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사편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사편수회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산하의 기구로, 1922년 조선사 편찬 위원회로 시작하여 1925년 조선사 편수회로 개편되었다. 일본과 조선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조선사》 35편, 《사료총서》 102편 등을 편찬했으며, 1938년에는 《조선사》 37권을 간행했다. 8·15 광복 이후 해산되었으며, 일제의 한국 침략 정당화와 한국사 왜곡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일반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5년 한국 - 을축년 대홍수
    을축년 대홍수는 1925년 한반도 전역에 발생한 대규모 홍수로, 647명이 사망하고 막대한 재산 피해를 입혔으며, 사회적, 학술적 영향을 미쳤다.
  • 1925년 한국 - 1925년 전국체육대회
    1925년 전국체육대회는 육상, 축구, 야구, 정구 등의 종목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종목별 소학부, 중학부, 전문부, 청년부 우승팀을 가리는 대회이다.
  • 1925년 설립 - 국민혁명군
    국민혁명군은 1924년 중국 국민당이 군벌 종식과 중국 통일을 위해 창설한 군사 조직으로, 쑨원의 삼민주의를 이념으로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직되었고, 북벌을 통해 중국 통일에 기여했으나, 이후 국공내전을 거치며 중화민국 국군으로 개편되었다.
  • 1925년 설립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은 1925년 염군사와 파스큐라가 합쳐져 결성된 좌익 문학 단체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기반으로 계급 투쟁을 선전하고 계몽하는 것을 목표로 조직적인 문학 운동을 전개했으나, 내부 갈등과 일제의 탄압으로 1935년 해산되었다.
  • 일제강점기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 직후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을 목표로 상하이에서 수립되어 일본 제국에 맞서 무장 투쟁과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해방 후 정치적 난관을 겪으며 정통성과 역할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일제강점기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조선사편수회
명칭
한자조선사편수회
한글조선사 편수회
영문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일본어 (구자체)朝鮮史編修會
일본어 (신자체)朝鮮史編修会
일본어 (히라가나)ちょうせんしへんしゅうかい
로마자 표기Chōsenshi Henshūkai
로마자 표기 (한국어)Joseonsa Pyeonsuhoe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Chosŏnsa P'yŏnsuhoe
개요
설립 시기1925년 ~ 1945년
성격일제강점기 식민 통치 기관
소속조선총독 직속
주요 업무조선사 자료 수집 및 편찬
조선사 편수
조직 및 운영
관리조선총독
목적조선사 자료의 수집 및 편찬, 조선사 편수
참여자한국사 및 일본사 학자
결과물
주요 사업조선사 편찬
조선사 자료 수집
대표 저서조선사
논란
비판식민사관에 입각한 역사 왜곡
한국사의 주체성 훼손
한국사의 식민지 근대화에 대한 이론적 기반 제공
평가한국사 연구에 있어 극복해야 할 대상
기타
관련 서적《한국사를 뒤흔든 위서》, 김삼웅, 인물과 사상사, 2004년
참고 자료Detail View

2. 설립 이전

《조선사 편수회 사업 개요일본어》 제1장 〈총설〉에서는 조선사 편수회 설립 배경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1922년에 조선사 편찬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이 위원회가 조선사 편수회의 전신에 해당한다.

3. 경과

1922년 조선사 편찬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이 위원회는 조선사 편수회의 전신에 해당한다. 1925년 조선사 편찬 위원회는 해산되고 조선사 편수회로 재조직되었다. 일본과 조선의 학자들이 자료 수집과 집필에 참여하였고, 1937년까지 975534KRW을 들여 《조선사》 35편, 《사료총서》 102편, 《사료복본》 1,623편을 편찬하였다. 1938년 《조선사》 37권이 간행되었으며, 1945년 8·15 광복으로 해산되었다.

3. 1. 조선사 편찬 위원회 (1922~1925)

1922년 6월 조선사편수회 관제가 공포되면서 조선사 편찬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1925년 6월 8일까지 존속하였으며, 위원회는 위원장, 고문, 위원, 간사, 서기, 촉탁으로 구성되었다.[6][7][8]

위원장은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이 겸임하였다.

이름취임퇴임
아리요시 주이치1922년 6월 15일1924년 7월 4일
시모오카 주지1924년 7월 4일1925년 6월 8일



고문, 위원, 간사, 서기, 촉탁 명단은 아래 표와 같다.

직책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비고
고문이완용李完用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의장
박영효朴泳孝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 고문
권중현權重顯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자작
위원나가노 간長野 幹1922년 12월 28일1924년 12월 1일조선총독부 중추원 서기관장, 전임
오다 미키지로小田 幹次郞1922년 12월 28일1923년 3월 29일조선총독부 중추원 서기관장, 의원면관
유맹劉猛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이능화李能和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조선총독부 편수관
어윤적魚允迪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정만조鄭萬朝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경학원 부제학
이마니시 류今西 龍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교토 제국대학 조교수
이나바 이와키치稻葉 岩吉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조선총독부 중추원 촉탁
마쓰이 히토시松井 等1922년 12월 28일1923년 8월 16일면직
가야하라 마사조栢原 昌三1922년 12월 28일1924년 3월사망
이병소李秉韶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
윤영구尹寗求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
현채玄采1922년 12월 28일1925년 2월 3일사망
홍희洪憙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
이상영李商永1922년 12월 28일1923년 3월 25일연로함을 이유로 사직
후카가와 덴지로深川 傳次郞1923년 4월 18일1924년 6월 8일조선총독부 중추원 서기관, 전임
1924년 12월 12일 추가 임명된 위원
오쓰카 쓰네사부로大塚 常三郞1924년 12월 12일1925년 6월 8일조선총독부 중추원 서기관장
이진호李軫鎬1924년 12월 12일1925년 6월 8일조선총독부 학무국
야마자키 마사오山崎 眞雄1924년 12월 12일1925년 6월 8일조선총독부 중추원 서기관
간사이나바 이와키치稻葉 岩吉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조선총독부 중추원 촉탁
김동준金東準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조선총독부 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
서기가네코 마사키요金子正潔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속
가쓰라기 스에지葛城末治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속
김용적金容迪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속
촉탁이나바 이와키치稻葉 岩吉1922년 12월 1일1925년 6월 6일해촉
마쓰이 히토시松井 等1922년 12월 1일1923년 7월 31일해촉
홍희洪憙1922년 12월 31일1925년 6월 6일해촉
가야하라 마사조栢原 昌三1922년 12월 10일1924년 3월사망
이능화李能和1923년 12월 31일1925년 6월 6일해촉
다카하시 다쿠지高橋 琢二1924년 6월 30일1925년 6월 6일수사관보에 임명
세노 우마쿠마瀨野 馬熊1924년 11월 30일1925년 6월 6일중추원 촉탁, 해촉
구로이타 가쓰미黑板 勝美1924년 11월 30일1925년 6월 6일도쿄 제국대학 교수, 해촉


3. 1. 1. 위원장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이 조선사편수회 위원장을 겸임하였다.

이름취임퇴임
아리요시 주이치1922년 6월 15일1924년 7월 4일
시모오카 주지1924년 7월 4일1925년 6월 8일


3. 1. 2. 고문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관직비고
이완용李完用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 부의장
박영효朴泳孝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 고문
권중현權重顯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자작


3. 1. 3. 위원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관직비고
나가노 간長野 幹1922년 12월 28일1924년 12월 1일중추원 서기관장전임(轉任)
오다 미키지로小田 幹次郞1922년 12월 28일1923년 3월 29일중추원 서기관장의원면관
유맹劉猛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 참의
이능화李能和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조선총독부 편수관
어윤적魚允迪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 참의
정만조鄭萬朝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경학원 부제학[6]
이마니시 류今西 龍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교토 제국대학 조교수
이나바 이와키치稻葉 岩吉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 촉탁
마쓰이 히토시松井 等1922년 12월 28일1923년 8월 16일면직
가야하라 마사조栢原 昌三1922년 12월 28일1924년 3월사망[7]
이병소李秉韶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
윤영구尹寗求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
현채玄采1922년 12월 28일1925년 2월 3일사망
홍희洪憙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
이상영李商永1922년 12월 28일1923년 3월 25일연로함을 이유로 사직[8]
후카가와 덴지로深川 傳次郞1923년 4월 18일1924년 6월 8일중추원 서기관전임
오쓰카 쓰네사부로大塚 常三郞1924년 12월 12일1925년 6월 8일중추원 서기관장
이진호李軫鎬1924년 12월 12일1925년 6월 8일학무국
야마자키 마사오山崎 眞雄1924년 12월 12일1925년 6월 8일중추원 서기관


3. 1. 4. 간사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비고
이나바 이와키치稻葉 岩吉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 촉탁
김동준金東準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


3. 1. 5. 서기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관직비고
가네코 마사키요金子正潔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속
가쓰라기 스에지葛城末治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속
김용적金容迪1922년 12월 28일1925년 6월 8일중추원속


3. 1. 6. 촉탁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관직비고
이나바 이와키치稻葉 岩吉1922년 12월 1일1925년 6월 6일해촉
마쓰이 히토시松井 等1922년 12월 1일1923년 7월 31일해촉
홍희洪憙1922년 12월 31일1925년 6월 6일해촉
가야하라 마사조栢原 昌三1922년 12월 10일1924년 3월[7]사망
이능화李能和1923년 12월 31일1925년 6월 6일해촉
다카하시 다쿠지高橋 琢二1924년 6월 30일1925년 6월 6일수사관보에 임명
세노 우마쿠마瀨野 馬熊1924년 11월 30일1925년 6월 6일중추원 촉탁해촉
구로이타 가쓰미黑板 勝美1924년 11월 30일1925년 6월 6일도쿄 제국대학 교수해촉


3. 2. 조선사 편수회 (1925~1945)

조선사편수회는 1925년부터 1945년까지 존속했으며, 다양한 직책의 인물들이 참여했다. 이들의 재임 기간 및 직책 정보는 《조선사 편수회 사업 개요》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회장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이 겸임하였다.


고문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직책비고
이완용李完用1925년 7월 20일1926년 2월 12일중추원 부의장, 후작사망
권중현權重顯1925년 7월 20일1934년 3월 19일중추원 고문, 자작사망
박영효朴泳孝1925년 7월 20일1939년[9]중추원 고문, 후작
나이토 도라지로內藤 虎次郞1925년 9월 22일1934년 6월 26일교토 제국대학 교수사망
핫토리 우노키치服部 宇之吉1925년 9월 22일도쿄 제국대학 교수
구로이타 가쓰미黑板 勝美1925년 9월 22일도쿄 제국대학 교수
야마다 사부로山田 三良1933년 9월 8일1936년 1월 16일경성제국대학 교수의원면관
이윤용李允用1934년 4월 17일중추원 고문
하야미 히로시速水 滉1936년 3월 7일경성제국대학 총장


위원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직책비고
이쿠타 세이자부로生田 淸三郞1925년 7월 20일1929년 11월 8일중추원 서기관장의원면관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1925년 7월 20일이왕직차관
이진호李軫鎬1925년 7월 20일1929년 1월 19일학무국장의원면관
오다 쇼고小田省吾1925년 7월 20일총독부 사무관
유맹劉猛1925년 7월 20일1930년 3월 21일중추원 참의사망
어윤적魚允迪1925년 7월 20일1935년 3월 7일중추원 참의사망
이마니시 류今西 龍1925년 7월 20일1932년 5월 20일교토 제국대학 조교수사망
야마자키 마사오山崎 眞雄1925년 7월 20일1928년 3월 30일중추원 서기관전임
이능화李能和1925년 7월 20일총독부 사무관
이병소李秉韶1925년 7월 20일
윤영구尹寗求1925년 7월 20일
고타케 기미요시高武 公美1928년 5월 22일1929년 10월 28일중추원 서기관전임
최남선崔南善1928년 12월 20일촉탁
이마무라 다케시今村 武志1929년 12월 4일1931년 7월 22일중추원 서기관장의원면관
다케베 긴이치武部 欽一1929년 12월 5일1931년 7월 1일학무국장의원면관
하리마 겐시로張間 源四郞1930년 1월 18일1932년 2월 12일중추원 서기관의원면관
하야시 시게조林 繁藏1930년 7월 15일1937년 10월 30일재무국장의원면관
우시지마 쇼조牛島 省三1931년 11월 7일1936년 5월 21일중추원 서기관장의원면관
하야시 시게키林 茂樹1931년 11월 7일1933년 8월 4일학무국장의원면관
오타니 쇼신大谷 勝眞1931년 11월 7일경성제국대학 교수
마쓰모토 이오리松本 伊織1932년 3월 4일1934년 11월 5일중추원 서기관전임
후지타 료사쿠藤田 亮策1933년 4월 13일경성제국대학 교수
와타나베 도요히코渡邊 豊日子1933년 9월 8일1936년 5월 21일학무국장의원면관
오타케 주로大竹 十郞1936년 6월 3일중추원 서기관장
도미나가 후미카즈富永 文一1936년 6월 3일1937년 7월 3일학무국장의원면관
미즈타 나오마사水田 直昌1937년 11월 9일재무국장


간사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관직비고
야마자키 마사오山崎 眞雄1925년 7월 20일1928년 3월 31일중추원 서기관전임
김동준金東準1925년 7월 21일1925년 9월 10일중추원 서기관전임
이나바 이와키치稻葉 岩吉1925년 7월 21일1937년 6월 26일조선총독부 수사관의원면관
정교원鄭僑源1925년 9월 18일1928년 3월 30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전임
고타케 기미요시高武 公美1928년 5월 22일1929년 10월 28일중추원 서기관전임
이동진李東鎭1928년 5월 22일1928년 7월 27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사망
손영목孫永穆1928년 12월 4일1929년 10월 28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전임
엄창섭嚴昌燮1929년 12월 3일1934년 12월 12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전임
하리마 겐시로張間 源四郞1929년 12월 12일1932년 2월 12일중추원 서기관의원면관
마쓰모토 이오리松本 伊織1932년 2월 16일1934년 11월 5일중추원 서기관전임
고타키 모토이上瀧 基1933년 12월 8일1936년 6월 3일중추원 서기관전임
김대우金大羽1934년 2월 15일1936년 5월 28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전임
노세타니 간료野世溪 閑了1934년 12월 12일중추원 서기관
신가이 하지메新貝 肇1936년 6월 30일1937년 7월 3일인사과전임
김병욱金秉旭1936년 7월 17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


수사관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관직비고
이나바 이와키치稻葉 岩吉1925년 6월 25일1937년 6월 26일촉탁의원면관
후지타 료사쿠藤田 亮策1925년 6월 25일1926년 6월 23일총독부 편수관전임
홍희洪憙1925년 6월 25일1935년 1월 7일촉탁사망
나카무라 히데타카中村 榮孝1928년 12월 27일1937년 6월 26일촉탁의원면관
스에마쓰 야스카즈末松 保和1935년 4월 13일1935년 6월 8일수사관보전임
가쓰라기 스에지葛城 末治1936년 8월 22일1937년 3월 31일중추원속 겸 조선총독부 수사관보전임
신석호申奭鎬1938년 9월 22일수사관보
이병도李丙燾


수사관보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관직비고
다카하시 다쿠지高橋 琢二1925년 6월 6일1933년 6월 30일중추원 촉탁의원면관
가쓰라기 스에지葛城 末治1925년 8월 8일1936년 8월 22일중추원속수사관에 임명됨
이병도李丙燾1925년 8월 8일1927년 5월 30일의원면관
쓰루미 다쓰키치鶴見 立吉1925년 8월 18일1928년 4월 14일의원면관
우시오다 후키조潮田 富貴藏1927년 5월 31일1927년 8월 24일의원면관
스에마쓰 야스카즈末松 保和1928년 3월 21일1935년 4월 13일촉탁수사관에 임명됨
신석호申奭鎬1930년 5월 2일1937년 9월 22일촉탁수사관에 임명됨
하기와라 히데오萩原 秀雄1933년 6월 31일1936년 3월 6일촉탁의원면관
다가와 고조田川 孝三1935년 4월 12일촉탁
이종명李鍾明1936년 3월 12일1937년 5월 10일고원(雇員)의원면관


서기

성명취임퇴임비고
현양섭1925년 6월 6일1934년 8월 28일의원면관
가네코 마사키요1925년 8월 18일1928년 3월 18일의원면관
김용적1925년 8월 18일1930년 12월 23일의원면관
오노 도쿠조1925년 9월 28일1929년 4월 5일의원면관
가쓰라기 스에지1929년 2월 17일1936년 8월 22일수사관에 임명됨
가치 세이지로1933년 7월 14일겸임
마에다 고조1935년 4월 12일촉탁


촉탁위원은 1925년 6월부터 1937년 6월까지 활동했다.

성명취임퇴임비고
이나바 이와키치1925년 6월 6일1925년 6월 25일수사관 임명
사사카와 다네오1925년 6월 6일1925년 8월 31일해촉
홍희1925년 6월 6일1925년 6월 25일수사관 임명
세노 우마쿠마1925년 6월 6일1935년 5월 20일사망
이와타니 다케이치1925년 7월 25일1928년 6월 6일해촉
가와구치 우키쓰1925년 7월 25일1931년 12월 17일사망
시부에 게이조1925년 11월 4일1934년 4월 16일사망
나카무라 히데타카1926년 5월 31일1927년 12월 31일수사관 임명
이마니시 류1926년 9월 28일1932년 5월 20일경성제국대학 교수, 사망
박용구1926년 12월 31일1932년 1월 23일사망
스에마쓰 야스카즈1927년 5월 13일1928년 3월 21일수사관보 임명
이병도1927년 5월 31일
육종윤1927년 6월 10일1927년 7월 20일해촉
권중익1927년 7월 31일1927년 12월 16일사망
김태두1927년 10월 20일1928년 12월 20일해직
조중관1928년 3월 31일1932년 1월 23일해직
최남선1928년 10월 8일1936년 6월 25일해촉
신석호1929년 4월 27일1930년 5월 2일수사관보 임명
하기와라 히데오1929년 6월 17일1933년 6월 31일[10]수사관보 임명
구찬서1929년 6월 20일1936년 4월 23일사망
조한직1929년 12월 31일1938년 3월 15일해촉
윤용균1930년 4월 15일1931년 9월 14일사망
이마무라 도모1930년 7월 21일1931년 12월 21일해촉
소노다 요지로1931년 9월 30일고원
마에다 고조1932년 12월 31일1935년 4월 12일고원, 서기 임명
다보하시 기요시1933년 3월 15일경성제국대학 교수
다가와 고조1933년 3월 31일1935년 4월 12일수사관보 임명
스도 요시유키1933년 9월 15일1936년 10월 24일해촉
마루가메 긴사쿠1933년 9월 15일
구로다 쇼조1934년 4월 30일
이시하라 도시오1934년 4월 30일1937년 3월 15일해촉
마쓰오카 이와오1934년 6월 18일1936년 11월 29일사망
스에마쓰 야스카즈1935년 6월 18일경성제국대학 조교수
다나카 한지로1936년 6월 30일1937년 3월 15일해촉
후지이 세이치1936년 6월 30일1937년 3월 15일해촉
이나바 이와키치1937년 6월 26일
나카무라 히데타카1937년 6월 26일


3. 2. 1. 회장

조선사편수회의 회장은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이 겸임하였다.


3. 2. 2. 고문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직책비고
이완용李完用1925년 7월 20일1926년 2월 12일중추원 부의장, 후작사망
권중현權重顯1925년 7월 20일1934년 3월 19일중추원 고문, 자작사망
박영효朴泳孝1925년 7월 20일1939년[9]중추원 고문, 후작
나이토 도라지로內藤 虎次郞1925년 9월 22일1934년 6월 26일교토 제국대학 교수사망
핫토리 우노키치服部 宇之吉1925년 9월 22일도쿄 제국대학 교수
구로이타 가쓰미黑板 勝美1925년 9월 22일도쿄 제국대학 교수
야마다 사부로山田 三良1933년 9월 8일1936년 1월 16일경성제국대학 교수의원면관
이윤용李允用1934년 4월 17일중추원 고문
하야미 히로시速水 滉1936년 3월 7일경성제국대학 총장


3. 2. 3. 위원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직책비고
이쿠타 세이자부로生田 淸三郞1925년 7월 20일1929년 11월 8일중추원 서기관장의원면관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1925년 7월 20일이왕직차관
이진호李軫鎬1925년 7월 20일1929년 1월 19일학무국장의원면관
오다 쇼고小田省吾1925년 7월 20일총독부 사무관
유맹劉猛1925년 7월 20일1930년 3월 21일중추원 참의사망
어윤적魚允迪1925년 7월 20일1935년 3월 7일중추원 참의사망
이마니시 류今西 龍1925년 7월 20일1932년 5월 20일교토 제국대학 조교수사망
야마자키 마사오山崎 眞雄1925년 7월 20일1928년 3월 30일중추원 서기관전임
이능화李能和1925년 7월 20일총독부 사무관
이병소李秉韶1925년 7월 20일
윤영구尹寗求1925년 7월 20일
고타케 기미요시高武 公美1928년 5월 22일1929년 10월 28일중추원 서기관전임
최남선崔南善1928년 12월 20일촉탁
이마무라 다케시今村 武志1929년 12월 4일1931년 7월 22일중추원 서기관장의원면관
다케베 긴이치武部 欽一1929년 12월 5일1931년 7월 1일학무국장의원면관
하리마 겐시로張間 源四郞1930년 1월 18일1932년 2월 12일중추원 서기관의원면관
하야시 시게조林 繁藏1930년 7월 15일1937년 10월 30일재무국장의원면관
우시지마 쇼조牛島 省三1931년 11월 7일1936년 5월 21일중추원 서기관장의원면관
하야시 시게키林 茂樹1931년 11월 7일1933년 8월 4일학무국장의원면관
오타니 쇼신大谷 勝眞1931년 11월 7일경성제국대학 교수
마쓰모토 이오리松本 伊織1932년 3월 4일1934년 11월 5일중추원 서기관전임
후지타 료사쿠藤田 亮策1933년 4월 13일경성제국대학 교수
와타나베 도요히코渡邊 豊日子1933년 9월 8일1936년 5월 21일학무국장의원면관
오타케 주로大竹 十郞1936년 6월 3일중추원 서기관장
도미나가 후미카즈富永 文一1936년 6월 3일1937년 7월 3일학무국장의원면관
미즈타 나오마사水田 直昌1937년 11월 9일재무국장


3. 2. 4. 간사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관직비고
야마자키 마사오山崎 眞雄1925년 7월 20일1928년 3월 31일중추원 서기관전임
김동준金東準1925년 7월 21일1925년 9월 10일중추원 서기관전임
이나바 이와키치稻葉 岩吉1925년 7월 21일1937년 6월 26일조선총독부 수사관의원면관
정교원鄭僑源1925년 9월 18일1928년 3월 30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전임
고타케 기미요시高武 公美1928년 5월 22일1929년 10월 28일중추원 서기관전임
이동진李東鎭1928년 5월 22일1928년 7월 27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사망
손영목孫永穆1928년 12월 4일1929년 10월 28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전임
엄창섭嚴昌燮1929년 12월 3일1934년 12월 12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전임
하리마 겐시로張間 源四郞1929년 12월 12일1932년 2월 12일중추원 서기관의원면관
마쓰모토 이오리松本 伊織1932년 2월 16일1934년 11월 5일중추원 서기관전임
고타키 모토이上瀧 基1933년 12월 8일1936년 6월 3일중추원 서기관전임
김대우金大羽1934년 2월 15일1936년 5월 28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전임
노세타니 간료野世溪 閑了1934년 12월 12일중추원 서기관
신가이 하지메新貝 肇1936년 6월 30일1937년 7월 3일인사과전임
김병욱金秉旭1936년 7월 17일중추원 통역관 겸 서기관


3. 2. 5. 수사관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관직비고
이나바 이와키치稻葉 岩吉1925년 6월 25일1937년 6월 26일촉탁의원면관
후지타 료사쿠藤田 亮策1925년 6월 25일1926년 6월 23일총독부 편수관전임
홍희洪憙1925년 6월 25일1935년 1월 7일촉탁사망
나카무라 히데타카中村 榮孝1928년 12월 27일1937년 6월 26일촉탁의원면관
스에마쓰 야스카즈末松 保和1935년 4월 13일1935년 6월 8일수사관보전임
가쓰라기 스에지葛城 末治1936년 8월 22일1937년 3월 31일중추원속 겸 조선총독부 수사관보전임
신석호申奭鎬1938년 9월 22일수사관보
이병도李丙燾


3. 2. 6. 수사관보

성명한자 표기취임퇴임취임 당시 관직비고
다카하시 다쿠지高橋 琢二1925년 6월 6일1933년 6월 30일중추원 촉탁의원면관
가쓰라기 스에지葛城 末治1925년 8월 8일1936년 8월 22일중추원속수사관에 임명됨
이병도李丙燾1925년 8월 8일1927년 5월 30일의원면관
쓰루미 다쓰키치鶴見 立吉1925년 8월 18일1928년 4월 14일의원면관
우시오다 후키조潮田 富貴藏1927년 5월 31일1927년 8월 24일의원면관
스에마쓰 야스카즈末松 保和1928년 3월 21일1935년 4월 13일촉탁수사관에 임명됨
신석호申奭鎬1930년 5월 2일1937년 9월 22일촉탁수사관에 임명됨
하기와라 히데오萩原 秀雄1933년 6월 31일1936년 3월 6일촉탁의원면관
다가와 고조田川 孝三1935년 4월 12일촉탁
이종명李鍾明1936년 3월 12일1937년 5월 10일고원(雇員)의원면관


3. 2. 7. 서기

성명취임퇴임비고
현양섭1925년 6월 6일1934년 8월 28일의원면관
가네코 마사키요1925년 8월 18일1928년 3월 18일의원면관
김용적1925년 8월 18일1930년 12월 23일의원면관
오노 도쿠조1925년 9월 28일1929년 4월 5일의원면관
가쓰라기 스에지1929년 2월 17일1936년 8월 22일수사관에 임명됨
가치 세이지로1933년 7월 14일겸임
마에다 고조1935년 4월 12일촉탁


3. 2. 8. 촉탁위원

조선사편수회 촉탁위원은 1925년 6월부터 1937년 6월까지 활동한 위원들이다.

성명취임퇴임비고
이나바 이와키치1925년 6월 6일1925년 6월 25일수사관 임명
사사카와 다네오1925년 6월 6일1925년 8월 31일해촉
홍희1925년 6월 6일1925년 6월 25일수사관 임명
세노 우마쿠마1925년 6월 6일1935년 5월 20일사망
이와타니 다케이치1925년 7월 25일1928년 6월 6일해촉
가와구치 우키쓰1925년 7월 25일1931년 12월 17일사망
시부에 게이조1925년 11월 4일1934년 4월 16일사망
나카무라 히데타카1926년 5월 31일1927년 12월 31일수사관 임명
이마니시 류1926년 9월 28일1932년 5월 20일경성제국대학 교수, 사망
박용구1926년 12월 31일1932년 1월 23일사망
스에마쓰 야스카즈1927년 5월 13일1928년 3월 21일수사관보 임명
이병도1927년 5월 31일
육종윤1927년 6월 10일1927년 7월 20일해촉
권중익1927년 7월 31일1927년 12월 16일사망
김태두1927년 10월 20일1928년 12월 20일해직
조중관1928년 3월 31일1932년 1월 23일해직
최남선1928년 10월 8일1936년 6월 25일해촉
신석호1929년 4월 27일1930년 5월 2일수사관보 임명
하기와라 히데오1929년 6월 17일1933년 6월 31일[10]수사관보 임명
구찬서1929년 6월 20일1936년 4월 23일사망
조한직1929년 12월 31일1938년 3월 15일해촉
윤용균1930년 4월 15일1931년 9월 14일사망
이마무라 도모1930년 7월 21일1931년 12월 21일해촉
소노다 요지로1931년 9월 30일고원
마에다 고조1932년 12월 31일1935년 4월 12일고원, 서기 임명
다보하시 기요시1933년 3월 15일경성제국대학 교수
다가와 고조1933년 3월 31일1935년 4월 12일수사관보 임명
스도 요시유키1933년 9월 15일1936년 10월 24일해촉
마루가메 긴사쿠1933년 9월 15일
구로다 쇼조1934년 4월 30일
이시하라 도시오1934년 4월 30일1937년 3월 15일해촉
마쓰오카 이와오1934년 6월 18일1936년 11월 29일사망
스에마쓰 야스카즈1935년 6월 18일경성제국대학 조교수
다나카 한지로1936년 6월 30일1937년 3월 15일해촉
후지이 세이치1936년 6월 30일1937년 3월 15일해촉
이나바 이와키치1937년 6월 26일
나카무라 히데타카1937년 6월 26일


4. 주요 간행 서적


  • 조선사 (전 37권, 1938년)
  • 조선사료총간
  • 조선사료집진

5. 평가

조선사편수회에 대해서는, 일본 민족의 우위성을 입증하고 한국인의 민족 의식 말살을 목적으로 발족된 기구[4]로, 일제가 한국 침략과 지배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한국사를 왜곡하여 타율적이고 정체된 사대주의적인 역사로 규정하는 활동을 하였다[5]는 부정적인 평가가 일반적으로 내려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etail View http://thesaurus.his[...]
[2] 웹사이트 Hakoishi report http://www.hi.u-toky[...] Historiographic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Tokyo 2008-09-08
[3] 서적 한국사를 뒤흔든 위서 인물과 사상사 2004
[4] 서적 한국사를 뒤흔든 위서 인물과 사상사 2004
[5]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6] 서적 친일파 99인 2 돌베개 1993-03-01
[7] 서적 조선사 편수회 사업 개요 벤세이 출판 2014
[8] 문서 조선사 편찬 위원회 의사록 1923-06-12
[9]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10] 문서 조선사편수회사업개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