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설관리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설관리사령부는 미국 육군의 주둔지 관리 표준화를 위해 2002년 설립된 사령부이다. 2006년 사령부로 개편되었으며, 육군 환경 사령부와 가족 및 사기, 복지, 휴양사령부를 예하에 두었다. 2010년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으로 사령부가 이전되었으며, 2019년 육군물자사령부 예하로 재조정되었다. 시설관리사령부는 5개의 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지역 시설관리사령부는 2011년 태평양 지역대에 통합되어 주한 미군 시설 관리를 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물자사령부 - 육군계약사령부
    육군계약사령부(MICC)는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 본부를 두고 육군 전체에 계약 지원을 제공하는 미국 육군의 준장급 사령부로서, 3개의 계약 지원 여단과 1개의 야전 국, 그리고 미국 본토와 푸에르토리코에 걸쳐 33개의 야전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 미국 육군물자사령부 - 지상전개배급사령부
    지상전개배급사령부(SDDC)는 미국 국방부 산하 조직으로, 군사 물자와 병력의 전 세계적인 수송 및 배급을 담당하며, 1965년 창설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 스코트 공군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다.
  • 텍사스주의 부대 - 미국 남부 육군
    미국 남부 육군은 1904년 파나마 운하 경비대로 창설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쳤고, 제2차 세계 대전과 국군 원정 기간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텍사스에 본부를 두고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작전 및 인도적 지원 활동을 수행하는 미국 육군의 주요 사령부이다.
  • 텍사스주의 부대 -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는 미국 육군의 의료 활동을 총괄하며, 1993년 임시 의무사령부로 시작하여 국방보건국 설립 이후 지역 보건 사령부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 2002년 설립된 단체 - 민주화추진협의회
    민주화추진협의회는 1980년대 중반 정치 억압 시대에 김영삼과 김대중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신한민주당 창당을 주도하며 야당 성장에 기여했으나, 대통령 선거 후보 단일화 실패로 분열되어 해체되었지만 한국 민주화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정치 조직이다.
  • 2002년 설립된 단체 - 미국 국토안보부
    미국 국토안보부는 9·11 테러 이후 국토 안보 강화를 위해 설립된 연방 정부 부처로, 테러 및 국내외 위협으로부터 미국을 보호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하며, 여러 산하 기관을 통해 활동을 수행하지만, 과도한 예산 지출, 비효율적인 조직 운영 등의 비판도 있다.
시설관리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IMCOM 휘장
IMCOM 휘장
명칭미국 육군 시설관리사령부
원어 명칭United States Army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약칭IMCOM
창설일2006년
소속미국 육군
종류지원
역할본부
규모사령부
직책미국 육군 군사보급사령부
주둔지포트 샘 휴스턴
표어Sustain, Support, Defend (유지, 지원, 방어)
색상버프색 및 스칼렛색
웹사이트미국 육군 시설관리사령부
IMCOM 어깨 소매 휘장
IMCOM 어깨 소매 휘장
지휘관
사령관오마르 J. 존스 IV 중장
부사령관제임스 M. 스미스 소장
임무
역할육군 시설 관리 지원의 주요 제공자
역사
창설2006년 10월 1일
재편2019년 육군군수사령부로 재편

2. 역사

시설관리사령부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 2002년 10월 1일: 육군 개편 계획의 일환으로 주둔지 관리 표준화를 위해 시설관리국(Installation Management Agency, IMA)이 설립되었다. 15개 사령부로부터 184개 주둔지를 이관받아 시설 관리 부담을 줄이고 운영 지출을 절감했다.[15]
  • 2006년 10월 1일: 육군부는 시설관리국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시설관리사령부(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로 개편하고, 육군환경사령부(AEC)를 예하 조직으로 재편성했다. 또한, 육군 장병 지원을 위한 가족 및 사기, 복지, 휴양사령부(FWMRC)가 설립되었다.[3]
  • 2010년 10월: 2005년 기지재배치폐쇄 결정에 따라 버지니아주 알링턴군 크리스탈시티에서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으로 사령부를 이전했다.[33]
  • 2011년 6월: FWMRC 사령관(G-9 참모장)이 시설관리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승격되었다.
  • 2011년 10월 1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 기지에 본부를 둔 한국지역 시설관리사령부[34]가 상위 조직인 태평양 지역대에 통합되어, 주한 육군 시설은 태평양 지역대에서 관리하게 되었다.[35]
  • 2019년 3월 1일: 육군부 직할에서 육군물자사령부 예하로 재조정되었다.[36]

2. 1. 창설 배경

육군 개편 계획의 일환으로, 2002년 10월 1일에 주둔지 관리 표준화를 위해 시설관리국이 설립되었다. 이는 15개 사령부로부터 184개 주둔지를 이관받아 시설 관리 부담을 줄이고 운영 지출을 4.5억달러 이하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3]

2006년 10월 1일, 육군부는 시설관리국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고자 국에서 사령부로 개편하고, 육군환경사령부(AEC)를 예하 조직으로 재조정했다. 또한, 육군 장병 지원을 위한 가족 및 사기, 복지, 휴양사령부(FWMRC)가 설립되었다.[3]

국제 군사 기지 관리 사령부(IMCOM)는 관료주의를 줄이고, 미국 육군 기지를 관리하며, 환경을 유지하고, 군 공동체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2006년 10월 24일에 발족했다. 이는 다음 세 조직을 직할 부대로 단일 지휘부 아래 통합했다:[3][6]

# 전 설치 관리청(IMA)[7]

# 전 지역 사회 및 가족 지원 센터,[8] 현재는 가족 및 MWR 프로그램으로 불림[9]

# 전 육군 환경 센터,[10] 현재는 육군 환경 사령부(AEC)로 불림[11]

IMCOM 이전에는 육군의 184개 기지[13]가 15개의 주요 사령부 중 하나에 의해 관리되었다. 이로 인해 지원 서비스가 다양했고, 어떤 곳은 더 나은 서비스를, 어떤 곳은 더 나쁜 서비스를 제공했다. 2001년 9월, 육군 장관 토머스 E. 화이트는 중앙 집중식 설치 관리(CIM)로 알려졌던 설치 관리 전환(TIM)을 도입하여, 육군이 더 나은 사업 관행을 구현하고 설치 관리를 재정비하여 전 세계 육군 기지에 대한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기업 관리 구조를 만들 것을 약속했다. 2002년 10월 1일, 육군은 설치를 재정비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설치 관리 담당 차장(ACSIM)의 현장 운영 기관으로서 IMA를 설립했다.[15]

15개 주요 사령부가 기지 지원 책임을 지는 구조는 육군 전체에 걸쳐 많은 불평등을 초래했다. 공통 표준, 일관된 서비스 또는 날카롭게 관리되는 인프라가 없었다. 이로 인해 자금이 설치 지원에서 작전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임무 수행보다는 주둔지 지원 작전을 수행하는 군인이 너무 많았다. IMCOM의 설립은 이러한 불평등을 제거하고, 설치 관리에 집중하며, 군인, 가족 및 민간인의 복지를 증진하겠다는 약속이었다.

설치 관리를 중앙 집중화하는 것은 육군에서 문화적인 변화였으며, 인력 및 자금 문제의 이전을 처리하는 것은 어려웠다. IMCOM은 전 세계 설치 관리를 담당하는 육군의 단일 기관이 되었으며, 4개 대륙 7개 지역에서 120,000명의 군인, 민간인 및 계약직 직원을 두고 전 세계 184개 육군 기지를 관리했다.[16][17]

2. 2. 시설관리사령부로의 개편

2002년 10월 1일, 미국 육군의 재조직 계획의 일환으로 주둔지 관리 표준화를 위해 시설관리국이 설립되었다. 이는 15개 사령부로부터 184개 주둔지를 이관받아 시설 관리 부담을 줄이고 운영 지출을 4.5억달러 이하로 절감하기 위함이었다.[33]

2006년 10월 1일, 육군부는 시설관리국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고자 기관을 사령부로 개편하고, 육군환경사령부(AEC)를 예하 조직으로 재조정했다. 또한, 육군 장병 지원을 위한 가족 및 사기, 복지, 휴양사령부(FWMRC)가 설립되었다.[33]

2005년 기지재배치폐쇄 회의 결과에 따라 2010년 10월, 버지니아주 알링턴군 크리스탈시티에서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으로 사령부가 이전되었다.[33]

2011년 6월, 조직 개편으로 FWMRC 사령관(G-9 참모장)이 시설관리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승격되었다. 10월 1일에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 기지에 본부를 둔 한국지역 시설관리사령부[34]가 상위 조직인 태평양 지역대에 통합되어, 주한 육군의 모든 시설은 태평양 지역대에서 관리하게 되었다.[35]

2019년 3월 1일, 육군부 직할에서 육군물자사령부 예하로 재조정되었다.[36]

2. 3. 조직 개편 및 변천

2002년 10월 1일, 육군 개편 계획의 일환으로 주둔지 관리 표준화를 위해 시설관리국이 설립되었다. 시설관리국은 15개 사령부로부터 184개 주둔지를 이양받아 시설 관리 부담을 줄이고 중복 운영 지출을 4.5억달러 이하로 감축했다.[15] 2006년 10월 1일, 육군부는 시설관리국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기관을 사령부로 개편하고 육군환경사령부(AEC)를 예하 조직으로 재조정했다. 더불어 육군 장병 지원을 위한 가족 및 사기, 복지, 휴양사령부(FWMRC)가 설립되었다.[3]

2005년 기지재배치폐쇄 회의 결과에 따라 2010년 10월, 버지니아주 알링턴군 크리스탈시티에서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으로 이전하였다.[33]

2011년에는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다. 6월에는 FWMRC 사령관(G-9 참모장)이 시설관리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승격되었다. 10월 1일에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 기지에 본부를 둔 한국지역 시설관리사령부[34]가 상위 조직인 태평양 지역대에 통합되어, 한반도 내 모든 주한 육군 시설은 태평양 지역대에서 관리하게 되었다.[35]

2019년 3월 1일, 육군부 직할에서 육군물자사령부 예하로 재조정되었다.[36]

2006년 10월 24일, 관료주의 축소, 미국 육군 기지 관리, 환경 유지, 군 공동체 복지 증진을 목표로 국제 군사 기지 관리 사령부(IMCOM)가 출범했다.[3] IMCOM은 다음 세 조직을 직할 부대로 통합했다:[6]

# 전 설치 관리청(IMA)[7]

# 전 지역 사회 및 가족 지원 센터 (현 가족 및 MWR 프로그램)[8][9] (이전 IMCOM 예하 지휘부)

# 전 육군 환경 센터 (현 육군 환경 사령부(AEC))[10][11] (IMCOM 예하 지휘부)[12]

IMCOM 출범 이전에는 15개 주요 사령부가 육군의 184개 기지[13]를 관리했다. 이로 인해 지원 서비스 수준이 달랐고, 일부는 더 나은 서비스를, 일부는 더 열악한 서비스를 제공했다. 2001년 9월, 토머스 E. 화이트 육군 장관은 중앙 집중식 설치 관리(CIM)로 알려진 설치 관리 전환(TIM)을 도입하여, 육군이 효율적인 사업 관행을 구현하고 설치 관리를 재정비하여 전 세계 육군 기지에 대한 효율적인 기업 관리 구조를 구축할 것을 약속했다.

15개 주요 사령부가 기지 지원 책임을 맡았던 구조는 육군 전체에 불평등을 초래했다. 공통 표준, 일관된 서비스, 체계적인 인프라 관리가 부족하여 설치 지원 예산이 작전 예산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임무 수행보다 주둔지 지원 작전에 투입되는 군인이 과도하게 많았다. IMCOM 설립은 이러한 불평등을 해소하고 설치 관리에 집중하며 군인, 가족, 민간인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조치였다.

설치 관리 중앙 집중화는 육군 내 문화적 변화였으며, 인력 및 자금 이전 문제는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였다. 대규모 조직 변화를 통해 IMCOM은 전 세계 설치 관리를 담당하는 육군의 단일 기관이 되었으며, 4개 대륙 7개 지역에서 12만 명의 군인, 민간인, 계약직 직원을 두고 184개 육군 기지를 관리하게 되었다.[16][17]

3. 조직 구조

육군 시설관리사령부는 본부와 주둔지 사이의 중간 계층 역할을 하는 5개의 국(Directorat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국은 특정 부대를 직접 지원한다.

국 명칭위치지원 부대
훈련국버지니아주 랭리-유스타스 합동 기지육군훈련교리사령부, 미국 육군사관학교, 포트 해밀턴, 육군 전쟁대학
준비태세국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리버티(구 포트 브래그)군사령부, 육군 시험 및 평가 사령부 (화이트 샌즈 미사일 사격장), 육군 예비군 사령부
유지국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조병창육군 군수사령부, 워싱턴 군사 지구, 육군 시험 및 평가 사령부, 육군 의무사령부, 미국 육군 남부 사령부
유럽국독일미국 육군 유럽
태평양국하와이미국 육군 태평양


3. 1. 본부


  • 사령관
  • 주임원사
  • Inspector General|인스펙터 제너럴|감찰관영어
  • SJA
  • 군종참모
  • EEO
  • GS-15 IR
  • 집행장교 (XO)
  • 참모장 (준장)
  • * 참모부장 (DCOS)
  • * (ACOS)
  • * 외과
  • * GS-15 Public Affairs|퍼블릭 어페어즈|공보부영어/GS-14 안전
  • * SGS/프로토콜
  • * 육군환경사령부 본부 및 본부중대 (AEC HHC)
  • EDCG (준위)
  • * G1 Personnel|퍼서넬|인사영어
  • * G8 Resource Management|리소스 매니지먼트|자원관리영어
  • * G9 Family and Morale, Recreation and Welfare|패밀리 앤드 모랄, 레크리에이션 앤드 웰페어|가족 및 사기, 재활 및 복지영어
  • * ASA 포트 샘 휴스턴 / Joint Basing ICS
  • DCG (소장)
  • * G3/5/7 (대령)
  • * G4 Facilities and Logisitics|퍼실리티즈 앤드 로지스틱스|설비 및 물류영어(준위)
  • * G6 Chief Information Officer|치프 인포메이션 오피서|정보감영어
  • * PM/P[37]

3. 2. 예하 부대


  • IMCOM영어 훈련, 샌안토니오 포트 샘 휴스턴
  • IMCOM영어 대응
  • IMCOM영어 지원(Sustainment영어)
  • IMCOM영어 유럽, 독일
  • IMCOM영어 태평양, 하와이주 포트 샤프터
  • [https://aec.army.mil/index.php 육군환경사령부] (Army Environmental Command영어)
  • 가족 및 사기, 복지, 휴양사령부(G9 참모장 관할)[37]
  • IMCOM영어 중부 (IMCOM Central영어)
  • IMCOM영어 대서양 (IMCOM Atlantic영어)
  • IMCOM영어 동북 (IMCOM Northeast영어)
  • IMCOM영어 동남 (IMCOM Southeast영어)
  • IMCOM영어 한국 지역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기지; 2006년 10월 24일 ~ 2011년 9월 30일[35]


육군 시설관리사령부는 5개의 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시설관리사령부 본부와 주둔지 사이의 중간 계층 역할을 한다. 이 국들은 다음과 같다.

  • 훈련국, 버지니아주 랭리-유스타스 합동 기지에 위치하며, 육군 훈련 및 교리 사령부, 미국 육군사관학교, 포트 해밀턴, 육군 전쟁대학을 직접 지원한다.

  • 준비태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리버티(구 포트 브래그)에 위치하며, 군사령부, 육군 시험 및 평가 사령부 (화이트 샌즈 미사일 사격장) 및 육군 예비군 사령부를 직접 지원한다.

  • 유지국,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조병창에 위치하며, 육군 군수사령부, 워싱턴 군사 지구, 육군 시험 및 평가 사령부, 육군 의무사령부 및 미국 육군 남부 사령부를 직접 지원한다.

  • 유럽국, 독일에 위치하며, 미국 육군 유럽을 지원한다.

  • 태평양국, 하와이에 위치하며, 미국 육군 태평양을 지원한다.

4. 역대 사령관

미 육군 시설 관리 사령부 사령관1--로버트 윌슨2006년 10월 24일[24]2009년 11월 2일년2--릭 린치2009년 11월 2일[25]2011년 11월 17일년3--마이클 페리터2011년 11월 17일[26]2014년 4월 8일년4--데이비드 D. 헐버슨2014년 4월 8일[27]2015년 11월 3일년미 육군 시설 관리 사령부 사령관5--케네스 R. 달2015년 11월 3일[28]2018년 9월 5일년6--브래들리 베커2018년 9월 5일[29]2019년 8월 15일[30]년---티모시 맥과이어2019년 8월 15일[30]2020년 6월 22일일7--더글러스 개브럼2020년 6월 22일[31]2022년 7월 5일년8--오마 J. 존스 4세2022년 7월 5일[32]현재



2022년 7월 5일, 더글러스 개브럼 중장이 후임 사령관인 오마 존스 중장에게 지휘권을 넘겨주고 있다.

5. 한국과의 관계

IMCOM 한국 지역대(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 Korea Region|인스톨레이션 매니지먼트 커맨드 - 코리아 리전영어)는 서울특별시 용산기지에 있었으며, 2006년 10월 24일부터 2011년 9월 30일까지 존속했다.[35]

참조

[1] 웹사이트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to realign under Army Materiel Command https://www.army.mil[...] 2019-02-25
[2] 웹사이트 Environmental command stakes its claim at Fort Sam Houston http://www.army.mil/[...] Army.mil 2011-05-21
[3] 웹사이트 U.S. Army Announces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Activation http://www.globalsec[...] 2011-05-21
[4] 웹사이트 US Army Environmental Command http://aec.army.mil/[...] 2011-05-21
[5] 웹사이트 Army Family and Morale, Welfare and Recreation http://www.armymwr.b[...] Armymwr.biz 2011-05-21
[6] 웹사이트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activated, Army Logistician, Find Articles at BNET http://findarticles.[...] 2011-05-21
[7] 웹사이트 U.S. News & World Report Article https://www.usnews.c[...] 2011-05-21
[8] 웹사이트 Fact Sheet http://www.penfed.or[...] 2011-05-21
[9] 웹사이트 FMWR at http://www.army.mil/[...] Army.mil 2011-05-21
[10] 웹사이트 Borland Case Study http://www.borland.c[...] 2011-05-21
[11] URL https://aec.army.mil[...] 2024-08
[12] 웹사이트 Army Environmental Command Organizational Structure http://aec.army.mil/[...] 2011-05-21
[13] 웹사이트 Army Organization http://www.army.mil/[...] Army.mil 2011-05-21
[14] 웹사이트 Army begins installation transformation http://www.belvoir.a[...] 2008-10-30
[15] 웹사이트 Transformation of Installation Management https://apps.dtic.mi[...] 2011-05-21
[16] URL http://www.imcom.arm[...] 2022-03
[17] 웹사이트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A Short History 2001-2010 http://www.imcom.arm[...] 2010-10
[18] 웹사이트 STAND-TO! https://www.army.mil[...] 2016-10-24
[19] 웹사이트 Army Family Covenant – IMCOM HQ http://www.imcom.arm[...] United States Army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2011-05-21
[20] 웹사이트 The Army News Service http://www.army.mil/[...] army.mil 2014-10-15
[21] 웹사이트 Army Family Toolbox – IMCOM HQ http://www.imcom.arm[...] United States Army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2011-05-21
[22] 웹사이트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Fact Sheet https://www.amc.army[...] United States Army Materiel Command
[23] 웹사이트 IMCOM Directorates https://army.deps.mi[...] United States Army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24] 웹사이트 Army activates IMCOM to improve Soldier support https://www.army.mil[...] 2006-10-25
[25] 웹사이트 IMCOM changes command https://www.army.mil[...] 2009-11-03
[26] 웹사이트 Ferriter takes command of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https://www.army.mil[...] 2011-11-21
[27] 웹사이트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welcomes new commander https://www.army.mil[...] 2014-04-09
[28] 웹사이트 Dahl promoted, takes command of U.S. Army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https://www.army.mil[...] 2015-11-05
[29] 웹사이트 IMCOM welcomes new CG Becker https://www.army.mil[...] 2018-09-06
[30] 웹사이트 Army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er relieved due to loss of confidence https://www.armytime[...] 2019-08-15
[31] 웹사이트 Lt. Gen. Douglas Gabram assumes command of IMCOM https://www.army.mil[...] 2020-01-27
[32] 웹사이트 Lt. Gen. Douglas Gabram assumes command of IMCOM https://www.army.mil[...] U.S. Army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Public Affairs 2022-07-08
[33] 뉴스 Environmental command stakes its claim at Fort Sam Houston https://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Public Affairs 2020-01-26
[34] 문서 주한 미군 기지관리사령부
[35] 뉴스 IMCOM Pacific, Korea unite to form a single region http://www.army.mil/[...] IMCOM-K PAO 2015-03-25
[36] 뉴스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to realign under Army Materiel Command https://www.army.mil[...] Army News Service 2019-05-07
[37] 웹인용 Organization https://home.army.mi[...] 2023-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