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B. 캘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B. 캘훈은 1917년 테네시주에서 태어나 1995년 사망한 미국의 행동학자이다. 그는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캘훈은 쥐와 생쥐를 대상으로 한 일련의 실험을 통해 과밀 환경이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으며, 특히 '유니버스 25' 실험으로 유명하다. 이 실험에서 그는 개체수 증가와 사회 구조의 붕괴, 그리고 궁극적인 개체군 감소를 관찰하여 '행동의 싱크'라는 개념을 도출했다. 캘훈의 연구는 교도소나 정신병원과 같은 환경 개선에 대한 그의 의도를 보여주었지만, 실험 방법과 결과에 대한 비판과 논란도 있었다. 그의 연구는 소설과 영화에 영감을 주었으며, 도시의 사회적 타락을 언급하는 데 인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행동학자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동물행동학자 - 이반 파블로프
이반 파블로프는 조건반사 연구로 유명한 러시아의 생리학자, 심리학자, 의사이며, 190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고, 개의 타액 분비 실험을 통해 고전적 조건화 개념을 정립했다. - 20세기 동물학자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20세기 동물학자 - 레이철 카슨
레이철 카슨은 해양 생물학자이자 작가, 환경 운동가로, 저서 《침묵의 봄》을 통해 살충제의 유해성을 알리고 환경 운동에 기여했으며, DDT 사용 금지 운동과 미국 환경 보호국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심리학자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심리학자 - 아모스 트버스키
아모스 트버스키는 인지 편향 연구를 통해 인지과학과 행동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이스라엘의 인지심리학자이자 수리심리학자이다.
존 B. 캘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존 B. 캘훈 |
출생일 | 1917년 5월 11일 |
출생지 | 엘크턴, 테네시 주, 미국 |
사망일 | 1995년 9월 7일 |
직업 | 동물행동학자 |
주요 업적 | 행동 쇠퇴 이론 |
![]() |
2. 어린 시절과 교육
존 범패스 캘훈은 1917년 5월 11일 테네시주 엘크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제임스 캘훈은 고등학교 교장이자 테네시주 교육부 행정직이었고, 어머니 펀 매돌 캘훈은 예술가였다. 캘훈은 셋째 아이였으며, 첫째는 유아기에 사망했고, 누나 폴리와 남동생 빌리, 댄이 있었다.
에모리 대학교와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서 강의하였다. 1946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 설치류 생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시궁쥐 개체수 연구를 시작했다.[1] 1951년 잭슨 연구소에서 시궁쥐 집단 연구를 계속했다.[3] 1954년 국립보건원에 취직하여 33년간 근무하였다.
캘훈의 가족은 그가 중학교에 다닐 무렵 테네시주 브라운스빌을 거쳐 내슈빌로 이사했다. 이 시기 캘훈은 테네시 조류학 협회에 참석하며 새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특히 조류표지법과 굴뚝칼새 연구로 유명한 래스키 부인은 캘훈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캘훈은 중고등학교 시절 새에게 표지를 붙이고 습성을 기록했으며, 15세에는 테네시 조류학 협회 저널 《마이그런트》에 첫 기사를 발표했다.
캘훈은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버지니아 대학교에 진학하여 1939년 학사 학위를 받았다. 여름에는 워싱턴 D.C.의 스미스소니언 협회에서 알렉산더 웨트모어를 도와 조류학 연구를 했다. 이후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1942년 석사, 1943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박사 학위 논문 주제는 시궁쥐의 생체주기였다.
캘훈은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한 이디스 그리즐리를 만나 결혼하였다.
3. 경력
3. 1. 초기 쥐 연구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설치류 생태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캘훈은 1947년 3월부터 960m2 크기의 야외 우리에서 시궁쥐 무리를 대상으로 28개월 동안 연구를 진행했다.[1] 이론적으로는 암컷 다섯 마리가 이 기간 동안 5,000마리의 새끼를 낳을 수 있었지만, 실제로는 쥐의 개체수가 200마리를 넘지 않고 150마리로 안정되었다.[1] 또한, 쥐들은 우리 영역 전체에 무작위로 흩어지지 않고, 각각 12마리씩 12~13개의 작은 집단으로 조직되었다.[1] 캘훈은 쥐들이 자연 상태에서 조화롭게 살 수 있는 최대 숫자가 12마리이며, 이를 초과하면 스트레스와 심리적 영향으로 인해 집단이 붕괴된다고 설명했다.[1] 캘훈은 1951년까지 시궁쥐 집단 연구를 계속하였다.[3]
3. 2. 시궁쥐 실험
캘훈은 메릴랜드주 록빌 외곽 시골의 케이시 농장에 있는 거대한 헛간 2층을 실험실로 삼고 길들인 시궁쥐를 이용하여 행동 실험을 수행하였다.[1] 이 지역은 오늘날 교외의 중심이 되었지만 헛간은 여전히 남아있으며, 교외용으로 개조되어 있다.[1] 캘훈이 지내던 시절에는 계단 꼭대기에 작고 어수선한 사무 공간이 있었다.[1] 설치류 냄새가 매우 심하여 사람이 제대로 숨을 쉬려면 시간이 좀 걸렸다.[1]
연구 영역은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1] 중앙 부분에는 상자 모양의 방이 지어졌고, 이 상자 주변을 복도가 둘러싸고, 방 꼭대기로 이어지는 계단이 있었다.[1] 이 상자는 10x 크기의 네 개의 방, 또는 서식지로 나뉘었다.[1] 각 방에는 연구원이나 관리인이 들어갈 수 있는 문이 있었고, 천장은 유리창이었다.[1] 이 창을 통해서 각 방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관찰할 수 있었다.[1] 각 방은 약 0.61m 높이의 칸막이로 4등분하였다.[1] "V"자형의 경사로를 우리 1번과 2번, 2번과 3번, 3번과 4번에 연결하였고, 우리 1번과 4번은 연결하지 않았다.[1] 각 구역의 벽 모퉁이에는 나선형 계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인공 굴을 설치하였다.[1] 네 구역 중 두 구역의 "굴"은 바닥에서 약 0.91m 높이로, 나머지 두 구역의 굴은 바닥에서 약 1.83m 높이였다.[1] 각 구역에는 식수와 먹이 공급소도 설치하였다.[1]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행동 패턴의 차이를 가져왔고, 궁극적으로는 "행동의 싱크"라는 개념으로 이어졌다.[1]
케이시 농장의 실험실에서 수행된 연구는 1958년 시작되었고, 캘훈이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에 위치한 행동과학 고등연구센터에서 1년을 보내도록 초청받은 1962년까지 지속되었다.[1]
3. 3. 생쥐 실험 (유니버스 25)
1960년대 초, 미국 국립 정신 건강 연구소(NIMH)는 메릴랜드주 풀스빌 외곽 시골 지역에 부지를 확보하여 캘훈이 주도하는 여러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 중 가장 유명한 실험이 '유니버스 25'로 알려진 생쥐 실험이다.[1]
1968년 7월, 4쌍의 생쥐가 실험 시설에 투입되었다. 실험 시설은 가로 약 2.74m, 세로 약 1.37m 높이의 정사각형 금속 우리였다. 각 면에는 4개의 수직 철망 "터널"이 있어 둥지 상자, 먹이통, 물 공급기에 접근할 수 있었다. 먹이, 물, 둥지 재료는 부족함이 없었고, 포식자도 없었다. 유일한 문제는 공간 제약이었다.[2]
처음에는 개체수가 55일마다 두 배로 빠르게 증가했다. 315일째에 620마리에 도달했으나, 이후 증가 속도가 둔화되어 145일마다 두 배로 증가했다. 600일째에 마지막 새끼가 태어났으며, 최대 3,840마리의 생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총 개체수는 2,200마리에 불과했다. 315일에서 600일 사이에 사회 붕괴와 정상적인 사회 행동의 붕괴가 나타났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상 행동이 포함되었다.[3]
600일 이후에도 사회 붕괴는 계속되었고, 개체수는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했다. 암컷들은 번식을 멈췄고, 수컷들은 구애나 싸움을 하지 않고 먹고, 마시고, 자고, 몸단장만 하는 등 건강에 필수적인 일에만 시간을 보냈다. 이들은 매끄럽고 건강한 털을 가졌으며 흉터가 없어 "아름다운 존재들"이라고 불렸다. 번식은 다시 일어나지 않았고, 행동 패턴은 영구적으로 바뀌었다.[4]
캘훈은 이 실험 결과를 통해 모든 가용 공간과 사회적 역할이 채워졌을 때, 개인이 경험하는 경쟁과 스트레스가 복잡한 사회적 행동의 완전한 붕괴를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개체군의 종말을 가져온다고 결론지었다.[5] 그는 생쥐 개체군의 운명을 인간의 잠재적 운명에 대한 은유로 보았고, 이 사회적 붕괴를 성경의 요한계시록에 언급된 "두 번째 죽음"이라고 표현했다.[1]
4. 캘훈의 복지적 의도
John B. Calhoun영어은 유니버스 25를 포함한 일련의 실험을 바탕으로, 교도소나 정신병원 등의 환경 개선을 희망했다.[20] 1979년 보고서 요지에서 그는 "건축 환경의 설계 개선에 기여하는 분야만큼, 인간 복지에 큰 영향을 발휘할 수 있는 지적 노력의 분야는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20]
5. 비판 및 논란
캘훈의 실험은 '정상적인 과학이 아니다'라는 비판을 받았다.[20] 그의 연구에는 주관적인 요소가 많으며, 상관 관계와 인과 관계를 혼동할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20] 유니버스 25 실험 당시부터 비위생적인 환경, 스트레스 호르몬 미관측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20] 유니버스 25의 재현성은 현재까지 다른 과학자들에 의해 확인되지 않았다.[20] 캘훈은 자신의 발견을 의인화하여 쥐들을 '비행 청소년', '사회적 낙오자' 등으로 분류한 점도 비판받았다.[20]
6. 평판과 유산
1960년대 동안 캘훈은 레너드 덜과 함께 '스페이스 카데트'라는 비공식 단체를 결성하여 공간의 사회적 이용에 대해 논의했다. 이 단체는 건축, 도시 계획, 물리학, 정신의학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었다.[15] 캘훈은 "인간으로서 우리의 성공은 지금까지 전통보다 일탈을 존중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템플릿의 변경은 종종 미약하지만 항상 템플릿의 준수보다 우선하여 약간의 무언가를 얻는다."라고 말했다.
로버트 C. 오브라이언의 1971년 소설 '님스 부인의 비밀'은 캘훈의 연구에서 영감을 받았다.[15] 이 책은 이후 애니메이션 영화 님스 비밀의 숲의 영감이 되었다.
캘훈의 "행동 싱크"라는 용어는 도시의 도덕적 타락을 언급할 때 자주 사용되었다.
캘훈은 1995년 9월 7일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1] 그의 논문은 에디스 캘훈과 아메리칸 헤리티지 센터에 의해 국립 의학 도서관에 기증되었다.[12]
7. 저서
- Temperature and natural selection in relation to the variations in the size of the English sparrow in the United States|미국 참새 크기의 변화와 관련한 온도와 자연 선택영어 (1947)
- Social welfare as a variable in population dynamics|인구 역학의 변수로서의 사회 복지영어 (1957)
- Calculation of home range and density of small mammals|작은 포유류의 서식 범위 및 밀도 계산영어 (1958)
- The ecology and sociology of the Norway rat|시궁쥐의 생태학과 사회학영어 (1962)
- Environment and population: Problems and adaptation: An experimental book integrating statements by 162 contributors|환경과 인구: 문제와 적응: 참가자 162명의 진술을 통합하는 실험적 책영어 (1983)
참조
[1]
논문
Death Squared: The Explosive Growth and Demise of a Mouse Population
1973
[2]
웹사이트
"Escaping the Laboratory: The Rodent Experiments of John B. Calhoun & Their Cultural Influence"
http://eprints.lse.a[...]
[3]
간행물
Behavioral changes due to overpopulation in mice
http://archives.pdx.[...]
2000-01-01
[4]
논문
Death Squared: The Explosive Growth and Demise of a Mouse Population
1973
[5]
논문
Death Squared: The Explosive Growth and Demise of a Mouse Population
1973
[6]
서적
Six battles every man must win: and the ancient secrets you'll need to succeed
https://archive.org/[...]
Tyndale House
2004
[7]
뉴스
How 1960s Mouse Utopias Led to Grim Predictions for Future of Humanity
https://www.smithson[...]
2015
[8]
웹사이트
Secret of NIMH Was Inspired by Hideous Lab Experiments
https://gizmodo.com/[...]
2014-10-02
[9]
논문
The urban animal: population density and social pathology in rodents and humans
2009-02
[10]
논문
Escaping the Laboratory: The Rodent Experiments of John B. Calhoun & Their Cultural Influence
Department of Economic History,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2008
[11]
뉴스
J. B. Calhoun, 78, Researcher On Effects of Overpopulation
https://www.nytimes.[...]
1995-09-29
[12]
웹사이트
John B. Calhoun Papers 1909-1996
http://oculus.nlm.ni[...]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13]
논문
Death Squared: The Explosive Growth and Demise of a Mouse Population
1973
[14]
웹사이트
Behavioral changes due to overpopulation in mice
http://pdxscholar.li[...]
Portland State University
2022-07-22
[15]
웹인용
Behavioral changes due to overpopulation in mice
http://pdxscholar.li[...]
Portland State University
[16]
저널
Death Squared: The Explosive Growth and Demise of a Mouse Population
1973
[17]
서적
Six battles every man must win : and the ancient secrets you'll need to succeed
https://archive.org/[...]
Tyndale House
2004
[18]
뉴스
J. B. Calhoun, 78, Researcher On Effects of Overpopulation
https://www.nytimes.[...]
1995-09-29
[19]
웹인용
John B. Calhoun Papers 1909-1996
http://oculus.nlm.ni[...]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
저널
Escaping the Laboratory: The Rodent Experiments of John B. Calhoun & Their Cultural Influence
Department of Economic History,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2008
[21]
문서
Mike Freedman "Critical Mass"
http://www.critical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