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5의무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5의무여단은 미국 육군의 의무 부대로, 1927년 제15의무연대로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 여러 전역에 참전했다. 1941년 제65의무연대로 재편성되었으며, 유럽 전선에서 활동하다가 종전 후 해산되었다. 1958년 한국에서 재소집되어 주한 미군의 의료 지원을 담당하며, 2008년 현재의 제65의무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에 주둔하며, 브라이언 올굿 육군지역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의무여단 - 제32의무여단
제32의무여단은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 소속으로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 주둔하며, 의무병 양성 및 교육 훈련을 담당하고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경력이 있다. - 미국의 의무여단 - 제30의무여단
제30의무여단은 미국 육군의 의무 부대로, 1933년에 창설되어 여러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유럽 지역의 건강 보호 및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대이다. - 1958년 해체된 단체 - 제500군사정보여단
제500군사정보여단은 1952년 창설되어 극동사령부 예하 한국 전쟁 참전 부대 지원으로 시작, 냉전 시대 소련 및 공산권 정보 수집 및 분석을 거쳐 현재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 지원과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는 미국 육군 정보 부대이다. - 1958년 해체된 단체 - 제11공수사단
제11공수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아시아-태평양 전선의 주요 전투에 참여하고 일본 점령 임무를 수행했으며, 2022년 알래스카 육군을 기반으로 재소집되어 현재 미 육군의 북극 작전 수행을 위한 핵심 부대로 활동하고 있다.
제65의무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65의무여단 |
원어 이름 | 65th Medical Brigade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병과 | 의무대 |
종류 | 전투근무지원 |
역할 | 주한 육군에 대한 의료 지원 |
규모 | 여단 |
명령 체계 | 제8군 태평양 의무대응사령부 |
본부 | 경기도 평택시 험프리스 기지 |
표어 | Warrior Care, Pacific Medics! |
활동 기간 | 1927년 10월 18일 ~ 1946년 1월 30일 1958년 6월 25일 ~ 1971년 2008년 10월 16일 ~ 현재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
웹사이트 | 제65의무여단 공식 홈페이지 |
![]() | |
인식표 | [[파일:65_Med_Bde_SSI.png|80px]] |
지휘관 | |
현재 사령관 | COL Edgar G. Arroyo |
사령관 | 사령관 |
현재 주임원사 | Command Sgt. Maj. Eric.N Price |
주임원사 | Command Sergeant Major |
사령관 | Col. COL Edgar G. Arroyo |
별칭 | |
모토 | |
모토 | Pacific Medics! Warrior Care! |
2. 역사
1927년 10월 18일, 제15의무연대로 창설되었다. 1941년 6월 1일, 조지아주 포트 오글소프에서 제65의무연대로 재편성되었다. 1944년 3월 10일, 제65의무단으로 재편성되었다. VE 데이 이후 독일 점령군으로서 주둔하다가 1946년 1월 30일에 해산하였다.
1958년 6월 25일, 제8군 지원사령부(8th FASCOM)의 예하부대로서 재소집되어, 1971년에 제18의무사령부로 대체되었다. 2008년 10월 16일, 제18의무사령부가 제65의무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주한 미군은 캠프 험프리스에 새로운 브라이언 올굿 육군지역병원을 설립하기 위해 2012년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2018년 9월 27일에 98%의 완공률에 도달했다고 밝혔다.[3] 2019년 7월 22일, 용산기지의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을 운영하는 제121전투지원병원이 제549병원센터로 재조직화되었다.[4] 2019년 6월 1일, 주한 미군 의무물자소가 육군의무군수사령부에 예속되고, 9월 9일에 주한 미군 의무물자소로 혈액보급을 맡을 제168다기능의무대대 예하 제95의무분견대 (혈액 지원)의 작전통제권이 넘어갔다.[5] 브라이언 올굿 육군지역병원은 2019년 9월 20일에 완공되어, 그 해 11월부터 새로운 병원 청사에서 첫 환자를 받았다.
2. 1. 창설 및 초기 역사 (1927년 ~ 1946년)
1927년 10월 18일, 육군 제15의무연대로 창설되었다.[3] 1941년 5월 28일, 제65의무연대로 재지정되었고,[3] 같은 해 6월 1일 조지아주 포트 오글소프에서 재편성되어 활동을 시작했다.[3] 1944년 3월 10일, 제65의무단으로 재편성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에서 활약했으며, VE 데이 이후 독일 점령군으로 주둔하다가 1946년 1월 30일에 해산하였다.[3]2. 2. 한국 전쟁 이후 (1958년 ~ 현재)
1958년 6월 25일, 제8군 지원사령부(8th FASCOM) 예하 부대로서 대한민국에서 재소집되었다.[1] 1971년에 제18의무사령부로 대체되었다.[1] 2008년 10월 16일, 제18의무사령부가 제65의무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1]2017년 말까지 용산기지에 주둔하다가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했다.[2] 주한 미군은 캠프 험프리스에 새로운 브라이언 올굿 육군지역병원 설립을 위해 2012년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2018년 9월 27일에 98%의 완공률에 도달했다고 밝혔다.[3] 브라이언 올굿 육군지역병원은 2019년 9월 20일에 완공되어, 그 해 11월부터 새로운 병원 청사에서 첫 환자를 받았다.
2019년 6월 1일, 주한 미군 의무물자소가 육군의무군수사령부에 예속되었다.[5] 같은 해 9월 9일, 주한 미군 의무물자소로 혈액 보급을 맡을 제168다기능의무대대 예하 제95의무분견대 (혈액 지원)의 작전통제권이 넘어갔다.[5]
2019년 7월 22일, 용산기지의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을 운영하는 제121전투지원병원이 제549병원센터로 재조직화되었다. 24개 병상을 운영하는 제121, 502야전병원과 32개 병상을 운영하는 4개 제125, 129, 150, 197의무분견대, 1개 제135야전소생외과대로 구성되었다.[4]
3. 부대
- 본부 및 본부중대 Scorpions영어
- 제549병원센터 (549th Hospital Center영어)
- * 제121야전병원
- * 제502야전병원
- * 제125의무분견대
- * 제129의무분견대
- * 제150의무분견대
- * 제197의무분견대
- * 제135전방소생외과대 (135th Forward Resuscitative Surgical Team영어)
- 제168다기능의무대대 (1993년 10월 16일 ~ 현재)[6]
- * 본부 및 본부분견대 - 캠프 워커
- * 제5예방중대 (5th Medical Detachment영어) - 용산기지
- * 제154의무중대 (1993년 10월 16일 ~ 현재)[7]
- * 제75의무중대 - 캠프 워커 (2007년 10월 16일 ~ 현재)[8]
- * 제560의무중대 - 캠프 케이시 (2소대만 대구에 주둔)
- * 제215의무분견대 - 캠프 험프리스
- 제618치의중대/주한 치의처 (618th Dental Company영어 / DENTAC-K영어)
- 제106의무분견대 (수의)(106th Medical Detachment (VSS)영어) (날짜불명) ~ 현재[9]
- 주한 미군 의무물자소(USAMMC-K) (육군의무군수사령부)
- * 제95의무분견대 - 캠프 험프리스 (2008년 10월 16일 ~ 현재)[10]
- * 제563의무군수중대
4. 기록
- 1927년 10월 18일, 제15의무연대로 정규군에 배정되었다.
- 1941년 5월 28일, 제65의무연대로 변경되었다.
- 1944년 3월 10일, 제65의무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로 변경되었고 예하 중대 계보가 분리되었다.[1]
- 1958년 제8군 지원사령부에 배속되었다.
- 1968년 10월 1일 제8군에 배속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에서 활동하였다.
- 1944년 3월 10일, 연대는 해체되어 제65 의무그룹(65th Medical Group)으로 재편성되었고, 소속 중대는 별도의 번호가 부여된 의무 수집 및 의무 정리 중대로 개편되었다.[1] 이 그룹은 노르망디, 북부 프랑스, 라인란트, 아르덴-알자스, 그리고 중부 유럽에서 활동했다.[1]
- 2007년 9월 12일, 제65의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변경되었다.
리본 | 상훈 | 연도 | 참고 |
---|---|---|---|
미 육군 근무 표창 (미 육군) | 1989 | 한국에서의 근무에 대한 표창 |
4. 1. 배속
4. 2. 계보
- 1927년 10월 18일, 15th Medical Regiment|제15의무연대영어로 정규군에 배정됨.
- 1941년 5월 28일, 65th Medical Regiment|제65의무연대영어로 변경.
- 1944년 3월 10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65th Medical Group|제65의무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로 변경, 예하 중대 계보 분리.
- 2007년 9월 12일,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65th Medical Brigade|제65의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로 변경.
4. 3. 전역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에서 활동하였다.1944년 3월 10일, 연대는 해체되어 제65 의무그룹(65th Medical Group)으로 재편성되었고, 소속 중대는 별도의 번호가 부여된 의무 수집 및 의무 정리 중대로 개편되었다.[1] 이 그룹은 노르망디, 북부 프랑스, 라인란트, 아르덴-알자스, 그리고 중부 유럽에서 활동했다.[1]
4. 4. 훈장
육군 공로부대표창해군 공로부대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