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섬은 홍콩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1842년 난징 조약으로 영국에 할양된 후 1997년 홍콩 반환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양도되었다. 섬의 역사는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영국 식민지 시대에는 상업과 정치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현재 홍콩섬은 4개의 구로 나뉘며, 2023년 기준 약 118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MTR, 트램, 페리 등이 있으며, 해저 터널과 다리를 통해 구룡반도 및 주변 섬들과 연결된다. 홍콩섬에는 빅토리아 피크, 해변, 하이킹 코스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으며, 많은 역사적 건축물들이 지정 기념물로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섬 - 홍콩 트램
홍콩 트램은 1904년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홍콩섬 북부 해안을 따라 운행하며 2층 구조의 트램 163대를 운영하고 딩딩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홍콩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이다. - 홍콩섬 - 서항성
서항성은 홍콩 셩완에 위치한 웨스턴 마켓과 셩완 시립 서비스 빌딩으로 구성된 복합 건물이며, 웨스턴 마켓은 1844년 개장하여 1906년 재건축되었고, 1990년 홍콩의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홍콩의 섬 - 란터우섬
란터우섬은 홍콩에서 가장 큰 섬으로, 산악 지형과 다양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컨트리 파크가 섬 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홍콩의 허파"이자 홍콩 국제공항, 디즈니랜드 등의 관광 명소가 있는 곳으로 란터우 개발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 홍콩의 섬 - 스톤커터스섬
스톤커터스섬은 홍콩에 위치한 섬으로, 채석장으로 사용된 것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영국 할양 이후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되다가 현재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주둔하고 있고, 서구룡 매립지를 통해 구룡반도와 연결되어 하수 처리 시설과 스톤커터스교가 위치해 있다.
홍콩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한자) | 香港島 |
공식 명칭 (간체) | 香港岛 |
로마자 표기 (표준 중국어) | Xiānggǎng Dǎo |
로마자 표기 (통용 병음) | Sianggǎng Dǎo |
로마자 표기 (웨이드-자일스) | Hsiang¹-kang³ Tao³ |
로마자 표기 (병음) | Xianggǎng Dǎo |
로마자 표기 (광둥어) | Hēunggóng Dóu |
로마자 표기 (예일) | Hoeng1 gong2 dou2 |
면적 | 78.59 km² |
최고점 | 빅토리아 피크 |
해발고도 | 552 m |
인구 (2023년) | 1,188,500 명 |
인구 밀도 | 16,390 명/km² |
주요 민족 구성 | 85% 중국인 5.6% 필리핀인 2.6% 인도네시아인 2.5% 백인 |
지리 | |
위치 | 홍콩 |
설명 | 홍콩에서 두 번째로 큰 섬 |
행정 구역 | |
소속 국가 | 홍콩 |
기타 정보 | |
![]() |
2. 역사
제1차 아편 전쟁 중이던 1841년 1월 20일, 영국 해군의 찰스 엘리엇 대령은 당시 "황무암(Barren Rock)"으로 불리던 홍콩섬을 처음으로 점령했다. 영국 해군은 수갱구(Possession Point)에 상륙했다.
1842년 난징 조약에 따라 홍콩섬은 청나라로부터 영국에 정식으로 할양되어 영국의 영구 영토가 되었다. 이후 영국은 홍콩섬과 북쪽의 가우룽 사이에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을 딴 빅토리아항을 건설했다.
중국 대륙의 통치 주체가 청나라에서 중화민국으로 바뀌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는 시기를 거쳤다. 1997년 7월 1일, 신계 지역의 조차 기한 만료와 함께 홍콩섬을 포함한 영국령 홍콩 전체가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었다.
2. 1. 선사 시대 및 고대 중국
홍콩섬에 인류가 정착한 것은 6,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홍콩섬 스탠리에서 발견된 신석기 시대 유물로 뒷받침된다.[5]기원전 214년, 진나라는 백월을 정복하고 현재의 광둥, 광시, 북부 베트남 지역을 합병했다. 홍콩섬은 이 합병된 지역의 일부가 되었으며, 남해군南海郡|南海郡zho의 번우현番禺縣|番禺縣zho 관할 아래에 놓였다. 동진 시대(서기 331년) 6년에는 보안현寶安縣|寶安縣zho의 관할로 변경되었다.[6]
수나라, 당나라, 송나라 시대의 동전이 현재 로열 홍콩 요트 클럽이 위치한 곳에서 발굴되었는데, 이곳은 1969년 간척으로 섬이 코즈웨이 베이에 연결되기 전의 켈레트 섬이었다. 이는 이 시기 동안 섬에서 이미 자체적인 상업 활동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특히 송나라 동전은 당시 지역 간 무역에서 널리 사용되던 통화였다.[7]
명나라 만력제 시대(1573년) 동안 홍콩섬은 신안현 영토에 속했다. 이러한 소속은 1661년 청나라 순치제가 대피령을 발동하여 광둥, 푸젠, 저장, 장난, 산둥의 해안 지역 주민들을 내륙으로 강제 이주시키면서 변화를 맞았다. 이 조치는 포르모사(현재의 대만)에 있던 명나라 잔존 세력이 중국 본토 해안에 접근하여 해안 주민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이었다.[8]
1669년 명나라 잔존 세력이 소탕되면서 대피령은 해제되었지만, 홍콩섬의 원래 주민들은 거의 돌아오지 않았다.[8] 1842년 섬이 영국에 할양될 때까지 이 지역에서는 해적이 들끓었다.[9]
2. 2. 영국 식민지 시대
제1차 아편 전쟁 (1839–1842) 중이던 1841년 1월 20일, 영국 해군의 찰스 엘리엇 대령은 당시 "황무암(Barren Rock)"으로 불리던 홍콩섬을 처음으로 점령했다. 영국 해군은 수갱구(Possession Point)에 상륙했다.전쟁이 끝난 후, 1842년 난징 조약에 따라 홍콩섬은 청나라로부터 영국에 정식으로 할양되었고, 이 지역은 영국 왕령 식민지가 되었다. 당시 섬의 인구는 약 7,450명에 불과했다.[10] 영국은 홍콩섬과 북쪽의 가우룽 사이에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을 딴 빅토리아항을 건설했다.
이후 중국 대륙의 통치 주체가 청나라에서 중화민국으로 바뀌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는 시기를 거쳤다. 1997년 7월 1일, 신계 지역의 조차 기한 만료와 함께 홍콩섬은 영국이 1950년 이후 청나라의 후계로 인정한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었다.
2. 2. 1. 일본 침략 및 점령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은 홍콩에게 암울한 시기였다. 1930년대 영국은 일본의 홍콩 공격을 예상하고 방어 준비를 시작했다. 특히 전략적으로 중요한 방어 거점이었던 황나이충 갭에는 대공포 포대, 곡사포, 기관총 진지 등 대규모 방어 시설이 건설되었다.홍콩 전투는 1941년 12월 8일, 진주만 공격 8시간 후에 시작되었다. 사카이 다카시가 지휘하는 일본 침략군에 맞서 영국군, 캐나다군, 인도군, 그리고 홍콩 의용 방위군이 방어에 나섰다. 그러나 일본군은 공격 첫날부터 제공권을 장악했으며, 수적으로도 우세하여 방어선을 압박했다. 격렬한 공중 폭격과 포격 속에 방어군은 긴 드링커스 라인과 가우룽에서 차례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12월 18일, 일본군은 홍콩섬의 노스포인트를 점령했고, 다음 날에는 황나이충 갭에 도달했다. 이곳에서 영국군, 스코틀랜드군, 캐나다 위니펙 그레나디어스는 격렬하게 저항하며 한때 센트럴과 섬 남부 지역 사이의 통로를 확보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이 전투에서 일본군은 약 600명의 사상자를 냈다. 하지만 연합군은 12월 23일 결국 일본군에게 패배하여 황나이충 저수지를 내주었고, 같은 날 완차이 갭마저 함락되면서 영국의 항복은 불가피해졌다.
홍콩은 1941년 12월 25일 일본에 항복했다. 이날이 크리스마스였기 때문에 현지인들은 이날을 '검은 크리스마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홍콩 총독 마크 영은 페닌슐라 호텔 3층에 마련된 임시 일본군 본부에서 직접 항복 문서에 서명했고, 이로써 일본의 홍콩 점령이 시작되었다. 이소가이 렌스케가 초대 일본 총독으로 부임했다.
일본 점령 하의 홍콩은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식량 배급제가 시행되었으며, 일본은 홍콩 달러 사용을 불법으로 규정했다. 또한, 식량 부족 문제와 연합군의 반격 가능성에 대비한다는 명목으로 점령 기간 내내 귀환 정책을 강행했다. 이로 인해 실업자들은 중국 본토로 강제 추방되었고, 홍콩의 인구는 1941년 160만 명에서 1945년 일본 패망 시점에는 60만 명으로 급감했다.
2. 2.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과 중국 공산 혁명 이후 홍콩섬의 인구는 크게 늘어났다. 기존의 센트럴 지구만으로는 늘어난 인구를 감당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노스 포인트, 사우케이완, 애버딘, 웡척항 등 이전까지 개발이 덜 되었던 지역들이 새롭게 개발되고 도시화되기 시작했다. 이 지역들은 처음에는 산업 지역으로 개발되었으나, 홍콩이 산업화 시대를 지나면서 쿼리 베이, 완차이, 코즈웨이 베이 등 일부 지역은 새로운 상업 중심지로 변화했다. 이는 전통적인 상업 지구인 센트럴보다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했기 때문이다.[12][13]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 협정에 따라 홍콩섬은 구룡반도, 신계와 함께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었고, 이로써 156년간 이어졌던 영국의 통치가 끝나게 되었다.
3. 지리
홍콩섬은 홍콩에서 란터우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섬으로, 면적은 약 80.4km2이며 이는 홍콩 전체 면적의 약 7%에 해당한다.[1][2] 간척 사업으로 인해 면적이 확장되었는데, 1887년 이후 6.98km2가 추가되었으며, 소규모 간척은 1851년부터 이루어졌다.[1][2] 홍콩섬은 구룡반도 및 신계와 빅토리아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다.[1][2]
홍콩 개항 이후 가장 먼저 개발된 지역으로, 섬의 북부는 가우룽 지역과 함께 홍콩의 핵심 도심을 이룬다.[3] 난구를 제외한 홍콩섬 지역은 홍콩의 상업 및 정치 중심지 역할을 한다.[3] 홍콩섬 북쪽 해안선은 빅토리아항의 남쪽 경계를 이루며, 이 항구는 수심이 깊어 대형 선박의 입출항이 용이하여 홍콩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3] 이 때문에 홍콩섬은 종종 '섬쪽(the Island side)'이라고 불리기도 한다.[3]
현재 퀸스 로드나 킹스 로드보다 북쪽, 즉 빅토리아항 쪽의 땅은 대부분 간척을 통해 만들어진 매립지이다.[2] 과거 해안선 근처였음을 짐작게 하는 흔적으로, 현재는 바다에서 떨어진 내륙 쪽에 바다와 뱃사람의 수호신인 천후를 모시는 도교 사원이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2]
섬에서 가장 높은 산은 빅토리아 피크로, 높이는 해발 554m이다.[3][4] 홍콩섬에는 빅토리아 피크, 홍콩 오션 파크 등 여러 관광 명소와 쇼핑 센터가 많으며,[3][4] 섬을 가로지르는 등산로 역시 하이킹 코스로 인기가 높다.[3][4]
3. 1. 산, 봉우리 및 언덕
홍콩섬에서 가장 높은 산은 빅토리아 피크로, 높이는 해발 554m이다. 섬 중앙을 가로지르는 대부분의 언덕은 컨트리 파크에 포함되어 있다.이름 | 높이 (m) | 컨트리 파크 | 구역 |
---|---|---|---|
빅토리아 피크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이전 감사원장, 식민지 비서관이자 홍콩 행정관 존 가디너 오스틴의 이름을 따서 마운트 오스틴이라고도 불리며, 현지에서는 더 피크로 알려져 있다. 빅토리아 피크는 한때 화산이었다.) | 552 | 폭푸람 컨트리 파크 | 중서구 |
마운트 파커 (해군 원수 윌리엄 파커 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532 | 타이탐 컨트리 파크 | 동구 |
마운트 켈레트 (제독 헨리 켈레트 경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501 | 중서구 | |
하이 웨스트 | 494 | 폭푸람 컨트리 파크 | |
마운트 고프 (원수 휴 고프 경, 영국인 중국 사령관 및 인도 사령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479 | ||
마운트 캐머런 (영국 육군 장군 윌리엄 고든 캐머런 경, 전 홍콩 행정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439 | 애버딘 컨트리 파크 | 완차이구 |
마운트 버틀러 | 436 | 타이탐 컨트리 파크 | 동구 |
바이올렛 힐 | 433 | 남구 | |
자딘스 룩아웃 (영국 상인 윌리엄 자딘과 홍 자딘 매터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완차이구 | ||
마운트 니콜슨 (소령 W.C.A. 니콜슨, 홍콩 의용군 부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430 | 애버딘 컨트리 파크 | |
시우 마 샨 | 424 | 타이탐 컨트리 파크 | 동구 |
더 트윈스 사우스 | 386 | 남구 | |
더 트윈스 노스 | 363 | ||
마운트 콜린슨 | 348 | 섹오 컨트리 파크 | |
다길라르 피크 (영국 육군 소장 조지 찰스 다길라르 경, 전 홍콩 부총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325 | ||
포팅거 피크 (중장 헨리 포팅거 경, 초대 홍콩 총독이자 전 동인도 회사 대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312 | rowspan="3" | | 동구 |
브릭 힐 (남 롱 샨이라고도 알려져 있음) | 284 | 남구 | |
마운트 데이비스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 경, 제2대 홍콩 총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269 | 중서구 | |
롱푸 샨 (벨처스 위의 언덕이라고도 알려져 있음) | 253 | 롱푸 샨 컨트리 파크 | |
브레이마 힐 (영국 관료들에 의해 스코틀랜드 마을 브레이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 200 | rowspan="5" | | 동구 |
쇼슨 힐 (저우 쇼우선 경, 청나라의 고위 관리이자 나중에 홍콩의 저명한 사업가이자 정치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140 | 남구 | |
레이턴 힐 | 완차이구 | ||
모리슨 힐 (중국어 통역관이자 영국인 언어학자 겸 식민지 비서관인 존 로버트 모리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이 언덕은 1920년대 프라야 이스트 간척 계획 당시 프라야가 평평해졌으며, 당시 그 구성 암석/토양을 사용하여 항만에서 땅을 간척하여 해안선을 그 지역에서 멀어지게 했다.) | |||
마운트 패리시 (1873년에서 1876년 사이에 중국 기지의 지휘 해군 장교인 존 E. 패리시 제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
3. 2. 하이킹 트레일
홍콩섬에는 하이킹을 즐기기 좋은 유명한 등산로들이 있다. 홍콩섬의 대표적인 하이킹 코스는 총 길이 50km의 홍콩 트레일이다. 이 트레일은 총 8개의 구간으로 나뉘며, 빅토리아 피크의 빅토리아 갭에서 시작해 빅 웨이브 베이에서 끝난다.또한, 홍콩의 신계와 구룡을 잇는 윌슨 트레일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구간도 홍콩섬을 지난다. 이 구간들은 타이 탐 컨트리 파크와 타이 탐 컨트리 파크 쿼리 베이 연장 지역을 통과한다.[14]
3. 3. 해양 보호 구역
홍콩의 유일한 해양 보호 구역인 아그윌라곶 해양 보호 구역은 아그윌라곶 섬 남단에 위치해 있다. 1996년 7월에 개장했으며 약 20ha의 해역을 가지고 있다. 이 보호 구역은 해양 자원 보존, 과학 연구 및 귀중한 해양 자원에 대한 이해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일반인의 해양 보호 구역 방문은 자제되며, 수중 스포츠 및 해안 레크리에이션 활동은 이 지역에서 금지된다. 어업 및 자연보호국(Agriculture, Fisheries and Conservation Department)에서 관리한다.3. 4. 해변
홍콩섬 남구에는 많은 공공 해변이 위치해 있으며, 대표적으로 딥워터 베이, 리펄스 베이, 미들 베이, 사우스 베이, 중홈콕 해변, 세인트 스테판 해변, 스탠리 메인 해변, 헤어핀 해변, 터틀 코브 해변, 섹오, 빅 웨이브 베이 등이 있다. 이들 해변은 수상 스포츠와 활동을 즐기기에 인기 있는 장소이다. 공공 해변은 레저 문화 서비스부에서 관리한다.[16]4. 행정 구역
홍콩섬은 섬이지만, 제도 구에는 속하지 않는다. 홍콩의 4개 구가 이 섬에 위치해 있다.
- 중시 구
- 완차이 구
- 둥 구
- 사우스 구
5. 인구
2000년 기준 홍콩섬의 인구는 1,367,900명으로, 당시 홍콩 전체 인구의 약 19%에 해당했으며 인구 밀도는 1km2당 약 18,000명으로 홍콩 내에서 가장 높았다. 당시 구룡반도와 합쳐 홍콩 전체 인구의 47%를 차지했다.
2023년 현재 홍콩섬의 인구는 약 1,188,500명으로 감소하여, 홍콩 전체 인구 7,536,100명의 약 15.8%를 차지한다. 인구 밀도는 여전히 홍콩 전체 평균보다 높은 약 1km2당 18,000명 수준이다. 인구는 주로 북쪽 해안을 따라 집중되어 있으며, 센트럴 및 서구, 완차이, 이스턴 세 구의 인구를 합하면 925,200명에 달한다. 이 도시화된 지역의 면적은 약 41.3km2이며, 인구 밀도는 1km2당 약 22,500명에 이른다.[17]
센트럴 및 서구와 완차이 지구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홍콩의 다른 지역에 비해 가구 소득 중간값이 가장 높다. 홍콩섬 내 대표적인 부유 지역으로는 빅토리아 피크, 웨스턴 미드레벨(콘딧 로드/로빈슨 로드/매거진 갭 로드/코트월 로드 등), 이스턴 미드레벨(해피밸리, 타이항, 자딘스 룩아웃), 타이탐, 딥워터 베이, 리펄스 베이 등이 있다.
202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홍콩섬 주민의 85%는 중국인 혈통이다. 주요 소수 민족 집단으로는 필리핀인, 인도네시아인, 백인 등이 있다.[1]
같은 해 조사에서 홍콩섬 주민의 80.4%가 일상 언어로 광둥어를 사용했으며, 영어 사용자는 10.6%, 표준 중국어 사용자는 3.3%였다. 그 외 광둥어와 표준 중국어 외의 다른 중국 방언을 사용하는 주민이 2.8%, 위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주민이 2.9%를 차지했다.[1]
6. 교통
홍콩섬 내에서는 MTR의 섬 노선이 섬 북부 시가지를 동서로 운행하며, 세계적으로 드문 2층 구조의 홍콩 트램 역시 비슷한 경로로 운행한다. 센트럴에서 빅토리아 피크까지는 피크 트램이 연결한다.
홍콩섬과 구룡반도 사이는 여러 교통수단으로 연결된다. 자동차 전용 해저 터널 3곳(크로스하버 터널, 웨스턴 하버 크로싱, 이스턴 하버 터널)과 철도 전용 해저 터널 4곳(췬완선, 동철선, 장군오선, 공항철도·퉁청선 공용)이 있다. 또한, 스타 페리를 비롯한 여러 페리 항로가 두 지역을 잇는다. 홍콩섬과 구룡반도 사이에는 다리가 건설되어 있지 않다.
홍콩섬의 여러 부두에서는 란타우섬이나 라마섬 등 주변 섬으로 가는 페리가 출발한다. 셩완의 홍콩 마카오 페리 터미널港澳碼頭|항오우마터우중국어에서는 마카오나 중국 대륙의 선전, 광저우 등으로 가는 고속선이 운항된다. 마카오로는 헬리콥터 정기편도 운항하는데, 이는 1999년 마카오가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기 전까지 세계 유일의 헬리콥터 국제 정기 노선이었다.
버스 노선망도 잘 갖추어져 있어 홍콩섬 내 각 지역뿐만 아니라 해저 터널을 통해 구룡반도 및 신계 지역까지 연결된다.
6. 1. 철도
MTR 급행 철도 시스템의 10개 노선 중 7개 노선이 홍콩섬에서 운행된다. 홍콩섬선과 남부선은 홍콩섬의 4개 구역에서만 운행하는데, 홍콩섬선은 북쪽 해안을 따라 17개 역을 지나며, 남부선은 애플리차우와 웡척헹의 4개 역을 북쪽 해안의 애드미럴티역과 연결한다.[18][19] 췬완선, 쳉관오선, 둥충선, 공항 익스프레스, 동철선 등 5개의 MTR 노선은 홍콩섬 북쪽 해안과 구룡반도 및 신계를 연결한다. 특히 동철선은 홍함역에서 애드미럴티역까지 연장되어 또 다른 해협 횡단 연결을 제공한다.[20] 향후 계획된 북부 홍콩섬선 인프라 프로젝트는 둥충선과 쳉관오선을 확장하여 서로 연결하고, 홍콩섬선의 중간 구간과 평행한 노선을 형성할 예정이다.
홍콩섬에는 MTR 외에 홍콩 트램과 피크 트램이라는 두 개의 다른 철도 시스템도 운행된다. 홍콩 트램은 세계적으로 드문 2층 트램으로, 케네디 타운과 사우케이완 사이에서 MTR 홍콩섬선과 거의 평행하게 운행하며, 코즈웨이베이와 해피밸리를 연결하는 순환선도 있다. 피크 트램은 센트럴과 빅토리아 피크를 연결하는 케이블카이다.[21][22]
홍콩섬과 구룡반도는 췬완선, 동철선, 장군오선, 그리고 공항철도와 퉁청선이 공용하는 터널까지 총 4개의 철도용 해저 터널로 연결되어 있다.
6. 2. 해상 교통

홍콩섬에는 4개의 주요 페리 터미널이 있다. 센트럴 페리 부두, 노스 포인트 페리 부두, 사이완호 페리 부두, 완차이 페리 부두가 그것이다. 이 부두들에서는 구룡반도 및 외곽 섬으로 가는 페리가 자주 운행된다.[23] 셩완에 위치한 홍콩 마카오 페리 터미널에서는 마카오로 가는 터보제트 페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24]
또한, "워터 택시"라는 이름의 관광 유람선 서비스도 운영 중이다. 이 페리는 빅토리아항을 운항하며 홍콩 관람차, 국제 금융 센터, 침사추이 산책로, 서구룡 문화 지구, 카이탁 크루즈 터미널 등 홍콩의 주요 관광 명소를 연결한다. 4개의 하차 지점이 있다.[25]
빅토리아항을 따라 공공 부두들도 자리 잡고 있다. 과거 센트럴에 있었으나 현재 철거된 퀸스 부두나 스탠리로 이전된 블레이크 부두가 대표적이다. 이 공공 부두들은 주로 소형 바지선, 요트, 관광 보트의 승객 승하차를 위해 사용된다. 공공 부두는 코즈웨이 베이, 센트럴, 샤우케이완, 완차이 및 남구의 애버딘, 압레이차우, 스탠리 등지에 위치한다.[26]
홍콩섬과 구룡반도를 연결하는 주요 해상 교통수단으로는 스타 페리가 있으며, 복수의 항로를 운항한다. 홍콩섬의 몇몇 부두에서는 란타우섬이나 라마섬 등 다른 섬으로 가는 배편도 출발한다.
셩완의 항오우마터우에서는 마카오뿐만 아니라 선전, 광저우 등 중국 대륙으로 가는 고속선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마카오로 가는 헬리콥터 정기 항공편이 운항되고 있다. 이 헬리콥터 노선은 1999년 마카오가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기 전까지 세계 유일의 헬리콥터 국제 정기 노선이었다. 반환 이후에도 출입국 수속이 이루어져 형식상 국제 노선으로 볼 수 있다.
6. 3. 도로 및 터널
홍콩섬의 주요 도로로는 코넛 로드, 데 보 로드, 킹스 로드, 퀸스 로드 등이 있다.
홍콩섬은 육지에 있는 구룡반도와 여러 터널로 연결되어 있다. 도로 전용 터널로는 해저터널(Cross-Harbour Tunnel)과 서부 해저 터널(Western Harbour Crossing)이 있으며, MTR 철도 전용 터널로는 동철선, 췬완선, 둥충선/공항 익스프레스 노선이 있다. 또한, 도로와 MTR 철도가 함께 지나가는 터널로는 동부 해저 터널(Eastern Harbour Tunnel)이 있으며, 이 터널에는 장군오선과 도로 교통이 별도의 통로로 포함된다. 홍콩섬과 구룡반도 사이에는 다리가 놓여 있지 않다.
이러한 해저 터널 외에도 홍콩섬 내부를 연결하는 터널이 있다. 애버딘 터널은 1982년 3월에 개통되었으며, 해피밸리와 웡척항을 연결한다.[27] 통행료는 5HKD이다.[28] 센트럴-완차이 우회로는 2019년 1월에 개통되었으며, 셩완에서 완차이 북부 및 이스턴 코리더를 지나 코즈웨이 베이까지 이어진다.[27] 이 우회로는 센트럴 및 완차이 매립 사업의 일부로 건설되었고 4번 간선의 일부이며, 통행료는 없다.[29]
홍콩섬 남부의 애버딘과 압레이차우 사이는 압레이차우 대교가 연결한다. 이 다리는 1983년에 2차선 도로 다리로 처음 개통되었고, 1994년에는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버스 노선망이 잘 갖추어져 있어 홍콩섬 내 각 지역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해저 터널을 통해 구룡 및 신계 지역으로 운행하는 노선도 다수 존재한다.
6. 4. 다리

홍콩 섬과 구룡 사이에는 다리가 놓여 있지 않다.
도로 다리인 압리차우 교와 애버딘 해협 교는 홍콩 섬과 압리차우를 연결한다. 애버딘 해협 교는 남부 섬 노선의 일부이다.
압리차우 교는 압리차우의 증가하는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주민들은 다리가 건설되기 전까지 배로만 섬에 접근할 수 있었다.[30] 홍콩섬 남부의 애버딘과 압리차우 사이를 잇는 이 다리는 1980년에 첫 다리 건설이 시작되어 1983년에 2차선 도로 다리로 개통되었고, 1994년에는 두 번째 다리가 추가되어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6. 5. 센트럴-미드레벨 에스컬레이터

센트럴-미드레벨 에스컬레이터 및 보도 시스템은 세계에서 가장 긴 야외 덮개형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미드레벨의 교통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1993년에 개통되었다. 퀸즈 로드 센트럴에서 컨듀잇 로드까지 이어지며, 총 수평 거리는 800m가 넘고 총 수직 거리는 135m가 넘는다. 이 시스템은 덮개형 보도, 16개의 양방향 에스컬레이터 및 3개의 양방향 무빙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을 따라 레스토랑, 바 및 상점도 찾을 수 있다. 이 시스템은 교통 수단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홍콩을 방문하는 많은 관광객들에게 관광 명소이기도 하다. 2016년 말 기준으로 약 78,000명의 보행자가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한다.[31]
7. 지정 기념물
홍콩섬은 일찍부터 개발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섬 곳곳에서 많은 역사적인 건축물을 찾아볼 수 있다. 홍콩 정부에 의해 지정된 기념물들은 다양한 시대와 건축 양식을 보여주며, 홍콩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홍콩의 지정 기념물 전체 목록과 상세 정보는 홍콩의 지정 기념물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홍콩섬 내 주요 지정 기념물은 아래의 행정 구역별 설명에서 자세히 다룬다.
7. 1. 중시구 및 완차이구
홍콩섬의 중서부 지역인 '''중시구'''(Central and Western Districteng)와 동쪽으로 인접한 '''완차이구'''(Wan Chai Districteng)는 홍콩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중시구 (Central and Western District) ===
중시구는 홍콩의 초기 개발 지역으로, 역사적인 건물과 현대적인 마천루가 공존하는 곳이다. 주요 지역 및 명소는 다음과 같다.
- 센트럴 (애드미럴티, 타마)
- 그린 아일랜드 및 리틀 그린 아일랜드
- 룽푸산 (홍콩 대학교)
- 미드 레벨스 (서부 및 센트럴) (소호)
- 마운트 데이비스
- 사이완 (사이잉푼, 섹통추이, 케네디 타운)
- 셩완
- 빅토리아 피크
'''주요 건물 및 문화 유적'''
- 홍콩 시립회관
- 옛 대법원 외부
- 플래그스태프 하우스
- 정부 청사
- 게이트 로지 - 옛 마운틴 로지
- 센트럴 경찰서 구내
- 옛 센트럴 치안법원
- 빅토리아 감옥 구내
- 세노타프
- 웨스턴 마켓
- 그린 아일랜드 등대 단지
- 옛 정신 병원 정면
- 홍콩 대학교 본관 외부
- 홍 힝 잉 빌딩 외부, 홍콩 대학교
- 탕 치 응 빌딩 외부, 홍콩 대학교
- 펑 핑 샨 빌딩 외부, 홍콩 대학교
- 엘리엇 홀 외부, 홍콩 대학교
- 메이 홀 외부, 홍콩 대학교
- 성 스테판 여학교 본관
- 킹스 칼리지
- 성 요셉 대학 북동 및 서쪽 건물
- 본햄 로드 정부 초등학교
- 성 요한 대성당
- 자미아 모스크
- 문무묘 단지
=== 완차이구 (Wan Chai District) ===
완차이구는 상업 지구와 주거 지역이 혼합된 곳으로, 특히 코즈웨이 베이는 쇼핑과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로 유명하다.

- 코즈웨이 베이 (타이 항, 틴 하우, 빅토리아 공원)
- 해피 밸리
- 자딘스 룩아웃
- 소 쿤 포
- 미드 레벨스 (동부)
- 완차이
'''주요 건물 및 문화 유적'''
- 구 완차이 우체국
- 틴하우 사원 (코즈웨이 베이)
- 린파 사원
- 육후이 사원
- 둥린 곡 위엔
7. 2. 둥구 및 난구
홍콩섬을 이루는 주요 행정 구역 중에는 둥구와 난구가 포함된다. 난구는 홍콩섬의 남쪽 지역을 관할하며, 리펄스 베이와 같은 유명한 관광 명소와 오션파크 등이 위치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istrict Profiles
https://www.census20[...]
[2]
간행물
Population and Vital Events
http://www.statistic[...]
2009-08-31
[3]
웹사이트
Areas of Districts
https://www.rvd.gov.[...]
[4]
서적
Gweilo: memories of a Hong Kong childhood
Bantam
[5]
웹사이트
Antiquities and Monuments Office - Middle Neolithic (61)
https://www.amo.gov.[...]
2024-08-01
[6]
웹사이트
Chapter 22 History
https://www.yearbook[...]
2024-08-01
[7]
서적
港島東區風物志
[8]
웹사이트
Hong Kong and the Centuries Old Story
https://mediakron.bc[...]
[9]
웹사이트
HONG KONG THE PIRATE CAPITAL - PART I: THE BEGINNING
https://zolimacityma[...]
2017-10-18
[10]
웹사이트
The Population of Hong Kong
http://www.cicred.or[...]
Department of Statistics, University of Hong Kong
1974-12-21
[11]
서적
The Other Hong Kong Report 1989
Chinese University Press
1989-01-01
[12]
웹사이트
Business districts of Hong Kong
https://www.hongkong[...]
[13]
웹사이트
Grade A office: Leveraging Hong Kong's business districts
https://www.colliers[...]
Colliers
2022-12-07
[14]
웹사이트
Digital Map
https://www.ofca.gov[...]
[15]
웹사이트
Cape D'Aguilar Marine Reserve
https://www.afcd.gov[...]
[16]
웹사이트
Information of Beaches
https://www.lcsd.gov[...]
[17]
웹사이트
Table 110-06841 : Mid-year Population by District Council district
https://www.censtatd[...]
2024-07-26
[18]
웹사이트
Highways Department – Island Line
https://www.hyd.gov.[...]
Highways Department of the Government of Hong Kong
2019-01-08
[19]
웹사이트
Highways Department – South Island Line (East)
https://www.hyd.gov.[...]
Highways Department of the Government of Hong Kong
2019-01-08
[20]
웹사이트
MTR > System Map
https://www.mtr.com.[...]
2023-04-28
[21]
웹사이트
Hong Kong Tramways - Interactive Map
https://www.hktramwa[...]
2024-07-26
[22]
웹사이트
Peak Tram {{!}} Hong Kong Tourism Board
https://www.discover[...]
2024-07-26
[23]
웹사이트
FERRIES
https://www.td.gov.h[...]
Transport Department
[24]
웹사이트
HONG KONG MACAU FERRY TERMINUS
https://www.turbojet[...]
Turbo Jet
[25]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hongkong[...]
Hong Kong Water Taxi
[26]
웹사이트
Public Piers maintained by CEDD
https://www.cedd.gov[...]
Civil Engineering and Development Department
[27]
웹사이트
Road Tunnels of Hong Kong
https://www.hyd.gov.[...]
[28]
웹사이트
Transport Department - Toll Rates of Road Tunnels
https://www.td.gov.h[...]
2024-08-19
[29]
웹사이트
Highways Department - Central - Wan Chai Bypass and Island Eastern Corridor Link
https://www.hyd.gov.[...]
2024-08-19
[30]
웹사이트
Highways Department - Roads in Hong Kong Island
https://www.hyd.gov.[...]
2024-08-08
[31]
웹사이트
HILLSIDE ESCALATOR
https://www.td.gov.h[...]
2024-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