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설날은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기념되는 명절로, 각 지역의 역법에 따라 날짜와 명칭, 풍습에 차이가 있다. 중국력에 기반한 음력설은 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기념되며, 한국에서는 음력 1월 1일을 설날로 지정하여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세배를 하는 풍습이 있다. 북한은 양력 1월 1일을 설날로, 중국은 춘절(음력설)과 원단(양력설)을 모두 명절로 기념한다. 유엔은 2024년부터 음력설을 이동휴일로 지정하여 국제적 위상을 인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단절 - 송끄란
송끄란은 태양이 양자리로 이동하는 시기를 기념하는 태국의 새해 축제로, 물을 뿌리며 축복을 기원하는 물 축제로 유명하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 원단절 - 네덜란드 정월
네덜란드 정월은 에도 시대 일본 난학자들이 네덜란드 학문 지식을 공유하고 친목을 다진 행사로, 양서 수입 완화 정책과 난벽 증가에 힘입어 유행했으며, 나가사키 데지마의 네덜란드 상관과 에도 지란당 등에서 열려 학문 교류의 장이 되었다. - 1월 - 연말연시
연말연시는 한 해의 마지막과 새해 시작을 포함하는 기간으로, 세계적으로 다양한 문화적, 종교적 행사와 전통이 집중되어 있으며, 소비 증가, 교통 혼잡, 건강 변화 등 사회문화적, 경제적 영향을 미치며 각 문화권마다 고유하게 기념된다. - 1월 - 성탄 시기
성탄 시기는 기독교에서 성탄절부터 주현절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며, 567년 투르 공의회에서 12일간을 축제 시기로 선포한 것이 기원이고, 서방 교회는 12월 25일부터 1월 5일까지, 동방 교회는 1월 7일부터 19일까지를 성탄 시기로 지킨다. - 1월의 세시 - 설날 (한국)
설날은 한국의 전통 명절로, 음력 1월 1일에 한 해의 시작을 기념하며 가족들이 모여 차례를 지내고 떡국을 먹고 세배를 하며 전통 놀이를 즐기는 날이다. - 1월의 세시 - 율 (게르만)
율은 게르만 민족의 겨울 축제로서, 오딘 신과 관련되며, 현대의 크리스마스와 유사한 시기에 율 보드, 율 로그 등의 다양한 전통과 함께 기념된다.
설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설날 |
다른 이름 | 원일 원단 세수 연수 정월 단월 신일 New Year’s Day |
종류 | 공휴일 |
날짜 | 1월 1일 |
축제 | 새해 카운트다운 타종 행사 해맞이 등 |
아시아 | |
![]() | |
![]() | |
![]() | |
![]() | |
문화 | |
의미 | 음력 달력의 새해 시작 |
관련 축제 | 설날 (한국), 춘절 (중국), Tết (베트남) 등 |
특징 | 가족 모임, 전통 음식, 특별 행사 등 |
관련 용어 | |
로마자 표기 | Seollal |
2. 세계의 설
전 세계적으로 많은 문화권에서는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한 음력이나 달과 태양의 움직임을 함께 고려하는 음력태양력을 사용하여 새해를 기념한다. 영어권에서는 이를 통칭하여 '음력설(Lunar New Year)'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다양한 종류의 설날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예를 들어, 이슬람력 신년은 태양 주기를 고려하지 않는 순수한 음력인 이슬람력에 따라 날짜가 정해진다.[4]
반면, 대한민국의 설날, 중국의 춘절, 베트남의 뗫과 같은 동아시아 지역의 설날은 대부분 중국력이나 그 변형인 음력태양력을 기반으로 한다. 이들 설날은 보통 동지 이후 두 번째 삭일(달이 보이지 않는 날)에 해당하며, 양력으로는 대략 1월 말에서 2월 사이에 위치한다.[4] 각국의 문화와 역사에 따라 고유한 풍습과 명칭을 가지고 있지만, 비슷한 시기에 새해를 맞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편,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스리랑카, 태국 등 동남아시아의 일부 국가와 남아시아 문화권에서는 불교력이나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은 음력태양력에 따라 설날을 기념한다. 이들 지역의 설날은 주로 4월 중순에 해당하며, 송끄란이나 띤잔과 같은 물 축제가 열리기도 한다.[4] 인도 내에서도 디왈리, 구디 파드와, 우가디 등 다양한 음력 기반 설날 축제가 지역별로 존재한다. 티베트의 로싸르나 몽골의 차간사르는 티베트력을 기반으로 하여 2월이나 3월 초에 기념하는 등, 지역마다 사용하는 역법과 시기가 다양하다.[13][14]
'음력설(Lunar New Year)'이라는 용어는 특정 국가의 명칭(예: Chinese New Year) 대신 좀 더 포괄적인 표현을 사용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특히 한국계나 베트남계 공동체를 중심으로 사용이 늘고 있다.[8] 미국 등 서구권에서는 여전히 '중국 설날(Chinese New Year)'이라는 명칭이 널리 쓰이지만,[8] 여러 문화를 존중하는 차원에서 '음력설' 사용을 선호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8] 싱가포르[5], 브루나이[6], 말레이시아[7] 등 일부 국가에서는 '중국 설날'이 공식 명칭이기도 하다. 이처럼 세계 각지의 설날은 다양한 역법과 문화적 배경 속에서 고유한 모습으로 기념되고 있다.
2. 1. 동아시아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음력 또는 음력태양력을 기준으로 새해를 맞이하는 설날을 기념한다. 서구권에서는 이를 통칭하여 '음력설(Lunar New Year)'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순수한 음력만을 사용하는 이슬람력 신년 등과는 구분된다. 동아시아 대부분의 설날은 태양의 움직임도 고려하는 음력태양력에 기반하기 때문이다.[4] '음력설'이라는 용어는 대한민국의 '설날'이나 베트남의 '뗫( Tết|vi )' 등 각국의 고유 명칭 대신, 특히 영어권에서 '중국 설날(Chinese New Year)'이라는 표현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면서 점차 확산되고 있다.[8]대한민국의 설날, 중국의 춘절( 春节|Chūnjié중국어 ), 베트남의 뗫( Tết|vi ) 등은 대체로 중국력에 기반하여 비슷한 시기에 기념하지만, 각국의 문화와 역사에 따라 고유한 풍습과 의미를 지닌다. 반면,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의 역법을 채택하여 양력 1월 1일을 설날(正月|쇼가쓰일본어)로 기념하며, 이는 동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 구분되는 특징이다.[9] 다만 오키나와현이나 아마미 제도 등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음력설(旧正月|큐쇼가쓰일본어)을 기념하는 전통이 남아있다.[29][30]
몽골의 차간사르( Цагаан сар|mn )나 티베트의 로싸르( ལོ་གསར་|bo )처럼 독자적인 역법(티베트력)을 따르는 경우도 있으며, 이들 명절은 중국 설날과 날짜가 일치하거나 한 달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다.[13][14]
음력 1월 1일은 보통 24절기 중 우수(양력 2월 19일경) 직전의 삭일로, 양력으로는 매년 1월 21일부터 2월 20일 사이에 위치한다. 음력으로 평년이었던 해의 다음 해 설날은 약 11일 늦춰지고, 윤달이 있었던 해의 다음 해 설날은 약 18일 앞당겨진다.
음력설(구정)은 중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몽골 등 여러 아시아 국가에서 중요한 명절이자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들 국가에서는 양력 1월 1일보다 음력설을 더 성대하게 기념하는 경우가 많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도 화교 사회를 중심으로 중요한 명절로 여겨진다.
2. 1.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양력 1월 1일과 음력 1월 1일을 모두 법정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양력 1월 1일은 달력상 명칭이 "신정"이며, 보통 새해 첫날 또는 양력설이라고 부른다. 음력 1월 1일은 달력상 명칭이 "설날"이고, 보통 설날, 구정, 음력설이라고 부른다. 음력설은 추석과 더불어 한국의 2대 명절 중 하나로, 이날에는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친척이나 이웃 어른들께 세배를 하는 것이 고유의 풍습이다. 한국은 1896년부터 그레고리력을 사용하고 있어 양력 1월 1일이 공식적인 새해 첫날이지만, 음력을 사용했던 전통에 따라 음력 1월 1일을 설날로 기념한다.[65] '설'이라는 이름은 '설다', '낯설다', '익숙하지 못하다', '삼가다' 등의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66][67]한국 설날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7세기 중국 역사서인 『수서』와 『구당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신라에서는 당나라 역법의 영향을 받아 음력 설날을 기념했다.[23][24] 한국 자체 기록으로는 13세기에 편찬된 삼국유사에 신라 제21대 왕 때인 488년에 설날을 기념했다는 내용이 있다. 설날 풍습은 이후 고려와 조선 시대까지 이어졌으며, 13세기 역사서 고려사에는 설날이 제사를 포함한 9대 명절 중 하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23][25][24]
대한민국 정부는 1985년부터 음력설을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공휴일로 지정하였고, 1989년부터는 '설날'로 명칭을 변경하고 연휴 기간을 3일(음력 12월 말일부터 음력 1월 2일까지)로 확대하였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음력 1월 1일 음력설을 전통적인 명절로 여기는 경향이 강하며,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첫날이라는 의미는 양력 1월 1일인 양력설이 더 강하게 인식된다. 설날 세뱃돈은 주로 흰 봉투에 담아주는 것이 특징이다.[26] 설날은 현대 한국 정치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진보 진영에서는 설날을 통해 공동체적 가치와 민족 전통의 계승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보수 진영에서는 전통적인 가족 중심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기회로 삼는 경향이 있다.
2. 1.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양력 1월 1일을 설날로 간주하며 중요한 명절로 기념한다. 다만, 전통을 중시하기 위해 1967년부터 음력설(음력 1월 1일)도 공휴일로 지정했다. 북한은 새해의 첫 날이라는 의미는 양력 1월 1일에 두고 있으며, 음력 1월 1일은 단지 휴식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양력 1월 1일 새해 첫날을 설날이라 부르며 더 중요하게 여긴다.2. 1. 3.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양력 1월 1일과 음력 1월 1일을 모두 명절로 기념한다. 양력 1월 1일은 공식적인 새해 첫날로 간주하며 원단(元旦)이라고 부른다. 음력 1월 1일은 전통 명절로 여기며, 춘절(春节|춘절중국어)이라고 부른다. 춘절은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절과 함께 중국의 가장 큰 명절 중 하나이다.[57]양력설인 원단에는 새해맞이 행사와 불꽃놀이 등이 열리며 새해 인사를 나눈다. 반면 음력설인 춘절은 전통적인 명절의 의미가 더 강하다. 춘절에는 많은 사람이 고향으로 돌아가 가족과 함께 명절을 보내는데, 이는 한국의 설날 풍경과 비슷하다. 중국은 국토가 넓어 귀성 인구가 매우 많으며, 보통 1주일 이상을 춘절 연휴로 지정한다. 중국에서 춘절은 일반적으로 "궈니엔"(過年)으로 알려져 있으며, 봄의 시작과 새해의 도래를 의미한다. 춘절에는 춘련(春聯)을 붙이고, 새해맞이 물품을 사며, 가족과 함께 저녁 식사를 하는 등의 풍습이 있다.
중국에서 음력 1월 1일을 '춘절'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1911년 신해혁명 이후이다. 1912년 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태양력을 공식 채택하였고, 기존의 새해 첫날을 의미하던 '원단'이라는 명칭은 양력 1월 1일을 가리키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음력 1월 1일은 '춘절'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되었다.
춘절은 중화인민공화국 본토 외에도 중화민국, 싱가포르[5], 말레이시아[7], 브루나이[6], 인도네시아 등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 세계 화교 사회에서도 중요한 명절로 기념된다. 영어권에서는 주로 'Chinese New Year'라고 불리지만, 'Spring Festival'이라는 명칭도 사용된다. 'Lunar New Year'라는 표현도 쓰이나, 이는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권의 음력 또는 음력태양력 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57]
중국의 춘절 공휴일은 법적으로 음력 1월 1일부터 3일간이지만, 실제로는 춘절 전날(섣달그믐)부터 시작하여 7일간의 연휴를 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2. 1. 4. 일본
일본의 설날인 正月|쇼가쓰일본어는 양력 1월 1일이며, 일본에서 가장 큰 명절이다. 이는 메이지 유신 때 서양의 관행을 따라 양력 1월 1일을 설날로 채택했기 때문이다. 메이지 유신 이전에는 음력 1월 1일을 설날로 기념했다.[9]설날 아침에는 조니雑煮|조니일본어라고 불리는 떡국을 먹는다. 조니는 한국의 떡국과 달리 찰떡을 사용하며, 국물도 간장이나 된장을 베이스로 한다. 또한, 한 해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며 기모노를 입고 신사나 절을 참배하는 하쓰모데 풍습이 있다.
법정 공휴일은 1월 1일부터 1월 3일까지이지만, 대부분의 기업과 관공서는 연말인 12월 29일부터 1월 3일까지 연휴를 가진다. 현재 일본에서는 음력 1월 1일에 특별한 의미를 두지 않으며 평일로 취급한다.
다만, 류큐 제도, 특히 오키나와현과 가고시마현의 아마미 제도에서는 전통적으로 음력 1월 1일에 설날을 기념하는 풍습이 남아 있다.[29] 이는 국가 공휴일은 아니지만, 지역 사회의 문화적 정체성과 고유 유산을 보여주는 중요한 행사로 여겨진다.[30] 과거 음력설은 일본어로 '구정(舊正月)'이라고 부른다.
2. 1. 5. 대만
타이완에서 음력설이 언제부터 지켜졌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드물지만, 타이완 원주민들은 원래 이 축제를 기념하지 않고 다른 의식을 치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27] 타이완의 설날은 17세기 중국 본토에서 이주해 온 객가나 호로 사람들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타이완 인구의 대다수가 한족이기 때문에, 설날 풍습은 중국 본토와 매우 유사하며, 특히 전통적인 측면에서 그렇다.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음력 설 풍습 중 일부가 타이완에 보존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중국의 전통적인 모습이기도 했다.[27] 현대 타이완에서는 설날에 가족들과 함께 불교나 도교 사원을 방문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27] 또한, 설날에 먹는 음식에도 특징이 있는데, 파인애플 케이크나 파인애플, 무를 이용한 음식을 즐겨 먹는다. 특히 무는 호키엔어 발음이 '행운'을 뜻하는 단어와 비슷하기 때문에 선호된다.[28]
2. 2.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의 설날은 매우 다양하며, 주로 사용되는 역법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베트남의 설날인 뗏( Tết|뗏vie)은 중국력의 영향을 받아 보통 1월 말이나 2월 초에 해당한다.[4] 이는 한국이나 중국과 비슷한 시기이지만, 베트남 고유의 풍습과 전통을 따른다.
반면, 태국의 송끄란( สงกรานต์|송끄란tha), 미얀마의 띤쟌, 스리랑카의 අලුත් අවුරුද්ද|알루트 아부루다sin, 캄보디아의 បុណ្យចូលឆ្នាំថ្មី|차울 츠남 트마이khm, 라오스의 ປີໃໝ່|삐 마이lao 등은 불교력에 기반한 음력태양력을 따르며, 주로 4월 중순에 새해를 맞이한다. 이들 국가는 메샤 상크란티와 같이 인도 문화의 영향 또한 받은 설날 풍습을 가지고 있다.[33]
그 외에도 인도네시아 발리의 녜피나 참족의 리자 누칸(Rija Nukan)처럼 힌두교 전통의 영향을 받은 설날도 있으며,[34] 인도네시아 자바의 사투 수로와 같이 이슬람력의 영향을 받은 순수 음력 설날도 존재한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같은 다문화 국가는 여러 문화권의 설날을 함께 기념하기도 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중국 설날 외에도 말레이인의 하리 라야 푸아사와 인도인의 디왈리가 주요 공휴일이며,[35] 싱가포르에서는 '중국 설날'이 공식 명칭으로 사용되고 중국계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명절을 보낸다.[5][37]
2. 2. 1. 베트남

베트남에서는 음력설을 Tết|뗏vie이라고 부르며, 가장 중요한 명절 중 하나로 여긴다. 정식 명칭은 Tết Nguyên Đán|뗏 응우옌 단vie(節元旦)이다.
일부 학자들은 찌에우 다(趙佗) 황제 때 베트남에서 처음 음력설을 쇠기 시작했다고 추정한다.[38][39]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음력설이 전파되었으며, 양국 간의 복잡한 역사적 관계에도 불구하고 수 세기 동안 베트남 고유의 방식으로 이어져 왔다.[38][39]
베트남의 설날은 중국력을 기반으로 하므로, 보통 중국 설날과 같은 날인 1월 말이나 2월 초에 해당한다.[4] 그러나 축제 관습이나 휴일 기간은 다르다. 드물게 날짜가 하루 정도 차이 나는 경우도 있다. (예: 2007년 2월 17일, 2030년 2월 2일, 2053년 2월 18일)
중국력과 베트남력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십이지 동물이다. 베트남의 십이지에서는 중국 십이지의 소와 토끼 대신 물소와 고양이를 사용한다. Tết Nguyên Đán|뗏 응우옌 단vie은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 일부 지역의 봄 시작과 일치하며, 새로운 농사철, 특히 벼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를 지닌다.
대표적인 설 음식으로는 ''bánh chưng|반쯩vie''이 있으며, 이 음식의 기원에 관한 전설이 전해진다. 베트남의 설날 풍습은 리 왕조(1009년~1226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사람들은 설을 맞아 문신을 새기거나, 술을 마시고 빈랑을 먹으며, ''bánh chưng|반쯩vie''과 절인 양파를 만들어 먹었다고 전해진다. 레 왕조의 레 성종(1442년~1497년) 황제 시대에는 Tết|뗏vie이 국가적으로 중요한 축제로 자리 잡았다.[40] 한국의 세뱃돈처럼 세뱃돈을 주고받는 풍습도 있다.[41]
미국 등지에서는 '중국 설날'(Chinese New Year)이라는 명칭 대신 포괄적인 '음력설'(Lunar New Year)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자는 주장이 있으며, 베트남계 공동체도 이러한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다.[8]
2. 2. 2. 기타 국가
- 베트남의 설은 뗏( Tết|뗏vie, 節)이라 불린다. 베트남의 설은 중국력이나 그 변형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월 말이나 2월에 중국 설날과 같은 날에 해당하지만, 축제 관습과 휴일 기간은 다를 수 있다.[4]
- 몽골의 설은 차강사르(Цагаан сар|차강사르mon, 하얀 달)이라 불리며 국경일로 지정되어 있다. 몽골력은 인도 역법에 기원을 둔 티베트의 음력태양력인 시륜력의 일종으로, 티베트 불교의 종교 행사 등에 사용된다. 차강사르의 날짜는 종교적으로 결정되어 전년에 발표되며, 중국의 춘절과 같은 해가 많지만 하루 또는 한 달 정도 차이가 나기도 한다. 항상 초하루인 것은 아니며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최근 차강사르 날짜는 다음과 같다.
연도 | 날짜 | 연도 | 날짜 |
---|---|---|---|
2000년 | 2월 5일 | 2013년 | 2월 10일 |
2001년 | 2월 24일 | 2014년 | 1월 31일 |
2002년 | 2월 13일 | 2015년 | 2월 19일 |
2003년 | 2월 2일 | 2016년 | 2월 8일 |
2004년 | 2월 21일 | 2017년 | 2월 26일 |
2005년 | 2월 9일 | 2018년 | 2월 16일 |
2006년 | 1월 30일 | 2019년 | 2월 5일 |
2007년 | 2월 18일 | 2020년 | 2월 23일 |
2008년 | 2월 8일 | 2021년 | 2월 12일 |
2009년 | 2월 25일 | 2022년 | 2월 1일 |
2010년 | 2월 14일 | 2023년 | 2월 20일 |
2011년 | 2월 3일 | 2024년 | 2월 10일 |
2012년 | 2월 21일 | 2025년 | 1월 29일 |
- 태국, 미얀마, 스리랑카, 캄보디아,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일부 국가에서는 불교력을 기반으로 한 음력태양력 설날을 기념한다. 이들 국가의 설날은 보통 4월 중순에 열린다.
- * 태국의 설은 송끄란( สงกรานต์|송끄란tha, Songkran)이라 불린다.
- * 미얀마에서는 설에 띤쟌이라는 물 축제를 연다.
- * 스리랑카의 설날은 අලුත් අවුරුද්ද|알루트 아부루다sin, Aluth Avurudda)라고 한다.
- * 캄보디아의 설날은 បុណ្យចូលឆ្នាំថ្មី|차울 츠남 트마이khm, Chaul Chnam Thmey)라고 한다.
- * 라오스의 설날은 ປີໃໝ່|삐 마이lao, Pii Mai)라고 한다.
- 그 외 동남아시아의 설날 행사 중 일부는 현지 음력 태음력에 따라 지켜지며 인도 힌두교 전통의 영향을 받는다.
- * 녜피: 발리, 인도네시아의 설날이다.
- * 리자 누칸: 참족의 설날이다.[34]
-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인, 중국인, 인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공존하는 다문화 국가이다. 중국 설날, 하리 라야 푸아사(이드 알피트르), 디왈리가 주요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35] 중국 설날과 하리 라야 아이딜피트리가 비슷한 시기에 겹치는 현상을 Kongsi Raya(공시 라야)라고 부른다.[36]
- 싱가포르에서는 음력설을 공식적으로 "중국 설날"이라고 부른다. 인구의 약 4분의 3을 차지하는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이 주로 기념하며, 여기에는 호키엔, 광둥인, 티우주인, 하이난인, 하카인 등이 포함된다. 말레이시아 및 유럽계 혈통이 섞인 페라나칸 역시 고유한 방식으로 설을 기념하며, 말레이시아와 인도 문화의 요소를 통합하기도 한다.[37]
2. 3. 남아시아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스리랑카, 태국 등 일부 문화권에서는 불교력을 기반으로 한 음력태양력 설날을 기념하며, 이는 보통 4월 중순에 해당한다.2. 4. 서아시아 및 중앙아시아
이슬람권에서는 음력인 이슬람력을 사용하여 이슬람력 1월 1일을 설날로 기념한다. 이는 이슬람력 신년으로, 아랍어로는 '''رأس السنة الهجرية|라스 앗싸낫 알히즈리야ara'''(Ras as-Sanah al-Hijriyah)라고 불린다. 이슬람력은 태양 주기를 고려하지 않는 순수한 음력이기 때문에, 그레고리력 기준으로 설날은 매년 약 10일 또는 11일씩 앞당겨지며 특정 계절과 상관없이 돌아온다. 때로는 그레고리력 1년 안에 이슬람력 설날이 두 번 들기도 하는데, 마지막 사례는 2008년이었다. 2023년 이슬람 신년은 7월 19일이었고, 2024년에는 7월 7일 또는 8일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유대교에서는 히브리력을 사용하는데, 이는 태음태양력이므로 명절 날짜가 항상 같은 계절에 속한다. 유대교에는 다음과 같이 최대 4가지의 설날 관련 행사가 있다.
- 니산 1일: 출애굽기 12장 1-2절에 따라 유대력의 첫 달로 여겨지며, 탈무드에서는 왕들과 순례 축제를 위한 신년(로쉬 하샤나)으로 언급된다. 이 달 15일에 시작되는 유월절이 핵심 축제이다. 카라이 유대교와 사마리아교에서는 이 날을 세속적인 새해 첫날로 간주하기도 한다.
- 엘룰 1일: 랍비 전통에서 동물 십일조 신년에 해당한다.
- 티슈리 1일: 토라에서는 ''욤 테루아''(나팔 소리의 날)로 불리며, 일곱 번째 달의 첫날이다. 랍비 유대교에서는 이 날을 ''로쉬 하샤나''(신년)라고 부르며, 모든 인류에 대한 심판의 날(욤 하딘)로 여긴다. 이 날부터 욤 키푸르(속죄일)까지 이어지는 열흘간의 ''경외의 날들''(Yamim Noraim)이 시작된다.
- 투 비슈밧: 랍비 유대교에서 '나무의 신년'으로 기념하는 날이다. 이날 나무들이 한 살씩 나이를 먹는 것으로 간주하며, 이는 특정 십일조 의무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42] 현대에는 생태적인 의미를 지닌 축제로 발전하기도 했다.
3. 서양의 신년 맞이 축제
유럽 국가들에서는 한 해의 마지막 날인 신년전야부터 양력 1월 1일 새해 첫날까지 신년을 기념하는 축제를 연다. 유럽의 영향을 받은 미국 등 아메리카 국가들과 오스트레일리아 등 오세아니아 국가들도 이와 유사하게 신년을 맞이한다. 이는 서양 문화권에서 한국의 설날과 비슷한 의미를 갖는 명절이라고 할 수 있다.[68]
4. 음력설의 국제적 위상
음력설은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음력 또는 태음태양력의 첫 번째 삭을 기준으로 기념하는 명절이다. 영어권에서는 흔히 'Lunar New Year'라고 통칭하지만, 이는 순수 음력(예: 이슬람력)과 음력태양력(예: 중국력) 기반의 축제를 모두 가리킬 수 있다. 대한민국의 설날이나 베트남의 뗫(Tết)과 같이 동아시아의 음력설은 주로 중국력이나 그 변형을 기반으로 하기에 보통 중국 설날과 같은 날에 해당하지만, 축제 관습이나 휴일 기간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4] 반면,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스리랑카, 태국 등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의 신년 축제는 불교력을 기반으로 하여 4월 중순에 열린다.
'Lunar New Year'라는 용어는 중국 설날만을 특정하지 않으면서 여러 아시아 국가의 음력설을 포괄하려는 의도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대한민국과 베트남 출신 커뮤니티에서 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에서는 전통적으로 'Chinese New Year'라는 표현이 널리 사용되었으나,[8] 2010년대 중반 이후 한국계와 베트남계를 중심으로 이 용어가 특정 국가(중국) 중심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Lunar New Year'를 사용하자는 움직임이 커졌다. 일부 미국 정치인들도 이러한 흐름에 맞춰 'Lunar New Year'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8] 싱가포르[5], 브루나이[6], 말레이시아[7] 등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Chinese New Year'를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중국 본토에서는 1912년 중화민국 수립 이후 태양력 1월 1일을 '원단(元旦)'으로 지정하면서, 전통적인 음력 설날은 '춘절(春节)'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음력설은 여러 아시아 국가에서 중요한 명절로 기념되며, 일부 국가는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언어 | 주요 명칭 |
---|---|
한국어 | 설날 (설), 구정(舊正) |
중국어 | 춘절(春节), 신년(新年), 농력신년(農曆新年) 등 |
일본어 | 구정(旧正月) |
베트남어 | 뗫(Tết), 뗫 응우옌단(Tết Nguyên Đán) |
영어 | Lunar New Year, Chinese New Year, Spring Festival 등 |
티베트어 | 로사르 (Losar) |
몽골어 | 차간사르 (Tsagaan Sar) |
참고로, 일본에서는 메이지 유신 이후 태양력 설날(신정)을 기념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음력설(구정)은 오키나와현, 가고시마현 아마미 군도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공휴일이 아니며 기념하는 풍습도 많이 사라졌다. 다만, 2010년대 이후 중국 등 아시아 국가 관광객들이 음력설 연휴 기간에 일본을 많이 방문하면서 경제적인 영향(인바운드 소비)이 커짐에 따라 일본 사회에서도 음력설의 존재가 다시 인식되기 시작했다.
4. 1. 유엔의 이동휴일
2023년 12월, 유엔은 유엔 본부에서 열린 제78차 유엔총회에서 음력설(중국 음력 기준)을 유엔의 '이동 휴일'(floating holiday)로 지정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52][53][54][55] 이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여러 국가들의 10년에 걸친 지지 끝에 이루어진 결정이다.[52] 이 결의안은 2024년부터 유엔 기구들이 음력설 당일에는 회의를 열지 않도록 권고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로써 음력설은 유엔 직원들이 기념하는 8번째 이동 휴일이 되었다.[52][53][54][55]이번 결정은 음력설의 국제적 위상과 중요성이 인정받았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의 음력설 이동 휴일 지정을 환영하며, 이를 통해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unar New Year: 11 things to know
https://www.cnn.com/[...]
2019-02-05
[2]
웹사이트
The Lunar New Year: Rituals and Legends
http://afe.easia.col[...]
Asia for Educators, Columbia University
[3]
뉴스
10 Lunar New Year facts to help answer your pressing questions
https://www.nbcnews.[...]
2018-02-14
[4]
웹사이트
http://www.cwb.gov.t[...]
Central Weather Bureau
2017-01-26
[5]
웹사이트
Public holidays
https://www.mom.gov.[...]
[6]
웹사이트
PUBLIC HOLIDAY 2022
https://www.mfa.gov.[...]
[7]
웹사이트
Jadual Hari Kelepasan Am 2023
https://www.pmo.gov.[...]
2023-01-27
[8]
웹사이트
The Origin of Chinese New Year
https://digitalcommo[...]
2016-01-02
[9]
서적
Highlighting the History of Astronomy in the Asia-Pacific Region
https://books.google[...]
[10]
서적
Korean Language in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6
[11]
서적
Calendrical Calcu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2]
서적
From Yuan to Modern China and Mongolia: The Writings of Morris Rossabi
https://books.google[...]
BRILL
2014-11-28
[13]
서적
Tibetan and Buddhist Studies: Commemorating the 2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Alexander Csoma De Koro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
서적
Tibetan and Buddhist Studies: Commemorating the 2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Alexander Csoma De Koro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5]
서적
China's spring festival
https://www.worldcat[...]
Zhongguo hua bao chu ban she
2006
[16]
서적
Jie ri zhi shu: Yu Shicun shuo Zhongguo chuan tong jie ri
https://www.worldcat[...]
Zhongguo hua bao chu ban she
2019
[17]
서적
Classic of Poetry – Qi Yue
https://ctext.org/bo[...]
[18]
웹사이트
春节简介
http://www.gov.cn/20[...]
2008-12-31
[19]
웹사이트
Lüshi Chunqiu
https://ctext.org/lv[...]
[20]
웹사이트
儺戲
https://www.sohu.com[...]
[21]
위키소스
四民月令
[22]
위키소스
後漢書
[23]
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Academyadvanced ofastronomical Korean Studies
2018-03-30
[24]
학술지
Astronomical Calendar and Restoration Design of Clepsydra in the Silla era 신라시대 천문역법(天文曆法)과 물시계(漏刻) 복원연구
http://koreascience.[...]
2008-09-15
[25]
서적
Encyclopedia of Korean Seasonal Customs
https://books.google[...]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South Korea)
[26]
웹사이트
Seollal, Korean Lunar New Year
https://asiasociety.[...]
2022-02-02
[27]
웹사이트
Indigenous Ceremonies
https://eng.taiwan.n[...]
2022-01-31
[28]
웹사이트
11 Foods You Must Eat During Lunar New Year
https://oftaiwan.org[...]
2022-01-31
[29]
웹사이트
Okinawa Prefectur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why Japan continues to use the "lunar calendar" {{!}} Reading
https://toyokeizai.n[...]
2019-12-16
[30]
웹사이트
Celebrating Lunar New Year in Japan
https://livejapan.co[...]
2023-12-12
[31]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32]
웹사이트
Sun in zodiac constellations, 2017
http://earthsky.org/[...]
EarthSky Communications Inc.
2016-12-28
[33]
서적
Indian Calendar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34]
서적
The Cham of Vietnam: History, Society and Art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11-01-01
[35]
웹사이트
English Composition – English compositions for lower secondary
http://www.englishda[...]
2022-01-24
[36]
웹사이트
2029年至2031年 连续3年Kongsi Raya{{!}}中國報
https://www.chinapre[...]
2022-01-24
[37]
뉴스
In Singapore, Lunar New Year Is a Multicultural Feast
https://www.nytimes.[...]
2022-01-24
[38]
서적
Hanshu Volume 95 The Southwest Peoples, Two Yues, and Chaoxian: Translation with Commentary
Gutenberg Self Publishing Press
2020
[39]
웹사이트
Tet, A Celebration of Rebirth
http://www.asian-nat[...]
Asian Nation
2021-02-13
[40]
웹사이트
Tet Holiday – Everything about Vietnamese New Year 2021
https://www.saigonlo[...]
Viet Saigon Local Tour
2021-02-13
[41]
웹사이트
Lucky money giveaway – an exchange of best New Year wishes {{!}} Culture – Sports {{!}} Vietnam+ (VietnamPlus)
https://en.vietnampl[...]
VietnamPlus
2022-02-02
[42]
웹사이트
Mishneh Torah, Second Tithes and Fourth Year's Fruit
https://www.sefaria.[...]
[43]
웹사이트
Chinese Lunar New Year in New York City: 2015 – Don't miss out on Lunar New Year festivities in NYC
https://web.archive.[...]
About.com
2015-02-18
[44]
뉴스
With Lunar New Year Show, Another Link to China for a New York Fireworks Family
https://www.nytimes.[...]
2015-02-16
[45]
뉴스
Fireworks Fly on Hudson River For Chinese Lunar New Year
http://newyork.cbslo[...]
CBSNewYork
2015-02-17
[46]
웹사이트
Chinese New Year
https://rove.me/to/n[...]
2022-11-07
[47]
웹사이트
LNY PARADE
http://betterchinato[...]
2020-01-10
[48]
뉴스
Mayor de Blasio to Make Lunar New Year a School Holiday
https://www.nytimes.[...]
2015-06-22
[49]
웹사이트
NY makes Asian Lunar New Year a public school holiday. When is it in 2024?
https://www.lohud.co[...]
USA TODAY Network
2024-02-24
[50]
간행물
Nisg̱a'a Hobiyee
http://nnkn.ca/files[...]
Nisg̱a'a Lisims Government
2017-02-08
[51]
뉴스
Nisga'a ring in their new year with Hobiyee celebration in B.C.
http://www.cbc.ca/ne[...]
CBC
2017-02-08
[52]
웹사이트
Opinion {{!}} Welcome recognition of Lunar New Year
https://www.scmp.com[...]
2024-02-19
[5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adds Lunar New Year to its holiday list for staff
https://www.scmp.com[...]
2024-02-19
[54]
웹사이트
Global Times: Lunar New Year listed as UN floating holiday, indicating increasing global recognition of Chinese culture: expert
https://finance.yaho[...]
2024-02-19
[55]
웹사이트
UN Declares Lunar New Year A Recognized Holiday
https://vietnamtimes[...]
2024-02-19
[56]
간행물
特集世界の中華料理
勉誠出版
2005-07
[57]
서적
Traditional Festivals: A Multicultur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58]
뉴스
大英博物馆“韩国农历新年”争议背后的文化归属之争
https://www.bbc.com/[...]
2023-01-25
[59]
웹사이트
農曆新年該譯成Lunar或Chinese New Year?多國被指「提早赤口」
https://www.hk01.com[...]
2023-01-25
[60]
웹사이트
Milestones: 1961–1968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023-01-22
[61]
웹사이트
2017년 5월 12일, 中華人民共和国国家標準 관련 내용
2017-05-12
[62]
서적
海の見える村の一年:新農村歳時記
岩波書店
[63]
뉴스
新春こぼれ話:さらば旧正月
朝日新聞
1973-01-01
[64]
웹사이트
亀山大市
http://kameyama-kank[...]
一般社団法人亀山市観光協会
2022-08-03
[65]
웹사이트
음력 설날 관련 설명
null
[66]
뉴스
설날의 어원과 유래
http://www.chungnami[...]
충남일보
2009-01-22
[67]
뉴스
민속학자 정정헌 교수에게 듣는 설 이야기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2004-01-21
[68]
뉴스
세계각국 2010년 새해맞이 표정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