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불놀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쥐불놀이는 정월 대보름 또는 섣달 그믐에 논밭의 마른 풀을 태우는 한국의 전통 민속 놀이이다. 쥐불놀이는 묵은 액을 정화하고 풍년을 기원하며, 쥐와 해충을 제거하여 새싹의 성장을 돕는 의미를 지닌다. 깡통에 불을 붙여 돌리는 불깡통 놀이와 함께 행해지기도 하며, 지역에 따라 쥐불과 관련된 독특한 풍습이 전해진다. 평창 동계 올림픽 기념 주화에도 쥐불놀이 그림이 새겨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 문화 - 화전농업
화전농업은 숲을 개간하여 농사를 짓는 오래된 농업 방식으로, 열대 지방에서 식량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환경 문제로 인해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불 문화 - 횃불
횃불은 나무 막대기에 인화성 물질을 감아 만든 도구로, 고대부터 조명, 신호, 의식, 상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자유, 계몽, 희망과 같은 긍정적인 의미와 죽음, 애도의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 - 한국의 민속놀이 -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10줄 x 9줄의 판에서 각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궁을 잡는 한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상희라고도 불렸으며, 현대에는 주로 노년층 남성이 즐기고 대한장기협회에서 보급 및 관리를 한다. - 한국의 민속놀이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쥐불놀이 | |
---|---|
쥐불놀이 정보 | |
개요 | |
유형 | 한국의 전통 놀이 |
목적 | 쥐를 쫓고 잡초를 태워 해충의 알을 없애 농작물의 성장을 도움 |
시기 | 정월 대보름 전후 |
도구 | 횃불, 깡통, 긴 줄 |
상세 내용 | |
놀이 방법 | 깡통에 숯불을 담아 돌리거나 횃불을 들고 논밭두렁을 뛰어다니며 불을 놓음 |
의미 |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쥐를 쫓음 묵은 풀을 태워 재를 만들어 거름으로 사용 해충의 알을 제거하여 병충해를 예방 |
지역별 특징 | 경상남도 지역에서는 쥐불싸움이라는 형태로 발전 |
기타 | |
관련 행사 | 전국 각지에서 정월 대보름에 쥐불놀이 행사 개최 |
참고 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관련 링크 | 쥐불놀이, 전통사전 김나영, 정월 대보름에 하는 한국 전통놀이의 의미, 세계일보, 2016-02-22 |
2. 의미
쥐불놀이는 도시화된 환경에서도 민속 놀이로 이어진다. 이 놀이는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고, 마른 풀과 해충, 세균 등을 태워 풍성한 수확을 돕는다. 쥐불놀이는 묵은 액을 정화하여 복을 기원하며 새해를 맞이한다.[4][5] 또한, 이날 밭에 불을 놓는 이유는 쥐들이 심각한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이를 없애고, 밭의 해충을 제거하며, 새싹의 성장을 돕기 위함이라고 한다.[6]
쥐불놀이는 설날 전날 논밭의 마른 풀을 태워 논둑을 태우는 풍습에서 유래했다.[7]
쥐불놀이는 덜 행해지지만, 여전히 많은 섣달 그믐 축제의 일부이다. 아이들은 깡통 밑면과 옆면에 구멍을 뚫어 철사로 만든 긴 고리를 사용한다. 쥐불놀이는 일반적으로 볏단을 태우는 행사가 열리는 넓은 들판이나 불이 번질 위험이 적은 밭에서 열린다.[9]
불깡통을 만들기 위해 빈 깡통 표면에 수십 개의 구멍을 뚫는다. 이렇게 하면 불에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 흐름이 생성된다. 손잡이를 만들기 위해 각 측면에 1m 길이의 철사를 연결한다.[10]
대한민국 외에도 중국 남부와 유럽에서도 농부들이 밭을 태우는 풍습이 농작물과 관련되어 전해진다. 불놀이(불놀이|불꽃놀이한국어)는 정월 대보름에 행해지며, 불을 숭상하는 숭화(숭화|崇火한국어) 사상에서 유래되었다.[11]
3. 유래
이는 전국적인 풍습으로, 각 마을의 젊은이들은 마을 근처 밭이나 논두렁에 짚을 얹고 해가 지면 일제히 불을 질러 잡초를 태웠다.[2]
이 쥐불의 크기나 규모에 따라 그 해의 길흉화복이나 마을의 길흉을 점칠 수 있었다.[8]
4. 현대의 쥐불놀이
불깡통 놀이는 쥐불놀이와 함께 행해지는 활동이다. 노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이는 한국 전쟁 이후 깡통의 광범위한 사용에서 유래되었다. 즉, 전쟁 중 공수된 군수 물자 중 다양한 종류의 통조림 식품이 놀이 도구로 사용되면서 자연스럽게 쥐불놀이와 결합되었다. 깡통을 휘두르다 자정이 가까워지면 불깡통 안의 나무가 모두 타서 재만 남는다. 그 시점에서 깡통을 공중에 던져 숯불이 떨어져 하늘을 빛나게 한다. 이는 정월 초하루에 연을 날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나쁜 기운을 보내고 행운을 맞이하는 방법으로 여겨진다.[9]
5. 준비
전형적인 놀이 방식은 빗자루나 나무, 마을 주변의 밭을 태우는 것이다. 각 지방에 따라 쑥이나 불깡통으로 만든 점화재를 사용한다.[10]
6. 놀이 방법
깡통 안에 막대기를 넣고 불을 붙인다. 그런 다음 철사를 한 손으로 잡고 격렬하게 휘둘러 깡통 안의 연료가 타도록 한다. 아이들은 깡통을 돌리며 누가 불을 더 잘 태우는지 경쟁한다. 불 깡통 사용은 횃불이나 짚단을 대체하고 있으며, 따라서 불 깡통 놀이는 일종의 쥐불놀이로 이해될 수 있다.
7. 지역별 쥐불놀이
7. 1. 제주도
제주도에서는 2월, 또는 화입(火入)에 한라산의 목장에서 불을 놓는다. 이 지역에서는 쥐를 '며느리'라고 부르는데, 쥐를 '쥐'라고 부르면 쥐가 알아듣고 해를 끼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또한 쥐날에 점을 치는 것과 옷에 풀을 먹이는 것을 피한다. 쥐불놀이는 쥐와 관련된 풍습으로, 음력 정월 초하루에 밭을 태우는 것과 같다. 지역에 따라서는 정월 초하루 달빛 아래 횃불을 들고 다니는 쥐불과 함께 불리기도 한다. 화재 예방을 위해 쥐불놀이는 금지되어 있으며, 질병과 해충은 더 이상 불 대신 살충제를 사용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쥐불놀이는 점차 사라지고 있다.[11]
7. 2. 중국
중국에서는 음력 2월 2일에 용대두(zh)라고 불리는 훈충(燻蟲|훈충중국어) 행사가 열린다. 이날은 용이 머리를 드는 날이라고 하며, 부엌 문 밖으로 나가 용처럼 재를 뿌리면 각종 해충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한다.[11]
8. 평창 기념 주화
평창 동계 올림픽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된 기념 주화(금화)에는 쥐불놀이와 단풍 썰매와 같은 전통 놀이 그림이 새겨져 있다.[12][13]
참조
[1]
뉴스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games at the 15th day of the New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http://www.segye.com[...]
Segye Ilbo
2016-02-22
[2]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쥐불놀이
https://encykorea.ak[...]
[3]
웹사이트
쥐불놀이, 전통사전
https://encykorea.ak[...]
[4]
웹사이트
Daeboreum, Secrets contained in Jwibulnorii
http://www.jsd.or.kr[...]
2018-06-03
[5]
웹사이트
한국문화재재단
http://www.chf.or.kr[...]
2018-06-03
[6]
웹사이트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쥐불놀이
https://encykorea.ak[...]
[7]
뉴스
온가족 무병장수 빌며…
http://news.naver.co[...]
2018-05-14
[8]
간행물
『한국의 세시풍속』(최상수, 고려서적, 1960)
https://encykorea.ak[...]
[9]
웹사이트
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
2018-05-14
[10]
웹사이트
쥐불놀이-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
2018-06-03
[11]
웹사이트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folkency.nfm.[...]
2018-06-03
[12]
뉴스
"[Pyeongchang Winter Olympic] Issue of the first commemorative coin of all time…culring, Kim Hong-do picture"
http://www.ajunews.c[...]
Global View아주경제(Ajugyeongje)
2018-05-14
[13]
뉴스
2018 Pyeongchang Olympic Commemorative Coin
https://www.pyeongch[...]
2018-06-04
[14]
문서
《쥐불놓이(놀이)》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7-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