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이델베르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델베르크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네카르 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다. 60만 년 전의 하이델베르크인의 턱뼈가 발견된 유서 깊은 곳이며, 켈트족, 로마 제국 시대를 거쳐 프랑크 왕국에 편입되었다. 14세기에는 쿠어팔츠의 수도가 되었으며, 1386년에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6세기 종교 개혁 당시 칼뱅주의의 중심지였으며, 30년 전쟁과 대동맹 전쟁으로 도시가 파괴되기도 했다. 19세기에는 독일 낭만주의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교육과 연구의 중심지이자 관광 도시로 발전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이며, 유럽 분자생물학 연구소 등 다양한 연구 기관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이델베르크 - 독일 천문학회
    독일 천문학회는 1863년 알브레히트 폰 그레페의 주도로 설립된 독일의 천문학 학회로, 천문학 분야 협력 증진, 연구 결과 공유, 학술 대회 개최, 연구 지원, 천문학 교육 및 대중화 활동을 하며, 한국 천문학계와의 협력 관계 강화 및 카를 슈바르츠실트 메달 수여 등의 활동을 한다.
  • 하계 패럴림픽 개최 도시 -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는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도시로, 원주민 거주지에서 스페인에 의해 설립, 멕시코 지배를 거쳐 미국령이 되었고, 철도와 석유 발견으로 경제 성장, 할리우드 발전을 통해 영화 산업 중심지로 부상했으며, 올림픽 개최 도시이자 다양한 지형과 문화, 인종이 공존하는 대도시이다.
  • 하계 패럴림픽 개최 도시 - 애틀랜타
    애틀랜타는 1836년 철도 종착역으로 시작하여 남북 전쟁 이후 조지아 주도가 되었고, 1996년 올림픽 개최를 통해 국제 도시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미국 남동부의 경제, 문화, 정치 중심지이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바일데어슈타트
    바일데어슈타트는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뵈블링겐군에 속한 독일 도시로, 중세 시대 자유제국도시이자 요하네스 케플러와 요하네스 브렌츠의 출생지로 유명하며, 슈투트가르트 S반 종착역과 파스넷 카니발 축제로도 알려져 있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만하임
    만하임은 독일 라인란트-프팔츠주에 위치한 라인-넥카르 대도시권의 중심 도시로, 쿼드라테라 불리는 격자형 도시 구조와 함께 경제 및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며, 17세기 초 건설되어 팔츠 선제후국의 수도로서 번성했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현재는 글로벌 기업들의 본사가 위치한 도시이다.
하이델베르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하이델베르크 문장
문장
하이델베르크 깃발
깃발
독일어 이름Heidlberg
로마자 표기Heidelberg
지역카를스루에
위치바덴뷔르템베르크주
관할 구역도시 자치구
면적108.83 km²
고도114 m
우편 번호69115–69126
지역 번호06221, 06202
자동차 번호판HD
행정 구역 코드08 2 21 000
공식 웹사이트heidelberg.de
정치
시장에카르트 뷔르츠너
시장 임기2022–30
시장 직책오버뷔르거마이스터 (Oberbürgermeister)
소속 정당무소속
교육
대학하이델베르크 대학교
기타
지역카를스루에 행정구

2. 역사

하이델베르크는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던 유서 깊은 지역이다. 1907년에는 인근 마우어에서 약 60만 년 전 하이델베르크인의 아래턱뼈가 발견되어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기원전 500년경 켈트족은 하이델베르크에 요새를 건설했다. 서기 70년경 로마 제국은 현재의 노이엔하임에 군영을 설치했고, 90년경에는 석축 성으로 발전했다. 네카르 강에는 다리가 놓였는데, 처음에는 목조 다리였고 200년경 돌기둥 다리가 건설되었다. 260년 이후 게르만족 침입으로 로마인들은 라인 강까지 밀려났다. 506년 메로빙거 왕조 클로비스 1세가 알레만니족을 정복하면서 프랑크 왕국에 편입되어 기독교화되었다.

2. 1. 고대와 중세

60만 년에서 20만 년 전 사이에 하이델베르크 인간이 마우어(Mauer) 근처에서 사망했다.[15] 1907년에 그의 턱뼈가 발견되었으며, 과학적 연대 측정 결과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 생활의 증거로 밝혀졌다. 기원전 5세기에는 하일리겐베르크(Heiligenberg) 또는 "성산"에 켈트족의 피난처이자 예배 장소인 요새가 건설되었다. 이 두 곳은 현재까지 확인할 수 있다. 서기 40년에는 제24 로마 부대와 제2 키레나이카 부대가 주둔하는 요새가 건설되었다. 369년에는 발렌티니아누스 1세 황제가 새로운 '카스트라'(영구 진영)를 건설하고 기존의 진영들을 유지 보수했으며, 네카르 강둑에 신호탑을 세웠다. 또한 돌기둥을 기반으로 목조 다리를 건설했다. 이 진영은 최초의 민간 정착지를 보호했으며, 결국 게르만 부족에게 함락되었다. 로마 시대의 현지 행정 중심지는 인근 도시인 로포두눔(Lopodunum)으로, 현재는 라덴부르크로 알려져 있다.

현대 하이델베르크는 5세기로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베르크하임(Bergheim, Bergheim|베르크하임de) 마을은 769년 문서에 처음 언급된다. 베르크하임은 현재 현대 하이델베르크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870년, 켈트족 요새의 이중 성벽 안에 있는 하일리겐베르크(Heiligenberg)에 성 미카엘 수도원이 세워졌다. 1130년경에는 네카르 계곡에 노이부르크 수도원이 세워졌다. 동시에 웜스(Worms) 주교구는 계곡으로 영향력을 확장하여 1142년 쇠나우 수도원(Schönau Abbey)을 설립하였다. 현대 하이델베르크는 12세기 이 수도원으로부터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하이델베르크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196년 쇠나우 수도원 문서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도시의 건립일로 간주된다. 1156년, 하이델베르크 성과 인근 정착지는 호엔슈타우펜 가문에 의해 장악되었다. 콘라트는 라인 팔츠 백작(Count Palatine of the Rhine)(Pfalzgraf bei Rhein|라인 팔츠 백작de)이 되었다. 1195년, 팔츠 선제후령(Electorate of the Palatinate)은 결혼을 통해 벨프 가문에게 넘어갔다. 1214년, 바이에른 공작 루트비히 1세(Ludwig I)가 팔츠를 획득하면서 성은 그의 지배하에 들어왔다. 1303년까지 방어를 위한 또 다른 성이 건설되었다. 1356년, 팔츠 백작들은 금칙서(Golden Bull)에서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받았을 뿐만 아니라 선제후(Electors)가 되었다. 1386년, 루프레히트 1세(Rupert I, Elector Palatine) 선제후에 의해 하이델베르크 대학교(Heidelberg University)가 설립되었다.[15]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중세 스콜라 철학, 르네상스 인문주의, 종교 개혁, 그리고 15세기와 16세기에 이어진 루터교와 칼뱅교 사이의 갈등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518년 4월, 마르틴 루터는 그의 ''95개조 논제''를 발표한 지 몇 달 후 하이델베르크에 와서 이를 옹호했다.

1421년에 설립된 하이델베르크 도서관은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기존 공공 도서관이다.

1537년, 산 위쪽에 위치한 성은 화약 폭발로 파괴되었다. 공작의 궁전은 아래쪽 성터에 세워졌다.

2. 2. 근세

16세기 하이델베르크는 종교 개혁 시기 칼뱅주의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프리드리히 3세 선제후의 의뢰로 1563년에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이 작성되었는데,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가 주요 저자로 알려져 있다.[16] 이 요리문답은 트리엔트 공의회의 결론과 아우크스부르크 종교 화의의 내용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성구 증거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으며, 프리드리히 3세는 이를 성서적인 것으로 옹호했다.[16]

1619년 프리드리히 5세 선제후에게 보헤미아 왕관이 제공되었으나, 그는 합스부르크가에 의해 축출되어 "겨울왕"으로 불리게 되었다. 1622년 요한 체르클라에스, 틸리 백작이 이끄는 가톨릭 동맹군이 도시를 점령하고, 팔라티나 도서관을 약탈했다.[58]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삼십년 전쟁이 종결되고, 카를 1세 루이스 선제후가 칭호와 토지를 회복했다. 1685년 카를 2세 선제후 사후, 루이 14세가 상속권을 주장하며 대동맹 전쟁이 발발했다. 1689년 프랑스군이 도시와 성을 점령하여 1693년에 거의 완전히 파괴했다.[59]

1720년, 카를 3세 필리프 선제후는 종교 갈등으로 인해 궁정을 만하임으로 옮겼다.[60] 1742년 카를 테오도르 선제후가 궁전 재건을 시작했으나, 1764년 벼락으로 인해 중단되었다.[60]

2. 3. 19세기 이후

1803년 라인강 연방의 중심 결의에 따라 팔츠 선제후령이 폐지되고, 하이델베르크를 포함한 라인강 우안의 영토는 바덴의 영토가 되었다. 바덴 대공 카를 프리드리히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를 국립 금융 교육 기관으로 지정하고, 대학교를 우수한 교육 시설로 재건했다. 그와 창립자인 선제후 루프레히트 1세의 공적을 기념하여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루프레히트-카를 대학교"로 개칭되었다. 카를 드라이스는 이 대학교 출신으로 자전거를 발명하여, 후대의 자동화된 개인 교통수단 개발의 문을 열었다.

19세기 초, 네카르 강변 도시 하이델베르크는 풍경의 매력과 그림 같은 성터로 독일 낭만파의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프리드리히 횔덜린, 아힘 폰 아르님, 클레멘스 브렌타노,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등 시인들의 작품은 "하이델베르크 낭만주의"로 알려져 있다. 아르님과 브렌타노는 1806년부터 1808년까지 "어린이의 마법의 뿔피리"라는 제목의 독일 민요집을 출판했다. 회화 분야에서도 카를 필립 포르, 카를 로트만, 에른스트 프리즈 등이 하이델베르크에서 예술 서클을 형성했다.

3월 혁명 이전 시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는 민족주의, 자유주의, 민주주의 사상이 대세를 이루었다. 3월 혁명 발발 후, 1848년 3월 5일에 남서 독일의 자유주의, 민주주의 정치인들이 하이델베르크에 모여 집회를 열었다. 이 집회가 예비 의회, 나아가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 창설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민의회 실패 후, 바덴의 5월 봉기는 프로이센군의 지원을 받아 진압되었다. 이때 하이델베르크에서도 자유주의 의용병과 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1840년에 하이델베르크가 철도망에 편입된 후, 관광업은 중요한 경제 요인이 되었다. 19세기 이후, 대학교와 학생회에 속한 학생들은 하이델베르크에 영향을 미쳤다. 요제프 빅토르 폰 셰퍼의 시 "알트 하이델베르크, 아름다운 도시"(후에 곡이 붙어 유명한 학생가가 되었다)와 1901년에 초연된 연극 "알트 하이델베르크"는 하이델베르크를 19세기 학생 생활의 상징으로 만들었다.

거품 회사 난립 시대에 하이델베르크는 급속도로 확장되었다. 여러 차례 합병을 통해 시역이 확장됨과 동시에, 1871년 20,000명이었던 인구는 1933년에는 85,000명으로 약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시전차와 산악 열차가 설치되고, 네카르 강의 운하화가 진행되는 등 사회 자본의 정비도 이루어졌다. 1930년에 미국 시민의 자선가로부터 기부금이 들어와 새로운 대학 강의동의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전쟁 피해를 입지 않은 하이델베르크는 많은 폭격 난민과 추방된 독일인들을 받아들였다. 하이델베르크는 미군 점령 지역에 포함되면서, 미군과 NATO군 고위 사령부가 설치되었다.[61]

루프레히트-카를스 대학교는 1946년 괴팅겐 대학교 다음으로 서독에서 두 번째로 교수진 재고용을 시작했다. 1951년부터 노이엔하임 펠트에 완전히 새로운 캠퍼스 건설 계획이 시작되었다. 1955년에는 중앙역이 당시 위치에서 1.2km 서쪽인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 하이델베르크 인구 증가에 따라 도시 남부에 완전히 새로운 주택지인 폭스베르크와 엠마르츠그룬트가 건설되었다. 네카어 계곡의 도시 치겔하우젠이 합병됨으로써 1975년 시 영역의 면적이 크게 확장되었다. 라이홀트 츠운델 시장 재임 중(1966년~1990년) 구시가지가 개축되었고, 하웁트 거리는 1.6km의 보행자 전용 도로가 되었으며, 비스마르크 광장은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되었다.

지하 조직 RAF(독일 적군)는 1970년대1980년대 두 차례에 걸쳐 미군 시설을 표적으로 한 테러 사건을 일으켰다.

하이델베르크 성과 구시가지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하려는 신청이 있었지만, 2005년2007년 두 차례 거부되었다.

2. 4. 나치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시대(1933-1945) 동안 하이델베르크는 나치당(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NSDAP)의 거점이었다. 1930년 지방 선거에서 30%의 득표율,[18] 1933년 3월 독일 연방 선거에서는 45.9%의 득표율을 얻었다.[19]

1934년과 1935년에 Reichsarbeitsdienst|국가노동봉사단de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학생들은 도시 북쪽 Heiligenberg|하일리겐베르크de에 팅슈테테 원형극장을 건설하여 나치당과 SS 행사를 개최했다. 몇 달 후, 에렌프리트호프 추모 묘지가 개장되었다. 이 묘지는 구시가지 남쪽, 쾨니히슈툴 언덕 남쪽에 있으며 서쪽으로 프랑스를 향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이후에는 독일 국방군 병사들이 이곳에 묻혔다.

라우어슈트라세에 있던 시나고그 자리 표지석


1938년 11월 9일 수정의 밤 동안 나치는 도시 두 곳의 회당을 불태웠다. 다음 날, 유대인 150명을 다하우 강제 수용소로 보냈다. 1940년 10월 22일, "바그너 뷔어켈 사건" 동안 하이델베르크 출신 281명을 포함한 지역 유대인 6000명을 프랑스의 구르 강제 수용소로 추방했다. 몇 달 만에 그들 중 1000명(하이델베르크 출신 201명)이 기아와 질병으로 사망했다.[20] 하이델베르크 출신 추방자 중 시인 알프레트 묄베르트(1872-1942)는 1941년 4월 스위스 시인 한스 라인하르트 덕분에 강제 수용소를 나왔지만, 수감 중에 걸린 질병으로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21] 1942년부터 구르 수용소에 수감되었던 추방자들은 동유럽으로 추방되어 대부분 살해당했다.

1945년 3월 29일, 독일군은 구 다리의 아치 세 개를 파괴한 후 도시를 떠났다. 하류의 더 현대적인 다리도 파괴했다. 미국 육군 제63보병사단(제7군)은 1945년 3월 30일 도시에 진입했다. 민간인들은 저항 없이 항복했다.[23]

하이델베르크는 대부분의 독일 도시들과 달리 전쟁 중 연합군의 폭격을 거의 받지 않았다.

2. 5. 전후

1945년 3월 29일, 독일군은 하이델베르크의 구 다리 아치 세 개를 파괴하고 도시를 떠났지만, 다음 날 미군(미국 제63보병사단, 제7군)이 큰 저항 없이 도시에 진입했다.[23] 하이델베르크는 전쟁 중 연합군의 폭격을 받지 않아, 전후 미군 주둔지로 사용되었다.

1945년, 알프레트 베버카를 야스퍼스 등의 주도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가 재개교했다.[24] 1946년에는 서독에서 두 번째로 교수진 재고용을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하이델베르크는 독일의 미군 점령 지역에 포함되면서, 유럽 주둔 미군의 본부가 되었다. 주요 군 시설은 캠벨 막사였으며, 이곳에는 미 육군 유럽(USAREUR) 및 NATO의 육군 사령부가 주둔했다.

2009년 10월 19일, 미 육군은 비스바덴에 USAREUR을 위한 새로운 본부를 건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5] 2015년까지 모든 미군이 하이델베르크를 떠났고, 막사와 주택 지역은 민간 용도로 전환하기 위해 독일 국가에 반환되었다.

3. 지리

하이델베르크는 라인 평원 동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네카어 강이 오덴발트 산맥의 좁은 계곡을 빠져나와 만하임으로 향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만하임에서 네카어 강은 라인 강과 합류한다.[52]

도시의 일부 지역, 특히 하이델베르크 구시가지와 하이델베르크 성은 좁은 네카어 계곡에 있다. 다른 지역들은 라인 평원과 베르크슈트라세를 따라 펼쳐져 있는데, 베르크슈트라세는 평원과 오덴발트 산맥의 경계를 따라 형성된 좁은 지역이다.

하이델베르크는 쾨니히슈툴(568m), 가이스베르크(375m), 하일리겐베르크(445m) 산들에 둘러싸여 있으며, 유럽 도보 여행로 E1에 있다.

쾨니히슈툴에서 본 하이델베르크

3. 1. 기후

하이델베르크는 프팔츠숲과 오덴발트 사이의 보호된 계곡에 위치하여 쾨펜 기후 구분 ''Cfb''의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연중 온화한 기온은 대서양 기단과 지중해의 영향으로 나타난다.[88][89]

인근 라인 분지와 달리, 하이델베르크는 계곡에 위치해 평균보다 동풍이 더 자주 분다. 오덴발트의 산비탈은 구름과 강수량을 증가시킨다. 독일 기상청에 따르면, 하이델베르크는 2009년 독일에서 가장 따뜻한 곳이었다.[8][9][10]

봄은 독일 평균보다 일찍 시작되며, 여름은 6월부터 9월까지 지속된다. 겨울은 대부분 온화하지만, 가장 추운 달에는 가벼운 야간 서리가 발생한다.

독일 기상청 하이델베르크 관측소의 1971년부터 2000년까지의 평균 기온은 11.1℃이며, 평균 연간 강수량은 745mm였다. 가장 따뜻한 달은 7월로 평균 기온이 20.1℃이며,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기온이 2.5℃였다. 한여름에는 30℃를 넘는 날도 드물지 않다. 강수량의 대부분은 7월에 집중되며, 가장 건조한 달은 2월이다.[54][55]

1971년부터 2000년까지 하이델베르크의 월별 평균 기온과 강수량[54][5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기온 (°C)2.53.67.310.515.217.820.119.815.911.16.03.611.1
강수량 (mm)484453497779815664646863745


3. 2. 식생

하이델베르크는 독일에서 가장 따뜻한 지역 중 하나이며, 중앙유럽 기후에서는 보기 드문 아몬드, 무화과나무, 여러 종류의 야자수와 올리브 나무 등이 자란다. 구시가지 맞은편에 있는 철학자의 길을 따라 2000년에 포도 재배가 재개되었다.[6]

아프리카 붉은목뿔새의 야생 개체군[7]과 시베리아 혹고니의 야생 개체군이 있으며, 주로 베르크하임 지역 근처 네카르 강의 섬에서 볼 수 있다.

3. 3. 동물

하이델베르크에는 붉은목도요새(와카케혼세이인코)와 큰고니(사카츠라간)의 야생 개체군이 있으며,[7] 주로 베르크하임 지역 근처 네카르 강의 섬에서 볼 수 있다.

4. 행정 구역

하이델베르크는 카를스루에 행정구 내의 단일 자치구이며, 라인-넥카르 대도시권의 일부이다.

하이델베르크는 6개의 구역에 걸쳐 15개의 지역으로 구성된다. 중심 지역에는 알트슈타트(구시가지), 베어카임, 베스트슈타트가 있고, 북쪽에는 노이엔하임과 한드슈슈하임, 동쪽에는 치겔하우젠과 슐리어바흐, 남쪽에는 쥐트슈타트, 로어바흐, 에머츠그룬트, 복스베르크, 남서쪽에는 키르히하임, 서쪽에는 파펜그룬트, 비블링겐이 있다. 베스트슈타트와 비블링겐의 토지에는 Bahnstadt|반슈타트de라는 새로운 지역이 건설되고 있다.[7]

하이델베르크는 15개의 시구(市區)와 47개의 구역으로 구성된다.

다음은 하이델베르크 시와 직접 경계를 접하고 있는 자치구들이다. (서쪽에서 시계 방향): 에딩겐-네커하우젠(Edingen-Neckarhausen), 도센하임(Dossenheim), 슐리스하임(Schriesheim), 빌헬름스펠트(Wilhelmsfeld), 셰나우(오덴발트)(Schönau (Odenwald)), 네커게뮌트(Neckargemünd), 밤멘탈(Bammental), 가이베르크(Gaiberg), 라이멘(바덴)(Leimen (Baden)), 잔트하우젠(Sandhausen), 오프터스하임(Oftersheim), 플랑크슈타트(Plankstadt), 에펠하임(Eppelheim) (이상 모두 라인-네카르 군) 및 만하임(Mannheim).

5. 인구

1946년 하이델베르크 시의 인구가 처음으로 10만 명을 돌파했으며,[28] 2020년에는 약 16만 명에 달했다. 하이델베르크는 국제적인 인구 구성을 가진 도시로, 특히 북미 지역을 제외하고 가장 큰 미국인 공동체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는 하이델베르크 인구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다.[28]

1833년까지의 인구 수치는 대부분 추정치이며, 그 이후는 당시 통계청 또는 시 행정부의 인구 조사 결과 또는 공식 업데이트이다. 1843년부터는 "지역 인구", 1925년부터는 "거주 인구", 1987년부터는 "주된 거주지 인구"를 나타낸다. 1843년 이전에는 인구 조사 절차가 일관되지 않았다.

연도인구
14395,200
15886,300
178410,754
187522,334
190040,121
191056,016
191960,831
192573,034
193384,641
194595,811
1950116,488
1956121,910
1961125,264
1965125,507
1970129,656
1975129,368
1980133,227
1985134,724
1990136,796
1995138,781
2000140,259
2005142,933
2010147,312
2015156,267
2020159,245



2022년 12월 31일 기준 하이델베르크의 외국인 인구는 다음과 같다.

순위국적인구
1Türkiye|튀르키예tr2,921
2United States|미국영어1,670
3Italia|이탈리아it1,538
4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1,453
5Polska|폴란드pl1,283
6ܐܬܘܪܐ ܕܣܘܪܝܐ|시리아syc1,135
7France|프랑스프랑스어1,067
8Hrvatska|크로아티아hr972
9العراق|이라크ar915
10Србија|세르비아sr864



하이델베르크 인구 추이

6. 문화

하이델베르크에서는 1년 내내 다양한 축제와 행사가 열린다.

2월에는 Ball der Vampire|뱀파이어 무도회de[36]가 열리고, 독일 일부 지역의 카니발과 같은 파싱이 열린다. 이 행사에서는 현지 성이나 시청에서 뱀파이어를 주제로 한 의상 파티가 열린다. 3월이나 4월에는 하이델베르크 봄 축제라는 클래식 음악 축제와 국제 부활절 달걀 시장이 열린다. 4월 마지막 주말에는 매년 하프 마라톤이 개최된다.

여름에는 메세플라츠(5월)에서 Frühlingsmessede가 열리고, 성과 다리에 조명과 불꽃놀이가 펼쳐진다. 9월 마지막 토요일에는 ''구시가지 가을 축제''가 열리는데,[37] 중세 시장, 공예 시장, 벼룩 시장, 삼바부터 록까지 다양한 음악 공연이 포함된다. 10월이나 11월에는 ''하이델베르크 연극제''와 Enjoy Jazz 축제가 열린다.

매년 11월에는 만하임-하이델베르크 국제 영화제가 열린다. 이 영화제는 국제적인 신인 감독들의 예술 영화를 선보이며, 만하임과 하이델베르크 두 도시가 공동으로 개최한다.[38] 크리스마스 기간에는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지역 전체에 크리스마스 시장이 열린다. 하이델베르크 Studentenkuss|학생의 키스de라는 초콜릿은 유명한 선물이다.

독일 전역의 영화관 폐업 추세는 하이델베르크에 큰 타격을 입혔다.[39][40][41] 최근 몇 년 동안 15만 명이 넘는 인구를 가진 이 도시에 총 450석 미만의 작은 영화관 세 곳만 남았을 정도였다.[42] 2017년 말, 하이델베르크에 "룩소르 필름팔라스트(Luxor Filmpalast)"라는 새로운 멀티플렉스가 생기면서 상황이 다소 개선되었다. 룩소르는 주로 독일어로 된 블록버스터 영화를 상영하지만, 일부 영화는 영어로 상영하기도 한다.[43]

구시가에 있는 2개관의 작은 영화관 "글로리아/글로리에테(Gloria/Gloriette)"와 제휴관인 "카메라(Kamera)"(노이엔하임)에서는 예술 영화와 독립 영화를 상영하며, 일부 영화는 원어로 상영되고 보통 독일어 자막이 제공된다.[44] 비영리 영화관인 "칼슈토르키노(Karlstorkino)"(구시가 동쪽 끝, 강가에 위치)에서는 국제 예술 영화와 가끔 다큐멘터리 영화를 상영한다. 이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독일어가 아닌 영화의 대부분은 원어로 상영되며, 영화에 따라 영어 또는 독일어 자막이 제공된다.[45]

칼 필립 포르(Karl Philipp Fohr)가 1815년에 그린 하이델베르크 성 폐허의 낭만적인 풍경 (헤세 주립 박물관 다름슈타트 소장)


하이델베르크는 독일 Romantik|낭만주의de (독일 낭만주의) 시대의 중심지였다. 예나 낭만주의 이후의 시기를 '''하이델베르크 낭만주의'''라고 부르기도 한다.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요한 요제프 폰 괴레스, 루트비히 아힘 폰 아르님, 클레멘스 브렌타노 등 유명한 시인들이 '''하이델베르크 낭만주의자들'''로 불렸다. 낭만주의의 유물로는 근처 하일리겐베르크(Heiligenberg) 언덕에 있는 아름다운 산책로인 철학자의 길( )이 있으며, 이곳에서는 하이델베르크를 내려다볼 수 있다.

독일 철학과 문학의 Romantik|낭만주의de 시대는 고전주의적이고 현실적인 문학 이론에 반하는 운동으로, 계몽주의의 합리성과 대조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이 운동은 중세주의와 중세 시대 것으로 여겨지는 예술 및 서사 요소를 높이 평가했다. 또한 민중 예술, 자연, 그리고 자연에 기반한 인식론을 강조했는데, 여기에는 언어, 관습, 용법의 형태로 자연에 의해 조건화된 인간 활동이 포함되었다.

1901년 빌헬름 마이어-외르스터는 연극 ''알트 하이델베르크''를 집필했으며, 이후 많은 영화로 각색되었다. 이 작품은 1924년 지그문트 롬베르크의 오페레타 ''학생 왕자''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 작품 또한 같은 제목의 영화로 제작되었다.

프레드 레이먼드가 작곡한 1925년 노래 "I Lost My Heart in Heidelberg"는 큰 히트를 기록했으며, 무대 뮤지컬과 두 편의 영화에 영감을 주었다. 이 노래는 현재까지도 하이델베르크의 주제가로 남아 있다.

하이델베르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축제가 열린다.

행사
3월/4월「하이델베르크의 봄」 ― 국제적인 음악가들을 초청하여 열리는 클래식 음악과 현대 음악의 음악제
3월/4월하이델베르크 국제 부활절 시장
부활절 전 3주간 (종려주일)겨울맞이 축제 퍼레이드
4월 마지막 주말하프 마라톤
4월/5월「하이델베르크 슈튀크 마르크트」 ― 젊은 작가들의 연극제
4월/5월「하이델베르거 심포지엄」
초여름시에서 제정한 클레멘스 브렌타노 상 시상식
5월메스 광장에서 열리는 「봄 메세」
5월하이델베르크 레가타 경주
7월광장과 극장에서 열리는 「연극 마라톤」
7월/8월「하이델베르크 성내 연극제」
7월/8월「하이델베르크만」― 트라이애슬론
6월부터 9월6월, 9월 첫째 토요일과 7월 둘째 토요일에 열리는 「하이델베르크 성 라이트업」 알트 브뤼케에서의 불꽃놀이
9월 마지막 토요일「하이델베르크의 가을」 알트슈타트와 보행자 전용 구역에서 열리는 축제
10월가을 메세
10월/11월「엔조이 재즈」 국제적인 재즈 페스티벌
11월만하임-하이델베르크 국제 영화제
11월/12월알트슈타트의 크리스마스 시장


6. 1. 주요 명소

넥카르 강 남쪽 기슭에 위치한 "구시가지"(Altstadtde)는 길고 좁은 형태이며, 넥카르 강에서 80미터 높이의 Königstuhlde 언덕 가파른 숲 비탈에 있는 하이델베르크 성이 내려다보고 있다.

구시가지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명소들이 있다.

  • 마인 거리(Hauptstrassede): 구시가지를 따라 1마일 길이로 이어지는 보행자 전용 거리이다.
  • 하이델베르크 성령 교회(Heiliggeistkirche): 구시가지 시장 광장에 있는 후기 고딕 양식의 교회이다.
  • 칼스토르(Karlstorde): 선제후 칼 테오도어를 기리는 개선문으로 하이델베르크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1775년에서 1781년 사이에 니콜라 드 피가주의 설계로 건설되었다.
  • Zum Ritter Sankt Georgde: 왕위 계승 전쟁에서 살아남은 몇 안 되는 건물 중 하나로, 성령 교회 맞은편에 있다. 후기 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꼭대기에 있는 조각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Marstallde: 넥카르 강변에 있는 16세기 건물로, 역사를 통해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대학의 카페테리아로 사용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에는 역사적인 교회들이 많다. 하이델베르크 성령 교회는 종교 개혁 이후 수세기 동안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양쪽 모두가 공유했다. 1720년 칼 3세 필립 팔츠 선제후는 성령 교회를 가톨릭 신자들에게만 배타적으로 사용하도록 허락하여 프로테스탄트 신자들과 갈등을 빚었으나, 프로이센, 네덜란드, 스웨덴의 압력으로 공동 사용하도록 재분할했다. 1936년 분리벽이 제거된 후 현재는 프로테스탄트 신자들만이 사용하고 있다.

예수회 가톨릭 교회는 1712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1866년부터 1872년까지 종탑이 추가되면서 완공되었다. 이 교회는 교회 예술 박물관(Museum für sakrale Kunst und Liturgie)을 소장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는 성 페터 교회(현재 루터교 교회)로, 12세기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6. 1. 1. 하이델베르크 성

하이델베르크 요새


콘 마르크트(Corn Market)에서 바라본 성의 모습


야경의 하이델베르크 성


하이델베르크 성의 역사 지도


하이델베르크 성은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성터 중 하나로, 고딕 양식부터 르네상스 양식까지 다양한 건축 양식이 혼합되어 있다.[31] 16세기와 17세기에 선제후들은 궁전 건물 두 채를 더 지어 요새를 성으로 바꾸었다. 안뜰 동쪽과 북쪽에 있는 주요 건물 두 채는 오트하인리히 (1556~1559)와 프리드리히 4세 (1583~1610) 통치 시대에 세워졌다. 프리드리히 5세 (1613~1619) 치하에서는 서쪽에 있는 주요 건물인 소위 "잉글리시 빌딩"이 세워졌다.[31]

선제후 루프레히트 3세 (1398~1410)는 안뜰에 첫 건물을 왕궁으로 세웠다. 이 건물은 돌로 지은 지하층과 목조 상층으로 나뉘어 있었다. 루프레히트 건물 맞은편에는 또 다른 왕궁 건물인 분수홀이 있다. 선제후 필립 (1476~1508)은 잉겔하임에 있던 샤를마뉴의 낡은 궁전 기둥을 옮겨 분수홀을 만들었다고 한다.[31]

이 성과 정원은 30년 전쟁과 팔츠 계승 전쟁 때 여러 번 파괴되었다. 1689년과 1693년에 프랑스군에게 파괴되었고,[78] 선제후 카를 테오도르가 성을 복원하려 했지만, 1764년 벼락을 맞아 모든 재건 시도가 끝났다. 이후 성은 채석장으로 쓰여 성돌이 하이델베르크의 새집을 짓는 데 사용되었다. 1800년 그라임베르크 백작 샤를 드 그라임베르크가 성 보존 작업을 시작하면서 이러한 상황은 중단되었다.[31]

내부는 고딕 양식이지만, 왕의 홀은 1934년에야 지어졌다. 오늘날 이 홀은 만찬, 무도회, 연극 공연 등 축제에 사용된다. 여름 하이델베르크 성 축제 기간 동안 안뜰에서는 하이델베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야외 뮤지컬, 오페라, 연극 공연, 클래식 콘서트를 연다.[31]

성 주변에는 괴테가 산책했던 공원이 있다. 하이델베르크 베르크반 케이블카는 콘마르크트에서 성을 거쳐 쾨니히슈툴 정상까지 운행한다.[31] 성은 하이델베르크 도시 전체와 네카르 계곡을 내려다본다.[31]

프리드리히관


하이델베르크 성의 대형 술통

6. 1. 2. 알테 브뤼케 (구 다리)

알테 브뤼케(옛 돌다리)는 1786년에서 1788년 사이에 건설되었다.[77] 중세 시대 다리 문은 구시가지 쪽에 있으며, 원래는 성벽의 일부였다.[77] 바로크 양식의 탑 헬멧은 1788년 돌다리 건설의 일환으로 추가되었다.[77]

칼스플라츠와 넥카르 강, 그리고 구 다리


2010년 촬영, 전경에 알테 브뤼케(옛 다리)가 보이는 하이델베르크 성

6. 1. 3. 철학자의 길

Philosophenwegde은 네카르 강 북쪽 하이리겐베르크 산 중턱에 있는 산책로로, 아름다운 구시가지와 성의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31] 전통적으로 하이델베르크의 철학자들과 대학교수들은 이 길을 따라 걸으며 담소를 나누었다. 산 위쪽에는 11세기의 슈테판 수도원 유적과 더 작은 슈테판 수도원, 나치 시대의 원형극장, 이른바 이교도의 구멍(Pagan's hole), 기원전 4세기의 고대 켈트족 언덕 성채 유적이 있다.

에서 바라본 구시가지 전경. 하이델베르크 성, 성령 교회, 옛 다리가 보인다.

6. 2. 박물관

하이델베르크에는 다양한 박물관이 있다. 쿠어프팔츠 박물관(팔츠 선제후 박물관)은 팔츠 선제후의 역사와 관련된 유물을 전시한다. 이 박물관은 프랑스 망명자 샤를 드 그라임베르크 백작이 수집한 동전, 무기, 그림 등을 바탕으로 설립되었으며, 틸만 리멘슈나이더의 12사도 제단도 소장하고 있다.[61] 1908년 모라스 저택에 개관한 이후 소장품이 계속 증가하여 현재는 선사 시대부터 팔츠 선제후령의 역사를 보여주는 자료들을 전시하고 있다.

칼 보슈의 삶과 업적을 보여주는 칼 보슈 박물관, 독일 약학의 역사를 보여주는 독일 약국 박물관(하이델베르크 성에 위치)도 있다.[61] 나치 시대 싱티와 로마인 학살을 다루는 독일 싱티 및 로마 문화 기록 보존 센터도 중요한 박물관이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박물관들이 있다.

  • 민족 박물관: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의 예술 작품과 민속 자료를 전시한다.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기념관: 독일 최초의 민주적 국가 원수인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의 삶을 기념하는 곳이다.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박물관: 학생 감옥, 대학 도서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대학 도서관에는 중세 독일어 가요 필사본인 마네세 사본이 소장되어 있다.
  • 향토 박물관: 5개 시구(한트슈스하임, 키르히하임, 노이엔하임, 롤바흐, 치겔하우젠)에서 운영하며, 각 지역의 역사를 소개한다.
  • 존 라베 커뮤니케이션 센터
  • 하이델베르크 동물원: 1934년에 개장했으며, 약 200종 1000마리의 동물을 보유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는 만하임, 루트비히스하펜 암 라인과 함께 매년 '박물관의 긴 밤' 행사를 개최하는데, 이는 베를린에 이어 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박물관 행사이다.

6. 3. 행사

하이델베르크에서는 일년 내내 여러 축제와 행사가 개최되고 조직된다.[36] 2월에는 뱀파이어 무도회(Ball der Vampirede)가 열리고, 독일 일부 지역의 카니발과 같은 파싱이 열리며, 현지 성이나 시청에서 거대한 뱀파이어를 테마로 한 의상 파티가 열린다. 3월이나 4월에는 하이델베르크 봄 축제인 클래식 음악 축제와 국제 부활절 달걀 시장이 열린다. 4월 마지막 주말에는 매년 하프 마라톤이 열린다. 여름에는 메세플라츠(5월)에서 Frühlingsmessede가 열리고, 성과 다리에 조명과 불꽃놀이가 펼쳐진다. 9월 마지막 토요일에는 ''구시가지 가을 축제''가 열린다.[37] 여기에는 중세 시장, 공예 시장, 벼룩 시장, 삼바부터 록까지 다양한 음악이 포함된다. 10월이나 11월에는 ''하이델베르크 연극제''와 Enjoy Jazz 축제가 열린다. 매년 11월에는 만하임-하이델베르크 국제 영화제가 이 도시에서 열린다. 이 영화제는 국제적인 신인 감독들의 예술 영화를 선보이며, 두 도시가 공동으로 개최한다.[38] 크리스마스 기간에는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지역 전체에 크리스마스 시장이 열린다. 유명한 선물로는 하이델베르크 학생의 키스(Studentenkussde)라는 초콜릿이 있다.

하이델베르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축제가 열린다.

  • 3월/4월: 「하이델베르크의 봄」 ― 국제적인 음악가들을 초청하여 열리는 클래식 음악과 현대 음악의 음악제
  • 3월/4월: 하이델베르크 국제 부활절 시장
  • 부활절 전 3주간 (종려주일): 겨울맞이 축제 퍼레이드
  • 4월 마지막 주말: 하프 마라톤
  • 4월/5월: 「하이델베르크 슈튀크 마르크트」 ― 젊은 작가들의 연극제
  • 4월/5월: 「하이델베르거 심포지엄」
  • 초여름: 시에서 제정한 클레멘스 브렌타노 상 시상식
  • 5월: 메스 광장에서 열리는 「봄 메세」
  • 5월: 하이델베르크 레가타 경주
  • 7월: 광장과 극장에서 열리는 「연극 마라톤」
  • 7월/8월: 「하이델베르크 성내 연극제」
  • 7월/8월: 「하이델베르크만」― 트라이애슬론
  • 6월부터 9월: 6월, 9월 첫째 토요일과 7월 둘째 토요일에 열리는 「하이델베르크 성 라이트업」 알트 브뤼케에서의 불꽃놀이
  • 9월 마지막 토요일: 「하이델베르크의 가을」 알트슈타트와 보행자 전용 구역에서 열리는 축제
  • 10월: 가을 메세
  • 10월/11월: 「엔조이 재즈」 국제적인 재즈 페스티벌
  • 11월: 만하임-하이델베르크 국제 영화제
  • 11월/12월: 알트슈타트의 크리스마스 시장

7. 교육

하이델베르크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Heidelberg University)를 비롯한 여러 고등 교육 기관으로 유명하다. 1386년에 설립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며, 유럽에서도 가장 오래된 대학 중 하나이다.[74] 1904년에는 교육 과학 대학인 Pädagogische Hochschule Heidelbergde이, 1979년에는 유대 연구 대학인 Hochschule für Jüdische Studien Heidelbergde이 설립되었다. 사립 미국 대학인 실러 국제 대학교(Schiller International University)도 하이델베르크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유럽 분자생물학 연구소 건물, 새로운 고급 교육 센터 포함


대학교 외에도 유럽 분자생물학 연구소(EMBL), 독일 암 연구 센터(DKFZ), 막스 플랑크 의학 연구소 등 여러 연구 기관들이 하이델베르크에 위치해 있다.[32]

하이델베르크에는 23개의 초등학교와 김나지움(Gymnasium), 레알슐레(Realschule), 하웁트슐레(Hauptschule), 직업학교(Berufsschule)등 다양한 수준의 중등 교육 기관이 있다. 14개의 김나지움 중 6개는 사립이며, 중등 학생의 52%가 김나지움에 다녀 독일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보인다.[32] 하이델베르크 국제학교는 현지 거주 외국인 공동체를 위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교수학과 교원 양성을 위한 주립 양성소, 시민대학교, 음악 및 노래 학교, 호텔 전문학교, 사설 직업 전문학교, 독일 암 연구 센터의 교육 부서인 라이프 사이언스 랩 등이 있다. 1984년에는 60세 이상 노인을 위한 아카데미가 설립되어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7. 1. 대학교

대학 도서관


구 대학 강당


SRH 하이델베르크 고등교육기관(SRH Hochschule Heidelberg)은 독일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사립 대학교 중 하나이다.


하이델베르크는 고등 교육 기관으로 유명하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Heidelberg University)이다. 1386년에 설립된 이 대학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중 하나이다. 사실, 하이델베르크는 오늘날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도시이다.[74] 이 대학과 관련된 저명한 사상가들로는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칼 야스퍼스(Karl Jaspers), 한스-게오르크 가다머(Hans-Georg Gadamer),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 칼-오토 아펠(Karl-Otto Apel),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가 있다. 캠퍼스는 두 개의 도시 지역과 여러 건물에 걸쳐 있다. 구시가지의 수많은 역사적 건물에는 인문학(Humanities), 사회과학(Social Science), 법학부가 있다. 응용과학부는 비블링겐(Wieblingen)의 "과학 타워"에 위치해 있다. 의학부와 자연과학(Natural Science)부는 노이엔하이머 펠트(Neuenheimer Feld) 캠퍼스에 자리 잡고 있다.

2014년 기준으로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총 학부생 수는 30,898명이다. 이 대학의 등록률은 16.3%이다. 전체 학생 수의 20% 미만이 외국인 학생이다. 이 대학은 신학, 법학, 철학, 현대 언어, 경제학 및 사회과학과 같이 국내 학생들을 위한 많은 연구 분야를 가지고 있다. 이 대학은 학생들에게 수업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학교의 학사 일정은 학기제이며, 대부분의 강의 언어는 독일어이다. 외국인 학생의 경우 학사 일정은 블록 일정을 기반으로 한다. 외국인 학생들은 5주 단위의 블록 기간에 수업을 듣는다. "Uni"라고도 불리는 이 대학은 각각 다른 연구 분야를 포함하는 세 개의 캠퍼스로 나뉘어져 있다.

1904년에 교육 과학 대학인 Pädagogische Hochschule Heidelbergde이 설립되었으며, 1979년에는 유대 연구 대학인 Hochschule für Jüdische Studien Heidelbergde이 설립되었다. 이 대학은 종교와 유대 문화를 전문으로 하는 9개의 분과로 구성되어 있다. 사립 미국 대학인 실러 국제 대학교(Schiller International University)도 하이델베르크에 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국제 비즈니스와 국제 관계 및 외교 분야에서 여러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에는 23개의 초등학교가 있다. 공립 및 사립 모두를 포함하여 다양한 수준의 독일 교육제도를 대표하는 여러 중등 교육 기관이 있다. 14개의 김나지움이 있으며, 그중 6개는 사립이다. 중등 학생의 52%가 김나지움에 다니는 하이델베르크는 독일 평균을 상회하는데, 이는 많은 학자들이 하이델베르크와 그 주변 지역에 거주하기 때문일 것이다.[32] 김나지움에는 , , 헬름홀츠-김나지움, 홀더린-김나지움, 엘리자베트-폰-타덴-슐레가 있다. 그 외에도 7개의 레알슐레, 10개의 하웁트슐레, 그리고 9개의 직업학교(소위 베루프슐레de)가 있다. 또한, 다양한 전문 분야를 가진 여러 인민고등학교가 있다.[32] 하이델베르크 국제학교는 현지 거주 외국인 공동체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이델베르크에는 교수학과 교원(김나지움 및 특수학교 교원) 양성을 위한 주립 양성소가 있다. 하이델베르크시는 시민대학교 외에도 요하네스 브람스 홀에서 음악과 노래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도 호텔 전문학교와 다양한 사설 직업 전문학교가 있다. 또한 독일 암 연구 센터의 교육 부서인 라이프 사이언스 랩과 같은 교육 기관도 있다.

1984년 동호회로 결성된 노인을 위한 아카데미는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분야의 강연회와 세미나 등을 통해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7. 2. 연구 기관

하이델베르크에는 유럽 분자생물학 연구소(EMBL), 독일 암 연구 센터(DKFZ), 막스 플랑크 의학 연구소를 비롯한 수많은 연구 기관이 있다.[32] 막스 플랑크 재단은 하이델베르크에 4개의 연구소를 두고 있다. 외국 공법과 국제법을 위한 막스 플랑크 연구소, 막스 플랑크 핵물리학 연구소, 막스 플랑크 천문학 연구소, 막스 플랑크 의학 연구소가 그것이다.

그 외에도 조경에 관한 주립 학습·연구 기관, 쾨니히슈툴 천문대, 하이델베르크 학술 아카데미, 응용 정보학 민간 연구 기관인 유럽 미디어 연구소(EML) 등이 있다.[32]

하이델베르크 루프레히트 칼 대학교는 하이델베르크 연구기관의 가장 중요한 설립 기관이다. 대학교 산하에는 바이오케미컬센터 하이델베르크(BZH), 신경과학을 위한 학제간 연구센터(IZN), 남아시아연구소(SAI), 미국학을 위한 하이델베르크센터(HCA), 하이델베르크 라틴아메리카 센터, 하이델베르크 천문학센터(ZAH) 등 많은 연구소가 있다. 2007년 초에는 분자세포생물시스템의 정량적 분석센터(BIOQUANT)가 노이엔하이머 펠트에 새로 설립되었다.[32]

1964년에는 독일 암 연구 센터(DKFZ)가, 1983년에는 하이델베르크 분자생물학센터(ZMBH)가 설립되었다. 두 연구소 모두 생물학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32]

유럽 분자생물학 연구소(EMBL)의 중앙 연구소는 하이델베르크에 있다. EMBL은 1974년에 설립되었으며, 몬테로토운도(이탈리아), 힌크스톤(영국), 그르노블(프랑스), 함부르크(독일)에 연구 시설을 보유하고 있고, 유럽 18개국이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32]

8. 경제

하이델베르크는 라인-네카르 지역의 서비스업과 학문의 중심지이다. 2007년 기준으로 근로자의 79.6%가 서비스업, 19.9%가 제조업에 종사하며,[65] 75,600명의 근로자 중 69%가 시외에서 통근한다. 2007년 실업률은 6.8%였다.[66] [67]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와 부속 병원이 가장 큰 고용주로, 15,000명 이상이 근무한다. ABB Stotz-Kontakt (자동화 시스템 개발), 하이델베르크 드룩마시넨 (인쇄기 제조), 하이델베르크 머티리얼즈 (시멘트 제조), Henkel-Teroson (세제, 접착제 등 화학 제품 제조), 람 (Lamy) (필기구), ProMinent Dosiertechnik, SAP (컴퓨터 소프트웨어), SAS 인스티튜트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본사를 두고 있다.[68]

지역 금융 기관으로는 북바덴 최대 저축은행인 하이델베르크 저축은행이 있다.[69] 하이델베르크에는 지방법원, 지방재판소, 검찰청, 노동재판소 지부, 공증사무소가 있으며, 프로테스탄트 바덴 지역교회 하이델베르크 교회관구 본부와 가톨릭 프라이부르크 대교구 하이델베르크 수석사제구 본부도 있다.

과거 하이델베르크는 NATO 중부유럽 육군사령부 소재지였으며, 미군 제7군 사령부가 캠프 벨 병영에 있었다. 주변 지역에도 미군 시설이 있었다.

8. 1. 관광

하이델베르크는 낭만적인 도시 이미지를 활용하여 매년 1,19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52] 겨울철에 열리는 크리스마스 마켓은 가장 큰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하이델베르크는 다음과 같은 네 개의 관광 도로에 위치해 있다.

도로 이름
베르크슈트라세
베르타 벤츠 기념 루트
성의 길
슈트라세 데어 데모크라티(민주주의의 길)



2006년 12월에는 독일 최초로 무선랜(WLAN)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여행객들은 알트슈타트(Altstadt)의 관광 명소와 레스토랑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8. 2. 산업

하이델베르크는 라인-네카르 지역의 서비스업과 학문의 중심지이다. 2007년 통계에 따르면, 근로자의 79.6%가 서비스업, 19.9%가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다.[65] 75,600명의 근로자 중 69%가 시외에서 통근하는 사람들이다. 2007년 현재 실업률은 6.8%였다.[66][67]

하이델베르크에서 가장 큰 고용주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와 그 부속 병원으로, 15,000명 이상이 일하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드룩마시넨(Heidelberger Druckmaschinen)(인쇄기 제조), 하이델베르크 머티리얼즈(시멘트 제조), 람(Lamy)(필기구)과 같은 세계적인 기업들이 이 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68]

하이델베르크 인쇄기 주식회사(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본사에 있는 사무실 겸 교육 시설인 "프린트 미디어 아카데미". 전경의 흰색 조형물은 S-Printing Horse라고 불린다.

9. 교통

하이델베르크는 독일의 주요 교통 요지 중 하나로, 도로, 철도, 대중교통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A 5 아우토반과 A 656 아우토반이 도시를 통과하며, B 3번 연방도로, B 37, B 535번 연방도로가 도시의 주요 도로이다.

하이델베르크 중앙역(Heidelberg Hauptbahnhof)은 라인 계곡 철도의 주요 역 중 하나이며, 라인네카 S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다.

1883년 시작된 대중교통은 트램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라인-네카르-페어케어(Rhein-Neckar-Verkehr)(RNV)가 트램과 버스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카셰어링(Carsharing) 서비스도 제공된다.

하이델베르크 베르크반(Heidelberger Bergbahn)(하이델베르크 산악 철도)은 하이델베르크 성(Heidelberg Castle)까지 운행되는 케이블카이다.

9. 1. 도로

하이델베르크는 A 5 아우토반과 A 656 아우토반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A5 아우토반은 하이델베르크 서쪽 외곽을 지나 북쪽의 프랑크푸르트암마인과 남쪽의 칼스루에를 연결하고, A656 아우토반은 도시 서쪽에서 시작하여 하이델베르크와 만하임을 연결한다. 두 고속도로는 하이델베르크 아우토반 교차로에서 만난다.

또한, B 3번 연방도로는 도시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B 37은 동서로 통과한다. 이 두 도로는 시내 중심부의 비스마르크 광장에서 만난다. B 535번 연방도로는 하이델베르크 남쪽에서 시작하여 슈베칭겐으로 이어진다.[70]

9. 2. 철도

하이델베르크 중앙역은 라인 계곡 철도에 위치하며 ICE와 유로시티 열차가 정차한다. 이 역은 라인네카 S반이 운행된다. 중앙역 외부에는 시외버스 정류장도 있다.[33] 1955년, 역은 서쪽으로 약 1.5km 이동되었는데, 이로 인해 북쪽이나 남쪽으로 계속 운행하는 열차의 방향 전환이 불필요하게 되었다.

DB 열차 하이델베르크 중앙역(Heidelberg Hauptbahnhof)

9. 3. 대중교통

하이델베르크의 주요 교통 중심지는 비스마르크 광장이다. 도시의 여러 주요 간선도로가 이곳에서 교차하며, 유럽에서 가장 긴 보행자 전용 거리 중 하나인 하우프트슈트라세(중앙거리)가 이곳에서 하이델베르크 구시가지를 통과한다. 하이델베르크 중앙역은 오랫동안 종착역이자 통과역으로 이 근처에 있었으나, 1955년 서쪽으로 약 1.5km 이동하여 북쪽이나 남쪽으로 계속 운행하는 열차의 방향 전환이 불필요하게 되었다. 새로운 중앙역은 하이델베르크의 두 번째 주요 교통 중심지가 되었다.

하이델베르크는 1883년 말이 끄는 트램 운행을 시작으로 대중교통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용객 급증에 따라 1901년 12월 20일 하이델베르크 트램 네트워크를 전기 운행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1902년 3월 16일, 최초의 전기 트램이 로르바허슈트라세를 운행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1901년 Deutsche Eisenbahn-Gesellschaftde가 하이델베르크와 비스로흐(Wiesloch) 사이에 건설한 교외 철로를 공유한 것이다. 1950년대까지 트램 네트워크는 조금씩 확장되었으나, 자동차 교통의 급속한 인기로 인해 트램 운영업체는 점점 더 어려운 문제에 직면했고, 결국 트램 네트워크는 점차 해체되었다. 이후 2006년 12월 10일 키르히하임에서 새로운 트램 노선이 개통되면서 네트워크가 다시 확장되었다.

현재 트램과 버스 서비스는 라인-네카르-페어케어(Rhein-Neckar-Verkehr)(RNV)가 운영하고 있다.[52] 1989년부터 모든 요금은 페어케어스페어분트 라인-네카르(Verkehrsverbund Rhein-Neckar)(라인-네카르 교통 연합, VRN)의 통일된 요금제도에 따라 설정된다. 카셰어링(Carsharing)은 대중교통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하이델베르크 14개 구역 중 12개 구역에서 100대 이상의 차량을 제공하는 50개 이상의 카셰어링 스테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하이델베르크의 트램

10. 자매 도시

하이델베르크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협정을 맺고 있다.

국가도시체결 연도
프랑스몽펠리에1961년
영국케임브리지1965년
이스라엘레호보트1983년
독일바우첸1991년
우크라이나심페로폴1991년
일본구마모토시1992년



2006년 10월 당시 시장 베아테 베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하이델베르크와 우호 도시 관계를 맺었다.

하이델베르크에는 미국 하우스(독일-미국 연구소)와 구시가지 케텐 거리에 몽펠리에 거리가 있으며, 몽펠리에에는 하이델베르크 하우스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berbürgermeisterwahl Heidelberg 2022 https://www.staatsan[...]
[2] 웹사이트 Daten und Fakten – Studierende und Wissenschaftlicher Nachwuchs – Universität Heidelberg https://www.uni-heid[...] 2018-04-15
[3] 웹사이트 rankings https://de.wikipedia[...]
[4] 웹사이트 Non-University Research Institutions – Heidelberg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7-01-11
[5] 웹사이트 Heidelberg-Rohrbach: Wein, Reben und Winzer http://www.hilfe-hd.[...] Hilfe-hd.de 2012-11-08
[6] 간행물 Verbreitung und Arealnutzung der Halsbandsittiche (Psittacula krameri) in Heidelberg http://www.ogbw.de/d[...] Ornithologische Gesellschaft Baden-Württemberg e. V. 2007
[7] 웹사이트 Konversion Heidelberg – Startseite Konversion https://www.heidelbe[...]
[8] 뉴스 Wetterextreme in Deutschland 2009 Südkurier 2010-04-28
[9] 서적 Kreisbeschreibung Bd. 1
[10] 웹사이트 Das Klima in Heidelberg http://www.klimadiag[...]
[11] 웹사이트 Monatsauswertung http://sklima.de/dat[...] SKlima 2024-12-12
[12] 웹사이트 Monthly records - Tagesmaximum Temp. (Heidelberg) https://www.wetterze[...] DWD 2024-12-12
[13] 웹사이트 Monthly records - Tagesminimum Temp. (Heidelberg) https://www.wetterze[...] DWD 2024-12-12
[14] 웹사이트 Sonnenscheindauer: vieljährige Mittelwerte 1981-2010 https://www.dwd.de/D[...] 2024-09-29
[15] 서적 Heidelberg and the Holy See – from the Late Medieval Reform Councils to the Reformation in the Electoral Palatinate Simona Negruzzo 2018
[16] 서적 The Thirty Years War: A Documentary History Cambridge 2009
[17] 서적 Das historische Heidelberg Imhof
[18] 서적 2007
[19] 서적 2007
[20] 서적 2007
[21] 웹사이트 Alfred Mombert https://web.archive.[...] 2018-09-19
[22] 뉴스 Death Notice, Maj. Gen. William Beiderlinden https://www.newspape[...] St. Joseph News-Press 1981-05-17
[23] 서적 Kleine Heidelberger Stadtgeschichte Pustet 2005
[24] 서적 2002
[25] 웹사이트 George S. Patton#Accident and death https://en.wikipedia[...]
[26] 웹사이트 Stadt untersagt Feier zur Walpurgisnacht http://www.heidelber[...] City of Heidelberg 2022-01-25
[27] 웹사이트 Mutmaßlicher Amoklauf auf Uni-Gelände in Heidelberg: Was wir wissen – und was nicht https://web.archive.[...] 2022-01-24
[28] 웹사이트 Population of city of Heidelberg https://web.archive.[...] Statistical office of the state of Baden-Württemberg 2012-07-25
[29] 웹사이트 Heidelberg, Stadt: Bevölkerung im regionalen Vergleich nach Religion (ausführlich) in % https://web.archive.[...] Statistische Ämter des Bundes und der Länder 2014-06-19
[30] 웹사이트 Muslime in den Großstädten beim Zensus 2011 https://kartenseite.[...] 2020-06-19
[31] 웹사이트 Schloss Heidelberg: Staatliche Schlösser und Gärten Baden-Württemberg http://www.schloss-h[...] 2018-04-30
[32] 웹사이트 http://www.heidelber[...]
[33] 웹사이트 Heidelberg: Stations http://www.travelinh[...] Travelinho
[34] 웹사이트 Our Districts and Schools http://www.eu.dodea.[...] 2009-04-19
[35] 웹사이트 Heidelberg, Mannheim to close by 2015 http://www.bw.eur.ar[...] HeraldPost 2011-10-22
[36]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0-10-30
[37] 웹사이트 Heidelberger Herbst https://www.heidelbe[...] 2019-08-25
[38] 웹사이트 Internationales FilmFestival Mannheim-Heidelberg http://www.mannheim-[...] Mannheim-filmfestival.com 2012-10-18
[39] 웹사이트 Der angekündigte Tod des Heidelberger Kinos https://www.rnz.de/n[...] 2019-08-25
[40] 웹사이트 Stadt Heidelberg – Stadtblatt Online http://ww2.heidelber[...] 2019-08-25
[41] 웹사이트 Kinosterben geht weiter http://2006-2013.rup[...] 2019-08-25
[42] 웹사이트 Film-Krise in Heidelberg: Dem Kinosterben soll entgegnet werden https://www.stuttgar[...]
[43] 웹사이트 정보 부족 heidelberg-bahnstadt[...]
[44] 웹사이트 GLORIA – GLORIETTE – DIE KAMERA | Original Versions http://www.gloria-ka[...]
[45] 웹사이트 Original Versions / Originalversionen https://www.karlstor[...]
[46] 웹사이트 WFDF announces that the WFDF 2019 World Under-24 Ultimate Championships will be in Heidelberg, GER http://wfdf.org/news[...] 2018-05-22
[47] 웹사이트 Partnerstädte https://www.heidelbe[...] Heidelberg 2021-02-13
[48] 서적 Quidditch Through the Ages https://archive.org/[...] WhizzHard Books
[49]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50] 논문 ドイツ・オーストリア・スイス 朝倉書店 1996-09
[51] 서적 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Bibliographisches Institut
[52] 논문
[53] 뉴스 „… und raus bist du!“ – Armut raubt die Zukunft einer Gesellschaft http://www.ndrkultur[...] NDR-kultur 2008-03-30
[54] 서적 Kreisbeschreibung Bd. 1
[55] 웹사이트 http://www.klimadiag[...]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웹사이트 Gemeinderatswahlen 2019 - Stadt Heidelberg https://www.statisti[...] 2021-06-20
[63] 웹사이트 http://www.kotsu-kum[...]
[64] 간행물 平成19年度 路面電車事業の活性化に関する調査研究 http://www.mtwa.or.j[...] 社団法人 公営交通事業協会
[65] 웹사이트 http://www.statistik[...]
[66] 웹사이트 http://www.statistik[...]
[67] 웹사이트 http://www.statistik[...]
[68] 웹사이트 http://www.heidelber[...] 2008-07-17
[69] 간행물 ドイツの貯蓄銀行と振替銀行、2007年版 http://www.dsgv.de/_[...]
[70] 웹사이트 http://www.heidelber[...] 2008-08-21
[71] 웹사이트 ICE-Netz 2011 http://www.bahn.de/p[...] DB Netz AG 2011-09-26
[72] 웹사이트 EC-/IC-Netz 2011 http://www.bahn.de/p[...] DB Netz AG 2011-09-26
[73] 서적 Thomas Cook European Timetable December 2010
[74] 서적
[75] 웹사이트 バーデン=ヴュルテンベルク州統計局 http://www.statistik[...]
[76] 웹사이트 bix – ergebnisse – datenbank http://www.bix-bibli[...]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Reiseführer für Literaturfreunde. I: Bundesrepublik Deutschland einschl. Berlin Ullstein
[81] 서적 Reiseführer für Literaturfreunde. I: Bundesrepublik Deutschland einschl. Berlin Ullstein
[82] 서적 研究社獨逸文學叢書(3)西東詩集 研究社
[83] 서적 Reiseführer für Literaturfreunde. I: Bundesrepublik Deutschland einschl. Berlin Ullstein
[84] 서적 Reiseführer für Literaturfreunde. I: Bundesrepublik Deutschland einschl. Berlin Ullstein
[85] 서적 Reiseführer für Literaturfreunde. I: Bundesrepublik Deutschland einschl. Berlin Ullstein
[86] 서적 Reiseführer für Literaturfreunde. I: Bundesrepublik Deutschland einschl. Berlin Ullstein
[87] 간행물 MERIAN Heft 2/XX (Februar 1967) >Heidelberg< Hoffmann und Campe
[88] 웹인용 Heidelberg historic weather averages http://www.intellica[...] Intellicast 2009-10-21
[89] 웹인용 Deutscher Wetterdienst – weather and climate, 1981–2010 http://www.dwd.de/bv[...] Deutscher Wetterdienst 2015-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