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환지반산자동부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환지반산자동부제는 홍콩 센트럴과 미드레벨을 연결하는 세계에서 가장 긴 옥외 지붕형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이다. 1980년대 초 홍콩 정부는 가파른 지형으로 인한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이 시스템 건설을 계획했다. 1991년 착공하여 1993년 개통되었으며, 총 18개의 에스컬레이터와 3개의 무빙 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개통 이후 주변 상업 시설 발달에 기여했으나, 예산 초과 및 교통량 감소 목표 미달성으로 논란이 있었다. 현재는 일일 8만 명 이상이 이용하며, 영화 촬영지로도 활용되어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교통 - 옥토퍼스 카드
    옥토퍼스 카드는 1997년 홍콩에서 출시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로, 대중교통 요금 지불을 넘어 소매점, 식당 등 다양한 곳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며 홍콩 주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했다.
  • 중완 - 입법회 종합 빌딩
    홍콩 입법회가 사용하는 입법회 종합 빌딩은 타마르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설계와 다양한 공공 시설을 갖추고 2019년 홍콩 시위 당시 점거되기도 했으며, 의원 수 증가로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 중완 - 중국은행 타워 (홍콩)
    중국은행 타워 (홍콩)는 홍콩 센트럴에 위치한 마천루로, I. M. 페이가 대나무 형상을 본떠 설계했으며, 1990년에 완공되어 한때 홍콩과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고, 현재는 홍콩에서 네 번째로 높은 마천루이다.
중환지반산자동부제
개요
에스컬레이터 시스템 내부
에스컬레이터 시스템 내부
종류옥외 에스컬레이터 및 보행로
특징에스컬레이터
보행로
무빙 워크
계단
위치홍콩섬, 홍콩
소유주홍콩 정부
건설 기간1991년–1993년
개장일1993년 10월 15일
높이135m
길이800m
웹사이트교통부 프로필
명칭
중국어 (번체)中環至半山自動扶梯系統
중국어 (간체)中环至半山自动扶梯系统
광둥어 (예일)zùng waan zí bún sàan zìh dùhng fu tài hàih tūng
광둥어 (광동어 병음)zung1 waan4 zi3 bun3 saan1 zi6 dung6 fu4 tai1 hai6 tung2
광둥어 (국제 음성 기호)[t͡sʊ̋ŋ.wä̏ːn.t͡sīː.pūːn.sä̋ːn.t͡sìː.tʊ̀ŋ.fȕː.tʰɐ̋i̯.hɐ̀i̯.tʰʊ᷄ŋ]
중국어 (표준어 병음)Zhōnghuán zhì Bànshān Zìdòngfútī Xìtǒng
영어Central–Mid-Levels Escalator and Walkway System (공식 명칭)
Mid-Levels Escalator
Hillside Escalator
상세 정보
특징세계에서 가장 긴 옥외 에스컬레이터 시스템 중 하나임.
주변 지역센트럴
미드 레벨
할리우드 로드
중요성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중요한 교통 수단이며, 주변 지역의 상업 및 문화 발전에 기여함.

2. 역사



1980년대 초, 홍콩 정부는 센트럴과 미드레벨 간의 교통 문제, 특히 가파른 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남북 방향 교통 수요 해결의 필요성을 인지했다.[2] 모노레일이나 케이블카 시스템을 이용해 두 지역을 연결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2]

1982년 말, 민간 컨설턴트인 Peter Y.S. Pun and Associates와 MVA 아시아가 센트럴의 교통 개선 방안을 조사했다.[3] 이들은 ''미드레벨 및 센트럴 지구의 교통 요구 연구'' 보고서에서 미드레벨과 기존 센트럴 고가 보도 시스템을 연결하는 "에스컬레이터 지원 보행자 경로"와 센트럴 시장 부지에 새로운 버스 터미널을 건설할 것을 제안했고,[4][3] 이는 미드레벨 주민들에게 호평을 받았다.[5]

홍콩 도로부는 몬셀 컨설턴트 아시아(Maunsell Consultants Asia)에 이 시스템의 상세 설계를 의뢰했다.[6] 홍콩 행정회의는 1990년 3월 16일에 이 프로젝트를 승인했다.[7] 1991년 2월 말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폴 Y. 엔지니어링(Paul Y. Engineering)과 프랑스 회사 소젠(Sogen)의 합작 투자를 통해 수행되었다.[6][8][9] 2년 반의 공사 기간을 거쳐, 1993년 10월 15일 오전 6시에 대중에게 공개되었다.[10]

이 에스컬레이터의 개통은 중간 층에 새로운 레스토랑과 기타 상업 시설의 확산을 촉진했으며, "소호(SoHo)" 엔터테인먼트 지구의 개발에 기여했다. 기존 건물의 1층 또는 2층에 새로운 사업체가 문을 열었고, 에스컬레이터 이용자를 유치하기 위해 간판을 추가했다.[11]

중환지반산자동부제 건설에는 2억 4천만 홍콩 달러(3,100만 미국 달러)가 소요되었는데, 이는 1990년 3월에 승인된 1억 미국 달러 예산 및 연간 95만 미국 달러 유지 관리 비용을 초과한 것이다.[12] 1996년 11월, 감사원장은 이 프로젝트를 "애물단지"라고 칭하며, 미드 레벨과 센트럴 사이의 교통량을 줄이려는 주요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예산을 153% 초과했다고 보고했다.[13]

고속도로국의 부실한 프로젝트 관리는 예산 승인 이후 다섯 번의 비용 수정이 발생한 주요 원인이었다. 감사원장은 입찰 전 추정에서 프로젝트 관련 위험과 복잡성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고, 지연으로 인해 비용이 상승했다고 지적했다.[13] 토지 수용 비용 또한 7,400만 미국 달러(180%) 과소 평가되었다. 보고서는 운수국의 "전후" 연구에서 교통 체증의 뚜렷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13]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향후 유사한 프로젝트 진행 시 철저한 예산 관리와 투명한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2. 1. 건설 배경

1980년대 초, 홍콩 정부는 센트럴과 미드레벨 간의 교통 문제, 특히 가파른 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남북 방향 교통 수요 해결의 필요성을 인지했다.[2] 모노레일이나 케이블카 시스템을 이용해 두 지역을 연결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2]

1982년 말, 민간 컨설턴트인 Peter Y.S. Pun and Associates와 MVA 아시아가 센트럴의 교통 개선 방안을 조사했다.[3] 이들은 ''미드레벨 및 센트럴 지구의 교통 요구 연구'' 보고서에서 미드레벨과 기존 센트럴 고가 보도 시스템을 연결하는 "에스컬레이터 지원 보행자 경로"와 센트럴 시장 부지에 새로운 버스 터미널을 건설할 것을 제안했고,[4][3] 이는 미드레벨 주민들에게 호평을 받았다.[5]

2. 2. 건설 과정

홍콩 도로부는 몬셀 컨설턴트 아시아(Maunsell Consultants Asia)에 이 시스템의 상세 설계를 의뢰했다.[6] 홍콩 행정회의는 1990년 3월 16일에 이 프로젝트를 승인했다.[7] 1991년 2월 말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폴 Y. 엔지니어링(Paul Y. Engineering)과 프랑스 회사 소젠(Sogen)의 합작 투자를 통해 수행되었다.[6][8][9] 2년 반의 공사 기간을 거쳐, 1993년 10월 15일 오전 6시에 대중에게 공개되었다.[10]

이 에스컬레이터의 개통은 중간 층에 새로운 레스토랑과 기타 상업 시설의 확산을 촉진했으며, "소호(SoHo)" 엔터테인먼트 지구의 개발에 기여했다. 기존 건물의 1층 또는 2층에 새로운 사업체가 문을 열었고, 에스컬레이터 이용자를 유치하기 위해 간판을 추가했다.[11]

2. 3. 개통 이후

홍콩 도로부는 몬셀 컨설턴트 아시아(Maunsell Consultants Asia)에 이 시스템의 상세 설계를 의뢰했다.[6] 홍콩 행정회의는 1990년 3월 16일에 이 프로젝트를 승인했다.[7] 1991년 2월 말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폴 Y. 엔지니어링(Paul Y. Engineering)과 프랑스 회사 소젠(Sogen)의 합작 투자를 통해 수행되었다.[6][8][9] 건설에는 2년 반이 걸렸으며, 1993년 10월 15일 오전 6시에 대중에게 공개되었다.[10]

에스컬레이터 개통은 중간 층에 새로운 레스토랑과 기타 상업 시설의 확산을 촉진했으며, "소호" 엔터테인먼트 지구의 개발에 기여했다. 기존 건물의 1층 또는 2층에 새로운 사업체가 문을 열었고, 에스컬레이터 이용자를 유치하기 위해 간판을 추가했다.[11]

2. 4. 예산 초과 논란

중환지반산자동부제 건설에는 2억 4천만 홍콩 달러(3,100만 미국 달러)가 소요되었는데, 이는 1990년 3월에 승인된 1억 미국 달러 예산 및 연간 95만 미국 달러 유지 관리 비용을 초과한 것이다.[12] 1996년 11월, 감사원장은 이 프로젝트를 "애물단지"라고 칭하며, 미드 레벨과 센트럴 사이의 교통량을 줄이려는 주요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예산을 153% 초과했다고 보고했다.[13]

고속도로국의 부실한 프로젝트 관리는 예산 승인 이후 다섯 번의 비용 수정이 발생한 주요 원인이었다. 감사원장은 입찰 전 추정에서 프로젝트 관련 위험과 복잡성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고, 지연으로 인해 비용이 상승했다고 지적했다.[13] 토지 수용 비용 또한 7,400만 미국 달러(180%) 과소 평가되었다. 보고서는 운수국의 "전후" 연구에서 교통 체증의 뚜렷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13]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향후 유사한 프로젝트 진행 시 철저한 예산 관리와 투명한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3. 구조 및 특징



홍콩 섬은 가파르고 언덕이 많은 지형으로 인해 경사지를 오르내리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중환지반산자동부제는 센트럴의 퀸스 로드 센트럴에서 미드 레벨의 컨듀잇 로드까지 이어진다.[6] 주로 코크레인 스트리트와 셸리 스트리트를 따라 이동하며,[6] 퀸스 로드 센트럴에서는 중환 시장을 통해 센트럴 지역을 연결하는 센트럴 고가 보도와 연결된다.

총 길이는 800m, 수직 상승 높이는 135m이다.[6] 전체 이동에는 20분이 소요되지만, 많은 사람들이 에스컬레이터가 움직이는 동안 걸어서 이동 시간을 단축한다.[6] 기네스 세계 기록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긴 옥외 지붕형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이다.[15]

이 시스템은 총 18개의 에스컬레이터와 3개의 경사형 무빙 워크로 구성되어 있다.[19] 복잡한 지형 때문에 시스템의 일부는 고가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부분은 지면에 위치한다.[6]

무빙 워크의 발판 폭은 1미터로, 보행 속도가 빠른 사람이 느린 사용자를 지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6] 3개의 무빙 워크는 각각 8.1°, 11.9°, 11.7°의 경사도를 가진다. 11개의 에스컬레이터는 일반적인 30°의 경사도를 가지며, 나머지 7개는 비표준 17.5°의 경사도를 가진다.[19]

모든 무빙 워크는 사용자를 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덮여 있지만, 측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지붕 구조는 시각적으로 매력적으로 설계되었으며, 채광창 역할을 하는 반투명 폴리카보네이트를 통합하여 햇빛이 무빙 워크를 비추도록 설계되었다.[6]

3. 1. 경로

홍콩 섬은 가파르고 언덕이 많은 지형으로 인해 경사지를 오르내리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중환지반산자동부제는 센트럴의 퀸스 로드 센트럴에서 미드 레벨의 컨듀잇 로드까지 이어진다.[6] 주로 코크레인 스트리트와 셸리 스트리트를 따라 이동하며,[6] 퀸스 로드 센트럴에서는 중환 시장을 통해 센트럴 지역을 연결하는 센트럴 고가 보도와 연결된다.

총 길이는 800m, 수직 상승 높이는 135m이다.[6] 전체 이동에는 20분이 소요되지만, 많은 사람들이 에스컬레이터가 움직이는 동안 걸어서 이동 시간을 단축한다.[6] 기네스 세계 기록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긴 옥외 지붕형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이다.[15]

3. 2. 디자인

이 시스템은 총 18개의 에스컬레이터와 3개의 경사형 무빙 워크로 구성되어 있다.[19] 복잡한 지형 때문에 시스템의 일부는 고가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부분은 지면에 위치한다.[6]

무빙 워크의 발판 폭은 1미터로, 보행 속도가 빠른 사람이 느린 사용자를 지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6] 3개의 무빙 워크는 각각 8.1°, 11.9°, 11.7°의 경사도를 가진다. 11개의 에스컬레이터는 일반적인 30°의 경사도를 가지며, 나머지 7개는 비표준 17.5°의 경사도를 가진다.[19]

모든 무빙 워크는 사용자를 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덮여 있지만, 측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지붕 구조는 시각적으로 매력적으로 설계되었으며, 채광창 역할을 하는 반투명 폴리카보네이트를 통합하여 햇빛이 무빙 워크를 비추도록 설계되었다.[6]

4. 운영



;이용객 현황

2010년 기준으로 중환지반산자동부제의 일일 이용객은 약 85,000명으로, 지역 주민들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16] 관광객들에게도 인기 있는 명소로, 홍콩을 방문하는 많은 관광객들이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한다. 1996년에는 일일 이용객이 34,000명 이었고,[17] 2005년에는 54,000명,[16] 2016년에는 78,000명이 이용했다.[18] 운수 부서는 에스컬레이터가 대중교통 수요를 완화했지만, 유발 수요의 교통 계획 원칙에 따라 많은 운전자가 운전을 포기하거나 교통 체증이 감소하지는 않았다고 언급했다.[16]

연도일일 이용객
199634,000[17]
200554,000[16]
201085,000[16]
201678,000[18]



;관리 및 유지 보수

기전공정서(EMSD)가 시스템의 관리 및 유지를 담당하고 있다.[19] 시스템은 케인 로드(Caine Road) 근처의 통제실에서 근무하는 직원에 의해 운영 시간 동안 모니터링된다. 시스템에는 75대의 CCTV 카메라, LED 가변 메시지 표시판, 약 200개의 스피커가 있는 방송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2014년부터 기전공정서는 관리 및 유지를 민간 회사에 위탁했다.[19] 2014년 기준으로 시스템의 연간 유지 보수 비용은 약 1,250만 홍콩 달러이다.[20]

전체 시스템은 2018년부터 단계적인 개보수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21]

;운행 방향

에스컬레이터는 단방향으로 운행되며, 매일 오전 6시부터 오전 10시까지는 하행, 오전 10시부터 자정까지는 상행으로 운행된다.[6]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는 에스컬레이터 옆의 계단과 경사로를 이용해야 하며, 이는 콘duit 로드와 퀸스 로드 센트럴 보행자 다리 사이의 총 782개의 계단으로 구성되어 있다.[6] 통과하는 각 도로마다 입구와 출구가 있으며, 종종 도로 양쪽에 모두 위치해 있다.[6]

4. 1. 이용객 현황

2010년 기준으로 중환지반산자동부제의 일일 이용객은 약 85,000명으로, 지역 주민들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16] 관광객들에게도 인기 있는 명소로, 홍콩을 방문하는 많은 관광객들이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한다. 1996년에는 일일 이용객이 34,000명 이었고,[17] 2005년에는 54,000명,[16] 2016년에는 78,000명이 이용했다.[18] 운수 부서는 에스컬레이터가 대중교통 수요를 완화했지만, 유발 수요의 교통 계획 원칙에 따라 많은 운전자가 운전을 포기하거나 교통 체증이 감소하지는 않았다고 언급했다.[16]

연도일일 이용객
199634,000[17]
200554,000[16]
201085,000[16]
201678,000[18]


4. 2. 관리 및 유지 보수

기전공정서(EMSD)가 시스템의 관리 및 유지를 담당하고 있다.[19] 시스템은 케인 로드(Caine Road) 근처의 통제실에서 근무하는 직원에 의해 운영 시간 동안 모니터링된다. 시스템에는 75대의 CCTV 카메라, LED 가변 메시지 표시판, 약 200개의 스피커가 있는 방송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2014년부터 기전공정서는 관리 및 유지를 민간 회사에 위탁했다.[19] 2014년 기준으로 시스템의 연간 유지 보수 비용은 약 1,250만 홍콩 달러이다.[20]

전체 시스템은 2018년부터 단계적인 개보수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21]

4. 3. 운행 방향

에스컬레이터는 단방향으로 운행되며, 매일 오전 6시부터 오전 10시까지는 하행, 오전 10시부터 자정까지는 상행으로 운행된다.[6]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사용자는 에스컬레이터 옆의 계단과 경사로를 이용해야 하며, 이는 콘duit 로드와 퀸스 로드 센트럴 보행자 다리 사이의 총 782개의 계단으로 구성되어 있다.[6] 통과하는 각 도로마다 입구와 출구가 있으며, 종종 도로 양쪽에 모두 위치해 있다.[6]

5. 주변 지역



중환지반산자동부제는 토머스 알렉산더 코크란 제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코크란 스트리트[22] 전체 구간을 따라 퀸스 로드 센트럴과 할리우드 로드 사이를 통과하며, 이후 셸리 스트리트를 따라 이어진다.

이 시스템은 빅토리아 여왕가, 데스 보 로드 센트럴, 퀸스 로드 센트럴, 스탠리 스트리트, 웰링턴 스트리트, 게이지 스트리트, 린드허스트 테라스, 올드 베일리 스트리트, 할리우드 로드, 스탠튼 스트리트, 엘긴 스트리트, 케인 로드, 모스크 스트리트, 모스크 정션, 로빈슨 로드, 컨두잇 로드를 지난다.

5. 1. 관통 도로



중환지반산자동부제는 코크란 스트리트[22] 전체 구간을 따라 퀸스 로드 센트럴과 할리우드 로드 사이를 통과하며, 이후 셸리 스트리트를 따라 이어진다.

이 시스템은 빅토리아 여왕가, 데스 보 로드 센트럴, 퀸스 로드 센트럴, 스탠리 스트리트, 웰링턴 스트리트, 게이지 스트리트, 린드허스트 테라스, 올드 베일리 스트리트, 할리우드 로드, 스탠튼 스트리트, 엘긴 스트리트, 케인 로드, 모스크 스트리트, 모스크 정션, 로빈슨 로드, 컨두잇 로드를 지난다.

5. 2. 주변 명소

6. 영화 촬영지



중환지반산자동부제(Central–Mid-Levels escalators)는 여러 영화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 ''중경삼림'' (1994). 왕가위 감독은 "아무도 이곳에서 영화를 찍지 않았기 때문에 흥미로웠다. 촬영 장소를 물색하는 과정에서 빛이 매우 적절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라고 말했다.[23]
  • ''중국 박스'' (1997). 1997년 홍콩 반환 직전 몇 달을 배경으로, 주인공 존(제레미 아이언스)의 아파트 겸 사무실은 중환지반산자동보도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 배트맨 영화 ''다크 나이트'' (2008). 2007년 11월 6일부터 11일까지 촬영이 진행되었다.[24]


영화 중경삼림과 폴리스 스토리 등의 촬영지로 등장하면서 관광 명소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에스컬레이터 자체가 여행 가이드에 게재되기도 하고, 중간에 소호(Soho)와 같은 관광 자원이 있어 관광객의 이용이 많아졌다.

참조

[1] 뉴스 Hong Kong's Mile-Long Escalator System Elevates the Senses: A Stairway to Urban Heaven https://www.nytimes.[...] 2001-07-06
[2] 뉴스 Go to work – by escalator 1982-02-28
[3] 뉴스 Private firm could run Mid-Levels escalator 1984-03-30
[4] 뉴스 Ambitious traffic plans for Central 1984-02-24
[5] 뉴스 Thumbs up for Central escalators 1984-04-09
[6] 간행물 The hillside escalator link in Hong Kong – planning and design 1992-01
[7] 뉴스 Mid-Levels link rises to $100m 1990-03-17
[8] 웹사이트 Central Mid-Levels Escalator and Walkway System http://www.pyenginee[...] Paul Y. Engineering 2018-05-24
[9] 뉴스 $186m Central escalator contract awarded 1991-02-23
[10] 뉴스 New link sets off in fits and starts 1993-10-16
[11] 뉴스 Stories behind Hong Kong districts: SoHo before the escalator http://www.scmp.com/[...] 2016-09-29
[12] 웹사이트 Escalator link to Central approved http://sunzi1.lib.hk[...] 1990-03-17
[13] 웹인용 Escalator 'a costly white elephant' http://www.thestanda[...] The Standard 1996-11-06
[14] 뉴스 7 of the world's coolest commutes https://edition.cnn.[...] CNN 2015-02-23
[15] 뉴스 Stairway to urban heaven http://www.scmp.com/[...] 2011-07-11
[16] 웹사이트 LCQ10: Hillside escalator links and elevator systems http://www.info.gov.[...] Legislative Council 2015-12-16
[17] 뉴스 Review will be ordered of 'failed' Mid-Levels escalator 1994-11-20
[18] 웹사이트 Transport Department - Hillside Escalator http://www.td.gov.hk[...] 2018-07-09
[19] 간행물 Life Cycle of the World's Longest Escalator Link https://www.emsd.gov[...] 2015-07-05
[20] 웹사이트 LCQ16: Hillside escalator links and elevator systems http://www.info.gov.[...] Legislative Council 2014-04-16
[21] 뉴스 Central to Mid-Levels escalator link to undergo 4-year upgrade http://www.ejinsight[...] 2018-01-22
[22] 서적 Signs of a Colonial Era Hong Kong University Press
[23] 문서 Cinematic Pleasures: Chungking Express Erasing Clouds 2004
[24] 뉴스 See hilly Hong Kong on escalator that sets records https://edition.cnn.[...] CNN 2017-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