 무소속 유순원 후보가 1,033표(24.73%)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양효석 후보가 860표(20.59%), 무소속 원장연 후보가 666표(15.94%), 무소속 이정덕 후보가 621표(14.87%), 무소속 이태호 후보가 546표(13.07%), 무소속 위은환 후보가 450표(10.7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4,176표였다.

2. 8. 신도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도동 선거구는 8,404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송홍의 후보가 1,562표(30.09%)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박성규 후보는 1,414표(27.23%), 무소속 김운재 후보는 1,144표(22.03%), 무소속 이철의 후보는 896표(17.26%), 무소속 최덕희 후보는 175표(3.37%)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5,191표였다.

2. 9. 창릉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릉동 선거구는 5,832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는 총 5명으로, 무소속 진광산 후보가 1,030표(26.6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나공열 후보는 808표(20.88%), 무소속 유병희 후보는 742표(19.18%), 무소속 최세환 후보는 665표(17.19%), 무소속 장덕흥 후보는 623표(16.10%)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3,868표였다.

2. 10. 일산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산1동 선거구는 유권자 16,669명 중 9,131명이 투표하여, 무소속 이순득 후보가 3,599표(39.41%)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서정주 후보는 2,559표(28.02%)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무소속 이태봉 후보가 1,602표(17.54%), 무소속 이병철 후보가 1,371표(15.01%)를 얻었다.

2. 11. 일산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산2동 선거구는 유권자 13,185명 중 6,959명이 투표하여, 무소속 이수환 후보가 3,836표(55.1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조동원 후보는 3,123표(44.87%)를 얻었다.

2. 12. 일산3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일산3동 선거구는 20,431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황규철 후보는 4,246표(36.00%)를 얻어 당선되었고, 유재찬 후보는 4,231표(35.87%)로 역시 당선되었다. 박종기 후보는 1,468표(12.44%), 김명권 후보는 971표(8.23%), 박복남 후보는 877표(7.43%)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793표였다.

2. 13. 풍산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풍산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170명이었다. 무소속 나훈 후보가 1,420표(51.39%)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이기성 후보는 1,343표(48.60%)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763표였다.

2. 14. 백석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백석동 선거구는 18,675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는 김범수, 안운섭, 김경준, 이강민, 김경환, 이시종, 정영안으로 총 7명이었다. 투표 결과, 김범수가 2,629표(22.94%)를 얻어 당선되었고, 안운섭이 2,293표(20.01%)로 그 뒤를 이어 당선되었다. 김경준은 2,192표(19.13%), 이강민은 1,478표(12.89%), 김경환은 1,229표(10.72%), 이시종은 834표(7.27%), 정영안은 803표(7.00%)를 득표했다. 총 투표수는 11,458표였다.

2. 15. 마두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마두1동 선거구는 유권자 14,107명 중 이상운 후보가 4,735표(57.89%)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장무길 후보는 3,443표(42.10%)를 얻었다.

2. 16. 마두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마두2동 선거구는 22,987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박삼필 후보가 3,473표(24.54%)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박종윤 후보는 2,835표(20.03%)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권오활(2,246표, 15.87%), 이봉구(1,426표, 10.07%), 이정조(1,415표, 9.99%), 최명식(1,076표, 7.60%), 김종례(1,025표, 7.24%), 최병민(655표, 4.62%) 후보가 출마했다.

2. 17. 주엽1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주엽1동 선거구는 고양시의회 의원 2명을 선출하는 선거구로, 총 유권자 수는 25,523명이었다. 무소속 최진영 후보가 5,103표(35.15%)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허준 후보가 4,480표(30.86%)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무소속 조애숙 후보는 3,397표(23.40%), 무소속 조남신 후보는 1,536표(10.5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4,516표였다.

2. 18. 주엽2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주엽2동 선거구는 유권자 수 19,604명에 서주원 후보가 4,601표(40.61%), 정용대 후보가 2,872표(25.35%)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 후보로는 최식문 후보 2,148표(18.96%), 조규남 후보 1,001표(8.83%), 전영선 후보 707표(6.24%)를 득표했다.

2. 19. 장항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항동 선거구는 1,968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후보로는 무소속 이영휘 후보, 무소속 박세천 후보, 무소속 장영태 후보가 출마했다. 이영휘 후보가 518표(37.83%)를 얻어 당선되었다. 박세천 후보는 434표(31.70%), 장영태 후보는 417표(30.46%)를 득표했다.

2. 20. 고양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347명이었다. 무소속 박순배 후보가 2,727표(44.89%)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귀현 후보는 1,206표(19.85%), 무소속 김희태 후보는 904표(14.88%), 무소속 강종하 후보는 659표(10.84%), 무소속 김원종 후보는 578표(9.51%)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6,074표였다.

2. 21. 관산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산동 선거구는 고양시의회의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시행된 선거구 중 하나이다. 관산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1,434명이었다. 후보는 총 4명이었으며, 무소속 박동빈 후보가 2,160표(33.61%)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뒤를 이어 무소속 한황 후보가 1,792표(27.88%), 무소속 리준득 후보가 1,482표(23.06%), 무소속 문대성 후보가 992표(15.43%)를 얻었다. 관산동 선거구의 총 투표수는 6,426표였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무소속박동빈2,16033.61%
무소속한황1,79227.88%
무소속리준득1,48223.06%
무소속문대성99215.43%
합계6,426


2. 22. 고봉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봉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013명이었다. 무소속 오덕진 후보가 1,508표(37.12%)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종복 후보는 1,445표(35.57%)를, 무소속 홍기창 후보는 626표(15.41%)를, 무소속 리임규 후보는 483표(11.8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4,062표였다.

2. 23. 능곡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능곡동 선거구에서는 총 9,260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임귀환 후보가 2,555표(48.6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한병옥 후보는 1,656표(31.52%), 무소속 김영구 후보는 1,042표(19.83%)를 얻었다.

2. 24. 화정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정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48명이었다. 무소속 조동민 후보가 187표(64.7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영내 후보는 83표(28.71%), 무소속 진봉기 후보는 19표(6.5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89표였다.

2. 25. 행주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행주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3,549명이었다. 무소속 황석 후보가 2,787표(36.45%)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광배 후보는 2,634표(34.45%), 무소속 배철호 후보는 2,224표(29.0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7,645표였다.

2. 26. 행신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행신동 선거구의 유권자는 30,592명이었다. 무소속 이기택 후보가 7,256표(44.58%)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박원필 후보가 4,682표(28.76%)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최성극 후보는 4,338표(26.65%)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6,276표였다.

2. 27. 화전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화전동 선거구는 8,964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김정무 후보가 3,056표(59.20%)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김영복 후보는 2,106표(40.7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5,162표였다.

2. 28. 대덕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덕동 선거구는 3,704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이장성 후보가 1,443표(57.92%)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지병열 후보는 1,048표(42.0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2,491표였다.

2. 29. 송포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포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22명이었다. 무소속 김상경 후보가 52.3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우규 후보는 47.6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총 투표수는 1,235표였다.

2. 30. 송산동 선거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산동 선거구는 5,389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정영진 후보가 1,856표(57.23%)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이건현 후보는 1,387표(42.7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243표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