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쥐상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쥐상과는 쥐아목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가시겨울잠쥐과, 소경쥐과, 칼로미스쿠스과, 붉은숲쥐과, 비단털쥐과, 쥐과 등을 포함한다. 털쥐과와 두더지쥐과를 제외한 4과는 계통적으로 근연 관계이며 단계통 Eumuroida로 묶인다. 얀사와 웩슬러(2004)는 쥐상과를 다섯 개의 주요 분지군으로 나누었으며, 분자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납작얼굴쥐과가 쥐상과의 가장 기저 분지군이다. 쥐상과와 뛰는쥐상과는 쥐아목을 형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쥐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분류
학명Muroidea
명명자Illiger, 1811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하강진수하강
상목영장상목
쥐목
아목쥐아목
하목네즈미하목
상과쥐상과
하위 분류군
하위 분류가시겨울잠쥐과
소경쥐과
칼로미스쿠스과
붉은숲쥐과
비단털쥐과
쥐과
자매군뛰는쥐상과
형태 정보
밭쥐 (Microtus arvalis)
밭쥐 (Microtus arvalis)
화석 정보
화석 범위에오세 중기 – 현재

2. 하위 분류

쥐상과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를 가진다.



일부 학자들은 쥐과만을 쥐상과로 분류하기도 하며, 이 경우 쥐상과라는 분류군은 없어진다.

계통적으로 털쥐과와 소경쥐과를 제외한 4개 과는 가까운 관계이며, Eumuroida로 묶인다.

과거에는 뛰는쥐과, 주머니쥐과 등을 쥐상과에 포함시키기도 했다.

3. 계통 분류

쥐아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9]



쥐상과는 뛰는쥐상과와 함께 쥐아목을 형성한다.

과거에는 쥐상과에 뛰는쥐과, 주머니쥐과, 플라타칸토미과를 포함시키기도 했다.

쥐상과의 과와 아과는 다음과 같다.

아과
긴발쥐과
칼로미스쿠스과
털쥐과
플라타칸토미과
쥐과
두더지쥐과



쥐과만으로 분류하는 설도 있다. 이 경우, 쥐상과라는 분류군은 없어진다.

계통적으로 털쥐과와 두더지쥐과를 제외한 4개 과는 근연 관계로 단계통인 진쥐상과(Eumuroida)로 묶인다.

3. 1. 분자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른 계통 분류

다음은 2004년 얀사(Jansa)와 웩슬러(Weksler)의 연구[6]와 2012년 파브르(Fabre) 외의 연구[7]를 종합하여 제시된 쥐상과의 분자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른 계통 분류이다. 이 분석은 간광수용체 결합 레티노이드 결합 단백질(IRBP)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다.

{{clade

|style=font-size:85%;line-height:80%

|label1= '''쥐상과''' 

|1={{clade

|label1=  

|1= '''납작얼굴쥐과'''[7]

|2={{clade

|label1= '''주머니쥐과''' 

|1={{clade

|label1=  

|1={{clade

|label1= 주머니쥐아과 

|1=''유럽주머니쥐''

}}

|2={{clade

|label1= 미주주머니쥐아과 

|1=''미주주머니쥐''

|label2= 뿌리쥐아과 

|2={{clade

|label1=  

|1=''타키오릭테스''

|2=''뿌리쥐''

}}

}}

}}

|label2= 진쥐상과 

|2={{clade

|label1=  

|1={{clade

|label1= '''칼로미스쿠스과''' 

|1=''칼로미스쿠스''

}}

|2={{clade

|label1=  

|1={{clade

|label1= '''네소미과''' 

|1={{clade

|label1=  

|1={{clade

|label1=  

|1=''히포게오미스''

|2={{clade

|label1=  

|1=''네소미스''

|2=''브라키우로미스''

}}

}}

|2={{clade

|label1=  

|1={{clade

|label1=  

|1=''몬티콜로미스''

|2=''마크로타르소미스''

}}

|2={{clade

|label1=  

|1=''브라키타르소미스''

|2={{clade

|label1=  

|1=''짐누로미스''

|2={{clade

|label1=  

|1=''보알라보''

|2=''엘리우루스''

}}

}}

}}

}}

}}

|3={{clade

|label1=  

|1={{clade

|label1= 페트로미스키나에 

|1=''페트로미스쿠스''

|label2= 미스트로미이나에 

|2=''미스트로미스''

}}

|2={{clade

|label1=  

|1={{clade

|label1=  

|1=''크리세토미스''

|2=''빔미스''

}}

|2={{clade

|label1=  

|1=''사코스토무스''

|2={{clade

|label1=  

|1=''스테아토미스''

|2=''덴드로무스''

}}

}}

}}

}}

}}

|label2= '''쥐과''' 

|2={{clade

|label1=  

|1={{clade

|label1=  

|1={{clade

|label1= 로피오미이나에 

|1=''로피오미스''

}}

|2={{clade

|label1= 모래쥐아과 

|1={{clade

|label1=  

|1=''타테라''

|2=''모래쥐속''

}}

|label2= 아코미이나에 

|2={{clade

|label1=  

|1=''롭후로미스''

|2={{clade

|label1=  

|1=''데오미스''

|2=''아코미스''

}}

}}

}}

}}

|label2= 쥐아과 

|2={{clade

|label1=  

|1=''플로에오미스''

|2={{clade

|label1=  

|1={{clade

|label1=  

|1=''밭쥐''

|2={{clade

|label1=  

|1=''맥소미스''

|2={{clade

|label1=  

|1=''니비벤터''

|2={{clade

|label1=  

|1=''순다쥐''

|2=''쥐''

}}

}}

}}

}}

|2={{clade

|label1=  

|1=''린코미스''

|2={{clade

|label1=  

|1=''오토미스''

|2={{clade

|label1=  

|1=''에토미스''

|2={{clade

|label1=  

|1=''라브도미스''

|2=''그라모미스''

}}

}}

}}

|3={{clade

|label1=  

|1=''토쿠다이아''

|2={{clade

|label1=  

|1=''생쥐''

|2={{clade

|label1=  

|1=''마스토미스''

|2={{clade

|label1=  

|1=''프라오미스''

|2=''힐로미스쿠스''

}}

}}

}}

}}

}}

}}

}}

}}

}}

}}

|2={{clade

|label1= '''비단털쥐과''' 

|1={{clade

|label1=  

|1={{clade

|label1= 햄스터아과 

|1={{clade

|label1=  

|1=''작은햄스터''

|2={{clade

|1=''드워프햄스터''

|2=''시리아햄스터''

}}

}}

}}

|2={{clade

|label1=  

|1={{clade

|label1= 틸로미이나에 

|1={{clade

|label1=  

|1=''틸로미스''

|2=''닉토미스''

}}

|label2= 네오토미나에 

|2={{clade

|label1=  

|1=''뉴토마''

|2={{clade

|label1=  

|1=''스코티노미스''

|2=''흰발쥐''

}}

}}

}}

|3={{clade

|label1= 들쥐아과 

|1={{clade

|label1=  

|1=''들쥐''

|2={{clade

|label1=  

|1=''에오테노미스''

|2=''붉은등밭쥐''

}}

}}

|label2= 시그모돈티나에 

|2={{clade

|label1=  

|1={{clade

|label1=  

|1=''시그모돈''

|2=''레오미스''

}}

|2={{clade

|label1=  

|1={{clade

|label1=  

|1=''스카프테로미스''

|2=''아코돈''

}}

|2={{clade

|label1=  

|1=''라이트로돈''

|2={{clade

|label1=  

|1=''토마소미스''

|2=''리피도미스''

}}

}}

|3={{clade

|label1=  

|1=''지고돈토미스''

|2=''스콜로미스''

|3={{clade

|label1=  

|1=''오리조미스''

|2={{clade

|label1=  

|1=''올리고리조미스''

|2=''넥토미스''

}}

}}

}}

|4={{clade

|label1=  

|1={{clade

|label1=  

|1=''델로미스''

|2={{clade

|label1=  

|1=''필로티스''

|2=''칼로미스''

}}

}}

}}

|5={{clade

|label1=  

|1={{clade

|label1=  

|1=''줄리오미스''

|2=''이레노미스''

}}

|2={{clade

|label1=  

|1=''비에도미스''

|2={{clade

|label1=  

|1=''노티오미스''

|2=''아브로트릭스''

}}

}}

}}

}}

}}

}}

}}

}}

}}

}}

쥐상과는 크게 납작얼굴쥐과, 주머니쥐과, 진쥐상과의 세 분지군으로 나뉜다. 진쥐상과는 다시 칼로미스쿠스과, 네소미과, 쥐과, 비단털쥐과로 구성된다.

참조

[1]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sigmodontine rodents (Muroid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kodont genus Deltamys https://linkinghub.e[...] 2003
[2] 논문 Disparity and Evolutionary Rate Do Not Explain Diversity Patterns in Muroid Rodents (Rodentia: Muroidea) http://link.springer[...] 2018-09-00
[3] 논문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Rodent Genus Typhlomys and the Geographic Origin of Muroidea 2009-10-15
[4] 논문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Rodent Genus Typhlomys and the Geographic Origin of Muroidea 2009-10-15
[5] 논문 Phylogeny and Divergence-Date Estimates of Rapid Radiations in Muroid Rodents Based on Multiple Nuclear Genes
[6] 논문 Phylogeny of muroid rodents: relationships within and among major lineages as determined by IRBP gene sequences
[7] 논문 A glimpse on the pattern of rodent diversification: a phylogenetic approach
[8] 간행물
[9] 논문 Ancient phylogenetic divergence of the enigmatic African rodent Zenkerella and the origin of anomalurid glid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