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센히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센히메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녀이자,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로, 1597년에 태어나 1666년에 사망했다. 7세에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결혼했으나, 오사카 전투에서 구출된 후 혼다 타다토키와 재혼했다. 센히메는 남편과 사별 후 출가하여 텐주인이라 불렸으며, 이후 손자인 이케다 츠나마사를 돌보며 오오쿠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녀의 삶은 여러 영화, 드라마, 소설, 뮤지컬의 소재가 되었으며, 현재 일본의 역사극에서 중요한 인물로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메지번 사람 - 묘코인
    묘코인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녀이자 혼다 다다마사의 정실 부인으로, 혼다 가문의 번영과 도쿠가와 막부의 불교 정책에 기여한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인물이다.
  • 히메지번 사람 - 도쿠히메 (1565년)
    도쿠히메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여성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장녀이며 호조 우지나오와 결혼 후 이혼, 이케다 테루마사와 재혼하여 자녀를 두었고 독 만두 사건 설화가 전해진다.
  • 구와나번 사람 - 혼다 다다토키 (1596년)
    혼다 다다토키는 혼다 타다카츠의 손자이자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운 무장으로, 센히메와 혼인 후 히메지 번주가 되어 히메지성을 거점으로 번정을 펼쳤으며 미야모토 무사시를 스승으로 섬겼다.
  • 구와나번 사람 - 묘코인
    묘코인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녀이자 혼다 다다마사의 정실 부인으로, 혼다 가문의 번영과 도쿠가와 막부의 불교 정책에 기여한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인물이다.
  •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자녀 - 도요토미 사다코
    도요토미 사다코는 도요토미 히데카쓰의 딸로 태어나 요도도노의 양녀가 되었으며, 구조 유키이에와 결혼하여 기타노만도코로가 되었고, 오사카 전투 이후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양녀가 되어 공가와 무가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하다가 1658년에 사망했다.
  •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자녀 - 호시나 마사유키
    호시나 마사유키는 에도 막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아들로, 다카토 번주 호시나 마사미쓰의 양자가 되어 데와 야마가타 번과 무쓰 아이즈 번의 번주를 역임했으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신임을 받아 막부의 중책을 맡아 주자학을 숭상하고 재해 구제에 힘썼다.
센히메
기본 정보
센히메 모습 그림 ([[홍교사 (조소시)|홍교사]] 소장)
센히메 모습 그림 (홍교사 소장)
본명센히메 (千姫)
법명덴주인 (天樹院)
출생게이초 2년 4월 11일 (1597년 5월 26일)
출생지야마시로국 후시미성 (현재 교토시 후시미구)
사망간분 6년 2월 6일 (1666년 3월 11일)
사망지에도 (현재 도쿄도)
묘지덴쓰인
덴주인 홍교사
지온인
거주지후시미성
오사카성
쿠와나성
히메지성
에도성
법명덴주인 (天樹院)
가족 관계
아버지도쿠가와 히데타다
어머니아자이 고
배우자도요토미 히데요리
혼다 다다토키
자녀가쓰히메
고치요 (요절)
양자덴슈니
도쿠가와 쓰나시게
형제자매동생: 주히메
동생: 가쓰히메
동생: 하쓰히메
동생: 도쿠가와 이에미쓰
동생: 도쿠가와 다다나가
동생: 가즈히메
이복 누나: 도요토미 사다코
이복 동생: 도쿠가와 나가마루
이복 동생: 호시나 마사유키

2. 일생

게이초 2년(1597년) 4월 11일,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오에이요의 장녀로 야마시로국후시미성 내 도쿠가와 저택에서 태어났다.

게이초 8년(1603년) 7세에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결혼하여, 유모·교부쿄노츠보네와 함께 오사카성에 들어갔다.

게이초 20년(1615년) 오사카 여름 전투에서 조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명령으로 구출되었다. 히데요리와 측실 사이의 딸 텐슈니를 양녀로 삼아 처형될 위기에서 구했다.

겐와 2년(1616년), 혼다 타다마사의 아들 혼다 타다토키와 결혼했다. 사카자키 나오모리가 혼례 행렬을 습격하여 센히메를 강탈하려다 실패한 센히메 사건이 있었다. 같은 해 9월 26일에 쿠와나성에 도착하여 10만 석의 화장료를 받았다.

이듬해 겐와 3년(1617년), 혼다 가문이 하리마히메지로 이봉되면서 히메지성으로 옮겨 하리마 공주라고 불렸다.

1618년 장녀 카츠히메(이케다 미츠마사 정실, 이케다 츠나마사 생모), 1619년 장남 코센치가 태어났다. 그러나 1621년 코센치가 3세로 사망하고, 1626년 남편 타다토키, 시어머니 쿠마히메, 어머니 오에이요가 잇따라 사망했다. 이후 혼다가에서 딸 카츠히메와 함께 나와 에도성에 들어가 출가하여 '''텐주인'''이라 불렸다. 출가 후에는 딸과 둘이서 타케바시 고텐에서 살았다.

1628년 카츠히메가 히데타다의 양녀로서 이케다 미츠마사에게 시집가 혼자 살게 되자, 외동딸을 걱정하여 「텐주인 서장」을 보냈다.

1632년 아버지 히데타다가 사망했다.

1639년 미츠마사와 카츠히메의 아들 이케다 츠나마사(센히메의 외손자)가 태어났다.

250px

1643년 가마쿠라의 토케이지 가람을 재건했다.

1644년 남동생 도쿠가와 이에미츠의 액년을 피하기 위해 에도성에서 옮겨온 이에미츠의 측실 나츠(후의 쥰세인)와 셋째 아들 츠나시게와 함께 살았다. 츠나시게를 양자로 삼아 오오쿠에서 큰 발언권을 가졌고, 4대 쇼군 이에츠나 시대에도 최고 고문 역할을 했다. 1655년 에치젠 마츠다이라가(후쿠이번주 마츠다이라 미츠미치)의 혼인에 관해 막부에 개입했다.

1657년 메이레키 대화재로 타케바시의 저택이 소실되자, 숙부 도쿠가와 요리노부(기슈번주)의 저택에 잠시 머물렀다.

1666년 2월 6일, 에도에서 70세로 사망했다.

사망한 밤, 증조모 오오다노카타의 보리사인 코이시카와 덴츠인에 안치되었고, 치칸(지온인 37세)에 의해 장례가 거행되었다. 묘소는 덴츠인과 이바라키현조소시의 텐주인 코쿄지에 있으며, 정토종 총본산인 교토 지온인에도 분골되어 보탑에 안치되었다. 치칸은 후에 위패와 유물을 모시기 위해 이세에 자쿠쇼지를 열었다. 법명은 「텐주인덴 에이요 겐포 마츠야마 젠테이니」이다.

2. 1. 어린 시절

게이초 2년(1597년) 야마시로국(山城国) 후시미성(伏見城)의 도쿠가와 저택에서 도쿠가와 히데타다에요(江与) 사이의 장녀로 태어났다.[3] 게이초 8년(1603년), 센히메의 조부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세이이타이쇼군(征夷大將軍)에 취임하여 에도에 막부를 설립하였다.[3]

2. 2. 도요토미 히데요리와의 결혼

1603년 센히메는 7세의 나이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아들이자 도요토미 가문의 당주인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혼인하여 오사카성(大坂城)에 입성하였다.[3] 히데요리와 센히메는 사촌 남매 간이었으며, 부부 관계는 원만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그러나 자녀는 없었다.[3]

2. 3. 오사카 전투

게이초 19년(1614년) 도요토미 가문과 도쿠가와 가문이 결별하면서 오사카 전투가 발발하였다. 게이초 19년의 오사카 겨울 전투(大坂冬の陣), 게이초 20년(1615년)의 오사카 여름 전투(大坂夏の陣)를 거치면서 패배한 도요토미 가문은 당주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히데요리의 생모 요도도노가 함께 자살하면서 멸망하였으나, 센히메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구출되었다.[3]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측실 사이에서 출생한 나아히메(奈阿姫)가 처형될 위기에 놓이자 센히메는 나아히메를 자신의 양녀로 삼아 구했다. 나아히메는 덴슈니(天秀尼)라는 법명을 받고 불문에 귀의한 뒤 1645년 36세로 요절하여 도요토미 가문은 단절되었다.

2. 4. 혼다 다다토키와의 재혼

1616년 센히메는 혼다 다다카쓰의 손자인 혼다 다다토키와 재혼하였다. 사카자키 나오모리가 센히메를 탈취하려던 센히메 사건이 발생하였는데,[1] 이 때 쓰와노 번(津和野藩)의 번주인 사카자키 나오모리(坂崎直盛)가 구와나 번으로 향하는 센히메의 혼례 행렬을 덮쳐 센히메의 가마를 탈취하려는 계획을 세웠다가 발각되었다.[1] 1617년 혼다 가문이 히메지(姫路)로 영지가 변경되면서 센히메는 남편과 함께 히메지성(姫路城)으로 거처를 옮겼다.[2] 센히메는 1618년 장녀 가쓰히메(勝姫), 1619년 장남 고치요(幸千代)를 낳았다.[2]

2. 5. 텐주인(天樹院)

1621년 아들 고치요가 사망하고, 1626년 남편 혼다 다다토키와 어머니 에요가 잇따라 사망하자 센히메는 에도 성(江戸城)으로 돌아왔다. 불교에 입문하여 '''텐주인'''(天樹院)이라는 법명을 받았다.[1] 1628년 딸 가쓰히메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양녀가 되어 이케다 미쓰마사(池田光政)와 혼인하였다.[1]

1643년 센히메는 가마쿠라의 도케이지 가람을 재건했다.[1] 센히메는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측실과 자녀들을 돌보았으며, 오오쿠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1] 1666년 에도에서 사망하였고,[1] 덴쓰인과 고쿄지(텐주인 고쿄지)에 묘소가 있다.[1]

3. 센히메에 대한 평가

센히메는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부부 사이가 좋았고, 텐슈니를 구명하는 등 자비로운 면모를 보였다.[4] 도쿠가와 이에야스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귀여움을 받았으며, 남동생 도쿠가와 이에미츠와도 사이가 좋았다.


  • 첫 남편 도요토미 히데요리와는 부부 사이가 좋아서, 센히메가 16세 때 히데요리가 여성의 검은 머리를 정리하는 의식인 '빈삭'을 센히메에게 하는 것을 시녀가 보았다고 한다.
  • 온화한 성격으로 알려졌으며, 히데요리와 측실 사이에서 태어난 딸 텐슈니가 처형될 위기에 처했을 때, 센히메가 몸을 던져 필사적으로 구명을 간청하여 텐슈니는 목숨을 건졌다고 한다. 텐슈니는 이후 '인연 끊기 절'로 유명한 도케이 절의 주지가 되었다.
  • 증조부 오다 노부히데와 조모 오이치의 총명함과 미모를 물려받은 아름다운 공주였다고 전해진다. 두 번째 남편 혼다 타다토키(어머니 쿠마히메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오다 노부나가의 손녀로 센히메의 사촌이다)도 수려한 외모로, 미남 미녀 부부로서 사이가 좋았다고 한다.
  • 사망 후, 딸 가쓰히메의 장녀 나아히메(혼다 타다히라의 부인)는 할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해 '정토삼부경'을 베껴 코쿄지에 봉납했다. 나아히메가 쓴 '정토삼부경(남지금니 아미타경)'은 현재 이바라키현 조소시 지정 문화재이다.
  • 할아버지 이에야스와 아버지 히데타다에게 귀여움을 받았고, 남동생 도쿠가와 이에미츠와도 사이가 좋았다. 그러나 히데타다는 오사카 전투에서 히데요리와 함께 자결하지 않은 센히메에게 분노하여, "여자이면서 히데요리와 함께 불타 죽어야 할 곳에 (성을) 나왔다는 것은 보기 흉하다"라고 말하며 한동안 딸과 대면조차 하지 않았다고 한다(『오사카기』). 역대 막부도 센히메의 경력 때문에 그녀의 처우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4. 센히메와 관련된 사건

센히메와 관련된 사건으로는 센히메 사건과 오사카 전투가 있다.

겐나 2년(1616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녀 센히메는 혼다 다다카쓰의 손자인 혼다 다다토키와 재혼했다. 이때 쓰와노 번의 번주였던 사카자키 나오모리가 센히메의 혼례 행렬을 덮쳐 센히메를 탈취하려다 발각되었다. 이 사건으로 나오모리는 할복하고 사카자키씨는 개역(改易) 처분을 받았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오사카 성에서 센히메를 구출한 자에게 센히메를 주겠다고 약속했었는데, 나오모리는 자신이 센히메를 구출했으니 결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센히메는 나오모리가 구출 과정에서 얼굴에 화상을 입어 흉해졌기 때문에 결혼을 거부하고, 대신 잘생긴 다다토키를 선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러나 이 이야기는 최근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3]

게이초 19년(1614년), 도요토미 가문과 도쿠가와 가문이 결별하면서 오사카 전투가 발발하였다. 이 전투에서 패배한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그의 생모 요도도노는 자결하였고 도요토미 가문은 멸망하였다. 센히메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구출되었다.[3] 이후 히데요리와 측실 사이에서 태어난 나아히메(奈阿姫)는 센히메의 양녀가 되어 목숨을 구했다.

4. 1. 센히메 사건

겐나 2년(1616년), 센히메는 혼다 다다카쓰의 손자인 혼다 다다토키와 재혼하면서 화장비 명목으로 10만 석의 영지를 받았다. 이때 쓰와노 번의 번주였던 사카자키 나오모리가 센히메의 혼례 행렬을 덮쳐 센히메를 탈취하려다 발각되었다. 이 사건으로 나오모리는 할복하고 사카자키씨는 개역(改易) 처분을 받았다. 이 사건을 센히메 사건이라고 한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오사카 성에서 센히메를 구출한 자에게 센히메를 주겠다고 약속했었는데, 사카자키 나오모리는 자신이 센히메를 구출했으니 센히메와 결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센히메는 나오모리가 구출 과정에서 얼굴에 화상을 입어 흉해졌기 때문에 결혼을 거부하고, 대신 잘생긴 다다토키를 선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러나 이 이야기는 최근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3]

4. 2. 오사카 전투

게이초 19년(1614년) 도요토미 가문과 도쿠가와 가문이 결별하면서 오사카 전투가 발발하였다. 오사카 전투는 게이초 19년의 오사카 겨울 전투(大坂冬の陣)와 게이초 20년의 오사카 여름 전투(大坂夏の陣)로 진행되었으며, 이 전투에서 패배한 도요토미 가문은 당주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그의 생모 요도도노가 자결하면서 멸망하였다. 센히메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구출되었다.[3] 이후 히데요리와 측실 사이에서 태어난 나아히메(奈阿姫)가 처형될 위기에 놓이자, 센히메는 나아히메를 자신의 양녀로 삼아 구했다. 나아히메는 덴슈니(天秀尼)라는 법명을 받고 불문에 귀의한 뒤 1645년 36세로 자녀 없이 요절하여 도요토미 가문은 단절되었다.

5. 센히메 가계도

千姫|센히메일본어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녀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아들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정실 부인이었다. 센히메는 오다 노부나가의 조카 손녀이기도 하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도쿠가와 히데타다
어머니오에요
남편도요토미 히데요리
혼다 타다토키
자녀가쓰히메이케다 미쓰마사와 결혼
고치요1619년 출생, 1621년 사망 (3세)


6. 센히메를 다룬 작품


  • 1962년 영화 센히메와 히데요리에서 미소라 히바리가 센히메 역을 맡아, 오사카 성 함락 이후 센히메가 불교 사원에 갇히기까지의 삶을 그렸다.
  • 1950년대 중반 마치코 쿄 주연의 영화 '공주 센히메'도 오사카 성 전투를 다룬 역사 영화이다.
  • 이노우에 야스시의 1955년 역사 소설 요도도노 일기에 센히메가 등장한다.
  • 코야마 유의 아즈미
  • 나카시마 카즈키 원작, 코바야시 타쿠미 작화의 제노사이드 사나다 십용사 VS 사토미 팔견사 (만화 액션 게재, 후타바샤)
  • 쿠스노키 케이의 오니키리마루덴 (리이드샤)
  • 비디오 게임 결전의 마지막 스토리라인에 등장한다. 컷신에서 센히메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죽음에 대해 슬퍼하고, 이에야스는 할복으로 사무라이의 의무를 다한 히데요리를 칭찬하며 그녀를 위로한다.

참조

[1] 문서 April 11 in the old calendar
[2] 문서 February 6 in the old calendar
[3] 웹사이트 千姫と秀頼の新婚生活は、はじめはママゴトのようなものだったが、年月が経つにつれ、仲睦まじいものになっていったという。 https://president.jp[...] PRESIDENT Online 2012-11-18
[4] 웹사이트 千姫異聞 http://wasshoi.goosi[...] 2023-12-20
[5] 서적 幕末奇談 旺文社文庫
[6] 간행물 一条家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