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제프 루이 프루스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제프 루이 프루스트는 프랑스의 화학자이다. 그는 일정 성분비의 법칙을 통해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의 주장을 반박하여 화학 발전에 기여했다. 프루스트는 약제사의 아들로 태어나 화학을 공부했으며, 파리의 병원 수석 약제사로 임명되었다. 스페인으로 건너가 강의 및 연구 활동을 하였으며, 나폴레옹의 침공 이후 프랑스로 돌아와 은퇴했다. 프루스타이트(proustite)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6년 사망 - 존 애덤스
    존 애덤스는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독립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후에는 외교관,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프랑스와의 준전쟁 해결, 해군 창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826년 사망 - 니콜라이 카람진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카람진은 러시아의 저명한 작가이자 역사가로, 혁신적인 산문과 『러시아 국가의 역사』 저술, 감상주의 문학 도입, 잡지 창간, 러시아 역사 연구의 지평을 열었으며, 러시아 알파벳에 'Ё/ё' 자를 도입하고 알렉산더 1세의 정치적 조언자로도 활동했다.
  • 프랑스의 화학자 - 피에르 퀴리
    프랑스 물리학자 피에르 퀴리는 압전 효과 발견, 자기장 연구, 아내 마리 퀴리와 함께 방사능 연구를 통해 폴로늄과 라듐을 발견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그의 업적은 핵물리학 및 화학 발전에 기여했고 사후에도 그의 이름이 기려지고 있다.
  • 프랑스의 화학자 - 앙투안 라부아지에
    앙투안 라부아지에는 질량 보존의 법칙을 발견하고 산소를 명명하는 등 현대 화학의 기초를 세웠으나 프랑스 혁명 중 처형당했으며, 그의 저서 『화학 원론』은 근대 화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쳐 '근대 화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1754년 출생 - 파벨 1세
    파벨 1세는 표트르 3세와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어머니와의 불화, 강경한 프랑스 혁명 대응,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군사 개혁, 그리고 귀족들의 불만으로 1801년 암살당했다.
  • 1754년 출생 - 이벽
    이벽은 조선 후기 학자이자 한국 천주교회 개척자로, 천주교 서적을 통해 교리를 독학하고 권철신, 정약용 등과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여 전교 활동을 펼치다 체포 후 사망했으며, 순교 여부는 논란이 있으나 한국 천주교회 초기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조제프 루이 프루스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조제프 루이 프루스트
출생 이름조제프 루이 프루스트
출생일1754년 9월 26일
출생지앙제, 프랑스
사망일1826년 7월 5일
사망지앙제, 프랑스
국적프랑스
직업
직업화학자
소속 기관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학문
분야화학
업적
주요 업적정비례의 법칙

2. 생애

조제프 루이 프루스트는 1754년 9월 26일 프랑스의 앙제에서 약제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아버지의 가게에서 화학을 공부했고, 나중에 파리로 가서 피티-살페트리에르 병원(Pitié-Salpêtrière Hospital)의 수석 약제사가 되었다.[2] 그는 또한 유명한 기구 비행사였던 필라트르 드 로지에(Pilâtre de Rozier)와 함께 화학을 가르쳤다.[2]

자크 샤를과 친분이 있었으며, 1783년경 기구를 이용한 비행 연구를 수행했다. 1789년 에스파냐의 마드리드 왕립실험소 소장이 되었다.

카를로스 4세의 영향으로 프루스트는 스페인으로 갔다. 그는 세고비아(Segovia)의 화학교와 살라망카 대학교에서 강의했다. 1792년에는 프루스트가 설계한 스페인 최초의 기구가 카를로스 4세 앞에서 비행하였다. 그러나 1808년 나폴레옹이 스페인을 침공했을 때, 그의 실험실은 불타 버렸고 그는 프랑스로 돌아가야 했다. 그 후 나폴레옹의 초빙을 거절하고 은퇴하여 검소한 생활을 하였다.

1816년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으며, 1826년 7월 5일, 프랑스 앙제에서 사망했다. 광물 프루스타이트(proustite, Ag₃AsS₃)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다비드 댕제르의 흉상 (1831)

3. 화학 연구

조제프 루이 프루스트는 일정 성분비의 법칙을 확립하고, 당 연구에 기여한 프랑스의 화학자이다. 앙제에서 약제사의 아들로 태어나 파리에서 약제사가 되었고, 1789년 에스파냐 마드리드 왕립실험소 소장이 되었다.

자크 샤를과 친분이 있었으며, 1783년기구를 이용한 비행 연구를 수행했다. 1792년에는 프루스트가 설계한 스페인 최초의 기구가 카를로스 4세 앞에서 비행하였다. 이후 스페인 세고비아의 포병학교 화학 교수를 거쳐 1789년부터 카를로스 4세의 마드리드 화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1806년 프랑스로 돌아왔으며, 1808년 나폴레옹의 침공으로 후원자를 잃고 귀국하였다. 나폴레옹의 초빙을 거절하고 은퇴하여 검소한 생활을 하였으며, 1816년 프랑스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

3. 1. 일정 성분비의 법칙

프루스트의 가장 큰 과학적 업적은 일정 성분비의 법칙을 통해 베르톨레의 주장을 반박한 것이다. 이 법칙은 '프루스트의 법칙'이라고도 한다.[2][1] 프루스트는 탄산구리, 두 가지 주석 산화물, 그리고 두 가지 황화철을 연구하여 이 법칙을 증명했다. 그는 인공 탄산구리를 만들어 천연 탄산구리와 비교함으로써 구리(Cu), 탄소(C), 산소(O) 세 원소의 무게 비율이 같음을 보였다.[3] 또한, 다른 화합물의 두 가지 유형 사이에는 중간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프루스트는 1797년에 이 논문을 발표했지만, 1812년 스웨덴의 화학자 베르셀리우스가 그 공로를 인정하기 전까지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나 일정 성분비의 법칙에는 예외가 있다. 이 법칙을 따르지 않는 화합물은 비화학량론적 화합물 또는 베르톨리드라고 부른다. 화합물에 존재하는 원소의 비율은 산화철(II)과 같이 특정 범위 안에서 달라질 수 있다. 산화철(II)의 이상적인 화학식은 FeO이지만, 결정학적 결함 때문에 약 Fe0.95O로 나타난다.

3. 2. 당 연구

프루스트는 단맛이 나는 채소와 과일에 존재하는 당에 대한 연구에도 관심이 있었다. 1794년부터 포도당 등 당류 연구를 진행했다. 1799년 마드리드에서 자신의 수업에서 포도의 당이 꿀에서 발견되는 당과 동일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4. 저작 목록

출판 연도제목번역 제목저널비고
1797Recherches sur le Bleu de Prusse프러시안 블루에 대한 연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et dHistoire Naturelle45''' 334–341[1]
1798'Analyse dune Mine dArgent dAmérique''미국의 은광 분석'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et dHistoire Naturelle3''' 389–391[2]
1799Sur la manganèse des cendres végétales식물 재의 망간에 대하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et dHistoire Naturelle48''' 469[3]
1800'Recherches sur létain''주석에 대한 연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et dHistoire Naturelle51''' 173–184
1801Faits détachés sur la platine백금에 대한 단편적인 사실들'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et dHistoire Naturelle52''' 409–438
1801Mémoire sur les oeufs pétrifiés trouvés aux environs de Terruel en Arragon아라곤 테루엘 근처에서 발견된 석화된 알에 대한 논문'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et dHistoire Naturelle53''' 317-320
1802Sur les sulfures natifs et artificiels du fer천연 및 인공 철 황화물에 대하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54''' 89–96
1803Sur le nickel니켈에 대하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57''' 169–174
1804'Extrait dune Lettre du Professeur Proust à J.-C. Delamétherie''프루스트 교수가 J-C 델라메테리에게 보낸 편지 발췌'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59''' 66
1804'Sur le bouillon dos''뼈 국물에 대하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59''' 114–122
1804Sur les sulfures métalliques금속 황화물에 대하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59''' 260–265
1804Sur les sulfures alkalins알칼리 황화물에 대하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59''' 265–273
1804Sur les oxidations métalliques금속 산화에 대하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59''' 321–342
1804'Sur le sulfate de cuivre, au minimum dacide''최소한의 산을 함유한 황산구리에 대하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59''' 343–350
1804Sur les muriates de cuivre verd et blanc녹색 및 흰색 구리 염화물에 대하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59''' 350–355
1805'Étain et muriate dammoniaque''주석과 염화암모늄'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61''' 338–349
1806'Sur lutilité du Lichen dslande, comme aliment식량으로서의 아이슬란드 이끼의 유용성에 대하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63''' 81–97
1807'Recherches sur les moyens de remplacer économiquement la corde à feu dans le service de lArtillerie''포병에서 안전초를 경제적으로 대체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64''' 249–258
1807Sur la blende섬아연광에 대하여'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64''' 150–154
1807Des oxides de cuivre구리 산화물들'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65''' 80–82
1808'Observations sur lécrit de M Parmentier, inséré au Moniteur du 7 juin dernier, relatif aux moyens de remplacer le sucre dans la médecine et lconomie domestique지난 6월 7일 모니터에 실린 파르망티에 씨의 글에 대한 의견, 의학 및 가정 경제에서 설탕을 대체하는 방법과 관련됨'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67''' 43–54


참조

[1] 서적 Groundbreaking Scientific Experiments, Inventions, and Discoveries of the 19th Centu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04-30
[2] 백과사전
[3] 서적 The Britannica Guide to The Atom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Inc 2011-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