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역정의는 공영달 등이 편찬한 서적으로, 당시까지의 주와 소에서 견해가 나뉜 부분을 취합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청나라 시대의 사고전서총목제요에서는 주역정의가 의리를 밝히고 술수를 엮지 않은 점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허무를 숭상하여 노장사상으로 점입가경한 점은 아쉬운 부분으로 언급했다. 또한 주역정의의 계사전 상(上) 중반부의 내용은 소동파의 동파역전과 그 위치가 다르다.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에서는 주역정의에 대해 "의리를 밝혀 분명히 하였고 (점)술수를 엮지 않게 한 바는 왕필과 한강백의 깊은 조예"라고 평가하면서도, "허무를 숭상하니 역(易)이 노장사상으로 점입가경한 바는 왕필이 한강백과 더불어 역시 허물이 아닐 수 없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아름다운 옥의 티가 (옥을) 가리지는 못한다"라고도 언급하였다.[2]
소동파의 동파역전과 비교했을 때, 주역정의의 계사전 상(上) 중반부에 있는 '天一,地二,天三,地四,天五,地六,天七,地八,天九,地十.'와 '天數五,地數五,五位相得而各有合. 天數二十有五,地數三十,凡天地之數五十有五,此所以成變化而行鬼神也.' 부분은 그 위치가 서로 다르다.[4]
2. 평가
공영달 등은 주역정의를 완성하면서 당시까지의 주(注)와 소(疏)에서 견해가 나뉜 바를 취합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3]
2. 1. 사고전서총목제요의 평가
청나라 시대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에서는 '균형 있게 논하자면, 의리를 밝혀 분명히 하였고 (점)술수를 엮지 않게 한 바는 왕필과 한강백의 (역학에 대한) 깊은 조예가 있음이다. 다만 허무를 숭상하니 역(易)이 노장사상으로 점입가경한 바는 왕필이 한강백과 더불어 역시 허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아름다운 옥의 티가 (옥을) 가리지는 못한다. 이것이 그 바른 평일 것이다.'라고 언급하였다.[2]
2. 2. 공영달 등의 주역정의 편찬 방식
공영달 등은 주역정의를 편찬하면서 당시까지의 주(注)와 소(疏)에서 견해가 나뉜 바를 취합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것으로 여겨진다.[3]
3. 계사전의 차이점
3. 1. 계사전 상(上) 중반부 내용 비교
소동파의 동파역전과 비교했을 때, 주역정의의 계사전 상(上) 중반부에 있는 '天一,地二,天三,地四,天五,地六,天七,地八,天九,地十.'와 '天數五,地數五,五位相得而各有合. 天數二十有五,地數三十,凡天地之數五十有五,此所以成變化而行鬼神也.' 부분은 그 위치가 서로 다르다.[4]
참조
[1]
문헌
周易正義
三国
[2]
서적
四庫全書總目提要
[3]
서적
四庫全書總目提要
[4]
서적
東坡易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