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 죽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죄 죽임은 영혼 속 죄의 경향을 약화시키고 마음속 죄의 성향을 소멸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로마 가톨릭 신학은 신자가 죄에 맞서 싸우는 개인적인 투쟁의 틀 안에서 자기 죽음을 설정하며, 개혁신학에서는 성화의 주관적인 경험으로 이해된다. 존 칼빈은 예수와 함께 죽으면 예수께서 죄된 육신의 지체와 정욕을 멸하실 것이라고 설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구원론 - 회개
회개는 여러 종교에서 죄를 뉘우치고 잘못된 길에서 돌아서는 중요한 개념으로, 윤리적 자기 변화, 죄의 속죄, 신과의 관계 회복 등 다양한 목적을 강조한다. - 기독교 구원론 - 영생 (기독교)
영생은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며 믿음을 통해 얻는 하나님의 선물로, 다양한 교파들이 각기 다른 교리를 가지고 있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죄 죽임 | |
---|---|
죄 죽임 | |
신학 | |
다른 이름 | 몸의 행실을 죽임 육신의 죽임 |
기독교 전통 | 개신교 |
관련 주제 | 금욕주의 고행 성화 죄 유혹 영적 전쟁 |
죄 죽임 (Mortification of Sin) | |
저자 | 존 오웬 |
국가 | 영국 |
언어 | 영어 |
발표일 | 1656년 |
발표 장소 | 영국 옥스포드 |
2. 의미
죄 죽임이란 영혼 안에 있는 죄의 경향이 약해지는 것이며, 마음 안에 있는 죄의 성향이 소멸되는 것으로 정의한다.[7]
죄 죽임에 대한 역사적 해석은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너희의 육신대로 살면 반드시 죽을 것이로되 영으로써 몸의 행실을 죽이면 살리니"(로마서 8:13)
존 위더스푼은 그의 저서 '목회자들의 특징들(Ecclesiastical Characteristics)'에서 스코틀랜드 장로교단에서 죄 죽임과 자기부인이 사라지는 것을 통탄하였다.[7]
3. 역사적 해석
로마 가톨릭 신학에서는 죄 죽임을 신자가 죄에 맞서 싸우는 개인적인 투쟁으로 본다. 가톨릭 백과사전에 따르면, 죄 죽임은 "영혼의 질병"을 죽여 영혼의 진정한 삶을 회복시킨다.[2] 일부 가톨릭 신자들은 파티마의 성모의 요청에 따라 죄인들을 지옥에서 구원하기 위해 죄 죽임을 실천하기도 한다.[3]
개혁신학에서 죄 죽임은 성화의 주관적인 경험으로 이해된다.[5] 존 칼빈은 신자들이 예수와 함께 죽으면, 예수께서 우리의 죄된 육신을 멸하여 "더 이상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하실 것"이라고 말했다.[4] 존 위더스푼은 그의 저서에서 스코틀랜드 장로교단에서 죄 죽임과 자기 부인이 사라지는 것을 통탄했다.[7]
3. 1. 로마 가톨릭 신학
로마 가톨릭 신학은 신자가 죄에 맞서 싸우는 개인적인 투쟁 안에서 죄 죽임을 설정한다. 가톨릭 백과사전에 따르면, "그것(죄 죽임)이 죽이는 것은 영혼의 질병이며, 이것을 죽임으로써 영혼의 진정한 삶을 회복하고 활력을 불어넣는다."[2] 또한 죄 죽임은 일부 가톨릭 하위 그룹에서 파티마의 성모 신봉자들이 성모 마리아가 그녀의 어린이 환상가들에게 요청했다고 믿는 것처럼 죄인들을 지옥에서 구원하기 위해 실천하기도 한다.[3]
3. 2. 칼뱅주의와 개혁신학
존 칼빈은 신자들이 예수와 함께 죽으면, 예수께서 우리의 죄된 육신의 지체와 정욕을 멸하시어 "더 이상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하실 것"이라고 말했다.[4] 개혁신학에서 죽임은 일반적으로 성화의 주관적인 경험으로 이해되어 왔다.[5] 존 위더스푼은 그의 저서 '목회자들의 특징들(Ecclesiastical Characteristics)'에서 스코틀랜드 장로교단에서 죄죽임과 자기부인이 사라지는 것을 통탄하였다.[7]
3. 3. 한국 장로교
존 위더스푼은 그의 저서 '목회자들의 특징들(Ecclesiastical Characteristics)'에서 스코틀랜드 장로교단에서 죄죽임과 자기부인이 사라지는 것을 통탄하였다.[7]
참조
[1]
서적
God's Words
Christian Focus
1998
[2]
백과사전
Mortification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09-05-20
[3]
서적
Fátima In Lúcia's Own Words
Ravengate Press
1995
[4]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5]
서적
The Cross and Salvation: The Doctrine of Salvation
Crossway Books
1997
[6]
서적
죄죽임
https://www.worldcat[...]
부흥과개혁사
2009
[7]
서적
The selected writings of John Witherspoon
https://www.worldc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