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열린우리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린우리당은 2003년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새천년민주당에서 분당한 세력과 한나라당의 일부 개혁파 의원들이 주축이 되어 창당되었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 정국을 거치며 2004년 총선에서 과반수를 확보하며 집권 여당이 되었으나, 당내 갈등과 지지율 하락을 겪었다. 경제 성장보다는 사회복지 지출 확대를 강조하고, 문화적 자유주의와 대북 화해 정책을 추구했다. 2007년 대통합민주신당과의 합당을 통해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린우리당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 열린우리당 - 창조한국당
    창조한국당은 유한킴벌리 사장 출신 문국현을 중심으로 창당되어 2007년 대선에서 4위를 기록하고 2008년 총선에서 3석을 얻었으나, 당내 갈등과 선거 부진으로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 원내정당 -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은 1995년 김종필을 중심으로 창당된 중도 보수 정당으로, 충청권 기반을 바탕으로 제15대 총선에서 제2야당으로 도약했으나, DJP 연합을 통해 여당이 된 이후 지지율 하락과 내부 갈등으로 2006년 한나라당에 흡수 합당되어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 원내정당 - 자유한국당
    자유한국당은 2017년 당명 변경 이후 2020년 미래통합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한 대한민국의 보수 정당으로, 자유무역과 미국, 일본과의 협력을 중시하며, 4대강 사업 추진 등의 행보를 보였다.
  • 2007년 해체된 단체 - 제9전구지원사령부
    제9전구지원사령부는 1960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을 지원하고 1970년 해체되었다가 1994년 재편성되어 주일 미군을 지원한 미국 육군의 군수지원 사령부이다.
  • 2007년 해체된 단체 - 올리브나무 (이탈리아)
    올리브나무는 1990년대 중반 이탈리아에서 중도 정당과 좌파 정당의 연합으로 결성되어 1996년 총선에서 승리하고 로마노 프로디를 총리로 하는 정부를 출범시켰으며, 평화, 안정, 번영을 상징하는 다양한 이념의 정당 통합을 의미한다.
열린우리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국어 이름열린우리당
한자 이름열린우리黨
로마자 표기Yeollin Uridang
약칭우리당
영어 이름Our Open Party
설립일2003년 11월 1일
해산일2007년 8월 20일
해산 이유대통합민주신당으로 흡수 합병
본부 위치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6가 133
색상노랑
국가대한민국
열린우리당 로고 (2006–2007)
정치
대통령노무현
이념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계파:
진보주의
정치 성향중도좌파
역사
분당새천년민주당
한나라당
개혁국민정당
합병대통합민주신당
주요 인물
의장정세균
원내대표장영달
최고위원김근태
우상호
오영식
이인영
이해찬
원혜영
김춘진
관련 정보
관련 정부참여정부
공식 웹사이트열린우리당 관련 기사

2. 역사

우리당 로고 (2006년까지)


열린우리당은 2003년 11월 11일 창당되었다.[20] 노무현 대통령 당선 이후 정치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새천년민주당 내 노무현 대통령 지지 세력과 한나라당의 일부 개혁 성향 의원들, 그리고 개혁국민정당 세력이 합류하여 만들어졌다. 창당 당시 47석으로 국회 제3당이었으며,[20] '100년 정당'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내걸었다.

창당 직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정국을 맞았다. 2004년 3월 12일 한나라당과 새천년민주당 주도로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되었으나, 이는 오히려 열린우리당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2004년 4월 제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은 과반이 넘는 152석을 얻어 압승하며 원내 제1당으로 부상했다.[28] 이는 1963년 이후 41년 만에 진보 성향 정당이 국회 과반 의석을 차지한 사례였다. 5월 14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탄핵소추안을 기각했다.

총선 승리 이후, 신기남 당시 당의장이 부친의 일제 강점기 경찰 복무 사실로 사퇴하는 등[12]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4대 개혁 입법 추진 과정에서 당내 노선 갈등과 보수 야당의 반대에 부딪혔고, 2005년 4월 재보궐선거에서 전패하며 과반 의석을 상실했다.[17] 이후 10월 재보궐선거에서도 연이어 패배했다.

2006년 5월 지방선거에서는 전라북도 1곳을 제외한 모든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패배하는 참패를 겪었다.[13][17] 선거 패배 후 정동영 의장이 사퇴하고 김근태 의장이 뒤를 이었으나, 이후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도 연패하며 당의 위기는 깊어졌다.

계속되는 선거 패배와 지지율 하락, 당내 노선 갈등 심화 속에서 2007년김한길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23명이 집단 탈당했고,[21] 노무현 대통령도 당을 떠났다. 위기 타개를 위해 정세균 의장을 중심으로 민주당 등 외부 세력과의 통합 신당 창당을 추진했다.[22] 탈당파 의원들이 주축이 되어 대통합민주신당이 창당되자,[25] 열린우리당은 2007년 8월 18일 임시 당대회에서 대통합민주신당과의 합당을 결정했고,[26] 8월 20일 공식적으로 흡수 합당되어 약 4년 만에 해산하였다.[27]

2. 1. 창당 과정

2003년 새천년민주당과 한나라당에서 탈당한 의원들을 중심으로 열린우리당이 창당되었다. 이는 노무현 대통령 당선 이후 정치 개혁 요구가 높아지고 기존 정당 구조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 상황에서, 새천년민주당 내 노무현 정부의 개혁 노선에 대한 이견과 갈등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당초 노무현 대통령은 새천년민주당 분열을 우려해 신당 창당에 반대했으나, 다수의 친노무현계 및 개혁 성향 의원들이 탈당을 결행하자 결국 신당 참여로 입장을 선회했다.[36]

창당 움직임은 2003년 7월 7일 한나라당 소속 김부겸, 김영춘, 안영근, 이부영, 이우재 등 개혁 성향 의원 5명의 탈당으로 시작되었다. 이어 9월 20일부터 새천년민주당에서 강봉균, 김근태, 김원기, 신기남, 이강래, 이해찬, 임종석, 정동영, 정세균, 천정배 등 40여 명의 의원과 유선호, 오영식, 우상호 등 원외 인사들이 순차적으로 탈당했다. 또한 11월 3일에는 개혁국민정당 소속 김원웅, 유시민 의원도 합류했다. 이들은 국회 교섭단체 ‘국민참여통합신당’을 거쳐[19] 열린우리당 창당의 주축 세력이 되었다.

2003년 11월 11일, 열린우리당은 창당대회를 열고 공식 출범했다.[20] 창당대회에서는 모든 공직 후보를 국민참여경선을 통해 선출하고, 당 지도부 역시 당원들의 직접 선거로 뽑는다는 내용의 당헌을 채택하며 참여 민주주의를 강조했다. 창당준비위원장이었던 김원기, 이경숙, 이태일이 공동 임시의장으로 추대되었다. 창당 당시 열린우리당의 국회 의석수는 47석으로 제3당의 위치였다. 당명인 '열린우리당'의 '우리'는 '우리들의'라는 순우리말 표현이며, 창당 당시 100년 이상 지속되는 정당을 만들겠다는 포부로 '100년 정당'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기도 했다. 정치적으로는 중도부터 진보 성향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인사들이 참여했다.

창당 직후 열린우리당은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라는 거대한 정치적 격랑에 직면했다. 2004년 3월 9일, 한나라당과 새천년민주당의 주도로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이 발의되자,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이를 저지하기 위해 국회 의장석을 점거하는 등 강하게 저항했으나 3월 12일 탄핵안 가결을 막지 못했다. 이에 열린우리당 의원 전원은 항의의 표시로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하기도 했으나, 10일 후 철회했다. 탄핵 사태는 역설적으로 열린우리당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높이는 결과를 낳았고, 이는 이후 제17대 총선에서의 압승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창당 이후인 2004년 3월 8일 한나라당 소속 박승국 의원이, 3월 30일에는 새천년민주당 소속 조성준 의원이 열린우리당에 추가로 입당했다.

2. 2. 2004년 총선 승리와 탄핵 정국



2004년 1월 11일 열린우리당은 임시 전당 대회를 통해 정동영 의원을 첫 당의장으로, 김근태 의원을 첫 원내대표로 선출했다. 창당 초기 한나라당과 민주당에 이어 3위에 머물던 지지율은 이 시기를 거치며 급상승하여 1위로 올라섰다.

같은 해 3월 9일,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연합하여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3월 12일 본회의에서 국회의사당 의장석을 점거하며 표결을 막으려 했으나,[28] 당시 한나라당 소속이었던 박관용 국회의장은 국회경비대를 동원하여 열린우리당 의원들을 강제로 끌어내고 표결을 진행시켰다. 결국 탄핵소추안은 국회를 통과했고, 이로 인해 노무현 대통령의 직무는 즉시 정지되었으며 고건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아 국정을 운영하게 되었다.

그러나 거대 야당이 주도한 탄핵소추안 가결에 대한 국민적 여론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전국 각지에서는 탄핵을 주도한 국회의원들을 규탄하고 헌법재판소에 탄핵소추안 기각을 촉구하는 촛불 집회가 연일 개최되었다. 이러한 국민적 반발과 지지는 4월 15일 치러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열린우리당은 이 선거에서 전체 의석 299석 중 과반수를 훌쩍 넘는 152석을 확보하며 압승을 거두었고, 단숨에 원내 제1당으로 부상했다.[28] 이는 1963년 총선 이후 41년 만에 처음으로 진보 성향 정당이 국회 과반 의석을 차지한 역사적인 결과였다.

탄핵 정국은 총선 이후인 5월 14일,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9명 중 기각 5명, 각하 1명, 인용 3명의 의견으로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최종 기각하면서 마무리되었다.

2. 3. 당내 갈등과 지지도 하락

총선 이후 정동영 의장과 김근태 원내대표의 사퇴로 신기남 의원, 이부영 전 의원이 차례로 의장직을 승계하였으며 천정배 의원이 5월에 새 원내대표로 선출되었다. 2004년 열린우리당은 4대 개혁 입법(‘국가보안법 폐지’, ‘과거사 진상 규명법’, ‘사립학교법’, ‘언론 개혁법’)을 제시하고 추진하였으나, 당내 개혁세력과 실용세력 간 분열 및 보수세력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혔다. 당시 121석의 한나라당은 4대 개혁 입법에 강하게 반대했다. 결국 2004년 말, 천정배 원내대표는 연내 입법 완수 실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2005년 1월 초 임채정 의원이 당의장을 맡아 한국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선진사회협약 체결>을 제시했으며, 1월에는 정세균 의원이 원내대표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2005년 4월과 10월에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연이어 패배하며 과반 의석을 상실했고, 2005년 한 해 동안 치러진 국회의원 보궐선거 10곳 모두에서 패배했다.[17] 4월 2일 정기전당대회에서 당선된 문희상 의장은 양극화 해소와 당 리더십 강화를 위해 노력했으나, 10월 재보궐선거 패배 후 정치적 책임을 지고 상임중앙위원들과 함께 사퇴했다. 2005년 10월, 당은 비상 집행위원회를 구성하고 원내대표였던 정세균 의원을 당의장으로 겸임 선출했다. 정세균 의장은 당내 혼란과 보수 세력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사립학교법개정안을 한나라당의 물리적 방해에도 불구하고 국회에서 통과시켜 여야 갈등이 고조되었다.

2005년 7월 28일, 노무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은 지역 구도 극복을 위한 선거 제도 개편을 전제로 총리 지명권, 조각권 등을 한나라당에 넘기는 대연정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는 개혁 진영 내부의 반발만 초래하고 무산되었다.[37] 한나라당뿐 아니라 민주당, 민주노동당도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민주노동당 심상정 수석부대표는 "차라리 한나라당과 합당하라"고 비판했으며, 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 "노 대통령의 2005년판 3당 합당 시도"라고 평가했다.[38][39] 열린우리당은 8월 1일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거부에 대해 "지역주의에 집착하는 당임을 재확인했다"고 비판하며, 당내 일부 의원들의 반발에 대해서는 "지역주의 해소를 위한 대통령의 뜻을 이해해야 한다"며 설득에 나섰다.[40]

한편, 2004년 8월 19일에는 신기남 당 대표가 부친의 일제 강점기 일본군 경찰 복무 사실이 밝혀지면서 사퇴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일제 강점기 친일파 활동을 밝히려는 조사는 광복절 56주년인 2004년 8월 15일 노무현 대통령이 시작한 것으로, 신기남 대표와 우리당은 이 운동을 적극 지지했었다.

2004년 총선 이후 당내 분열과 대통령 관련 논란[12] 등으로 당의 지지율은 크게 하락했다. 2006년 5월 31일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참패했다. 선거 전 정동영 대표는 당의 "오만한 태도와 부족함"에 대해 사과했으나,[13] 16개 광역단체장 선거 중 전라북도 1곳에서만 승리하고, 전통적 우세 지역이던 대전광역시마저 한나라당에 내주었다.[17]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정동영 의장이 사퇴한 후, 김근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새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이후 2006년 7월과 10월에 치러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도 연이어 전패하며 당세 위축을 막지 못했다. 특히 7월 서울 성북을 보궐선거에서는 민주당 조순형 후보가 당선되었고, 10월 보궐선거 패배는 종합부동산세 강화 등 부동산 규제책에 대한 "세금 폭탄" 비판 여론 속에서 이루어졌다. 동시에 치러진 기초단체장 재보선에서도 전라남도 등 4곳에서는 후보조차 내지 못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실험과 경제 상황 악화 등으로 지지율이 10%대 이하로 떨어지자, 노무현 대통령과 거리를 두려는 세력과 친노(親盧) 세력 간의 내분이 심화되었다. 소속 의원들의 산발적인 탈당이 이어지던 중, 2007년 2월 6일 김한길, 강봉균 등 국회의원 23명이 집단 탈당하여[21] 제1당 지위를 상실하고 한나라당(127석)에 이어 제2당(110석)으로 내려앉았다. 노무현 대통령 또한 2월 22일 탈당 의사를 밝혔고 28일 공식 탈당했다.

이러한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2월 14일 전당대회에서 정세균 의장을 선출하고, 탈당 세력 및 민주당 등 외부 세력과의 통합 신당 창당을 결의했다.[22] 그러나 이후에도 추가 탈당이 이어졌고, 8월 5일 탈당파 의원들이 주축이 되어 대통합민주신당(민주신당)이 창당되었다.[25] 결국 열린우리당은 8월 18일 임시 당대회에서 민주신당과의 합당을 결정하고,[26] 8월 20일 민주신당에 흡수 합당되어 해산하였다.[27]

2. 4. 재보궐 선거 및 지방선거 패배

2004년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확보하며 승리했던 열린우리당은 이후 당내 분열과 노무현 대통령 관련 논란 등으로 인해 지지율이 하락하기 시작했다.[12] 특히 2004년 8월, 신기남 당시 당의장이 부친의 친일 행적 논란으로 사퇴하면서 당은 타격을 입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05년 4월 30일 재보궐 선거가 치러졌고, 열린우리당은 6개 선거구 모두에서 단 한 석도 얻지 못했다. 이 선거 결과로 열린우리당은 대한민국 국회에서 과반 의석을 상실하게 되었다. 다만, 민주당 및 민주노동당과의 연대를 통해 국회 내 진보 진영은 과반수를 유지할 수 있었다. 같은 해 10월 26일에 치러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도 4개 선거구에서 모두 패배하며[17] 의석수는 더욱 줄어들었다.

2006년 5월 31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린우리당은 2006년 2월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을 새로운 당의장으로 선출하고, 김근태, 김두관, 김혁규, 조배숙 등을 최고위원으로 선임하며 분위기 반전을 꾀했다. 정동영 의장은 선거 전 당의 "오만한 태도와 부족함"에 대해 사과하기도 했다.[13] 그러나 지방선거 결과는 참담했다. 열린우리당은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전라북도 단 한 곳에서만 승리했을 뿐, 전통적인 지지 기반으로 여겨졌던 대전광역시를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한나라당에 패배했다.[13][17] 한나라당은 16개 주요 지역 중 12곳을 차지하며 압승했다.[13]

지방선거 참패에 책임을 지고 정동영 의장이 사퇴하였고, 김근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후임 의장으로 선출되었다.[17] 김근태 의장은 '서민경제회복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민생 문제 해결에 주력했지만, 당의 지지율 하락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2006년 7월 26일10월 25일에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도 열린우리당은 연이어 패배했다. 특히 7월 선거에서는 민주당의 조순형 후보가 당선(서울 성북을)되는 등 4개 선거구에서 전패했고,[17] 10월 선거에서는 종합부동산세 강화 등 부동산 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 속에서 2개 선거구 모두 패배했다.[17] 연이은 선거 패배로 열린우리당의 당세는 크게 위축되었고, 당내 위기감은 더욱 고조되었다.

2. 5. 대통합민주신당과의 합당

대선을 1년여 앞둔 2006년 하반기부터 열린우리당은 지지율 하락과 연이은 선거 패배로 인해 당 내부와 지지자들로부터 새로운 변화를 요구받았다. 특히 2005년2006년에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의 전패와 2006년 지방선거 참패는 위기감을 증폭시켰다. 이에 평화민주개혁세력의 대통합과 신당 창당을 통해 국면을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민주당과의 재통합 및 시민사회와의 연대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대통합의 방향과 속도를 둘러싼 이견으로 2007년 초부터 의원들의 탈당이 시작되었다. 1월 22일 임종인 의원을 시작으로 최재천, 이계안(1월 23일), 천정배(1월 28일), 염동연(1월 30일), 정성호(2월 3일) 의원이 연이어 당을 떠났다. 2007년 2월 6일에는 김한길계를 중심으로 한 소속 국회의원 23명이 "국민통합신당을 만들겠다"며 집단 탈당하면서[21] 열린우리당은 원내 제1당에서 한나라당(127석)에 이은 제2당(110석)으로 축소되었다. 이후 노무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 등을 둘러싼 내부 갈등과 북한 핵실험, 경제 상황 악화 등으로 지지율이 하락하는 가운데 2007년 6월 16명의 의원이 추가 탈당하면서, 2004년 총선 당시 152석이었던 의석수는 73석까지 감소했다. 2월 22일에는 노무현 대통령도 당적 정리 필요성을 언급하며 탈당을 선언했다(28일 공식 탈당).

이러한 위기 속에서 열린우리당은 2007년 2월 14일 전당대회를 개최하여 당의 분열을 막고 대통합 의지를 다졌다. 약 72%의 당원이 참여한 전당대회에서는 정세균을 신임 당의장으로 선출하고, 장영달 원내대표를 포함한 최고위원들에게 대통합 신당 추진의 권한을 위임하며 '대통합을 통한 2007년 대선 승리'를 결의했다.[22]

한편, 열린우리당을 탈당한 의원들은 5월 7일 '중도개혁통합신당'을 창당했고,[23] 이는 이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중도통합민주당이 되었다. 통합 논의는 계속되어 7월 24일 열린우리당에서 19명, 중도통합민주당에서 4명이 추가로 탈당하여 대통합 신당 창당 준비에 합류했다.[24] 마침내 2007년 8월 5일, 열린우리당 탈당파, 중도통합민주당 탈당파, 한나라당 일부 탈당파, 시민사회 세력 등이 모여 대통합민주신당이 창당되었다.[41][25]

2007년 8월 18일, 열린우리당은 임시 당대회를 열어 대통합민주신당과의 합당을 공식적으로 결정했다.[14][26] 이어 8월 20일, 열린우리당과 대통합민주신당의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에서 열린우리당이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되는 안건이 최종 결의 및 실행되었다.[27] 이로써 2003년 11월 11일 창당 이후 약 4년간 존속했던 열린우리당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으며, 해산 당시 국회 의석수는 58석이었다.

그러나 합당 과정에 대한 반발도 존재했다. 2007년 8월 21일, 합당에 반대하는 '열린우리당 지킴이연대' 소속 당원들은 전당대회 과정의 절차적 문제를 지적하며 중앙선관위를 상대로 합당 수리 무효 확인 가처분 신청 및 본안 소송을 서울행정법원에 제기했다.[42] 이들은 당규상 대의원 명부 확정 시한(8월 13일) 미준수, 전당대회 당일 재적 대의원 수 임의 변경 등을 주장하며 8월 18일 전당대회의 원천 무효를 주장했다. 또한 8월 30일에는 "열린우리당이 추구한 정치·정당 개혁의 목표가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당의 법통과 정통성을 승계하겠다"는 명분으로 중앙선관위에 '열린우리당(가칭)' 창당준비위원회를 등록하기도 했다.[43]

3. 이념 및 정책

열린우리당은 정책적으로 국헌 개선을 위한 4대 개혁 입법과 국민 평화 대통합을 위한 상생적 연대론에 기반한 대연정을 시도하는 등 개혁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경제적으로는 성장보다 분배와 사회복지를, 대외적으로는 햇볕정책 계승과 자주 외교 노선을 중시했다. 사회·문화적으로는 문화적 자유주의 성향을 보이며 여성 인권 신장, 국가보안법 폐지, 일제 강점기 및 군사 독재 과거사 청산 등을 주장했다.[8] 친일파 재산 환수 특별법과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을 주도했으며, 후자는 일부 재벌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9][10]

이라크 전쟁 파병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의 결정과 달리 당내 반대 의견도 상당했다. 친일파 청산 문제는 김원웅 의원 등을 중심으로 중요 과제로 다루어졌으며, 2006년에는 임종인 의원이 개인 자격으로 일본공산당 대회에 참석하기도 했다.[18]

3. 1. 이념적 지향점

열린우리당은 정치 사상적으로 중도에서 좌파까지 다양한 성향의 인물들이 모인 정당이었다. 한겨레는 사설에서 열린우리당의 이념적 성향이 미국 자유주의에 가깝다고 평가하기도 했다.[11]

정책적으로 열린우리당은 경제 성장보다는 저소득층에 대한 사회복지 지출 확대를 강조했다. 대외적으로는 햇볕정책을 계승하며 미국일본과의 전통적인 군사 동맹 관계에서 벗어나 보다 자주적인 외교 노선을 추구하려 했다. 북한이 핵 실험을 강행한 이후에도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여 보수 정당들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았으며, '공산주의 동조자'라는 비난에 직면하기도 했다. 열린우리당은 북핵 위기의 주요 원인을 북한에 대한 미국의 강경 정책으로 보았다.

사회·문화적으로 열린우리당은 한국 역사상 가장 문화적으로 자유주의적인 정당으로 평가받는다. 여성의 권리 신장과 국가보안법 폐지를 적극적으로 주장했다.[8] 또한, 한국 현대사의 비극으로 평가되는 군사 독재와 일제 강점기의 잔재를 청산하는 데 힘썼다.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 친일파 재산 환수 특별법 제정을 주도한 것이 대표적이다. 장애인 권리 문제에 대해서도 진보적인 입장을 취하여, 2006년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을 주도했다. 이 법안은 일부 재벌 등 보수적인 대기업들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9][10]

창당 당시 발표한 4대 강령은 다음과 같다.

  • 새로운 정치
  • 부유한 국가
  • 따뜻한 사회
  • 한반도의 평화


이와 함께 100년 이상 지속되는 정당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담아 "100년 정당"이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3. 2. 경제 정책

열린우리당은 정책적으로 경제 성장을 덜 강조하는 대신, 저소득층에 대한 사회복지 지출 확대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는 당의 주요 구호였던 '부유한 국가'와 더불어 '따뜻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목표와도 맞닿아 있는 부분이다.

3. 3. 대북 정책

열린우리당은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을 계승하여, 노무현 정부의 평화번영정책 기조에 따라 북한에 대한 포용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당의 주요 목표 중 하나로 '한반도의 평화'를 내세웠다.

이러한 기조에 따라, 북한이 핵 실험 등 도발적인 행동을 이어가는 상황에서도 열린우리당은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과 교류 협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러한 입장은 보수 정당들로부터 안보를 경시하고 공산주의 동조자를 옹호한다는 강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일본과의 전통적인 군사 동맹 관계에서 벗어나 보다 자주적인 외교 노선을 추구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북핵 문제 등 한반도 위기 상황 발생 시, 그 책임의 상당 부분을 미국의 대북 강경 정책 탓으로 돌리는 시각을 보이기도 했다.

3. 4. 사회/문화 정책

열린우리당은 정책적으로 경제 성장보다는 저소득층에 대한 사회복지 지출 확대를 강조했으며, 한국 역사상 자유주의 정당들 중 가장 문화적으로 자유주의적인 성향을 보였다. 당은 여성의 권리 신장과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장했다.[8]

또한, 극우 군사 독재와 일제 강점기의 유산을 청산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 친일파 재산 환수 특별법 제정을 주도했다. 장애인 권리 문제에서도 진보적인 입장을 취하여, 2006년 열린우리당 주도로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제정 과정에서 재벌 등 보수적인 대기업들의 반대에 직면하기도 했다.[9][10]

이 외에도 정책적 국헌 개선을 위한 4대 개혁 입법 시도, 국민 평화 대통합을 위한 상생적 연대론을 내세운 대연정 시도 등이 있었다. 한겨레 사설은 열린우리당의 이러한 노선이 미국 자유주의에 가깝다고 평가하기도 했다.[11] 열린우리당은 '따뜻한 사회' 건설을 주요 정책 기조 중 하나로 내세웠다.

4. 주요 인물

열린우리당에는 창당 과정과 이후 활동에서 다양한 배경과 정치적 입장을 가진 인물들이 참여했다. 당의 주요 지도부는 역대 의장과 원내대표들이 맡았으며, 이들은 당의 노선과 운영 방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상세한 지도부 명단과 선출 과정은 하위 '지도부'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인 주요 인물로는 여러 차례 당 의장을 역임한 정동영, 김근태, 문희상, 정세균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은 각기 다른 시기에 당을 이끌며 17대 총선 압승, 지방선거 패배, 대통합민주신당 창당 등 주요 정치적 국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당내에는 다양한 계파가 존재했으며, 이는 주요 인물들의 정치적 성향과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노무현 대통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개혁 성향의 친노 그룹이 있었고, 정동영을 중심으로 실용주의 노선을 표방하는 그룹, 김근태를 중심으로 한 진보주의 성향의 그룹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중도적인 입장을 가진 고건계나 당내 중진들을 중심으로 한 광장파 등도 활동했다.[44][45] 이러한 다양한 인물 구성과 계파 활동은 열린우리당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때로는 내부 노선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각 계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계파' 섹션에서 다룬다.

4. 1. 지도부

'''역대 의장'''



'''역대 원내대표'''



'''주요 전당대회'''


2004년 1월 11일, 열린우리당 전당대회는 정동영 의원을 의장으로 선출하고, 신기남, 이부영, 김정길, 이미경을 상임중앙위원으로 선출하였다.

득표순위이름득표수득표율비고
1정동영5,30763.7%의장
2신기남2,81733.8%상임중앙위원
3이부영2,81725.7%상임중앙위원
4김정길1,74220.9%상임중앙위원
5이미경1,69520.3%상임중앙위원
6장영달1,09213.1%
7허운나1,07312.9%
8유재건8089.7%
총투표수8,338


2005년 4월 2일, 열린우리당 전당대회는 문희상 의원을 의장으로 선출하고, 염동연, 장영달, 유시민, 한명숙(여성 몫)을 상임중앙위원으로 선출하였다.

득표순위이름득표수득표율비고
1문희상4,26643%의장
2염동연3,33933.7%상임중앙위원
3장영달3,09231.2%상임중앙위원
4유시민2,83828.6%상임중앙위원
5김두관2,68727.1%
6송영길1,46814.8%
7김원웅1,07610.9%
8한명숙1,05810.7%여성 몫 상임중앙위원
총투표수10,498


2006년 2월 18일, 열린우리당 전당대회에서는 대의원 70%, 당원 여론조사 30%의 예비경선을 통해 8명으로 압축된 후보들에 대해 선거인단이 1인 3표로 투표하였다. 그 결과, 정동영 전 의장을 다시 의장으로 선출하고, 김근태, 김두관, 김혁규, 조배숙(여성 몫)을 상임중앙위원으로 선출하였다.

득표순위이름득표수득표율비고
1정동영4,45048.2%의장
2김근태3,84741.7%상임중앙위원
3김두관3,21834.9%상임중앙위원
4김혁규2,82030.6%상임중앙위원
5임종석1,99121.6%
6김부겸1,35514.7%
7조배숙4244.2%여성 몫 상임중앙위원
8김영춘3533.8%
총투표수9,229


2007년 2월 14일, 소속 의원 약 3분의 2가 탈당하여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열린우리당 전당대회는 정세균 전 원내대표를 새 의장으로 추대하였다. 추대된 지도부는 대통합신당 추진권을 위임받았다.

4. 2. 계파

열린우리당 내에는 주로 개혁 성향을 중심으로 한 친노 그룹과 실용주의 노선을 표방하는 비노 그룹(정동영계), 진보주의 성향의 김근태계가 존재했다. 또한 상대적으로 중도보수적 입장을 가진 고건계와 당내 중진들을 중심으로 한 광장파 등 다양한 계파가 활동했다. 이러한 계파 구성은 당내 노선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으며, 2007년에는 통합신당 추진을 둘러싸고 대통합파와 당 사수파로 분열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44][45]

5. 평가 및 비판

열린우리당 내부에는 개혁 성향의 친노 세력, 비노 실용파, 진보 성향의 친김근태계, 중도보수 성향의 친고건계, 그리고 중진 의원 중심의 광장파 등 다양한 계파가 존재했다. 2007년에 접어들면서 통합신당 창당 움직임이 가시화되자 당은 대통합을 추진하는 세력과 당을 지키려는 당사수파로 분열되는 양상을 보였다.[44][45]

5. 1. 비판 및 논란

노무현 대통령의 대연정 제안은 다른 정당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민주당의 유종필 대변인은 이를 "영남 패권정당을 노리는 노무현 대통령의 2005년판 3당 합당 시도"라고 규정하며, 한나라당과의 연정이 성사될 경우 과거 3당 합당처럼 호남을 고립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차라리 그럴 바에는 열린우리당을 탈당하고 한나라당에 입당하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민주노동당심상정 의원단 수석부대표는 선거제도 개편 자체에는 동의하면서도, "연정과 선거제도를 교환하겠다는 발상은 정치개혁의 대의에도 맞지 않고 실현 가능성도 없다"고 지적했다.[46]

또한, 노무현 대통령이 국가정보원의 도청 문제를 언급하며 김대중 전 대통령과 국민의 정부를 비판적으로 평가한 것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었다. 민주당의 유종필 대변인은 이를 두고 노무현 대통령이 김대중 전 대통령과의 차별화를 시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대북송금 특검을 통해 노무현 정부가 6·15 남북 공동선언의 의미를 퇴색시키고 김대중 전 대통령을 한나라당과 같은 보수 세력에게 정치적으로 넘겨주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47] 김대중 전 대통령 역시 민주당 탈당파들과 대북송금 특검에 대해 사과를 요구하기도 했다.[48]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열린우리당이 전통적 지지 기반인 호남 지역에서 민주당에 밀려 지지율이 낮아지는 배경이 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즉, 국민의 정부를 부정하는 듯한 모습이 호남 소외 정책으로 비춰졌다는 것이다.[49]

한편, 보수 진영에서는 열린우리당과 참여정부가 추진한 행정수도 이전, 국가보안법 폐지, 친일파 청산 등의 개혁 정책들이 국론을 분열시킨다고 주장하며, 모든 국력을 경제와 안보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50] 열린우리당을 분열과 실패의 상징으로 규정하며 탈당파, 국민중심당, 민주당원들은 反한나라당 대통합을 주장하며 열린우리당 해체를 주장했다. 그러나 친노세력과 당내 사수파는 "지역주의 야합"이라며 비판하며 열린우리당으로의 대통합을 요구했다.

이러한 비판과 논란 속에서 열린우리당은 2004년 총선 이후 치러진 각종 선거에서 연이어 패배했다. 특히 2005년에 치러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는 10곳 모두에서 패배했고[17], 대통령 선거 전 마지막 대형 선거이자 노무현 정부의 중간 평가 성격을 지닌 2006년 5월 지방선거에서는 서울과 부산을 비롯해 당초 우세였던 대전 등 7개 주요 시장 선거에서 전패했고, 9개 도지사 선거에서도 1승 8패의 참패를 당하자 선거 총책임자인 정동영 의장이 책임지고 사퇴했다.[17]

이후 김근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의장으로 선출하여 새로운 운영 체제를 출범시켰다.[17] 그러나 같은 해 7월 26일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는 대통령 탄핵의 주역이었던 민주당(2005년 새천년민주당에서 당명을 변경한 정당)의 조순형 후보가 당선(서울시 성북을 선거구)되는 등 4개 선거구에서 전패하며 당세 위축에 제동을 걸지 못했다.[17] 같은 해 10월 25일, 종합부동산세 강화 등 각종 부동산 규제책에 대해 "대증세"라는 비판이 집중되면서 2곳에서 치러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전패했다. 동시에 치러진 시장·군수 재·보궐선거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이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한 전라남도 등 4곳에서 모두 후보를 내지 못했다.

6. 역대 선거 결과

열린우리당은 창당 이후 여러 차례 주요 선거에 참여했다.

=== 국회의원 선거 ===

2004년 3월 12일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되면서 열린우리당의 지지율은 급상승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치러진 2004년 4월 15일 제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은 지역구 129석, 비례대표 23석을 얻어 총 152석을 확보하며 국회 전체 의석의 과반수를 넘는 압승을 거두었다. 이는 창당 1년이 채 되지 않은 신생 정당으로서는 이례적인 결과였으며, 원내 제1당으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었다.[20][28]

선거지도자지역구비례대표총 의석 수득표율 (정당)결과
득표수%의석 수득표수%의석 수
2004년 총선정동영8,957,66541.99%129석8,145,82438.27%23석152석 / 299석38.27%제1당, 과반 의석 확보 (여당)



=== 지방 선거 ===

총선에서의 압승에도 불구하고, 열린우리당은 이후 치러진 선거에서 연이어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노무현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 성격으로 치러진 2006년 5월 31일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참패를 기록했다.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16곳 중 전라북도 단 1곳에서만 승리했으며,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도 230곳 중 19곳 당선에 그쳤다. 특히, 서울과 부산을 비롯한 주요 대도시와 당초 우세가 점쳐졌던 대전 등에서도 모두 패배했다. 9개 도지사 선거에서도 1승 8패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광역의원 선거에서는 수도권에서 단 한 석도 얻지 못하는 등 심각한 민심 이반을 드러냈다. 이 선거 결과에 책임을 지고 당시 선거를 이끌었던 정동영 당 의장이 사퇴했다.[17][28]

선거지도자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결과
당선자 수%당선자 수%당선자 수%당선자 수%
2006년 지방선거정동영1 / 166.25%19 / 2308.26%52 / 7337.09%630 / 288821.81%참패



=== 재·보궐선거 ===

총선 이후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도 열린우리당의 부진은 계속되었다. 2005년에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는 모든 선거구에서 패배했으며, 같은 해 10월 26일 선거 결과 4개 선거구에서 모두 패배하며 국회 의석수가 과반수 아래로 떨어졌다.[28]

2006년 지방선거 참패 이후 김근태를 새 의장으로 선출했지만 당의 하락세를 막지 못했다. 2006년 7월 26일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는 노무현 대통령 탄핵을 주도했던 민주당의 조순형 후보가 당선(서울 성북을)되는 등 4개 선거구에서 모두 승리하지 못했다. 같은 해 10월 25일 보궐선거에서도 종합부동산세 강화 등 부동산 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 속에 2개 선거구에서 모두 패배했다. 동시에 치러진 기초단체장 재·보궐선거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의 정치적 기반인 전라남도 등 4곳에서 후보조차 내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17][28] 2007년 4월 27일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도 모든 선거구에서 패배하며 당의 위기는 더욱 깊어졌다.[28] 이러한 연이은 선거 패배는 당의 분열과 해체로 이어지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참조

[1] 뉴스 S Korea's Uri Party wins election http://news.bbc.co.u[...]
[2] 뉴스 Change or continuation: Presidential race heats up http://www.koreahera[...] 2021-09-22
[3] 간행물 Electoral Systems, Political Career Paths and Legislative Behavior: Evidence from South Korea's Mixed-Member System1 https://core.ac.uk/d[...]
[4] 뉴스 https://www.khan.co.[...] 2004-09-17
[5] 서적 Brief History: Brief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
[6] 웹사이트 Centrist politics in favor among younger Koreans https://koreajoongan[...] Korea JoongAng Daily 2005-12-19
[7] 웹사이트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05-10-31
[8] 뉴스 https://www.joongang[...] 2020-04-17
[9] 웹사이트 https://www.bokjitim[...] 2006-12-08
[10] 웹사이트 http://m.ohmynews.co[...] 2006-11
[11] 뉴스 https://www.hani.co.[...] 2020-07-28
[12] 웹사이트 South Korea's Roh rejects cabinet resignation http://www.chinadail[...]
[13] 뉴스 S Korea party boss quits for poll http://news.bbc.co.u[...] 2006-06
[14] 뉴스 Uri Disbands to Merge With Liberal Party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7-08-19
[15] 서적 Brief History: Brief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
[16] 웹사이트 Centrist politics in favor among younger Koreans https://web.archive.[...] Korea JoongAng Daily 2005-12-19
[17] 뉴스 【地方選】与党ウリ党、史上最悪の惨敗 - 朝鮮日報(2006年6月1日)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6-06-01
[18] 뉴스 第24回党大会外国政党代表紹介とプロフィル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2006-01-15
[19] 뉴스 42議員で「統合新党」 韓国与党が分裂、政界再編 http://www.47news.jp[...] 共同通信「47ニュース」 2003-09-20
[20] 뉴스 ヨルリン・ウリ党が発足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3-11-01
[21] 뉴스 ウリ党から国会議員23人が離党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7-02-06
[22] 뉴스 ウリ党議長に丁世均議員を選出、大統合新党結成へ http://japanese.yonh[...] 2007-02-14
[23] 뉴스 中道統合新党が正式発足、代表に金ハンギル氏 https://jp.yna.co.kr[...] 2007-05-07
[24] 뉴스 ウリ党と統合民主党の大統合派、19議員が離党 https://jp.yna.co.kr[...] 2007-07-24
[25] 뉴스 大統合民主新党旗揚げ、国会で2番目の勢力に https://jp.yna.co.kr[...] 2007-08-05
[26] 뉴스 ウリ党が党大会開催、民主新党との統合を正式決定 https://jp.yna.co.kr[...] 2007-08-19
[27] 뉴스 民主新党・ウリ党が統合、院内第1党に復帰聯合ニュース https://jp.yna.co.kr[...] 2007-08-21
[28] 웹사이트 政治動向-韓国 http://www.jetro.go.[...] ジェトロ
[29] 기타
[30] 뉴스 S Korea's Uri Party wins election http://news.bbc.co.u[...]
[31] 뉴스 김근태의장 “성장·복지 아우르는 ‘제3의길’ 걸어야 난관 극복” https://n.news.naver[...]
[32] 간행물 Electoral Systems, Political Career Paths and Legislative Behavior: Evidence from South Korea's Mixed-Member System1 https://core.ac.uk/d[...]
[33] 서적 Brief History: Brief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
[34] 웹사이트 Centrist politics in favor among younger Koreans https://koreajoongan[...] 코리아중앙데일리 2005-12-19
[35] 뉴스 2차 대규모 탈당 '초읽기'… 열린우리당, 당 해체 수순 http://www.cbs.co.kr[...]
[36] 뉴스 노무현, 열린우리당 창당 반대에서 찬성으로 바뀐 이유는? https://pub.chosun.c[...] 조선일보 2015-08-28
[37] 웹사이트 盧가 번지수 잘못 찾은 대연정, 제대로 만들어보라 http://www.pressian.[...]
[38] 뉴스 盧대통령 대연정 제안에 野3당 일제히 비판 https://news.naver.c[...]
[39] 뉴스 여야, 대연정 반응 https://news.naver.c[...]
[40] 뉴스 與, 대연정 거부는 지역주의 안주 https://news.naver.c[...]
[41] 뉴스 우리당 사수파 반발 속 민주신당과 합당 결의 https://news.naver.c[...]
[42] 뉴스 우리당 사수파, 합당무효소송 제기 https://news.naver.c[...]
[43] 뉴스 우리당 사수파, 열린우리당 창준위 등록 https://news.naver.c[...]
[44] 뉴스 덜컹덜컹 가던 與 갈림길 만났다…신당파 분열 http://news.khan.co.[...]
[45] 뉴스 “차라리 한나라로 가라” “소수야당 하겠단 거냐”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7-01-06
[46] 뉴스 여야, 대연정 반응 https://news.naver.c[...]
[47] 웹사이트 다른신문, 생각하는 신문. http://www.prometheu[...]
[48] 뉴스 DJ, 열린우리당에 사과요구‥질타 https://news.naver.c[...]
[49] 뉴스 열린우리당 호남민심 홀대,오만했다 https://news.naver.c[...]
[50] 뉴스 보수원로 "친일파 청산 중단해야"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