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남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남시의회는 2006년에 치러졌으며,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의 14개 지역구에서 2~3명의 시의원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지역구에서는 한나라당이 강세를 보였고,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2석, 열린우리당 1석, 민주노동당 1석을 확보했다. 최종적으로 한나라당이 21석, 열린우리당이 13석, 민주노동당이 2석을 차지했다.
wikitext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남시의회 지역구 선거는 각 선거구별로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다. 전반적으로 한나라당 후보들이 강세를 보였으나,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 후보들도 일부 선거구에서 당선되며 선전했다.
2. 지역구 선거구
성남시의회는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 3개 구를 기반으로 총 14개의 지역구 선거구로 구성되어 있다. 각 선거구는 2~3명의 시의원을 선출한다.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성남시 가선거구 수정구 신흥1동, 수진1동, 수진2동 2 성남시 나선거구 수정구 신흥2동, 신흥3동, 단대동 2 성남시 다선거구 수정구 태평1동, 태평2동, 태평3동, 고등동, 신촌동, 시흥동 3 성남시 라선거구 수정구 태평4동, 산성동, 양지동, 복정동 3 성남시 마선거구 중원구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2 성남시 바선거구 중원구 성남동, 하대원동 2 성남시 사선거구 중원구 중동, 금광1동, 금광2동 2 성남시 아선거구 중원구 은행1동, 은행2동 2 성남시 자선거구 분당구 이매1동, 이매2동 2 성남시 차선거구 분당구 야탑1동, 야탑2동, 야탑3동 2 성남시 카선거구 분당구 서현1동, 서현2동 2 성남시 타선거구 분당구 수내1동, 수내2동, 판교동, 운중동 2 성남시 파선거구 분당구 정자1동, 정자2동, 금곡1동, 금곡2동 3 성남시 하선거구 분당구 분당동, 수내3동, 정자3동, 구미동 3
2. 1. 수정구
2. 2. 중원구
2. 3. 분당구
3. 지역구 선거 결과
선거구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성남시 가 한나라당 남용삼 4,808 25.49% 성남시 가 열린우리당 문길만 4,689 24.86% 성남시 나 한나라당 정용한 6,204 29.00% 성남시 나 열린우리당 윤창근 3,981 18.61% 성남시 다 한나라당 이상호 7,409 31.81% 성남시 다 한나라당 이수영 5,338 22.92% 성남시 다 열린우리당 최만식 4,321 18.55% 성남시 라 한나라당 이재호 5,178 26.46% 성남시 라 열린우리당 정종삼 3,570 18.24% 성남시 라 민주노동당 최성은 2,718 13.89% 성남시 마 한나라당 유근주 8,220 37.49% 성남시 마 열린우리당 지관근 5,093 23.23% 성남시 바 한나라당 한성심 8,107 46.18% 성남시 바 열린우리당 고희영 3,187 18.15% 성남시 사 한나라당 김재노 9,503 38.85% 성남시 사 열린우리당 김유석 5,981 24.45% 성남시 아 한나라당 황영승 6,176 34.94% 성남시 아 열린우리당 김시중 3,122 17.66% 성남시 자 한나라당 박영애 7,870 43.51% 성남시 자 한나라당 이영희 6,831 37.76% 성남시 차 한나라당 장대훈 14,135 50.85% 성남시 차 열린우리당 박문석 7,088 25.49% 성남시 카 한나라당 남상욱 9,802 47.76% 성남시 카 열린우리당 윤광열 5,034 24.53% 성남시 타 한나라당 김대진 6,354 48.32% 성남시 타 한나라당 최윤길 4,381 33.32% 성남시 파 한나라당 안계일 15,354 33.76% 성남시 파 한나라당 홍석환 12,421 27.31% 성남시 파 열린우리당 정기영 6,056 13.31% 성남시 하 한나라당 박권종 13,633 36.96% 성남시 하 한나라당 이형만 8,660 23.47% 성남시 하 열린우리당 김해숙 5,572 15.10%
3. 1. 수정구 선거 결과
3. 1. 1. 성남시 가선거구
남용삼 (한나라당), 문길만 (열린우리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3. 1. 2. 성남시 나선거구
정용한 (한나라당), 윤창근 (열린우리당)이 당선되었다.
3. 1. 3. 성남시 다선거구
이상호 (한나라당), 이수영 (한나라당), 최만식 (열린우리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3. 1. 4. 성남시 라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성남시의회 의원 성남시 라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이재호, 열린우리당 정종삼, 민주노동당 최성은 후보가 당선되었다.
3. 2. 중원구 선거 결과
3. 2. 1. 성남시 마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남시 마선거구에서는 유근주 후보(한나라당)와 지관근 후보(열린우리당)가 당선되었다. 유근주 후보는 한나라당 소속으로, 보수 정당의 가치를 대변하며 지역 발전을 위한 공약을 제시했다. 지관근 후보는 당시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참여정부의 정책 기조를 이어받아 지역 사회의 복지 향상과 균형 발전을 추구했다.
3. 2. 2. 성남시 바선거구
한나라당 한성심 후보와 열린우리당 고희영 후보가 당선되었다.
3. 2. 3. 성남시 사선거구
김재노 (한나라당), 김유석 (열린우리당)이 당선되었다.
3. 2. 4. 성남시 아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남시 아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황영승 후보와 열린우리당 김시중 후보가 당선되었다. 황영승 후보는 보수 정당 소속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보수적 가치 수호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김시중 후보는 진보 정당 소속으로, 사회 복지 확대와 진보적 가치 확산을 주장하며 지지를 얻었다.
3. 3. 분당구 선거 결과
3. 3. 1. 성남시 자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남시의회 자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박영애, 한나라당 이영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3. 3. 2. 성남시 차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성남시의회 의원 성남시 차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장대훈 후보와 열린우리당 박문석 후보가 당선되었다. 박문석 후보는 이후 성남시의회 의장을 역임하며,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하며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했다. 반면, 장대훈 후보는 한나라당 소속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박문석 후보와는 정치적 노선에서 대립각을 세웠다.
3. 3. 3. 성남시 카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남시의회 카선거구에서는 남상욱(한나라당), 윤광열(열린우리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3. 3. 4. 성남시 타선거구
김대진 (한나라당), 최윤길 (한나라당)이 당선되었다.
3. 3. 5. 성남시 파선거구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남시 파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안계일 후보, 한나라당 홍석환 후보, 열린우리당 정기영 후보가 당선되었다.
3. 3. 6. 성남시 하선거구
박권종 (한나라당), 이형만 (한나라당), 김해숙 (열린우리당)이 당선되었다.
4. 비례대표 선거 결과
wikitable
4. 1. 비례대표 당선자
| # | |||
|---|---|---|---|
| 1 | 이순복 | 정채진 | 김현경 |
| 2 | 강한구 |
5. 전체 결과
wikitable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성남시의회는 한나라당이 지역구 19석, 비례대표 2석으로 총 21석을 차지하여 다수당이 되었다. 열린우리당은 지역구 12석, 비례대표 1석으로 총 13석을, 민주노동당은 지역구 1석, 비례대표 1석으로 총 2석을 차지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