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자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자파는 1965년 중국 공산당 문헌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로, 마오쩌둥이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자본주의 노선을 추구하는 당원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 이 용어는 1956년 헝가리 혁명과 중소 분쟁, 백화 제방 운동 등을 거치면서 마오쩌둥의 사상을 반영하며 발전했다. 마오쩌둥은 덩샤오핑을 자본주의 노선을 걷는 인물로 비판하며, 4개 현대화 정책에 반대하는 덩샤오핑 비판 운동을 전개했다. 마오쩌둥 사후에도 이 용어는 학술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냉전사 - 중소 국경 분쟁
    중소 국경 분쟁은 19세기 불평등 조약으로 시작되어 1969년 군사적 충돌로 심화되었고, 1990년대 외교적 노력을 통해 국경 문제를 해결했으며, 국제 관계 재편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냉전사 - 개혁개방
    개혁개방은 1970년대 후반 덩샤오핑의 지도 하에 중국 공산당이 추진한 시장 개혁 정책으로, 농업 개혁, 외국인 투자 유치, 국영 기업 민영화 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소득 불평등, 환경 문제, 정치 개혁 부족 등의 사회적 문제도 발생했으며, 시진핑 집권 이후 국가 통제 강화와 경제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 - 홍군
    홍군은 1927년 중국 공산당이 조직한 군대로, 게릴라 전술로 국민당의 토벌 작전을 막으며 성장했으나 장정 이후 팔로군과 신4군으로 개편되어 항일 전쟁에 참여했고, 국공내전 후 중국 인민해방군으로 재편되었으며, 정치적·이념적 목표 달성의 핵심 요소로 활용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 - 중소 분쟁
    중소 분쟁은 1858년과 1860년 조약에서 비롯된 중국과 소련 간의 이념, 지정학, 경제적 갈등으로, 소련의 탈스탈린화, 중국의 대약진 운동 실패, 타이완 해협 위기, 인도와의 국경 분쟁에 대한 소련의 중립 등으로 심화되었으며, 이념적 차이와 경제적 이해관계 충돌은 국경 분쟁과 외교적 단절, 제3세계 대리 전쟁으로 이어졌고, 중미 관계 개선 후 완화되었으나 소련 붕괴까지 이념적 대립이 지속되었다.
주자파

2. 역사

'주자파'(走資派) 또는 '자본주의 노선을 걷는 당권파'라는 용어는 중국 공산당(CCP) 내에서 특정 세력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용어가 공식 문헌에 처음 등장한 것은 1965년이지만, 그 개념적 뿌리는 1956년 헝가리 혁명과 이에 대한 마오쩌둥의 분석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 마오쩌둥은 헝가리 사태를 보며 당 지도부가 인민과 유리되고 수정주의 노선을 걸으면 자본주의로 회귀할 수 있다고 경계했으며, 이는 이후 중소 분쟁의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1956년 백화 제방 운동 당시, CCP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자 당내에서는 비판 세력을 '자본주의 노선'으로 규정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특히 류빈옌과 같은 인물들은 당내 비판자들을 공격하며 이러한 용어를 사용했다.

이후 문화 대혁명 시기에 마오쩌둥은 '자본주의 노선을 따르는 자들', 즉 주자파와의 투쟁을 본격화했다.[3] 그는 주자파를 "야심가, 음모가, 착취 계급의 위선자"라고 묘사하며 인민의 적으로 규정하고 대중에게 이들을 비판하고 타도할 것을 촉구했다.[3]

2. 1. 헝가리 혁명과 중소 분쟁

'주자파'라는 용어는 1965년 중국 공산당(CCP) 문헌에 처음 등장했지만, 마오주의 사상 내에서 이 개념의 뿌리는 1956년 헝가리 혁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 헝가리 혁명이 발생했을 때, 마오쩌둥동구권에 대한 "소련의 독재 통치"가 더 이상 헝가리 국민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부적절한 방식이라고 판단했다.[1] 마오쩌둥은 헝가리에 대한 소련의 영향력 행사와 군사 개입을 비판했으며, 이러한 입장은 이후 중소 분쟁의 한 원인이 되었다. 그는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이 지도부와 인민을 분리시켰고, 이로 인해 경제적 수정주의가 자본주의로 회귀하는 길을 열었다고 보았다.

마오쩌둥은 1956년 중국 공산당 정치국 회의에서 헝가리의 사례를 언급하며, 당내 권력 남용을 경계하고 당과 인민이 분리되지 않도록 내부 통제를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시기는 마오쩌둥이 지식인과 대중에게 CCP에 대한 비판을 허용한 백화 제방 운동 기간과 겹친다.[2] 그러나 이 운동 과정에서 나온 비판들은 오히려 마오쩌둥과 CCP 지도부를 향했고, CCP 간부 류빈옌은 당 비판자들을 적으로 규정하고, 당내 비판 세력을 당의 노선을 파괴하려는 '자본주의 노선'으로 몰아붙였다.

2. 2. 백화제방 운동과 반우파 투쟁

'주자파'(走資派) 또는 '자본주의 노선'(資本主義 路線)이라는 용어의 개념적 뿌리는 1956년 헝가리 혁명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 당시 마오쩌둥동구권에서 발생한 1956년 헝가리 혁명을 지켜보면서, 소련의 통치가 더 이상 헝가리 인민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평가했다.[1] 그는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지도부가 인민과 유리되어 경제적 수정주의를 용인함으로써 자본주의로의 회귀를 방조했다고 보았다. 이러한 마오쩌둥의 소련 및 동구권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이후 중소 분쟁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마오쩌둥은 1956년 중국 공산당 정치국 회의에서 헝가리의 사례를 교훈 삼아 당내 통제를 강화하고, 당과 인민 대중이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한 내부 기강 확립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 시기는 마오쩌둥이 지식인과 일반 대중에게 중국 공산당에 대한 자유로운 비판을 허용했던 백화 제방 운동 기간과 일치한다.[2] 그러나 예상과 달리 마오쩌둥 자신과 당 지도부에 대한 비판이 거세게 제기되자, 운동의 성격은 급변하게 된다. 당 간부였던 류빈옌과 같은 인물들은 중국 공산당을 비판하는 이들을 당의 적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당 내부에서 비판의 목소리를 내는 당원들을 당의 노선을 이탈하여 내부 기강을 해치는 '자본주의 노선' 추종자로 규정하며 공격했다. 이는 결국 백화 제방 운동이 당의 노선에 비판적인 세력을 색출하고 탄압하는 반우파 투쟁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2. 3. 문화 대혁명

문화 대혁명 동안 마오쩌둥은 자본주의 노선을 따르는 중국 공산당(CCP) 당원들, 즉 주자파에 대한 투쟁을 강화해야 한다고 선언했다.[3] 이는 '주자파'라는 용어가 1965년 CCP 문헌에 공식적으로 등장한 이후의 일이다. 마오쩌둥 사상에서 이 개념의 뿌리는 1956년 헝가리 혁명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마오쩌둥은 헝가리에서 소련의 영향력이 국민의 요구와 괴리되었으며,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지도부가 경제적 수정주의를 용인하여 자본주의로 회귀할 위험을 초래했다고 보았다.[1] 이러한 인식은 이후 중소 분쟁의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마오쩌둥은 헝가리의 사례를 교훈 삼아, 1956년 중국 공산당 정치국과의 회의에서 당내 권력 남용을 경계하고 당과 인민이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한 내부 통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같은 해 시작된 백화 제방 운동에서 CCP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자,[2] 당 간부인 류빈옌 등은 당내 비판 세력을 당의 노선을 이탈하여 내부를 파괴하려는 '자본주의 노선' 추종자로 규정하는 주장을 폈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 마오쩌둥은 이러한 '자본주의 노선'을 따르는 자들을 더욱 강력하게 비판했다. 그는 주자파를 "야심가, 음모가, 착취 계급의 위선자"라고 맹렬히 비난하며,[3] 대중에게 지역 CCP 당원 중 주자파로 의심되는 인물들에 대한 비판 운동을 조직하고 전개하도록 촉구했다.[3]

3. 덩샤오핑 비판

마오쩌둥은 평생 중국 공산당 당원이었던 덩샤오핑을 자본주의 노선을 걷는 인물로 간주하고 비판했다. 그는 소련이오시프 스탈린 사후 내부의 자본주의 노선자들에 의해 변질되었다고 보았으며,[4][5] 이러한 관점에서 덩샤오핑의 노선을 경계했다. 마오쩌둥의 이러한 비판은 덩샤오핑이 정치적으로 두 차례 실각하는 배경이 되었다.[6]

이후 덩샤오핑문화대혁명의 문제점을 시정하고 4개 현대화 정책을 추진하며 마오쩌둥 시대의 정책을 일부 수정했는데,[7][8] 마오쩌둥은 이를 '탈마오화'로 규정하고 비판했다. 특히 교육 정책 등에서의 노선 차이는 마오쩌둥이 덩샤오핑을 자본주의 노선자로 확신하는 근거가 되었다.[10] 결국 마오쩌둥은 ''반격 우경 역전 풍조'' 운동을 통해 덩샤오핑을 다시 비판하고 실각시켰다.[7] 이 과정에서 덩샤오핑은 "후회할 줄 모르는 자본주의 노선자"로 불리며[7] 당 기관지 등에서도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11]

3. 1. 4개 현대화와 탈마오화

마오쩌둥은 평생 중국 공산당 당원이었던 덩샤오핑을 자본주의 노선(자본주의를 추구하는 인물)을 걷는 인물로 보았다. 그는 소련이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후 소련 공산당 내부의 자본주의 노선자들에 의해 변질되었다고 주장했다.[4][5] 이러한 인식 속에서 마오쩌둥은 1966년 덩샤오핑과 류사오치를 공격했고, 이로 인해 덩샤오핑은 모든 직위에서 물러나게 되었다.[6]

그러나 1975년 중반, 건강 문제로 일선에서 물러난 마오쩌둥의 동의 하에 덩샤오핑은 다시 중국의 지도력을 부여받았다. 그는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바로잡기 위한 여러 개혁을 시작했다.[7] 이 개혁들은 교육, 인사, 경제, 과학 기술 등 마오쩌둥 시대에 수립된 정책들을 수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며, 이는 4개 현대화 정책으로 구체화되었고 이후 "탈마오화" 과정으로 불리게 되었다.[8][7] 특히 교육 분야에서 두 사람의 노선 차이는 뚜렷했다. 마오쩌둥은 교실 밖 현장에서의 실용적인 교육을 강조했지만,[9] 덩샤오핑은 교실 중심의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바꾸었다. 마오쩌둥은 이러한 덩샤오핑의 교육 정책 변화를 그가 자본주의 노선을 따르는 증거로 보았다.[10]

덩샤오핑의 개혁에 비판적이었던 대중적 정치인 저우언라이가 사망하자, 마오쩌둥은 덩샤오핑에 대한 기존 입장을 바꾸어 ''덩샤오핑 비판 운동''을 전개했다.[7] 결국 덩샤오핑은 1976년 두 번째로 숙청되었다. 이 운동은 문화대혁명의 연장선상에 있었으며, 덩샤오핑의 4개 현대화에 반발한 베이징 및 여러 도시의 학생들이 천안문 광장 등지에서 시위를 벌이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8] 당시 시위 포스터 중에는 "후회할 줄 모르는 자본주의 노선자인 덩샤오핑이 다시 길을 걷고 있다"는 내용도 있었다.[7] 덩샤오핑은 1970년대 내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기관지인 ''인민일보'' 등으로부터 혁명을 방해하려 한다는 비판에 직면해야 했다.[11]

3. 2. 반격 우경 역전 풍조

마오쩌둥은 평생 중국 공산당 당원이었던 덩샤오핑을 자본주의 노선을 추구하는 인물로 보았다. 그는 소련이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후 소련 공산당 내부의 자본주의 노선자들에 의해 붕괴되었다고 주장하며 경계심을 나타냈다.[4][5] 이러한 배경 속에서 마오쩌둥은 1966년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덩샤오핑과 류사오치를 다시 공격했고, 이로 인해 덩샤오핑은 모든 직위에서 물러나야 했다.[6]

1975년 중반, 건강 문제로 일선에서 물러난 마오쩌둥의 승인 아래 덩샤오핑은 다시 중국의 지도적 위치에 복귀했다. 그는 문화대혁명 시기의 문제점을 바로잡기 위한 여러 개혁을 시작했다.[7] 특히 교육, 인사, 경제, 과학 기술 분야에서 마오쩌둥 시대의 정책을 수정하는 4개 현대화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는 '탈마오화' 과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8][7] 마오쩌둥은 교실 밖에서의 실용적인 교육을 강조했지만,[9] 덩샤오핑은 교실 중심의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바꾸었다. 마오쩌둥은 이러한 교육 정책 변화를 덩샤오핑이 자본주의 노선자라는 증거로 삼았다.[10]

덩샤오핑의 개혁에 비판적 입장을 보이던 저우언라이가 사망하자, 마오쩌둥은 덩샤오핑에 대한 기존의 입장을 바꾸어 '반격 우경 역전 풍조' 운동을 전개했다.[7] 이 운동으로 인해 덩샤오핑은 1976년에 두 번째 실각을 당하게 된다. 이 운동은 문화대혁명의 연장선상에 있었으며, 덩샤오핑의 4개 현대화에 반발하는 학생들의 시위가 베이징의 천안문 광장을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벌어지도록 허용되었다.[8] 당시 시위 현장에는 "후회할 줄 모르는 자본주의 노선자인 덩샤오핑이 다시 길을 걷고 있다"는 내용의 비판 포스터가 등장하기도 했다.[7]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기관지인 ''인민일보'' 역시 1970년대에 덩샤오핑이 혁명을 방해하려 했다고 비판하는 기사를 실었다.[11]

4. 학술적 사용 및 영향

'자본주의 노선파'라는 용어는 마오쩌둥 사후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반자본주의적 학술 연구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인도의 언론인이자 활동가인 아루프 바이샤는 시장 사회주의로 경제 정책을 전환한 스탈린 사후의 소련 정치인들을 자본주의 노선파라고 묘사했다.[12] 경제학자 키스 그리핀은 카를 마르크스가 산업화 없는 마을 기반의 공산주의를 이해하면서 자본주의 노선파를 넘어섰다고 설명했다.[13]

참조

[1] 논문 China's Involvement in the Hungarian Revolution, October-November 1956 https://core.ac.uk/d[...] 2016
[2] 논문 The Secret Speeches of Chairman Mao https://brill.com/do[...] 1989
[3] 웹사이트 Our Strategy 1969-04
[4] 서적 Dictionary of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 서적 The State and Revolution in the Twentieth-Century: Major Social Transformations of Our Tim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6] 뉴스 China's first glimpse into the fall and rise of Deng Xiaoping https://www.csmonito[...] 2023-02-23
[7] 논문 A Photo Essay of a Failed Reform. Beida, Tiananmen Square and the Defeat of Deng Xiaoping in 1975-76 2016-03-01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2015
[9] 논문 Mao Zedong and Deng Xiaoping: A comparison of educational thought https://ojs.lib.uwo.[...] 1996
[10] 논문 Masters of the Nation. Representation of the industrial worker in films of 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 (1966-1976) 2015-06-01
[11] 웹사이트 China: the case against the 'capitalist roaders' https://doi.org/10.1[...] 1976-05-01
[12] 논문 'The Left in Decline': A Historical Perspective 2011
[13] 논문 Communism and Development. 1986-03
[14] 서적 Dictionary of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5] 서적 The State and Revolution in the Twentieth-Century: Major Social Transformations of Our Tim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