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3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7년은 대한민국의 임시정부가 대한민국 19년으로 표기하고, 중화민국은 민국 26년, 일본은 쇼와 12년으로 연호를 사용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일본의 조선노동동흥회 해체, 백백교 사건, 조선어학회의 <표준말 모음> 발간, 조선총독부의 황국신민서사 강요, 중일전쟁 발발 등이 있으며, 1937년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태어났고, 여러 저명한 인물들이 사망했다. 또한, 노벨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학·의학상, 문학상, 평화상 수상자가 발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7년 - 우수선박건조조성시설
    우수선박건조조성시설은 1930년대 일본이 쇼와 대공황, 군부의 상선 확충 요구, 국제 경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해 해운 및 조선업 발전을 목적으로 추진한 정책으로, 화객선, 화물선, 유조선 등의 선박 건조를 지원했다.
1937년
1937년
년대1930년대
세기20세기
천년기2천년기
사용된 달력그레고리력
율리우스력
사건
1월1월 1일: 니카라과에서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가 대통령이 되었다.
1월 2일: 영국과 이탈리아가 지중해의 현상 유지를 위한 신사협정을 체결했다.
1월 20일: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미국 대통령에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2월2월 8일: 스페인 내전: 말라가프란시스코 프랑코의 군대에 함락되었다.
2월 10일: 이탈리아와 독일이 스페인 내전 개입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2월 19일: 에티오피아의 황제 하이레 셀라시에 1세가 암살 시도에서 탈출했다.
2월 23일: 소련에서 니콜라이 부하린, 알렉세이 리코프 등이 반역죄로 체포되었다.
3월3월 4일: 미국에서 오스카상 시상식이 열렸다.
3월 15일: 스페인 내전 중 과달라하라 전투가 시작되었다.
3월 16일: 국제 연맹이 중국에서 일본의 행동을 비난했다.
4월4월 19일: 스페인 내전: 빌바오가 프랑코 군에게 함락되었다.
4월 26일: 스페인 내전: 독일의 공군이 게르니카를 폭격하여 민간인 수백 명이 사망했다.
5월5월 6일: 독일의 힌덴부르크 비행선이 뉴저지주에서 착륙 중 폭발하여 36명이 사망했다.
5월 12일: 조지 6세가 영국 국왕으로 즉위했다.
5월 28일: 독일의 폴크스바겐 자동차 회사가 설립되었다.
6월6월 1일: 중국과 일본 간의 루거우차오 사건이 발생했다.
6월 16일: 스페인 내전: 스페인 공화국이 내각을 교체했다.
6월 19일: 조선총독부가 보안법을 개정하여 독립운동을 탄압하였다.
7월7월 2일: 아멜리아 에어하트가 비행 중 실종되었다.
7월 7일: 중일 전쟁이 시작되었다.
8월8월 10일: 소련에서 니콜라이 예조프가 내무인민위원부 장관이 되었다.
8월 13일: 상하이 전투가 시작되었다.
9월9월 11일: 중일 전쟁: 평형관 전투가 시작되었다.
9월 20일: 영국에서 이탈리아의 외무장관과 회담이 시작되었다.
10월10월 1일: 미국에서 테네시밸리 공사가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10월 5일: 중일 전쟁: 다구 전투가 시작되었다.
10월 10일: 제14회 미국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11월11월 6일: 이탈리아가 반코민테른 협정에 가입했다.
11월 16일: 벨기에와 룩셈부르크가 중립국을 선언했다.
11월 24일: 중일 전쟁: 난징 전투가 시작되었다.
12월12월 1일: 체코슬로바키아가 카를로바리를 침공했다.
12월 13일: 난징 대학살이 시작되었다.
12월 29일: 아일랜드에서 헌법이 발효되었다.
탄생
1월1월 1일: 페트르 코바체프 (체코의 정치인)
1월 1일: 알렉산더 카멘스키 (러시아의 화가)
2월2월 6일: 레오넬로 카시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2월 7일: 안드레아스 보슈마이어 (독일의 정치인)
3월3월 1일: 아누슈카 무사제 (조지아의 배우)
4월4월 1일: 세이메이 오가와 (일본의 정치인)
5월5월 8일: 로버트 카스퍼 (미국의 골프 선수)
5월 11일: 노리스 브렌트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선수)
6월6월 1일: 카를로스 몬테스 (멕시코의 화가)
6월 11일: 카를로스 모리노 (멕시코의 화가)
7월7월 1일: 세실리아 로저스 (미국의 배우)
7월 15일: 스텔라 스티븐스 (미국의 배우)
8월8월 5일: 데이비드 존슨 (영국의 작가)
8월 8일: 더스틴 호프먼 (미국의 배우)
9월9월 1일: 앨런 스콧 (미국의 배우)
9월 7일: 모세스 므라르 (레소토의 정치인)
10월10월 1일: 로버트 스티븐스 (영국의 배우)
10월 23일: 브루스 조프리 (미국의 영화 감독)
11월11월 1일: 제이슨 로바즈 (미국의 배우)
11월 2일: 피터 힐우드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선수)
12월12월 1일: 바히르 다마 (이란의 레슬링 선수)
12월 25일: 오카모토 마리 (일본의 배우)
사망
1월1월 17일: 예지르 자이츠 (폴란드의 축구 선수)
1월 27일: 알프레드 폰 슐리펜 (독일의 군인)
2월2월 1일: 카를 슈미트 (독일의 법학자)
3월3월 1일: 빌헬름 하인리히 (독일의 군인)
4월4월 12일: 빌헬름 폰 레브 (독일의 군인)
5월5월 12일: 루돌프 폰 알트 (오스트리아의 화가)
5월 22일: 존 록펠러 (미국의 사업가)
6월6월 1일: 막스 호른 (독일의 화가)
7월7월 27일: 한스 폰 폰티우스 (독일의 군인)
7월 28일: 이창환 (한국의 독립운동가)
8월8월 7일: 김동삼 (한국의 독립운동가)
9월9월 2일: 피에르 드 쿠베르탱 (프랑스의 교육자)
9월 26일: 베를린 포르 (스웨덴의 화학자)
10월10월 1일: 피에르 폰티우스 (프랑스의 배우)
10월 19일: 어니스트 러더퍼드 (뉴질랜드의 물리학자)
11월11월 1일: 아브람 스라코프 (러시아의 바이올리니스트)
11월 17일: 빅터 고트 (오스트리아의 군인)
12월12월 21일: 프랭크 에반스 (미국의 배우)
12월 28일: 모리스 라벨 (프랑스의 작곡가)

2. 연호 및 기년

3. 사건

1937년에는 다음과 같은 사건들이 있었다.


  • 1월 - 일본에서 조선노동동흥회가 해체되었다.[38]
  • 5월 11일 - 일본 척무성이 만주국에 한인 노동자 10만 명 이주를 결정하였다.[38]
  • 7월 7일 - 노구교 사건이 발생하여 중일전쟁이 발발하였다.(~ 1945년)[40]
  • 8월 1일 - 우익 진영이 한국광복전선을 결성하고, 좌익 진영은 조선민족전선을 결성하였다.[40]
  • 9월 22일 -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 사이에 제2차 국공합작이 성립되었다. 장제스의 담화를 통해 중국 공산당의 합법화와 국공합작의 성립이 승인되었다.[40]
  • 11월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본부를 전장에서 후난성 창사로 이전하였다.[40]
  • 12월 1일 - 재만주 한국인의 치외법권이 철폐되었다.[38]
  • 스탈린의 소수민족 강제이주정책이 시행되었다.[40]
  • 1937년 12월∼1938년 2월 - 난징 대학살[40]


사건 내용
1월일본에서 조선노동동흥회 해체[38]
5월일본 척무성의 만주국에 한인 노동자 10만 명 이주 결정[38]
7월노구교 사건 발생, 중일전쟁 발발 (~ 1945년)[40]
8월우익 진영의 한국광복전선 결성, 좌익 진영의 조선민족전선 결성[40]
9월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의 제2차 국공합작 성립, 장제스의 중국 공산당 합법화 및 국공합작 성립 승인 담화[40]
11월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후난성 창사로 본부 이전[40]
12월재만주 한국인의 치외법권 철폐[38]
12월 ~
1938년 2월
난징 대학살[40]
-스탈린의 소수민족 강제이주정책 시행[40]


3. 1. 국내


  • 1월 3일 -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한국민회 대표회의 개최[38]
  • 1월 17일 - 중국 상하이에서 무정부청년동맹 및 흑색공포당 수령 김성수 체포[38]
  • 1월 29일 - 부산 조선방직공장 직공 3000여명, 임금인상 요구하며 파업[38]
  • 1월 31일 - 대구비행장 설치[38]
  • 2월 - 조선혁명당이 중국 국민당 삼중대회에서 한국혁명 원조 등을 요청[38]
  • 2월 16일 - 백백교 사건에 관련된 교단 간부들 검거[38]
  • 2월 20일 - 최승희, 서울 부민관에서 유럽순회공연 출국기념 고별무용회 개최.[38]
  • 3월 9일 - 경성-봉천 간 직통전화 개통[38]
  • 3월 15일 - 강원도 춘천에서 남궁태, 용환각 등이 항일비밀결사 독서회 조직[38]
  • 3월 18일 - 조선총독부가 각 관서에 집무 중에는 일본어를 사용하도록 지시[38]
  • 3월 31일 - 김말봉 장편 <찔레꽃>이 <조선일보>에 연재[38]
  • 4월 - 조선물산장려회 강제해산[38]
  • 4월 1일 - 함흥사범학교 개교[38]
  • 4월 15일 - 조선 천주교가 전주교구와 광주교구 설치[38]
  • 5월 1일 - 경부선 영등포역을 남경성역으로, 경원선 청량리역을 동경성역으로 개명[38]
  • 6월 5일 - 청진방송국 개국[38]
  • 6월 6일 -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수양동우회 회원 150여명 투옥[38]
  • 6월 8일 - 백백교 사건 피해자 시신 380명 발굴[38]
  • 6월 22일 - 제2차 백백교 사건 [38]
  • 7월 하순 - 조선어학회, <표준말 모음> 발간[38]
  • 8월 20일 - 일제강점기: 친일여성단체 애국금차회 결성, 금비녀 헌납 운동 시작.[38]
  • 8월 22일 - 일제강점기: 일본, 서울 전역에 등화관제 실시[38]
  • 9월 - 조선총독부가 군수공업동원법 실시 결정[38]
  • 9월 6일 - 광주의 숭일학교, 수피아학교, 목포의 정명학교, 영흥학교가 신사참배 거부로 폐교 조치됨[38]
  • 9월 14일 - 조선총독부, 군수동원법 실시 결정[38]
  • 9월 27일 - 순천의 매산학교와 매산여학교, 담양의 광덕학교가 신사참배 거부로 폐교 조치됨[38]
  • 10월 1일 - 조선총독부, 황국신민서사 제정 및 전국 시행 강요[38]
  • 10월 8일 - 황국신민체조 제정[38]
  • 11월 - 덕수궁미술관 준공[38]
  • 11월 5일 - 조선중앙일보 폐간[38]
  • 11월 9일 - 전문학교 대학생에 단발령 실시[38]
  • 11월 25일 - 조선 전국 1,400여개 시장 장날에 양력 사용 결정[38]
  • 11월 26일 - 동해북부선 간성-양양 구간 개통[38]
  • 12월 1일 - 재만주한국인의 치외법권 철폐[38]
  • 12월 3일 - 경성에 지하방공피난소, 방호수용소, 저수지 등 방공시설 착수[38]
  • 12월 23일 - 조선총독부가 일본 덴노의 사진을 각급 학교에 배부하여 경배하게 함[38]

3. 2. 국외


  • 1월 3일 -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한국민회 대표회의 개최[40]
  • 1월 17일 - 중국 상하이에서 무정부청년동맹 및 흑색공포당 수령 김성수 체포[40]
  • 2월 - 조선혁명당이 중국 국민당 삼중대회에서 한국혁명 원조 등을 요청[40]
  • 4월 10일 - 에어 캐나다 설립.[40]
  • 5월 6일 - 독일 비행선 LZ 129 힌덴부르크 공항 계류 도중 폭발. (힌덴부르크 참사)[40]
  • 5월 28일 - 네빌 체임벌린영국의 총리로 취임.[40]
  • 7월 7일 - 노구교 사건 발생. 중일전쟁 발발.(~ 1945년)[40]
  • 7월 15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중국 전장에서 국무회의 개최, 군무부에 군사위 설치 결정[40]
  • 8월 1일 - 우익 진영이 한국광복전선 결성, 좌익 진영은 조선민족전선 결성[40]
  • 8월 21일 - 중화민국소련, 불가침조약 체결.[40]
  • 9월 22일 -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 사이에 제2차 국공합작이 성립. 장제스의 담화를 통해 중국 공산당의 합법화와 국공합작의 성립을 승인.[40]
  • 11월 - 임시정부가 본부를 전장에서 후난성 창사로 이전[40]
  • 11월 21일 - 톨킨의 소설 《호빗》 출판[40]
  • 스탈린의 소수민족 강제이주정책 시행.[40]
  • 1937년 12월∼1938년 2월 - 난징 대학살[40]
  • 1월 1일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니카라과 대통령이 됨.[40]
  • 1월 5일 – 미국 오하이오 강의 수위가 상승하기 시작하여 2월까지 이어지는 1937년 오하이오 강 홍수를 초래하여 100만 명의 이재민과 385명의 사망자를 냄.[1]
  • 1월 9일 - 레프 트로츠키가 두 번째 망명지인 멕시코에 도착[40]
  • 1월 15일 – 스페인 내전: 코루냐 도로 제2차 전투가 결론 없이 끝남.[2]
  • 1월 16일 - 나치 독일 정부가 외국 군함의 킬 운하 자유 항행을 금지[40]
  • 1월 18일 - 독일 해군 훈련함 엠덴호가 요코하마 항에 입항[40]
  • 1월 19일 - 하워드 휴즈가 미국 대륙 횡단 비행 기록을 수립[40]
  • 1월 20일 – 프랭클린 D. 루즈벨트의 두 번째 취임식: 프랭클린 D. 루즈벨트가 미국 대통령으로 두 번째 임기를 시작. 이는 미국 대통령 취임식이 이 날짜에 열린 최초의 사례이며, 이 변화는 1933년 미국 헌법 제20조의 비준 때문.[40]
  • 1월 23일 – 모스크바 재판: 반소 트로츠키주의자 중심 재판 – 소비에트 연방에서 17명의 주요 공산주의자들이 레온 트로츠키가 이끄는 요셉 스탈린 정권을 전복하고 지도자들을 암살하려는 음모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재판을 받음.[40]

제2차 모스크바 재판
[40]

  • 1월 30일 – 1월 23일에 시작된 모스크바 재판이 종결. 피고인 13명이 사형을 선고받고, 칼 라덱과 그리고리 소콜니코프를 포함한 나머지는 강제 노동 수용소로 보내져 나중에 살해당함. 그들은 리코프, 부하린, 투하체프스키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을 연루시켰기 때문에 처음에는 목숨을 건졌고, 이는 더 많은 재판을 위한 단계를 마련.[3][4]
  • 2월 8일 – 스페인 내전: 파랑주의 군대가 말라가를 점령.[40]
  • 2월 8일–27일 – 스페인 내전 – 하라마 전투: 국민군과 공화군이 교착 상태에 빠짐.[40]
  • 2월 13일 - 스페인 내전 : 반정부군이 영해에 기뢰를 매설하고 해상봉쇄[40]
  • 2월 16일 – 월러스 캐러더스가 미국에서 나일론에 대한 특허를 받음.[5]
  • 2월 19일
  • * 항공기 VH-UHH (''Stinson'')가 시드니로 향하던 중 래밍턴 국립공원 상공에서 추락하여 5명이 사망.[40]
  • * 예카티트 12일: 아디스아바바에 있는 총독궁(옛 황궁)에서 열린 공개 행사에서 두 명의 에리트레아 민족주의자가 여러 개의 수류탄으로 총독 로돌포 그라치아니를 살해하려고 시도. 이탈리아 경비병들이 에티오피아 관중들에게 발포. 당국은 보복 조치를 취하여 다음 3일 동안 무차별적으로 에티오피아 원주민들을 학살하고, 다난에 수천 명의 에티오피아인들을 구금하고, 데브레 리바노스 수도원에서 약 300명의 수도승을 학살.[40]
  • * 네덜란드 국기의 적색, 백색, 청색이 왕령에 의해 확정.[6]
  • 2월 20일 – 로베르토 오르티스가 아르헨티나 대통령으로 선출.[40]
  • 2월 21일 – 국제 연맹 비간섭 위원회가 스페인 내전에 외국인이 참전하는 것을 금지.[40]
  • 3월 7일 - 소련에서 니콜라이 부하린이 체포.[40]
  • 3월 10일 (3월 14일(성주일) 발표) – 교황 비오 11세의 회칙 ''Mit brennender Sorge''("타는 듯한 염려로")가 독일에서 독일어로 발표됨. 주로 마이클 폰 파울하버 추기경과 비오 12세(당시 파첼리 추기경)의 업적으로, 나치 정부와 가톨릭 교회 간에 체결된 1933년 라이히스콘코르다트 협정 위반을 규탄하고, 나치즘의 인종관과 가톨릭과 양립할 수 없는 다른 문제점들을 비판.[40]
  • 3월 14일 - 로마 교황 비오 11세, 나치의 교회 탄압과 유대인 차별을 비판하는 회칙 「미트 브레넨델 솔게」를 발표[40]
  • 3월 18일 – 뉴런던 스쿨 폭발 사고: 미국 역사상 사망자 수 측면에서 최악의 학교 참사로, 텍사스주 뉴런던의 뉴런던 스쿨에서 발생한 대형 천연가스 폭발로 295명이 넘는 학생과 교사가 사망. 폭발 사고에 대응하여 텍사스주 타일러에 있는 마더 프랜시스 병원이 예정보다 하루 앞서 개원.[40]
  • 3월 19일 – 공산주의를 비판하는 교황 비오 11세의 회칙 ''Divini Redemptoris''가 발표.[40]
  • 3월 21일 – 폰세 학살: 푸에르토리코 주지사 블랜턴 윈십의 명령을 받은 경찰이 푸에르토리코 국민당 지도자 페드로 알비수 캄포스의 체포에 항의하는 평화 시위대에 발포하여 17명이 사망하고 200명 이상이 부상.[40]
  • 4월 1일
  • * 아덴이 영국의 왕립 식민지가 됨.[40]
  • * 나치 독일독일 공군 콘도르 군단이 스페인 하엔 폭격을 감행.[40]
  • 4월 9일 – 일본제 항공기로는 처음으로 유럽으로 비행한 ''가미카제''가 크로이든 공항에 도착.[40]
  • 4월 12일 – 프랭크 휘틀이 잉글랜드 럭비에서 항공기 추진용 세계 최초의 제트 엔진 지상 시험을 실시.[7]
  • 4월 13일 - 버마, 영국의 준자치주가 됨[40]
  • 4월 20일 – 에스토니아 킬링기-뇌므의 초등학교 화재로 학생 17명이 사망하고 50명이 부상.[40]
  • 4월 26일 – 스페인 내전: 나치 독일독일 공군 콘도르 군단프랑코 정권을 지원하기 위해 스페인 게르니카 폭격을 감행. 도시의 4분의 3이 파괴되고 수백 명이 사망.[8]
  • 5월 7일 – 스페인 내전: 하인켈 He 51 쌍발기를 장착한 독일의 콘도르 군단 전투기 그룹프란시스코 프랑코의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스페인에 도착.[40]
  • 5월 8일 – 위다드 아틀레틱 클럽(WAC)(아랍어: نادي الوداد الرياضي; 베르베르어: ''Wydad Dar al-Beida''; 일반적으로: ''Wydad al ouma'')이 모로코 카사블랑카에 설립. 카사블랑카 축구 팀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음.[40]
  • 5월 12일 – 조지 6세와 엘리자베스 왕비가 영국과 영국령, 인도의 황제와 황후로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대관식을 치름.[40]
  • 5월 21일
  • * 러시아 유인 빙상 기지가 북극해의 빙하에서 운영되는 최초의 과학 연구 정착지가 됨.[40]
  • * 이탈리아 총독 로돌포 그라치아니 암살 시도에 대한 보복으로 이탈리아 군대가 에티오피아 데브레 리바노스 지역 사회 전체를 학살하여 승려 297명과 평신도 23명을 살해.[40]
  • 5월 25일 - 파리 만국박람회 개막[40]
  • 5월 30일
  • * 스페인 내전: 스페인 선박 ''시우다드 데 바르셀로나''가 어뢰 공격을 받음.[40]
  • * 1937년 기념일 학살: 시카고 경찰국이 시카고에서 무장하지 않은 시위대 10명을 총격으로 살해.[40]
  • 6월 – 피카소가 그의 그림 ''게르니카''를 완성.[40]
  • 6월–7월 – 다일 에이렌이 새로운 초안 아일랜드 헌법을 논의하고 통과시키며, 이후 국민투표를 통해 국민 승인을 받음.[40]
  • 6월 3일 – 월리스 심프슨이 프랑스에서 전 에드워드 8세인 윈저 공작과 결혼.[40]
  • 6월 8일
  • * 다일 에이렌이 아일랜드 자유국의 총독 직책을 폐지하는 1937년 행정권(결과 조항)법을 통과시키며, 이는 소급 적용되어 12월 1936년으로 거슬러 올라감.[9]
  • * 800년 만에 처음으로 7분 이상의 개기 일식이 태평양과 페루에서 관측.[40]
  • 6월 11일 - 소련, 투하체프스키가 스탈린에 의해 숙청됨. 이듬해까지 적군 대숙청[40]
  • 6월 21일 – 레옹 블룸의 연립 정부가 프랑스에서 사임.[40]
  • 7월 1일
  • * 게슈타포가 독일에서 마르틴 니묄러 목사를 체포.[40]
  • * 아일랜드 자유국 국민 투표에서 새로운 헌법이 685,105표 대 527,945표로 통과.[40]
  • 7월 2일 – 아멜리아 이어하트와 항해사 프레드 누난이 이어하트의 세계 일주 비행 시도 중 뉴기니에서 이륙 후 실종.[10]
  • 7월 8일 - 칼 오르프 작곡의 세속 칸타타카르미나 부라나」가 프랑크푸르트에서 초연.[40]
  • 7월 13일 - 대홍문 사건 일본군이 중국군에게 폭격을 받음.[40]
  • 7월 17일 - 장제스, 뤄산에서 "마지막 순간" 연설[40]
  • 7월 19일 - 뮌헨에서 나치에 의한 "퇴폐 예술 전"이 개최.[40]
  • 7월 20일 – 독일 드레스덴에 가이벨트바트 피르나 수상 스포츠 시설이 개장.[40]
  • 7월 21일 – 에이먼 드 발레라가 다일(의회)에서 아일랜드 자유국 행정평의회 의장(총리)으로 선출.[40]
  • 7월 22일 – 뉴딜 정책: 미국 상원이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의 미국 연방 대법원 판사 증원 제안을 부결.[40]
  • 7월 25일–31일 – 중일 전쟁: 베이징(북경)과 톈진 주변에서 벌어진 일련의 전투인 북경·톈진 전투에서 일본이 승리.[40]
  • 7월 29일 – 통저우 사변: 동하북군 부대가 반란을 일으켜 통저우에서 일본군과 민간인을 살해. 일본의 대중 여론 악화[40]
  • 7월 31일 – NKVD 작전 명령 00447 "Об операции по репрессированию бывших кулаков, уголовников и других антисоветских элементов" ("옛 쿨락, 범죄자 및 기타 반소비에트 요소 탄압 작전")가 소비에트 연방 정치국에 의해 승인. 처음에는 75,950명을 처형하고 추가로 193,000명을 굴락으로 보내는 4개월 계획으로 시작.[40]
  • 8월 2일 – 미국의 마리화나 세금법은 대마초의 범죄화로 이어지는 중요한 법안. 이 법안은 연방 마약국 국장 해리 앤슬링거(Harry Anslinger)에 의해 미국 의회에 제출.[13][40]
  • 8월 5일 – 소비에트 연방이 "반소비에트 요소 제거"를 목적으로 대숙청 중 가장 큰 규모의 작전 중 하나를 개시. 이듬해까지 최소 72만 4천 명이 트로이카의 지시를 받은 조세프 스탈린의 명령에 따라 사살. 이 작전은 쿨락과 같은 사회 계층, 러시아인이 아닌 것으로 여겨지는 민족이나 인종적 배경, 그리고 공산당의 스탈린의 개인적인 반대자들과 그들의 지지자들을 표적으로 삼음.[40]
  • 8월 6일 – 스페인 내전: 파랑주의 포병이 마드리드를 포격.[40]
  • 8월 8일 – 일본이 베이징을 점령.[40]
  • 8월 9일 – NKVD의 폴란드 작전 (1937-38)이 니콜라이 예조프에 의해 대숙청의 연장으로 서명.[40]
  • 8월 13일 – 중일전쟁: 상하이 전투가 시작.[40]
  • 8월 15일
  • * 일본 정부가 국민정부의 단호한 응징을 선언하고 전면전 개시[40]
  • * 중화민국이 대일 항전 총동원령 발령[40]
  • 8월 17일 - 미국 정부가 상하이 거류민 보호를 위해 육전대 1200명 파병 결정[40]
  • 8월 22일 - 중국 북서 공산군이 국민혁명 제팔로군으로 개편[40]
  • 8월 26일 – 중일전쟁: 일본 항공기가 상하이 공습 중 영국 대사가 탄 차량을 공격.[40]
  • 8월 27일 - 바티칸이 스페인프란시스코 프랑코 정권을 승인[40]
  • 9월 1일 - 주미 중국 대사가 허버호 사건에 대해 미국 정부에 사과.[40]
  • 9월 2일 – 홍콩 대태풍으로 약 1만 1천 명이 사망.[40]
  • 9월 5일 – 스페인 내전: 야녜스 시가 팔랑헤당에 함락.[40]
  • 9월 7일 – CBS가 조지 거슈윈을 추모하는 2시간 반짜리 추모 콘서트를 할리우드 보울에서 생방송으로 전국에 방송. 오스카 레벤트, 프레드 아스테어, 오토 클렘퍼러, 릴리 퐁스 등 많은 유명인사와 뮤지컬 ''포기와 베스''의 원작 출연진이 출연. 이 콘서트는 녹음되어 수년 후 당시로서는 뛰어난 음질의 CD로 출시.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연주.[40]
  • 9월 10일 – 영국과 프랑스가 주도하는 9개국이 니옹 회의에서 지중해의 국제 해적 행위 문제를 논의.[40]
  • 9월 13일 - 국민정부가 일본군의 행위를 국제 연맹에 제소.[40]
  • 9월 17일 – 링컨의 석상이 러시모어 산에 봉헌.[40]
  • 9월 19일 – 스위스의 프로 아이스하키 클럽 HC 아므리 피오타가 창단.[40]
  • 9월 23일 - 장제스가 중국 공산당의 합법적 지위 인정을 발표.[40]
  • 9월 25일 – 중일 전쟁 - 평형관 전투: 중국 공산당의 팔로군이 일본군을 격파.[40]
  • 9월 27일 – 마지막으로 기록된 발리 호랑이가 죽음.[14]
  • 9월 28일 - 국제 연맹 총회에서 일본군의 중국 도시 공습에 대한 비난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채택.[40]
  • 9월 30일 – 오스트리아 출신 유대인 배우 헤디 라마르가 나치와 무기 거래를 한 소유욕이 강한 남편 프리드리히 만틀을 피해 뉴욕시에 도착하여 할리우드 경력을 시작.[15]
  • 10월 2일–8일 – 파슬리 학살: 라파엘 트루히요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도미니카군이 도미니카 공화국에 거주하는 수천 명의 아이티인들을 학살.[40]
  • 10월 3일 – 중일전쟁: 일본군이 중화민국의 수도 난징으로 진격.[40]
  • 10월 5일
  • * 국제연맹, 자문위원회에서 일본의 군사 행동을 9개국 조약·불전 조약 위반으로 하는 결의 채택[40]
  • *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 시카고에서 침략국을 비판하는 “고립” 연설[40]
  • 10월 9일 – 지미 앤젤(Jimmie Angel)이 그의 비행기를 악마의 산(Devil's Mountain) 정상에 착륙시키나, 비행기가 파손되어 도움을 받기 위해 열대 우림을 횡단해야 함.[40]
  • 10월 11일 – 윈저 공작 부부의 1937년 독일 순방: 에드워드 8세(Edward VIII) 윈저 공작과 왈리스 심슨(Wallis Simpson) 윈저 공작부인이 12일간의 나치 독일 순방을 시작하기 위해 베를린에 도착하여 22일에 아돌프 히틀러를 만남.[40]
  • 10월 13일 – 독일이 브뤼셀에 보낸 서한에서 독일을 상대로 군사 행동을 삼가는 한 벨기에의 불가침과 통합을 보장.[40]
  • 10월 15일 – 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Hemingway)의 소설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가 미국에서 처음 출판.[40]
  • 10월 18일–21일 – 스페인 내전: 스페인 북부 해안 전체가 파랑주의자(Falangists)의 손에 넘어감; 공화국군은 히혼에서 진격하는 파랑주의자들 앞에서 후퇴하기 전에 석유 매장량에 불을 붙임.[40]
  • 10월 22일 - 파리 만국박람회에서 일본관이 설계상을 수상[40]
  • 10월 23일 – 1937년 호주 연방 총선: 조셉 라이온스(Joseph Lyons)의 UAP/국민당 연립 정부가 존 커틴(John Curtin)이 이끄는 노동당을 물리치고 약간 증가된 다수로 재선.[40]
  • 11월 2일 - 독일을 중재역으로 한 일중 간의

4. 탄생


  • 1월 1일 - 필립 아코트 아콕 키르(Philip Akot Akok Kiir), 남수단 목사이자 전 교육자, 정치인[16]
  • 1월 3일
  • * 나디아 룻피(Nadia Lutfi), 이집트 배우 (사망 2020년)
  • * 다이앤 캐넌(Dyan Cannon), 미국 배우, 영화 감독 및 각본가
  • 1월 4일 - 그레이스 범브리(Grace Bumbry), 아프리카계 미국인 오페라 가수 (사망 2023년)
  • 1월 5일 - 일본의 정치인 고노 요헤이.
  • 1월 6일
  • * 황승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사망 2003년)
  • * 파올로 콘테(Paolo Conte), 이탈리아 가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 * 하리 홀케리(Harri Holkeri), 핀란드 제36대 총리 (사망 2011년)
  • 1월 8일 - 셜리 베이시(Shirley Bassey), 웨일스 가수

셜리 베이시

존 휴머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 1월 31일
  • * 미국의 작곡가 필립 글래스.
  • * 수잔 플레셰트(Suzanne Pleshette), 미국 배우 (사망 2008년)
  • 2월 1일 - 돈 에벌리(Don Everly), 미국의 록 앤 롤 가수 겸 음악가 (사망 2021년)[17]
  • 2월 2일
  • * 톰 스모더스(Tom Smothers), 미국의 음악가, 코미디언 (스모더스 형제(The Smothers Brothers)) (사망 2023년)
  • * 에릭 아르투로 델발레(Eric Arturo Delvalle), 파나마의 변호사 (사망 2015년)
  • 2월 4일 - 마그나르 솔베르그(Magnar Solberg), 노르웨이 바이애슬론 선수
  • 2월 5일 - 가스통 롤랑츠(Gaston Roelants), 벨기에 올림픽 선수[18]
  • 2월 8일 - 해리 우(Harry Wu), 중국 인권 운동가 (사망 2016년)
  • 2월 10일 - 로버타 플랙(Roberta Flack),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수
  • 2월 11일 - 빌 로리(Bill Lawry),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켓 선수
  • 2월 12일
  • * 이탈리아의 왕위 요구자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디 사보이아. (사망 2024년)
  • * 찰스 두마스(Charles Dumas), 미국 육상 선수 (사망 2004년)
  • 2월 13일 - 루피아 반다(Rupiah Banda), 잠비아 제4대 대통령 (사망 2022년)

루피아 반다(Rupiah Banda)

하랄 5세(Harald V of Norway)

올루세군 오바산조(Olusegun Obasanjo)

발렌티나 테레시코바(Valentina Tereshkova)

베니 파레트(Benny Paret)

워런 비티(Warren Beatty)

  • 4월 1일
  • * 모하마드 하미드 안사리(Mohammad Hamid Ansari), 인도 정치인, 제12대 인도 부통령
  • * 일마즈 귄네이(Yılmaz Güney), 황금종려상 수상 경력이 있는 쿠르드족 영화 감독, 각본가, 배우, 소설가이자 활동가 (사망 1984년)
  • 4월 3일 - 캐나다의 영화배우 로렌스 데인. (사망 2022년)
  • 4월 4일 - 오베드 드라미니(Obed Dlamini), 스와질란드 제6대 총리 (사망 2017년)
  • 4월 5일
  • * 미국의 군인, 정치가 콜린 파월. (사망 2021년)
  • * 메리앤 트럼프 배리(Maryanne Trump Barry), 미국 변호사 (사망 2023년)
  • * 구이도 빌도소(Guido Vildoso), 볼리비아 제59대 대통령

콜린 파월(Colin Powell)

머틀 해거드(Merle Haggard)


빌리 디 윌리엄스(Billy Dee Williams)

조세프 에스트라다(Joseph Estrada)

조지 타케이(George Takei)

  • 4월 22일 - 미국의 영화 배우 잭 니콜슨.

잭 니콜슨(Jack Nicholson)

사담 후세인(Saddam Hussein)

조지 칼린(George Carlin)

이본 크레이그(Yvonne Craig)

멩이스투 하일레 마리아(Mengistu Haile Mariam)

모건 프리먼

시메온 2세(Simeon Saxe-Coburg-Gotha)

  • 6월 18일
  • * 로널드 베네티안(Ronald Venetiaan), 제6대 및 제8대 수리남 대통령
  • * 비탈리 조로보프(Vitaly Zholobov), 소련 우주비행사
  • 6월 19일 - 앙드레 글럭스만(André Glucksmann), 프랑스 철학자, 작가 (사망 2015년)
  • 6월 23일 - 핀란드의 정치가 마르티 아티사리. (사망 2023년)

마르티 아티사리

소냐 노르웨이 국왕

리오넬 조스팽

마누엘 핀투 다 코스타(Manuel Pinto da Costa)

더스틴 호프만(Dustin Hoffman)

프란시스쿠 핀투 발세망(Francisco Pinto Balse

4. 1. 한국

1937년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일들이 있었다.

날짜설명
1월 6일황승민 (정치인, 2003년 사망)
1월 10일차경복 (축구 선수, 축구 감독, 2006년 사망)
1월 15일이수병 (인혁당 사건 피해자, 1975년 사망)
1월 15일김계원 (성우, 2012년 사망)
1월 24일성혜림 (김정일의 아내, 2002년 사망)
2월 16일김원기 (정치인)
2월 20일전태홍 (정치인, 2005년 사망)
3월 3일권영자 (기자, 정치인)
3월 3일김윤덕 (정치인, 2022년 사망)
3월 10일송재호 (배우, 2020년 사망)
3월 28일이호동 (정치인, 1986년 사망)
4월 15일윤여훈 (정치인)
4월 18일정두수 (작사가, 2016년 사망)
4월 29일이기욱 (공무원, 1983년 사망)
5월 5일어준선 (기업가, 정치인, 2022년 사망)
5월 5일안종필 (언론인, 1980년 사망)
5월 7일박기정 (만화가, 2022년 사망)
5월 8일신성일 (영화배우, 2018년 사망)
5월 8일국종남 (정치인, 2024년 사망)
5월 20일신상우 (정치인, 2012년 사망)
5월 29일서상록 (기업인, 2014년 사망)
6월 4일김명혁 (개신교 목회자, 2024년 사망)
7월 4일서기원 (방송인, 스포츠 캐스터, 2023년 사망)
7월 8일주돈식 (정치인, 2022년 사망)
7월 8일탁명환 (신흥 종교 연구가, 1994년 사망)
7월 25일홍성대 (교육인)
7월 28일박병호 (배우)
7월 28일서경원 (농민운동가, 민주화 운동가, 국회의원)
8월 1일현소환 (언론인, 2018년 사망)
8월 4일최시중 (언론인, 정치인)
8월 4일유순철 (배우)
8월 5일손문주 (정치인, 2007년 사망)
8월 16일민지환 (배우)
8월 18일최하원 (영화감독, 시나리오 작가)
8월 19일이상주 (교육인, 2023년 사망)
8월 20일박상대 (생물학자, 2024년 사망)
8월 23일이이화 (역사학자, 2020년 사망)
8월 28일천용택 (정치인)
9월 9일유재건 (정치인, 2022년 사망)
9월 10일권정생 (아동문학가, 2007년 사망)
9월 19일유재건 (정치인, 2022년 사망)
9월 24일이강식 (성우, 2015년 사망)
10월 5일장주원 (무형문화재)
10월 8일이계익 (공무원, 정치가, 2016년 사망)
10월 15일허화평 (군인)
10월 20일김상순 (배우, 2015년 사망)
11월 12일정광진 (법조인, 2023년 사망)
12월 3일김정수 (정치인)
12월 7일이종환 (방송 MC, 2013년 사망)
12월 12일김영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인)
12월 25일김금수 (노동 운동가, 2022년 사망)
12월 25일박경득 (배우, 2023년 사망)


4. 2. 외국

5. 사망


H. P. 러브크래프트


로버트 보든


조지 거슈윈


굴리엘모 마르코니


모리스 라벨

6. 노벨상

100px

참조

[1] 웹사이트 Fact Sheet: Ohio River Floods http://kyclim.wku.ed[...] Western Kentucky University 2015-08-10
[2]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Penguin Books
[3] 서적 Los Grandes Procesos de la Historia. Los Procesos de Moscú. Tomo I Ed Circulo de Amigos de la Historia. Editions de Crémille-Genéve
[4] 웹사이트 The Treason Case Summed Up http://neworleans.me[...] 1938-04-00
[5] 특허 Linear Condensation Polymers 1937-02-00
[6] 웹사이트 Koninklijk Besluit nr. 93, Zell am See https://web.archive.[...] 1937-02-19
[7] 서적 Genesis of the Jet: Frank Whittle and the Invention of the Jet Engine Crowood Press
[8] 뉴스 Germany's connection to the attack The Times
[9] 서적 The Irish Jurist, Together with the Irish Jurist Reports Jurist Publishing Company
[10] 웹사이트 Amelia Earhart Biography, Disappearance, & Facts https://www.britanni[...] 2020-12-12
[11] 서적 League of Nations Mandates – Palestine: Report of the Palestine Royal Commission https://www.jewishvi[...] 1937-07-00
[12] 서적 Population Transfers in Asia https://archive.org/[...] Hallsby Press
[13] 법률 Marijuana Tax Act of 1937
[14] 웹사이트 The Balinese Tiger http://www.lairweb.o[...]
[15] 서적 Beautiful: The Life of Hedy Lamarr Thomas Dunne Books
[16] 웹사이트 Fear of torture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1992-02-25
[17] 서적 Encyclopedia of recorded sound in the United States Garland Pub
[18] 서적 World History of Hurdle and Steeplechase Racing Men and Women Gardners Books
[19] 서적 The Royal encyclopedia Macmillan Press
[20] 웹사이트 Madeleine Albright obituary https://www.theguard[...] 2022-03-23
[21] 뉴스 Ricardo Alarcón, powerful Cuban foreign minister, dies at 84 https://www.washingt[...]
[22] 웹사이트 Ned Beatty, Actor Known for 'Network' and 'Deliverance,' Dies at 83 https://www.nytimes.[...] 2021-06-14
[23] 웹사이트 Roald Hoffmann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24] 웹사이트 Donald Dewar https://www.theguard[...] 2000-10-11
[25] 뉴스 Indonesia's Veteran Actress Rima Melati Passes Away at 84 https://en.tempo.co/[...] 2022-06-23
[26] 간행물 Bruce McLaren
[27] 서적 Professional sports team histories Gale Research
[28] 웹사이트 Vaira Vike-Freiberga https://www.britanni[...] 2020-02-25
[29] 웹사이트 Jane Fonda https://www.britanni[...] 2020-03-25
[30] 웹사이트 Velika tuga: Preminuo legendarni Milutin Šoškić https://nova.rs/spor[...] 2022-08-27
[31] 웹사이트 Melartin, Erkki (1875-1937): Fennica Gehrman - Finnish sheet music https://www.fennicag[...]
[32] 웹사이트 Horacio Quiroga | Biography, Book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03
[33] 뉴스 The Day the Angels Lost Their Grip https://news.google.[...] Tuscaloosa News 1962-05-06
[34] 웹사이트 Pierre, baron de Coubertin Biography, Olympics,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35] 전기사전 Granville Ryrie 0-dict-biogR.html#ry[...]
[36] 논문 From a brewer to the faraday of statistics: William Sealy Gosset https://go.gale.com/[...] 2016-07-01
[37] 웹사이트 Don Marquis {{!}} American writer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3-24
[38] 간행물 毎日新聞マイクロ版索引 明治5年2月-昭和38年12月 https://dl.ndl.go.jp[...] 毎日新聞社 1966
[39] 뉴스 大義なく泥沼化した日中戦争 政府や軍の正当化の理論も理解できず https://www.asahi.co[...]
[40] 웹사이트 訃報 河合常則さん80歳=元自民党参院議員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0-11-26
[41] 뉴스 北アイルランドの政治家J・ヒューム氏死去、83歳 和平に寄与しノーベル賞 https://www.afpbb.co[...] 2021-01-07
[42] 뉴스 ジョン・ヒューム氏死去、83歳 北アイルランド和平でノーベル賞 https://web.archive.[...] 時事ドットコム 2020-08-03
[43] 웹사이트 John Hume: Nobel Peace Prize winner dies aged 83 https://www.bbc.com/[...] 2020-08-03
[44] 웹사이트 元中日選手 会田豊彦さん死去、74歳 https://www.sponichi[...] Sponichi Annex 2020-10-30
[45] 웹사이트 直木賞作家の佐木隆三氏が死去 78歳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11-25
[46] 뉴스 「ミ・アモーレ」作曲の松岡直也氏が死去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0-10-28
[47] 뉴스 作家の安部譲二さん死去 「塀の中の懲りない面々」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0-11-08
[48] 뉴스 モンキー・パンチさん:「ルパン三世」の生みの親が肺炎のため死去 81歳 https://mantan-web.j[...] 2020-10-25
[49] 뉴스 元阪神エースのバッキー氏死去 日本通算100勝 https://www.nikkansp[...] 2020-11-26
[50] 뉴스 元衆院議員の石原健太郎氏死去 https://web.archive.[...] 時事ドットコム 2020-07-07
[51] 웹사이트 「きょうの料理」小林カツ代さん死去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0-10-30
[52] 서적 暗黒神話体系シリーズ クトゥルー4 青心社
[53] 서적 ストライクウィッチーズ アフリカの魔女 ケイズ・レポート 角川書店
[54] 서적 機神兵団 1 満州黎明篇 中央公論社
[55] 서적 新・昭和遊撃隊 光風社出版
[56] 서적 ジョーカー・ゲーム 角川書店
[57] 서적 伝奇集 岩波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