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전구지원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1전구지원사령부는 1965년 제7군 지원사령부 예하 제1지원여단으로 창설되어, 유럽 주둔 미군에 대한 후방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냉전 시기에는 전구 육군 지역 사령부로 확대 개편되었으며, 소련 붕괴 이후 병력 감축 과정을 거쳐 200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카이저슬라우테른에 주둔하며, 유럽 중부 지역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405육군야전지원여단
제405육군야전지원여단은 유럽 및 아프리카에서 군수품 수입 및 관리 임무를 수행하며, 유럽 주둔 미군 부대에 직접 지원을 제공하고, 1982년 창설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10육군방공미사일방어사령부
제10육군방공미사일방어사령부는 대한민국 육군의 방공 부대로서, 한국 전쟁 참전과 제10방공포병단 창설을 거쳐 현재는 패트리어트 미사일 등을 운용하며 영공 방어 및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 미국 육군의 지원사령부 - 제19원정지원사령부
제19원정지원사령부는 1966년 창설되어 주한 미군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미국 육군의 지원사령부 - 제9전구지원사령부
제9전구지원사령부는 1960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을 지원하고 1970년 해체되었다가 1994년 재편성되어 주일 미군을 지원한 미국 육군의 군수지원 사령부이다. - 주독 미군 - 제2통신여단 (미국)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통신 및 사이버 지원을 담당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후 2017년부터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직속 부대가 되었다. - 주독 미군 - 제2병참단
제2병참단은 과거 미 육군 병참 지원 부대로, 2차 세계 대전, 냉전 시대 서독, 그리고 1980년대 한국에서 활동하며 여러 예하 부대를 거느리고 해체와 재소집을 반복했다.
제21전구지원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활동 기간 | 1965년–현재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명령 체계 | 미국 유럽 육군 |
주둔지 |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
별칭 | 제21전구지원사령부 |
표어 | First In Support |
표어 (번역) | 먼저 지원한다 |
전투 | 이라크 자유 작전 아프가니스탄 자유 작전 |
현재 사령관 | 로널드 R. 라긴 소장 |
식별 기호 (명칭) | 독특한 부대 휘장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65년 6월 23일, 제1지원여단 창설과 함께 제21전구지원사령부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제21전구지원사령부는 제7군 지원사령부 산하의 정비 지원 사령부로 시작되었으며, 여단의 첫 주둔지는 독일 만하임의 테일러 병영이었다.
1967년 미국 육군이 프랑스에서 철수하고 유럽 미국 전구 지원 사령부(TASCOM)가 조직된 후, 제1지원여단은 새롭게 창설된 군단 지원 사령부의 후방 지역 상대가 되었다. 1969년 TASCOM에 배속된 제1지원여단은 부대 장비 배치(POMCUS)를 담당했으며, 라인강 서부 지역의 미군 부대에 전투 지원을 제공했다.
1974년 TASCOM은 유럽 주둔 미국 육군 사령부와 통합되었고, 제1지원여단의 임무는 8개의 군사 지역에 대한 기지 운영 지원과 지역 지원 관리를 포함하도록 확대되었다. 이 여단은 장성급 지휘부로 승격되었고, 사령부는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의 클레버 병영으로 이전했다.
1976년 중반까지 제1지원여단의 병력은 약 16,000명으로, 미국 육군 내 최대 규모의 여단이었다. 이에 따라 육군성은 사령관의 직위를 소장으로 승격시키는 것을 승인했으며, 1976년 8월 19일 여단은 제21지원사령부로 재지정되었다. 이 사령부에는 47지역지원단과 영국 체셔의 RAF 버턴우드에 위치한 주요 보급창이 포함되었으며, POMCUS 장비를 비축했다.[3] 다른 부대에는 유럽 전투 장비 그룹, 제29지역지원단, 제60병기단이 포함되었다.
1981년 6월 미국 대통령은 사령관의 직위를 중장으로 승격시켜 전구 육군 지역 사령부로서의 조직 위상을 반영했고, 1988년 10월 18일 제21지원사령부는 공식적으로 제21전구 육군 지역 사령부로 재지정되었다.
소련의 붕괴 이후 발생한 변화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제21사령부는 이러한 발전 과정 전반에 걸쳐 "최초의 지원!"이라는 혈통과 명예, 구별되는 깃발(군기), 독특한 부대 배지 및 어깨 소매 표지를 유지했다.
2. 1. 창설과 냉전 시대

부대는 1965년 6월 23일 독일 만하임의 테일러 막사에서 제7군 지원사령부 예하 제1지원여단으로 창설되어 후방 지원 임무를 수행하였다.[3] 1970년 유럽 전구군지원사령부(TASCOMEUR)로 예속되었다.
1974년, 유럽 전구군지원사령부가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과 통합되면서 제1지원여단의 임무가 확대되었다. 지휘관이 장성급으로 승격되고, 카이저슬라우테른의 판처 막사로 이전하는 등의 변화를 거쳐 1976년에 제21지원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3]
1976년 중반까지 제1지원여단의 병력은 약 16,000명으로, 미국 육군 내 최대 규모의 여단이었다.[3] 1988년 10월 18일, 전구군지역사령부 체계 도입으로 제21전구군지역사령부(21st TAACOM)로 재편성되고, 사령관은 중장으로 승격되었다.[3]
2. 2. 냉전 이후와 현재
소련의 붕괴 이후, 유럽 주둔 미군은 감소된 위협에 맞춰 병력을 감축하기 시작했다. 군인과 민간인 모두의 정원이 대폭 감소했고, 1993년 제21전구군지역사령부(21st TAACOM) 사령관의 계급은 다시 소장으로 변경되었다.[5]2000년 10월 18일, 제21전구군지역사령부는 육군과 유럽 주둔 미 육군에 의해 제21전구지원사령부(TSC)로 전환되었다. 2006년, 제21전구지원사령부는 츠바이브뤼켄에 위치한 제200MMC(물자 관리, 이전의 유럽 주둔 미 육군 물자 사령부(MATCOM) 및 제1TMCA(수송 이동 통제)와 같은 이전 부대의 일부 기능을 흡수하여 해산시키고, 유럽 중부 지역을 지원하는 전구 물류에서 주요 전방 주둔지를 유지하며 육군 최대 규모의 전방 배치 군사 부대가 되었다.[5]
2005년, 지역지원단과 기지지원대대, 지역지원대가 표준 기지조직안에 맞게 유럽 내의 21개 미국 육군 주둔지() 사령부로 재편성되어 시설관리국 유럽지부로 전속되었다. 하이델베르크에서 대규모 세레모니를 가졌다.[5]
2007년 3월 30일, 제1수송이동통제국, 제37수송사령부, 제200전구배급여단 등 3개 제21전구지원사령부 예하의 여단급 조직이 임무와 기능을 다른 부대와 각 부처에 넘기고 판처 막사의 퍼레이드 경기장에서 해산하였다.[5]
3. 구조
- 발칸 지역 지원단: 캠프 본드스틸(코소보) 주둔
- 흑해 지역 지원단: 미하일 코갈리차누 공군기지(루마니아) 주둔
- 폴란드 지역 지원단: 포즈난 (폴란드) 주둔
- 제266재정관리지원센터: 카이저스라우테른 주둔
3. 1. 현재 예하 부대





- - 제266재무관리원
2023년 5월 기준으로 제21전구지원사령부의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4]
- 제21전구지원사령부 특수병력대대
- 제7임무지원사령부 (미국 육군 예비군)
- 제7공병여단
- 제16지원여단
- 제18군사경찰여단
- 제30의무여단
- 제405육군야전지원여단
- 제409계약지원여단
- 제1전구인사작전센터
- 제266재무관리원
- 유럽 전구군수지원관 (Theater Logistics Support Center, Europe|유럽 전구군수지원관영어)
- * 카이저슬라우테른 정비처
- * 빌섹 정비처
- * 제6966수송트럭터미널 - 카이저슬라우테른
- * 유럽 보급처 - 카이저슬라우테른
- * 유럽 탄약센터 - 미자우
- 발칸 지역지원단 - 코소보 캠프 본드스틸
- 흑해 지역지원단 - 루마니아 미하일 코걸니차누 공군기지
- 폴란드 지역 지원단
- 미국 육군 재무 (United States Army Finance Center of Excellence|미국 육군 재무영어)
- * 독일 재무 CoE (Germany Finance Center of Excellence|독일 재무 CoE영어)
- * 베네룩스 재무 CoE (BENELUX Finance Center of Excellence|베네룩스 재무 CoE영어)
- * 이탈리아 재무 CoE (Italy Finance Center of Excellence|이탈리아 재무 CoE영어)
- * 안스바치 FCST
- * 바움홀더 FCST
- * 그라펜호퍼 FCST
- * 호엔펠스 FCST
- * 카이저슬라우테른 FCST
- * 슈투트가르트 FCST
- * 비스바덴 FCST
- 제51정비대대 (직접 지원) - 샌드호펜
- 제56보급근무대대 -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66정비대대 (직접 지원) -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81정비대대 (종합 지원) - 샌드호펜
- 제97병참대대 (연료) - 만하임
- 제115보급근무대대 - 만하임
- 제205수송대대 (항공기 정비지원) - 샌드호펜
3. 2. 과거 예하 부대
- 제1수송이동통제국; 1986년 ~ 2007년 3월 30일 해체[1]
- 제3군단지원사령부; 2007년 6월 15일 본토 귀국[1]
- 제37수송사령부; 2007년 3월 30일 해체[1]
- 제18공병여단; 2004년 6월 6일 전속 ~ 2014년 5월 16일 해산[1]
- 제200전구배급여단; 2007년 3월 30일 해체[1]
- 제6지역지원단; 2005년 ''USAG 슈투트가르트''로 재편성[1]
- 제22지역지원단; 2005년 ''USAG 비첸차''로 재편성[1]
- 제26지역지원단; 2005년 ''USAG 하이델베르크''로 재편성[1]
- 제29지역지원단; 2008년 6월 9일 해산[1]
- 제80지역지원단; 2005년 ''USAG 브뤼셀''로 재편성[1]
- 제98지역지원단; 2005년 ''USAG 프랑코니아''로 재편성[1]
- 제100지역지원단; 2005년 ''USAG 그라펜호퍼''로 재편성[1]
- 제104지역지원단; 2005년 ''USAG 헤센''으로 재편성[1]
- 제42군사경찰단 예하 부대[1]
- * 제95군사경찰대대[1]
- * 제77군사경찰분견대 (CnF)[1]
- 제60병기단[1]
- 유럽 에너지원 (Energy Center, Europe영어); 1974년 9월 20일 ~ ?[1]
- 유럽 전투장비단 (Combat Equipiment Group, Europe영어); 1974년 6월 26일 ~ ?[1]
4. 주요 인물
- 스티븐 A. 샤피로, 전 사령관
- 조 웨인가르텐, 명예 대령
5. 기타
2005년, 이라크 자유 작전에서 육군 우수부대칭찬(SUC) 스트리머를 수여받았다.[4]
스트리머 | 내역 | 명령서 |
---|---|---|
![]() 육군 우수부대칭찬 | 이라크 자유 작전, 2005년 5월 21일 ~ 5월 22일 | 미국 육군부 일반명령 제2005-09호 |
참조
[1]
웹사이트
New leader of Army’s sustainment command in Europe has Reagan-esque name, Russia focus
https://www.stripes.[...]
2023-06-07
[2]
간행물
21st Theater Sustainment Command: Transforming in Support of U.S. Army Europe
[3]
문서
Usarmygermany.com/Units/21stSUPCOM
[4]
웹사이트
21st Theater Sustainment Command
https://www.21tsc.ar[...]
21st Theater Sustainment Command
2023-05-02
[5]
뉴스
Three brigades under 21st TSC inactivate in Kaiserslautern
https://www.stripes.[...]
스타스 앤 스트립스
2007-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