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팝나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팝나무족은 장미과 벚나무아과에 속하는 족이다. 금강인가목속, 눈개승마속, 조팝나무속 등을 포함하며, 2017년 장 등의 연구에 따르면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아과 내에서 사과나무상족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팝나무족 - 금강인가목
    금강인가목은 정확한 유래는 불분명하나 줄기 속 모양 때문에 금강국수나무라고도 불리며, 해외로 전파되었지만 현재는 하버드 식물원에서 고사했고, 대한민국에서는 국립수목원에서 재배 중인 1m 내외의 암석 지대 자생 식물이다.
  • 조팝나무족 - 눈개승마속
    눈개승마속은 참눈개승마, 눈개승마, 한라개승마 등 다양한 종과 변종을 포함하는 식물 속으로, 햇볕이 잘 들거나 반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며 봄, 가을에 덩이뿌리 나누기로 번식한다.
  • 1825년 기재된 식물 - 석류풀과
    석류풀과는 약 9개 속과 80여 종으로 구성된 속씨식물 과이며, Adenogramma, Coelanthum, Glinus, Glischrothamnus, Mollugo 등을 포함한다.
  • 1825년 기재된 식물 - 헤르난디아과
    헤르난디아과는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나무, 관목, 덩굴 식물로 이루어진 과이며, 잎은 어긋나고 꽃은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녹나무과, 모니미아과와 계통 분류학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조팝나무족 - [생물]에 관한 문서
조팝나무족
조팝나무속Spiraea hypericifolia
학명Spiraeeae
명명자DC., 1825
조팝나무속(Spiraea L.)
(추가 정보 필요)

2. 하위 분류


  • 금강인가목속 (`Pentactina` Nakaila)
  • 눈개승마속 (`Aruncus` L.la)
  • 조팝나무속 (`Spiraea` L.la)
  • ''Holodiscus'' (K.Kochde) Maxim.la
  • ''Kelseya'' (S.Watsonla) Rydb.la
  • ''Luetkea'' Bong.la
  • ''Petrophytum'' (Nutt.la) Rydb.la
  • ''Pleiosepalum'' Hand.-Mazz.la
  • ''Sibiraea'' Maxim.la
  • ''Xerospiraea'' Henrardla

3. 계통 분류

2017년 장 등(Zhang ''et al'')의 연구에 따르면 조팝나무족은 사과나무족, 길레니아족, 쉬땅나무족, 벚나무족과 가까운 관계이다.[3]

3. 1. 2017년 장 등(Zhang ''et al'')의 연구

다음은 2017년 장 등(Zhang ''et al'')의 연구에 의한 계통 분류이다.[3]

{| class="wikitable"

|-

! 장미목

|-

| 장미과

|-

| 벚나무아과

|-

|

{| class="wikitable"

|-

! 사과나무상족

|-

|

사과나무족
길레니아족



|-

| '''조팝나무족'''

|-

| 쉬땅나무족

|-

| 벚나무족

|}

|-

! 황매화상족

|-

|

황매화족
가침박달족



|-

| 국수나무족

|-

| 리오노탐누스족

|-

|

{| class="wikitable"

|-

! 장미아과

|-

|

{| class="wikitable"

|-

! 장미상족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양지꽃족
장미족



|-

| 짚신나물족

|}

|-

| 산딸기족

|}

|-

| 콜루리아족

|}

|-

| 터리풀족

|}

|-

| 담자리꽃나무아과

|}

|}

|-

| 외부 분류군

|}

참조

[1] 웹사이트 Spiraeeae https://npgsweb.ars-[...] 2019-06-08
[2] 서적 Prodrom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etabilis
[3] 논문 Diversification of Rosaceae since the Late Cretaceous based on plastid phylogenomics http://online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