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대혁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대혁명은 1966년부터 1976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일어난 정치적 격변으로, 마오쩌둥의 주도로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 사회에 만연한 계급 투쟁을 통해 당내 반대 세력을 제거하고 마오쩌둥 사상을 강화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대약진 운동의 실패와 중소 분쟁으로 인한 권력 기반 약화, 류사오치, 덩샤오핑 등 실용주의 노선의 지도자들과의 갈등, 그리고 기존 사회 질서에 대한 불만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다. 문화대혁명은 홍위병을 동원하여 '4구'를 파괴하고 마오쩌둥 사상을 숭배하게 했으며, 이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박해를 받고 사망했다. 린뱌오의 몰락과 사인방의 대두와 몰락을 거치며, 마오쩌둥 사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종결되었다. 문화대혁명은 중국 사회의 전통 가치관을 파괴하고, 교육, 문화, 경제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피해를 입혔으며, 사망자 수는 자료에 따라 수십만에서 수천만에 달하는 등 인류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중국 - 홍위병
홍위병은 문화대혁명 시기 마오쩌둥의 지시로 조직된 학생 중심의 급진적 사회 운동 단체로, 사구파괴를 내세우며 반대파 숙청, 문화재 파괴, 지식인 탄압 등 극단적인 폭력 행위를 자행했지만, 인민해방군 투입과 하방 운동으로 해체되며 문화대혁명의 어두운 단면으로 평가된다. - 문화대혁명에 관한 - 루산 회의
루산 회의는 1959년 중국 공산당이 대약진 운동의 실패를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나 펑더화이의 비판을 계기로 마오쩌둥의 권력 강화와 반대파 숙청의 장으로 변질되어, 펑더화이 등 고위 간부들이 숙청되고 중국 공산당 내부 권력 다툼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문화대혁명에 관한 - 홍위병
홍위병은 문화대혁명 시기 마오쩌둥의 지시로 조직된 학생 중심의 급진적 사회 운동 단체로, 사구파괴를 내세우며 반대파 숙청, 문화재 파괴, 지식인 탄압 등 극단적인 폭력 행위를 자행했지만, 인민해방군 투입과 하방 운동으로 해체되며 문화대혁명의 어두운 단면으로 평가된다.
문화대혁명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무산계급 문화대혁명 |
다른 이름 | 문혁 |
기간 | 1966년 5월 16일 – 1976년 10월 6일 (10년 4개월 20일) |
위치 | 중국 |
사망자 수 | 수십만 명에서 수백만 명 (추정치 다양) |
주최자 |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
부상자 | 알려지지 않음 |
![]() | |
동기 | 자본주의 및 전통적 요소를 제거하여 공산주의 보존 마오쩌둥주의자와 실용주의자 간 권력 투쟁 |
결과 | 경제 활동 저해, 역사적, 문화적 자료 파괴 |
재산 피해 | 공자묘 천단 명나라 무덤 |
체포 | 장칭 장춘차오 야오원위안 왕훙원 |
로마자 표기 | Wénhuà dàgémìng |
간체 | 文化大革命 |
번체 | 文化大革命 |
병음 | Wénhuàdàgémìng |
통용 | 없음 |
주음부호 | ㄨㄣˊ ㄏㄨㄚˋ ㄉㄚˋ ㄍㄜˊ ㄇㄧㄥˋ |
가타카나 | 웨ンホアタークーミン |
일본어 | 분카다이카쿠메이 |
영어 | Cultural Revolution |
광둥어 로마자 | Man4 faa3 daai6 gaak3 ming6 |
타이완어 로마자 | Bûn-hoà tāi-kek-bēng |
푸젠어 로마자 | Ùng-huá dâi gáik-mêng |
하카어 로마자 | Vùn-fa thai-kiet-min |
중화인민공화국 역사 관련 정보 | |
![]() | |
관련 정보 | 중화인민공화국 역사 |
조직 집단 | 중국 공산당 당의 지도성 중국인민해방군 중국 무장 역량 |
주요 사건 | 건국 선언 티베트 침공 위구르 침공 한국 전쟁 중소 분쟁 대약진 운동(대기근) 중인 전쟁 첫 원자폭탄 실험 문화 대혁명 린뱌오 사건 알바니아 결의 중월 전쟁 중월 국경 분쟁 개혁개방 한 자녀 정책 톈안먼 사건 홍콩 반환 마카오 반환 선저우 5호 유인 우주 비행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상하이 엑스포 미중 무역 전쟁 2015년 중국 주식 시장 폭락 홍콩 민주화 시위 코로나19 유행 늑대 전사 외교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제로 코로나 정책 시진핑 비판 현수막 백지 혁명 선전 일본인 남아 살해 사건 |
이념 |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 이론 4대 기본 원칙 세 가지 대표 하나의 중국 과학적 발전관 남해구단선 일대일로 시진핑 사상 |
최고 지도자 | 마오쩌둥 화궈펑 덩샤오핑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 |
국가 대표 | 마오쩌둥 류사오치 리셴녠 양상쿤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 |
총리 | 저우언라이 화궈펑 자오쯔양 리펑 주룽지 원자바오 리커창 리창 |
통치 기구 | 중앙위원회 총서기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중앙정치국 중앙위원회 중앙서기처 중앙군사위원회 중앙기율검사위원회 |
국가 기구 | 전국인민대표대회 전인대 상무위원회 국가주석 국무원 국가군사위원회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국가감찰위원회 최고인민법원 최고인민검찰원 |
지역 | 중국 화베이 동북 화둥 화중 화난 서남 서북 홍콩 마카오 타이완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모택동 사상 관련 | |
이념 | 마오쩌둥 사상 |
기본 개념 | 마르크스-레닌주의 반수정주의 3개의 세계 이론 사회 제국주의 군중 노선 인민 전쟁 이론 문화 대혁명 신민주주의 농업 사회주의 정권은 총구에서 나온다 |
마오쩌둥주의자 | 마오쩌둥 천보다 아비마엘 구스만 이브라힘 케이파카야 린뱌오 차루 마주다르 피에르 믈레레 휴이 P. 뉴턴 프라찬다 장칭 호세 마리아 시손 야오원위안 장춘차오 |
국제 조직 |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기구 국제 회의 혁명적 국제주의 운동 |
정당 |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부탄 캐나다 콜롬비아 에콰도르 인도 이란 이탈리아 네팔 페루 필리핀 포르투갈 스리랑카 터키 미국 일본 |
논문/저작 | 실천론 모순론 모주석 어록 유격전론 지구전론 |
관련 항목 | 중국 공산당 문화 대혁명 낙살라이트 |
사건 사고 정보 | |
![]() | |
위치 | 중화인민공화국 |
2. 정치적 배경
대약진 운동의 실패 이후, 마오쩌둥은 국가 주석에서 물러났고 류사오치가 새로운 국가 주석이 되었다. 덩샤오핑은 당 총서기, 저우언라이는 총리직을 유지했다.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은 시장경제를 부분적으로 도입하는 실용적인 개혁을 추진했는데, 이는 마오쩌둥의 자급자족 경제관과 대립했다.[329] 류사오치는 인민공사를 해체하고 대약진 운동 이전으로 돌아가려 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마오쩌둥과 류사오치 사이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류사오치의 개혁은 성공적이었고, 대기근이 끝나면서 인민과 당 간부들 사이에서 높은 지지를 얻었다. 덩샤오핑과 류사오치는 마오쩌둥을 권력에서 밀어내고 자신들이 최고 실권자가 되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마오쩌둥은 권력 회복을 위해 1963년 "공산주의 교육 운동"을 시작했다. 이 운동은 풀뿌리 운동을 목표로 했고, 학생들은 훗날 홍위병으로 성장했다. 1963년, 마오쩌둥은 류사오치를 공개 비판하며 계급투쟁을 강조했다. 1964년 "사청운동(四淸運動)"으로 발전했는데, 이는 정치, 경제, 조직, 이념에서 불순한 것을 제거해야 한다는 운동으로, 류사오치를 직접 겨냥했다.
1966년 7월, 마오는 양쯔강을 헤엄쳐 건너 자신의 건재함을 과시한 뒤, 베이징으로 돌아와 당 지도부의 작업반 문제 처리를 비판했다. 마오는 작업반이 학생 운동을 방해한다고 비난하며 7월 24일 작업반 철수를 요구했다. 며칠 후 인민대회당에서 집회가 열려 이 결정을 발표하고, 당 지도자들은 대중에게 '두려워하지 말고' 당의 간섭 없이 운동을 주도하도록 격려했다.[3]
작업반 문제는 류사오치에게 결정적인 패배였으며, 문화대혁명 전개에 대한 의견 차이는 마오쩌둥과 당 지도부를 갈라놓았다. 8월 1일, 제8차 중앙위원회 제11차 전원회의에서 마오쩌둥의 급진적인 의제가 추진되었다. 마오는 회의에서 류사오치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3]
7월 28일, 홍위병 대표들은 마오쩌둥에게 혁명 수호를 위해 반란과 격변을 일으킬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썼다. 마오는 ''본부를 포격하라''라는 대자보를 써서 "반혁명의 지휘소"를 공격하라고 선동했다. 마오는 공산 혁명에도 "부르주아" 엘리트들이 권력 지위에서 여전히 번성하고 있다고 썼다.[9]
이 성명은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이 이끄는 당 체제에 대한 비난으로 해석되었다.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은 정치국 상무위원회 자리는 유지했지만, 당의 일상 업무에서는 배제되었다. 린뱌오는 중국 공산당의 2인자로 승진했고, 류사오치는 8위로 떨어져 더 이상 마오쩌둥의 후계자가 아니었다.[9]
최고 지도부의 실각과 함께 전국적인 당 관료 체제가 숙청되었다. 당 인사를 담당하던 조직부는 해체되었고, 선전부의 고위 관리들이 해임되었으며, 그 기능은 문화혁명그룹으로 이관되었다.[3]
2. 1. 중화인민공화국의 사상 정화 운동
1965년 11월 10일, 야오원위안은 상하이의 신문 『문휘보』에 「신편 역사극 ‘해뢰파관’을 평하는 글」을 발표하여, 경극 『해뢰파관』에 그려진 해뢰의 억울함 구제는 반혁명분자들의 명예회복을, 악덕 관료에게 몰수된 토지를 민중에게 반환하는 것은 농업 집단화·인민공사 부정을 의도한 것이라고 비판하며, 문단에서 문화대혁명의 발단이 되었다.[3] 마오쩌둥은 곧, 본래는 무관했던 펑더화이 해임과 해뢰의 파면을 강압적으로 연결시켜, 『해뢰파관』은 펑더화이 해임을 암암리에 비판한 극이라는 인식이 급속도로 형성되었다.1966년 5월 16일 당 중앙 정치국 확대회의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통지」(5·16 통지)를 통과시켰다. 이 통지는 『해뢰파관』을 옹호했다고 여겨진 펑전 등을 비판하고, 새롭게 천버다·캉생·장칭·장춘차오로 구성된 새로운 문화혁명소조를 만드는 것이었지만, 동시에 중앙과 지방의 대표자는 자산계급을 대표하는 인물이라고 하여 이들을 공격할 것을 지시했다. 같은 달, 베이징대학 구내에 베이징대학 철학과 강사이자 당 철학과 총지부 서기인 녜위언즈를 비롯한 10명을 필자로 하는 당 베이징대학 위원회의 지도부를 비판하는 내용의 벽보(대자보)가 게시되면서 문화대혁명이 시작되었다.
1966년 6월 1일 『인민일보』는 「횡사일절우귀사신」(모든 우귀사신을 섬멸하라)이라는 사설을 발표했다. 이 사설에서 「인민을 독하는 구사상·구문화·구풍속·구습관을 철저히 제거해야 한다」(이것을 「파사구」라고 부른다)고 주장했다. 이 사설을 반영하여 각지에 「우붕」(우사)이라고 불리는 사형 시설이 만들어졌다.
1966년 8월 제8기 11중 전회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의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에 관한 결정」(16개조)으로 문화대혁명의 정의가 공식적으로 명확해졌다.
문화대혁명에 대해 가장 분명하게 언급하고 있는 것은 1969년 4월 제9차 당 대회에서의 린뱌오의 정치 보고이다. 그 보고에는,
라고 쓰여 있으며, 린뱌오는 문화대혁명을 국내의 반동 세력에 대한 새로운 계급 투쟁으로 간주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반부는 1965년 저우언라이가 정치 보고에서 의견을 제시한 내용과 동일하며, 당시 마오쩌둥의 인식과 일치한다.
마오쩌둥은 대중 사이에서 절대적인 지지를 계속 받았지만, 1950년대의 인민공사 정책과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1960년대에는 지도부에서 실권을 잃었다. 문화대혁명은 마오쩌둥의 권위를 이용한 린뱌오에 의한 권력 투쟁의 색채가 강하지만, 실권파에 대해 마오쩌둥 자신이 주도한 탈권 투쟁이라는 측면도 있다.
특히 장칭을 비롯한 4인조는 마오쩌둥의 심복이라고 할 수 있는 존재이며, 4인조는 사실 마오쩌둥을 포함한 「5인조」였다는 견해도 있다.
마오쩌둥은 나중에 「실권파가 물러나야 한다고 결심한 것은 언제였는가」라는 미국인 기자 에드거 스노우의 질문에 대해, 「1965년 12월이었다」고 대답하고 있다.
2. 2. 흐루쇼프의 평화 공존 정책과 중소 분열
1950년대 초,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비에트 연방은 세계에서 가장 큰 두 공산 국가였다. 처음에는 서로 협력했지만, 니키타 흐루쇼프가 소련의 권력을 잡은 후 불화가 발생했다. 1956년 흐루쇼프는 전임자 요세프 스탈린과 그의 정책을 비난하고 경제 개혁을 시작했다. 마오쩌둥과 많은 다른 중국 공산당 당원들은 이러한 변화가 세계 공산주의 운동을 손상시킬 것이라고 믿고 이에 반대했다.[3]마오쩌둥은 흐루쇼프가 수정주의자이며 마르크스-레닌주의 개념을 변경하여 자본가들이 소련을 장악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계는 악화되었다. 소련은 중국의 국제 연합 가입을 지지하기를 거부하고 핵무기를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어겼다.[3]
마오쩌둥은 1960년 4월 수정주의를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소련을 지목하지 않고 마오쩌둥은 발칸 동맹국인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을 비판했다. 그에 대한 대응으로 소련은 중국의 발칸 동맹국인 알바니아 노동당을 비판했다. 1963년 중국 공산당은 9개의 논쟁문을 발표하면서 소련을 비난하기 시작했다. 그중 하나는 "흐루쇼프의 가짜 공산주의와 세계를 위한 역사적 교훈"이라는 제목으로, 마오쩌둥은 흐루쇼프가 수정주의자이며 자본주의 복고의 위험을 감수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1964년 내부 쿠데타에 의한 흐루쇼프의 패배는 대약진 운동 이후 그의 위신이 떨어진 것을 주요 원인으로 마오쩌둥의 두려움에 기여했다.[3]
소련의 다른 행동은 잠재적인 제5열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다. 중소 분쟁 이후의 긴장으로 인해 소련 지도자들은 마오쩌둥과 그의 "잘못된 방침"을 전복한 "진정한 공산주의자"들을 소련이 지원할 것이라고 말하는 중국으로의 라디오 방송을 승인했다.[4] 중국 지도부는 또한 미국과 베트남 민주 공화국 간의 증가하는 군사적 갈등을 우려하여 중국의 지원이 미국으로 하여금 잠재적인 중국 자산을 찾도록 할 것이라는 점을 우려했다.[4]
1953년 스탈린 사후 집권한 소련의 흐루쇼프는 전임 지도자였던 스탈린을 경제를 망친 독재자로 규정하고 국가적으로 스탈린 격하운동을 벌였다. 또한 "평화 공존 정책"을 부르짖으며 서방과 화해를 모색했다. 전 세계 공산주의의 최고지도자로 여겼던 스탈린이 격하되는 모습은 마오쩌둥을 비롯한 중국지도자들에게 충격이었다.[322] 뿐만 아니라 마오쩌둥은 서방 제국주의 세력을 제3세계에서 몰아내기 위해서는 강한 혁명이 필요하며 "핵전쟁"도 불사해야 한다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평화공존에 대해서도 반대했다.[323]
1956년에 일어난 헝가리 반소 봉기와 폴란드 반소 봉기로 인해 소련의 공산주의권의 지도력에 대해 중국은 의구심을 가졌고,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된 이래 소련을 추종해왔던 중국의 외교방침을 회의적으로 보게 되었다.[324] 또한 소련은 1962년에 벌어진 중인국경분쟁에서 인도를 지지하였으며, 이는 중국측을 크게 실망시켰다.[325]
중국은 1950년 이후 한국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MiG-15 제트전투기와 같은 최신 무기를 소련에서 구매했는데, 소련이 공산주의 우방국의 혜택을 주지 않고 중국에 거액을 청구하여 중국측을 격분시켰다.[326] 또한 소련은 중국에 약속한 군사원조와 경제원조를 취소했으며, 이때문에 인민해방군의 현대화와 중국의 산업화는 차질을 빚게 되었다.[327]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두고 중국의 지도자들은 흐루쇼프가 스탈린을 격하하면서 벌어진 일이 아닌가 하고 의심하기 시작하였다.
이오시프 스탈린에 대한 격하 운동은 중국 공산당 수뇌부들에게도 경각심과 긴장감을 주었다. 당 간부들은 언제든 자신도 격하되거나 비판받을 수 있다며 술렁였고, 마오쩌둥은 소련이 공산주의 노선에서 어긋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마오는 흐루쇼프를 "수정주의자"라고 규정하였고, 소련은 "공산전체주의 국가" (공산주의의 탈을 쓴 전체주의) 또는 좌파를 빙자한 파시즘 국가라고 비난하게 되었다. 또한 소련과 같은 인민이 소외된 관료제에 대해서도 매우 부정적이었다.[328] 그리하여 마오는 중국이 관료의 영향력 하에서 소련의 "잘못된 길"을 따라가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대중적 사상운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2. 3. 마오쩌둥과 류사오치의 갈등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마오쩌둥이 국가 주석에서 물러나고, 류사오치가 새로운 국가 주석이 되었다. 덩샤오핑은 당 총서기가 되었고, 저우언라이는 총리직을 유지했다.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은 마오쩌둥의 집단화 정책에서 벗어나 부분적으로 시장 경제를 도입하는 실용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류사오치는 "생산보다 구매가 더 좋고, 구매보다는 대여가 더 좋다"는 말로 새로운 경제 정책을 표현했는데, 이는 마오쩌둥의 자급자족 경제관과 대립했다.[329] 류사오치는 인민공사를 해체하고 대약진 운동 이전으로 돌아가려 했다.이러한 정책 변화는 마오쩌둥과 류사오치 사이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류사오치의 개혁은 성공적이었고, 대기근이 끝나면서 류사오치는 인민과 당 간부들 사이에서 높은 지지를 얻었다. 덩샤오핑과 류사오치는 마오쩌둥을 점차 권력에서 밀어내고 자신들이 최고 실권자가 되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마오쩌둥은 권력을 되찾고 정적을 제거하기 위해 1963년 "공산주의 교육 운동"을 시작했다. 이 운동은 풀뿌리 운동을 목표로 했으며, 마오쩌둥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이 운동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현재의 정치와는 관련이 없어 보였지만, 이들은 몇 년 후 마오쩌둥의 주요 지지 세력인 홍위병으로 성장했다.
1963년, 마오쩌둥은 류사오치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계급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64년 공산주의 교육운동은 "사청운동(四淸運動)"으로 발전했는데, 이는 정치, 경제, 조직, 이념에서 불순한 것을 제거해야 한다는 운동으로, 마르크스 수정주의자인 류사오치를 직접 겨냥했다.
1966년 7월, 마오는 자신의 건재함을 과시하기 위해 우한에서 양쯔강을 헤엄쳐 건넜다. 이후 베이징으로 돌아와 당 지도부의 작업반 문제 처리를 비판했다. 마오는 작업반이 학생 운동을 방해한다고 비난하며 7월 24일 작업반의 완전 철수를 요구했다. 며칠 후 인민대회당에서 집회가 열려 이 결정을 발표하고 교사와 학생들에게 운동의 방향을 제시했다. 집회에서 당 지도자들은 대중에게 '두려워하지 말고' 당의 간섭 없이 운동을 주도하도록 격려했다.[3]
작업반 문제는 류사오치에게 결정적인 패배였으며, 문화대혁명의 전개에 대한 의견 차이는 마오쩌둥과 당 지도부를 갈라놓았다. 8월 1일, 제8차 중앙위원회 제11차 전원회의가 소집되어 마오쩌둥의 급진적인 의제를 추진했다. 마오는 회의에서 류사오치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며 개회사 도중 여러 차례 그의 발언을 방해했다.[3]
7월 28일, 홍위병 대표들은 마오쩌둥에게 혁명을 수호하기 위해 반란과 격변을 일으킬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썼다. 마오는 이에 ''본부를 포격하라''라는 제목의 대자보를 써서 "반혁명의 지휘소(즉, 본부)"를 공격하라고 사람들을 선동했다. 마오는 공산 혁명에도 불구하고 "부르주아" 엘리트들이 정부와 당의 "권력 지위"에서 여전히 번성하고 있다고 썼다.[9]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이 도발적인 성명은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이 이끄는 당 체제, 즉 중국의 자칭 "부르주아 본부"에 대한 직접적인 비난으로 해석되었다. 전원회의의 인사 변동은 당 서열의 급진적인 변화를 반영했다.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은 정치국 상무위원회 자리는 유지했지만, 당의 일상 업무에서는 배제되었다. 린뱌오는 중국 공산당의 2인자로 승진했고, 류사오치의 순위는 2위에서 8위로 떨어져 더 이상 마오쩌둥의 후계자가 아니었다.[9]
최고 지도부의 실각과 함께 전국적인 당 관료 체제가 숙청되었다. 당 인사를 담당하던 조직부는 사실상 해체되었다. 선전부의 고위 관리들이 해임되었고, 그 기능의 상당 부분은 문화혁명그룹으로 이관되었다.[3]
3. 사회적 배경
문화대혁명의 표면적인 구실은 "낡은 문화를 비판하고 새로운 공산주의 문화를 만들자!"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대약진 운동 실패로 권력에서 밀려난 마오쩌둥이 자신의 권력을 되찾기 위해 민중과 학생 운동을 이용해 덩샤오핑 등 시장경제 옹호파를 공격한 권력 투쟁이었다.[314][315][316][317][318]
1966년 5월 16일, 마오쩌둥은 부르주아 계급의 자본주의, 봉건주의, 관료주의 요소가 중국 공산당과 사회 곳곳에 퍼져 있으니 이를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문화대혁명을 시작했다. 그는 청년 학생과 민중이 "혁명 후의 영구적 계급 투쟁"을 통해 인민민주독재를 더욱 확고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는 홍위병의 전국적인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마오쩌둥은 소련의 수정주의가 중국에서 재현되는 것을 막고, 더 이상적인 공산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문화대혁명을 시작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그러나 대약진 운동 실패로 류샤오치와 덩샤오핑에게 권력이 넘어가려 하자, 이를 막기 위해 극좌적 계급투쟁을 시도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314][315][316][317][318]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수십만에서 2천만 명으로 추정되는 사망자가 발생했다.[314][315][316][317][318] 베이징의 "붉은 8월"을 시작으로 광시 대학살 (대규모 식인 포함), 내몽골 사건, 광동 대학살 등 중국 전역에서 학살이 일어났다.[319][320] 문화대혁명은 대부분의 중국인과 외부인, 심지어 중국 공산당 내부에서도 국가적 재난으로 여겨진다. 1981년 중국 공산당은 마오쩌둥의 과오가 크다고 공식 발표했으며, 린뱌오와 사인방도 주요 책임자로 지목했다.
1963년, 마오쩌둥은 문화대혁명의 전조가 된 사회주의 교육 운동을 시작했다.[5] 그는 베이징 고위 관료들을 숙청하며 분위기를 조성했다.[5]
1959년 말, 역사학자이자 베이징 부시장이었던 우한은 ''해서파관''이라는 희곡을 발표했다. 이 희곡은 정직한 관료 해서가 부패한 황제에게 면직당하는 내용이었다. 마오쩌둥은 처음에는 이 희곡을 칭찬했지만, 1965년 그의 아내 장칭과 야오원위안에게 비판 기사를 발표하도록 했다. 야오는 이 희곡을 마오쩌둥을 공격하는 우화로 묘사하며, 마오쩌둥을 황제, 펑더화이를 해서로 지목했다.[3]
야오의 기사는 베이징 시장 펑전을 방어적으로 만들었다. 펑전은 우한의 직속 상관이었고, 문화혁명의 가능성을 연구하는 위원회인 5인조의 수장이었다. 펑전은 야오의 영향력을 억제하려 했고, 야오의 기사를 ''인민일보'' 등 주요 신문에 싣지 못하게 했다.[3] 펑전에 대한 "문학적 전투"가 격렬해지는 동안,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 중앙판공청 청장 양상쿤을 해임하고, 왕둥싱을 임명했다.[3]
1966년 2월 12일, "5인조"는 ''2월 개요''를 발표하여 ''해서파관''을 학술적 논의로 정의하고 정치적 함의를 부정하려 했다. 그러나 장칭과 야오원위안은 비난을 계속했고, 마오쩌둥은 펑전의 동맹인 중국 공산당 선전부 부장 뤄딩이를 해임했다.[3]
뤄딩이의 해임으로 마오쩌둥주의자들은 언론을 장악했다. 마오쩌둥은 캉성과 천보다를 통해 펑전을 공격했다. 그들은 펑전이 마오쩌둥에 반대한다고 비난하고, ''2월 개요''를 "펑전의 수정주의 증거"라고 규정했다.[3] 5월 16일, 정치국은 펑전과 그의 "반당 동맹"을 비난하고 "5인조"를 해체하고 문화혁명그룹(CRG)으로 대체했다.[3]
1966년 7월, 마오쩌둥은 우한에서 양쯔강을 헤엄쳐 건너 자신의 건재함을 과시하고, 베이징으로 돌아와 작업반 문제 처리에 대한 당 지도부를 비판했다. 마오는 작업반이 학생 운동을 약화시켰다고 비난하며 철수를 요구했다.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집회에서 당 지도자들은 대중에게 '두려워하지 말고' 당의 간섭 없이 운동을 주도하도록 격려했다.[3]
작업반 문제는 류사오치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의미했고, 문화대혁명 전개 과정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마오쩌둥과 당 지도부를 분열시켰다. 8월 1일, 중국 공산당 제8차 중앙위원회 제11차 전원회의가 소집되어 마오쩌둥의 급진적 의제를 추진했다. 마오쩌둥은 류사오치에 대한 경멸을 드러냈고, 린뱌오는 중국 공산당의 2인자로 승진했다.[3]
1966년 7월 28일, 홍위병 대표들은 마오쩌둥에게 혁명을 수호하기 위한 반란을 촉구하는 편지를 썼다. 마오쩌둥은 ''본부를 포격하라''라는 대자보를 통해 "반혁명의 지휘소"를 공격하라고 사람들을 선동했다. 마오쩌둥은 "부르주아" 엘리트가 여전히 권력을 누리고 있다고 썼다.[9]
이 성명은 류샤오치와 덩샤오핑이 이끄는 당 체제에 대한 비난으로 해석되었다. 전원회의의 인사 변동으로 린뱌오는 2인자가 되었고, 류사오치의 순위는 8위로 떨어졌다.[9]
최고 지도부의 실각과 함께 전국적인 당 관료 체제가 숙청되었다. 중국 공산당 조직부는 사실상 사라졌고, 중국 공산당 선전부 고위 관리들이 해임되었으며, 그 기능은 문화혁명그룹으로 넘어갔다.[3]
문화대혁명은 낡은 것을 파괴하고 새로운 것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름 변경, 머리 자르기, 가옥 약탈, 문화재 파괴, 사찰 훼손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10]
이 혁명은 자본주의 사상을 조장한 계급의 적들과 착취적인 가정 배경을 가진 사람들, 즉 요괴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요괴"로 여겨지는 수많은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모욕당하고 구타당했다. 학생들, 특히 홍위병들은 선생님을 규탄했고, 아이들은 부모를 규탄했다.[10] 많은 사람들이 학대로 인해 죽거나 자살했다. 1968년 젊은이들은 하방운동에 동원되어 농촌으로 보내졌고, 수백만 명이 도시를 떠나면서 문화대혁명의 가장 폭력적인 단계가 끝났다.[151]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경제는 대약진 운동으로 인한 혼란 이후, 류샤오치와 덩샤오핑이 시장경제를 부분적으로 도입하면서 회복되고 있었지만, 관료의 부패와 특권화도 심해지고 있었다. 마오쩌둥은 이 정책을 사회주의를 자본주의적으로 수정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마오쩌둥을 지지하는 학생 운동 그룹이 만들어졌고, 칭화대학 부속중학교에서 후이족 장청즈에 의해 홍위병으로 명명되었다.[233]
마오쩌둥의 심복 린뱌오는 홍위병에게 “반혁명 세력” 비판과 타도를 선동했다. 실권파와 그 지지자로 여겨진 중국공산당 간부, 지식인, 구 지주의 자손 등은 모두 홍위병의 공격 대상이 되었고, 조직적이고 폭력적인 공개처형이 중국 전역에서 만연했다. 류샤오치와 덩샤오핑이 실각하고, 가혹한 박해로 많은 사망자와 자살자가 발생했으며, 홍위병들은 파벌로 나뉘어 항쟁을 벌였다. 또한 구문화라는 이유로 문화정화의 대상이 된 귀중한 문화재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홍위병의 폭주는 마오쩌둥에게조차 통제 불능이 되었고, 마오쩌둥은 1968년 상하향운동을 통해 도시의 홍위병을 지방 농촌으로 보냈다. 1971년 린뱌오는 마오쩌둥과 대립했고, 비행기로 해외 탈출을 시도하다 사망했다(린뱌오 사건). 린뱌오 사망 후에도 “사인방”을 중심으로 문화대혁명은 계속되었지만, 1976년 마오쩌둥 사망 후 사인방이 실각하면서 문화대혁명은 종식되었다.
희생자 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중국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서는 “문화대혁명 당시 사망자 40만 명, 피해자 1억 명”으로 추산하고 있다.[234] 그러나 공식적인 추산은 없으며, 연구자들의 조사에서도 40만 명에서 2000만 명 이상으로 다양하다.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1억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고,[235][236] 국내 혼란과 경제 침체를 초래했다. 마오쩌둥은 대약진 운동에서의 실책을 만회하고 권력 기반을 강화했지만, 대학입시 폐지[237] 등으로 인해 중국은 서구 국가들에 비해 뒤처지게 되었다.
문화대혁명 종결 후 1978년, 덩샤오핑은 문화대혁명과 관련된 정책을 해체하고 개혁개방을 시작하여 시장경제 체제로 이행했다.[238] 1981년, 중국공산당은 문화대혁명이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래 가장 심각한 후퇴이며, 가장 큰 손실"이라고 선언했다.
1966년 5월 이후, 원리주의적인 마오쩌둥 사상을 신봉하는 장청지 등 학생들에 의해 ‘홍위병’이 결성되었고, 10대 소년 소녀들이 가입하며 규모가 커졌다.
하지만 마오쩌둥 사상을 광적으로 내세우며 폭주한 그들은 파벌로 나뉘어 서로에게 ‘반혁명’ 딱지를 붙이고 무력 충돌을 벌였고, 공산당 내 문화대혁명파도 통제할 수 없게 되었다.[239] 홍위병은 중난하이, 자금성, 핵개발 관련 군사 시설 침입을 시도했고, 8341부대는 이를 저지했다.[240] 1967년 2월까지 중국 정부는 중국인민해방군을 투입하여 홍위병을 제거하기로 결정했고,[241] 같은 해 9월 5일 마오쩌둥은 중국공산당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서 중국에 질서를 회복시킬 것을 인민해방군에 명령했다.[242] 인민해방군과 홍위병 간 무력 충돌이 발생했고, 광서장족자치구에서는 인민해방군이 홍위병을 대량 학살했다.[243]
1968년에는 징농제도와 상하산향운동이 시작되었다.[244][245] 많은 청소년들이 가혹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사망했다.
홍위병 운동에서 하방[246] 종식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의 고등교육은 기능을 정지했고, 이 세대는 교육적, 윤리적으로 큰 악영향을 받았으며, 현재에도 중화인민공화국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한다.
3. 1. 대약진 운동
마오쩌둥은 대약진 운동 실패로 인해 권력에서 잠시 물러났으나, 자신의 재부상을 꾀하며 프롤레타리아 민중과 학생 폭력 운동을 동원해 시장 회생파를 공격하고 제거하려 했다.[314][315][316][317][318]1957년 중국의 제1차 5개년 계획이 완료된 후, 마오쩌둥은 공산주의 이행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대약진 운동"을 시작했는데, 이는 식량과 철강 생산을 늘려 단번에 선진국으로 도약하려는 계획이었다.
산업 발달의 척도인 철강 생산을 위해 전국 각 마을에 재래식 고로를 설치하도록 했다. 또한 식량 증산을 위해 농촌의 소규모 협업 조직인 호조조(互助組)를 해체하고 대규모로 만들어 집단 농업과 집단 동원을 위한 인민공사를 설립하였다.[335]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재앙으로 이어졌다. 농민들이 농사 대신 질 낮은 철 생산에 몰두하면서 전 산업계가 혼란에 빠졌다. 농가 마당에 설치된 구식 화로에서 생산된 철은 산업에 전혀 쓸모가 없었다. 동시에 한국전쟁 참전을 위해 중국 각지에서 철을 조달하여 농기구 조달난에 시달렸고, 이는 농업 생산성 감소로 이어졌다.
1959년 루산 회의에서 국방부장 펑더화이는 대약진 운동을 비판하며, 대약진 운동 자체가 "소부르조아 환상주의"라고 규정했다.
마오쩌둥은 대약진 운동에 대한 자신의 과오를 인정했지만, 전체적으로 70%는 옳았다고 주장하며 자신을 방어했다. 대약진 운동 실패로 마오쩌둥은 국가 주석직에서 물러났고, 류샤오치, 저우언라이, 덩샤오핑 등이 국가 행정을 운영하였다.
마오쩌둥은 류샤오치, 덩샤오핑과 연합하여 일시적으로 그들에게 국가 운영권을 넘겨주고, 펑더화이를 "우익 기회주의자"로 규탄하며 실각시켰다.
대약진 운동(Great Leap Forward)은 소련 5개년 계획과 유사하게, 마오쩌둥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산업 강대국으로 만들자는 제안이었다. 1958년에 시작된 대약진 운동은 산업화를 이루었지만, 예상 목표에 미치지 못했고 현대사 최악의 기근을 초래했다. 대약진 운동은 마오쩌둥의 가장 큰 실수 중 하나로 여겨지며, 공산당 내에서 그의 지위를 낮아지게 했다.
3. 2. 생산량의 감소와 대기근
대약진 운동의 실패 이후, 마오쩌둥은 권력 중추에서 잠시 물러났으나, 자신의 재부상을 위해 문화대혁명을 일으켰다.[314][315][316][317][318] 이 과정에서 덩샤오핑과의 권력 투쟁이 발생했다.1950년부터 1953년까지의 한국전쟁 참전을 위해 대량의 철이 조달되었고, 이 과정에서 농기구들이 녹여져 농업 생산량이 급감했다. 지역 담당자들은 처벌을 피하기 위해 허위 생산량을 보고했고, 이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수십 년간 이어진 내전, 중일 전쟁, 한국 전쟁으로 타격을 입었던 중국 경제는 회복되는 듯했으나 다시 침체되었다.
철강 생산량은 연간 520만 톤에서 1,400만 톤으로 증가했지만, 대부분 질이 낮아 산업 발전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당초 목표는 연간 3,000만 톤이었으나, 이후 2,000만 톤으로 조정되었다.
식량 생산에도 문제가 발생했다. 농민들이 철 생산에 동원되고, 목재 남벌로 인해 1958년부터 여름마다 홍수가 발생하여 농경지가 침수되었다. 제사해 운동으로 참새를 유해조로 지정하여 대대적인 퇴치 운동을 벌였으나, 이는 생태계 불균형을 초래하여 병충해가 창궐하게 되었다. 집단화된 농업은 비효율적이었고, 검증되지 않은 새로운 작황법 도입은 오히려 생육에 지장을 주었다.
이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래 처음으로 대규모 기근이 발생했다. 중국 정부는 소련의 기술 도입료와 차관 상환을 위해 곡물 수출을 계속했다. 기근은 매우 심각하여, 1961년까지 이어진 기근으로 인해 2,000만에서 3,00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330]
3. 3. 노동자 불만 확산
1950년대 중반부터 식량 생산 감소로 생계난을 겪던 도시 노동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터져 나왔다. 이들은 청나라 몰락 이전부터 하층민이거나 노비에서 해방된 이들로, 아버지와 할아버지에게서 들은 자본가에 대한 분노와 증오를 증폭시켰다. 시골의 지역 유지들과 당내 부르주아에 대한 불만이 도시 노동자들 사이에서 확산되었다.특히 상하이의 극좌 문화는 1958년에 이미 고조되기 시작하여 문화대혁명 시기에 최고조에 달했다. 상하이에서는 1958년부터 노동자들 사이에서 마오쩌둥 사상 학습 운동이 퍼져나갔다. 1만 5000개에 이르는 학습 소조(모임)이 등장했고, 연인원 20만 명이 여기에 참여했다.[331] 그와 동시에 전 시민의 혁명 시가(詩歌) 운동도 진행되었다. 시와 예술작품은 모두 혁명의 구호여야 마땅하다고 주장되었다. 노동계층의 불만은 퇴폐, 타락한 사회문화 전체를 바꿔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야오원위안은 신문 지상에서 예술 시를 비판하고, 시의 한 구절 한 구절은 모두 혁명의 구호여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또 스스로 지은 '혁명 시'를 발표했다.[331] 자구책 없이 불만을 품던 노동계층은 이러한 작가들의 작품에 열렬히 호응하였다.
1950년대 후반 상하이의 프롤레타리아 문예 창작자들은 어떤 도시보다도 많은 극좌 문화의 작품을 만들었다. 예를 들면 후일 문화대혁명 10년 간 장칭의 지도 아래 창작된 '혁명 모범극'은 당시 중국인이 관람할 수 있었던 유일한 극이었다. 문혁 때에 유일하게 상영이 권장되었던 그 여덟 편의 모범극 가운데 여섯 편은 상하이 작가의 원작을 수정한 것이었다.[331] 현실에서의 불만을 해소할 방법이 없던 노동자 계층은 이들의 작품을 탐독하며 울분을 해소하였다.
문혁 속에서 상하이는 극좌 문화의 중심지가 됐다. 당시 중국 유일의 문학 월간지 '조하(朝霞)'가 상하이에서 창간되어, 수많은 혁명 문인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등장했다. 야오원위안은 그들의 선배이자 전범이었다.[331]
3. 4. 좌절한 공산주의 지식인과 청년들
1950년대 후반 이후 중국의 공산주의 사회가 안정되면서, 공산당에 충성하거나 열심히 공부하면 성공할 수 있다고 믿었던 좌익 지식인들과 청년들은 좌절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공산당 고위층의 반혁명성과 반당 행위, 그리고 혁명에 참여하지 않고도 당 간부직을 유지하는 지역 유지들에 대한 불만을 표출했다.[332] 이들은 극좌적인 방법으로 보복하고자 했다.1966년 5월 중국 공산당 정치국 확대 회의에서 “학술계·교육계·언론계·문예계와 출판계의 부르주아 반동 사상을 철저하게 비판하여, 이러한 문화영역에서 영도권을 탈취하자”는 ‘5·16 통지(通知)’가 제출되었다.[332] 좌절한 지식인들과 청년들은 당 고위직을 세습하는 간부 자녀들과 시골의 지역유지들에 대한 증오와 처단을 실시하였다.
대학을 졸업하거나 기술을 익히고도 올라가기 힘들었던 실무자층의 좌절 역시 분노로 변해갔다. 문화대혁명 발동의 가장 중요한 주체는 좌절을 경험했던 젊은 지식인들이었다.[332] 이러한 분노는 유교 사상에 대한 더욱 근본적인 분노로 이어졌다. 명청대 고위 관료들의 무덤과 사당은 파괴되고 부관참시되었다. 유교 사상은 신분제도와 계급체계를 정당화하고, 여성과 피지배층을 학대하는 악질 제도라고 비판받아 유교와 관련된 사상가, 학자들의 묘소와 석물, 저서 등은 모두 파괴, 소각되었다. 이러한 청년들의 분노와 파괴는 문화대혁명 이후의 권위 해체 분위기로 이어졌다.
3. 5. 새로운 미디어의 보급
1950년대 후반부터 중국의 도시에서 오지에 이르기까지 라디오가 보급되면서 문화대혁명에 큰 역할을 하였다. 전화기 보급 증가 역시 연락망 확충에 기여하였다. 문화대혁명 초기 준비단계에서, 중국 정부는 모든 학교, 군부대, 그리고 공공조직에 라디오를 청취한 후 이를 다시 대중에게 전달할 선전자를 임명하도록 하였다."중앙인민방송국"의 라디오 방송은 이런 선전활동을 위한 기구였으며, 선전자들은 방송을 듣고 이것을 다시 대중들에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다. 1960년대에 4억의 농촌 인구 중 7천만 명이 선전자였다.[334]
이동 영화 촬영팀은 중국 영화를 농촌으로 가져왔으며, 특히 혁명 모범 오페라를 포함하여 이 시기 문화의 표준화와 대중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71] 문화대혁명 초기에는 이동 영화팀이 마오쩌둥이 홍위병과 만나는 장면과 천안문 광장 퍼레이드의 뉴스릴을 가지고 농촌 지역을 여행했으며, 농촌 공동체에서 열렬히 환영받았다. 이러한 뉴스릴은 '붉은 보물 영화'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이는 작은 붉은 책이 '붉은 보물 책'으로 불린 것과 유사하다.[185] 혁명 모범 오페라의 영화화는 중국의 영화 상영망 재편성 및 확장으로 이어졌다.[15]
1965년부터 1976년까지 중국의 영화 상영 단위 수는 4배가 되었고, 영화 관객 수는 거의 3배가 되었으며, 전국 영화 관람률은 2배가 되었다.[15] 문화혁명 그룹은 영화가 노동자와 사회주의의 요구에 더 잘 부응할 수 있도록 티켓 가격을 대폭 인하했다.[15]
중국은 할리우드 영화와 대부분의 외국 영화를 거부했다.[15] 알바니아 영화와 북한 영화는 중국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15]
1972년 중국 관리들은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를 중국에 초청하여 문화대혁명의 업적을 영화로 제작하게 했다. 안토니오니는 다큐멘터리 영화 ''중국, 중국''을 제작했다. 1974년에 공개되었을 때, 중국의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이 영화를 반동적이고 반중국적인 것으로 해석했다. 옌안 강좌, 특히 예술을 위한 예술은 없다는 개념을 통해 예술을 바라본 당 지도부는 안토니오니의 미학적 선택을 정치적으로 동기 부여된 것으로 해석하고 영화를 금지했다. 2004년 중국에서 개봉된 이후, 이 영화는 특히 더 단순한 시대를 아름답게 묘사한 부분 때문에 중국 관객들에게 호평을 받았다.[186]
3. 6. 직접적인 계기: 해서파관과 조반유리
1959년 말, 베이징 부시장이자 역사가인 우한은 역사 희곡 《해서파관》을 발표했다. 이 희곡은 명나라 때의 청백리 해서가 가정제에게 파면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마오쩌둥은 처음에 이 희곡을 높이 평가했지만, 1965년 그의 부인 장칭과 그녀의 측근 야오원위안은 이 희곡을 비판하는 글을 발표했다. 그들은 이 희곡이 마오쩌둥을 폄하하고, 황제는 마오쩌둥을, 해서는 펑더화이를 은유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비판은 전국적인 논란을 일으켰다. 많은 신문들은 언론 탄압을 우려하여 표현의 자유를 요구했다. 베이징 시장 펑전은 우한을 지지하며 비판이 지나치다고 주장했다. 그는 "문화혁명오인소조"를 구성하여 《2월제강》을 발표하고, "해서파관" 논란을 학술 문제로 한정하려 했다. 그러나 장칭은 린뱌오와 함께 세력을 키웠다.
1966년 5월, 장칭과 야오원위안은 다시 우한과 펑전을 비판하는 글을 발표했다. 5월 16일, 마오쩌둥은 당 정치국에서 《5.16통지》를 발표하여 "문화대혁명"의 시작을 알렸다. 이 통지에서 펑전은 비판받고, 5인소조는 해체되었다.
1966년 이후 정치국 회의에서 새로운 "문혁 소조"가 구성되었다. 5월 18일, 린뱌오는 연설에서 마오쩌둥을 숭배하도록 학생들에게 지시했다. 장칭과 린뱌오는 이미 실질적인 권력을 잡기 시작했다.
5월 25일, 베이징 대학 교수 녜위안쯔는 대자보를 붙여 대학 당국과 교수들을 우파, 반당분자로 공격하도록 학생들을 촉구했다. 며칠 후 마오쩌둥은 이 대자보를 전국에 회람하라고 명령하며 "문화 대혁명의 첫 번째 마르크스-레닌주의 대자보"라고 칭송했다. 5월 29일, 칭화 대학 부속 중학교에서 마오쩌둥은 첫 번째 중학생 홍위병을 결성시켰다.
1966년 6월 1일, 인민일보는 "자본주의자들과 그 앞잡이, 자본주의적 지식인들"을 숙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곧 대학 총장과 온건파 지식인을 겨냥한 마오쩌둥의 운동이 시작되었다.
1966년 7월 27일, 홍위병 대표단은 마오쩌둥에게 '''조반유리'''(造反有理), 즉 사회와 정치, 문화를 뒤집어엎고 대량 숙청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주장을 담은 서한을 보냈다. 마오쩌둥은 이에 전적으로 지지하고 동의했다.
8월 8일, 인민일보에 마오쩌둥의 논평 《사령부를 폭격하라-나의 대자보》가 실렸다. 여기서 마오쩌둥은 반혁명, 우파(류샤오치와 덩샤오핑)에 대한 투쟁을 전 인민에게 촉구했다.[335]
4. 전개 과정
문화대혁명은 1966년 5월 16일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이었던 마오쩌둥의 제창으로 시작되어, 1976년 마오쩌둥의 사망과 사인방의 체포까지 이어진 권력 투쟁의 시기였다. 이는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권력에서 밀려난 마오쩌둥이 자신의 권력을 회복하기 위해 학생과 민중을 동원하여 덩샤오핑과 류샤오치 등의 시장 회생파를 공격한 사건이었다.[314][315][316][317][318]
문화대혁명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단계 | 기간 | 주요 내용 |
---|---|---|
제1단계 | 1966년 5월 16일 ~ 1969년 | 5·16 통지 전달, 홍위병 운동, 린뱌오의 문화대혁명 선언 |
제2단계 | 1969년 ~ 1973년 8월 | 린뱌오 사건 발생 및 총괄 |
제3단계 | 1973년 8월 ~ 1976년 10월 6일 | 반임반공운동 시기, 마오쩌둥 사망, 사인방 체포 |
1966년 5월 이후, 원리주의적인 마오쩌둥 사상을 신봉하는 장청지 등의 학생들에 의해 ‘홍위병’이라는 단체가 결성되었다. 이들은 점차 마오쩌둥 사상을 광적으로 내세우며 폭주했고, 파벌로 나뉘어 서로에게 ‘반혁명’이라는 딱지를 붙이고 무력 충돌을 벌였다.[239] 1967년 2월, 중국 정부는 중국인민해방군을 투입하여 홍위병을 제거하기로 결정했고,[241] 같은 해 9월 5일 마오쩌둥은 중국공산당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서 인민해방군에 중국의 질서 회복을 명령했다.[242] 1968년에는 대규모 징농과 지방 이송인 상하산향운동(하방)이 시작되었다.[244][245]
1967년 1월 3일, 린뱌오와 장칭은 언론을 통해 지방의 문화대혁명 지도자들에게 "일월의 폭풍"을 일으키도록 부추겼다.[314][315][316][317][318] 이로 인해 상하이의 많은 고위 공무원들이 비판받고 숙청되었고, 왕훙원이 상하이의 행정과 시 당(市黨)을 장악하게 되었다.
1968년 5월, 마오쩌둥은 대대적인 정치적 숙청을 시작했고, 많은 사람들이 재교육 수용소에서 일하기 위해 시골로 보내졌다.[28] 7월 27일, 홍위병의 인민해방군에 대한 권력은 공식적으로 종식되었다.
1967년 2월, 장칭과 린뱌오는 마오쩌둥의 승인을 받아 "계급투쟁"을 군사 부문까지 확대했다. 많은 인민해방군의 유력 지휘관들이 "군사 부문의 문화대혁명"에 대해 우려하거나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지만, "2월역류"(二月逆流)라는 낙인이 찍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3][7]
1968년 마오쩌둥은 하방 운동을 시작했다. 10년 동안 지속된 이 운동 기간 동안 도시에 거주하는 젊은 부르주아 계급은 농촌으로 가서 노동 생활을 경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45] 1968년 봄, 마오쩌둥을 신격화시키려는 대규모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4. 1. 개시
1966년 5월 16일 중국 공산당의 중앙위원회 주석이었던 마오쩌둥의 제창으로 문화대혁명이 시작되었다. 그는 부르주아 계급의 자본주의와 봉건주의, 관료주의 요소가 공산당과 중국 사회 곳곳을 지배하고 있으니 이를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중국의 청년 학생들과 민중들이 사상과 행동을 규합해 인민민주독재를 더욱 확고히 실현하기 위해 "혁명 후의 영구적 계급 투쟁"을 통해 이런 것들을 분쇄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중국 전역에서 벌어진 홍위병의 움직임으로 구체화되었다.[319][320] 마오가 문혁을 제창하게 된 동기는 노선을 변경한 소련의 잘못된 수정주의가 중공에서도 재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중국에서 더욱 이상적인 공산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천명하였다. 한편, 마오쩌둥 자신이 시도한 대약진 운동에서 파멸적인 결과를 빚어 당에 대한 권력과 영향력이 덩샤오핑과 류샤오치에게 넘어가려하자, 극좌적 계급투쟁 형식을 빌어 이를 선회하기 위해 시도한 것이라는 것도 통설이다.1966년 8월 8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중국 공산당의 중앙위원회의 프롤레타리아 문화 대혁명에 관한 결정》[336], 약칭 《16개 항》[337]을 발표하였다. 이 문건은 문화 대혁명을 인민들의 혼까지 와닿는 혁명이고, 중국의 공산주의 혁명사에 새로운 장을 연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 결정은 이미 존재하고 있던 학생운동을 노동자, 농민, 그리고 병사들이 집단이 참여하는 전국규모의 대중운동으로 끌어올렸다. 이들은 "상부구조를 전환시키기" 위해 대자보와 논쟁을 사용했다. 문화 대혁명의 주목표중의 하나는 "4개의 낡은 것"을 척결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낡은 사상(舊思想), 낡은 문화(舊文化), 낡은 풍속(舊風俗), 낡은 관습(舊習慣)을 말한다.
이 결정문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래 인민에게 최대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였으나, 이 "표현의 자유"는 마오쩌둥 사상에 의해 범위와 성질이 규정된 것이었다. 또한 언론과 표현,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는 제15항, 16항의 자유는 궁극적으로 마오의 의중에 따라 진정한 의미가 결정되었다. 제16항이 규정한 자유는 후에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의 대민주(大民主)의 4대자유(四大自由)로 규정되었다. 자유롭게 말할 권리, 자신의 견해를 발표할 수 있는 권리 또는 다른 사람과 단결할 수 있는 권리, 대자보를 쓸 수 있는 권리, 그리고 논쟁을 할 수 있는 권리였다.
1963년, 마오쩌둥은 문화대혁명의 전조가 된 사회주의 교육 운동을 시작했다.[5] 마오쩌둥은 의심스러운 충성심을 가진 베이징 고위 관료들을 "숙청"하여 분위기를 조성했다. 그의 접근 방식은 신문 기사, 내부 회의 및 그의 정치적 동맹 네트워크를 통해 실행되는 투명하지 않은 것이었다.[5]
1959년 말, 역사가이자 베이징 부시장인 우한은 ''해루이 면직''이라는 역사극을 발표했다. 이 극에서 정직한 관료인 해루이는 부패한 황제에게 면직당한다. 마오쩌둥은 처음에는 이 희곡을 칭찬했지만, 1965년 2월 비밀리에 그의 아내 장칭과 상하이 선전가 야오원위안에게 이를 비판하는 기사를 발표하도록 의뢰했다. 야오는 이 희곡을 마오를 공격하는 우화로 묘사하며, 마오를 황제로, 뤄산 회의에서 이전에 마오를 질문했던 펑더화이를 정직한 관료로 지목했다.[3]
야오의 기사는 베이징 시장 펑전을 방어적으로 만들었다. 펑은 우한의 직속 상관이었으며, 문화혁명의 가능성을 연구하도록 마오쩌둥이 위임한 위원회인 5인조의 수장이었다. 펑전은 우가 실제로 "반마오" 희곡을 썼다면 자신도 연루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야오의 영향력을 억제하고자 했다. 야오의 기사는 처음에는 일부 지역 신문에만 게재되었다. 펑은 그의 통제하에 있는 전국적으로 배포되는 ''인민일보'' 및 기타 주요 신문에 게재하는 것을 금지하고, 오직 "학술적 논의"에 대해서만 쓰고 야오의 사소한 정치에 신경 쓰지 말라고 지시했다.[3] 펑에 대한 "문학적 전투"가 격렬해지는 동안, 마오쩌둥은 내부 통신을 통제하는 기관인 당 중앙판공청 청장 양상쿤을 근거 없는 혐의로 해임했다. 그는 마오쩌둥의 경호 책임자인 충실한 왕둥싱을 임명했다. 양의 해임은 마오쩌둥의 동맹들이 파벌 라이벌을 공격하도록 고무시켰을 가능성이 높다.[3]
1966년 2월 12일, "5인조"는 ''2월 개요''로 알려진 보고서를 발표했다. 당 중앙이 승인한 ''개요''는 ''해루이''를 건설적인 ''학술적'' 논의로 정의하고 펑전을 어떤 ''정치적'' 함의와 공식적으로 거리를 두려고 했다. 그러나 장칭과 야오원위안은 계속해서 비난을 퍼부었다. 한편, 마오쩌둥은 펑의 동맹인 선전부 부장 뤄딩이를 해임했다.[3]
뤄의 해임으로 마오쩌둥주의자들은 언론에 대한 무제한적인 접근 권한을 얻었다. 마오쩌둥은 충실한 캉성과 천보다를 통해 고위급 정치국 회의에서 펑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했다. 그들은 펑이 마오쩌둥에 반대했다고 비난하고, ''2월 개요''를 "펑전의 수정주의의 증거"라고 규정하고, 그를 다른 세 명의 망신당한 관료들과 함께 "펑-뤄-뤄-양 반당파벌"의 일원으로 묶었다.[3] 5월 16일, 정치국은 펑과 그의 "반당 동맹"을 가장 강력한 어조로 비난하고 그의 "5인조"를 해체하고 마오쩌둥주의 문화혁명그룹(CRG)으로 대체하는 공식 문서를 발표함으로써 결정을 공식화했다.[3]
1966년 5월, 베이징에서 확대된 중앙정치국 회의가 소집되었다. 이 회의는 계급 투쟁에 대한 마오쩌둥 사상의 정치적 수사로 가득 차 있었고, 펑전과 뤄루이칭과 같은 최근 축출된 지도자들에 대한 치밀하게 준비된 '기소'로 가득 차 있었다. 5월 16일에 배포된 이러한 문서 중 하나는 마오쩌둥의 직접 감독 하에 작성되었으며 특히 파괴적이었다.
후에 "5.16통지"로 알려진 이 문서는 문화대혁명에 대한 마오쩌둥의 이념적 정당성을 요약했다. 처음에는 고위 당원들 사이에서만 비밀리에 배포되었지만, 나중에 기밀 해제되어 1967년 5월 17일 ''인민일보''에 게재되었다. 사실상 이는 공산주의 대의의 적들이 당 내부에 존재할 수 있음을 암시했다. 즉, "붉은 깃발을 휘두르며 붉은 깃발에 반대하는" 계급 적들이다. 이러한 사람들을 식별하는 유일한 방법은 "마오쩌둥 사상의 망원경과 현미경"을 통해서였다. 당 지도부는 마오쩌둥의 의제를 승인하는 데 비교적 단결되어 있었지만, 많은 중앙정치국 위원들은 열정적이지 않았거나 단순히 방향에 대해 혼란스러워했다.[7]
펑전이 숙청된 후 베이징시 당위원회는 사실상 기능을 상실하여 수도에 혼란이 초래되었다. 5월 25일, 마오쩌둥 충실한 추종자 캉성의 아내인 조일오의 지도 아래 베이징대학교 철학 강사 니에위언즈는 다른 좌파들과 함께 대자보를 작성하여 공공 게시판에 게시했다. 니에위언즈는 대학 당국과 그 책임자 루핑을 공격했다. 니에위언즈는 펑전과 마찬가지로 대학 지도부가 당에 반대하고 수정주의를 진행하려는 “사악한” 시도로 혁명적 열정을 억제하려 한다고 암시했다.[3]
마오쩌둥은 니에위언즈의 대자보를 “중국 최초의 마르크스주의 대자보”로 즉각 지지했다. 마오쩌둥의 승인을 받은 이 대자보는 교육 기관으로 확산되었다. 학생들은 학교 당국에 반항하기 시작했다. 베이징의 초중학교 수업이 취소되었고, 이어 6월 13일 전국적으로 수업 중단이 확대되었다. 6월 초, 수많은 젊은 시위대가 마오쩌둥의 초상화를 들고 수도의 주요 도로에 줄지어 서서 북을 치고 구호를 외쳤다.[3]
6월 초 펑전과 시 당 지도부의 해임이 공표되자 혼란이 널리 퍼졌다. 펑전 해임의 이유에 대해 대중과 외교 사절단은 어둠 속에 놓여 있었다. 당 최고 지도부는 갑작스러운 항의 물결에 당황하여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고심했다. 항저우에서 마오쩌둥의 지도를 구한 후, 류샤오치와 덩샤오핑은 질서를 회복하고 당의 통제를 재확립하기 위해 '공작반'(사실상 간부들의 '이념 지도' 부대)을 도시의 학교와 인민일보에 파견하기로 결정했다.[3]
7월, 마오는 우한에서 양자강을 건너 자신의 활력을 보여주었다. 그런 다음 우한에서 베이징으로 돌아와 작업반 문제 처리에 대한 당 지도부를 비판했다. 마오는 작업반이 학생 운동을 약화시켰다고 비난하며 7월 24일 완전 철수를 요구했다. 며칠 후 인민대회당에서 집회가 열려 이 결정을 발표하고 교사와 학생들에게 운동의 방향을 제시했다. 집회에서 당 지도자들은 대중에게 '두려워하지 말고' 당의 간섭 없이 운동을 주도하도록 격려했다.[3]
작업반 문제는 류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의미했으며, 문화대혁명의 전개 과정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마오와 당 지도부를 돌이킬 수 없게 분열시킬 것임을 시사했다. 8월 1일, 제8차 중앙위원회 제11차 전원회의가 소집되어 마오의 급진적 의제를 추진했다. 전원회의에서 마오는 류에 대한 경멸을 드러내며 그가 개회사를 하는 동안 여러 차례 그를 방해했다.[3]
7월 28일, 홍위병 대표들은 마오에게 혁명을 수호하기 위한 반란과 격변을 촉구하는 편지를 썼다. 마오는 그 편지에 답하여 "반혁명의 지휘소(즉, 본부)"를 겨냥하여 사람들을 결집시키는 ''본부를 포격하라''라는 제목의 자신의 대자보를 썼다. 마오는 공산 혁명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부르주아" 엘리트가 정부와 당의 "권력 지위"에서 여전히 번성하고 있다고 썼다.[9]
이름이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이 도발적인 성명은 류와 등이 이끄는 당 체제, 즉 중국의 자칭 "부르주아 본부"에 대한 직접적인 비난으로 해석되었다. 전원회의의 인사 변동은 당 서열의 급진적인 재편을 반영했다. 류와 등은 정치국 상무위원회 자리를 유지했지만 당 일상 업무에서 배제되었다. 린뱌오는 중국 공산당의 2인자로 승진했고, 류의 순위는 2위에서 8위로 떨어졌으며 더 이상 마오의 후계자가 아니었다.[9]
4. 2. 1966년 8월 이후
1966년 8월 16일, 전국에서 수백만 명의 홍위병이 마오쩌둥 주석을 만나기 위해 베이징에 모였다. 마오쩌둥과 린뱌오는 톈안먼 광장 단상에서 전국에서 올라온 약 1100만 명의 홍위병들에게 자주 모습을 드러내며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마오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위한 최근의 운동(즉, 문화대혁명)에서 보여준 홍위병의 행동을 칭찬했다.
"4구" 파괴 운동에서, 홍위병은 모든 종교활동을 핍박했다. 절, 서원, 교회, 수도원 등은 문을 닫았고, 더 나아가 약탈되거나 파괴되었다.[338] 홍위병은 4구라고 간주된 모든 것을 파괴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핍박 끝에 심문과 고문도 일어났고, 구타와 폭행을 견디지 못한 많은 이들이 자살을 선택하였다.
8월과 9월에 베이징에서만 홍위병에 의해 1,772명이 살해되었다. 상하이에서는 문화 대혁명에 관련되어 704명이 자살하고 534명이 살해되었다. 우한에서도 62명이 자살하고 32명이 살해당했다.[339] 관계 당국은 이런 홍위병의 폭력을 막는 것을 제지당하거나 방관적인 자세로 일관했다.
1968년까지 약 2년 동안(어떤 곳에선 더 오래 지속되기도 하였다), 홍위병과 같은 학생운동세력은 사회적 발언권과 권한을 늘렸고, 사회의 공산주의적 개편을 위한 자신들의 노력을 가속화했다. 그들은 공산주의의 발전과 강화를 위한 자신들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전단을 뿌렸고, "반혁명"혐의자라고 지목된 이들의 명단을 대자보에 공개했다. 그들은 집단을 이뤄 집회를 열고 교훈적인 연극을 상연했다. 또한 그들은 집회에서 자아비판을 행하고 "반혁명"혐의자 들을 비판했다.

마오를 비롯한 문화 대혁명의 수뇌부들과 "16개 항"은 물리적 수단보다는 언어적 수단의 투쟁을 권고했으나, 이런 활동은 결국 폭력으로 치닫기 일쑤였다. 그리고 활동가들 사이의 논쟁이 더욱 폭력적이 되어 급기야는 1967년 군부대에서 무기를 탈취하는 사건까지 일어났다. 문화 대혁명의 수뇌부들은 활동가들의 언어 투쟁이 폭력사태로 비화하는 것에 거의 간섭하지 않았고, 가끔은 "무투"를 장려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무기고 탈취 사태가 일어나자, 이러한 대중 운동을 억누르기 시작했다.
한편 류사오치는 카이펑으로 유배되었다가, 지병이 악화되었지만 의사가 치료를 거부하여 1969년 그곳에서 사망하였다. 덩샤오핑은 소위 "재교육"과정을 세번 거쳐 결국 엔진공장에서 일했다. 그는 이후 저우언라이에 의해 구제될 때까지 몇 년을 그곳에서 보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반혁명분자" 및 "우파"는 영영 돌아오지 못했다.
마오쩌둥은 홍위병의 행동을 칭송하였다. 1966년 8월 22일 마오는 공안이 홍위병의 행동을 제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의 공지문을 발표하였다. 홍위병의 행동을 제지하는 공안은 "반혁명세력"의 딱지가 붙어서 자신이 숙청의 대상이 되었다.
1966년 9월 5일, 마오는 모든 홍위병이 베이징을 순례하도록 권장하는 통지문을 발표하였다. 여기에 숙박비와 교통비는 정부가 부담한다는 것을 곁들였다. 10월 10일, 문혁의 수뇌부 중 한 명인 린뱌오는 류와 덩을 공개적으로 "주자파(자본주의 노선을 걷는 자)"로 비난하였다. 또한 펑더화이도 베이징에서 홍위병에 의해 자택에서 끌려나와 조리돌림되었다.

1966년 8월부터 11월까지 8차례의 대규모 집회가 열렸는데, 대부분 홍위병인 1200만 명이 참석했다.[3] 정부는 홍위병의 여행 경비를 부담했다.[3]
집회에서 린뱌오는 “사구” 즉, 구습, 구문화, 구관습, 구사상의 파괴를 촉구했다.[7] “사구” 운동과 관련된 일부 변화는 도시 거리, 장소, 심지어 사람들의 이름을 바꾸는 것과 같이 대체로 무해했다. 수백만 명의 아기들이 “혁명적인” 이름을 가지고 태어났다.[19]
그러나 다른 측면, 특히 문화와 종교 분야에서는 더 파괴적이었다. 전국적으로 역사 유적지들이 파괴되었다. 수도 베이징에서 그 피해가 특히 심했다. 홍위병들은 곡부 공자묘[3]와 다른 역사적으로 중요한 묘소와 유물들을 포위 공격했다.[22]
역사 및 외국 서적 도서관이 파괴되었고 책들이 불태워졌다. 사찰, 교회, 모스크, 수도원, 묘지가 폐쇄되고 때로는 다른 용도로 개조되거나 약탈되고 파괴되었다.[20] 마르크스주의 선전은 불교를 미신으로 묘사했고, 종교는 적대적인 외세 침투 수단이자 지배 계급의 도구로 간주되었다.[21] 승려들은 체포되어 수용소로 보내졌고, 많은 티베트 불교도들은 총칼 아래 자신의 수도원 파괴에 강제로 참여해야 했다.[21]


1966년 10월, 마오쩌둥은 주로 최신 이데올로기를 아직 받아들이지 않은 당 지도자들을 규합하기 위해 "중앙 공작 회의"를 소집했다.[3] 회의 후, 한때 강력한 온건파 권위자였던 류사오치는 가택 연금에 처해졌다가 구금 수용소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치료를 받지 못하고 1969년 사망했다. 덩샤오핑은 세 차례에 걸쳐 재교육을 받았고, 결국 장시성의 한 엔진 공장에서 일하게 되었다. 당 간부들의 반란은 이 회의 이후 가속화되었다.[24]
마카오에서는 12·3 사건 당시 폭동이 발생했다.[25] 이 사건은 식민 정부가 타이파에 있는 중국 공산당 초등학교의 새로운 건물 건설을 승인하는 것을 지연시킨 데서 비롯되었다.[25] 학교 측은 불법적으로 건설을 시작했지만, 식민 정부는 경찰을 보내 공사를 중단시켰다. 그 결과 발생한 난투극에서 여러 명이 부상을 입었다. 1966년 12월 3일, 이틀간의 폭동으로 수백 명이 부상을 입고 6~8명이 사망하면서 포르투갈 정부는 강력한 진압에 나섰다.[26] 이 사건은 포르투갈이 마카오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권을 포기하는 계기가 되었고, 마카오가 결국 중국에 편입되는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25]
1967년 초가 되자 다양한 풀뿌리 정치 조직들이 결성되었다. 홍위병과 학생 반란 집단 외에도 빈농 협회, 노동자 피켓, 마오쩌둥 사상 연구회 등이 있었다.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은 이러한 단체들에게 "결합"할 것을 장려했고, 이들은 여러 연합체에 가입하여 다양한 단체 간의 회의와 집회를 열었다.[199]
대중 조직들은 마오쩌둥의 공산당 숙청을 지지하는 급진파와 온건파 당 지도부를 지지하는 보수파라는 두 개의 적대적인 파벌로 결집되었다. "좌파 지지" 정책은 1967년 1월에 수립되었다.[27] 마오쩌둥의 정책은 반란군이 권력을 장악하도록 지원하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인민해방군은 "권력 장악 투쟁에서 광대한 혁명 좌파 대중을 지원"해야 했다.[27]
1967년 3월, 이 정책은 인민해방군 병력이 전국 각지의 학교와 사업장에 파견되어 정치적 혼란을 안정시키고 파벌 간의 전쟁을 종식시키는 "삼지이군" 계획으로 발전되었다.[28] 세 가지 "지원"은 "좌파 지원", "내부 지원", "산업 지원"이었다. 두 가지 "군"은 "군사 관리"와 "군사 훈련"을 의미했다.[28] 거의 모든 대중 조직이 "좌파" 또는 "혁명적"이라고 주장하던 시기에 좌파를 지원하는 정책은 "좌파"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못했다.[27] 인민해방군 지휘관들은 당 지도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어 많은 군 부대가 급진파를 탄압하게 되었다.[29]
베이징의 사건에 자극받아 전국적으로 권력 장악 그룹이 형성되어 공장과 농촌으로 확장되기 시작했다. 상하이에서는 왕훙원이라는 젊은 공장 노동자가 기존의 홍위병 그룹을 대체하는 광범위한 혁명 연합을 조직했다. 1967년 1월 3일, 장춘치아오와 야오원위안 등 홍위병 중진들의 지원을 받은 이 급진 활동가 그룹은 천픽시안이 이끄는 상하이 시정부를 전복시켜 1월 폭풍으로 알려진 사건을 일으켰고, 그 자리에 상하이 인민공사를 수립했다.[30][10] 마오쩌둥은 그 후 이를 승인했다.[31]

상하이는 최초로 정부가 전복된 성급 정부였다.[31] 성급 정부와 국가 및 당 관료 조직의 많은 부분이 영향을 받았고, 권력 장악이 일어났다. 그 후 3주 동안 24개의 성급 정부가 더 전복되었다.[31] 지방 정부와 공산당 지부 대신 "혁명위원회"가 설립되었다.[32] 예를 들어 베이징에서는 세 개의 별개 혁명 그룹이 같은 날 권력 장악을 선언했다. 헤이룽장성에서는 판푸성이라는 지방 당 서기가 자신의 지도하에 있는 당 조직으로부터 권력을 장악했다. 심지어 일부 지도자들은 홍위병에게 전복되기를 요청하기도 했다.[3]
베이징에서 장칭과 장춘치아오는 부총리 타오주를 공격했다. 권력 장악 운동은 군대에도 나타났다. 2월에 저명한 장군 예젠잉과 천이, 그리고 부총리 탄전린은 이 운동의 극단적인 측면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명했고, 일부 당 원로들은 홍위병의 진정한 동기가 혁명적인 원로들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암시했다. 처음에는 미온적이었던 마오쩌둥은 2월 18일 정치국 회의에서 직접 반대파를 비난하고 급진파의 활동을 지지했다. 이 저항은 "2월 역류"[3]로 낙인찍히면서 당 내 비판자들의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잠재웠다.[7]

1967년 초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인민봉기가 제한적이었지만, 중국 전역에서 지방 정부가 붕괴되기 시작했다.[33] 혁명가들은 지배 정부와 당 조직을 해체했지만, 권력 장악이 중앙 지도부 없이 진행되면서 마오쩌둥의 혁명적 비전을 믿는 사람과 혼란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사람을 구분하기 어려워졌다. 경쟁하는 혁명 그룹의 형성과 오랫동안 존재해 온 지역 분쟁의 발생으로 파벌 간의 폭력 투쟁이 벌어졌다.
대중 조직과 군대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이에 따라 린뱌오는 군대가 급진파를 지원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동시에 군대는 권력 이양을 감당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일부 성과 지역을 장악했다.[7]
우한에서는 다른 많은 도시와 마찬가지로 보수적인 기득권을 지지하는 조직과 공격하는 조직 등 두 개의 주요 혁명 조직이 등장했다. 해당 지역을 담당하는 군 장성 천자이다오는 반체제 시위대를 강제로 진압했다. 마오쩌둥은 중앙 관리들의 대규모 수행원과 함께 우한으로 날아가 해당 지역에서 군의 충성심을 확보하려 했다. 1967년 7월 20일, 현지 선동가들은 왕리라는 마오쩌둥의 특사를 납치했는데, 이 사건은 우한 사건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 후 천자이다오는 베이징으로 보내져 장칭과 나머지 홍위병에 의해 재판을 받았다. 천자이다오의 저항은 인민해방군 내에서 마지막으로 나타난 주요 공개적 반대였다.[3]
사인방의 장춘치아오는 문화 대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홍위병이나 홍위병 본부 또는 "반란 노동자" 조직이 아니라 인민해방군이었다고 인정했다. 인민해방군 지역 주둔군이 마오쩌둥의 급진파를 지원했을 때 그들은 지역 정부를 성공적으로 장악할 수 있었지만, 협조적이지 않았을 경우 장악은 실패했다.[3] 거의 모든 주요 도시에서 폭력적인 충돌이 발생했다.[34]
우한 사건에 대한 대응으로 마오쩌둥과 장칭은 "인민해방군 장교단의 75%"에서 우익으로 간주하는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대중적 성격의 혁명 무장력"인 "노동자 무장 자위대"를 설립하기 시작했다.
충칭(무기 제조 센터)에서는 1967년 8월 전투에 1만 명에 가까운 전투원이 참여했고, 1000명에 가까운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청두에만 18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초우텬먼 항구 지역은 전차, 이동 포병 및 대공포가 사용된 전투에서 파괴되었다. 1967년 8월 28일 우중에서는 캉성이 인민해방군이 대립하는 후이족 파벌에 사격할 수 있도록 명령을 내려 약 100명이 사망하고 133명이 부상을 입었다. 정저우와 카이펑에서는 공장 충돌로 37명이 사망하고 290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300명의 "포로"가 발생했고 그중 2명은 생매장되었다. 상하이 디젤 엔진 공장에서는 왕훙원이 승리한 파벌을 이끌었던 전투에서 18명이 사망하고 983명이 부상을 입었다. 리안위안에서는 1967년 7월과 8월의 전투로 6명이 사망하고 68명이 부상을 입었다. 1967년 8월 13일 원저우에서는 두 개의 인민해방군 부대가 서로를 반란군으로 오인하고 사격하여 7명이 사망했다. 1967년 8월 10일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에서는 총격전으로 공황 상태에 빠진 상업용 조종사가 조기에 출발하여 일본인 승객 54명이 발이 묶였다. 1967년 3월 다칭 유전과 8월 안산 제철소에 군사 통제가 부과되었다.[3]
비정규 무기를 포함한 대량 살상 무기가 분쟁 중에 압수되었지만 직접 사용되지는 않았다. 시민들은 정부 지도자들의 거주지인 중난하이에 편지를 보내 병원성 세균, 독성 식물 샘플, 방사성 물질, 독가스, 독성 물질 및 기타 위험 물질을 보관하는 시설에 대한 공격을 경고했다. 창춘에서는 지질 연구소에서 일하는 반란군이 최초의 더티 봄을 개발하고 8월 6일과 11일에 두 개의 "방사성 자위 폭탄"과 두 개의 "방사성 자위 지뢰"를 실험했다.[3]
전국적으로 총 1877만 정의 총기, 14,828문의 포병, 271만 9545개의 수류탄이 민간인의 손에 들어갔다. 이들은 대부분 1967년에서 1968년 사이에 발생한 폭력 투쟁에 사용되었다. 충칭, 샤먼, 창춘에서는 전차, 장갑차, 군함까지도 전투에 배치되었다.[29]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마오쩌둥은 중국 농촌의 의료 서비스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다.[35] 1960년대 후반에 농촌 협동 의료 시스템(RCMS)이 개발되었다.[35] 이 시스템에서 각 대규모 생산 대대는 맨발의 의사들이 근무하는 의료 협동소를 설립했다.[35] 의료 협동소는 1차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35] 맨발의 의사들은 도시에서 훈련받은 의사들이 정착하지 않는 농촌 지역에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들은 기본적인 위생, 예방 의료, 가족 계획을 홍보하고 흔한 질병을 치료했다.[36] 예방 접종은 무료로 제공되었다.[35] 공공 의료는 중국 농촌에서 전염병을 억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다.[35] 중병 치료를 위해 농촌 주민들은 국영 병원으로 갔다.[35]
전년도에 홍위병 운동이 약화되면서 일부 베이징 대학교 캠퍼스에서는 남은 홍위병들의 폭력이 증가했다. 특히 칭화대학교에서 수천 명의 강경파 두 파벌이 계속해서 싸우면서 폭력이 심각했다. 마오쩌둥의 주도로 1968년 7월 27일, 수만 명의 노동자들이 폭력에 반대하는 구호를 외치며 칭화대 캠퍼스에 진입했다. 홍위병들은 평화적인 노동자들을 공격했지만, 결국 노동자들이 학생들의 무기를 빼앗고 캠퍼스를 점거했다.[38]
7월 28일, 마오쩌둥과 중앙그룹은 베이징에서 가장 중요한 홍위병 지도자 5명과 만나 운동의 과도한 폭력과 정치적 쇠진 문제를 논의했다.[38] 이는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마오쩌둥이 학생 지도자들과 직접 만나 이야기한 유일한 경우였다. 회의에 앞서 보낸 한 홍위병 지도자의 전보에서 일부 "흑수"가 노동자들을 선동하여 홍위병에 대항하게 했다는 주장에 대해 마오쩌둥은 학생 지도자들에게 "흑수는 바로 나다! …나는 [노동자들에게] 대학에서의 무장 투쟁을 해결하는 방법을 물었고, 그들에게 가서 살펴보라고 말했다."고 말했다.[38]
회의에서 마오쩌둥과 문화대혁명 중앙그룹은 "[우리는] 문화 투쟁을 원하며 무장 투쟁을 원하지 않는다" 그리고 "대중은 내전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38]

이 혁명은 4구를 파괴하고 4신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는데, 이름 변경과 머리 자르기부터 가옥 약탈, 문화재 파손, 사찰 훼손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10]
이 혁명은 자본주의적 사상을 조장한 계급 적들과 착취적인 가정 배경을 가진 사람들 또는 5악에 속한 사람들, 즉 요괴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유무죄와 관계없이 "요괴"로 여겨지는 수많은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규탄당하고, 모욕당하고, 구타당했다. 혁명적인 열정 속에서 학생들, 특히 홍위병들은 선생님을 규탄했고, 아이들은 부모를 규탄했다.[10] 많은 사람들이 학대 때문에 죽거나 자살했다. 1968년 젊은이들은 농민들로부터 배우기 위해 농촌으로 가는 하방운동에 동원되었고, 수백만 명이 도시를 떠나면서 문화대혁명의 가장 폭력적인 단계가 끝나는 데 기여했다.[151]
4. 3. 일월의 폭풍과 정리 작업
1967년 1월 3일, 린뱌오와 장칭은 언론을 통해 지방의 문화대혁명 지도자들에게 이른바 "일월의 폭풍(一月風暴)"을 일으키도록 부추겼다.[314][315][316][317][318] 이 운동으로 상하이의 많은 고위 공무원들이 비판받고 숙청되었다. 이로써 문화대혁명파였던 왕훙원이 상하이의 행정과 시 당(市黨)을 장악하게 되었다. 상하이의 지역 정부는 기능을 잃었고, 이를 "조반"이라 불렀다. 이러한 조반을 본따 각 관공서에서 하급 직원들이 상급자들을 몰아내는 일이 유행처럼 번졌다.베이징에서는 류샤오치와 덩샤오핑이 다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캉셩과 천보다 등은 타오주 부총리의 과오를 비판하며, 이를 기회로 삼았다. 이는 중앙 정부 내부와 지방 당 책임자들이 자신의 반대자나 정적을 "반혁명분자"로 몰아 숙청하는 권력 투쟁의 시작이었다.
1월 8일, 마오쩌둥은 "인민일보"를 통해 이러한 활동을 칭찬하며, 모든 지방 정부 지도자들이 자아비판과 함께 다른 사람을 비판하고 숙청하도록 권했다. 이로 인해 지방 정부 내에서 숙청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며 대규모 권력 투쟁이 발생했고, 지방 정부의 기능은 마비되었다. 숙청을 피하려면 자신이 "혁명활동"(즉 문화대혁명)에 참여해야 했지만, 이것이 반드시 안전을 보장하지는 않았다.
1966년 10월, 마오쩌둥은 주로 최신 이데올로기를 아직 받아들이지 않은 당 지도자들을 규합하기 위해 "중앙 공작 회의(中央工作會議)"를 소집했다.[3] 회의 후, 류샤오치는 가택 연금에 처해졌다가 구금 수용소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치료를 받지 못하고 1969년 사망했다. 덩샤오핑은 세 차례에 걸쳐 재교육을 받았고, 결국 장시성의 한 엔진 공장에서 일하게 되었다. 당 간부들의 반란은 이 회의 이후 가속화되었다.[24]
1968년 5월, 마오쩌둥은 대대적인 정치적 숙청을 시작했다. 많은 사람들이 재교육 수용소에서 일하기 위해 시골로 보내졌다. 일반적으로 이 운동은 문화대혁명 초기의 더욱 대중적인 단계의 반란군을 겨냥했다.[28] 7월 27일, 홍위병의 인민해방군에 대한 권력은 공식적으로 종식되었고, 당국은 홍위병의 손길이 닿지 않은 지역을 포위하기 위해 부대를 파견했다. 1년 후, 홍위병 세력은 완전히 해체되었는데, 마오쩌둥은 혼란이 자체적인 의제를 실행하고 혁명 이념에 반항하려는 유혹을 받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들의 목적은 대부분 달성되었고, 마오쩌둥과 그의 급진적인 동료들은 기존 권력을 대부분 전복시켰다.
9월 제8기 중앙위원회 제12차 확대회의에서 류샤오치는 중국 공산당에서 제명되었고 "부르주아지의 본부"로 낙인찍혔다.[37]
전년도에 홍위병 운동이 약화되면서 일부 베이징 대학교 캠퍼스에서는 남은 홍위병들의 폭력이 증가했다. 특히 칭화대학교에서 수천 명의 강경파 두 파벌이 계속해서 싸우면서 폭력이 심각했다. 마오쩌둥의 주도로 1968년 7월 27일, 수만 명의 노동자들이 폭력에 반대하는 구호를 외치며 칭화대 캠퍼스에 진입했다. 홍위병들은 평화적인 노동자들을 공격했지만, 결국 노동자들이 학생들의 무기를 빼앗고 캠퍼스를 점거했다.[38]
7월 28일, 마오쩌둥과 중앙그룹은 베이징에서 가장 중요한 홍위병 지도자 5명과 만나 운동의 과도한 폭력과 정치적 쇠진 문제를 논의했다.[38] 이는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마오쩌둥이 학생 지도자들과 직접 만나 이야기한 유일한 경우였다. 회의에 앞서 보낸 한 홍위병 지도자의 전보에서 일부 "흑수"가 노동자들을 선동하여 홍위병에 대항하게 했다는 주장에 대해 마오쩌둥은 학생 지도자들에게 "흑수는 바로 나다! …나는 [노동자들에게] 대학에서의 무장 투쟁을 해결하는 방법을 물었고, 그들에게 가서 살펴보라고 말했다."고 말했다.[38]
회의에서 마오쩌둥과 문화대혁명 중앙그룹은 "[우리는] 문화 투쟁을 원하며 무장 투쟁을 원하지 않는다" 그리고 "대중은 내전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38]
4. 4. 사회 전 부문으로의 자기비판 확산
1967년 2월, 장칭과 린뱌오는 마오쩌둥의 승인을 받아 "계급투쟁"을 군사 부문까지 확대했다. 동시에 자기비판과 퇴폐, 향락 문화에 대한 정리 작업이 공공 부문으로도 확산되었다.[3]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한 인민해방군의 많은 유력 지휘관들이 "군사 부문의 문화대혁명"에 대해 우려하거나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 전(前) 외교부장이자 군 원수인 천이는 정치국 회의에서 문화대혁명파가 군사 부문을 황폐화시키고 다음에는 당을 무너뜨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른 원수였던 네룽전, 쉬샹첸도 이러한 움직임에 큰 불만을 표시하였다.[3]그러나 이들은 미디어를 장악하고 있던 문화대혁명파 장춘차오, 야오원위안의 반격을 받아 "2월역류"(二月逆流)라는 낙인이 찍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3][7] 이들은 결국 홍위병의 비판을 받아 강제 예편됨과 동시에 당, 정부, 군의 요직에서 실각하였다.[3]
동시에 많은 홍위병 조직들도 분화하여 자신과 다른 혁명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다른 조직들을 서로 비판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상황은 혼란을 더욱 가중시켰다. 이에 장칭은 홍위병 내의 모든 불건전한 활동을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렸다.[3]
1966년 4월 6일, 류샤오치는 장칭과 캉성 일파로부터 공개적이고 광범위하게 비판받았고, 여기에 마오쩌둥이 가세하여 비판하였다. 이후 전국 각지에서 공개 비판 집회들이 열렸고, 장칭은 이에 참석하여 모든 "반혁명활동"을 규탄하였다.[3]
장칭은 이러한 분위기를 이용해 군사 부문까지 영향력을 확대했다. 그녀는 이러한 집회 중 가장 큰 규모로 열렸던 우한으로 가서 우한의 방위를 맡고 있던 천자이다오 장군을 비판하였다. 1967년 7월 22일, 장칭은 홍위병이 필요하다면 인민해방군을 대체하고 현존하는 군을 무력화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장칭의 선동으로 홍위병은 군대에 난입하여 약탈을 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일은 반혁명분자로 몰릴 것을 두려워한 군 지휘관들이 통제할 수 없어 1968년 가을까지 지속되었다.[3]
4. 5. 청년 하방(下放) 운동
1968년 마오쩌둥은 하방(下放) 운동을 시작했다. 10년 동안 지속된 이 운동 기간 동안 도시에 거주하는 젊은 부르주아 계급은 농촌으로 가서 노동 생활을 경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45] "젊은 지식인"이라는 용어는 최근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1970년대 후반, 이 학생들은 고향 도시로 돌아왔다. 이전에 홍위병을 지지했던 많은 학생들이 이 운동과 마오쩌둥의 비전을 지지했다. 따라서 이 운동은 홍위병을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동시켜 사회적 혼란을 줄이려는 수단이기도 했다. 또한 혁명 이념을 지리적으로 확산시키는 역할도 했다.[45]도시 지식인 청년들 사이에서는 실천주의 운동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들은 마오쩌둥의 혁명사상을 농촌에도 보급하고자 했다. 청년들은 자신의 청춘과 피와 생명을 이 '성전'에 내걸었다.[341] 1967년 10월, 베이징의 일단의 홍위병 그룹이 네이멍구로 갔다. 이것이 하방운동의 시작이었다.[342] 당시 문혁을 믿어 의심치 않은 순진한 그들은 '사회주의 농촌의 건설'과 '자신을 참된 공산주의자로 개조한다'는 꿈을 그렸다.[342] 하방은 한 세대의 삶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이는 홍위병 운동보다도 더욱 심각한 사회 운동이었다. 홍위병 운동이 청년들에게 '철저한 해방'이라는 큰 무대를 제공하고, 거기서 자유분방하게 청춘을 발산하게 한 것이었다면, 하방운동은 청년들을 급속히 하나의 운명 공동체에 몸을 던지게 했다.[342] 운명 공동체 속에서 한때 서로 다투던 그들은 서로를 이해하기 시작했다. 어제의 투쟁 상대인 다른 청년 그룹을 인정하고 받아들였다. 이렇게 홍위병 운동에서 철저하게 해방을 맛본 청년들은 하방을 통해 집단 인격과 공동 문화를 구축해갔고, 자신들만의 '성인 의식'을 완성시켰다.[343]
지식 청년들은 혁명의 실천에 참가한다는 정치적 사명을 갖고 농촌으로 나아갔다. 그들은 하방에 적극적이어서 변방의 가장 궁핍한 촌락을 고르곤 했다. 낮에는 밭에 나가 일했고, 저녁이면 농촌문제를 토론하고 농민 발전에 대해 연구했다.[344] 농촌 계몽에도 앞장서서 야학당을 개설하고 문맹자들에게 무료로 한자와 숫자를 가르치기도 했다. 그러나 외지인 지식청년에 대한 농촌 지역의 배척과 경계는 식자 청년들에게 적개심을 불러일으켰고, 반동 부르주아 자본가들이 획책하는 음모로 이해되었다.
제3세대라 불리는 지식 청년들은 자신들의 하방 경험을 혁명 제1세대의 전쟁 체험과 같은 것으로 보곤 한다. '혁명 빈농이 주인공인 농촌 사회'는 학교에서 배우던 사회주의의 '장밋빛 사회'가 아니었고, 학교에서 말하던 '좋은 아이'의 기준은 어려운 생존 환경 속에서는 전혀 통하지 않았다.[343] 학교에서 옳다고 배워왔던 것이 현실에서 무용지물이 되는 것과, 인맥과 연줄로 만사가 정해지는 농촌의 풍경, 그리고 이를 적당히 은폐하려는 농촌 문화에 지식 청년들은 좌절했다. 동시에 지식 청년들은 학교 교육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게 되었다. 철저한 적자생존의 법칙은 청년들의 가치관을 철저히 깨뜨렸다. 현실의 농촌 생활은 장밋빛과는 전혀 다른 혹독한 것이었다. 그들은 지금까지 받아 온 교육이 현실 사회와는 완전히 무관한 것이었음을, 척박한 들에서 힘들게 노동하며 온 몸으로 실감하게 된 것이다.[343]
4. 6. 1968년
1968년 봄, 이미 숭배의 대상이 된 마오쩌둥을 신격화시키려는 대규모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마오는 이런 시도를 자신의 "최고지침"으로 지지하였다. 1년 후 홍위병은 완전히 몇 개 파로 분열되었고, 갈등은 더 커졌다.[345]마오는 홍위병이 야기하고 있는 이러한 혼란이 중국 공산당의 지지기반에 해가 될 것을 우려했다. 마오의 입장에서는 홍위병이라는 존재로써 권력 회복이라는 목표를 대체로 달성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의 혼란은 원치 않았다. 이제 광범위한 파괴와 혼란을 부른 홍위병을 억제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7월 27일에는 인민해방군에 대한 홍위병의 우위는 공식적으로 종식되었고, 군대가 나서 홍위병을 진압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중앙정부는 병력을 파견하여 홍위병의 목표가 될 만한 곳들을 경비하였다.
10월 초반, 마오는 자신에게 충성하지 않는 고위 공직자를 겨냥한 캠페인을 시작하였다. 이런 사람들은 재교육의 명목으로 농촌으로 보내져 육체노동을 하게 되었다. 같은 달 제8차 중앙위원회의 제12차 전체회의에서는 류샤오치를 당에서 영구 제명하기로 결정하였고, 린뱌오가 당의 부주석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린을 "마오 주석의 친밀한 전우"로 호칭하기 시작하였다.[345] 이는 마오의 후계자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린은 마오에 이어 권력 서열 2위로 뛰어올랐다.
마오는 하방운동의 자발적이고 전국적인 전개 과정을 주목하였다. 1968년 12월 마오는 "지식청년들이 농촌으로 가서 다시 배우자"고 주장하면서 "상산하향운동"(上山下鄕) 운동을 개시하였다. 약 10년간 계속된 이 운동에서 도시에 살고 있던 지식청년들이 농촌으로 가서 그곳에서 육체노동을 하도록 명령받았다. 여기서 말하는 "지식청년"은 최근에 중학교(대한민국 학제로는 고등학교에 해당)를 졸업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이었다. 외지의 이질적인 문화로 고통받으면서도 지식청년층들은 마오의 혁명 사상 전파와 사회주의 신농촌 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70년 후반에, 이런 "지식청년"은 도시로 돌아오는 것을 허락받았다. 이 운동은 홍위병들을 도시에서 농촌으로 보내 사회적 분란을 감소시키려는 의미도 부분적으로 있었다.

1968년 봄, 마오쩌둥의 명성을 높이기 위한 대규모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망고 광풍"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8월 4일, 파키스탄 외무장관 시에드 샤리프우딘 피르자다가 외교적 제스처로 마오쩌둥에게 망고를 선물했다.[39] 마오쩌둥은 8월 5일 자신의 보좌관을 통해 망고 상자를 칭화대학교에 있는 선전팀으로 보냈는데, 이들은 붉은 근위대 파벌 간의 갈등을 진압하기 위해 그곳에 주둔하고 있었다.[40][39] 8월 7일, 인민일보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렸다.
> 5일 오후, 마오쩌둥 주석이 수도 노동자·농민 마오쩌둥 사상 선전대에 망고를 선물했다는 희소식이 칭화대학교 캠퍼스에 전해지자 사람들은 곧바로 위대한 지도자 마오쩌둥 주석이 선물한 선물 주위에 모여들었습니다. 그들은 열정적으로 외치며 흥분하여 노래를 불렀습니다. 눈에는 눈물이 글썽였고, 그들은 다시 한번 가장 사랑하는 위대한 지도자께서 무한히 만수무강하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했습니다… 그들은 모두 자신의 직장에 전화를 걸어 이 기쁜 소식을 알렸고, 밤새도록 온갖 축하 행사를 열었으며, 비가 오는 와중에도 중난하이에 도착하여 좋은 소식을 전하고 위대한 지도자 마오쩌둥 주석에 대한 충성을 표했습니다.[40]
이후 기사들에서도 망고를 선전했으며,[41] 인민일보에 실린 또 다른 시에는 "황금 망고를 보니/마치 위대한 지도자 마오쩌둥 주석을 본 듯/다시금 황금 망고를 만지니/황금 망고는 너무나 따뜻했다"라고 적혀 있었다.[42] 당시 망고를 본 사람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망고는 "불로초처럼 극히 희귀한 과일"로 여겨졌다.[42]
한 개의 망고는 베이징 직물 공장으로 보내졌고,[40] 그곳의 혁명 위원회는 망고를 기리는 집회를 열었다.[41] 노동자들은 마오쩌둥어록을 낭독하고 선물을 축하했다. 제단에는 과일이 눈에 띄게 전시되었다. 며칠 후 망고가 썩기 시작하자 과일의 껍질을 벗겨 삶았다. 그러자 노동자들이 줄을 서서 각자 한 숟가락씩 망고 물을 받았다. 혁명 위원회는 밀랍으로 만든 모형을 만들어 공장에 전시했다.[40]
몇 달 동안 "망고 광풍"이 불면서 이 과일은 마오쩌둥에 대한 "무한한 충성" 캠페인의 중심이 되었다. 더 많은 망고 모형이 만들어졌고, 이 모형들은 베이징과 다른 지역으로 순회 전시되었다. 많은 혁명 위원회가 외곽 지방에서 베이징의 망고를 방문했다. 청두에 도착했을 때 약 50만 명의 사람들이 모형을 맞이했다. 망고와 마오쩌둥이 그려진 배지와 벽보 수백만 개가 생산되었다.[40]
이 과일은 선전팀에 참여했던 모든 기관에 나눠졌고, "귀한 선물"(망고가 알려진 이름)을 지지하는 대규모 행렬이 조직되었다.[43] 한 소도시의 치과의사 한 박사는 망고를 보고 특별한 것이 아니라 고구마처럼 생겼다고 말했다. 그는 "악의적인 중상모략"으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고 마을 전체를 공개적으로 행진한 후 총살당했다.[42][44]
마오쩌둥이 학생들 간의 파벌 싸움을 종식시키기 위해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노력하는 노동자들을 지지하기 위해 망고를 이용했으며, 이는 "마오쩌둥의 상징적 지지 전략의 좋은 예"라고 주장되어 왔다.[41] 1969년 초까지 베이징에서 마오쩌둥 사상 학습반에 참가한 사람들은 대량 생산된 망고 모형을 가지고 돌아와 지방에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43]
1968년에는 청소년들이 농촌에서 배울 필요가 있다는 명목으로 대규모 징농과 지방 이송인 상하산향운동(일반적으로 하방이라고 불림)이 시작되었다.[244][245] 많은 청소년들이 가혹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사망했다.
홍위병 운동에서 하방[246] 종식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의 고등교육은 기능을 정지했고, 이 세대는 교육적, 윤리적으로 큰 악영향을 받았으며, 이들 청소년들이 국가를 이끌어가는 나이가 된 현재에도 중화인민공화국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해진다.
5. 정계의 변화
문화대혁명의 표면적인 구실은 "낡은 문화를 비판하고 새로운 공산주의 문화를 만들자"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권력에서 밀려난 마오쩌둥이 자신의 권력을 되찾기 위해 프롤레타리아 민중과 학생 운동을 이용해 덩샤오핑을 비롯한 시장경제 옹호파를 공격한 권력 투쟁이었다.[314][315][316][317][318]
1966년 5월 16일,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이었던 마오쩌둥은 부르주아 계급의 자본주의, 봉건주의, 관료주의 요소가 당과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며 이를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청년 학생과 민중들이 "혁명 후의 영구적 계급 투쟁"을 통해 인민민주독재를 확고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는 홍위병 운동으로 이어졌다. 마오쩌둥은 소련의 수정주의가 중국에서 재현되는 것을 막고 이상적인 공산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문화대혁명을 시작했다고 주장했지만,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덩샤오핑과 류샤오치에게 권력이 넘어가자 이를 되돌리기 위해 시도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1969년 마오쩌둥은 공식적으로 문화대혁명이 끝났다고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1976년 그의 사망과 사인방 체포까지의 혼란과 변혁을 통틀어 문화대혁명 기간이라고 부른다.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수십만에서 2천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319][320] 베이징의 "붉은 8월"을 시작으로 광시 대학살 (대규모 식인 풍습 발생), 내몽골 사건, 광동 대학살 등 중국 전역에서 학살이 일어났다. 중국 공산당은 1981년 문화대혁명을 마오쩌둥의 과오라고 공식 발표했으며, 린뱌오와 사인방도 주요 책임자로 지목되었다.
1966년 10월, 마오쩌둥은 "중앙 공작 회의"를 소집하여 당 지도자들을 규합하려 했다.[3] 회의 후, 류샤오치는 가택 연금되었다가 수용소에서 사망했고, 덩샤오핑은 재교육을 받았다.[24]
1966년 8월 5일, 마오쩌둥은 “사령부를 포격하라”라는 대자보를 발표하여 홍위병들에게 덩샤오핑과 류샤오치 등에 대한 공격을 지시했다. 홍위병들은 “반란은 정당하다”라는 슬로건으로 관료와 당 간부에 대한 공격을 정당화했다.
류샤오치와 덩샤오핑 지지자, 펑더화이, 허룽 등은 홍위병들에게 가혹한 비판과 비방을 당했다. “비투대회”라는 공개 비판 및 린치가 매일 열렸고, 실권파와 반혁명분자로 몰린 사람들은 자기비판을 강요당했다.
라오서, 푸레이, 젠보찬, 저우안핑 등 저명한 문화인들은 린치와 폭행에 지쳐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류샤오치와 펑더화이를 비롯한 많은 공산당 요인들이 박해 끝에 사망했다.
1969년 4월, 제9차 전국대표대회는 새로운 사상과 간부들을 통해 당을 "재활성화"하려는 목적으로 개최되었다.[3] 당원들의 선거 대신 혁명위원회에 의해 대표자들이 선출되었고, 군부의 대표성이 증가하여 새로운 중앙위원회에 인민해방군(PLA) 구성원이 더 많이 선출되었다(28% 이상). 고위직으로 승진한 많은 장교들은 린뱌오에게 충성했고, 이는 군부와 민간 지도부 간의 새로운 갈등을 야기했다.[3]
린뱌오는 마오쩌둥을 제외한 당의 가장 중요한 인물로 공식 승격되었으며, 그의 이름은 당 헌법에 "가장 가까운 전우"이자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후계자"로 기록되었다.[3] 린뱌오는 야오원위안과 장춘차오가 작성한 기조연설을 통해 류소치와 다른 "반혁명분자"들을 비판하고, 『작은 빨간 책』의 인용문을 광범위하게 인용했다. 이 대회는 마오쩌둥 사상의 중심적 역할을 확고히 했고, 당 헌법에서 마오쩌둥 사상을 공식적인 지도 이념으로 다시 도입했다. 또한 마오쩌둥, 린뱌오, 천 보다, 저우언라이, 캉 생을 새로운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했다.[3] 린뱌오, 천보다, 캉셩은 모두 문화대혁명의 수혜자였으며, 저우언라이는 대회에서 린뱌오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3]
1970년 초, 마오쩌둥과 중국 공산당 중앙은 일타삼반 운동을 시작했다.[102] 1970년부터 1972년 사이에 많은 "소형 범죄자"들이 처형되거나 자살을 강요당했다.[47][48] 문화대혁명 이후 발표된 정부 통계에 따르면, 이 운동 기간 동안 187만 명이 반역자, 스파이, 반혁명분자로 박해를 받았고, 1970년 2월부터 11월까지 28만 4,800명 이상이 체포되거나 사망했다.[102]
마오쩌둥의 당과 국가 기관 재편 노력은 엇갈린 결과를 낳았다. 베이징의 정치 상황은 안정되었지만, 일부 성의 상황은 여전히 불안정했다. 제9차 전국대표대회가 문화대혁명의 일시적 승리를 기록했다는 선언에도 불구하고, 많은 폭력적인 파벌 투쟁이 지방 차원에서 계속되었다.[3] 린뱌오의 인민해방군 진영과 장춘차오가 이끄는 급진파 진영 사이의 파벌 분열은 심화되었고, 장춘차오에 대한 개인적인 반감은 천보다를 포함한 많은 민간 지도자들을 린뱌오에게 더 가깝게 만들었다.[49]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중국은 소련과 미국 모두에 대한 적대감을 선포하면서 국제적으로 고립되었다. 1969년 3월 우수리 강에서 발생한 국경 충돌 이후 소련과의 마찰이 심화되면서 중국 지도자들은 총력전을 준비했다.[3] 1969년 10월, 당은 파벌 억압보다는 전쟁 준비에 더 집중하려고 시도했고, 고위 지도자들은 베이징에서 대피했다. 린뱌오는 10월 18일 인민해방군의 11개 군구에 전쟁 준비를 위한 것으로 보이는 행정 명령을 내렸는데, 이는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지명된 그가 자신의 권한을 찬탈한 증거라고 본 마오쩌둥의 분노를 샀다.[3] 전쟁 가능성은 인민해방군의 국내 정치적 중요성을 높여 린뱌오의 위상을 높였다.[3] 일부 증거에 따르면 마오쩌둥은 소련과의 군사적 대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인민해방군의 지배를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도록 압력을 받았다.[3] 1972년 리처드 닉슨과의 후속 회담에서 마오쩌둥은 린뱌오가 미국과의 관계 개선에 반대했다고 암시했다.[3]
린뱌오가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확정된 후, 그의 지지자들은 류사오치의 숙청 이후 마오쩌둥에 의해 폐지되었던 국가주석직의 복원에 집중했다. 중앙정치국 내부의 의견 일치는 마오쩌둥이 주석직을 맡고 린뱌오가 부주석이 되는 것이었지만, 마오쩌둥은 명시적으로 반대했다.[3]
1970년 8월 말에 열린 뤄산(廬山) 제9차 당 전국대표대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파벌 간의 경쟁이 심화되었다. 린뱌오에 충성하는 인민해방군 파벌과 연합한 천보다는 마오쩌둥의 뜻에도 불구하고 중국 주석직의 복원을 위한 지지를 결집했다. 천보다는 장춘차오에 대한 마오쩌둥의 유산 평가를 공격했고,[3] 이는 마오쩌둥에게 문화대혁명에 대한 간접적인 공격으로 해석되었을 수 있다. 마오쩌둥은 천보다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거짓 마르크스주의자"[3]라고 규탄하고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해임했다. 또한 린뱌오의 주요 장군들에게 자기비판을 쓰도록 요구하여 린뱌오에게 경고를 보냈고, 자신의 지지자 여러 명을 중앙군사위원회에 임명하고 베이징군구의 지도적 역할에 충성스러운 사람들을 배치했다.[3]
1975년, 사인방은 덩샤오핑을 수호전의 송강에 비유하며 「수호전 비판」을 덩샤오핑 공격에 이용했다.
1981년 6월 제11기 중앙위원회 제6차 전체회의에서 채택된 「건국 이래 당의 몇 가지 역사적 문제에 관한 결의」(역사 결의)에서는 문화대혁명을 “마오쩌둥이 잘못 발동하여 반혁명 집단에 이용당함으로써 당과 국가 및 각 민족 인민에게 중대한 재난을 가져온 내란”으로 규정하고, 완전한 잘못이었음을 공식적으로 확인하였다.
마오쩌둥에 대해서는 덩샤오핑의 “7할의 공, 3할의 과”라는 발언이 당의 견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비록 교과서[283]에 언급되기는 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은 현재 실질적인 언론 통제 하에 있기 때문에 “린뱌오, 사인방이 중국 공산당과 마오쩌둥을 이용했다”는 서술로 그쳤다.
2006년 5월, 문화대혁명 발발 40주년을 맞았지만, 중국 공산당의 지시로 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는 일절 보도되지 않았다. 이처럼 “문화대혁명”은 중화인민공화국 내 언론에서 건드려서는 안 되는 정치적 금기 중 하나가 되었다.
2012년 3월 15일, 충칭에서 문화대혁명 시대를 긍정하는 “창홍” 운동을 전개했던 보시라이가 실각했다(보시라이 사건). 원자바오 총리는 보시라이를 비판하며 “문화대혁명의 잘못과 봉건적인 영향은 완전히 청산되지 않았다. 정치 개혁을 성공시키지 않으면 '''역사적 비극'''을 되풀이할 우려도 있다[284]”고 문화대혁명을 거론했다.
2016년 문화대혁명 50주년에는 각지에서 다양한 심포지엄이 개최되었지만, 중국에서는 문화대혁명 관련 연구회가 열리지 않았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에서 열린 “중국과 마오이즘의 유산-문화대혁명 50주년 국제 심포지엄”에서 페리 링크(프린스턴 대학교)는 미국 남북 전쟁 심포지엄을 예로 들며 문화대혁명 관련 연구회를 열 수 없는 중국의 현실을 비판했다.[285]
2018년 9월 개정된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서는 문화대혁명이 마오쩌둥의 “잘못”이었다는 표현에서 “수고와 탐색”이라는 표현으로 바뀌었고, 문화대혁명은 “십년대난(十年浩劫, 10년간의 대재난)”에서 “십년간의 고난과 탐색 및 건설 성취”로 바뀌었다.[286]
2018년 11월, 문화대혁명 특유의 “풍차오”(마을 전체가 반혁명적인 인물로 간주된 인물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행위)가 갑자기 부활했다는 보도가 있었다.[287]
마오쩌둥에 대한 권력 집중이 문화대혁명의 비극을 가져온 반성에서 덩샤오핑은 “'''개인숭배의 금지'''”를 중국 공산당 당규약에 도입했지만, 2022년 현재 시진핑(공산당 총서기) 하에서 유명무실해졌고, 중국인들에 의한 시진핑 찬양과 개인숭배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288]
5. 1. 린뱌오의 득세와 몰락

공식 발표에 따르면, 1971년 9월 13일 린뱌오, 그의 아내 예췬, 아들 린리궈와 그 참모들이 소련으로 망명하려다 몽골 상공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전원 사망했다. 소련 조사팀은 조종사가 레이더를 피하려 저공 비행 중 고도를 잘못 판단했을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정확한 추락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 공식 발표는 린뱌오의 소련 망명 이유, 비행 경로, 탑승자 신원, 쿠데타 발생 여부 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외국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다.[49][50]
9월 13일, 정치국은 긴급 회의를 열어 린뱌오 문제를 논의했고, 9월 30일 베이징에서 그의 사망이 확인되면서 다음 날 예정된 국경절 기념 행사가 취소되었다. 중앙위원회는 두 달 뒤에야 린뱌오 사망 소식을 대중에게 발표했고, 많은 린뱌오 지지자들은 홍콩으로 피신했으며, 중국 본토에 남은 사람들은 숙청되었다.[49]
린뱌오 사건은 마오쩌둥의 절대 권위를 정당화하는 근거를 부정하는 것이었기에 당 지도부에 큰 충격을 주었다. 사건 이후 수개월 동안 당 정보 기구는 대중에게 알릴 "올바른 방법"을 찾기 위해 고심했지만, 세부 사항이 드러나면서 대다수 중국인들은 환멸을 느끼고 정치적 목적에 조종당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49]
5. 1. 1. 당내 권력 이동

린뱌오는 1968년 이후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내정되면서 중국 지도부에서 가장 유력한 인물이 되었다. 그러나 1971년 9월, 린뱌오가 탑승한 비행기가 몽골 상공에서 추락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중국과 전 세계는 큰 충격을 받았다. 1968년과 1971년 사이에 린뱌오와 관련된 사건들은 현재까지도 민감한 사안으로, 정확하고 타당성 있게 검증하기 어렵다.[346] 린뱌오의 부상과 몰락, 그리고 죽음은 여전히 역사가들의 주요 쟁점이며,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1969년 4월 1일, 중국공산당의 9차 중앙위원회에서 린뱌오는 가장 큰 승리자로 떠올랐고, 공식적으로 중국의 제2인자가 되었다. 국방부장을 오랫동안 역임한 그는 군부에 대한 영향력도 매우 컸다. 린뱌오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였던 류샤오치는 이미 숙청되었고, 저우언라이는 고령으로 인해 영향력이 약해지고 있었다.
제9차 중앙위원회는 린뱌오가 제출한 정치보고로 시작되었다. 이 보고는 류샤오치와 다른 "반혁명세력"을 비판하고, 마오쩌둥 어록을 지속적으로 인용하는 내용으로 채워졌다. 두 번째 안건은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지명된 린뱌오에 맞춰 당을 새롭게 건설하는 것이었다. 모든 사안에서 마오쩌둥의 이름은 "마오 주석과 린 부주석"과 같이 린뱌오와 함께 언급되었다. 새롭게 선출된 정치국 상무위원은 마오쩌둥, 린뱌오, 천보다, 저우언라이, 캉셩으로 구성되었다. 새로운 정치국은 문화대혁명에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들로 대부분 채워졌다. 저우언라이는 정치국에 남았지만, 서열은 5명 중 4위로 위상이 축소되었다.
1966년 10월, 마오쩌둥은 당 지도자들을 규합하기 위해 "중앙 공작 회의"를 소집했다.[3] 회의 후, 류샤오치는 가택 연금되었다가 수용소로 보내져 치료를 받지 못하고 1969년에 사망했다. 덩샤오핑은 재교육을 받았고, 장시성(江西省)의 엔진 공장에서 일하게 되었다. 당 간부들의 반란은 이 회의 이후 가속화되었다.[24]
1969년 4월에 개최된 제9차 전국대표대회는 새로운 사상과 간부들을 통해 당을 "재활성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했다.[3] 20년 전에 수립된 당의 틀은 거의 붕괴되었고, 당원들의 선거 대신 혁명위원회에 의해 대표자들이 선출되었다.[3] 군부의 대표성은 이전보다 훨씬 증가했고, 새로운 중앙위원회에 더 많은 인민해방군(PLA) 구성원이 선출되었다(28% 이상). 고위직으로 승진한 많은 장교들은 린뱌오에게 충성했고, 이는 군부와 민간 지도부 간의 새로운 갈등을 야기했다.[3]
린뱌오는 마오쩌둥을 제외한 당의 가장 중요한 인물로 공식 승격되었으며, 그의 이름은 당 헌법에 "가장 가까운 전우"이자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후계자"로 기록되었다.[3] 당시 세계 어느 곳의 공산당이나 정부도 현 지도자의 후계자를 헌법에 명시하는 관행은 없었다. 린뱌오는 야오원위안과 장춘차오가 작성한 기조연설을 했다.[3] 이 보고서는 류소치와 다른 "반혁명분자"들을 비판하고, 『작은 빨간 책』의 인용문을 광범위하게 인용했다. 이 대회는 당 내에서 마오쩌둥 사상의 중심적 역할을 확고히 했고, 당 헌법에서 마오쩌둥 사상을 공식적인 지도 이념으로 다시 도입했다. 이 대회는 마오쩌둥, 린뱌오, 천 보다, 저우언라이, 캉 생을 새로운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했다.[3] 린뱌오, 천보다, 캉셩은 모두 문화대혁명의 수혜자였다. 저우언라이는 대회에서 린뱌오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3] 마오쩌둥은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중앙문혁소조(CCRG)가 사실상 통제권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기능을 중단했던 정치국 운영 등 일부 공식적인 당 기관의 기능을 회복시켰다.[3]
1970년 초, 마오쩌둥과 중국 공산당 중앙은 일타삼반 운동을 시작했다.[102] 1970년부터 1972년 사이에 많은 "소형 범죄자"들이 처형되거나 자살을 강요당했다.[47][48] 문화대혁명 이후 발표된 정부 통계에 따르면, 이 운동 기간 동안 187만 명이 반역자, 스파이, 반혁명분자로 박해를 받았고, 1970년 2월부터 11월까지 28만 4,800명 이상이 체포되거나 사망했다.[102]
마오쩌둥의 당과 국가 기관 재편 노력은 엇갈린 결과를 낳았다. 베이징의 정치 상황은 안정되었지만, 일부 성의 상황은 여전히 불안정했다. 제9차 전국대표대회가 문화대혁명의 일시적 승리를 기록했다는 선언에도 불구하고, 많은 폭력적인 파벌 투쟁이 지방 차원에서 계속되었다.[3] 마오쩌둥이 대회에서 통일된 모습을 보이려 노력했음에도, 린뱌오의 인민해방군 진영과 장춘차오가 이끄는 급진파 진영 사이의 파벌 분열은 심화되었다. 장춘차오에 대한 개인적인 반감은 천보다를 포함한 많은 민간 지도자들을 린뱌오에게 더 가깝게 만들었다.[49]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중국은 소련과 미국 모두에 대한 적대감을 선포하면서 국제적으로 고립되었다. 1969년 3월 우수리 강에서 발생한 국경 충돌 이후 소련과의 마찰이 심화되면서 중국 지도자들은 총력전을 준비했다.[3] 1969년 6월, 인민해방군의 정치 규율 강화와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등장한 파벌 억압은 중앙 당의 제3전선 가속화 노력과 얽히게 되었다. 일에 복귀하지 않은 사람들은 '분열 행위'에 가담한 것으로 간주되어 중국의 잠재적 침략으로부터의 방어 준비를 약화시킬 위험에 처했다.[4]
1969년 10월, 당은 파벌 억압보다는 전쟁 준비에 더 집중하려고 시도했다.[4] 그달 고위 지도자들은 베이징에서 대피했다. 린뱌오는 10월 18일 인민해방군의 11개 군구에 전쟁 준비를 위한 것으로 보이는 행정 명령을 내렸다. 이는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지명된 그가 자신의 권한을 찬탈한 증거라고 본 마오쩌둥의 분노를 샀다.[3] 전쟁 가능성은 인민해방군의 국내 정치적 중요성을 높여 마오쩌둥을 희생시키면서 린뱌오의 위상을 높였다.[3] 일부 증거에 따르면 마오쩌둥은 소련과의 군사적 대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인민해방군의 지배를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도록 압력을 받았다.[3] 1972년 리처드 닉슨과의 후속 회담에서 마오쩌둥은 린뱌오가 미국과의 관계 개선에 반대했다고 암시했다.[3]
린뱌오가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확정된 후, 그의 지지자들은 류사오치의 숙청 이후 마오쩌둥에 의해 폐지되었던 국가주석직의 복원에 집중했다. 그들은 린뱌오가 주석 또는 부주석이든 헌법적으로 승인된 역할을 맡도록 함으로써 린뱌오의 계승을 제도화하기를 바랐다. 중앙정치국 내부의 의견 일치는 마오쩌둥이 주석직을 맡고 린뱌오가 부주석이 되는 것이었지만, 마오쩌둥은 명시적으로 반대했다.[3]
1970년 8월 말에 열린 뤄산(廬山) 제9차 당 전국대표대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파벌 간의 경쟁이 심화되었다. 린뱌오에 충성하는 인민해방군 파벌과 연합한 천보다는 마오쩌둥의 뜻에도 불구하고 중국 주석직의 복원을 위한 지지를 결집했다. 천보다는 장춘차오에 대한 마오쩌둥의 유산 평가를 공격했다.[3] 장춘차오에 대한 공격은 많은 전체회의 참석자들의 호응을 얻었고, 마오쩌둥에게는 문화대혁명에 대한 간접적인 공격으로 해석되었을 수 있다. 마오쩌둥은 천보다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거짓 마르크스주의자"[3]라고 규탄하고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해임했다. 천보다의 숙청 외에도, 마오쩌둥은 린뱌오의 주요 장군들에게 그들의 정치적 입장에 대한 자기비판을 쓰도록 요구하여 린뱌오에게 경고를 보냈다. 마오쩌둥은 또한 자신의 지지자 여러 명을 중앙군사위원회에 임명하고 베이징군구의 지도적 역할에 충성스러운 사람들을 배치했다.[3]
5. 1. 2. 린뱌오의 권력 기반 확장 시도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내정되었던 린뱌오는 1968년 이후 중국 지도부에서 가장 유력한 인물이 되었다. 그러나 1971년 9월 린뱌오가 탄 비행기가 몽골 상공에서 추락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과 전 세계는 깜짝 놀랐다. 1968년과 1971년 사이 린뱌오와 관련된 사건들은 현재에도 사안의 민감성 때문에 정확하고 타당성 있게 검증하기 어렵다.[346] 린뱌오의 득세, 몰락, 죽음은 아직까지 역사가들의 주된 이슈이며,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다.
당시 린뱌오는 법적으로나 실제적으로나 마오쩌둥에 이어 2인자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린뱌오는 더 확실한 안전판을 원했다.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확정된 후, 린뱌오는 류샤오치의 실각으로 폐지된 국가주석 직을 복원하려 했다. 린뱌오는 마오쩌둥을 주석에 두고 자신은 부주석 자리를 가지려 했다.
1970년 8월 23일, 중국공산당 제9차 중앙위원회의 제2차 전체회의가 1959년에 이어 다시 루산에서 열렸다. 천보다는 첫 번째 연설자로 나서 간접적으로 자신을 높이려는 의도로 마오쩌둥을 찬양하고 우상화했다. 동시에 천보다는 국가주석제 복원을 제안했다. 그러나 마오쩌둥은 천보다의 제안을 크게 비판했고, 그를 정치국 상무위원에서 해임하였다.[347]
천보다의 상무위원직 해임은 린뱌오에 대한 경고로 받아들여졌다. 제9차 중앙위원회가 끝난 후에도 린뱌오는 계속 당직과 정무직에서 승진을 요구했다. 마오쩌둥은 린뱌오의 의도가 최고 권력을 차지하고 자신을 축출하려는 것이 아닌지 의심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마오쩌둥은 천보다가 제의한 국가주석직 신설도 의심의 눈으로 해석하기 시작했다. 즉, 주석인 마오쩌둥 사후에 부주석인 린뱌오가 자동적으로 승계하겠다는 의도로 판단한 것이다. 이것은 마오쩌둥에게 큰 위협이었다.
1969년 4월에 개최된 제9차 전국대표대회는 이전 몇 년간의 투쟁에서 상당수의 원로들이 제거된 후 새로운 사상과 새로운 간부들을 통해 당을 "재활성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했다.[3] 린뱌오는 마오쩌둥을 제외한 당의 가장 중요한 인물로 공식적으로 승격되었으며, 그의 이름은 당 헌법에 "가장 가까운 전우"이자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후계자"로 기록되었다.[3]
린뱌오의 지지자들은 류샤오치의 숙청 이후 마오쩌둥에 의해 폐지되었던 국가주석직의 복원에 집중했다. 그들은 린뱌오가 주석 또는 부주석이든 헌법적으로 승인된 역할을 맡도록 함으로써 린뱌오의 계승을 제도화하기를 바랐다. 중앙정치국 내부의 의견 일치는 마오쩌둥이 주석직을 맡고 린뱌오가 부주석이 되는 것이었지만, 마오쩌둥은 린뱌오의 야망에 대한 경계심이나 다른 알려지지 않은 이유로 명시적으로 반대했다.[3]
1970년 8월 말에 열린 뤄산(廬山) 제9차 당 전국대표대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파벌 간의 경쟁이 심화되었다. 린뱌오에 충성하는 인민해방군 파벌과 연합한 천보다는 마오쩌둥의 뜻에도 불구하고 중국 주석직의 복원을 위한 지지를 결집했다. 게다가 천보다는 문화대혁명의 혼란을 상징하는 굳건한 마오쩌둥주의자 장춘차오에 대한 마오쩌둥의 유산 평가를 공격했다.[3]
장춘차오에 대한 공격은 많은 전체회의 참석자들의 호응을 얻었고, 마오쩌둥에게는 문화대혁명에 대한 간접적인 공격으로 해석되었을 수 있다. 마오쩌둥은 천보다를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거짓 마르크스주의자"[3]라고 규탄하고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해임했다. 천보다의 숙청 외에도, 마오쩌둥은 린뱌오의 주요 장군들에게 그들의 정치적 입장에 대한 자기비판을 쓰도록 요구하여 린뱌오에게 경고를 보냈다. 마오쩌둥은 또한 자신의 지지자 여러 명을 중앙군사위원회에 임명하고 베이징군구의 지도적 역할에 충성스러운 사람들을 배치했다.[3]
5. 1. 3. 린뱌오의 쿠데타 기도
린뱌오는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내정된 후, 1968년부터 중국 지도부에서 가장 유력한 인물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1971년 9월, 린뱌오가 탑승한 비행기가 몽골 상공에서 추락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큰 충격을 주었다. 1968년에서 1971년 사이에 린뱌오와 관련된 사건들은 현재까지도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역사학자들 사이에서도 논쟁의 대상이다.[346]마오쩌둥은 린뱌오가 당과 정부 내에서 권력을 확장하려는 시도에 대해 의심을 품고 견제했다. 이로 인해 린뱌오는 심리적으로 좌절했고, 그의 권력 기반은 점차 축소되기 시작했다. 건강까지 나빠진 린뱌오는 비밀리에 쿠데타를 계획하게 된다.
五七一工程|우치이 공정중국어
린뱌오의 지지자들은 군사력을 이용하여 마오쩌둥을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린뱌오의 아들이자 공군 고위 지휘관이었던 린리궈 등은 상하이에서 마오쩌둥을 제거하기 위한 음모를 꾸몄다. 이 계획은 "五七一工程|우치이 공정중국어"으로 불렸는데, "571"의 중국어 발음 "우치이"는 "무장 봉기"를 뜻하는 중국어 단어(武起义|우치이중국어)와 발음이 같았다. 이 계획에는 주로 공군을 동원한 폭격과 병력 동원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성공할 경우 린뱌오는 모든 정적을 체포하고 최고 지도자가 될 예정이었다. 다만, 린뱌오가 이 계획에 얼마나 관여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일부 수정주의 역사학자들은 린뱌오보다는 그의 아들이 주도적으로 계획을 꾸몄다고 주장한다.
1971년 9월 8일부터 9월 10일 사이에 마오쩌둥을 암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음모는 실행 전에 지역 공안 당국에 의해 발각되었는데, 이들은 린뱌오 측이 군부대에서 요원들을 훈련시키는 것을 포착했다. 당시 남부 중국을 방문 중이던 마오쩌둥이 습격당했다는 여러 설과 보도가 있었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
여러 설 중에는 마오쩌둥이 전용 열차를 타고 베이징으로 돌아오던 중 위해를 입었다거나, 열차가 다리를 지날 때 폭파하려 했으나 정보기관이 미리 감지하여 마오쩌둥이 일정을 바꾸어 무사했다는 내용 등이 있다. 당시 마오쩌둥을 경호하기 위해 수많은 병력이 철로를 지켰다는 사실은 암살 시도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설들은 서로 모순되지만, 1971년 9월 11일 이후 린뱌오와 그의 부하들이 공개 석상에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많은 수가 홍콩으로 도피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약 20명의 육군 장군들이 체포되었다.
1971년 9월 13일, 린뱌오와 그의 부인 예췬, 아들 린리궈, 그리고 몇몇 보좌관들이 비행기를 타고 소련으로 도피하려 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그러나 이 비행기는 몽골에서 추락하여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
같은 날 정치국은 비상회의를 소집하여 린뱌오의 혐의에 대해 논의했다. 9월 30일, 린뱌오의 사망이 베이징에서 확인되면서, 10월 1일로 예정되었던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절(중화인민공화국 건국기념일) 행사가 취소되었다.
린뱌오가 탄 비행기의 추락 원인은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연료 부족이나 엔진 고장, 격추 등 다양한 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확실한 것은 밝혀지지 않았다.
결국 린뱌오의 쿠데타 기도는 실패로 끝났고, 그는 정치적으로 몰락했을 뿐만 아니라 목숨까지 잃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5. 2. 사인방의 대두와 몰락
린뱌오 사건 이후 마오쩌둥은 낙담하여 은둔 생활을 했다. 린뱌오가 사라지자 마오는 자신의 후계자를 정할 수 없었다. 갑작스러운 방향 상실을 감지한 마오는 과거에 비난했던 옛 동지들에게 손을 내밀었다. 1972년 9월, 마오는 38세의 상하이 간부 왕훙원을 베이징으로 불러 당 부주석으로 임명했다. 농민 출신의 전 공장 노동자였던 왕훙원은 후계자로 준비되는 듯 보였다.[3]린뱌오의 망명 이후 장칭의 지위는 강화되었다. 그녀는 급진파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마오의 건강이 악화되면서 장칭의 정치적 야망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녀는 왕훙원과 선전 전문가 장춘교, 요원위안과 연합하여 나중에 경멸적으로 "사인방"이라고 불리는 정치 파벌을 형성했다.[51]

1976년 1월 8일, 저우언라이는 방광암으로 사망했다. 1월 15일, 덩샤오핑은 저우언라이의 장례식에서 조사를 읽었는데, 이 장례식에는 중국의 모든 최고 지도자들이 참석했지만, 저우언라이를 점점 더 비판적으로 바라보던 마오쩌둥은 불참했다.[53][54] 저우언라이의 사망 후, 마오는 사인방이나 덩샤오핑 대신 상대적으로 무명이었던 화궈펑을 총리로 임명했다.[55]
사인방은 저우언라이에 대한 자발적인 대규모 민중의 지지가 정치적 상황을 자신들에게 불리하게 바꿀 수 있다는 우려를 품었다. 그들은 언론을 통해 저우언라이를 위한 공개적인 애도 표현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 문화대혁명에 대한 수년간의 분노, 덩샤오핑(저우언라이의 동맹으로 여겨짐)에 대한 공개적인 박해, 그리고 공개적인 애도 금지로 인해 마오쩌둥과 사인방에 대한 민중의 불만이 증가했다. 애도 제한을 강제하려는 공식적인 시도에는 공공 추모물 제거와 저우언라이의 업적을 기리는 포스터 철거가 포함되었다. 1976년 3월 25일, 상하이의 『문휘보』는 저우언라이를 "당 내부의 자본주의 도로를 걷는 자로서, 회개하지 않은 자본주의 도로를 걷는 자 [덩샤오핑]의 권력 회복을 돕고자 했다"고 묘사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그러나 저우언라이의 이미지를 훼손하려는 이러한 선전 노력은 오히려 대중의 저우언라이에 대한 기억에 대한 애착을 강화시켰다.[53]
1976년 9월 9일, 마오쩌둥이 사망하면서 문화대혁명은 막을 내리게 된다.
5. 2. 1. 저우와 덩에 대한 사인방의 적의
린뱌오 사건 이후, 장칭과 그녀의 추종자들(사인방)은 저우언라이와 덩샤오핑이 추진하는 경제 정책에 적대감을 드러냈다.[51] 1973년 말, 사인방은 "비림비공"(批林批孔, 린뱌오와 공자를 비판함) 운동을 개시했는데, 이는 사실상 저우언라이를 겨냥한 것이었다.[3] 사인방은 저우를 마오쩌둥 사후 후계 구도에서 가장 큰 잠재적 위협으로 보았다. 이 운동에서 저우언라이의 이름은 직접 거론되지 않았지만, 사인방은 역사적 인물인 주나라의 주공(周公)을 자주 비판하였는데, 이는 저우(周)씨였던 저우언라이를 은유한 것이라고 생각되었다.[3] 그러나 대중은 대체로 쓸데없고 파괴적인 정치적 운동에 식상하여 이 운동에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결국 실패했다.사인방은 미디어를 장악했지만, 덩샤오핑이 경제 정책 집행을 통해 실세로 떠오르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덩샤오핑은 당의 분파 운동에 명백히 반대했으며, 당의 단합이 효과적인 생산 활동의 전제 조건임을 주장했다. 그러나 마오는 덩의 정책을 "우파의 복권 운동"이라고 칭하며, 1975년 12월 덩에게 자아비판서를 쓰도록 했다. 이는 사인방으로부터 칭송을 받았다.[3]
1975년, 민중들에게 널리 사랑받던 수호전에 대해, 당초의 두목인 초개를 마오쩌둥이 자신과 동일시하며, 초개가 중간에 사망하고 뒤를 이은 송강이 조정에 투항한 스토리를 비판했다. 더 나아가, 사인방은 덩샤오핑을 송강에 비유하여 「수호전 비판」을 덩샤오핑 공격에 이용했다.
5. 2. 2. 마오의 사망, 사인방의 체포 및 문화대혁명의 종말
1976년 9월 9일, 마오쩌둥이 사망했다. 문화대혁명 동안 형성된 마오의 이미지는 대중과 항상 함께한 이상적인 인물이었다. 많은 이들에게 있어 마오의 죽음은 중국 사회주의의 상실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중앙위원회의 통지문으로 9월 9일 오후 그의 죽음이 발표되었을 때, 모든 사람이 슬픔에 잠겼고 추모 열기에 휩싸였다. 거리에서는 통곡하는 사람들로 넘쳐났고, 공공기관은 1주일 넘게 문을 닫았다.사망 직전에 마오는 화궈펑에게 "당신이 맡는다면, 나는 안심이다"라는 쪽지를 넘겼다고 전해진다. 이는 화궈펑을 당의 새로운 주석으로 등극하는 것을 정당화하였다. 이 사건 이전에는 화궈펑은 정치적 기술이나 야망이 부족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어서, 사인방이 마오를 계승하는 데 별로 위협이 될 것이라고 생각되지 않았다.
그러나 예젠잉과 같은 유력한 군 지도자와, 비록 몰락했지만 당에 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덩샤오핑, 그리고 인민해방군의 지지 아래 화궈펑은 사인방의 체포를 명령하였다. 10월 10일, 8341 특수연대는 사인방 전원을 체포하였다. 역사적으로는 이것을 문화대혁명 시대의 종말로 간주한다.
5. 3. 이후 상황 전개와 덩샤오핑의 집권
화궈펑은 공식적으로 사인방을 비판하고 그들을 체포했지만, 마오쩌둥의 이름을 빌려 마오 시대의 정책을 옹호하였다. 그는 "양개범시"(兩個凡是, 마오쩌둥이 '결정한 것'과 '지시한 것' 두 가지는 무엇이든 옳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마오 주석이 행한 정책은 모두 옳고, 이는 계속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307] 덩샤오핑과 마찬가지로 화궈펑의 목표도 문화대혁명으로 야기된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좀 더 실용적이었던 덩샤오핑과 달리 화궈펑은 1950년대 소련의 계획경제를 모델로 한 정치경제 구조를 선호하였다.화궈펑의 정무에는 재야에 있던 덩샤오핑의 도움이 필수적이었다. 사인방에 의해 당에서 축출되었지만, 덩샤오핑은 당내에서 두터운 신망을 얻고 있었다. 1977년 10월 10일, 덩샤오핑은 화궈펑에게 서한을 보내 자신을 복권, 복직시켜줄 것을 요구하였다. 당시 정치국 상무위원이었던 예젠잉은 덩샤오핑이 정무원에 복직되지 않으면 자신이 사임하겠다고 화궈펑을 압박했다는 설이 있다. 1977년 7월, 화궈펑은 덩샤오핑을 정무원으로 복직시켜 부총리에 임명하고 당직도 복원시켜주었다.
이로써 덩샤오핑은 화궈펑에 이어 제2의 실력자가 되었다. 8월 제11차 중앙위원회가 베이징에서 열려, 화궈펑, 예젠잉, 덩샤오핑, 리셴녠, 왕둥싱이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348]
1978년 5월, 덩샤오핑은 자신의 피후견인인 후야오방을 승진시킬 기회를 잡았다. 후야오방은 "광명일보(光明日報중국어)"에 기고하면서 마오쩌둥의 어록을 인용하여 덩샤오핑의 이론을 칭송했다. 이 기고문 발표 후, 후야오방과 덩샤오핑의 지지는 확산되었다. 7월 1일, 덩샤오핑은 대약진운동에 관한 마오쩌둥의 자아비판서를 공개하였다. 덩샤오핑은 1978년 9월부터 공개적으로 화궈펑의 "양개범시" 정책을 비판하였다.[349]
1978년 12월 18일, 중국공산당 제11차 중앙위원회의 제3차 전체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서 덩샤오핑은 "사상의 해방"이 바람직하며, 당과 국가는 "실사구시"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화궈펑은 자아비판을 하고, "양개범시"는 자신의 과오였다고 말했다. 마오쩌둥의 추종자였던 왕둥싱도 비판받았다. 이 회의에서 청명절에 열렸던 텐안먼 사건도 공식적으로 복권되었다. 유배 중 사망한 류사오치의 뒤늦은 국장도 치러졌다.[350]
1980년에 열린 제11차 중앙위원회의 제5차 전체회의에서는 문화대혁명 기간에 숙청된 펑전, 허룽 등의 정치적 복권이 이루어졌다. 후야오방은 당총서기가 되었고, 자오쯔양도 중앙위원회에 들어왔다. 같은 해 9월 화궈펑은 사임하고, 총리직은 자오쯔양이 계승하였다. 덩샤오핑은 중앙군사위원회의 의장을 맡았다. 이로써 실용적인 개혁파 지도자로의 권력 이동이 완성되었다.
6. 영향
문화대혁명은 마오쩌둥이 대약진 운동 실패 후 권력 회복을 위해 프롤레타리아 민중과 학생 폭력 운동을 동원하여 덩샤오핑 등 반대파를 숙청한 권력 투쟁이었다. 이 운동은 1966년 5월 16일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이었던 마오쩌둥의 제창으로 시작되었다.[314][315][316][317][318] 그는 부르주아 계급의 자본주의와 봉건주의, 관료주의 요소가 공산당과 중국 사회 곳곳을 지배하고 있으니 이를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십만에서 2천만에 이르는 추정 사망자가 발생하였고,[314][315][316][317][318] 베이징의 "붉은 8월"을 시작으로 광시 대학살 (대규모 식인 풍습 발생), 내몽골 사건, 광동 대학살 등 중국 본토 전역에서 학살이 일어났다.[319][320] 또한, 경제 활동은 "계속 혁명" 활동이 우선이라는 논리 앞에 정지되었고, 홍위병의 우선 수송은 철도망을 마비시켰다. 마오쩌둥 어록은 전인민의 성서로 우상화되어 누구나 휴대해야 했으며, 1967년 12월까지 3억 5천만 부가 인쇄되었다.[351]
문화대혁명은 중국 인민들 대부분에게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많은 경제 활동이 "계속 혁명" 활동이 우선이라는 논리 앞에 정지되었다.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많은 홍위병들이 베이징으로 몰려왔는데, 이 비용은 모두 정부가 부담했고, 홍위병의 우선 수송은 철도망을 마비시켰다. 홍위병은 여러 역사적 건물, 공예품, 미술품, 서적을 파괴하거나 불태웠다.
1976년 마오쩌둥이 사망하고, 직후 사인방이 실각하면서 문화대혁명은 종식되었다.
6. 1. 인도주의적 위기
문화대혁명은 마오쩌둥이 대약진 운동 실패 후 권력 회복을 위해 프롤레타리아 민중과 학생 폭력 운동을 동원하여 덩샤오핑 등 반대파를 숙청한 권력 투쟁이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인도주의적 위기는 수백만에서 수천만 명의 사망자와 광범위한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베이징의 "붉은 8월", 광시 대학살(식인 포함), 내몽골 사건, 광동 대학살 등이 있으며, 전국적으로 학살, 폭력 투쟁, 투쟁 회의, 정치적 숙청이 만연했다. 중국의 소수 민족 역시 심각한 박해를 받았으며, 수많은 사람들이 인권 유린과 가혹 행위로 희생되었다.6. 1. 1. 사망자 수, 학살 행위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수십만에서 2천만에 이르는 사망자가 발생했다.[314][315][316][317][318] 베이징의 "붉은 8월"을 시작으로 광시 대학살 (식인 풍습 발생), 내몽골 사건, 광동 대학살 등 중국 본토 전역에서 학살이 일어났다.[319][320]- 주요 학살 사건:
- 붉은 8월 (베이징 대학살): 1980년 공식 통계에 따르면 1966년 8월부터 9월까지 총 1,772명(많은 학교의 교사와 교장 포함)이 베이징에서 홍위병에 의해 사망했다.[319]
- 광시 대학살: 10만~15만 명이 사망했다(공식 수치).[320][355] 광시 성 일부 지역에서는 "계급투쟁"과 "정치혁명"의 이름으로 식인 행위까지 일어났다.[356] 당 고위 역사가들조차도 문혁 기간 동안 "반혁명세력"을 학살 후 소화기관과 살점을 익혀 먹었다고 인정한다.[357]
- 내몽골 사건: 2만~10만 명이 살해당했다. 수십만 명이 체포 및 박해를 받았으며, 백만 명 이상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320][358]
- 자오젠민(赵健民) 스파이 사건: 윈난 성에서 발생했으며, 17,000명이 학살로 사망했고 61,000명이 평생 불구가 되었다. 130만 8천 7백 명이 연루 및 박해를 받았다.[320][359]
사망자 수 추산은 출처에 따라 수십만 명에서 수백만 명, 심지어 수천만 명까지 다양하다.[77][78][79][80][81][82]
- 문화대혁명 사망자 수 추산:
시기 | 출처 | 사망자 수 (백만 명) | 비고 |
---|---|---|---|
2014년 | 앤드류 G. 월더 | 1.1~1.6[90] | 1966년부터 1971년까지 조사. 모든 현의 2,213개 연대기에 보고된 사망자 수를 검토하고, 가장 보수적인 방식으로 연대기의 모호한 언어를 해석. |
1999년 | 딩 슈(丁樹) | 2[93] | 1966년 적색 테러로 사망 10만 명, 자살 강요 20만 명, 폭력 투쟁 사망 30만~50만 명, 계급 순수화 운동 기간 사망 50만 명, 일소삼반 운동과 5.16 반동 요소 운동 기간 사망 20만 명 포함. |
1996년 | 중국 공산당 역사 연구소 | 1.728[94] | 172만 8천 명 "비자연사", 그중 9.4%(16만 2천 명)는 중국 공산당원, 25만 2천 명은 지식인. |
1991년 | 루돌프 J. 러멜 | 7.731[97] | 라오가이 수용소 사망자 수 포함.[88] |
1982년 | 예젠잉 | 3.42~20[89][80] | "도시에서 68만 3천 명 사망, 시골에서 250만 명 사망, 폭력 투쟁으로 인한 사망 12만 3천 7백 명과 투쟁회의 및 투옥으로 인한 사망 11만 5천 5백 명, 실종자 55만 7천 명"이라는 원수 예젠잉(葉劍英) 발언 인용. |
1979년 | Agence France Presse프랑스어 | 0.4[99] | 베이징의 AFP 특파원이 익명이지만 "일반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출처 인용. |
중국 전역에서 대학살이 발생했는데, 광시, 내몽골, 광둥, 윈난, 후난, 루이진, 베이징의 붉은 8월 등이 대표적이다.[102] 이러한 대학살은 주로 지역 혁명위원회, 공산당 지부, 민병대, 군대가 주도 및 조직했다.[102][103][105] 희생자는 대부분 오흑범주 구성원과 그 자녀, 또는 "반란 집단" 구성원이었다. 중국 학자들은 이러한 대학살로 최소 30만 명이 사망했다고 추산한다.[103][104] 광시와 광둥에서의 집단 살해는 가장 심각했다. 광시에서는 최소 43개 현, 광둥에서는 최소 28개 현의 공식 기록에 대학살이 기록되어 있으며, 그중 각각 15개 현과 6개 현이 1,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보고했다.[105]
1975년, 인민해방군은 윈난 대학살에서 후이족을 표적으로 삼아 300명의 어린이를 포함한 1,600명 이상의 민간인을 살해하고 4,400채의 가옥을 파괴했다.[102][106][107]
후난성 다오 현에서는 1967년 8월 13일부터 10월 17일까지 총 7,696명이 사망했고, 1,397명은 자살을 강요당했으며, 2,146명은 영구 장애를 입었다.[108][109] 다싱 대학살은 1966년 8월 27일부터 9월 1일까지 325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사망자는 80세 노인부터 38일 된 아기까지 다양했고, 22가구가 완전히 몰살되었다.[102][111][113]
광시 대학살 공식 기록은 1968년 1월부터 4월까지 광시에서 혁명의 가장 잔혹한 투쟁 중 하나에서 주은래가 인민해방군을 개입시키기 전 약 10만 명에서 15만 명으로 추산되는 사망자 수를 보여준다.[114][115][116]
1967년 상하이에서 시작되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된 폭력 투쟁은 주로 홍위병과 반혁명 집단 사이의 당파 간 갈등으로, 중국을 내전 상태로 몰아넣었다.[102][118] 사용된 무기는 약 1,877만 정의 총기, 272만 개의 수류탄, 1만 4,828문의 대포, 수백만 개의 기타 탄약, 심지어 장갑차와 탱크까지 포함되었다.[102] 중경(쓰촨성), 쉬저우 등에서 격렬한 폭력 투쟁이 발생했다.[102][117][119] 연구자들은 전국적인 폭력 투쟁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30만 명에서 50만 명에 이른다고 주장한다.[120][93][102]
폭력 투쟁 외에도 수백만 명의 중국인들이 투쟁 회의를 통해 잔혹하게 박해받았다. 스파이, "개(走狗)", "수정주의자", 의심스러운 계급(전 지주나 부농과 관련된 사람들 포함) 등은 구타, 투옥, 강간, 고문,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괴롭힘과 학대, 재산 몰수, 의료 지원 거부, 사회적 정체성 말살 등을 당했다.
고문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한 사람들도 있었다. 연구자들은 문화대혁명 초기 최소 10만 명에서 20만 명이 자살했다고 주장한다.[120] 덩샤오핑의 아들 푸팡은 홍위병의 심문 후 4층 건물에서 떨어져 하반신이 마비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정치적 숙청으로 인해 많은 "부당하고, 거짓되고, 잘못된" 사례가 발생했다. 학살 외에도 린치나 박해로 인해 사망하거나 영구 장애를 입은 사람들도 많았다. 1968년부터 1969년까지 계급 순위 정화 숙청으로 최소 50만 명이 사망했다.[102][122]
내몽골 사건 당시 1980년 공식 자료에 따르면 34만 6천 명이 부당하게 체포되었고, 1만 6천 명 이상이 박해로 사망하거나 처형되었으며, 8만 1천 명 이상이 영구 장애를 입었다.[102][123][124] 학자들은 사망자 수를 2만 명에서 10만 명 사이로 추산한다.[102][123][124][125]
윈난성 조젠민 스파이 사건에서는 138만 7천 명 이상이 연루 및 박해를 받았는데, 이는 해당 성 인구의 6%에 해당한다.[102][126] 1968년부터 1969년까지 학살로 1만 7천 명 이상이 사망했고, 6만 1천 명이 평생 장애를 입었다. 쿤밍(昆明)에서만 1,473명이 사망하고 9,661명이 영구 장애를 입었다.[102][126]
허베이 성에서는 조직부 부부장이었던 리추리(李處理)가 1968년 숙청되어 약 8만 명을 고발, 그중 2,955명이 박해로 사망했다.[127][128][129]
문화대혁명은 소수 민족 문화와 민족성에 큰 피해를 입혔다. 중국의 소수 민족 언어와 관습은 '4구(四舊)'의 일부로 낙인찍혔고, 소수 민족 언어로 된 서적은 불태워졌으며, 이중 언어 교육은 억압되었다.[130][131][132] 내몽골 자치구 내몽골 사건 기간 동안 약 79만 명이 박해를 받았고, 이 중 2만 2,900명이 구타당해 사망했으며, 12만 명이 불구가 되었다.[3]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코란과 위구르족의 다른 책들이 불태워졌다. 무슬림 이맘들은 몸에 페인트를 칠한 채 거리로 끌려나왔다고 전해진다.[133]
중국 동북부 조선족 지역에서는 언어 학교들이 파괴되었다.
운남 성에서는 다이족 왕궁이 불타고, 1975년 운남성에서 인민해방군에 의해 자행된 무슬림 후이족 학살 사건인 샤디안 사건으로 1,60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전해진다.[133]
중국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제11차 3중전회)는 “문화대혁명 당시 사망자 40만 명, 피해자 1억 명”으로 추산한다.[234] 그러나 공식적인 추산은 없으며, 국내외 연구자들의 조사에서도 40만 명에서 2000만 명 이상으로 여러 설이 있다.
6. 1. 2. 핍박과 가혹 행위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수십만에서 2천만에 이르는 추정 사망자가 발생하였다.[314][315][316][317][318] 베이징의 "붉은 8월"을 시작으로 광시 대학살 (대규모 식인 풍습 발생), 내몽골 사건, 광동 대학살 등 중국 본토 전역에서 학살이 일어났다.[319][320]문혁 기간 동안 수백만 명의 중국인들이 인권을 유린당했다. 자본주의의 "첩자", "주구(走狗)", "수정주의자"로 몰린 인사는 감금, 강간, 심문, 고문 등을 당했다. 재산을 몰수당하고 사회적으로 매장당한 수십만 명 이상이 처형되거나, 굶어 죽거나, 혹사로 죽음에 이르렀다. 수백만 명이 강제 이주를 당했고, 어떤 사람은 구타와 폭행을 견디다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덩샤오핑의 아들 덩푸팡은 홍위병의 구타 때문에 4층 건물에서 뛰어내려 목숨은 건졌으나, 신체장애인이 되어 휠체어에 몸을 의지하였다.
1967년 상하이에서 시작되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된 폭력 투쟁은 주로 홍위병과 반혁명 집단 사이의 당파 간 갈등으로, 중국을 내전 상태로 몰아넣었다.[102][118] 사용된 무기는 약 1,877만 정의 총기, 272만 개의 수류탄, 1만 4,828문의 대포, 수백만 개의 기타 탄약, 심지어 장갑차와 탱크까지 포함되었다.[102] 충칭(쓰촨성), 쉬저우 등에서 벌어진 격렬한 폭력 투쟁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102][117][119] 전국적인 폭력 투쟁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30만 명에서 50만 명에 이른다고 추정된다.[120][93][102]
폭력 사건 발생률은 1967년에 증가하여 여름에 정점에 달한 후 갑자기 감소했다.[87] 1967년에는 주로 곤봉, 창, 돌 등이 무기로 사용되어 7월 말까지 사상자 수가 비교적 적었다.[87] 여름에 총기류와 중화기가 확산되기 시작했지만, 대부분의 참여자는 훈련받지 못한 전투원들이었기 때문에 사상자 수는 비교적 적었다.[87] 가장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시기는 1968년 질서 회복 과정이었다.
폭력 투쟁 외에도 수백만 명의 중국인들이 투쟁 회의를 통해 잔혹하게 박해받았다. 스파이, "개(走狗)", "수정주의자", 또는 의심스러운 계급(전 지주나 부농과 관련된 사람들)에 속한 사람들은 구타, 투옥, 강간, 고문,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괴롭힘과 학대, 재산 몰수, 의료 지원 거부, 사회적 정체성 말살 등을 당했다. 지식인들도 표적이 되었다.
고문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한 사람들도 있었다. 문화대혁명 초기 최소 10만 명에서 20만 명이 자살했다고 추정된다.[120] 덩샤오핑의 아들 덩푸팡은 홍위병의 심문 후 4층 건물에서 떨어져 하반신이 마비되었다.
정치적 숙청으로 인해 많은 "부당하고, 거짓되고, 잘못된" 사례가 발생했다. 학살로 사망한 사람들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린치 또는 기타 형태의 박해로 인해 사망하거나 영구 장애를 입었다. 1968년부터 1969년까지 계급 순위 정화 숙청으로 최소 50만 명이 사망했다.[102][122] 일소삼반 운동이나 5.16 요소에 대한 운동과 같은 유사한 성격의 숙청이 1970년대에 시작되었다.[120][93]
내몽골 사건 당시 1980년 공식 자료에 따르면 34만 6천 명이 부당하게 체포되었고, 1만 6천 명 이상이 박해로 사망하거나 처형되었으며, 8만 1천 명 이상이 영구 장애를 입었다.[102][123][124] 학자들은 사망자 수를 2만 명에서 10만 명 사이로 추산했다.[102][123][124][125]
윈난성의 조젠민 스파이 사건에서는 138만 7천 명 이상이 연루되어 박해를 받았는데, 이는 해당 성 인구의 6%에 해당한다.[102][126] 1968년부터 1969년까지 학살로 1만 7천 명 이상이 사망했고, 6만 1천 명이 평생 장애를 입었다. 쿤밍(昆明)에서만 1,473명이 사망하고 9,661명이 영구 장애를 입었다.[102][126]
허베이성에서는 조직부 부부장이었던 리추리(李處理)가 1968년 숙청되었고, 그 결과 약 8만 명을 고발했으며, 그중 2,955명이 박해로 사망했다.[127][128][129]
문화 대혁명은 소수 민족 문화와 민족성에 큰 피해를 입혔다. 중국의 소수 민족의 언어와 관습은 '4구(四舊)'의 일부로 낙인찍혔고, 소수 민족 언어로 된 서적들은 불태워졌으며, 이중 언어 교육은 억압되었다.[130][131][132] 내몽골 자치구에서는 내몽골 사건 기간 동안 약 79만 명이 박해를 받았다. 이 중 2만 2,900명이 구타당해 사망했고, 12만 명이 불구가 되었다.[3]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코란과 위구르족의 다른 책들이 불태워졌다. 무슬림 이맘들은 몸에 페인트를 칠한 채 거리로 끌려나왔다고 전해진다.[133]
중국 동북부의 조선족 지역에서는 언어 학교들이 파괴되었다.
운남성에서는 다이족 왕궁이 불타고, 1975년 운남성에서 인민해방군에 의해 자행된 무슬림 후이족 학살 사건인 샤디안 사건으로 1,60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전해진다.[133]
문화 대혁명 동안 '4구(四舊)'에 대한 홍위병의 공격으로 소수 민족에 대한 양보는 폐지되었다. 이전에는 티베트 일부 지역에서만 설립되었던 인민공사가 1966년 티베트 자치구 전역에 설립되어,[136] 티베트의 토지 개혁 면제를 없앴고 다른 소수 민족 지역에도 다시 부과되었다. 문화 대혁명 이전부터 시작된 6,000개가 넘는 사찰 중 거의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1970년대 말까지 8개의 사찰만이 온전하게 남았다.[140] 이 과정은 현지 티베트족 홍위병의 공모 하에 이루어졌다.[139] 많은 승려와 수녀들이 살해되었고, 일반 주민들은 신체적, 정신적 고문을 당했다.[139]
희생자 수에 대해서는, 중국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제11차 3중전회)에서 “문화대혁명 당시 사망자 40만 명, 피해자 1억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234] 그러나 문화대혁명 당시 사망자 수에 대한 공식적인 추산은 중국공산당 당국의 공식 자료에는 없으며, 국내외 연구자들의 조사에서도 40만 명에서 2000만 명 이상으로 여러 설이 있다.
6. 1. 3. 주요 희생자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수십만에서 2천만에 이르는 사망자가 발생하였다.[314][315][316][317][318] 베이징의 "붉은 8월"을 시작으로 광시 대학살 (대규모 식인 풍습 발생), 내몽골 사건, 광동 대학살 등 중국 본토 전역에서 학살이 일어났다.[319][320]
주요 희생자는 다음과 같다.
- 라오서 : 작가, 전 중국 마르크스주의 소설가, 사인방의 핍박을 받고 자살.
- 슝스리 : 유학자, 전 중화민국 저장 대학 출강 강사, 핍박을 받고 절식하여 자살.
- 리리싼 : 중국 마르크스주의 정치가, 1920년대 중국 공산당의 지도자, 마오쩌둥의 비판의 대상이 되자 음독 자살.
- 톈한 :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인 의용군 행진곡의 작사자, 사인방이 가사를 문화대혁명의 극좌 이상에 맞게 고쳐서 새로운 국가를 발표해서 부르게 하면서 핍박을 받고 병사.
- 허룽 : 전 중공 인민해방군 군인, 원수. 홍위병에 의한 구타 및 폭행 중 병사.
- 주덕해 : 조선족, 연변 조선족 자치주 초대 주장(州長). 문혁 기간 중 박해 당하며 병사.[360]
- 바진 : 중국의 전 아나키스트이자, 마르크스주의 작가.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매국노이자 반혁명세력으로 매도당하면서 마오쩌둥의 문화적 공작 부대 홍위병들에게 둘러싸여 공개적으로 굴욕을 당하고 깨진 유리조각 위에 무릎을 꿇게 하는 가혹 행위를 당하기도 했다. 문혁 10년 동안 지속적인 감시 하에 자아 비판을 강요당하였으며, 그의 아내는 정권에 의해 의도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거부당하게 됨으로써 사망했다. 그는 마오의 사망과 사인방의 몰락 이후에야 복권되었다.[361]
이 외에도 각계에서 많은 명사가 홍위병의 학대와 핍박에 의해 사망하거나, 그로 인한 병사, 혹은 이를 견디다 못한 자살을 하였다. 또한 자신의 가족에 의해 고소, 고발되어 처형당하는 일도 발생하였다. 자신의 치부가 가족과 지인에 의해 드러나는 일이 계속되면서 가족, 지인 간의 신뢰도는 추락하고 문화, 사회 면에서 타인을 불신하게 되는 가치관이 확산되기도 하였다.
6. 2. 권위 해체와 민주화 요구
홍위병에 참여했거나 간접 체험했던 청년들과 하방 청년들은 부모 세대와 교사들의 타락과 부패, 비리 행위를 폭로했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었으며, 이는 기존 권위주의에 대한 타협을 거부하는 움직임으로 이어졌다. 이들은 반성을 거부하는 기성세대와 심리적으로 대립하였다.[363]1970년대 후반 문화대혁명이 종결되고 4.5 천안문 사건이 명예 회복되자, 베이징의 하방 청년들은 베이징으로 돌아와 중국 정치와 문화 무대에 등장했다. 청년 정치 활동가들은 덩샤오핑의 경제 근대화에 '정치의 근대화'를 더하여 정치 민주화를 요구했다.[363] 덩샤오핑은 마오쩌둥의 공과를 인정하며 이를 수용하려 했지만, 탈권위주의적인 행보에는 반대했다.
문학 청년들에 의해 '지하 문학'이 지상으로 나오면서 새로운 창작 활동이 활발해졌다.[363] 이러한 작품들은 권위주의를 비판하고 조롱하는 성격을 강하게 드러냈다.
6. 3. 문화 유적과 전통 유산의 파괴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많은 홍위병들이 베이징으로 몰려왔다. 이들은 여러 역사적 건물, 공예품, 미술품, 서적을 파괴하거나 불태웠다.문혁 기간 동안 건물, 공예, 서적 등 중국의 많은 역사적 유산들이 "구시대적 산물"로 간주되어 파괴되었다. 공예품들은 각 가정에서 탈취되거나 즉석에서 파괴되었다. 얼마나 많이 파괴되었는지 정확한 기록을 산출하기 어렵다. 서양의 목격자들은 중국 역사의 수천년의 문화유산들이 단 10년간의 문혁기간 동안 파괴되었다고 추산하며, 이러한 파괴는 인류 역사상 전대미문의 행위였다고 말한다. 중국 역사가들은 문화 대혁명을 진시황의 분서갱유에 비유하기도 한다.[319][320]
종교에 대한 탄압도 이 기간 동안 심화되었다. 종교는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배치되는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에, 티베트 숨첼링 사원에서는 홍위병들이 몰려와 사찰에 불을 지르고 라마불교 승려들을 쫓아내는 폭력이 일어났다.[364]
문혁 기간 동안 중국의 전통 문화 지위도 크게 손상되었다. 점술, 종이 공예, 풍수지리[365], 중국 전통의례, 음력, 중국고전학(한문), 그리고 음력 원단(1월 1일) 등 많은 전통 문화의 위상이 중국에서 약화되었다. 이 중 어떤 것들은 홍콩이나 타이완, 심지어는 한국 같은 곳에서 살아남아 후에 대륙에서 복원되기도 하였다.

중국의 역사 유적, 유물 및 기록 보관소는 "낡은 사상"의 근원으로 여겨져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유물이 압수되었고, 박물관과 민가가 약탈당했으며, 부르주아적 또는 봉건적 사상을 나타낸다고 여겨지는 모든 물품이 파괴되었다. 얼마나 많은 것이 파괴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다. 서구 관찰자들은 중국 수천 년 역사의 상당 부분이 사실상 파괴되었거나, 나중에 해외로 밀반출되어 판매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중국 역사가들은 이러한 탄압을 진시황의 유학 탄압에 비유한다. 이 기간 동안 종교는 마르크스-레닌주의 및 마오이스트 사상에 반대되는 것으로 간주되어 종교 박해가 심화되었다.[30]
역사 유물의 파괴는 당에 의해 공식적으로 승인된 적이 없었으며, 당의 공식 정책은 오히려 이러한 유물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1967년 5월 14일, 중앙위원회는 「문화대혁명 기간 중 문화재 및 서적 보호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발표했다.[163]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문화유산에는 엄청난 피해가 가해졌다. 예를 들어, 1972년 베이징에서 천단과 명릉을 포함한 18개 문화유산에 대한 조사 결과 광범위한 피해가 드러났다. 베이징 시에서 보호하고 있는 80개의 문화유산 중 30개가 파괴되었고, 1958년 베이징 정부 결정에 따라 보호받고 있던 6,843개의 문화 유적지 중 4,922개가 손상되거나 파괴되었다.[187] 수많은 귀중한 고서, 그림 및 기타 문화 유물이 불에 탔다.[188]
파괴적인 시대 이후의 고고학적 발굴과 보존은 보호되었고, 문화대혁명의 절정 이후 병마용과 마왕퇴와 같은 몇몇 중요한 발견이 있었다.[163]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고학 분야의 가장 중요한 학술 연구 매체인 「고고학」지는 출판되지 않았다.[189]
6. 4. 교육의 해체와 변화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교육은 마비되었다.[349] 이 시기에는 대입 시험이 취소되었고, 대학은 문을 닫았으며, 교수들은 농촌이나 공장 같은 생산 현장에서 노동을 하는 하방(下放)에 처해졌다.[349] 탐욕스러운 자본주의 퇴폐 교육을 가르친다는 이유로 교사들과 대학 교수들은 재판과 정죄의 대상이 되거나 파면, 혹은 사퇴 압력을 받고 물러나기도 했다.[349] 대학 교육은 사인방이 몰락하고도 한참 지난 1979년이 되어서야 다시 재개되었다.[349] 많은 지식인들이 농촌의 노동교화소로 가야만 했으며, 여기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바로 중국을 떠나 망명하였다.[349]문혁 기간 동안 도시의 젊은이들은 농촌으로 이주하도록 강요되었고, 그곳에서 모든 정규 교육을 포기한 채 공산당의 선전 교육만을 받는 일도 있었다.[349] 불필요하고 이론적인 지식을 가르쳐서 청년층의 취직을 방해하고, 인민의 고혈을 쥐어짠다는 이유로 많은 교사들과 대학 교수들이 단죄되기도 했다. 많은 젊은이들이 진학이나 더 이상의 교육을 포기했기 때문에 그들의 학력은 대부분 중학교나 고등학교 교육 수준에 머물렀다.[349]
초창기에는 학부모에게 각종 선물이나 뇌물, 촌지를 받는 교사, 대학 교수들을 색출하여 조리돌림하고 처벌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일부 학생 홍위병들과 청년들이 반감을 품은 교사, 대학 교수에 대한 사사로운 원한 보복 등의 악순환도 더러 등장하였다. 많은 생존자들이나 목격자들의 증언에 의하면 보통 사람보다 조금이라도 특별한 능력이나 기술이 있는 사람은 "계급투쟁의 대상"이 되었다고 술회했다. 덩샤오핑 지지자나 서방 측 목격자들은 이러한 현상이 부적절한 교육을 받은 사람들로 가득 찬 세대를 산출했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문맹률은 측정되지 않았다.[366] 전장 구의 몇 개 현에서는 문혁 이후 20년이 지난 이후에도 문맹률이 41%나 되었다. 중국 지도자들은 처음부터 어떠한 문맹 문제도 부인해왔다. 이 결과는 자격 있는 교사들이 문혁 기간 동안 제거되어 빚어진 결과이다. 많은 지구에서는 교사가 없어서 선발된 몇몇 학생들이 다음 세대를 교육하는 것을 책임졌다.[366]
6. 5. 전통 도덕 및 인습의 해체
마오쩌둥은 자신의 권력을 회복하기 위해 프롤레타리아 민중과 학생 운동을 이용하여 시장 경제 회복을 주장하던 덩샤오핑 등의 반대파를 공격하고 제거하려 했다.[314][315][316][317][318]마오쩌둥의 사상은 전통적인 도덕과 관습을 대체하며 중국 사회를 이끄는 중심 사상이 되었다. 홍위병의 권한은 군대, 공안부, 사법 기관을 넘어섰다. 좌절감을 느끼던 지식인과 청년들은 이러한 전통을 낡은 관습으로 여기고 자신들의 성공과 지위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생각했다. 따라서 마오쩌둥 사상에 적극적으로 동의하지 않더라도, 이를 지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국의 전통 예술과 사상은 무시되었고, 그 자리는 마오쩌둥 사상으로 채워졌다.
홍위병에 가담한 청소년들은 자신의 부모나 스승을 반혁명 세력으로 고발하거나 구타하는 일이 빈번했다. 또한 부모와 교사의 부정부패 및 비리 행위를 자녀나 학생들이 고발하는 경우도 많았다. 은폐되어 왔던 의문의 살인 사건, 뇌물 수수, 폭력, 도박, 음란 행위 등이 당의 지원을 받던 홍위병의 추적과 조사로 드러나면서 이들의 행동은 정당화되었다. 부모, 교사, 기성세대의 타락한 행동은 이들에게 명분을 제공했다. 문화대혁명 지도부는 사람들이 문화적 전통을 비판하고 부모와 스승의 가르침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장려했는데, 이는 전통적인 유교 사상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비림비공" 운동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6. 6. 당파적 전쟁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권력에서 밀려난 마오쩌둥이 자신의 재기를 위해 프롤레타리아 민중과 학생 운동을 이용하여 덩샤오핑 등의 시장 회생파를 공격한 마오쩌둥파와 덩샤오핑파 간의 권력 투쟁이었다.[314][315][316][317][318]이 운동은 1966년 5월 16일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주석이었던 마오쩌둥의 제창으로 시작되었다. 그는 부르주아 계급의 자본주의와 봉건주의, 관료주의 요소가 공산당과 중국 사회를 지배하고 있으니 이를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중국의 청년 학생들과 민중들이 사상과 행동을 규합해 인민민주독재를 확고히 하기 위해 "혁명 후의 영구적 계급 투쟁"을 통해 이런 것들을 분쇄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홍위병의 움직임으로 구체화되었다. 마오가 문혁을 제창하게 된 동기는 노선을 변경한 소련의 수정주의가 중공에서도 재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중국에서 더욱 이상적인 공산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천명하였다. 한편, 마오쩌둥 자신이 시도한 대약진 운동에서 파멸적인 결과를 빚어 당에 대한 권력과 영향력이 덩샤오핑과 류샤오치에게 넘어가려하자, 극좌적 계급투쟁 형식을 빌어 이를 선회하기 위해 시도한 것이라는 것도 통설이다. 1969년 마오는 공식적으로 문혁이 끝났다고 선언하였고 학생과 노동 운동가들 일부를 체포하였으나, 사실상 1976년 마오쩌둥의 죽음과 사인방의 체포까지 벌어졌던 일련의 여러 혼돈과 변혁을 통틀어 길게 문혁기간이라고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수십만에서 2천만에 이르는 추정 사망자가 발생하였다.[314][315][316][317][318] 베이징의 "붉은 8월"을 시작으로 광시 대학살 (대규모 식인 풍습 발생), 내몽골 사건, 광동 대학살 등 중국 본토 전역에서 학살이 일어났다.[319][320]
문혁은 또한 공산당 내에서 여러 당파의 내부 권력투쟁을 야기하였다. 정치적 혼란 때문에, 지방 정부는 존재하더라도 집행력과 안정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서로 다른 당파에 속한 이들은 백주의 거리에서 패싸움을 벌이기도 했으며, 농촌지역에서는 정치적 암살이 흔히 일어났다.
대중은 자발적으로 이러한 당파에 가담했고, 다른 당파에 대한 전투에 참여하였다. 이런 당파 투쟁을 야기한 사상적 차이는 사실 모호하거나 존재하지 않았고, 단지 지역적 권한을 장악하는 것이 대중이 참여한 당파투쟁의 유일한 동기였다.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선포함으로써 수십 년간 이어진 중국 국공내전에 상징적으로 종지부를 찍었다.

1963년, 마오쩌둥은 문화대혁명의 전조가 된 사회주의 교육 운동을 시작하였다.[5]
대중 조직들은 마오쩌둥의 공산당 숙청을 지지하는 급진파와 온건파 당 지도부를 지지하는 보수파라는 두 개의 적대적인 파벌로 결집되었다. "좌파 지지" 정책은 1967년 1월에 수립되었다.[27] 마오쩌둥의 정책은 반란군이 권력을 장악하도록 지원하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인민해방군은 "권력 장악 투쟁에서 광대한 혁명 좌파 대중을 지원"해야 했다.[27]
1967년 3월, 이 정책은 인민해방군 병력이 전국 각지의 학교와 사업장에 파견되어 정치적 혼란을 안정시키고 파벌 간의 전쟁을 종식시키는 "삼지이군(三支两军)" 계획으로 발전되었다.[28] 세 가지 "지원(支)"은 "좌파 지원", "내부 지원", "산업 지원"이었다. 두 가지 "군(军)"은 "군사 관리"와 "군사 훈련"을 의미했다.[28] 거의 모든 대중 조직이 "좌파" 또는 "혁명적"이라고 주장하던 시기에 좌파를 지원하는 정책은 "좌파"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못했다.[27] 인민해방군 지휘관들은 당 지도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어 많은 군 부대가 급진파를 탄압하게 되었다.[29]
베이징의 사건에 자극받아 전국적으로 권력 장악 그룹이 형성되어 공장과 농촌으로 확장되기 시작했다.
1967년 초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인민봉기가 제한적이었지만, 중국 전역에서 지방 정부가 붕괴되기 시작했다.[33]
대중 조직과 군대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이에 따라 린뱌오는 군대가 급진파를 지원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동시에 군대는 권력 이양을 감당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일부 성과 지역을 장악했다.[7]
사인방의 장춘치아오는 문화 대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홍위병이나 홍위병 본부 또는 "반란 노동자" 조직이 아니라 인민해방군이었다고 인정했다. 인민해방군 지역 주둔군이 마오쩌둥의 급진파를 지원했을 때 그들은 지역 정부를 성공적으로 장악할 수 있었지만, 협조적이지 않았을 경우 장악은 실패했다.[3]
전국적으로 총 1877만 정의 총기, 14,828문의 포병, 271만 9545개의 수류탄이 민간인의 손에 들어갔다. 이들은 대부분 1967년에서 1968년 사이에 발생한 폭력 투쟁에 사용되었다. 충칭, 샤먼, 창춘에서는 전차, 장갑차, 군함까지도 전투에 배치되었다.[29]

1968년 5월, 마오쩌둥은 대대적인 정치적 숙청을 시작했다. 많은 사람들이 재교육 수용소에서 일하기 위해 시골로 보내졌다.

6. 7. 소수민족 탄압 핍박
내몽골 자치구에서는 수십 년 전 해체된 "내몽골 인민당"의 분리주의자로 지목된 79만 명의 인물이 박해받았다. 그중 22,900명은 학살로 사망하고, 12,000명은 장애인이 되었다.[367] 티베트에서는 티베트인 홍위병도 참여하여 6,000개의 사찰이 파괴되었다.[139] 1970년대 말까지 8개의 사찰만이 온전하게 남았다.[140]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위구르인들이 소중히 여기는 꾸란이 불살라지고, 무슬림 이맘이 물감을 뒤집어 쓴 채 조리돌림되었다.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서는 조선어로 수업하는 민족학교들이 파괴되었고, 족보는 홍위병의 강요도 있었지만 반혁명 세력으로 몰릴 것을 두려워하여 자발적으로 불살라졌으며, 민족 문화를 보호한다고 지목된 인사들은 핍박 및 학대를 당했다. 윈난성에서는 다이족의 왕궁이 불살라졌다. 1975년 샤덴 사건에서는 인민해방군이 회족 무슬림들을 학살하였는데 희생자 수는 1,600명에 이른다고 한다.[133]
문화 대혁명은 소수 민족 문화와 민족성에 큰 피해를 입혔다. 중국의 소수 민족의 언어와 관습은 '4구(四舊)'의 일부로 낙인찍혔고, 소수 민족 언어로 된 서적들은 불태워졌으며, 이중 언어 교육은 억압되었다.[130][131][132] 내몽골 자치구에서는 내몽골 사건 기간 동안 약 79만 명이 박해를 받았다. 이 중 2만 2,900명이 구타당해 사망했고, 12만 명이 불구가 되었다.[3] 이는 소위 분리주의적인 신내몽골 인민혁명당 당원들을 색출하기 위한 마녀 사냥 과정에서 발생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코란과 위구르족의 다른 책들이 불태워졌다. 무슬림 이맘들은 몸에 페인트를 칠한 채 거리로 끌려나왔다고 전해진다.[133]
중국 동북부의 조선족 지역에서는 언어 학교들이 파괴되었다. 줄리아 로벨에 따르면, "[중국에서 북한으로 향하는 화물 열차가 문화 대혁명의 격렬한 전투에서 사망한 조선족들의 시체로 가득 차 있었고, '너희 작은 수정주의자들도 이러한 운명을 맞이할 것이다!'라는 위협적인 낙서로 뒤덮인 채 연변 국경 마을을 지나갔다.]"[134]
운남성에서는 다이족 왕궁이 불타고, 1975년 운남성에서 인민해방군에 의해 자행된 무슬림 후이족 학살 사건인 샤디안 사건으로 1,60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전해진다.[133] 문화 대혁명 이후 정부는 샤디안 사건에 대한 배상으로 샤디안에 순국자 기념비를 세웠다.[135]
문화 대혁명 동안 '4구(四舊)'에 대한 홍위병의 공격으로 소수 민족에 대한 양보는 폐지되었다. 이전에는 티베트 일부 지역에서만 설립되었던 인민공사가 1966년 티베트 자치구 전역에 설립되어,[136] 티베트의 토지 개혁 면제를 없앴고 다른 소수 민족 지역에도 다시 부과되었다. 이는 1959년 티베트 봉기 이후 탄압이 있은 후에 발생했기 때문에 티베트에 대한 영향은 특히 심각했다.[137][138]
많은 승려와 수녀들이 살해되었고, 일반 주민들은 신체적, 정신적 고문을 당했다.[139] 1950년 티베트에는 약 60만 명의 승려와 수녀가 있었지만, 1979년까지 대부분이 사망하거나 투옥되었거나 실종되었다.[139]
7. 평가
문화대혁명은 표면적으로는 "낡은 문화를 비판하고 새로운 공산주의 문화를 만들자!"는 운동이었지만, 실제로는 대약진 운동 실패 후 권력에서 밀려난 마오쩌둥이 다시 권력을 잡기 위해 민중과 학생들을 동원하여 덩샤오핑 등 시장경제 옹호파를 공격한 권력 투쟁이었다.[314][315][316][317][318]
1966년 5월 16일,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 주석으로서 자본주의, 봉건주의, 관료주의 요소를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문화대혁명을 시작했다. 그는 청년 학생과 민중이 홍위병 운동 등을 통해 "혁명 후의 영구적 계급 투쟁"을 벌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오는 소련의 수정주의가 중국에서 재현되는 것을 막고 더 이상적인 공산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문화대혁명을 시작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그러나 대약진 운동 실패로 덩샤오핑과 류샤오치에게 권력이 넘어가려 하자, 이를 막기 위해 극좌적 계급투쟁을 이용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1969년 마오는 공식적으로 문화대혁명이 끝났다고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1976년 마오쩌둥 사망과 사인방 체포까지의 혼란과 변혁을 통틀어 문화대혁명 기간이라고 부른다.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수십만에서 2천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314][315][316][317][318] 베이징의 "붉은 8월"을 시작으로 광시 대학살 (대규모 식인 포함), 내몽골 사건, 광동 대학살 등 중국 전역에서 학살이 일어났다.[319][320] 문화대혁명은 대부분의 중국인과 외부인, 심지어 중국 공산당 내부에서도 국가적 재난으로 여겨진다. 1981년 중국 공산당은 마오의 과오가 크다고 공식 발표했으며, 린뱌오와 사인방도 주요 책임자로 지목되었다.
문화대혁명이라는 용어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부터 공산당 담화와 신문에 등장했으며, 이 시기에는 "문화 건설"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고, 시민 문제에 대한 대중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문맹 퇴치를 의미했다. 이러한 "문화혁명"의 용례는 1950년대를 거쳐 1960년대까지 이어졌으며, 종종 5·4 운동이나 1928년부터 1931년까지 일어났던 소련 문화혁명과의 유사점을 강조했다.[199]
7. 1. 문혁에 관한 중국 공산당의 공식 평가
1981년 6월 27일,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건국이래의 몇 가지 역사적 문제에 대한 당의 결의(建国以来党的若干历史问题的决议|建國以來黨的若幹歷史問題的決議중국어)》를 발표하여 건국 이후 발생한 여러 사건에 대한 당의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이 문건은 "문혁의 좌편향의 과오, 그리고 이러한 과오가 거대한 규모로 장기간 지속된 것에 대한 책임은 마오쩌둥 동지에게 있다"고 명시하였다.[314][315][316][317][318]또한 "문화대혁명은 마오쩌둥의 잘못된 지도하에서 행해졌으며, 이것은 다시 린뱌오 및 장칭 등의 반동세력 등에게 포섭되어 당과 인민에 수많은 재난과 혼란을 범했다"고 밝혔다. 이 문건은 현재 중국 역사 해석의 주된 뼈대가 되고 있다. 그리하여 이후에도 계속 중국 공산당에서 발표되는 문건에서는 문화대혁명은 부정적 의미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이 문건은 체제의 정당성을 위해 "문혁의 지도자 마오쩌둥"과 "혁명의 영웅 마오쩌둥"을 분리했고, 마오쩌둥의 개인적 과오를 마오쩌둥의 사상과도 분리하였다. 그것은 마오쩌둥이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에 절대적으로 기여했고, 마오쩌둥의 사상이 곧 당의 지도 이념이기 때문이었다.
마오쩌둥을 부정하는 것은 곧 중국 공산당 자신의 존재 근거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분리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소련에서 스탈린 사후 일어났던 격하운동과는 달리 중국 공산당에 있어 마오쩌둥과 마오쩌둥 사상의 존재는 부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문건은 마오쩌둥 사상에 근거한 중국 공산당의 일당독재와 공산주의 건설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은 이러한 문혁의 총책임자인 마오쩌둥을 옹호하기 위해 린뱌오나 사인방을 희생양 삼아 실제보다 많은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는 설이 있다.[368][369]
중국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나 마오쩌둥의 사상은 덩샤오핑의 개방정책에 맞게 해석되어, 현재도 중국 공산당의 이념인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이용되고 있다.[370]
7. 2. 문혁에 관한 신좌파의 긍정적 시각
중국 신좌파는 문화대혁명(이하 문혁)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이들은 문혁 기간 동안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여 이후 고도성장의 기반이 되었다고 주장한다.[371] 또한, 시간이 흐른 뒤의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마오쩌둥이 문혁 기간 동안 자본주의를 지향하는 특권 관료제의 폐해를 우려한 것은 옳았다고 주장한다. 마오쩌둥은 이들과 싸우기 위해 문혁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371] 더불어 문혁 기간 동안 보장되었던 "언론과 결사의 자유"에 큰 의미를 부여한다.[372]개방 정책으로 빈부 격차가 심해지자, 중국의 많은 빈농과 노동자는 문혁과 마오쩌둥 시대를 긍정적으로 보게 되었다. 가오모보 같은 빈농 출신 작가는 문혁이 농촌에 미친 긍정적 영향을 작품에 담았고, 마보 등 일부 작가들은 문혁을 기억할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373][374]
중국 공산당은 공식적으로 문혁을 비난하지만, 많은 중국인, 특히 그 정책으로 혜택을 받은 노동 계급은 긍정적인 견해를 갖는다.[163] 농촌 사람들은 농촌 인프라 확장과 농업 발전이 있었던 점을 들어 문혁을 더 긍정적으로 본다.[205]
1989년 천안문 광장 시위의 학생 지도자였던 션 통은 저서 ''거의 혁명''에서 문혁의 일부 측면에 대해 긍정적 견해를 밝혔다.
인터넷 등장 이후, 중국 내외에서는 문혁이 많은 이점을 가져왔다는 주장이 온라인에서 제기되었다. 일부는 문혁이 훗날 덩샤오핑의 경제 개혁을 가능하게 한 '근대화 변혁' 과정에서 미신, 종교 교리, 구시대적 전통을 "청소"했다고 주장한다.
현대 마오이스트들은 마오쩌둥에 대한 학계 비판에 대응하며 인터넷 시대에 더욱 조직화되었다. 한 마오이스트 웹사이트는 마오쩌둥을 공개 비판하는 사람들을 처벌하라는 서명 수천 건을 모았다.[206]
2012년, 중국 웹 포털 및 소셜 미디어 플랫폼 텐센트는 "문화대혁명 향수의 불건전한 추세"에 대응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고,[198] 참가자의 78%가 문화대혁명 향수를 표명했다.[198]
중국 신좌파 인터넷 포럼 유토피아는 새로운 문화대혁명을 옹호하다가 한 달 동안 정지되기도 했다.[202]
7. 3. 학술적 논쟁
1960년대에 많은 학자들은 마오쩌둥의 구상을 이념적이고 파괴적이라고 일축했지만, 다른 학자들은 평등, 관료주의와 부패에 대한 반대, 개인의 이기심에 대한 그의 관심에 동조했다. 그들은 마오주의를 대중 참여, 대중 비판과 반란의 권리, 새로운 지배계급을 말살하려는 결단에 대한 포퓰리즘적 주장으로 보았다.[375] 그러나 1980년대에 이르러 하버드 대학의 사회학자 앤드류 왈더는 "현장의 여론이 현저하게 바뀌었다"고 썼다. 현장에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제 "문화대혁명이 히틀러의 홀로코스트와 스탈린의 대숙청에 따른 인간의 재앙, 심지어 역사적 범죄라고 확신하는 것 같다."고 보았다.[375] 왈더는 문화대혁명의 실패가 빈약한 실행, 관료적 방해 공작, 불충성, 또는 오래 지속되는 계급 적대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일이 마오가 예상한 것과 다르게 나온다면, 이것은 아마도 마오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알지 못했거나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알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왈더는 결론지었다.[375]그럼에도 불구하고, 운동이 많은 모순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지도자가 이끄는 이 운동은 주로 공산주의 기득권에 대한 일련의 풀뿌리 대중 봉기에 의해 주도되었다. 역사가 Anne F. Thurston은 그것이 "문화와 영적 가치의 상실, 희망과 이상, 시간, 진실, 삶의 상실로 이어졌다"고 썼다.[376] Barnouin과 Yu는 문화대혁명을 "전례 없는 사회적 분열, 대중 동원, 히스테리, 격변, 자의적 잔학, 고문, 살인, 심지어 내전까지 낳은 정치 운동"으로 요약하였다.[377] 일부 학자들은 문화대혁명에 대한 주류적 묘사에 도전하고 그것을 보다 긍정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가오모보는 이 운동이 수백만 명의 중국 시민, 특히 농업 및 산업 노동자에게 혜택을 주었다고 주장한다.[378] 그리고 오늘날 중국에서 계속되는 마오주의의 향수를 긍정적인 유산의 잔재로 언급하면서 중국을 평등주의적이고 진정한 포퓰리즘적이라고 본다.[378] 일부는 의도와 수행을 구분한다.[379] 마오쩌둥의 지도력은 운동 초기에 중추적이었지만, 진추는 사건이 진행됨에 따라 마오의 유토피아적 비전에서 크게 벗어났다고 주장한다.[380] 이런 의미에서 문화대혁명은 실제로 훨씬 더 분권화되고 다양한 운동으로 점차 응집력을 잃어 성격과 목표가 다른 많은 '지역 혁명'을 낳았다.[380]
학문적 관심은 마오쩌둥의 성격과 운동의 관계에도 초점이 맞춰져 있다. 마오는 자신을 전시 게릴라 지도자로 생각했고, 이로 인해 그는 평시 통치의 관료적 성격을 경계했다. 문화대혁명과 함께 마오는 단순히 "형태로 돌아가고" 있었고, 다시 한번 제도화된 당 관료집단에 맞서 싸우는 게릴라 지도자의 역할을 맡았다. 로더릭 맥파커와 미하엘 쇤할스는 이 운동을 이데올로기적 순수성을 둘러싼 ''진정한'' 전쟁 ''이나'' 마오의 정치적 경쟁자를 제거하기 위한 단순한 권력 투쟁이 아니라고 묘사한다.[381] 마오쩌둥의 개인적 동기는 의심할 여지 없이 문화대혁명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지만, 그들은 다른 복잡한 요인들이 사건이 전개되는 방식에 기여했다고 추론했다. 여기에는 세계 공산주의 운동과 중국의 관계, 지정학적 우려, 중국과 소련 간의 이념적 균열, 흐루쇼프의 축출, 대약진 운동의 실패가 포함된다.[381] 그들은 그 운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마오쩌둥이 살아 있는 동안 그의 위신을 높이고 사후 그의 사상의 불변성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역사에서 마오의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한 유산 프로젝트라고 결론지었다.[381]
8. 해외의 반응
문화대혁명에 대한 해외의 반응은 소속 정파에 따라 다양했다.
홍콩에서는 문화대혁명에서 영감을 받은 친공산, 반식민지 파업이 1967년에 시작되었다. 그러나 그 과격함은 홍콩 주민들이 한 세대 동안 친공산 세력을 의심하게 만들었다.[211] 중화민국의 장제스는 문화대혁명이 중국의 전통 문화를 파괴한다고 비판하며 중국 문화 부흥을 시작했다.[314][315][316][317][318]
알바니아의 엔베르 호자는 "문화사상혁명"을 시작했지만, "마오에 대한 숭배가 메스껍고 인위적인 방식으로 하늘로 올려졌다"고 비판했다.[213] 니키타 흐루쇼프는 회고록에서 문화대혁명을 비판하며, 마오가 자신의 나라를 뒤집어놓았고, 문화대혁명은 실제로 반혁명적이었다고 주장했다.[215]
일본에서는 가와바타 야스나리, 아베 고보, 미시마 유키오 등 수백 명의 작가와 예술가들이 "문화 대혁명 반대" 성명을 발표하고 중국 당국에 문화 유산 보호를 촉구했다.[233] 그러나 전공투 등의 학생 운동 세력과 노동운동 세력은 문화 대혁명에 영향을 받아 과격해졌다.
프랑스 등 서구에서는 "낡은 것을 타파하자"는 문화대혁명에 대해 호의적인 시각이 있었고, 1968년 68 혁명 당시 학생들은 마오쩌둥 어록을 들고 시위에 나섰다.[385] 장폴 사르트르와 같은 지식인들은 스스로 마오주의자라고 칭하기도 했다.[386] 그러나 이후 문화대혁명의 파괴와 혼란이 알려지면서 부정적 평가가 우세해졌다.[387]
대한민국에서는 문화 대혁명이 반공 교육의 소재로 활용되어 공산주의의 잔인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되었다.[383] 리영희는 저서 《8억인과의 대화》에서 문화 대혁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기도 했지만, 이후 견해를 수정했다고 밝혔다.[38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홍위병이 김일성을 "수정주의자"로 비판하고 연변 조선족 자치주 침입을 시도하자, 조중 관계를 파기하고 친소 노선으로 기울었다.[384] 그러나 김일성 자신도 문화대혁명을 모방한 운동을 펼치며 주체사상을 확립했다.[384]
세계적으로 마오쩌둥은 반체제, 풀뿌리 대중주의, 자결권의 상징으로 부상했다. 그의 철학은 센데로 루미노소, 낙살파이트, 네팔의 정치 운동, 흑표당 등에서 지지자를 찾았다.[210] 페루와 네팔 등에서 "마오주의 정당"을 자칭하는 세력이 큰 세력을 형성하기도 했으며, 이들은 "혁명적 국제주의자 운동"을 만들어 느슨한 연대를 구축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은 공식적으로 문화대혁명을 비난하지만, 많은 중국인들, 특히 노동 계급 사이에서는 긍정적인 견해를 갖는 사람들이 많다.[163] 농촌 지역 사람들은 농촌 인프라 확장과 농업 발전이 있었던 점을 고려하여 문화대혁명을 더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205]
1989년 천안문 광장 시위의 학생 지도자 중 한 명인 션 통은 그의 저서 ''거의 혁명''에서 문화대혁명의 일부 측면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밝혔다.[9]
인터넷 등장 이후 중국 내외의 사람들은 문화대혁명이 많은 이점을 가져왔다고 주장하며, '근대화 변혁'에서 미신, 종교 교리 및 구시대적인 전통을 "청소"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현대 마오이스트들은 인터넷 시대에 더욱 조직화되어 마오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사람들에게 처벌을 요구하기도 한다.
2007년 홍콩 행정장관 동젠화는 문화대혁명이 '민주주의의 위험'을 나타낸다고 언급하며 논란을 일으켰다.[216] 2012년 중국 웹 포털 텐센트는 "문화대혁명 향수의 불건전한 추세"에 대응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참가자의 78%가 문화대혁명 향수를 표명했다.[198] 중국 신좌파 인터넷 포럼 유토피아는 새로운 문화대혁명을 옹호한 데 대한 응답으로 한 달 동안 정지되었다.[202]
8. 1. 중화민국
중화민국의 장제스는 반공 투쟁의 연장선상에서 이 기회를 빌려 문화대혁명이 중국의 고유한 전통 문화를 파괴하고 있다고 홍보하고, 1966년 11월부터 이에 맞선 "중화문명부흥운동"을 실시하였다. 장제스는 타이완과 홍콩 내의 각종 매체들을 통해, 마오쩌둥은 살인을 숭배하는 극악무도한 공산주의자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중화민국은 전통 문화를 보호하고 있는 자유 국가라고 말했다.[314][315][316][317][318]8. 2. 홍콩
영국령 홍콩에서는 문화 대혁명에 영향받아 1967년 봉기와 친공산 세력의 과격한 정치운동이 이어졌다. 그러나 이들의 과격행위는 홍콩인들이 한 세대 동안 친공산세력을 의심의 눈초리로 보게 하는 결과를 빚었다.[382]8. 3.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문화 대혁명이 반공 교육의 소재로 활용되어 공산주의의 잔인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자주 언급되었다.[383] 1970년대 진보주의 언론인 리영희는 저서 《8억인과의 대화》에서 서구의 문화 대혁명에 대한 호의적인 시각을 소개하고, 중국의 전통적 지배계급에 대한 인민대중노선, 집단적 권위주의 해체 운동 등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기도 했다.[383] 그러나 리영희는 이후 냉전을 거치며 중국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고, 당시 정보 제한 때문에 문화대혁명의 부정적인 면과 홍위병의 잔인한 행태를 책 출간 당시에는 몰랐으며, 현재는 견해를 수정했다고 밝혔다.[383]8.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문화대혁명이 외교와 내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홍위병은 대자보를 통해 당시 시장 활동에 조금씩 나서려고 했던 김일성 주석을 "수정주의자"로 비판했고, 심지어는 국경을 넘어 연변 조선족 자치주를 침입해 자기네 영토로 만들려고 하거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반(反) 김일성 봉기가 일어났다는 허위 사실을 유포해 기회를 엿보기도 했다.[384] 이에 반발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와 김일성은 한때 혈맹 관계였던 조중 관계를 파기하고 친소 노선으로 기울어졌다. 그러나 김일성 자신도 문화대혁명을 모방한 운동을 오랫동안 펼치며 주체사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식 지도 이념이 되었다.[384]8. 5. 일본
일본에서는 문화계가 나서 "문화 대혁명 반대" 성명을 발표하였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가와바타 야스나리를 비롯하여 아베 고보, 미시마 유키오 등의 수백 명의 저명한 작가와 예술가들이 이에 대해 항의 운동을 벌이고, 중국 당국이 중국의 역대 문화 유산을 보호할 것을 촉구하였다.[233] 그러나 일본에서도 당시 고조되고 있던 학생 운동 세력(전공투 참조)과 노동운동 세력은 문화 대혁명에 영향을 받아 과격화되었다. 일본의 노조 세력과 학생운동 세력의 과격한 운동은 현실의 벽을 느낀 지식인들과 청년들의 호응을 얻어 1980년 일본이 경제 위기를 맞이할 때까지 계속되었다.8. 6. 유럽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에서는 "낡은 것을 타파하자"는 문화대혁명에 대해 호의적인 시각이 있었다. 1968년 68 혁명 당시 학생들은 홍위병을 본떠 마오쩌둥 어록을 들고 시위에 나서기도 했다.[385] 장폴 사르트르와 같은 지식인들은 스스로 마오주의자라고 칭하기도 했다.[386] 그러나 이후 문화대혁명이 야기한 파괴와 혼란이 알려지면서, 호의적 평가보다는 부정적 평가가 우세하게 되었다.[387]8. 7. 기타
문화대혁명의 표면적 구실은 "낡은 문화를 비판하고 새로운 공산주의 문화를 만들자!"는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대약진 운동 실패 후 권력에서 밀려난 마오쩌둥이 자신의 권력을 되찾기 위해 민중과 학생 운동을 이용해 덩샤오핑파를 공격한 권력 투쟁이었다.[314][315][316][317][318] 이 운동은 1966년 5월 16일 마오쩌둥의 제창으로 시작되었으며, 그는 자본주의, 봉건주의, 관료주의 요소를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홍위병의 움직임으로 구체화되었고, 공식적으로는 소련의 수정주의를 방지하고 이상적인 공산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것이라고 알려졌다. 그러나,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덩샤오핑과 류샤오치에게 권력이 넘어가려 하자, 이를 막기 위한 시도였다는 것도 일반적인 견해이다. 1969년 마오는 공식적으로 문혁이 끝났다고 선언했으나, 사실상 1976년 마오쩌둥의 죽음과 사인방 체포까지의 혼란과 변혁을 통틀어 문혁 기간이라고 한다.문화대혁명으로 인해 수십만에서 2천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314][315][316][317][318] 베이징의 "붉은 8월"을 시작으로 광시 대학살 (대규모 식인 풍습 발생), 내몽골 사건, 광동 대학살 등 중국 전역에서 학살이 일어났다.[319][320] 문혁은 대부분의 중국인들과 외부인, 심지어 중국 공산당 내에서도 국가적 재난으로 여겨진다. 중국 공산당은 1981년에 마오의 과오가 크다고 공식 발표했으며, 린뱌오와 사인방도 주요 책임자로 지목되었다.
최근까지 전 세계적으로 "마오주의 정당"을 자칭하는 세력이 남아있고, 페루와 네팔에서는 정부를 위협하는 큰 세력을 형성하기도 했다. 특히 네팔에서는 최근에 이들이 집권당으로 떠올랐다(네팔 공산당). 이들은 "혁명적 국제주의자 운동(Revolutionary Internationalist Movement)"이라는 모임을 만들어 느슨한 연대를 구축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은 공식적으로 문화대혁명을 비난하지만, 많은 중국인들, 특히 그 정책으로부터 가장 많은 혜택을 받았던 노동 계급 사이에서는 긍정적인 견해를 갖는 사람들이 많다.[163] 농촌 지역의 사람들은 농촌 인프라 확장과 농업 발전이 있었던 점을 고려하여 문화대혁명을 더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205] 등소평의 집권 기간 동안 정부는 문화대혁명을 강력하게 옹호하는 인물들을 체포하고 투옥했다. 예를 들어, 1985년 젊은 신발 공장 노동자가 시안양 산시의 한 공장에 "문화대혁명은 좋았다"라고 선언하고 "난징 장강대교 건설, 잡종 벼 품종 개발, 인민 의식의 고양"과 같은 업적을 이루었다는 내용의 포스터를 게시했다. 그 노동자는 결국 10년형을 선고받고 얼마 지나지 않아 "뚜렷한 원인 없이" 사망했다.[163] 1980년대 후반부터 중국에서는 문화대혁명의 측면을 포함하여 "처음에는 산발적으로, 그 후 전국적으로 마오쩌둥(毛澤東)에 대한 재평가"가 일어났다.[198]
1989년 천안문 광장 시위의 학생 지도자 중 한 명인 션 통은 그의 저서 ''거의 혁명''에서 문화대혁명의 일부 측면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션 통에 따르면, 천안문 단식 시위의 계기는 문화대혁명 당시 두각을 나타냈던 공개적인 정치 논의의 한 형태인 대자보였다. 션 통은 전국 각지의 학생들이 기차를 타고 베이징으로 여행하고 주민들로부터 받은 환대가 홍위병의 경험을 연상시킨다고 말했다.[9]
인터넷이 등장한 이후 중국 내외의 사람들은 문화대혁명이 많은 이점을 가져왔다고 온라인에서 주장해 왔다. 일부는 문화대혁명이 후일 등소평의 경제 개혁을 가능하게 한 '근대화 변혁'에서 미신, 종교 교리 및 구시대적인 전통을 "청소"했다고 주장한다. 1990년대 후반 마오쩌둥(毛澤東)에 대한 대중적인 재평가는 정부의 증가하는 민영화와 철밥통 고용 및 복지 정책의 해체와 일치했다.[198] 1999년 미국이 벨그라드 주재 중국대사관을 폭격한 사건 이후 이러한 정서는 더욱 증가했는데, 당시 일부 인구는 반마오(反毛) 견해를 미국과 연관짓기 시작했다.[163]
현대 마오이스트들은 마오에 대한 학계의 비판에 대한 부분적인 대응으로 인터넷 시대에 더욱 조직화되었다. 한 마오이스트 웹사이트는 마오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사람들에게 처벌을 요구하는 서명 수천 건을 모았다.[206] 이 운동은 법적 조치 요구와 함께 "시민"들이 반마오주의자들을 지역 공안국에 신고하는 문화대혁명 시대의 "인민공사"와 유사한 기관의 설립을 요구했다. 마오주의적 수사와 대규모 동원 방식은 2000년대 충칭에서 부활했다.
2012년 중국 웹 포털 및 소셜 미디어 플랫폼 텐센트는 "문화대혁명 향수의 불건전한 추세"에 대응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198] 설문조사 참가자의 78%가 문화대혁명 향수를 표명했다.[198]
중국 신좌파 인터넷 포럼 유토피아는 새로운 문화대혁명을 옹호한 데 대한 응답으로 한 달 동안 정지되었다.[202]
참조
[1]
웹사이트
Translation Glossary for the CR/10 Project
https://culturalrevo[...]
2023-11-28
[2]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3]
서적
Mao's Last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Mao's Third Front: The Militarization of Cold War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학술지
Revolution and Reaction in the Chinese Countryside: The Socialist Education Movement in Cultural Revolutionary Perspective
[6]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Duke University Press
[7]
서적
Great age of turmoil, a history of China 1949–89
Henan People's Publishing House
[8]
서적
Born Red: A Chronicle of the Cultur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post-Mao reforms: a historical perspecti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1]
웹사이트
Decision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oncerning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https://www.marxists[...]
Peking Review
2024-03-05
[12]
뉴스
Mao Zedong’s Eight Receptions With the Red Guards (Part 1)
http://news.cri.cn/g[...]
2006-04-19
[13]
웹사이트
Student Attacks Against Teachers: The Revolution of 1966
http://ywang.uchicag[...]
2001-01-01
[1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Scarecrow
[15]
서적
Cinematic Guerillas: Propaganda, Projectionists, and Audiences in Socialist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Bowed and Remorseful, Former Red Guard Recalls Teacher's Death
https://archive.nyti[...]
2014-01-13
[17]
웹사이트
China's Brave Underground Journal – II
https://www.chinafil[...]
2014-12-18
[18]
뉴스
China's reluctant Emperor
https://www.nytimes.[...]
2011-09-07
[19]
웹사이트
zh:红卫兵 "破四旧" 的文化与政治
http://ww2.usc.cuhk.[...]
[20]
웹사이트
murdoch edu
http://wwwistp.murdo[...]
[21]
서적
The Spread of Tibetan Buddhism in China
Routledge
[22]
서적
Asiaweek, Volume 10
https://books.google[...]
[23]
잡지
Children of Confucius
http://www.findartic[...]
2007-03-04
[24]
학술지
Rebellion of the Cadres: The 1967 Implosion of the Chinese Party-State
[25]
서적
Betting on Macau: Casino Capitalism and China's Consumer Revolu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6]
서적
Portugal, China and the Macau Negotiations, 1986–1999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7]
학술지
The Policy of the Military 'Supporting the Left' and the Spread of Factional Warfare in China's Countryside: Shaanxi, 1967–1968
[28]
서적
Everyday Lives in China's Cold War Military Industrial Complex: Voices from the Shanghai Small Third Front, 1964–1988
Palgrave MacMillan
[29]
학술지
Chronology of Mass Killings during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1966–1976)
https://www.sciences[...]
2019-04-25
[30]
서적
Turbulent Decade: A History of the Cultural Revolution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
논문
Rebellion of the Cadres: The 1967 Implosion of the Chinese Party-State
[32]
논문
Mao's Cultural Revolution in 1967: The Struggle to Seize Power
[33]
서적
Agents of disorder: inside China's Cultural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4]
웹사이트
Chronology of Mass Killings during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1966–1976)
https://www.sciences[...]
2024-01-01
[35]
서적
China's Public Finance: Reforms, Challenges, and Op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논문
The role of barefoot doctors
1982-09-00
[37]
웹사이트
Liu Shaoqi rehabilitated
https://www.marxists[...]
2020-06-10
[38]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Duke University Press
[39]
서적
Mao's Golden Mangoes and the Cultur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0]
서적
China Under Ma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Biography of a Chairman Mao Badge: The Creation and Mass Consumption of a Personality Cult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9-09-29
[42]
뉴스
How China came to worship the mango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https://www.telegrap[...]
2016-01-28
[43]
서적
Mao Cult: Rhetoric and Ritual in China's Cultur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웹사이트
The Mao Mango Cult of 1968 and the Rise of China's Working Class
https://www.collecto[...]
2019-02-28
[45]
서적
Made In China: What Western Managers Can Learn from Trailblazing Chinese Entrepreneurs
https://books.googl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46]
서적
Mao's Last Revolu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7]
학술지
'Turning One's Back on the Party and the People': Suicides during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2024-02-05
[48]
웹사이트
China: the Cultural Revolution
https://sites.tufts.[...]
2016-12-14
[49]
서적
The Culture of Power: Lin Biao and the Cultural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50]
기타
Hannam and Lawrence
[51]
뉴스
Yao Wenyuan
http://www.economist[...]
2016-05-22
[52]
논문
China's Coup of October 1976
[53]
논문
The First Tiananmen Incident Revisited: Elite Politics and Crisis Management at the End of the Maoist Era
[54]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W. W. Norton
[55]
서적
The Life/Death Rhythms of Capitalist Regimes – Debt Before Dishonour: Timetable of World Dominance 1400–2100
https://books.google[...]
Partridge
[56]
웹사이트
http://news.sina.com[...]
Sina
2000-11-12
[57]
웹사이트
Memorial speech by Hua Kuo-Feng
https://www.marxists[...]
2020-05-07
[58]
웹사이트
http://news.ifeng.co[...]
2020-05-07
[59]
논문
China's Coup of October 1976
[60]
서적
The Chinese Debate about Soviet Socialism, 1978–1985
Princeton University Press
[61]
논문
China
Routledge
2016-07-08
[62]
웹사이트
Basic Knowledge about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Eleventh Congress
http://www.nihaotw.c[...]
[63]
뉴스
Hua Guofeng, Transitional Leader of China After Mao, Is Dead at 87
https://www.nytimes.[...]
2022-03-16
[64]
웹사이트
History for the Masses
http://www.morningsu[...]
2022-03-16
[65]
서적
China's second revolution: reform after Mao
The Brookings Institution
[66]
논문
The fate of an enlightenment: twenty years in the Chinese intellectual sphere (1978–98)
https://www.eastasi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00-12
[67]
서적
Reinventing Modern China: Imagination and Authenticity in Chinese Historical Writing
https://academic.oup[...]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68]
논문
The World Was Going Our Way: The KGB and the Battle for the Third World
[69]
웹사이트
http://www.hybsl.cn/[...]
People's Daily
2020-02-17
[70]
뉴스
The New York Times
1981-01-25
[71]
웹사이트
http://www.gov.cn/te[...]
2020-04-23
[72]
웹사이트
Resolution on Certain Questions in the History of Our Party sinc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digitalarchi[...]
1981-06-27
[73]
서적
Resolution on CPC History
https://www.marxists[...]
2023-11-19
[74]
웹사이트
Beijing Revises 'Correct' Version of Party History Ahead of Centenary
https://www.rfa.org/[...]
2021-05-20
[75]
웹사이트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s playing dangerous games with history
https://ipolitics.ca[...]
2021-05-20
[76]
웹사이트
With whiffs of Cultural Revolution, Xi calls for struggle 50 times
https://asia.nikkei.[...]
2021-05-20
[77]
서적
Modern Tyrants: The Power and Prevalence of Evil in Our Ag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78]
웹사이트
http://www.cnd.org/c[...]
2011-10-11
[79]
웹사이트
http://history.peopl[...]
2011-01-30
[80]
간행물
Reassessing the Cultural Revolution
[81]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dark days of China's Cultural Revolution
https://www.scmp.com[...]
2019-11-29
[82]
뉴스
How Many Died? New Evidence Suggests Far Higher Numbers For the Victims of Mao Zedong's Era
https://www.washingt[...]
2019-05-09
[83]
논문
Finding a Place for the Victims: The Problem in Writing the History of the Cultural Revolution
https://journals.ope[...]
2007-12-15
[84]
백과사전
Typhoon Nina–Banqiao dam failure
https://www.britanni[...]
2023-10-12
[85]
웹사이트
75·8板桥水库溃坝 20世纪最大人类技术灾难
http://phtv.ifeng.co[...]
2020-03-23
[86]
서적
Agents of disorder: inside China's Cultural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87]
서적
Agents of disorder: inside China's Cultural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88]
논문
Collective violence in political movements: a review of the "unnatural deaths" (1966–1976)
https://www.cuhk.edu[...]
2016-06
[89]
논문
The latest vers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death toll
http://www.open.com.[...]
2022-06-29
[90]
논문
Rebellion and Repression in China, 1966–1971
[91]
웹사이트
http://www.cnd.org/c[...]
2017-04-03
[92]
논문
The Cultural Revolution in the Countryside: Scope, Timing and Human Impact
[93]
뉴스
http://www.cnd.org/C[...]
1999-08-01
[94]
웹사이트
http://www.hybsl.cn/[...]
Consensus Net
[95]
뉴스
Title unknown
1996-10-01
[96]
서적
Linking
[97]
서적
China's Bloody Century: Genocide and Mass Murder Since 1900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98]
웹사이트
http://www.cnd.org/c[...]
2016-04-18
[99]
뉴스
Agence France Presse
1979-02-03
[100]
서적
Mao's China and After: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https://archive.org/[...]
Free Press
[101]
서적
Ethics, Efficiency and Macroeconomics in China: From Mao to Xi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02]
웹사이트
Chronology of Mass Killings during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1966–1976)
https://www.sciences[...]
2011-08-25
[103]
서적
开放杂志出版社
[104]
서적
https://books.google[...]
Cosmos Books
[105]
학술지
https://www.modernch[...]
[106]
서적
Anti-drug Crusades in Twentieth-century China: Nationalism, History, and State Building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07]
웹사이트
China's Puzzling Islam Policy
https://stanfordpoli[...]
2018-11-26
[108]
서적
The Killing Wind: A Chinese County's Descent Into Madness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109]
뉴스
https://cn.nytimes.c[...]
2012-11-09
[110]
웹사이트
Student Attacks Against Teachers: The Revolution of 1966
http://ywang.uchicag[...]
2001
[11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
[112]
뉴스
Chinese Red Guards Apologize, Reopening A Dark Chapter
https://www.npr.org/[...]
2020-02-14
[113]
웹사이트
http://mjlsh.usc.cuh[...]
2020-02-15
[114]
웹사이트
Interview: 'People Were Eaten by The Revolutionary Masses'
https://www.rfa.org/[...]
2019-11-30
[11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9-11-29
[116]
서적
Mao: The Unknown Story
Knopf
[117]
뉴스
Chaos of Cultural Revolution Echoes at a Lonely Cemetery, 50 Years Later
https://www.nytimes.[...]
2020-02-16
[118]
뉴스
The Cultural Revolution: all you need to know about China's political convulsion
https://www.theguard[...]
2020-02-16
[119]
뉴스
China's Cultural Revolution, Explained
https://www.nytimes.[...]
2020-02-16
[120]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1-09-01
[121]
서적
Deng Xiaoping: leader in a changing China
Lerner
[122]
웹사이트
文革中的"清理阶级队伍"运动 – 三千万人被斗,五十万人死亡
http://archives.cnd.[...]
2020-01-13
[123]
웹사이트
"内人党"冤案前后
http://mjlsh.usc.cuh[...]
2019-12-05
[124]
웹사이트
挖肃灾难实录
https://www.smhric.o[...]
Southern Mongolian Human Rights Information Center
[125]
학술지
The Cultural Revolution in Inner Mongolia 1967–1969: The Purge of the "Heirs of Genghis Khan"
2007-07-01
[126]
웹사이트
– 个人的冤案和 – 个时代的冤案
https://web.archive.[...]
2019-12-30
[127]
웹사이트
文革死亡人数统计为两百万人
https://www.chinesep[...]
2020-02-16
[128]
서적
China's Cultural Revolution, 1966-1969: Not a Dinner Party
https://books.google[...]
M.E. Sharpe
1996-08-28
[129]
학술지
The Central Case Examination Group, 1966–79
1996-03
[130]
학술지
The Historical Evolution of Bilingual Education for China's Ethnic Minorities
2001-03
[131]
논문
The Rise of Ethnicity under China's Market Reforms
2014-05-01
[132]
논문
From Discourse Politics to Rule of Law: A Constructivist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egional Ethnic Autonomy in China
2007-01-01
[133]
논문
Anti-Drug Crusades in Twentieth-Century China: Nationalism, History, and State Building. Zhou Yongming
2001-01-01
[134]
서적
Maoism: A Global History
Knopf Doubleday
[135]
웹사이트
Rise of the Veil: Islamic Modernity and the Hui Woman
http://digitalcollec[...]
SIT Graduate Institute
2011-01-04
[13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ibet
https://books.google[...]
Grove
[137]
서적
Genocide: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8]
서적
Circle Of Protest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39]
서적
Tibetan Independence Movement: Political, Religious and Gandhian Perspectives
Routledge
[140]
서적
The Story of Tibet: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https://books.google[...]
Open Road
[141]
서적
Eating Bitterness: New Perspectives on China's Great Leap Forward and Famin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42]
서적
Tibet's Last Stand?: The Tibetan Uprising of 2008 and China's Respons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43]
서적
History As Propaganda: Tibetan Exiles versu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4]
서적
Contemporary Tibet: Politics, Development, and Society in a Disputed Region
https://books.google[...]
M. E. Sharp
[145]
웹사이트
Religious Persecution in Tibet
http://www.tibet.ca/[...]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2018-12-05
[146]
서적
China's Political System: Modernization and Tradition
Macmillan
[147]
학술지
Never This Wild: Sexing the Cultural Revolution
1999-10-00
[148]
학술지
Socialist Sex: The Cultural Revolution Revisited
[149]
뉴스
A tragedy pushed to the shadows: the truth about China's Cultural Revolution
https://www.theguard[...]
2024-10-18
[150]
서적
Red Memory: The Afterlives of China's Cultural Revolution
W. W. Norton
[151]
서적
Art in Turmoil: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1966–76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52]
서적
The Lessons of History: The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at 75
https://ssi.armywarc[...]
Strategic Studies Institute
2022-01-11
[153]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t the margins: Chinese socialism in crisis
Harvard University Press
[154]
웹사이트
http://mjlsh.usc.cuh[...]
2020-02-23
[155]
웹사이트
http://www.yhcqw.com[...]
2020-07-14
[156]
웹사이트
http://news.ifeng.co[...]
2020-02-23
[157]
웹사이트
http://phtv.ifeng.co[...]
2020-02-23
[158]
웹사이트
From Victory to Defeat – China's Socialist Road and Capitalist Reversal
https://foreignlangu[...]
[159]
서적
Rise of the Red Engineers: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Origins of China's New Class
Stanford University Press
[160]
서적
People's Diplomacy: How Americans and Chinese Transformed US-China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Cornell University Press
[161]
서적
A River Forever Flowing: Cross-cultural Lives and Identities in the Multicultural Landscape
https://books.google[...]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15-06-27
[162]
뉴스
China's 'lost generation' recall hardships of Cultural Revolution
http://edition.cnn.c[...]
2014-11-15
[163]
서적
The Battle for China's Past: Mao and the Cultural Revolution
https://web.archive.[...]
Pluto Press
[164]
서적
The Power of Word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65]
학술지
The Sick Man of Asia. China's Health Crisis
http://www.foreignaf[...]
2014-11-12
[166]
서적
The power of words: political slogans as leverage in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during China's cultural revolution movement
Greenwood
[167]
서적
Ethics and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enter for Chinese Studies,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168]
서적
Dealing with China: an insider unmasks the new economic superpower
Grand Central Publishing
[169]
서적
Revolution and counterrevolution: China's continuing class struggle since liberation
Foreign Languages Press
[170]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alism
Duke University Press
2006
[171]
서적
Newborn Socialist Things: Materiality in Maoist China
Duke University Press
2021
[172]
서적
Mao Zedong and China in the twentieth-century world: a concise history
Duke University Press
[173]
서적
A History of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ill
[174]
웹사이트
http://news.sina.com[...]
2008-03-12
[175]
서적
Chinese Politics: Fall of Hua Kuo-Feng (1980) to the Twelfth Party Congress (1982)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76]
서적
Revolution and its narratives : China's socialist literary and cultural imaginaries (1949–1966)
Duke University Press
[177]
서적
China on Film: A Century of Exploration, Confrontation, and Controvers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78]
서적
Handbook of Chinese Popular Culture
https://books.google[...]
Greenwood
[179]
서적
Chinese National Cinem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Chinese Cinem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81]
서적
Jazz Planet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15-06-27
[182]
서적
Picturing Power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osters of the Cultur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83]
서적
Chinese Posters: Art from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Chronicle Books
[184]
서적
Painters and Politic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49–1979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5]
서적
Material Contradictions in Mao's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86]
서적
Afterlives of Chinese Communism: Political Concepts from Mao to Xi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187]
서적
Beijing Record: A Physical and Political History of Planning Modern Beijing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188]
서적
Ten Years of Turbulence: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Routledge
[189]
웹사이트
《Archaeology》 Publishing report
http://oversea.cnki.[...]
China Academic Journals Full-text Database
2017-01-31
[190]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Duke University Press
[191]
논문
"Liberating the Small Devils": Red Guard Newspapers and Radical Publics, 1966–1968
[192]
서적
Agents of Disorder: Inside China's Cultural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3]
서적
Fighting on the Cultural Front: U.S.-China Relations in the Cold War
Columbia University Press
[194]
웹사이트
When Pol Pot lounged by Mao's pool: how China exported Maoism
https://www.scmp.com[...]
2019-03-08
[195]
서적
ASEAN Resistance to Sovereignty Violation: Interests, Balancing and the Role of the Vanguard State
https://books.google[...]
Policy Press
2019
[196]
논문
The economic factor in the Sino-Vietnamese split, 1972–75: An analysis of Vietnamese archival sources
2011-04-18
[197]
웹사이트
Resolution on Certain Questions in the History of Our Party Sinc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hinese Communism Subject Archive)
http://www.marxists.[...]
[198]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t the margins: Chinese socialism in crisi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
서적
Afterlives of Chinese Communism: Political Concepts from Mao to Xi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9
[200]
웹사이트
Does a New Biography Tell the Whole Story on Deng Xiaoping?
http://asiasociety.o[...]
Asia Society
[201]
논문
"Liberating the Small Devils": Red Guard Newspapers and Radical Publics, 1966–1968
[202]
서적
Mao and Markets: The Communist Roots of Chinese Enterprise
Yale University Press
[203]
뉴스
AsiaNews.it
[204]
서적
Developmental Piece: Theorizing China's Approach to International Peacebuild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5]
서적
The Unknown Cultural Revolution: Life and Change in a Chinese Village
Monthly Review Press
2008
[206]
웹사이트
Chinese Reopen Debate Over Chairman Mao's Legacy
https://www.npr.org/[...]
2011-06-22
[207]
기타
Fong
[208]
뉴스
China media: Mao Zedong's legacy
https://www.bbc.com/[...]
2021-05-18
[209]
논문
Mao Zedong a Hundred Years On: The Legacy of a Ruler
[210]
서적
Up Against the Wall: Violence in 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Black Panther Par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211]
서적
Old Hong Kong Photos and The Tales They Tell, Volume 3
{{google books |plai[...]
Gwulo
[212]
학술지
Hoxha's Class War: The Cultural Revolution and State Reformation, 1961–1971
[213]
서적
Selected Works
http://www.enverhoxh[...]
8 Nëntori
[214]
웹사이트
http://www.ccfd.org.[...]
Chungcheng Cultural and Educational Foundation
1966-10-09
[215]
서적
Khrushchev Remembers: The Last Testament
Little, Brown and Company
[216]
뉴스
HK's Tsang apologises for gaffe
http://news.bbc.co.u[...]
2007-10-13
[217]
학술지
Actually Existing Maoism
https://books.google[...]
1987
[218]
서적
Mao Zedong and China in the twentieth-century world: a concise history
Duke University Press
[219]
백과사전
문화대혁명
[220]
뉴스
中国共産党100年 強国路線拡大には無理がある
https://www.yomiuri.[...]
2021-07-02
[221]
웹사이트
Twentieth Century Atlas - Death Tolls
http://necrometrics.[...]
2020-04-19
[222]
웹사이트
China: the Cultural Revolution Mass Atrocity Endings
https://sites.tufts.[...]
2020-04-19
[223]
웹사이트
"四人帮"被粉碎后的怪事:"文革"之风仍在继续吹
http://history.peopl[...]
人民网
2019-11-29
[224]
웹사이트
文革到底害死了多少人?
http://www.open.com.[...]
2020-04-19
[225]
뉴스
HOW MANY DIED? NEW EVIDENCE SUGGESTS FAR HIGHER NUMBERS FOR THE VICTIMS OF MAO ZEDONG'S ERA
https://www.washingt[...]
1994-07-17
[226]
웹사이트
Chronology of Mass Killings during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1966-1976) Sciences Po Mass Violence and Resistance - Research Network
https://www.sciences[...]
2019-11-30
[227]
논문
Consuming Counterrevolution: The Ritual and Culture of Cannibalism in Wuxuan, Guangxi, China, May to July 1968
http://www.jstor.org[...]
1995
[228]
웹사이트
Interview: 'People Were Eaten by The Revolutionary Masses'
https://www.rfa.org/[...]
2019-11-30
[229]
뉴스
A Tale of Red Guards and Cannibals
https://www.nytimes.[...]
1993-01-06
[230]
웹사이트
我参与处理广西文革遗留问题
http://www.yhcqw.com[...]
炎黄春秋
2019-11-29
[231]
웹사이트
Cannibalism in China 50 years on
http://www.rfi.fr/en[...]
2019-11-30
[232]
뉴스
DEVOURING THEIR OWN
https://www.washingt[...]
2019-11-30
[233]
서적
Morning Sun: Interviews with Chinese Writers of the Lost Generation
M. E. Sharpe
[234]
뉴스
1979년 2월 5일자 기사
毎日新聞
1979-02-05
[235]
서적
入門中国の歴史-中国中学校歴史教科書
明石書店
2001-11
[236]
뉴스
迫害狂・江青
解放軍報
1980-12-09
[237]
웹사이트
【14-06】中国の大学入試
https://spc.jst.go.j[...]
spc
2014-06-25
[238]
웹사이트
邓小平纪念网--领袖人物纪念馆--人民网
http://cpc.people.co[...]
2020-04-19
[239]
서적
When Huai Flowers Bloom
[240]
서적
Mao's China and After: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Since 1949
Free Press
[241]
서적
[242]
서적
[243]
서적
[244]
서적
Industrialization of Rural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245]
서적
China human development report 1999: transition and th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246]
웹사이트
Up to the mountains, down to the villages (1968)
http://chineseposter[...]
2019-10-20
[247]
간행물
The Cultural Revolution and its legacies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248]
서적
毛主席語録
外文出版社
[249]
웹사이트
「毛沢東情 結」と「北京情 結」
https://web.archive.[...]
2019-03-21
[250]
웹사이트
龍のかぎ爪 康生 (上)
https://www.iwanami.[...]
岩波書店
[251]
웹사이트
冤罪と「平反」の中国史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06-06
[252]
간행물
拨乱反正立丰碑——胡耀邦同志领导平反“六十一人案”追记
http://www.hybsl.cn/[...]
人民日報
1989-06-01
[253]
서적
Selected Works, February 1966 – July 1975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982
[254]
서적
Reflections on China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979
[255]
서적
Selected Works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985
[256]
서적
Reflections on China
8 Nëntori Publishing House
1979
[257]
서적
The Albanians: A Modern History
I.B. Tauris & Co Ltd
1999
[258]
서적
UNKNOWN
2016
[259]
서적
UNKNOWN
2016
[260]
서적
UNKNOWN
2016
[261]
뉴스
アンデスの毛沢東:先住民、プロレタリアート、農民
静岡大学人文社会科学部アジア研究センター
2016-02-01
[262]
논문
2016
[263]
뉴스
文化大革命:識者に聞く 世界に多様な影響
2016-05-13
[264]
논문
2016
[265]
서적
Political Culture in Libya
Routledge
2013-09-05
[266]
웹사이트
State-University Power Struggle at Times of Revolution and War in Iran
2004
[267]
서적
Modern Iran
2003
[268]
웹사이트
INSIDE IRAN'S CULTURAL REVOLUTION
2018-07-20
[269]
논문
2016
[270]
논문
2016
[271]
서적
国際情勢判断半世紀
育鵬社
[272]
웹사이트
「国家情報官」設置のすすめ
http://www.okazaki-i[...]
2016-05-18
[273]
서적
国際情勢判断半世紀
扶桑社
2015-04
[274]
뉴스
中国訪問を終えて 北京にて 朝日新聞社長 広岡知男 松村友好訪中団
1970-04-22
[275]
서적
朝日新聞血風録
文藝春秋
2021-11-21
[276]
서적
歴史のなかの中国文化大革命
岩波書店
2001-02
[277]
뉴스
文化大革命:識者に聞く 階級格差、混迷招く
[278]
서적
若松プロ、夜の三銃士
愛育社
2008-03
[279]
뉴스
毎日フォーラム:民主政権の課題と自民再生への展望
http://mainichi.jp/s[...]
2009-11-12
[280]
뉴스
【ワイドショー通信簿】「独法新設おかしい!」 仙谷大臣の反論は…
https://news.livedoo[...]
ライブドア
2009-12-09
[281]
논문
[282]
논문
[283]
웹사이트
諸外国における教科書制度及び教科書事情に関する調査研究報告書(財団法人教科書センター/2000年3月発行)
http://www.jtu-net.o[...]
[284]
웹사이트
「文化大革命の過ち繰り返す」中国首相、改革訴え
https://web.archive.[...]
www.nikkei.com
2019-01-24
[285]
논문
[286]
웹사이트
教科書改訂で毛沢東の文革再評価、習政権の狙い「誤った認識」は「必要な苦労」へと改変
https://business.nik[...]
2018-12-27
[287]
웹사이트
楓橋 – 宗教を攻撃する毛沢東主義の復活 - 今週の特集
https://jp.bitterwin[...]
2018-12-27
[288]
웹사이트
古参共産党員、個人崇拝に警鐘 異例の文書発表 中国(時事通信)
https://news.yahoo.c[...]
2022-08-29
[289]
뉴스
文革当時の中国切手1枚に4300万円、香港オークション 写真4枚 国際ニュース
https://www.afpbb.co[...]
2009-11-02
[290]
웹사이트
景徳鎮磁器
http://japan.visitbe[...]
2012-10-23
[291]
간행물
最新・中国航空・軍事トピック 独自の社会主義
文林堂
2021-08
[292]
서적
フロンティアと国際社会の中国文化大革命
集広舎
2016-11
[293]
Harvnb
2016
[294]
뉴스
ウイグル人の中国文化大革命:既往研究と批判資料からウイグル人の存在を抽出する試み
静岡大学人文社会科学部アジア研究センター
2016-02
[295]
뉴스
モンゴル人医学者たちの文化大革命:「日本」を背負わされた知識人たち
静岡大学人文社会科学部アジア研究センター
2016-02
[296]
Harvnb
2016
[297]
뉴스
文化大革命:識者に聞く 大虐殺を総括せよ
2016-05-13
[298]
뉴스
アジアに求められる先人の知恵 胡耀邦氏はチベット、ウイグルなど「連邦制」を模索していた 文化人類学者・静岡大学教授・楊海英
https://www.sankei.c[...]
2018-01-17
[299]
뉴스
内モンゴル文化大革命における「えぐり出して粛清する(挖粛)」運動:原因、過程、及び影響
岩波書店
2016-01
[300]
뉴스
習近平が「中国人嫌い」な“あの国”を訪問した意図とは?
https://nikkan-spa.j[...]
2014-08-29
[301]
뉴스
狙いは民族抹消、中国が「教育改革」称してモンゴル人に同化政策
https://jbpress.isme[...]
日本ビジネスプレス
2021-06-23
[302]
논문
2016
[303]
논문
2016
[304]
뉴스
殺劫:チベットの文化大革命における一連の事件を手がかりにして
岩波書店
2016-01
[305]
영화
夜明けの国
https://eiga.com/mov[...]
[306]
웹인용
“文化大革命”
http://cpc.people.co[...]
新华网
[307]
웹인용
《五一六通知》
http://www.hprc.org.[...]
中华人民共和国国史网
2009-08-20
[308]
웹인용
1966年5月16日 中共政治局扩大会议通过“五、一六通知”
http://www.people.co[...]
人民网
2003-08-01
[309]
웹인용
“文化大革命”的十年
http://www.gov.cn/te[...]
《中华人民共和国年鉴》
2005-06-24
[310]
웹인용
文革争议:中共粉碎四人帮 弹指四十年
https://www.bbc.com/[...]
2016-10-05
[311]
웹인용
“文革”十年动乱,你有没有听到赵匡胤的哭泣?
http://history.peopl[...]
《历史学家茶座》
2011-06-22
[312]
웹인용
“十年动乱”中的胡耀邦
http://m.stnn.cc/pca[...]
人民网、《文史天地》
2011
[313]
인용
毛澤東發動文革的來龍去脈
https://www.youtube.[...]
英国广播公司(BBC)
2016-05-11
[314]
저널
Reassessing the Cultural Revolution
1986
[315]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dark days of China's Cultural Revolution
https://www.scmp.com[...]
2012-08-18
[316]
웹인용
Twentieth Century Atlas - Death Tolls
http://necrometrics.[...]
2021-05-30
[317]
뉴스
HOW MANY DIED? NEW EVIDENCE SUGGESTS FAR HIGHER NUMBERS FOR THE VICTIMS OF MAO ZEDONG'S ERA
https://www.washingt[...]
1994-07-17
[318]
웹인용
"四人帮"被粉碎后的怪事:"文革"之风仍在继续吹
http://history.peopl[...]
2011-01-30
[319]
웹사이트
Student Attacks Against Teachers: The Revolution of 1966
http://ywang.uchicag[...]
2001
[320]
웹사이트
Chronology of Mass Killings during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1966-1976)
https://www.sciences[...]
2011-08-25
[321]
서적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Reconsidered: Beyond Purge and Holocaust
Palgrave Macmillan
[322]
서적
Mao's China and the Cold War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323]
서적
[324]
서적
[32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people.fa[...]
2009-03-26
[326]
서적
中国人民解放軍
岩波書店
[327]
서적
[328]
서적
Mao's China and after
Simon and Schuster
[329]
웹사이트
Who made Liu Shaoqi into what he was?
http://history.163.c[...]
NetEase
[330]
웹사이트
Historical Atlas of the 20th century
http://users.erols.c[...]
[331]
서적
중국의 두 얼굴
펜타그램
2008
[332]
간행물
역사와 문화 2호
푸른숲
2000
[333]
서적
현대중국 단절과 연속
선학사
2005
[334]
서적
Television: Critical Concepts in Media and Cultural Studies
Routledge Publishing
2003
[335]
서적
The Cultural Revolution and Post-Mao Reforms: A Historical Perspecti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336]
기타
中国共产党中央委员会关于无产阶级文化大革命的决定
[337]
기타
十六条
[338]
웹사이트
murdoch edu
http://wwwistp.murdo[...]
2007-08-08
[339]
서적
Mao's Last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340]
서적
Mao: The Unknown Story
Jonathan Cape
2005
[341]
서적
중국의 두 얼굴
펜타그램
2008
[342]
서적
중국의 두 얼굴
펜타그램
2008
[343]
서적
중국의 두 얼굴
펜타그램
2008
[344]
서적
중국의 두 얼굴
펜타그램
2008
[345]
웹인용
Wang Dongxing's Memoirs
https://web.archive.[...]
2009-05-16
[346]
웹사이트
Distorting History: Lessons from the Lin Biao Incident
http://www.odu.edu/a[...]
2008-07
[347]
서적
Mao's Last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348]
웹인용
Basic Knowledge about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Eleventh Congress
https://web.archive.[...]
2007-03-21
[349]
서적
China's Second Revolution: Reform after Mao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87
[350]
서적
The World was Going Our Way: The KGB and the Battle for the Third World
Basic Books Publishing
2005
[351]
서적
Rhetoric of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The Impact on Chinese Thought, Culture, and Communication
UNC Press
[352]
웹사이트
Beijing Revises 'Correct' Version of Party History Ahead of Centenary
https://www.rfa.org/[...]
2021-05-20
[353]
웹사이트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s playing dangerous games with history
https://ipolitics.ca[...]
2021-05-20
[354]
웹사이트
With whiffs of Cultural Revolution, Xi calls for struggle 50 times
https://asia.nikkei.[...]
2021-05-20
[355]
웹사이트
我参与处理广西文革遗留问题
https://web.archive.[...]
2019-11-29
[356]
서적
Scarlet Memorial: Tales of Cannibalism in Modern China
Westview Press
[357]
서적
Mao's Last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58]
저널
The Cultural Revolution in Inner Mongolia 1967–1969: The Purge of the "Heirs of Genghis Khan"
2007-07-01
[359]
웹사이트
http://www.hybsl.cn/[...]
2019-12-30
[360]
웹사이트
'주덕해' - 네이트 백과사전
https://web.archive.[...]
2009-05-16
[361]
웹사이트
https://libcom.org/h[...]
[362]
뉴스
Chaos of Cultural Revolution Echoes at a Lonely Cemetery, 50 Years Later
https://www.nytimes.[...]
2016-04-04
[363]
서적
중국의 두 얼굴
펜타그램
2008
[364]
웹사이트
작은 포탈라궁에서 만난 관세음보살의 화신들
http://www.ohmynews.[...]
[365]
웹인용
国学网--中国经济史论坛 - 说“风水”——《风水与人居环境》代序
http://economy.guoxu[...]
2007-11-14
[366]
서적
The Power of Words: literacy and revolution in South China, 1949-95
UBC Press
1997
[367]
서적
Mao's Last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368]
논문
Revolution in Education: China and Cuba in Global Context, 1957–76
https://web.archive.[...]
[369]
웹사이트
Banning Discussion On The Cultural Revolution Catastrophe Is Another Catastrophe
http://www.zonaeurop[...]
[370]
웹사이트
江泽民论有中国特色社会主义
http://www.cycnet.co[...]
[371]
웹사이트
The New Left in China
http://therealnews.c[...]
[372]
간행물
다시 문혁이 필요한 시점
한겨레21
2006-05-25
[373]
웹사이트
Project MUSE
http://muse.jhu.edu/[...]
[374]
서적
Blood Red Sunset
Viking
1995
[375]
저널
Actually Existing Maoism
1987
[376]
서적 # 추정, 추가 정보 필요
Thurston 1984–85
[377]
서적
Ten Years of Turbulence: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Kegan Paul International, Routledge
2010
[378]
서적
The Battle for China's Past: Mao and the Cultural Revolution
http://www.strongwin[...]
Pluto Press
2008
[379]
저널
Actually Existing Maoism
1987
[380]
서적
The Culture of Power: Lin Biao and the Cultural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381]
서적
Mao's Last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82]
서적
Old Hong Kong - Volume Three
Text Form Asia books Ltd
[383]
뉴스
리영희 향한 정치적 이념 공세를 비판한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384]
논문
문화 대혁명시기의 북중관계와 재중조선인에 관한 연구
http://www.aks.ac.kr[...]
[385]
논문
The Red Guards of Paris: French Student Maoism of the 1960s
[386]
웹인용
Jean-Paul Sartre
http://www.kirjasto.[...]
2009-05-16
[387]
서적
China Confidential: American Diplomats and Sino-American Relations, 1945-1996
Columbia University Pres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추상화 같고 유화를 닮은 수묵화…‘중국 현대미술 거장’ 우관중을 만나다
‘상하이 엑소더스’가 그려낸 전쟁·계급·젠더·이주의 대하소설 [.t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