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예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예수는 기독교의 중심 인물로, 헬라어 이름 예수스에서 유래되었으며, 히브리어 여호수아의 축약형에서 비롯되었다. 유대교의 랍비이자, 메시아로 불리며, 1세기 유대인으로, 팔레스타인 갈릴리 나사렛에서 성장하였다. 그는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고 공생애를 시작하여, 산상수훈, 기적, 비유를 통해 가르침을 펼쳤다. 로마 제국에 반하는 혐의로 재판을 받고 십자가형에 처해졌으나, 부활하여 승천했다고 전해진다.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은 신약성경에 기록되었으며,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어원

헬라어 이름 '''예수스'''는 히브리어 여호수아(יהושוע, Jehoshuahe)의 축약형인 예슈아(יושוע, Jeshuahe)를 코이네 그리스어로 옮긴 말이다.[481] 여호수아(Jehoshua)의 어원은 접두어 '''여'''(Je-)(יהוה, JHVH/YHWH:Jahveh|야훼he)와 '''호세아'''(הושעhe, hoshea, 구원, 구세를 의미)를 덧붙여 이루어진 이름이다. 역사적 실존 인물로 예수를 가리킬 때에는 흔히 예수 그리스도가 자란 고장의 이름을 덧붙여서 "나자렛 예수"로 부른다. 신약성서에서는 "요셉의 아들 예수"(루가 복음 2:21), "나사렛의 예수"(요한 복음서 1:45), "성모 마리아의 아들 예수"(마르코 복음 6:3, 마태오 복음 13:55)와 같이 예수의 부모의 이름을 앞에 붙여 부르기도 한다.

왼쪽 위부터: 아람어, 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 그리고 영어 이름 ''예수''의 표기


예수 시대의 일반적인 유대인은 이름이 하나뿐이었으며, 때로는 "~의 아들"이라는 구절이나 개인의 고향이 뒤따랐다.[109] 따라서 신약 성경에서 예수는 일반적으로 "나사렛 예수"로 언급된다.

영어 이름 ''Jesus''는 그리스어 ''Iēsous''에서 유래되었으며, ''여호수아''(히브리어 ''Yehoshua'', 이후 ''Yeshua'')를 번역한 것이다. 이는 예수 탄생 당시 유대에서 드물지 않은 이름이었다. 마태오 복음서는 요셉에게 나타나 "그의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것이므로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고 지시하는 천사에 대해 이야기한다.[13]

예수에게 따라 붙는 '''그리스도'''라는 낱말은 "기름을 부은"이라는 뜻의 Χριστός|크리스토스grc에서 유래한 것이다. 크리스토스는 흔히 '메시아'로 표기하는 "מָשִׁיהַ|마쉬아흐he"를 번역한 것이다. "기름 부음을 받은 사람"이라는 뜻은 유대인의 종교적 예법에 따르면 드높은 사람, 다시 말해 왕이나 예언자, 사제, 메시아에게 주어지는 것이므로 예수 그리스도라는 이름은 메시아 예수라고 풀 수 있다.

히브리어에서는 ישוע המשיחhe (יֵשׁוּעַ הַמָשִׁיחַhe/''Yēšúa Ha-Mašīaḥ''/, 예슈아 하-마시아흐) 즉, "기름 부음 받은(성별된) 자(=메시아)인 예수"라는 의미이다.

예수의 어원은 히브리어로 "야훼 (יהוהhe)는 구원 (הוֹשִׁיעַhe ''hoshía'')”을 의미하는[401][410] 유대인의 남성 이름이다. 원어인 히브리어로는 יֵשׁוּעַhe ''Yēšúa'' (예슈아) 또는 יְהוֹשֻׁעַhe ''Yĕhōšúa'' (예호슈아, 여호수아)이다. 『구약성서』의 「민수기」나 「여호수아기」에 등장하는 이스라엘인 (유대인)의 지도자 여호수아 등과 동명이다. 다른 예언자나 왕 등과 마찬가지로 יהוהhe (야훼)의 축약형인 יהוhe (Yah)를 포함한다.[401][410]。다만, 당시 유대인에게는 흔한 일반적인 남성 이름이었다.

일본어의 "예스"는 히브리어의 예슈아, 또는 아람어: ܝܶܫܽܘܥ ''Yešū'' (예슈)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이는 고대 그리스어 또는 고전 라틴어 “'''이에수스'''”의 관용 표기이다. 일본어의 관용 표기 "예스"는 고전 그리스어 재건음에서, 일본어에 없는 고유 명사의 격변화 어미를 생략하고, 명사 간만 남긴 것이다. 중국어에서는 예수를 "耶蘇" (병음: Yēsū, 예수)라고 부르며, 그 글자가 일본어로 차용되어 "야소"라고도 한다.

중세~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이이스소스"로 전사할 수 있다. 일본 정교회가 사용하는 "'''이이스스'''"는 Ιησούς el중세 그리스어・현대 그리스어, 또는 교회 슬라브어에 기인한 전사이다. 정교회고의식파에서는 "'''이스스'''"라는, 동슬라브 지역에서 과거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호칭을 현재도 사용하고 있다.

과거 일본의 가톨릭 교회에서는 교회 라틴어의 발음에서 "'''예즈스'''"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에큐메니즘의 흐름에 따라 예수로 통일되었다.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기리시탄포르투갈어의 발음에서 "'''제즈'''" 또는 "'''제즈스'''"라고 불렀다. 다른 발음으로는 "'''에스'''"라고도 한다.[411]

아랍어에서는 "'''이사'''"로 전사할 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그리스어로 주격을 나열한 동격 표현으로, "그리스도인 예수", "예수는 그리스도이다"라는 의미이다.

마태오 복음서・마르코 복음서는 각 권의 서두에서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라고 부르고 있으며, 이 결합 표현은 신약의 다른 문서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바울 서간에는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그리스도 예수"라는 표현도 보이지만, 기원 1-2세기 사이에 "예수 그리스도" 쪽이 정착되었다.

"그리스도"는 구세주에 대한 칭호였기 때문에, 기독교의 초기에는 예수를 "예수 그리스도"라고 부르는 것은 "예수가 그리스도임을 믿는다"는 신앙 고백 그 자체였다고 생각된다.

영어에서는 Jesus Christ(지저스 크라이스트)로 표기된다.

3. 생애

예수의 생애는 주로 신약성경복음서에 기록되어 있다. 마태오, 마르코, 루가, 요한 복음서는 예수의 탄생, 공생애, 죽음, 그리고 부활에 대한 이야기를 전한다.

예수는 기원전 4년경 베들레헴에서 성모 마리아와 요셉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동정녀 탄생으로 알려진 기적적인 잉태를 통해 세상에 왔다. 어린 시절은 나자렛에서 보냈으며, 성전에서의 발견과 같은 어린 시절의 기록이 일부 남아있다.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은 후, 예수는 유대 광야에서 40일 동안 금식하며 사탄의 유혹을 받았다. 이를 이겨낸 후 갈릴리를 중심으로 공생애를 시작했다. 산상 수훈과 같은 중요한 가르침을 전하고, 수많은 기적을 행했으며, 비유를 통해 하느님의 왕국에 대해 가르쳤다.

예수는 열두 사도를 선택하여 함께 활동했으며, 이들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핵심이 되었다. 유다의 배신으로 체포되어 십자가형을 당했다.

제임스 티소의 ''사도들에게 보내는 권고''는 예수께서 열두 제자에게 말씀하시는 모습을 묘사한다.


성경 기록에 따르면, 예수는 죽은 지 사흘 만에 부활하여 제자들에게 나타났으며, 승천하여 하늘로 올라갔다. 유대교 지도자들과의 갈등은 간략하게 언급하여 하위 섹션과의 중복을 피했다.

3. 1. 주요 자료 - 정경 복음서

정경 복음서 (마태오, 마르코, 루가, 요한)는 예수의 생애와 메시지를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482] 신약성경의 다른 부분들도 예수의 생애 주요 사건을 언급하는데,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11장 23~26절의 최후의 만찬,[483][484][489] 사도행전이 언급하는 예수의 초기 사역과 세례자 요한의 예고,[485][486] 사도행전 1장 1~11절의 예수의 승천[487] 등이 그 예이다. 복음서보다 먼저 기록된 바울로 서신들에서도 예수의 어록과 가르침이 여러 차례 인용된다.[488]

여러 곳이 찢어진 4페이지 파피루스 필사본
3세기 그리스어 파피루스 루카 복음서


초기 기독교 집단은 신약성경에 포함되지 않은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에 대한 별도의 기록들을 가지고 있었다. 토마의 복음서, 베드로의 복음서, 유다의 복음서, 야고보 외경 등이 그 예시이며, 이 외에도 많은 신약 외경 문서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러한 문서가 훨씬 나중에 작성되었으며, 정경 복음서보다 신뢰성이 낮은 기록이라고 결론짓는다.

3. 1. 1. 저작성, 작성 연대, 신뢰성

정경 복음서는 서로 다른 저자에 의해 기록된 네 개의 복음서로, 각각 전통적으로 예수와 가까운 연관이 있는 네 명의 복음사가에게 귀속된다.[490] 마르코는 베드로의 동료였던 요한 마가로,[490] 마태오는 예수의 제자 중 한 명, 루가는 바울로의 동료,[490] 요한은 예수의 제자이자 "예수가 사랑한 제자"로 전해진다.

마르코 우선설에 따르면, 네 복음서 중 가장 먼저 쓰인 것은 마르코의 것으로, 대략 서기 60~75년경에 작성되었다. 그 뒤를 이어 마태오(65~85년경), 루가(65~95년경), 그리고 요한의 복음서(75~100년경)가 작성되었다고 본다.[491] 그러나 예수의 언행이 한 세대 또는 두 세대 동안 구전 과정을 거쳐 기록되었다고 보기도 한다.[542] 학계에서는 마태오와 루가가 마르코의 것을 인용했다고 보며, 마르코에는 없는 내용을 공유하고 있는 점에 근거해 두 복음서가 보통 "Q 자료"라고 불리는 또다른 자료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복음서를 연구하는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복음서가 속하는 문학 장르이다. 장르는 "글쓰기와 해석을 안내하는 중요한 관습"이며,[492] 복음서 저자들이 소설, 신화, 역사서, 또는 전기 중 어떤 것을 쓰려고 했는지에 따라 복음서의 해석 방식이 크게 달라진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복음서는 고대 전기의 범주에 속한다고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493][494][495]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하지만,[496] 복음서를 고대 전기의 한 유형으로 간주하는 것이 오늘날 학계의 대체적인 합의이다.[497][498]

복음서의 정확성에 관한 견해는 예수의 생애를 오류 없이 기술한 것으로 보는 입장에서부터, 복음서가 역사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는 의견, 그리고 복음서가 예수의 생애에 대해 기본적인 사실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보는 시각까지 다양하다. 학문적 합의에 따르면, 요한의 것을 제외한 공관복음서는 예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자료로 여겨진다.[482]

3. 1. 2. 복음서 간 비교

마태오, 마르코, 루가의 복음서는 공관복음서라고 불린다.[499][500][501] 이들 복음서는 내용, 이야기 전개, 언어, 문단 구조 등이 유사하여 여러 평행본문이 존재한다. 반면 요한복음은 공관복음서와 직접적인 문학적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 학자들의 일반적 동의이다.[499][500][502][503] 공관복음서와 요한복음은 예수의 세례, 변모, 십자가형, 제자들과의 상호작용 등 주요 사건들을 공유하지만, 변모 사건이나 예수의 귀신 축출과 같은 일부 사건은 요한복음에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성전 정화 사건과 같은 일부 사건의 서술 방식도 차이를 보인다.[504]

마르코의 복음서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자 하나님의 왕국이 임했음을 보여주는 기적의 수행자로 묘사하며, 그의 가르침보다는 활동에 초점을 맞춘다.[490] 또한 예수는 하나님과 인간 모두를 섬기는 종으로 묘사된다.[505][490] 마태오의 복음서는 예수를 구약성경의 예언 성취자이자 교회의 주님으로 강조하며, 다윗의 자손, 왕, 그리고 메시아로 묘사한다.[505] 유대 전통과 율법에 대한 연계성을 중요시하며, 구약 성경 인용이 많다. 루가복음은 예수를 신성과 인성을 지닌 구세주로 그리고, 가난하고 소외된 자들에게 연민을 보이는 존재로 묘사한다.[507] 그는 죄인들과 소외된 자들의 친구이자 잃어버린 자들을 찾아 구원하러 온 존재로 강조되며,[505] 선한 사마리아인탕자의 비유와 같은 유명한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507]

요한의 복음서 서문은 예수를 하나님의 말씀(로고스)이 성육신한 존재로 묘사한다. 여기서 로고스로서 예수는 하나님과 영원히 함께 있었고, 모든 창조에 관여했으며, 인류의 도덕적이고 영적인 본성의 근원이 된 것으로 묘사된다.[508] 예수는 단순히 과거의 인간 예언자들보다 위대한 존재일 뿐만 아니라, 어떤 예언자도 이를 능가할 수 없는 존재로 그려진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뿐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 자체로 제시된다. 요한복음에서 예수는 공적으로 자신의 신적 역할을 드러내며, 생명의 떡, 세상의 빛, 참 포도나무 등으로 묘사된다.[505]

3. 2. 출생 시기 및 장소

예수의 탄생일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에보디우스, 알렉산드로스,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초기 기독교 주교들이 언급한 12월 25일기독교 문화권을 중심으로 크리스마스로 기념하고 있다. 서력기원은 예수가 태어난 해로 추정되는 시점을 기원으로 하며, 대한민국1962년 1월 1일부터 서력기원을 사용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팔레스타인 북부 갈릴래아 지방의 나자렛 출신이었으므로 그 출생에 관한 정확한 역사적 기록은 드물다. 오늘날 복음서 기록을 바탕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출생일과 태어난 장소를 미루어 짐작하며, 학자들은 대체로 예수가 기원전 2년에서 4년 경에 태어났다고 추정한다.

마태오의 복음서 2장 1절부터 16절에는 예수가 태어난 해에 하늘에 '동방의 별'이 나타나고 헤로데 왕이 2세 미만의 갓난 사내아이들을 살해하도록 명을 내려 그 가족이 이집트로 피신하는 내용이, 루가의 복음서 2장 1절과 2절에는 아우구스투스가 호적을 명하여 요셉이 나자렛에서 베들레헴을 찾는 내용이 실려 있다.

루가의 복음서에 언급된 인구 조사는 기원전 4년 경에 이루어졌다는 견해와 기원후 6년 경에 이루어졌다는 견해가 공존한다. 루가의 복음서 2장 1절부터 7절에서 예수의 탄생 시점에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명에 따라 팔레스타인 지방에서 인구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당시 시리아 지방의 총독이 퀴리니우스(퀴리뇨, Quirinius)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퀴리니우스는 1764년에 로마에서 발견된 비문에 기원전의 퀴리니우스 총독을 언급한 것을 근거로 볼 때 기원전 4년 경 총독이었다는 것이 역사적 사실이라는 견해가 존재한다.[514][515] 따라서 대체적으로 예수는 기원전 2년에서 4년 경에 출생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집트 피난 장면


'동방의 별'은 이후 '베들레헴의 별'로 알려졌다. 17세기 독일천문학요하네스 케플러는 이를 800년 주기로 목성토성이 분점에 대해 같은 위치에 놓이는 현상과 연관된 것으로 주장하였고, 이로부터 그 시기를 기원전 7년으로 추측하였다.[516]

예수 그리스도의 출생지는 루가의 복음서마태오의 복음서에 기록된 바와 같이 베들레헴이지만, 부모인 요셉과 마리아의 고향인 나자렛에서 성장하였다. 마르코의 복음서요한의 복음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당시 사람들에게 '나자렛 예수'로 불리었던 이유는 부모인 요셉과 마리아가 나자렛에 있을 때 임신했으며, 베들레헴에서 출생후 다시 나자렛으로 돌아와서 성인이 될 때까지 성장하고 생활했기 때문이다.

구유에서의 출생 이야기는 오로지 루가의 복음서에만 기록되어 있는데, 루가는 인구조사 때문에 예수의 가족이 고향 갈릴래아 지방의 나자렛을 떠나 팔레스타인 남쪽 유다의 예루살렘 가까이에 있는 베들레헴으로 갔다고 설명한다. 그 까닭은 나자렛의 요셉과 예수의 어머니 성모 마리아가 다윗 왕의 후손이기 때문에 다윗 왕의 고향인 베들레헴에서 호구 등록을 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마태오는 미가서이사야서의 예언대로 예수가 베들레헴에서 태어났으며, 이후 예수의 가족은 헤로데스 1세의 위협을 피해 이집트로 가서 살다가 헤로데 1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베들레헴이 아니라 나자렛으로 돌아와 그 곳에서 살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누가는 베들레헴에 가게 된 과정을, 마태오는 그것이 예언의 성취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 것이므로 두 기록은 일치한다는 해석이 보편적이다.

탄생 장면; 남자들과 동물들이 빛으로 덮인 마리아와 갓 태어난 예수 주변에 있다
헤라르트 판 혼트호르스트의 ''목자들의 경배'' (1622)


마태오와 루카는 모두 예수의 탄생에 대해 묘사하는데, 특히 예수가 예언의 성취로 베들레헴에서 마리아라는 처녀에게서 태어났다고 묘사한다. 루카의 기록은 예수 탄생 이전의 사건을 강조하고 마리아를 중심으로 하는 반면, 마태오의 기록은 주로 탄생 이후의 사건을 다루고 요셉을 중심으로 한다.[52] 두 기록 모두 마리아가 다윗 왕의 후손인 요셉이라는 남자와 약혼했으며, 요셉이 예수의 생물학적 아버지가 아니라고 진술하고, 예수가 처녀인 마리아의 자궁에서 성령에 의해 기적적으로 잉태되었다는 예수의 동정녀 탄생 교리를 지지한다.[53][54]

74.9 x 102.2 cm
조반니 벨리니의 ''할례''. 이 작품은 예수의 할례를 묘사한다.


마태오 복음서에서 요셉은 그의 약혼녀 마리아가 임신했기 때문에 불안해하지만,[58] 요셉의 네 번의 꿈 중 첫 번째 꿈에서 천사가 나타나 마리아의 아이가 성령으로 잉태되었으니 마리아를 아내로 맞이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안심시킨다.[59] 마태오 2:1–12에서, 동방 박사 또는 동방의 마기들은 유대인의 왕인 어린 예수에게 선물을 가져온다. 그들은 베들레헴의 한 집에서 그를 찾는다. 헤로데 대왕은 예수의 탄생 소식을 듣고 그를 죽이려 하여 베들레헴과 그 주변의 어린이 학살을 명령한다. 그러나 천사가 요셉에게 두 번째 꿈에서 경고하고, 그 가족은 이집트 도피하여 나중에 돌아와 나자렛에 정착한다.[59]

루카 1:31–38에서, 마리아는 천사 가브리엘로부터 성령의 능력으로 아들을 잉태하여 예수라고 이름을 짓게 될 것이라는 소식을 듣는다.[52][53] 마리아가 아이를 낳을 때가 되자, 그녀와 요셉은 나자렛에서 요셉의 조상의 고향인 베들레헴으로 가서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명령한 인구 조사를 받는다. 그곳에서 마리아는 예수를 낳았고, 여관에 방이 없어 갓 태어난 아기를 구유에 눕힌다.[61] 천사가 목자들에게 탄생을 알리고, 목자들은 예수님을 보기 위해 베들레헴으로 가서 소식을 널리 퍼뜨린다.[62] 루카 2:21은 요셉과 마리아가 가브리엘이 마리아에게 명령한 대로 태어난 지 여드레 만에 아이에게 할례를 하고, 예수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말한다.[63] 성전에서 예수 봉헌 후에, 요셉, 마리아, 예수는 나자렛으로 돌아간다.[52][53]

요셉의 약혼녀였던 마리아는 결혼 전에 성령으로 잉태했다. 기원전 3년 9월, 차독력으로 제7호데쉬의 15일경 초막절 무렵, 천사의 고지에 의해 요셉은 마리아를 아내로 맞아 아들이 태어났고, 그 아이의 이름을 예수라고 지었다. 대부분의 교회에서는 12월 25일을 생일로 기념하며 크리스마스로 축하한다. 그러나 성경에는 예수의 생일을 명확하게 명시하는 구절이 없으며, 예수의 생일이 12월 25일이라는 확증은 없다.

가톨릭274년 이래로 12월 25일을 예수의 탄생으로 정한 것은 로마에서 태양이 한 해 중 가장 긴 밤에 이기는 날을 축하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지만, 이를 증명하기는 어렵고, 당시 기독교인들이 이교도의 축일을 기독교 전례력에 채용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된다.[449]

『예수의 성전 봉헌』(1886년 - 1894년경 작품, 제임스 티소)


예수는 갈릴리 지방의 나자렛에서 자랐다. 누가의 복음서에 따르면 매우 총명한 아이였다고 한다.

3. 3. 공생애 이전

마리아와 요셉이 성전에서 예수를 찾음
윌리엄 홀먼 헌트의 1860년 작 ''성전에서 구세주를 찾음''


예수의 어린 시절 집은 마태와 누가 복음서에 따르면 현재 이스라엘의 갈릴리에 있는 마을인 나사렛이며, 그곳에서 가족과 함께 살았다. 요셉은 예수의 어린 시절 묘사에 등장하지만, 그 이후에는 언급되지 않는다.[64][65] 마리아와 네 명의 형제 야고보, 요셉 (또는 요세), 유다, 시몬과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누이를 포함한 다른 가족 구성원들이 복음서와 다른 자료에 언급되어 있다.[66] 예수의 외조부모는 요아킴과 안나로 야고보 복음서에 언급되어 있다.[67] 누가복음은 마리아가 세례자 요한의 어머니인 엘리사벳의 친척이었다고 기록한다.[68]

마가복음에는 예수의 사역 초기에 예수와 이웃, 가족 간의 갈등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예수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그를 데리러 왔는데, 사람들이 그가 정신 질환을 앓고 있다고 말했기 때문이다.[72][73] 예수께서는 자신의 추종자들이 진정한 가족이라고 대답하셨다. 요한복음에서 예수와 그의 어머니는 가나의 혼인 잔치에 참석하여 어머니의 요청으로 첫 번째 기적을 행한다.[74]

예수는 마가 6:3에서 τέκτων (''테크톤'')으로 불리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목수라고 이해되지만, 건축업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재료로 물건을 만드는 사람을 지칭할 수도 있다.[76]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는 성경을 읽고, 의역하고, 논쟁할 수 있었지만, 이는 반드시 그가 공식적인 서기관 훈련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77]

누가복음에는 예수의 어린 시절에 예수와 그의 부모가 예루살렘으로 두 번 여행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그들은 유대 율법에 따라 아기 예수를 예루살렘 성전에 예수 봉헌하러 왔는데, 거기서 시므온이라는 사람이 예수와 마리아에 대해 예언한다.[78] 예수가 열두 살 때 과월절을 위해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갔다가 사라지자, 그의 부모는 그를 성전에서 발견했는데, 그는 선생들 사이에 앉아 그들의 말을 듣고 질문하고 있었으며, 사람들은 그의 이해력과 답변에 놀라워했다. 마리아는 예수가 사라진 것에 대해 꾸짖었고, 예수는 "내가 내 아버지의 집에 있어야 하는 줄을 알지 못하셨습니까?"라고 대답했다.[79]

3. 3. 1. 가계 및 가족

1850년 그림, 예수와 그 가족들


예수의 가계에 대한 기록은 마태오의 복음서루가의 복음서에 남아 있다. 두 복음서 기록에 따르면, 예수는 나자렛의 마리아에게서 태어났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림, 세례자 요한, 엘리사벳, 예수, 성모 마리아의 모습


가계도로 보면, 예수의 아버지인 나자렛의 요셉은 목수였으며, 어머니는 성모 마리아라 부르는 나자렛의 마리아였다. 루가의 복음서의 기록에 따르면, 마리아는 세례자 요한을 낳은 엘리사벳과 친족 관계였다.(루가의 복음서 1:36)[517] 예수의 잉태 및 탄생과 관련된 성서 기록을 보면, 성모 마리아가 예수를 잉태하기 전에 대천사 가브리엘에게 아이를 낳을 것을 고지받았다.(루가의 복음서 1:26-38)[517] 이에 마리아는 약혼자 요셉에게 성령으로 인하여 예수가 잉태된 사실을 고백하였다. 요셉은 신앙심 깊은 인물이었으나, 그 사실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그러나 요셉은 꿈에서 대천사 가브리엘의 계시를 받게 되고, 마리아와 결혼하게 된다. 그 후 마리아는 예수를 출산하였다.(마태오의 복음서 1:18-25)[517]

마태오의 복음서루가의 복음서는 예수의 육신적 족보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요셉은 다윗 왕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마태오의 복음서는 요셉의 선조를 아브라함까지 끌어올리고 있는 반면, 루가의 복음서는 심지어 아담까지 족보를 까마득히 펼치고 있다. 두 복음서는 여기서 약간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데, 마태오는 다윗에서 요셉까지 28대를 손꼽고 있는 반면 루가는 요셉이 다윗의 42대 자손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신학자들에 의하면, 두 족보가 다른 이유는 마태와 누가의 복음사가가 각각 요셉과 마리아의 가계도를 취하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고대 교회의 신학을 형성한 교부들도 마리아가 다윗의 후손이라 말하였고 교회의 전승 또한 이와 일치한다.

예수에게 성모 마리아와 요셉 이외 다른 가족이 어떤 형태로 있었는지에 관한 신학적 차이가 존재한다.

현대 개신교 신약성서학에서는 마리아의 평생 동정을 부정하는 추세로, 예수 형제들을 예수 탄생 이후에 마리아와 요셉 사이 태어난 예수 친동생으로 해석한다. 그 근거는 루가의 복음서 2장 7절에 있는 "그녀의 맏아들"이라는 기록이나 마태오의 복음서 1장 25절에 "그녀가 맏아들을 낳을 때까지 요셉이 그녀를 알지 아니하였다"라는 기록, 마태오의 복음서 13장 55절과 56절에서 예수 형제들 이름과 예수 누이들 존재를 거론한 장면이다.

반면 마리아의 평생 동정을 믿는 동방 정교회와 천주교회, 오리엔트 정교회와 일부 성공회 고교회파에서는 성경에 기록된 예수의 형제들을 친척 형제 또는 사촌 형제들이라 해석한다. 왜냐하면 오늘날까지도 중동 지역에서 형제라 함은 사촌 형제를 아우르는 말로 쓰이기 때문이다. 또한 요한의 복음서에서 예수가 그의 홀어머니를 제자 요한에게 맡기는 장면을 떠올려 봐도 예수의 형제들을 ‘친형제들’로 한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기독교 초기 예루살렘 교회를 이끌었던 ‘주님의 형제’ 야고보나 요셉, 시몬, 유다가 예수의 친동생들로 요셉과 마리아 사이에 예수 이외의 친자녀가 더 있었다면, 요한의 복음서에서 십자가형을 받은 예수가 친족들 앞에서 그의 육신의 어머니를 요한에게 맡길 까닭이 없다. 예수의 어머니에게 예수 외에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예수가 사랑한 제자에게 홀로 남겨질 어머니를 부탁한 것이란 해석은 자연스럽다.

3. 3. 2. 세례자 요한

세례자 요한은 요르단 강가에서 "회개"를 설파하며 세례를 베풀었다. 예수는 그곳에 가서 요한에게 세례를 받았다.[519] 예수를 본 세례자 요한은 오히려 자신이 세례를 받아야 할 터인데 왜 받으러 오셨느냐고 물었다. 그러나 예수는 이를 통하여 모든 의를 이루기를 바라셨고 마침내 세례를 받았다. 물 속에서 세례를 받은 뒤에 물에서 올라오자마자 하늘에서 성령이 내려오셨고, 하늘에서 한 소리가 있어 말하기를 '너는 내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라고 하였다.[519]

예수가 세례를 받은 강인 요르단강에서 행해지는 세례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예수의 세례를 그의 십자가 처형과 함께 명확한 역사적 사실로 간주한다. 신학자 제임스 D. G. 던은 이들이 "거의 보편적인 동의를 얻고" "역사적 사실에 대한 '거의 의심하거나 부인할 수 없는' 척도에서 매우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어 역사적 예수 연구의 출발점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학자들은 초기 기독교인들이 예수가 를 지었고 회개하기를 원했을 수도 있다는 점을 암시하는 세례를 만들어내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하며 당혹감의 기준을 제시한다.[239] 자이센과 메르츠에 따르면 예수는 세례자 요한에게 영감을 받아 그의 가르침의 많은 요소를 물려받았다.

3. 3. 3. 고행과 유혹

세례자 요한에게서 세례를 받은 예수는 홀로 광야로 들어가 40일 동안 금식한 뒤, 마귀에게서 세 가지 유혹을 받았다고 전해진다.[521]

  • '''첫 번째 시험''': 돌을 으로 만들라는 것이었다. 예수는 "사람이 빵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산다"는 성경 말씀으로 대적하였다.
  • '''두 번째 시험''': 예수를 예루살렘 성전 꼭대기에서 뛰어 내리게 하는 것이었다. 사탄은 "하느님이 천사들을 시켜 너를 시중들게 하시리니 그들이 손으로 너를 받들어 너의 발이 돌에 부딪히지 않게 하시리라"는 시편 구절을 인용하며 유혹했으나, 예수는 "주님이신 너의 하느님을 시험하지 말라"는 말로 꺾었다.
  • '''세 번째 시험''': 천하 만국을 보여주며 "내 앞에 절하면 이 모든 것들을 네게 주겠다"고 한 것이었다. 예수는 "주님이신 너희 하느님을 경배하고 그분만을 섬기라"는 성경 구절로 거절하였다.


사탄은 떠났고 천사들이 와서 그를 도왔지만, 사탄은 완전히 물러난 것이 아니었고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신약성경 학자들은 이 유혹을 고난의 그리스도가 아닌 영광의 그리스도의 길을 가라는 유혹으로 해석한다. 즉, 명예욕을 채울 수 있는 조건들로 사람들의 존경과 찬사를 받는 그리스도의 길을 가라는 유혹이었다는 것이다.[522]

3. 4. 공생애

칼 블로흐의 1877년 작품 ''산상 설교''는 예수의 중요한 설교를 묘사하고 있다.


공관 복음서는 예수의 공생애를 유대 북쪽 갈릴리에서의 성공적인 공생애와 예루살렘에서 거부당하고 죽임을 당하는 두 가지 뚜렷한 지리적 배경으로 묘사한다.[10] 랍비라고도 불린[10] 예수는 자신의 메시지를 구두로 전파했으며,[11] 메시아로 인정한 사람들에게는 그 사실을 발설하지 말라고 금했다. 여기에는 그가 고친 사람들과 귀신을 쫓아낸 사람들도 포함된다(메시아닉 시크릿).

요한 복음서는 예수의 공생애가 갈릴리보다는 주로 예루살렘과 그 주변에서 이루어졌으며, 예수의 신성한 정체성이 공공연히 선포되고 즉시 인식되는 것으로 묘사한다.

학자들은 예수의 공생애를 여러 단계로 나눈다. 갈릴리 공생애는 사탄의 유혹을 물리친 후 유대 광야에서 갈릴리로 돌아오면서 시작된다. 예수는 갈릴리 주변에서 설교하고, 마태복음 4:18–20절에서 첫 제자들을 만나 함께 다니기 시작하는데, 이들은 초기 교회의 핵심이 된다. 이 시기에는 산상 설교와[96] 풍랑을 잠재우심, 오천 명을 먹이심, 물 위를 걸으심 등 여러 기적비유들이 있었다. 이 시기는 베드로의 고백과 변모로 끝을 맺는다.[97][98]

예수가 예루살렘으로 가는 동안, 페레아 공생애에서 요단강을 따라 갈릴리 호수에서 약 3분의 1 지점 아래, 세례를 받았던 지역으로 돌아온다.[99] 예루살렘에서의 마지막 공생애는 종려 주일에 예루살렘에 개선하면서 시작된다. 공관 복음서에 따르면, 그 주간 동안 성전에서 돈을 바꾸는 사람들을 내쫓고 유다는 그를 배신할 것을 거래한다. 이 시기는 최후의 만찬과 고별 담화로 절정에 이른다.

예수는 사역 초기에 열두 사도를 임명했다. 마태오 복음서와 마가복음에서 어부였던 첫 제자 넷은 즉시 그물을 버리고 배를 버리고 예수를 따랐다.[100] 요한 복음서에서 처음 두 제자는 세례 요한의 제자였다. 세례 요한은 예수를 하느님의 어린양이라고 불렀고, 이 말을 들은 두 사람은 예수를 따랐다. 열두 사도 외에도, 평지 설교 구절의 시작 부분에서는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을 제자로 식별한다.[101] 누가복음 10:1–16에서 예수는 70명 또는 72명의 추종자를 짝을 지어 파견하여 마을을 준비하도록 했다. 그들은 환대를 받아들이고, 병자를 고치고,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라는 지시를 받았다.[102]

마가복음에서 제자들은 둔감하여 예수의 기적,[103] 비유,[104]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105] 예수가 체포되었을 때 그들은 그를 버렸다.

하인리히 호프만의 ''예수와 부자 청년''(1889)


공관 복음서에서 예수는 하느님의 왕국(마태오 복음서에서는 하늘 나라)에 관해 비유를 사용하여 광범위하게 가르친다. 왕국은 임박했고[106] 예수의 사역에서 이미 현존한다고 묘사된다.[107] 예수는 자신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 왕국에 포함될 것을 약속한다.[108] 그는 선택받은 자들을 모으러 올 종말론적인 인물인 "사람의 아들"에 대해 이야기한다.[109]

예수는 사람들에게 죄를 뉘우치고 하느님께 헌신하라고 요구한다.[109] 유대교 율법을 준수하라고 말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그가 안식일 관련 율법을 어겼다고 인식한다.[109] 가장 큰 계명이 무엇인지 질문을 받았을 때, "네 마음을 다하고, 네 목숨을 다하고, 네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느님을 사랑하여라... '네 이웃을 네 자신처럼 사랑하여라'."라고 대답한다.[110] 원수를 사랑하고, 미움과 욕망을 삼가고, 다른 뺨을 돌려대고, 죄를 지은 사람들을 용서하라는 가르침도 포함된다.[111][112]

요한 복음서는 예수의 가르침을 단순한 설교가 아니라 신성한 계시로 제시한다. 요한 3:34에서 세례 요한은 "하느님이 보내신 이는 하느님의 말씀을 전한다. 하느님은 성령을 한없이 주시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요한 7:16에서 예수는 "내 가르침은 내 것이 아니라 나를 보내신 분의 것이다"라고 말한다. 요한 14:10에서 "내가 아버지 안에 있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다는 것을 믿지 않느냐? 내가 너희에게 하는 말은 내 마음대로 하는 말이 아니다. 내 안에 계시는 아버지께서 당신의 일을 하시는 것이다"라고 주장한다.[114][113]

폼페오 바토니의 ''탕자의 비유''(1773)


약 30개의 비유가 예수의 기록된 가르침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114][115] 비유는 더 긴 설교와 서사시의 다른 부분에 나타난다.[116] 상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물리적 세계를 영성과 연결시킨다.[117][118] 일반적인 주제는 하느님의 친절과 관대함, 그리고 범죄의 위험이다.[119] 탕자의 비유와 같은[120] 비유는 비교적 단순하지만, 씨앗 비유와 같은[121] 다른 비유는 정교하고 심오하며 난해하다.[122] 제자들이 왜 비유로 말씀하시는지 묻자, 예수는 선택받은 제자들은 "하늘 나라의 비밀을 알도록" 주어졌고, "가진 자는 더 받을 것이고 풍족해질 것이다. 그러나 가지지 못한 자는 가진 것마저 빼앗길 것이다"라고 말하며, 대다수가 "둔한 마음"을 갖게 되어 이해할 수 없게 되었다고 덧붙인다.[123]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는 12살 때 예루살렘 성전에서 율법학자들과 토론을 벌였다. 어른이 된 후에도 율법학자들과 토론을 벌였는데, 착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도 그들과의 토론에서 나온 것이다. 어느 율법학자가 "진짜 이웃이 누구입니까?"라고 묻자, 예수는 강도를 만나 길에 쓰러진 사람을 제사장과 레위인은 보고도 지나쳤지만, 사마리아 사람은 그를 돕고 여관에 맡겨 보살폈다는 비유를 들려주었다. 누가 참된 이웃이냐고 묻자 율법학자는 "강도 만난 사람을 도운 사람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예수는 마르타와 마리아 자매와 친분이 있었는데, 이들의 오빠가 라자로였다. 라자로가 세상을 떠나자 예수는 그의 장례식장에 찾아가 무덤에 장사된 지 나흘이 지난 그를 살려내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434]

성경에 따르면 예수는 자신의 죽음이 임박한 것을 알고 제자들과 함께 예루살렘에 올라갔다.[528] 예루살렘에 도착한 예수는 민중들의 환대를 받는데, 이는 예수를 정치적 혁명가로 생각해서였다. 성경에는 '많은 사람들이 겉옷을 벗어 길에 펴 놓는가 하면 어떤 사람들은 나뭇가지를 꺾어다가 길에 깔아 놓기도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서 나뭇가지는 당시 유대교 종교 권력의 횡포로 소작농으로 전락한 이들이 재배하던 종려나무의 가지였다.[529][530] 예수는 인간의 구원을 위한 죽음을 위해 오셨기 때문에 이들의 인기에 편승하지 않고, 최후의 만찬 때 제자들에게 포도주를 떼어 감사 기도를 드리며 자신의 죽음이 뜻하는 바를 설명하였다.[531] 이를 그리스도의 성체제정이라고 하는데, 성공회, 정교회, 로마 가톨릭에서는 성체성사, 성찬례, 성체성혈성사, 개신교에서는 성만찬이라고 부르는 성사성직자가 집전하여 예수의 희생적인 죽음을 기념한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1495 - 1498, 밀라노)


최후의 만찬을 묘사. 예수님이 가운데 앉아 있고, 그 옆으로 제자들이 모여 있다.
후안 데 후아네스가 그린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은 예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시기 전 예루살렘에서 열두 제자와 함께 나눈 마지막 식사이다. 최후의 만찬은 네 개의 정경 복음서 모두와 바울의 고린토 전서에[152] 언급되어 있다.[153] 식사 중에 예수께서는 제자 중 한 명이 자신을 배신할 것이라고 예언한다. 각 제자가 자신은 배신하지 않겠다고 주장했음에도, 배신자가 그 자리에 있는 사람들 중 한 명일 것이라고 거듭 말씀하셨다. 마태오 복음서 26:23–25과 요한 복음서 13:26–27은 유다를 배신자로 지목한다.[153]

공관 복음서에서 예수께서는 빵을 들고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이는 너희를 위해 주는 내 몸이다"라고 말씀하신다. 그런 다음 그들에게 모두 잔을 마시게 하시며 "이 잔은 너희를 위해 흘리는 내 피로 맺는 새 계약이다"라고 말씀하신다.[154][153] 기독교의 성사 또는 예식인 성찬례는 이러한 사건에 기초한다.[155] 요한 복음서는 최후의 만찬 동안 빵과 포도주 의식에 대한 묘사를 포함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요한 복음서 6:22–59(생명의 빵 설교)가 성찬례적인 성격을 가지며 공관 복음서와 바울 서신서에 나오는 설립 이야기와 공명한다고 본다.

복음서 모두에서 예수께서는 베드로가 다음 날 아침 수탉이 울기 전에 자신을 세 번 부인할 것이라고 예언한다.[156][157] 루가 복음서와 요한 복음서에서는 이 예언이 만찬 중에 이루어진다.[158] 마태오 복음서와 마르코 복음서에서는 이 예언이 만찬 후에 이루어진다. 예수께서는 또한 모든 제자들이 자신을 버릴 것이라고 예언한다.[159] 요한 복음서는 예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신 이야기를 유일하게 전한다. 요한 복음서는 또한 예수께서 제자들(유다를 제외)의 떠나감을 준비시키기 위해 긴 설교를 포함시키는데, 요한 복음서 14–17장은 작별 설교로 알려져 있으며, 그리스도론 내용의 중요한 자료이다.[160][161]

3. 4. 1. 기적

요한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가 처음 행한 기적은 가나의 혼인잔치에서 물을 포도주로 만든 기적이다.[450]

가나의 혼인잔치


당시 유대인들은 혼인 잔치에서 포도주를 대접하는 것이 관례였는데, 이 혼인 잔치에 예수와 제자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포도주가 떨어진 문제가 생겼다. 이를 안 어머니 성모 마리아는 아들인 예수에게 이 문제를 해결해 주도록 일렀고, 예수는 하인들에게 여섯 개의 항아리에 물을 붓게 했다. 하인들이 시키는 대로 모든 물을 가져오자, 예수는 잔치를 맡은 이에게 그대로 갖다 주게 했는데, 물은 어느새 포도주로 바뀌어 있었다. 이를 본 제자들은 예수를 믿게 되었다.

마리아가 혼인잔치에서 포도주가 떨어졌다고 할 때, 예수는 아직 자신의 때가 아니라고 말하였다. 기독교에서 포도주는 예수의 보혈을 상징하는데, 예수가 말한 "때"와 "포도주"의 관계는 예수 자신이 십자가에 제물로 희생될 때 흘린 피를 상징하는 포도주로 풀이한다.

복음서에는 예수가 수많은 병을 고쳤다는 기적 이야기들이 있는데, 그 까닭은 예수가 메시아임을 변증하고자 하는 복음서 저자들의 신학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예수가 병들을 고친 사건은 단순한 기적이 아닌 자신이 메시아임을 증명한 자기 증명인 것이다. 일례로 예수가 병을 고치는 그 깊이는 다른 의사들의 차원, 심지어는 인간의 차원이 아니어서 마르코 복음서에서는 예수가 하혈병으로 고통받은 부인을 고친 이야기를 소개하면서 부인이 12년 간 병으로 고통받았지만 의사들이 고치지 못했다고 말한다.

또한 마르코 복음서에서는 예수가 로마 제국팍스 로마나의 유지를 위해 식민지에서 실시한 폭력적인 통치와 경제적 착취로 인해 정신장애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연민을 느껴 하나님의 능력으로 고쳤다는 이야기들을 보도함으로써 예수를 정신병으로 고통받는 민중들의 치유자로도 묘사한다.

복음서의 기록에서 예수는 자신의 사역의 상당 부분을 특히 치유를 포함한 기적을 행하는 데 헌신한다. 기적은 치유 기적과 자연 기적의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치유 기적에는 육체적 질병의 치료, 엑소시즘[124]과 죽은 자의 부활이 포함된다.[288][125][126] 자연 기적은 자연에 대한 예수의 능력을 보여주며, 물을 포도주로 바꾸는 것, 물 위를 걷는 것, 폭풍을 잠재우는 것 등을 포함한다. 예수는 자신의 기적이 신성한 근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한다. 그의 반대자들이 갑자기 그에게 악마의 왕자인 바알세불의 힘으로 엑소시즘을 행한다고 비난하자, 예수는 그가 "하느님의 영"(마태 12:28) 또는 "하느님의 손가락"으로 엑소시즘을 행한다고 반박하며, 모든 논리가 사탄이 자신의 악마들이 하느님의 자녀들을 돕도록 놔두지 않을 것이고, 이는 사탄의 집을 분열시키고 그의 왕국을 황폐하게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더욱이 그는 반대자들에게 만약 그가 바알세불의 힘으로 엑소시즘을 한다면, "너희 아들들은 누구의 힘으로 그것들을 쫓아내느냐?"라고 질문한다.[127][109][128] 마태 12:31–32에서 그는 모든 종류의 죄, "심지어 하느님을 모독하는 것" 또는 "사람의 아들을 모독하는 것"도 용서받을 것이지만, 선함(또는 "성령")을 모독하는 자는 결코 용서받지 못할 것이며, 그들의 죄의 혐의를 영원히 지닐 것이라고 말한다.

요한 복음서에서 예수의 기적은 그의 사명과 신성을 증명하기 위해 행해진 "징표"로 묘사된다.[129] 공관 복음서에서 율법학자들과 바리새인들이 그의 권위를 증명하기 위해 기적적인 징표를 보여달라고 요구했을 때, 예수는 거절하며 예언자 요나의 징표 외에는 부패하고 악한 사람들에게 어떤 징표도 주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공관 복음서에서 군중들은 정기적으로 예수의 기적에 경외심을 느끼며 아픈 사람들을 고치라고 그에게 몰려든다. 요한 복음서에서 예수는 군중에게 압도당하지 않고 종종 그의 기적에 신뢰와 믿음으로 응답한다. 복음서 기록에 나오는 예수의 모든 기적에서 공유되는 한 가지 특징은 그가 그것들을 자유롭게 행했으며 어떤 형태의 보상도 요구하거나 받지 않았다는 것이다.[130] 예수의 기적에 대한 묘사가 포함된 복음서의 에피소드는 종종 가르침을 포함하며, 기적 자체는 가르침의 요소를 포함한다.[131] 많은 기적은 믿음의 중요성을 가르친다. 예를 들어, 열 명의 나병 환자를 고치신 것과 야이로의 딸을 살리신 것에서 수혜자들은 그들의 치유가 그들의 믿음 때문이라고 들었다.[132]

예수, 머리에 후광이 있고, 나병 환자에게 손을 얹어 그를 치유한다
예수가 나병 환자를 치유하다, 중세 시대 모자이크 from the 몬레알레 대성당,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중반

3. 4. 2. 산상수훈

예수는 사람들이 자신을 보기 위해 모이자, 제자들과 많은 사람들을 산 위에 모아놓고 설교하였다. 이 산은 갈릴래아 호수 북쪽 타브가와 가파르나움 사이의 한 야산이었다고 전해진다. 이 설교 내용은 마태오 복음서 5장부터 7장까지 기록되어 있으며, 가장 유명한 부분은 마태오 복음 5:3-12, 즉 팔복으로, 어떤 사람이 행복한지에 대한 가르침이다.[96]

이 밖에도 원수를 사랑하고, 은밀히 구제하며, 비판받지 않으려면 비판하지 말라는 등 파격적인 내용과 함께, 현재까지 기독교에서 사용되는 주님의 기도가 소개된다.

3. 4. 3. 비유

예수는 여러 가지 비유를 통해 가르침을 행했다. 예를 들어 씨 뿌리는 자의 비유(마태오 복음서 13:1-23, 마르코 복음서 4:1-20, 루가 복음서 8:4-15), 잡초의 비유(마태오 복음서 13:24-30) 등이 있다.[114],[115] 비유는 더 긴 설교와 서사시의 다른 부분에서 나타난다.[116] 비유는 종종 상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물리적 세계를 영성과 연결시킨다.[117],[118] 이야기의 일반적인 주제는 하느님의 친절과 관대함, 그리고 범죄의 위험이다.[119] 탕자의 비유와 같은[120] 비유 중 일부는 비교적 단순하지만, 씨앗 비유와 같은[121] 다른 비유는 정교하고 심오하며 난해하다.[122] 제자들이 왜 사람들에게 비유로 말씀하시는지 묻자, 예수는 선택받은 제자들은 다른 사람들처럼 "하늘 나라의 비밀을 알도록" 주어졌고, "가진 자는 더 받을 것이고 풍족해질 것이다. 그러나 가지지 못한 자는 가진 것마저 빼앗길 것이다"라고 말하며, 그들의 세대의 대다수가 "둔한 마음"을 갖게 되어 이해할 수 없게 되었다고 덧붙인다.[123]

3. 4. 4. 율법학자들과의 논쟁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는 12살 때 예루살렘 성전에서 율법학자들과 토론을 벌였다. 어른이 된 후에도 율법학자들과 토론을 벌였는데, 착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도 율법학자와의 토론에서 나온 것이다. 어느 율법학자가 예수에게 "진짜 이웃이 누구입니까?"라고 묻자, 예수는 강도를 만나 길에 쓰러진 사람을 제사장과 레위인은 보고도 지나쳤지만, 사마리아 사람은 그를 돕고 여관에 맡겨 보살폈다는 비유를 들려주었다. 그러면서 누가 참된 이웃이냐고 묻자 율법학자는 "강도 만난 사람을 도운 사람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3. 4. 5. 라자로를 살리다

예수는 마르타와 마리아 자매와 친분이 있었는데, 이들의 오빠가 라자로였다. 라자로가 세상을 떠나자 예수는 라자로의 장례식장에 찾아가서 무덤에 장사된지 나흘이 지난 그를 살려내서 그 곳에 있던 사람들을 크게 놀라게 하였다.[434]

3. 4. 6. 예루살렘 입성과 마지막 만찬

성경에 따르면 예수는 자신의 죽음이 임박한 것을 알고, 제자들과 함께 예루살렘에 올라갔다.[528] 예루살렘에 도착한 예수는 민중들의 환대를 받는데, 이는 예수를 정치적 혁명가로 생각해서였다. 실제로 성경에는 '많은 사람들이 겉옷을 벗어 길에 펴 놓는가 하면 어떤 사람들은 나뭇가지를 꺾어다가 길에 깔아 놓기도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서 나뭇가지는 당시 유대교 종교 권력의 횡포로 소작농으로 전락한 이들이 재배하던 종려나무의 가지였다.[529][530] 하지만 예수는 인간의 구원을 위한 죽음을 위해서 오셨기 때문에, 이들의 인기에 편승하지 않고, 최후의 만찬 때 제자들에게 포도주를 떼어 감사 기도를 드리며 자신의 죽음이 뜻하는 바를 설명하였다.[531] 이를 그리스도의 성체제정이라고 하는데, 성공회, 정교회, 로마 가톨릭에서는 성체성사, 성찬례, 성체성혈성사, 개신교에서는 성만찬이라고 부르는 성사성직자가 집전하여 예수의 희생적인 죽음을 기념한다.

최후의 만찬은 예수께서 십자가에 못 박히시기 전 예루살렘에서 열두 제자와 함께 나눈 마지막 식사이다. 최후의 만찬은 네 개의 정경 복음서 모두에 언급되어 있으며, 바울의 고린토 전서[152] 또한 이를 언급한다.[153] 식사 중에, 예수께서는 제자 중 한 명이 자신을 배신할 것이라고 예언한다. 각 제자가 자신은 배신하지 않겠다고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예수께서는 배신자가 그 자리에 있는 사람들 중 한 명일 것이라고 거듭 말씀하셨다. 마태오 복음서 26:23–25과 요한 복음서 13:26–27은 구체적으로 유다를 배신자로 지목한다.[153]

공관 복음서에서 예수께서는 빵을 들고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이는 너희를 위해 주는 내 몸이다"라고 말씀하신다. 그런 다음 그들에게 모두 잔을 마시게 하시며 "이 잔은 너희를 위해 흘리는 내 피로 맺는 새 계약이다"라고 말씀하신다.[154][153] 기독교의 성사 또는 예식인 성찬례는 이러한 사건에 기초한다.[155] 요한 복음서는 최후의 만찬 동안 빵과 포도주 의식에 대한 묘사를 포함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요한 복음서 6:22–59(생명의 빵 설교)가 성찬례적인 성격을 가지며 공관 복음서와 바울 서신서에 나오는 설립 이야기와 공명한다고 본다.

네 복음서 모두에서 예수께서는 베드로가 다음 날 아침 수탉이 울기 전에 자신을 세 번 부인할 것이라고 예언한다.[156][157] 루가 복음서와 요한 복음서에서는 이 예언이 만찬 중에 이루어진다.[158] 마태오 복음서와 마르코 복음서에서는 이 예언이 만찬 후에 이루어진다. 예수께서는 또한 모든 제자들이 자신을 버릴 것이라고 예언한다.[159] 요한 복음서는 예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신 이야기를 유일하게 전한다. 요한은 또한 예수께서 제자들(이제 유다를 제외하고)의 떠나감을 준비시키기 위해 긴 설교를 포함시킨다. 요한 복음서 14–17장은 작별 설교로 알려져 있으며, 그리스도론 내용의 중요한 자료이다.[160][161]

3. 4. 7. 십자가에 못 박히기까지

스테인드글라스, 십자가를 지고 가다가 쓰러진 예수


유대교의 대제사장들은 자신들을 비판하는 예수를 위험하게 여겨 이스카리옷 유다와 결탁하여 예수를 체포하였다. 예수는 가리옷 사람 유다가 자신을 유다의 대제사장들에게 팔아넘길 것을 이미 알고 있었다. 그래서 최후의 만찬 때 제자 중 한 명이 자신을 팔 것이라고 말했다. 체포된 예수는 유대인들의 자치기구인 산헤드린 의회에서 재판을 받고 본티오 빌라도에게 넘겨졌다. 루가 복음서는 빌라도가 예수의 무죄를 확신하여 풀어주려 했으나, 유대인들의 압력으로 십자가형에 처했다고 묘사한다.(루가 23:14-25)

하지만 빌라도의 총독 지위를 고려하면, 예수를 그의 의지로 십자가형에 처했을 가능성도 있다.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혔을 때, 십자가에는 로마 제국에 대항하는 민족 지도자를 뜻하는 '유대인의 왕(INRI)'이라는 죄패가 달렸고, 예수를 처형한 세력은 로마 제국의 공권력이었다. 예수는 예루살렘 입성 시 환호를 받을 만큼 민중의 지지를 받는 명사였기에 빌라도에게 요주의 인물이었다. 루가는 교회가 로마 제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로마 총독 빌라도가 예수를 지지했으나 어쩔 수 없이 십자가형에 처한 것처럼 묘사했다는 해석도 있다.[532] 반면, 빌라도에 대한 마이어의 연구에 따르면, 당시 본티오 빌라도의 후원자는 세야누스였는데, 그는 황제에 대한 반역 음모로 A.D. 31년 권력에서 물러났다. 빌라도의 지위는 A.D. 33년 경 매우 약화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그 시기는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혔을 가능성이 가장 많은 시기이다. 빌라도는 유대인을 분노케 하여 황제와의 관계가 더 곤경에 빠지지 않기를 원했을 것이다. 이는 복음서의 묘사가 가장 정확할 수 있음을 뜻한다.[533]

결국 예수는 두 명의 강도[534]들과 함께 십자가형에 처해졌다. 예수는 십자가형 전 자신이 매달릴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 언덕을 올라가며 구타조리돌림을 당했다. 여기서 십자가는 십자가 모양 형틀이 아닌 가로대를 가리킨다. 처형장으로 가는 도중 예수가 심한 구타로 체력이 다해 쓰러지자 퀴레네 출신 시몬이 예수를 대신해 십자가를 졌다.

  • '예수께서는 "아버지, 저 사람들을 용서하여 주십시오!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모르고 있습니다." 하고 기원하셨다.'[535]
  • '예수께서는 "오늘 네가 정녕 나와 함께 낙원에 들어갈 것이다." 하고 대답하셨다.'[536]
  • '예수께서는 당신의 어머니와 그 곁에 서 있는 사랑하시는 제자를 보시고 먼저 어머니에게 "어머니, 이 사람이 어머니의 아들입니다." 하시고 그 제자에게는 "이분이 네 어머니시다." 하고 말씀하셨다. 이 때부터 그 제자는 마리아를 자기 집에 모셨다.'[537]
  • '세 시쯤 되어 예수께서 큰소리로 "엘리 엘리 레마 사박타니?" 하고 부르짖으셨다. 이 말씀은 "나의 하느님, 나의 하느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라는 뜻이다.'[538]
  • '예수께서는 모든 것이 끝났음을 아시고 "목마르다." 하고 말씀하셨다. 이 말씀으로 성서의 예언이 이루어졌다.'[539]
  • '예수께서는 신 포도주를 맛보신 다음 "이제 다 이루었다." 하시고 고개를 떨어뜨리시며 숨을 거두셨다.'[540]
  • '예수께서는 큰소리로 "아버지, 제 영혼을 아버지 손에 맡깁니다!" 하시고는 숨을 거두셨다.'[541]

3. 5. 죽음 이후

예수의 승천


기독교 경전인 성경의 기록에 따르면 예수는 "십자가에 못박혀 장사되신지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나 12제자를 축복하고 많은 제자들이 보는 가운데 하늘로 올라갔다"고 전해진다. 성경에 나타난 예수의 부활과 승천에 대한 기록은 아래와 같다.

마태오 복음서마르코 복음서루가 복음서요한 복음서
비어있는 무덤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B9C8%2028%3A1&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28장 1-7)비어있는 무덤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B9C9%2016%3A1&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16장 1-7)비어있는 무덤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B205%2024%3A1&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24장 1-7)비어있는 무덤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C694%2020%3A1&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20장 1-10)
부활하신 예수께서 막달라 마리아와 다른 마리아에게 나타나심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B9C8%2028%3A9&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28장 9-10)부활하신 예수께서 막달라 마리아에게 나타나심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B9C9%2016%3A9&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16장 9)부활하신 예수께서 막달라 마리아에게 나타나심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C694%2020%3A11&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20장 11-18)
예수께서 두 제자들에게 나타나심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B9C9%2016%3A12&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16장 12)예수께서 두 제자들에게 나타나심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B205%2024%3A13&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24장 13-31)
예수께서 열 한 제자들에게 나타나심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B9C8%2028%3A16&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28장 16-20)예수께서 열 한 제자들에게 나타나심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B9C9%2016%3A14&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16장 14-18)예수께서 제자들에게 나타나심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B205%2024%3A36&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24장 36-50)예수께서 제자들에게 나타나심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C694%2020%3A19&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20장 19-31);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다시 나타나심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C694%2021%3A1&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21장 1-22)
예수께서 하늘로 올라가심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B9C9%2016%3A19&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16장 19)예수께서 하늘로 올리워 가심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Readpage.aspx?version=HAN&readInfo=%uB205%2024%3A51&cVersion=&fontString=12px&fontSize=1 24장 51)
사도행전
예수께서 부활하신후 40일 동안 사도들에게 나타나심 (

알렉산드르 안드레예비치 이바노프의 '예수 그리스도의 막달라 마리아에게 나타남', 1835


복음서는 예수의 부활의 순간을 직접 묘사하지는 않지만, 빈 무덤 발견과 예수의 여러 현현을 묘사하며, 각 복음서마다 내용에 차이가 있다.[175]

4개의 복음서에서 공통적으로 막달라 마리아는 일요일 아침에 혼자 또는 다른 여인들과 함께 무덤으로 간다. 무덤은 비어 있었고, 돌이 굴려져 있었으며, 복음서에 따라 한두 명의 천사가 있었다. 공관복음서에서 여자들은 예수가 여기 없고 부활했다는 소식을 듣는다.[176] 마가복음과 마태복음에서 천사는 제자들이 갈릴리에서 예수를 만날 것을 지시한다.[177] 누가복음에서는 베드로가 무덤이 비어 있다는 소식을 듣고 무덤을 방문한다.[178] 요한복음에서는 베드로와 다른 제자가 함께 무덤으로 간다.[179] 마태복음은 무덤에 로마 군인들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80] 로마 군인들은 예루살렘의 제사장들에게 일어난 일을 보고하고, 제사장들은 그들에게 밤에 제자들이 예수의 시신을 훔쳤다고 말하도록 뇌물을 준다.[181]

이후 복음서들은 부활한 몸으로 나타난 예수의 다양한 현현을 묘사한다. 예수는 먼저 마가복음 16장 9절과 요한복음 20장 14-17절에서 막달라 마리아에게 나타나고,[182] 마태복음 28장 9절에서는 "다른 마리아"와 함께 나타난다.[183] 누가복음에서는 엠마오로 가는 두 제자에게 나타난다.[184] 그 후 예루살렘이나 갈릴리에서 열한 제자에게 나타난다.[185] 누가복음 24장 36-43절에서 예수는 제자들에게 자신이 영이 아님을 증명하기 위해 음식을 먹고 만져지는 상처를 보여준다.[186] 또한 요한복음 20장 24-29절에서 도마에게 나타나 그의 의심을 풀어준다.[187] 공관복음서에서 예수는 제자들에게 모든 민족에게 복음 메시지를 전파하라고 명한다. 요한복음 21장에서 예수는 베드로에게 자신의 양들을 돌보라고 말한다.

예수의 승천은 누가복음 24장 50-53절, 사도행전 1장 1-11절에 묘사되어 있으며, 디모데전서 3장 16절에서도 언급된다. 사도행전에서는 부활 후 40일 뒤, 제자들이 보는 가운데 "그가 들리어 올라가시니 구름이 그를 가리어 보이지 않게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베드로전서 3장 22절은 예수가 "하늘로 들어가서 하나님의 우편에 계시니"라고 말한다.

사도행전은 예수의 승천 이후 나타난 여러 현현을 묘사한다. 사도행전 7장 55절에서 스테파노는 죽기 직전 하늘을 보며 "예수께서 하나님의 우편에 서 계신 것"을 본다.[188]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 사도 바울은 "내가 핍박하는 예수라"는 소리를 듣고 눈이 멀었다가 기독교로 개종한다.[189] 사도행전 9장 10-18절에서 예수는 환상으로 다마스쿠스의 아나니아에게 나타나 바울을 고치라고 지시한다.[190] 요한 계시록은 지구의 마지막 날에 관한 예수의 계시를 포함한다.[191]

4. 비기독교계 사료

역사가 타키투스는 110년경에 쓴 《연대기》(''Annalia'') 15권 44장 2절에서 64년 7월 19일 네로 황제가 로마 시내에 화재가 나자 '그리스도'인들을 방화범으로 지목하고 박해하였다고 기술하였다. 타키투스는 '그리스도인'(타키투스는 이를 Chrestianila로 기록하였다.) 이름의 기원을 "티베리우스 황제의 치세 때 폰티우스 필라투스(본티오 빌라도) 행정관에게 처형된 그리스도에게서 비롯되었으며, '이 사악한 미신'은 계속 번져나가고 있다"라고 기록하였다. 로마 제국의 속주였던 비티니아의 총독으로 재직 중이던 소 플리니우스는 112년트라야누스 황제에게 보낸 편지에서 비티니아 지방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처럼 여기면서 성가를 불렀다고 기록하였다.[542][543]

전기 작가인 수에토니우스는 120년경 《황제들의 생애》(''De vita caesarum'')를 저술하였는데, 이 책의 한 부분인 〈클라우디우스의 생애〉 편에서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49년에 크레스투스의 사주로 인하여 분란을 일으키는 유대인들을 로마에서 추방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여기서 크레스투스가 가리키는 것이 예수 그리스도라는 설이 현재 가장 유력하다. 수에토니우스가 말한 이야기는 사도행전에도 나오는데, 누가에 의하면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유대인 추방령으로 고린토로 이주한 유대인 부부 아굴라와 브리스길라가 자신들처럼 천막 제작 노동자인 바울과 같이 일했다고 한다.

갈릴리 지방의 유대인 독립군 사령관으로 있다가 전세가 기울자 로마군에 투항한 요세푸스는 《유대 전쟁사》(서기 95년 작)에서 예수의 형제인 야고보를 돌로 치는 형벌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유대교의 《탈무드》 〈산헤드린〉에는 예수는 마술을 써서 이스라엘을 미혹시켜 배교하게 하였으므로 유월절 전날에 처형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544]

5. 연구 및 관점

학자들은 1세기 초의 종교적 배경을 바탕으로 예수의 삶을 재조명했다. 당시 유대교에는 바리새파, 사두개파, 에세네파 등 여러 분파가 있었다.


  • '''바리새파''': 율법 해석과 준수를 중시했으며, 로마-유대 전쟁 이후 성전 없는 유대교를 시작했다.
  • '''사두개파''':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활동한 제사장 계층으로, 로마 제국에 협력하며 기득권을 유지했다.
  • '''에세네파''': 금욕적인 생활을 하며 종말론을 믿었던 진보적인 유대교 분파로, 젤롯파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계몽주의 시대 이후, 복음서의 역사적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복음서에 묘사된 예수와 역사 속의 예수를 구별하려는 학문적 탐구가 시작되었다. 19세기에는 복음서 기록을 최대한 수용하는 "최대주의" 접근 방식이 있었으나, 20세기 초에는 예수에 대해 거의 모든 것을 부정하는 "최소주의" 접근 방식이 등장했다. 1950년대 이후, 역사적 예수를 찾기 위한 두 번째 탐구가 시작되면서 최소주의적 접근 방식은 사라졌고, 현대 학자들은 역사적으로 확실한 몇 가지 사실 외에 예수의 삶의 다른 특정 요소가 "역사적으로 개연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5. 1. 기독교적 관점

기독교에서 예수는 중심적인 인물이다.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하느님의 아들이자 그리스도로 믿으며, 삼위일체 교리에 따라 성부, 성자, 성령 중 성자에 해당한다고 믿는다.

예수에 대한 기독교의 주요 관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예수는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태어났으며, 기적을 행하고 교회를 세워 사람들을 구원했다.
  • 인간의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형을 받고 죽었으나 부활하여 천국으로 올라갔으며, 언젠가 재림할 것이다.
  • 니케아 신경에 따르면, 예수는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할 권위를 가지고 있다.
  • 예수는 이자 인간이며, 동시에 하느님의 아들이다.


신약 성경은 예수의 부활을 기독교 신앙의 핵심으로 명시한다.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희생적인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인간이 하느님과 화해하고 구원과 영생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요한 복음에서 세례자 요한은 예수를 하느님의 어린 양이라고 칭하며, 이는 예수가 인류의 죄를 대신하여 희생될 것임을 상징한다.

예수는 새로운 아담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아담의 불순종으로 인해 초래된 죄와 죽음을 예수의 순종을 통해 극복하고 새로운 생명을 가져왔음을 의미한다.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믿음의 모범으로 삼고, 그의 삶을 본받아 하느님 중심적인 삶을 살도록 권장받는다.

기독교의 많은 교파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아들이며, 성육신하여 사람이 된, 참된 하느님이자 참된 사람인 구세주[399][400][401]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다.(삼위일체) 그러나 극히 일부에서는 삼위일체의 교리를 확립하기 위해 성서의 본문을 변경했다는 비판도 있다.[402][403][404]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교파는 일반적으로 이단으로 간주된다.)

구약 성경의 예언자에 이어, 신약 성경에서 예수는 "יהוה|야훼he는 유일한 하느님이다[405][406][407][408]"라고 특별히 강조하며, 예수가 아버지 하느님 יהוה|야훼he의 아들, 삼위일체위격 중 하나인 "아들 하느님"이라고 해석한다.

예수의 언행을 기록한 복음서를 포함한 『성경』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언어로 번역된 역사적인 베스트셀러이며, 음악, 회화, 사상, 철학, 세계사에 헤아릴 수 없는 영향을 미쳤다.

5. 1. 1. 주류 기독교의 그리스도론

기독교는 "예수는 성자이자 동정녀 성모 마리아에게서 나왔고, 기적을 행하는 동시에 교회를 창립해 인간을 구원하며, 인간을 속죄하기 위해 십자가형을 받아 죽었다가 부활해서 천국으로 간 뒤 언젠가 재림할 것"을 교리로 삼고 있다.[474] 니케아 신경은 예수가 살아있을 때나 죽은 이후에도 삶과 죽음을 판단한다고 믿고 있다. 기독교는 예수를 이자 인간인 동시에 신의 아들인 존재로 믿고 삼위일체 중 제2위격인 성자로 보고 있다.

기독교에서는 삼위일체 교리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외아들인 동시에, 피조되지 않고 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이며, 마리아에게 혈육을 취하여 사람이 되셨다고 믿는다.(니케아 신경/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사도신경,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칼케돈 신경에서도 예수 그리스도를 하느님인 동시에 사람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칼케돈 신경과 에페소 신경에서는 예수의 신성과 인성이 분리되었다는 네스토리우스의 견해에 반대하여, 예수를 하느님이자 인간으로 고백한다. 결국 기독교의 관점에 따르면 예수는 신이면서 신의 아들이자 인간인 존재인 것이다.

삼위일체는 기독교에서 하느님이 세 위격, 즉 하느님 아버지, 하느님 아들(예수), 하느님 성령으로 이루어진 한 분의 하느님이라는 믿음이다.


예수는 4세기 로마의 카타콤에서 알파와 오메가 문자와 함께 묘사된다.


예수는 기독교의 중심 인물이다. 예수에 대한 기독교의 견해는 다양하지만, 주요 기독교 교파에서 공유하는 핵심적인 믿음을 그들의 교리 문답 또는 고백 신앙 텍스트에서 요약할 수 있다.[282][283][284] 예수에 대한 기독교의 견해는 신약 성경의 텍스트, 특히 정경 복음서와 바울 서신 및 요한계 문헌과 같은 편지에서 파생된다. 이 문서들은 예수의 신성, 인성, 지상 생활을 포함하여 기독교인들이 예수에 대해 가지고 있는 핵심적인 믿음, 그리고 그가 그리스도이자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것을 간략하게 설명한다.[285] 공유하는 믿음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기독교 교파가 모든 교리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며, 가르침과 믿음에 대한 주요하고 사소한 차이점이 수 세기 동안 기독교 내에서 지속되어 왔다.

신약 성경은 예수의 부활이 기독교 신앙의 기초라고 명시한다.[286][287] 기독교인들은 그의 희생적인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인간이 하느님과 화해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구원과 영생의 약속을 받는다고 믿는다.[288] 요한 복음에서 세례자 요한의 말을 인용하여, 이러한 교리는 때때로 예수를 하느님의 종으로서 그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십자가에 못 박힌 하느님의 어린 양으로 지칭한다.[289][290] 따라서 예수는 새롭고 마지막 아담으로 여겨지며, 그의 순종은 아담의 불순종과 대조를 이룬다.[291]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신앙의 모범으로 여기며, 그의 하느님 중심적인 삶을 신자들이 본받도록 권장한다.

현재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예수가 인간이면서 동시에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믿는다. 그의 본성에 대해 신학적 논쟁이 있어 왔지만, 삼위일체 기독교인들은 일반적으로 예수가 로고스, 하느님의 화신이자 하느님 아들이며, 완전한 신성이자 완전한 인성을 모두 갖추었다고 믿는다. 그러나 삼위일체 교리는 모든 기독교인들에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292][293] 종교 개혁과 함께, 미카엘 세르베투스와 소치니파와 같은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두 본성을 확립한 고대 신조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109] 비삼위일체 기독교 그룹에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294] 유니테리언 및 여호와의 증인이 있다.

기독교인들은 예수 자신뿐만 아니라 그의 이름도 존경한다. 예수 성명에 대한 경건은 기독교 초창기로 거슬러 올라간다.[295] 이러한 경건과 축제는 동방 기독교서방 기독교 모두에서 존재한다.

기독교의 많은 교파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아들이며, 성육신하여 사람이 된, 참된 하느님이자 참된 사람인 구세주[399][400][401]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다([삼위일체]). 그러나 극히 일부에서는 삼위일체의 교리를 확립하기 위해 성서의 본문을 변경했다는 비판도 있다.[402][403][404]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교파는 일반적으로 이단으로 간주된다.)

구약 성경의 예언자에 이어, 신약 성경에서 예수는 "יהוה|야훼he는 유일한 하느님이다[405][406][407][408]"라고 특별히 강조하며, 다음의 기술을 통해, 예수가 아버지 하느님 יהוה|야훼he의 아들, 삼위일체위격 중 하나인 "아들 하느님"이라고 해석한다.

성경 구절내용
마태오 복음서 13:41-43천사들을 보낼 특권과 천국이 아버지의 것이라고 명시
마르코 복음서 2:5-12죄를 용서하는 권위 선언과 반대자에 대한 설득
마태오 복음서 25:31-46종말에 아버지로부터의 축복 유무로 사람을 심판하는 권위 주장
마르코 복음서 2:27-28안식일이 하느님과 사람을 위해 있다는 단언
요한 복음서 10:30아버지 하느님의 아들임을 강조
요한 복음서 3:13, 요한 복음서 8:58탄생 전부터 예언자율법에 의해 드러났던 하느님의 어린 양이라고 주장
마태오 복음서 26:63재판에 호소되었을 때, 하느님의 메시아이며, 예언과 율법대로 죽음을 보고 부활하는 것을 인정
요한 복음서 20:28사도토마스는 다윗의 예언[409]이 예수 안에서 성취된 것을 보고 "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이라고 말한 것을 부정하지 않음
요한 복음서 5:2-18자신을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말하고, 자신을 하느님과 동격으로 말했다. 아버지와 아들은 별개의 존재이지만, 동시에 하나이기도 함
해당 구절 없음예수는 하늘과 땅의 모든 권능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것을 사랑하며, 죽음의 순간에 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제공함 (만약 그들이 믿고 순종한다면).


5. 1. 2. 자유주의 신학의 역사적 예수론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근대 자유주의 신학은 예수를 윤리적 모범으로 이해했다. 토머스 제퍼슨은 예수의 생애에서 기적과 같이 이성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제외하고, 산상수훈과 같은 도덕적 가르침만을 담은 성경을 만들기도 했다. 이는 예수에게 자신들의 도덕적 이상을 투영한 결과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관점은 예수에게서 모든 기적을 제거함으로써, 사실상 예수 그리스도라는 존재를 지우고 한 도덕적인 인간만을 남겼다는 평가를 받았다.[474]

일부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초대교회에서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고백한 것이 로마 제국의 황제 숭배에 반대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한다.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자신을 하나님의 아들이라 칭한 것에 맞서,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라 주장했다는 것이다.[545] 이들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들이 복음, 주님 등 로마 제국이 체제 선전에 사용하던 용어를 예수에게 적용하여 로마 제국이 아닌 예수에게 복종할 것을 선언했다고 본다.[546] 또한, 로마 제국이 기독교를 반국가 종교로 규정하여 탄압한 것도 복음서에 나타난 급진성 때문이었다고 해석한다.[547] 이들은 종교정치가 분리된 현대의 기독교인들이 복음서정치, 사회적 배경을 이해하지 못해 예수의 말과 행동이 얼마나 정치적이고 사회적인지 깨닫지 못한다고 주장한다.[548]

역사적 예수 연구는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영향을 받아 진행되었으며, 현대 기독교에서는 톰 라이트, 존 셸비 스퐁, 리처드 호슬리, 마커스 보그, 존 도미닉 크로산 등의 신학자들이 역사적 인물로서의 예수의 삶을 복원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5. 2. 유대교적 관점

유대교에서는 야훼만이 유일신이라는 교리에 따라, 예수를 야훼의 외아들이나 야훼로 보지 않으며, 예수를 사기꾼 또는 기독교의 창시자로 여긴다.[192]

유대교는 예수가 신이거나,[246] 신과 중재자이거나, 삼위일체의 일부라는 생각을 거부한다.[296] 예수가 메시아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그가 타나크의 메시아 예언을 이루지 못했고 메시아의 개인적 자격을 갖추지 못했다고 주장한다.[297] 유대인들은 예수가 제3성전을 세우고,[298] 유대인들을 이스라엘로 다시 모으고,[299] 세계 평화를 가져오고,[300] 인류를 이스라엘의 신 아래 하나로 묶는 예언을 이루지 못했다고 주장한다.[301][302] 게다가,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기원전 5세기에 예언을 전한 말라기 이후에는 예언자가 없었다.[303][304]

예수에 대한 유대교의 비판은 오래되었으며, 3세기부터 5세기 AD에 기록되고 편집된 탈무드에는 다양한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305] 그러한 이야기 중 하나는 음란한 배교자인 ''예슈''(‘나사렛 예수’)가 우상 숭배를 퍼뜨리고 마법을 행한 죄로 유대교 최고 법정에 의해 처형된다는 내용이다.[306] 일부에 따르면, 예슈라는 형태는 히브리어로 "그의 이름과 기억이 지워지기를"이라고 읽히는 두문자어이다.[307] 대다수의 현대 학자들은 이 자료가 역사적 예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여긴다. 12세기 후반에 모세 마이모니데스가 쓴 유대교 율법의 저작인 ''미쉬네 토라''는 예수를 "세상의 대다수가 그릇된 길로 빠져 주님 외의 다른 신을 섬기도록 하는" "걸림돌"이라고 명시하고 있다.[308]

중세 히브리 문학에는 예수가 판데라의 아들 요셉의 아들로 묘사된 일화인 "예수의 에피소드"(''톨레도트 예슈''라고도 함)가 포함되어 있다. 이 이야기는 예수를 사기꾼으로 묘사한다.[309]

5. 3. 이슬람교적 관점

이슬람교에서는 예수를 이사( عيسىar)라고 부르며, 알라가 보낸 중요한 예언자 중 한 명으로 존경한다. 무슬림들은 예수를 마리아의 아들 예수라고 부르며, 성사로 여긴다.[475][476][477]

쿠란에 따르면, 예수는 신의 명령으로 마리아의 몸을 빌어 처녀의 몸에서 태어났다. 예수는 "하나님의 허가"를 받아 기적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예수는 기독교에서 주장하는 것과 달리 십자가에 매달리지 않고 천국으로 들려 올려졌다고 한다. 이슬람 전통에 따르면 예수는 "심판의 날" 전에 다시 지상에 내려와 정의를 회복하고 적그리스도를 물리칠 것이며, 그 후 40년을 지상에서 살다가 죽을 것이라고 한다.

이슬람에서는 예수를 무슬림으로 여겨왔고, 하나님께 순종하는 올바른 신앙을 가지도록 사람들에게 설교했다고 한다. 이슬람은 "유일신"을 강조하며,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로서 사람으로 태어났다는 독생자와 성육신의 기독교 교리를 거부한다. 쿠란에서는 처녀잉태를 인정하지만, 이것이 하나님의 아들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쿠란에서 예수를 메시아로 부르는데, 이는 기독교에서 말하는 "세상을 구원할 자"라는 의미와는 다르게 "신의 은총을 받은 자"를 의미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세상을 구원할 때 강림하는 역할은 같다.

5. 4. 힌두교적 관점

예수는 에아사(Easa)라는 이름으로 힌두교 성전에 등장한다. 이 이름은 이슬람교에서의 예수의 이름 중 하나인 이사와 같다. 힌두교도들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에아사 마시하(Easa Maseeha:예수 메시야)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힌두교에서 예수에 대한 믿음은 다양하다. 크리슈나 의식국제협회에서는 예수를 크리슈나의 사랑을 받은 아들로서 신에 대한 의식을 일깨워주기 위해 지상으로 내려왔다고 여긴다. 산트 마트는 예수를 사트구루로 여긴다. 라마크리슈나는 예수를 신이 육화된 것으로 여긴다. 스와미 비베카난다는 예수를 찬미하고, 그를 힘의 원천과 완벽함의 전형으로 생각한다. 파라마한사 요가난다는 예수를 엘리사의 재육화이며, 엘리야의 재육화인 세례 요한의 학생이었다고 가르친다. 마하트마 간디는 예수를 그의 주된 스승 중 하나로 여겼으며 예수로부터 비폭력 저항 운동의 영감을 얻었다. 파라마한사 요가난다는 예수가 엘리사의 환생이며, 엘리야의 환생인 세례 요한의 제자였다고 다시한번 가르침을 강조 하였다.

6. 각종 논쟁

예수와 관련된 논쟁은 다양한 관점에서 제기되어 왔다.

예수의 외모에 대한 논쟁은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전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동방교회의 성화인 이콘에서는 셈족의 특징이 남아 짙은 피부색과 갈색 머리카락 등을 가진 모습으로 그려진다.[373] 반면, 서방교회에서는 12세기 이후 이콘 화풍에서 벗어나 서유럽인의 외모를 기준으로 예수를 묘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예수의 혈통과 직업을 고려할 때, 실제로는 셈족의 특징을 지녔을 가능성이 크다.[264]

예수의 실존 여부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이 역사적 사실로 인정한다. 초기 기독교 지도자들이나 다른 누군가가 예수를 허구로 만들어냈다는 주장은 큰 지지를 받지 못한다.[203] 요세푸스와 타키투스를 포함한 1세기 로마 역사학자들의 비기독교인 자료들도 예수의 존재를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203]

그리스도 신화론은 예수가 존재하지 않았거나, 존재했더라도 기독교의 창시와 복음서의 내용과는 거의 관련이 없다는 가설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고대 학자들 사이에서 비주류로 간주되며, 대부분의 학자들은 예수가 역사적 인물이었다는 데 동의한다.[266][267][268][269][270][271][272]

6. 1. 외모

ישוע|예슈아he의 외모에 대한 논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 현재 동방교회와 서방교회 전통에 따라 외모에 차이가 있다. 동방교회 지역 성화인 이콘의 ישוע|예슈아he 모습은 작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정해진 규칙에 따라 그리며 공통적인 요소가 있다. 이콘에는 셈족 특성이 남아서 짙은 피부색에 갈색 머리카락, 눈동자 모양, 옷 색상과 모양 등의 기준이 있다.[373]

12세기 이후 서방교회는 이콘 제작 전통을 따랐으나 점차 이콘 화풍에서 벗어나면서 ישוע|예슈아he의 얼굴은 서유럽인, 특히 라틴 계열 인종인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의 인종 모습이 기준이 되었다. 게르만족이 기독교화하면서 독일, 영국,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인종 모습의 ישוע|예슈아he 상도 나타났다.

ישוע|예슈아he의 실제 초상화가 전해지지 않아 모습을 알지 못한다고 해도, 흔히 서유럽 지역의 그림인 연한 갈색이나 금발을 하고 파란 눈을 그린 ישוע|예슈아he화는 원래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ישוע|예슈아he의 혈통이 고대 이스라엘 다윗 계열이고 직업이 목수였다는 점에서 셈족 특성을 지녔을 것으로 짐작된다.

의 민족성은 문화적 환경의 영향을 받아왔다.


신약성경은 ישוע|예슈아he의 죽음 이전의 외모에 대한 묘사를 제공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인종적 외모에 무관심하며, 언급된 사람들의 특징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261][262][263] ישוע|예슈아he는 아마도 그 시대와 장소의 전형적인 유대인 남성과 비슷했을 것이며, 키는 약 166cm 정도에 날씬하지만 탄탄한 체격, 올리브색 피부, 갈색 눈, 짧고 검은 머리를 가졌을 것이다. 그는 또한 그다지 길거나 숱이 많지 않은 수염을 가졌을 것이다.[264] 그의 옷차림은 가난을 암시했을 수 있으며, 술이 달린 망토(숄), 무릎 길이의 기본 튜닉, 샌들로 구성되어 있었을 것이다.[265]

6. 2. 실존 여부

예수의 실존 여부는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에 의해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초기 기독교 지도자들이나 다른 누군가가 예수라는 존재를 허구로 만들어 내었다는 주장은 큰 지지를 받지 못한다.[203]

예수가 실제로 존재했던 역사적 인물인지에 대한 의문은 복음서의 특정 일화들과 그에 서술된 연대, 그의 신격에 대해 거론된 신학적 이슈들에 관한 토론을 통해서 검증되어야 한다. 또한 성경뿐만 아니라, 유대인이나 그리스 로마의 자료 등 다수의 역사적 비기독교 자료들 또한 예수의 역사적 실존에 관한 분석에 이용된다.[203]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예수가 실제로 존재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예수의 세례와 그의 십자가형을 역사적 사건으로 본다. 로버트 반 브루스트에 의하면 비기독교파에 의해 제기되어온 예수가 실제로 존재했는지에 대한 의문은 항상 논란이 되어 왔지만, 많은 학자들을 설득하는 데에 실패하고, 고전 시대를 연구하는 역사학자와 성경학자들 또한 이에 대해 효과적으로 논박하고 있다.[203] Walter P. weaver와 그의 학자들은 예수의 존재를 부인하는 활동들이 기술적인 범주 안에서나 이외의 어떤 식으로도 다수의 사람들에게 전혀 설득력이 없었던 것으로 기술한다.[203]

요세푸스와 타키투스를 포함한 1세기 로마 역사학자들의 비기독교인 자료들도 예수의 존재를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 요세푸스 학자인 루이스 펠드만은 요세푸스의 '역사적 예수의 존재 여부에 관한 언급'에 대해 "소수만이 그 진정성에 관해 의문을 가져왔다"라고 진술하여 오직 소수의 학자들에 의해서만 예수의 존재에 대한 의문이 논점이 되었다고 기술했다. 바트 D. 어만은 예수의 존재와 그에게 집행된 로마에 의한 십자가형에 관해 요세푸스와 타키투스를 포함한 다양한 자료에 의해 입증된다고 서술한다.[203]

유대, 갈릴리 및 예수 시대의 주변 지역


예수의 역사적 인물로서의 존재 여부는 그의 신성과 인성이나 그의 존재가 사람인지 또는 신인지의 신학적 문제와는 별개의 문제이다. 급진적 무신론자인 리처드 도킨스는 특별히 예수의 존재 여부를 초자연적인 힘이 그에게서 나오는지, 또는 기독교 복음이 정확한지는 별개의 문제로 구분하고 있다. 도킨스는 비록 그의 견해가 복음의 문제에 관해 신뢰하지는 않지만, 예수의 존재 여부에 대해 부인하지는 않는다. 또한 비평가인 조지 알버트 웰스 역시 예수가 역사적으로 존재한 적 없는 인물이라 주장했지만, 이후에 그는 견해를 바꾸어 예수의 역사적 실존을 더 이상 부정하지 않았다.[203]

역사적으로 기독교를 부정하는 사람들에 의해서도 예수의 존재 여부는 전혀 논점이 아니었고 그의 존재 자체가 부정되어 온 적은 없었다. 초창기 기독교인들 사이에 단성설, 가현설, 네스토리우스파와 같은 예수의 본질에 대한 신학적 관점의 차이는 존재해 왔지만, 그것은 기독교 교리에 관한 논쟁이지 예수의 존재에 관한 것은 아니었다. 아주 소수의 현대 학자들이 예수가 존재한 적 없는 인물이라 주장하기는 하지만 그 견해는 뚜렷히 비주류이고, 대부분의 학자들은 예수의 존재를 기독교가 만들어냈다는 주장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203]

타키투스 ''연대기''


거의 모든 역사가들(현대 및 역사적)은 예수께서 실존했던 인물이라는 데 동의한다. 학자들은 예수의 삶의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 제한적인 합의에 도달했다.[223]

16세기 필사본에 묘사된 그리스도의 부활


예수의 죽음 이후, 그의 추종자들은 그가 생명을 되찾았다고 말했지만, 그들의 경험에 대한 정확한 세부 사항은 불분명하다. 복음서의 보고는 서로 모순되며, 이는 의도적인 사기보다는 그를 처음 보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사이의 경쟁을 시사할 수 있다. 반면에, L. 마이클 화이트는 복음서의 불일치가 익명의 저자들의 서로 다른 의도를 반영한다고 제안한다.[223] 예수의 추종자들은 그의 재림과 그의 왕국의 건설을 기다리기 위해 공동체를 형성했다.

그리스도 신화론은 나사렛 예수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가설이다. 또는 존재했다 하더라도, 기독교의 창시와 복음서의 내용과는 거의 관련이 없다는 가설이다. 예수의 탄생 이야기와 다른 주요 사건들은 너무나 많은 신화적 요소를 가지고 있어서, 일부 학자들은 예수 자체가 신화였다고 주장해 왔다.

브루노 바우어 (1809–1882)는 최초의 복음서가 역사를 묘사하기보다는 역사를 만들어낸 문학 작품이라고 가르쳤다. 알베르트 칼트호프 (1850–1906)에 따르면, 사회 운동이 유대교의 메시아적 기대를 만나 예수를 만들어냈다. 아서 드루스 (1865–1935)는 예수를 기독교보다 앞선 신화의 구체적인 형태로 보았다.

역사적 예수의 존재에 의문을 제기하는 저자들이 제시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고대 학자들은 거의 모두 예수가 역사적 인물이었다는 것을 받아들이며, 그리스도 신화론을 비주류로 간주한다.[266][267][268][269][270][271][272]

7. 관련 작품

8. 대중문화에서 비춰진 모습



현대 역사적 예수 연구는 학자들의 다양한 학문적 전통 때문에 역사적 인물에 대한 통일된 그림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247] 역사적 자료가 부족하여, 학자들은 예수의 삶의 기본적인 요소를 넘어서 역사적으로 타당하다고 여겨지는 예수의 초상을 구성하기가 일반적으로 어렵다.[248]

샌더스의 말처럼 예수는 "유대교 내의 갱신 운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현대 연구에서 이견이 있는 부분은 예수가 묵시론적이었는지 여부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가 세례 요한과 사도 바울과 같은 묵시론적 설교자였다고 결론짓는다. 반면, 버튼 맥과 존 도미닉 크로산과 같은 일부 북미 학자들은 묵시론적 설교자라기보다는, 차라리 견유학파 현자에 더 가까운, 비종말론적 예수를 옹호한다.

일부 학자들은 예수를 묵시론적 예언자, 카리스마적 치유자 또는 견유 철학자로 묘사하는 것 외에도, 그를 진정한 메시아 또는 평등주의적 사회 변화 예언자로 묘사한다. 그러나 초상에 묘사된 속성들은 때때로 겹치며, 일부 속성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진 학자들도 다른 속성에 대해서는 의견을 같이 하기도 한다.

18세기 이후로 학자들은 때때로 예수가 정치적 국가적 메시아였다고 주장했지만, 이 초상에 대한 증거는 미미하다. 마찬가지로, 예수가 열심당원이었다는 제안은 공관 복음 전통의 가장 초기 층위와 일치하지 않는다.

참조

[1] 논문 Handbook of Biblical Chronology https://archive.org/[...]
[2] 서적 Jesus Now and Then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3] 백과사전 Jesus at the Vanishing Point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2015-08-14
[4] 백과사전 Paul's understanding of the death of Jes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Jesus: An Historian's Review of the Gospels https://archive.org/[...] Scribner's
[6] 뉴스 So-Called 'Biblical Scholar' Says Jesus a Made-Up Myth https://www.thedaily[...] 2014-10-05
[7] 간행물 Historical Jesus. 'Prophet of the New Millennium' http://www.thegreatc[...] The Teaching Company
[8] 서적 Jesus, Skepticism & The Problem of History: Criteria and Context in the Study of Christian Origins Zondervan
[9] 논문 Life-of-Jesus Research and the Eclipse of Mythology https://theologicals[...]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Online http://www.internati[...] Wm. B. Eerdmans 2016-07-30
[11] 서적 The Oral Gospel Tradition Wm. B. Eerdmans
[12] 사전 anno Domini http://www.m-w.com/d[...] 2016-11-03
[13] 성경
[14] 서적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Baylor University Press
[15] 백과사전 Origin of the Name of Jesus Christ
[16] 서적 Philippians: Let Us Rejoice in Being Conformed to Christ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5-08-14
[17] 성경
[18] 성경
[19] 성경
[20] 서적 The Book of the Acts Wm. B. Eerdmans Publishing
[21] 성경
[22] 성경
[23] 성경
[24] 성경
[25] 서적 Introducing the New Testament https://archive.org/[...] Baker Academic
[26] 서적 Exploring the Origins of the Bible Baker Academic
[27] 서적 Can We Trust the Gospels?: Investigating the Reliability of Matthew, Mark, Luke, and John https://books.google[...] Crossway 2015-08-14
[2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Biblical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What is a Gospel? The Genre of the Canonical Gospels Fortress Press
[30] 서적 The Quest of the Historical Gospel: Mark, John and the Origins of the Gospel Genre Routledge
[31] 서적 What are the Gospels? A Comparison with Graeco-Roman Biography Eerdmans
[32] 서적 The Problem of the Markan Genre: The Gospel of Mark and the Jewish Novel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33] 서적 Jesus and Gospe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8-22
[3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Biblical Stud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8-22
[35] 사전 synoptic
[36] 서적 New Testament Theology Gracewing
[37] 서적 A Guide to the Gospels Kregel Publications
[38] 백과사전 Synoptic Gospels Definition & Facts topic/Synoptic-Gospe[...]
[39] 서적 The Gospel of John https://archive.org/[...] Liturgical Press
[40] 서적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5-08-14
[41] 서적 The Thompson Chain-Reference Bible Kirk Bride Bible Company & Zondervan Bible Publishers
[42]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with the Apocrypha
[43]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with the Apocrypha
[44]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with the Apocrypha
[45] 서적 Christology: A Biblical, Historical, and Systematic Study of Jesus Ox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Interpreting Gospel Narratives: Scenes, People, and Theology B&H Publishing Group
[47] 서적 Matthew Baker Academic
[48] 성경 Matthew 1; Luke 2
[49] 성경 Matthew 1:1–16
[50] 성경 Luke 3:23–38
[51]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Matthew: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Eerdmans 2018-10-15
[52] 서적 Jesus and the Gospels https://books.google[...] Clark International 2015-08-14
[53] 서적 A Dictionary of biblical tradition in Engl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20-10-08
[54] 서적 Who's Who in the New Testament Taylor & Francis
[55] 학술지 Luke and Jesus' Conception: A Case of Double Paternity? https://www.jstor.or[...] 2018-07-21
[56] 웹사이트 Lincoln, Andrew T., "Conceiving Jesus: re-examining Jesus' conception in canon, Christology, and creed", Th Severn Forum, 5 March 2015, p. 4 http://www.thesevern[...] 2019-07-02
[57] 문서 Carmen 18
[58] 성경 Matthew 1:19–20
[59] 서적 Matthew https://books.google[...] Baker Academic 2020-10-08
[60] 서적 The Gospel of Matthew https://books.google[...] Wm.B. Eerdmans Publishing 2015-08-14
[61] 성경 Luke 2:1–7
[62] 성경 Luke 2:8–20
[63] 성경 Luke 2:21
[64] 서적 Saint Joseph: His Life and His Role in the Church Today Our Sunday Visitor Publishing
[65] 서적 Saint Joseph: His Life, His Virtues, His Privileges, His Power Aeterna Press 2021-06-07
[66] 서적 Zealot: The Life and Times of Jesus of Nazareth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67] 서적 Who's Who in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3-31
[68] 성경 Luke 1:5, 36
[69] 문서 Patrologia Graeca 97.1325
[70] 문서 Patrologia Graeca 120.189
[71]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Patrologia Graeca
[72] 성경
[73] 성경
[74] 성경
[75] 성경
[76] 서적 An In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The Seventh Edition of Liddell and Scott's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77] 백과사전 Context, family and form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8-14
[78] 성경
[79] 성경
[80] 서적 Life of Christ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5-08-14
[81] 성경
[82] 성경
[83] 서적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 Wm. B. Eerdmans Publishing
[84] 성경
[85] 성경
[86] 성경
[87] 성경
[88] 성경
[89] 성경
[90] 성경
[91] 성경
[92] 성경
[93] 성경
[94] 성경
[95] 성경
[96] 서적 The Sermon on the mount: a theological investigation Baylor University Press
[97] 백과사전 Transfiguration, The https://books.google[...] Funk & Wagnalls Company 2015-08-14
[9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Gospel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11-23
[99] 위키소스 John 10:40–42
[100] 위키소스 Matthew 4:18–22, Mark 1:16–20
[101] 위키소스 Luke 6:17
[102] 백과사전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15-08-14
[103] 성경
[104] 성경
[105] 성경
[106] 성경 Mark 1:15 wikisource:Bible (Am[...]
[107] 성경 Luke 17:21
[108] 성경 Mark 10:13–27
[109] 백과사전 Jesus Christ Britannica
[110] 성경 Matthew 22:37–39 wikisource:Bible (Am[...]
[111] 성경 Sermon on the Mount
[112] 서적 Kingdom Ethics: Following Jesus in Contemporary Context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5-08-14
[113] 서적 The missions of Jesus and the disciples according to the Fourth Gospel Wm. B. Eerdmans Publishing
[114] 서적 The emergence of Christian theolog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5] 서적 The parables of Jesus: lessons in life from the Master Teacher Kregel Publications
[116] 서적 The Sermons of Jesus the Messiah WindRiver Publishing
[117] 서적 The Parables of Jesus https://archive.org/[...] Daniels and Smith Publishers
[118] 서적 The parables of our Lord? https://archive.org/[...] William Macintosh Publishers
[119] 서적 Interpreting the Parables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5-08-14
[120] 성경 Luke 15:11–32 wikisource:Bible (Am[...]
[121] 성경 Mark 4:26–29 wikisource:Bible (Am[...]
[122] 웹사이트 The Parables https://www.pbs.org/[...] BBC 2013-06-03
[123] 성경 Matthew 13:10–17 wikisource:Bible (Am[...]
[124] 서적 The Historical Jesus: An Essential Guide https://books.google[...] Abingdon Press 2017-03-29
[125] 웹사이트 What the Bible Says About Death, Afterlife, and the Future https://web.archive.[...] UNCC 2013-03-22
[126] 서적 The Bible and the Future https://books.google[...] Eerdmans Publishing 2020-10-08
[127] 성경 Luke 11:20 wikisource:Bible (Am[...]
[128] 서적 Zondervan King James Version Commentary: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5-08-14
[129] 서적 Introducing the New Testament: Its Literature and Theology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Publishing
[130] 서적 The Miracles Of Jesus https://books.google[...] Brill 2015-08-14
[131] 서적 The words and works of Jesus Christ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5-08-14
[132] 서적 All the Miracles of the Bible Zondervan
[133] 서적 The Christology of Mark's Gospel https://archive.org/[...] Fortress Press
[134] 서적 The Collegeville Bible Commentary: New Testament Liturgical Press
[135] 서적 Who do you say that I am? Essays on Christolog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36] 서적 One teacher: Jesus' teaching role in Matthew's gospel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20-10-08
[137] 성경 Matthew 16:21, Mark 8:31, and Luke 9:22
[138] 성경 Matthew 17:1–9, Mark 9:2–8, and Luke 9:28–36
[139] 서적 The Content and the Setting of the Gospel Tradition Wm. B. Eerdmans Publishing
[140] 성경 Matthew 17:1–9 wikisource:Bible (Am[...]
[141] 성경 Zechariah 9:9
[142]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with the Apocrypha
[143] 성경 Psalms 118:25–26
[144] 성경 Mark 13:1–23
[145] 성경 Mark 13:24–27
[146] 성경 Mark 13:28–32
[147] 성경 John 2:13–16
[148] 웹사이트 All the Apostles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7-07-11
[149] 서적 The Synoptic Gospels and the Book of Acts HardPress
[150] 성경 John 7:1–10:42
[151] 성경 John 11
[152] 성경 1 Corinthians 11:23–26
[153] 웹사이트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5-08-14
[154] 성경 Luke 22:19–20
[155] 백과사전 The Blessed Eucharist as a Sacrament
[156] 서적 Peter: apostle for the whole church Fortress Press
[157]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Matthew, Volume 1 Charles Scribner Co
[158] 성경 Luke 22:33, John 22:34
[159] 성경 Matthew 26:31–34, Mark 14:27–30
[160] 서적 Joh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61]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Wm. B. Eerdmans Publishing
[162] 웹사이트 John (Understanding the Bible Commentary Series) https://books.google[...] Baker Books 2017-09-07
[163] 서적 Antiquities
[164]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J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5-08-14
[165] 서적 Holman Concise Bible Dictionary B&H Publishing Group
[166] 서적 Luke's presentation of Jesus: a christology Editrice Pontificio Istituto Biblico
[167] 문서 예수의 왕칭에 대한 복음서 기록 비교
[168] 서적 The Names of Jesus Twenty-Third Publications
[169] 서적 John Kregel Academic
[170] 성경 Matthew 27:20
[171] 성경 John 19:19–20
[172] 서적 The Passion of Jesus in the Gospel of Matthew Liturgical Press
[173] 성경 Luke 23:43
[174] 성경 John 19:26–27
[175] 웹사이트 The Resurrection https://books.google[...] Penguin 2023-03-30
[176] 성경구절
[177] 성경구절
[178] 성경구절
[179] 성경구절
[180] 성경구절
[181] 성경구절
[182] 성경구절
[183] 성경구절
[184] 성경구절
[185] 성경구절
[186] 성경구절
[187] 성경구절
[188]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20-10-08
[189] 위키소스 Acts 9:5 wikisource:Bible (Am[...]
[190]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s Liturgical Press
[191] 백과사전 Apocalypse
[19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roselyte http://www.newadvent[...] 2017-06-10
[193] 서적 Early Christianity and Greek Paide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02-26
[194] 성경구절
[195]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96] 서적 From the Maccabees to the Mishnah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7] 서적 How to Read the Bible for All Its Worth: Fourth Edition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8-05-01
[198] 서적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5-01
[199] harvard 참고문헌
[200] 서적 Jesus Research Wm. B. Eerdmans Publishing
[201] 서적 Jesus in Contemporary Scholarship https://archive.org/[...] Continuum
[202] 서적 John, Jesus, and History, Volume 1: Critical Appraisals of Critical Views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 2015-08-14
[203] 서적 Jesus and the politics of Roman Palestin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04]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12-16
[20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Volume 2: The Hellenistic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6] 서적 John, Jesus,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5-08-14
[207] 서적 John, Jesus,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15-08-14
[208] 서적 Jesus of Nazareth: An Independent Historian's Account of His Life and Teaching https://books.google[...] A&C Black 2021-05-18
[209] 서적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5-01
[210] 백과사전 Sources and meth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1] 서적 Josephus, the essential works: a condensation of Jewish antiquities and The Jewish war https://books.google[...] Kregel Academic 2015-08-14
[212] 서적 Jesus and His Contemporaries: Comparative Studies https://books.google[...] Brill 2015-08-14
[213] 서적 What are they saying about the historical Jesus? Paulist Press
[214] 백과사전 Archived cop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5-08-14
[215] 서적 The Nativity: History and Legen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2016-01-25
[216] 서적 https://archive.org/[...]
[217] 웹사이트 Book XV https://en.wikisourc[...] 2023-07-24
[218] 백과사전 Josephus on John the Baptis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01-25
[219] 서적 Herodias: at home in that fox's den Liturgical Press
[220] 서적 The gospel of Luk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Serie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20-10-08
[221] 서적 Jesus & the Rise of Early Christianity: A History of New Testament Times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6-01-25
[222] 학술지 Newton's Date for the Crucifixion http://www.johnpratt[...] 2013-05-17
[223] 서적 Scripting Jesus: The Gospels in Rewrite HarperOne
[224] 서적 The acts of Jesus: the search for the authentic deeds of Jesus HarperSanFrancisco
[225]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Wm. B. Eerdmans Publishing 1979
[226] 서적 Matthew 1-13 Paternoster 1993
[227] 서적 Christian Theology https://books.google[...] Baker Publishing 2016-07-04
[228] 서적 Christmas – Philosophy for Everyone: Better Than a Lump of Coal https://books.google[...] Wiley 2016-07-04
[229] 서적 Matthew a Commentary: The Christbook, Matthew 1–12, Volume 1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6-07-04
[230] 서적 The Meaning of Jesus: Two Visions HarperOne
[231] 서적 Holy Terror: Jesus in the Infancy Gospel of Thoma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1-05-17
[232] 서적 Mary and the Fathers of the Church: The Blessed Virgin Mary in Patristic Thought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2021-05-17
[233] 웹사이트 History, scepticism, and the question of the virgin birth (N. T. Wright) https://www.abc.net.[...] 2021-12-21
[234] 서적 Matthew: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235] 서적 Jesus and the Gospels
[236] 서적 The Birth of the Messiah: A Commentary on the Infancy Narratives in Matthew and Luke
[237] 서적 Dictionary of Jesus and the Gospels
[238] 서적 The acts of Jesus: the search for the authentic deeds of Jesus HarperSanFrancisco
[239] 서적 John the Baptist: Prophet of Purity for a New Age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15-08-14
[240] 백과사전 The Spirit-Filled Experience of Jesus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2015-08-14
[241] 성경 Luke 6:29
[242] 성경 Matthew 19:28, Luke 22:30
[243] 성경 Mark 13:24–27, Matthew 24:29–31, and Luke 21:25–28
[244] 웹사이트 Judas and the Messianic Secret http://ehrmanblog.or[...] 2016-02-15
[245] 웹사이트 Jesus' Claim to be the Messiah http://ehrmanblog.or[...] 2016-02-15
[246] 웹사이트 Jesus of Nazareth http://www.jewishenc[...]
[24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8-14
[248] 백과사전 Why Study the Historical Jesus? https://books.google[...] Brill 2015-08-14
[249] 학술지 Which language did Jesus speak https://www.escholar[...] 2011-07-27
[250] 서적 Handbook to exegesis of the New Testament https://archive.org/[...] Brill
[251] 백과사전 Aramaic https://archive.org/[...] William B. Eerdmans
[252] 백과사전 Aramaic language
[253] 서적 Handbook to exegesis of the New Testament Brill
[254] 서적 Jesus in history and myth Prometheus Books
[255] 서적 The Interpretation of Scripture in Early Judaism and Christianity: Studies in Language and Tradition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0-06-01
[256] 학술지 Jesus the Israelite Was Neither a 'Jew' nor a 'Christian': On Correcting Misleading Nomenclature
[257] 서적 The Gospel of Mathew https://books.google[...] Eerdmans Publishing
[258] 서적 The Jewish Annotated New Testamen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59] 학술지 The Meaning of ''Ioudaios'' and its Relationship to Other Group Labels in Ancient 'Judaism' 2010
[260] 학술지 Jews, Judaeans, Judaizing, Judaism: Problems of Categorization in Ancient History http://www.stevemaso[...] 2007
[261] 백과사전 Jesus in Christian art John Wiley & Sons
[262] 서적 The likeness of the king: a prehistory of portraiture in late medieval Fra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63] 서적 The forging of races: race and scripture in the Protestant Atlantic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4] 서적 What did Jesus look like? https://www.bloomsbu[...] Bloomsbury Publishing Plc 2020-05-20
[265] 웹사이트 What Did Jesus Wear? https://getpocket.co[...] Mozilla 2020-05-20
[266] 문서
[267] 학술지 On Richard Carrier's Doubts: A Response to Richard Carrier's On the Historicity of Jesus: Why We Might Have Reason for Doubt
[268] 서적 Sacrifice and Redemp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12-03
[269] 서적 Jesus Now and Then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270] 서적 Jesus Rigel Publications 2004
[271] 서적 The Gospels and Jesu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89
[272]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Evidenc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0-04-13
[273]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es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11-08
[274] 서적 The Historical Christ and the Jesus of Faith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75] 서적 Jesu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76] 뉴스 Who's the most significant historical figure? https://www.theguard[...] 2023-08-10
[277] 서적 Jewish believers in Jesus: the early centuries https://archive.org/[...] Hendrickson Publishers
[278] 서적 The Origins of the Druze People and Religion: With Extracts from Their Sacred Writings Library of Alexandria
[279] 백과사전 The quest for the real Jes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8-14
[280] 서적 The historical Christ and the Jesus of faith Oxford University Press
[281]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Jesus John Wiley & Sons
[282] 서적 Catholic, Lutheran, Protestant: a doctrinal comparison Christian News
[283] 서적 The Orthodox Church: An Introduction to Its History, Doctrine John Wiley & Sons
[284] 서적 Basic Christian doctrin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85] 서적 New Testament Theology: Magnifying God in Christ https://books.google[...] Baker Academic 2015-08-14
[286] 문서 1 Corinthians 15:12–20 wikisource:Bible (Am[...]
[287] 백과사전 The Letter of Paul to the Corinthians
[288] 서적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89] 서적 The Christology of the New Testament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90] 서적 The Christology of Anselm of Canterbury Ashgate Publishing
[291] 서적 Systematic Theology Continuum
[292] 백과사전 Antitrinitarianism http://www.gameo.org[...] 2012-10-24
[293] 백과사전 Blessed Trinity
[294] 웹사이트 Mormonism 101: What is Mormonism http://www.mormonnew[...] LDS Church 2014-10-21
[295] 서적 Outlines of dogmatic theology Nabu Press
[296] 웹사이트 Jesus the Jew http://www.bbc.co.uk[...] BBC 2013-06-18
[297] 서적 Twenty-six reasons why Jews don't believe in Jesus https://books.google[...] Feldheim Publishers 2015-08-14
[298] 성경 Ezekiel 37:26–28
[299] 성경 Isaiah 43:5–6
[300] 성경 Isaiah 2:4
[301] 성경 Zechariah 14:9
[302] 웹사이트 Do Jews Believe In Jesus? Aish https://aish.com/why[...] 2009-05-09
[303] 웹사이트 Why Jews Do not Believe in Jesus http://www.aish.com/[...] Aish.com 2004-03-06
[304] 백과사전 Malachi, Book of http://www.jewishenc[...]
[305] 백과사전 Talmud http://www.jewishenc[...]
[306] 서적 A Dictionary of Jewish-Christian Rela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7] 뉴스 How Israeli Jews' Fear of Christianity Turned Into Hatred https://www.haaretz.[...]
[308] 서적 Heaven: The Mystery of Angels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309] 서적 Judaism and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10] 서적 The Manichean Debate https://books.google[...] New City Press
[311] 서적 Heralds of That Good Realm: Syro-Mesopotamian Gnosis and Jewish Traditions https://books.google[...] Brill
[312] 백과사전 Manichaeism Kessinger Publishing
[313] 서적 Mani's Pictures: The Didactic Images of the Manichaeans from Sasanian Mesopotamia to Uygur Central Asia and Tang-Ming China https://gnosis.study[...] Brill 2015
[314] 서적 Manichaeism in the Later Roman Empire and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J.C.B. Mohr 1992
[315] 웹사이트 Quran 3:46–158 http://www.usc.edu/o[...]
[316] 서적 Christians, Muslims, and Jesu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317]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8-14
[318] 백과사전 Quests for the historical Jes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8-14
[319] 영상매체 The Muslim Jesus ITV Productions 2007-08-19
[320] 웹사이트 Jesus, Son of Mary http://www.oxfordisl[...]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2013-07-03
[321] 서적 Militant Islamist Ideology: Understanding the Global Threat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2015-08-14
[322] 웹사이트 Surah Al-Kahf - 4-5 https://quran.com/en[...] 2024-12-19
[323] 서적 Is the Father of Jesus the God of Muhammad?: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5-08-14
[324] 서적 Islam: A Guide for Jews and Christian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5] 서적 Christianity, Islam, and the W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5-08-14
[326] 서적 Ishmael My Brother: A Christian Introduction To Islam https://books.google[...] Monarch Books 2015-08-14
[327] 서적 Essential Islam: A Comprehensive Guide to Belief and Practice https://archive.org/[...] ABC-CLIO
[328] 서적 Comparative Religious Ethics: A Narrative Approach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329] 웹사이트 The Quranic Arabic Corpus – Translation http://corpus.quran.[...] Corpus.quran.com 2016-05-20
[330] 문서
[331] 문서
[332] 문서
[333] 서적 The Muslim Jesus: Sayings and Stories in Islamic Literature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334] 문서
[335]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8-14
[336] 서적 Systematic Theology, Volume 2, Second Edition: Biblical, Historical, and Evangelical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9-12-05
[337] 백과사전 The Nicene Creed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338] 학술지 Taqiyya and Identity in a South Asian Community https://www.academia[...]
[339] 문서
[340] 문서
[341] 서적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Michigan University Press
[342] 서적 The Druse, a Religious Community in Transition Turtledove
[343] 서적 The Druze Yale University Press
[344] 서적 The A to Z of the Druzes Rowman & Littlefield
[345] 서적 The A to Z of the Druzes Rowman & Littlefield
[346] 웹사이트 Who is Christ to Baha'is? https://bahaiteachin[...] 2014-06-13
[347] 서적 Baha'i Faith https://archive.org/[...] Chelsea House Publishers
[348] 서적 The Baha'i faith: its history and teachings https://archive.org/[...] William Carey Library
[349] 학술지 Jesus Christ in the Baháʼí Writings http://bahai-library[...] 2010-07-04
[350] 학술지 The Concept of Manifestation in the Bahaʼi Writings http://bahai-library[...] 2012-07-04
[35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Baha'i Fait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2] 서적 The A to Z of the Baháʼí Faith https://archive.org/[...] Scarecrow Press
[353] 서적 Bahaʼi https://archive.org/[...] Bethany House
[354] 서적 The Baha'i Faith in America https://archive.org/[...] Praeger
[355] 서적 In the Glory of the Father: The Baháʼí Faith an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Baháʼí Publishing Trust
[356] 학술지 Behold the Man: Baha'u'llah on the Life of Jesus
[357] 백과사전 peace https://archive.org/[...] Oneworld
[358]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8-14
[359] 서적 Lost Christianities: The Battles For Scripture And The Faiths We Never Kne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0-08
[360] 웹사이트 Jesus in Hinduism http://www.bbc.co.uk[...] BBC 2009-03-24
[361] 서적 Autobiography of a Yogi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2015-08-14
[362] 웹사이트 Hollywood's Idol http://www.christian[...] Christianity Today 2011-06-11
[363] 서적 What They Never Taught You in Sunday School: A Fresh Look at Following Jesus https://books.google[...] City Boy Enterprises
[364] 서적 New Age and neopagan religions in America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365] 서적 A Treatise on Cosmic Fire https://books.google[...] Lucis Publishing Company
[366] 서적 Charts of Cults, Sects and Religious Movements https://books.google[...] Zondervan
[367] 서적 Jesus Christ in Love https://books.google[...] Kohinoor Books
[368] 서적 The Psychiatric Study of Jesus: Exposition and Criticism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369] 서적 The Psychic Health of Jesus https://archive.org/[...] The Macmillan Company
[370] 서적 The God Delusion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8-01-01
[371] 웹사이트 Dura-Europos: Excavating Antiquity {{!}} Yale University Art Gallery http://media.artgall[...]
[372] 백과사전 Early Christian and Jewish Art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373] 서적 Teaching Christianity: a world religions approach James Clarke & Co
[374] 서적 The New Westminster Dictionary of Church Histor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75]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8 volumes, 3rd edition https://books.google[...] Hendrickson Publishers 2006-07-01
[376] 문서 Synod of Elvira
[377] 서적 Reformation and the Visual Arts Routledge
[378] 서적 Light from the Christian East: An Introduction to the Orthodox Tradition InterVarsity Press
[379] 서적 The Dwelling of the Light: Praying with Icons of Christ Wm. B. Eerdmans Publishing
[380] 웹사이트 General audience 29 October 1997 https://www.vatican.[...] Vatican Publishing House
[381] 웹사이트 General audience 6 May 2009 https://www.vatican.[...] Vatican Publishing House
[382] 서적 The Orthodox Christian World Routledge
[383] 서적 The image of God the Father in Orthodox theology and iconography St Vladimir's Seminary Press
[384] 학술지 Material witness: Shrouded in mystery
[385] 서적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de Gruyter Press
[386] 서적 The Jewish War
[38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1: Origins to Constant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8] 서적 Relics of the Christ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389] 백과사전 Shroud of Turin
[390] 학술지 Material witness: Shrouded in mystery
[391] 백과사전 Holy Nails
[392] 뉴스 Shroud exposition closes with more than 2 million visits http://www.catholicn[...] 2010-05-24
[393] 웹사이트 Pope John Paul II's address in Turin Cathedral https://w2.vatican.v[...] Vatican Publishing House 1998-05-24
[394] 뉴스 Pope Benedict says Shroud of Turin authentic burial robe of Jesus http://www.csmonitor[...] 2010-05-03
[395] 웹사이트 耶蘇基督の特性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 2023-10-04
[396] 서적 基督教案内 耶蘇降生一千八百九十三年 メソヂスト出版舎
[397] 웹사이트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耶蘇・耶穌」の意味・読み・例文・類語 https://kotobank.jp/[...]
[398] 웹사이트 大山巌:明治6(1873)年12月25日の日記より https://www.ndl.go.j[...]
[399] 서적 聖書思想事典 三省堂
[400] 서적 キリスト教神学基本用語集 教文館
[401] 웹사이트 Іисусъ, Іисусъ Христосъ http://www.slavdict.[...]
[402] 웹사이트 Yahuah and Yahusha DENIED the Trinity http://boatrvgroup.c[...] 2020-12-07
[403] 웹사이트 John 1:18 No one has ever seen God, but the one and only Son, who is Himself God and is at the Father's side, has made Him known. https://biblehub.com[...] 2020-12-07
[404] 웹사이트 1 John 5:7 For there are three that testify: https://biblehub.com[...] 2020-12-07
[405] 웹사이트 Mark 12:29 Interlinear: and Jesus answered him -- 'The first of all the commands is, Hear, O Israel, the Lord is our God, the Lord is one; https://biblehub.com[...] 2020-12-07
[406] 웹사이트 Matthew 22:37 Interlinear: And Jesus said to him, 'Thou shalt love the Lord thy God with all thy heart, and with all thy soul, and with all thine understanding -- https://biblehub.com[...] 2020-12-07
[407] 웹사이트 Deuteronomy 6:4 Interlinear: Hear, O Israel, Jehovah our God is one Jehovah; https://biblehub.com[...] 2020-12-07
[408] 웹사이트 Deuteronomy 6:5 Interlinear: and thou hast loved Jehovah thy God with all thy heart, and with all thy soul, and with all thy might, https://biblehub.com[...] 2020-12-07
[409] 웹사이트 Psalm 110:1 Interlinear: A Psalm of David. The affirmation of Jehovah to my Lord: 'Sit at My right hand, Till I make thine enemies thy footstool.' https://biblehub.com[...] 2020-12-07
[410] 웹사이트 Origin of the Name of Jesus Christ http://www.newadvent[...]
[411] 웹사이트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https://kotobank.jp/[...]
[412] 웹사이트 油を注がれた者とは - コトバンク kotobank.jp/word/油を注[...] 2021-08-11
[413] 웹사이트 Origin of the Name of Jesus Christ http://www.newadvent[...]
[414] 서적 Theologie des neuen Testaments
[415] 웹사이트 Jesus Christ, Son of God, Incarnation http://oca.org/OCcha[...]
[416] 웹사이트 Christology http://www.newadvent[...]
[417] 웹사이트 英国聖公会の39箇条(聖公会大綱)一1563年制定一 http://www5.ocn.ne.j[...]
[418] 웹사이트 Christ Jesus http://cyclopedia.lc[...]
[419] 웹사이트 ウェストミンスター信仰基準 http://www.ogaki-ch.[...]
[420] 웹사이트 Of God and of the Holy Trinity, Of Christ the Mediator http://www.ccel.org/[...]
[421] 서적 キリスト教神学基本用語集 教文館 2010-11
[422] 성경 ヨハネ書3:16~18
[423] 웹사이트 Theological Outlines • by • Francis J. Hall http://disseminary.o[...]
[424] 웹사이트 Jesus https://global.brita[...] 2020-05-04
[425] 성경 テサロニケの信徒への手紙一 1:9
[426] 성경 コリントの信徒への手紙一 15:4
[427]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2004
[428] 성경 マルコによる福音書 16:5
[429]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2004
[430]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2004
[431] 성경 マタイ福音書 28:9
[432] 성경 テサロニケの信徒への手紙一 3:13
[433] 성경 コリントの信徒への手紙一 15:27
[434] 성경 マタイ福音書 1:1
[435] 성경 使徒言行録 7:54
[436] 성경 テサロニケの信徒への手紙一 1:10
[437] 성경 コリントの信徒への手紙一 15:3
[438] 성경 コリントの信徒への手紙一 15:20
[439] 성경 マタイ福音書 1:18
[440] 성경 マタイ福音書 1:21
[441]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2004
[442]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2004
[443]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2004
[444] 성경 テサロニケの信徒への手紙一 4:15
[445]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2004
[446] 성경 コリントの信徒への手紙一 第15章
[447] 서적 新約聖書翻訳委員会 2004
[448] 성경 ヨハネ黙示録 12:10
[449] 웹사이트 3. なぜ12月25日にイエスの誕生を祝うのですか。 https://opusdei.org/[...] 2020-09-23
[450] 서적 聖ヨハネ伝註解 聖公会出版社 1919
[451] 서적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02
[452] 서적 聖書思想事典 三省堂 1987-10-20
[453] 서적 正教要理 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教団 1980
[454] 웹사이트 イエスが父と呼んだ神 第三回 ナザレのイエスへのアプローチ https://web.archive.[...]
[455] 성경 マタイ 8:20、マタイ 9:6
[456] 성경 마태 24:30
[457] 성경 마르코 13:26
[458] 서적 A Marginal Jew: The roots of the problem and the person Yale University Press
[459] 서적 Handbook of Biblical Chronology, rev. ed. Hendrickson Publishers
[460] 서적 The birth of the Messiah: a commentary on the infancy narratives in Matthew and Luke https://archive.org/[...] Doubleday
[461] 저널 The Jewish Calendar, a Lunar Eclipse and the Date of Christ's Crucifixion https://web.archive.[...] 2015-05-24
[462] 서적 Jesus the Jew: A Historian's Reading of the Gospels First Fortress
[463] 서적 How Jesus became God: The Exaltation of a Jewish Preacher from Galilee https://archive.org/[...] HarperOne
[464] 서적 Forged: writing in the name of God – Why the Bible's Authors Are Not Who We Think They Are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465] 서적 Jesus Now and Then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Publishing
[466] 강의록 Historical Jesus. 'Prophet of the New Millennium.' The Teaching Company
[467]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Online https://web.archive.[...]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16-07-30
[468] 서적 The Oral Gospel Tradition Wm. B. Eerdmans Publishing
[469] 백과사전 anno Domini http://www.m-w.com/d[...] Merriam-Webster 2016-11-03
[470] 문서 또는 침례
[471] 서적 The Oral Gospel Tradition Wm. B. Eerdmans Publishing
[472]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Online http://www.internat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473] 서적 The Historical Jesus: An Essential Guide https://books.google[...] 2008
[474] 백과사전 The Nicene Creed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475] 웹사이트 Quran 3:46–158 https://web.archive.[...]
[476]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477] 서적 Christians, Muslims, and Jesu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478] 서적 Essential Islam: A Comprehensive Guide to Belief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ABC-CLIO
[479] 웹사이트 Jesus of Nazareth http://www.jewishenc[...]
[480] 서적 오스만 제국 시대의 무슬림-기독교인 관계 민음사
[481] 문서 정확하게는 히브리어를 아람어식으로 발음했고, 이를 그리스어로 옮겼다.
[482] 백과사전 Jesus Christ
[483] 성경 고린도전서 11:23–26
[484]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5-08-14
[485] 성경 사도행전 10:37-38과 19:4
[486] 서적 The Book of the Acts Wm. B. Eerdmans Publishing
[487] 성경 디모데전서 3:16
[488] 성경 고전 7:10-11, 9:14, 11:23-25, 2:25, 고후 12:9
[489] 서적 Exploring the Origins of the Bible Baker Academic 2008
[490]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with the Apocrypha
[491] 서적 Can We Trust the Gospels?: Investigating the Reliability of Matthew, Mark, Luke, and John https://books.google[...] Crossway 2015-08-14
[49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Biblical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493] 서적 What is a Gospel? The Genre of the Canonical Gospels Fortress Press
[494] 서적 The Quest of the Historical Gospel: Mark, John and the Origins of the Gospel Genre Routledge
[495] 서적 What are the Gospels? A Comparison with Graeco-Roman Biography Eerdmans
[496] 서적 The Problem of the Markan Genre: The Gospel of Mark and the Jewish Novel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497] 서적 Jesus and Gospe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8-22
[49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Biblical Stud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8-22
[499] 서적 New Testament Theology Gracewing
[500] 서적 A Guide to the Gospels Kregel Publications
[501] 사전 Synoptic
[502] 백과사전 Synoptic Gospels Definition & Facts topic/Synoptic-Gospe[...]
[503] 서적 The Gospel of John https://archive.org/[...] Liturgical Press
[504] 서적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5-08-14
[505] 서적 The Thompson Chain-Reference Bible Kirk Bride Bible Company & Zondervan Bible Publishers
[506]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with the Apocrypha
[507]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with the Apocrypha
[508]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with the Apocrypha
[509] 서적 Christology: A Biblical, Historical, and Systematic Study of Jesu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10] 서적 복음서신학 컨콜디아
[511] 서적 Interpreting Gospel Narratives: Scenes, People, and Theology B&H Publishing Group
[512] 논문 공관복음의 기원 한세대학교
[513] 서적 Matthew https://archive.org/[...] Baker Academic
[514] 백과사전 뉴 샤프·헤르초크 종교학 백과사전 (The New Schaff-Herzog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515] 서적 라틴어 비문 전집
[516] 문서 요하네스 케플러의 초신성 추측
[517] 서적 어깨춤 아저씨가 들려주는 예수 동화 1 파랑새어린이
[518] 성경 요한복음 1:23, 29
[519] 성경 누가복음 3:22
[520] 문서 세례와 침례의 구분에 대한 논의
[521] 성경 마태복음 4장
[522] 서적 메시야 예수 아가페
[523] 서적 역사와 해석 대한기독교출판사
[524] 서적 주요 주제를 통해서 본 복음서들의 신학 한들출판사
[525] 문서 예수와 열두 사도들
[526] 문서 이방인들의 땅
[527] 문서 헬라어 레기온의 번역. 팍스 로마나의 유지를 위해 철저하게 훈련되어 살인마로 돌변할 수 있는 로마 제국의 군대를 뜻한다. 마르코 복음서에서 레기온을 인간의 정신을 파괴하고 돼지들과 어울리다가 몰락할 자들이라고 비판한 것은 로마제국의 폭력에 대한 민중들의 분노를 상징적으로 말해준다.
[528] 성경 마태 20:17-19, 루가 18:31, 마르 10:32
[529] 서적 우리가 모르는 것들, 성경에는 있다. 홍성사
[530] 문서 기독교에서는 그리스도의 예루살렘 입성을 그리스도께서 평화의 왕으로써 예루살렘에 입성한 사건으로 해석하여, 성지주일(종려주일)을 지킨다.
[531] 성경 마태 26:26-28
[532] 문서 그래서 '바라빠'라는 이름의 흉악범이 언급되고 빌라도는 예수와 바라빠 중에 한명을 석방한다는 내용으로 흘러갔다. 여기서 민중들은 바라빠를 석방해야 한다고 발언하여 바라빠가 석방되고 예수는 십자가에 못박힌다고 되어 있다.
[533] 서적 예수의 사건
[534] 문서 하지만 예수와 같이 십자가형으로 죽은 자들의 죄목이 강도였는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실제로 가톨릭 작가인 엔도 슈사쿠는 《예수의 생애》에서 예수의 양옆에서 처형 당한 사형수들이 로마제국에 반대하는 정치범이었을 것으로 보았다.
[535] 성경 루가 복음서 23:34
[536] 성경 루가 복음서 23:43
[537] 성경 요한 복음서 19:26-27
[538] 성경 마태오 복음서 27:46
[539] 성경 요한 복음서 19:28
[540] 성경 요한 복음서 19:30
[541] 성경 루가 복음서 23:46
[542] 서적 한국 가톨릭 대사전 한국교회사연구소 1994~2003
[543] 서적 타르수스의 바오로 생활성서
[544] 서적 學園世界大百科事典 學園出版公社 1993
[545] 서적 미래에서 온 기독교 에클레시안
[546] 서적 대통령 예수, 손으로 읽는 신약성서, 예수와 제국 살림, 크리스천 다이제스트, 한국기독교연구소
[547] 서적 가이사와 그리스도 두란노 아카데미
[548] 서적 예수와 제국 한국기독교연구소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