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준쇼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쥰쇼인은 교토의 조닌의 딸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측실이다. 오오쿠에서 이에미쓰의 눈에 들어 아들 도쿠가와 쓰나시게를 낳았으며, 이에미쓰 사후에는 삭발하고 불교에 귀의했다. 쥰쇼인의 증손인 도쿠가와 이에쓰구는 7대 쇼군이 되었으나, 쥰쇼인의 친가는 몰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오쿠 관련자 - 가스가노쓰보네
    가스가노쓰보네는 에도 시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이자 막부 내 영향력 있는 여성으로, 몰락한 가문을 일으켜 세우고 이에미쓰를 쇼군으로 옹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오오쿠를 총괄하며 정치적 수완을 발휘하여 막부 안정에 기여한 인물이다.
  • 오오쿠 관련자 - 에지마
    에도 시대 인물인 에지마는 고후 번사의 딸로 태어나 오오쿠에서 권력을 누렸으나, '에지마 사건'으로 실각하여 유배된 후 생을 마감했으며, 그녀의 삶은 다양한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1622년 출생 - 마쓰다이라 요리시게
    미토 번주 도쿠가와 요리후사의 장남 마쓰다이라 요리시게는 다카마쓰 번의 초대 번주로서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쇼군에게 참근교대 간소화를 건의했다.
  • 1622년 출생 - 유형원
    유형원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토지 제도 개혁과 과거제 폐지 등을 주장하며 《반계수록》을 저술하여 경세치용 실학 사상을 펼쳤다.
  • 1683년 사망 - 마리테레즈 도트리슈
    스페인 공주 마리 테레즈 도트리슈는 루이 14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나 궁정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종교적인 삶을 살았으며, 그녀의 지참금 미지급 문제는 후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1683년 사망 - 심익현
    심익현은 조선 효종의 부마이자 청평도위로, 현종과 숙종 시대에 사신으로 활약하며 외교에 기여했고, 오행설에 밝았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했던 인물이다.
준쇼인
기본 정보
이름엔랴쿠지 (延暦寺)
위치일본 시가현 오쓰시 사카모토혼마치 4220 (滋賀県大津市坂本本町4220)
종파천태종
산호히에이산 (比叡山)
창건자간무 천황
창건 연도엔랴쿠 4년 (785년)
개산덴교 다이시 사이초 (伝教大師 最澄)
본존약사여래
문화재 지정 현황국보 (곤폰 주도)
중요문화재 (다수)
웹사이트엔랴쿠지 공식 웹사이트
역사
창건 배경간무 천황이 덴교 다이시 사이초에게 히에이산에 사찰을 짓도록 명함.
초기 역사사이초가 당나라에서 귀국 후 엔랴쿠지를 중심으로 천태종을 전파.
일본 불교의 중심지로서 발전.
중세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파괴 (1571년).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에 의해 재건.
근대 이후현대에 이르기까지 천태종의 총본산으로서의 역할을 수행.
주요 건물
곤폰 주도 (根本中堂)사이초가 창건한 엔랴쿠지의 본당. 국보로 지정.
다이코도 (大講堂)다양한 불교 행사가 열리는 강당.
아미다도 (阿弥陀堂)아미타여래를 모신 불당.
국보전 (国宝殿)엔랴쿠지에 소장된 국보급 문화재를 전시하는 시설.
문화재
국보곤폰 주도 (根本中堂)
중요문화재다수의 건물 및 불상, 미술품 등이 중요문화재로 지정됨.
교통
철도게이한 전기 철도 이시야마사카모토 선 사카모토히에이잔구치역 (坂本比叡山口駅)에서 하차 후, 케이블카 또는 버스 이용.
버스JR 교토역, 게이한 사카모토히에이잔구치역 등에서 엔랴쿠지행 버스 운행.
관련 인물
사이초 (最澄)엔랴쿠지의 창건자이자 천태종의 개조.
간무 천황 (桓武天皇)엔랴쿠지 창건을 명한 천황.
기타
세계유산고도 교토의 문화재 (교토시, 우지시, 오쓰시)의 일부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됨.

2. 생애

교토조닌(町人) 출신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정실인 다카쓰카사 다카코 휘하의 오스에(御末)라는 낮은 신분이었다. 그러나 쇼군이 오오쿠에서 목욕할 때 시중을 드는 오유도노(御湯殿)에 임명되면서 이에미쓰의 눈에 들어 임신하게 되었다.[2]

하지만 쥰쇼인이 임신한 해는 이에미쓰의 액년이었다. 이에미쓰는 태어날 아이에게 액운이 미치지 않도록 누나인 센히메를 양모로 정했다. 쥰쇼인은 센히메의 거처인 다케바시 어전(竹橋御殿)으로 옮겨 1644년 아들 나가마쓰(長松, 훗날의 도쿠가와 쓰나시게)를 출산했다. 나가마쓰는 이에미쓰의 아버지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아명과 같았다. 쥰쇼인의 아버지는 딸이 쇼군의 아들을 낳자 조닌에서 무사로 신분이 상승하여 오카베 시게이에(岡部八左衛門重家), 이후 후지에다 시게이에(藤枝重家)로 개명하였다.[2]

1651년 이에미쓰가 사망하자 쥰쇼인은 삭발하고 불교에 귀의하여 쥰쇼인(順性院)으로 개명하였다.[2] 1683년 사망하였으며, 이에미쓰의 다른 측실이었던 게이쇼인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고 전해진다.[2]

2. 1. 출생과 오오쿠 생활

교토조닌(평민) 출신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정실 다카쓰카사 다카코의 시녀였다. '오스에'라는 낮은 신분이었으나, 쇼군이 오오쿠에서 목욕할 때 시중을 드는 '오유도노(御湯殿)'를 맡게 되면서 이에미쓰의 눈에 들어 임신하게 되었다.[2]

1644년은 이에미쓰의 액년이었기에, 이에미쓰는 태어날 아이에게 액운이 미치지 않도록 누나 센히메를 양모로 정했다. 쥰쇼인은 센히메의 거처인 다케바시 어전(竹橋御殿)으로 옮겨 1644년 아들 나가마쓰(長松, 훗날 도쿠가와 쓰나시게)를 낳았다. 나가마쓰는 이에미쓰의 아버지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아명과 같았다. 쥰쇼인의 아버지는 딸이 쇼군의 아들을 낳자 평민에서 무사로 신분이 올라 오카베 시게이에(岡部八左衛門重家), 이후 후지에다 시게이에(藤枝重家)로 개명하였다.[2]

2. 2. 쓰나시게 출산과 이후의 삶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측실 쥰쇼인(준쇼인)은 교토조닌(町人) 출신으로, 원래 이에미쓰의 정실 다카쓰카사 다카코 휘하의 오스에(御末)라는 낮은 신분의 시녀였다. 그러나 쇼군이 오오쿠에서 목욕할 때 시중을 드는 오유도노(御湯殿)에 임명되면서 이에미쓰의 눈에 들어 임신하게 되었다.[2]

하지만 쥰쇼인이 임신한 해는 공교롭게도 이에미쓰의 액년이었다. 이에미쓰는 태어날 아이에게 액운이 미칠 것을 염려하여 누나 센히메와 상의했고, 센히메가 쥰쇼인이 낳을 아이의 양모가 되기로 하였다. 이후 쥰쇼인은 센히메의 거처인 다케바시 어전(竹橋御殿)으로 옮겨 쇼호 원년(1644년) 아들 나가마쓰(長松, 훗날의 도쿠가와 쓰나시게)를 출산했다. 나가마쓰는 이에미쓰의 아버지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아명과 같았다. 쥰쇼인의 아버지는 딸이 쇼군의 아들을 낳자 조닌에서 무사로 신분이 상승했고, 오카베 시게이에(岡部八左衛門重家)에서 후지에다 시게이에(藤枝重家)로 개명하였다.[2]

게이안 4년(1651년), 이에미쓰가 세상을 떠나자 쥰쇼인은 머리를 깎고 불교에 귀의하여 쥰쇼인(順性院)이라는 법명을 얻었다.[2]

덴나 3년(1683년) 쥰쇼인은 세상을 떠났다. 쥰쇼인은 이에미쓰의 다른 측실이었던 게이쇼인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고 전해진다.[2]

3. 가계

준쇼인은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측실로, 도쿠가와 쓰나시게의 생모이다. 원래 이에미쓰의 정실다카쓰카사 다카코의 시녀였으나, 이에미쓰의 아이를 임신하게 되었다.[2] 이에미쓰는 태어날 아이에게 재앙이 미치지 않도록 누나인 텐주인을 양모로 정했다. 준쇼인은 1644년 6월 28일 아들(훗날의 도쿠가와 쓰나시게)을 출산했다.[2] 이에미쓰 사후 출가하여 쥰세이인(順性院)이 되었다.[2]

준쇼인은 게이쇼인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고 전해진다.[2]

3. 1. 쇼군 가문과의 관계

도쿠가와 쓰나요시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준쇼인의 손자인 도쿠가와 이에노부가 6대 쇼군이 되었다. 이후 이에노부의 아들이자 준쇼인의 증손인 도쿠가와 이에쓰구가 7대 쇼군으로 취임하였다.[2] 이에쓰구는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요절하였으나, 이에노부의 동생인 마쓰다이라 기요타케(松平清武)가 다테바야시 번(館林藩)의 번주(藩主)가 되어 그를 보필하였다.[2]

3. 2. 후지에다 가문의 몰락

준쇼인의 친가인 후지에다 가문은 4,500석의 하타모토 신분으로 준쇼인 사후에도 존속하였으나, 가문의 일원이었던 후지에다 노리나리(藤枝教行)가 유녀(遊女)와 동반자살한 사건으로 인해 개역 처분을 받아 몰락하였다.[2] 이는 덴메이 5년 (1785년)에 일어난 일로, 후지에다 노리유키(藤枝教行)가 유녀 아야고로모와 에자시(餌指)의 집에서 동반자살한 사실이 발각되었기 때문이다.

4. 대중문화 속의 쥰쇼인

준쇼인은 만화,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요시나가 후미의 만화 《오오쿠》와 TBS 드라마 《오오쿠~탄생[아리코토·이에미쓰 편]~》에서는 남녀 역전 설정으로 등장했고, 영화 《오오쿠 백화요란》에서는 오나츠노카타를 모델로 한 오하루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1]

4. 1. 관련 작품 목록

다음은 준쇼인이 등장하거나 관련된 작품 목록이다.

  • 요시나가 후미의 만화 《오오쿠》에서는 남녀 역전 설정으로 등장한다.[1]
  • 1967년 TV 아사히 드라마 《도쿠가와의 부인들》: 오가와 토모코[1]
  • 1980년 칸사이 TV 드라마 《핫토리 한조 그림자 군단》: 와타나베 야요이[1]
  • 1983년 칸사이 TV 드라마 《오오쿠》: 사토 마리, 오자와 스미에[1]
  • 2000년 NHK 대하드라마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 이시카와 히토미[1]
  • 2004년 후지 TV 드라마 《오오쿠~제1장~》: 노나미 마호[1]
  • 2012년 TBS 드라마 《오오쿠~탄생[아리코·이에미츠 편]~》: 이치카와 토모히로 (남녀 역전 설정)[1]
  • 2008년 영화 《오오쿠 백화요란》: 미카 (오나츠노카타를 모델로 한 오하루 역)[1]

참조

[1] 문서 寛政重修諸家譜
[2] 서적 ビジュアル日本史ヒロイン1000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