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붉은숲쥐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숲쥐과는 작거나 중간 크기의 설치류 과로, 쥐, 생쥐, 밭쥐, 햄스터 등과 유사한 외형을 가지며, 초식에서 충식까지 다양한 식성을 보인다. 이 과는 6개의 아과, 21개의 속, 68개의 종으로 분류되며, 과거에는 다른 쥐상과 설치류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졌지만, 유전학 연구를 통해 아프리카 기반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붉은숲쥐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Nesomyidae
명명자Major, 1897년
모식속네소미스
모식속 명명자Peters, 1870년
하위 분류아과
하위 분류크리세토미스아과
델라니미스아과
덴드로무루스아과
미스트로미스아과
네소미스아과
페트로미스쿠스아과
형태 및 생태
화석 범위후기 올리고세 - 현재
히포게오미스 안티메나

2. 특징

붉은숲쥐과는 작거나 중간 크기의 설치류로, 가장 큰 종은 크기이다. 신체적으로는 종과 아과에 따라 생쥐, 쥐, 밭쥐, 또는 햄스터와 비슷할 수 있다. 먹이는 상당히 엄격한 초식에서 거의 순수한 충식까지 다양하다. 습성 또한 비슷하게 다양하여, 어떤 종은 나무를 오르고 다른 종은 땅에 굴을 판다. 임신 기간은 약 6주이며, 최대 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

3. 하위 분류

붉은숲쥐과는 6개의 아과, 21개의 , 68개의 으로 분류된다.[2]

붉은숲쥐과 하위 분류
아과종 수
아프리카도깨비쥐아과 (Cricetomyinae)38
델라니쥐아과 (Delanymyinae)11
나무타기생쥐아과 또는 덴드로무스아과 (Dendromurinae)625
흰꼬리쥐아과 (Mystromyinae)11
붉은숲쥐아과 또는 네소미스아과 (Nesomyinae)928
아프리카바위생쥐아과 또는 페트로미스쿠스아과 (Petromyscinae)14


3. 1. 주머니쥐아과 (Cricetomyinae)

주머니쥐아과는 붉은숲쥐과의 아과 중 하나이다. 3개 , 8개 으로 이루어져 있다.

Beamys
Cricetomys - 자이언트주머니쥐
Saccostomus - 주머니생쥐

[2]

3. 2. 델라니쥐아과 (Delanymyinae)

속 ''델라니쥐''

  • **델라니생쥐, ''Delanymys brooksi''

3. 3. 나무타기생쥐아과 (Dendromurinae)

나무타기생쥐아과는 6속 25종으로 분류된다.

  • '''나무타기쥐속''' 또는 '''덴드로무스속''' (''Dendromus'')
  • 특이한나무타기쥐 (''Dendromus insignis'')
  • 카후지산나무타기쥐 (''Dendromus kahuziensis'')
  • 모나르드아프리카나무타기쥐 (''Dendromus leucostomus'')
  • 로바트나무타기쥐 (''Dendromus lovati'')
  • 회색나무타기쥐 (''Dendromus melanotis'')
  • 브란츠나무타기쥐 (''Dendromus mesomelas'')
  • 바나나나무타기쥐 (''Dendromus messorius'')
  • 수염나무타기쥐 (''Dendromus mystacalis'')
  • 키부나무타기쥐 (''Dendromus nyasae (kivu)'')
  • 니카나무타기쥐 (''Dendromus nyikae'')
  • 카메룬나무타기쥐 (''Dendromus oreas'')
  • ''Dendromus ruppi''
  • 버네이나무타기쥐 (''Dendromus vernayi'')
  • '''니콜라우스쥐속''' (''Megadendromus'')
  • 니콜라우스쥐 (''Megadendromus nikolausi'')
  • '''벨벳나무타기쥐속''' (''Dendroprionomys'')
  • 벨벳나무타기쥐 (''Dendroprionomys rousseloti'')
  • '''돌만나무타기쥐속''' (''Prionomys'')
  • 돌만나무타기쥐 (''Prionomys batesi'')
  • '''게르빌생쥐속''' (''Malacothrix'')
  • 게르빌생쥐 (''Malacothrix typica'')
  • '''지방쥐속''' 또는 '''스테아토미스속''' (''Steatomys'')
  • 보카지아프리카지방쥐 (''Steatomys bocagei'')
  • 북서부지방쥐 (''Steatomys caurinus'')
  • 섬세한지방쥐 (''Steatomys cuppedius'')
  • 잭슨지방쥐 (''Steatomys jacksoni'')
  • 크렙스지방쥐 (''Steatomys krebsii'')
  • 푸사르그아프리카지방쥐 (''Steatomys opimus'')
  • 작은지방쥐 (''Steatomys parvus'')
  • 지방쥐 (''Steatomys pratensis'')
[2]

3. 4. 흰꼬리쥐아과 (Mystromyinae)

흰꼬리쥐(''Mystromys albicaudatus'')는 붉은숲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흰꼬리쥐속(''Mystromys'')의 유일종이다.

3. 5. 붉은숲쥐아과 (Nesomyinae)

붉은숲쥐아과(Nesomyinae)는 마다가스카르 섬에 서식하는 설치류로, 6개 , 21개 으로 구성된다.

  • '''Brachytarsomys''' (마다가스카르 흰꼬리쥐)
  • * 흰꼬리안트상기, ''Brachytarsomys albicauda''
  • * 털꼬리안트상기, ''Brachytarsomys villosa''
  • '''Brachyuromys''' (마다가스카르 짧은꼬리쥐)
  • * 베치레오짧은꼬리쥐, ''Brachyuromys betsileoensis''
  • * 사교적인짧은꼬리쥐, ''Brachyuromys ramirohitra''
  • '''Eliurus''' (털꼬리쥐)
  • * 칭기털꼬리쥐, ''Eliurus antsingy''
  • * 안카라나 특별보호구역 털꼬리쥐, ''Eliurus carletoni''
  • * 엘러만털꼬리쥐, ''Eliurus ellermani''
  • * 다니엘털꼬리쥐, ''Eliurus danieli''
  • * 그랑디디에털꼬리쥐, ''Eliurus grandidieri''
  • * 메이저털꼬리쥐, ''Eliurus majori''
  • * 작은털꼬리쥐, ''Eliurus minor''
  • * 겨울잠털꼬리쥐, ''Eliurus myoxinus''
  • * 흰털끝털꼬리쥐, ''Eliurus penicillatus''
  • * 페터털꼬리쥐, ''Eliurus petteri''
  • * 타날라털꼬리쥐, ''Eliurus tanala''
  • * 웹털꼬리쥐, ''Eliurus webbi''
  • '''Gymnuromys'''
  • * 보알라보아날라, ''Gymnuromys roberti''
  • '''Hypogeomys'''
  • * Votsovotsa (마다가스카르 자이언트쥐), ''Hypogeomys antimena''
  • '''Macrotarsomys''' (큰발쥐)
  • * 가짜큰발쥐, ''Macrotarsomys bastardi''
  • * 큰큰발쥐, ''Macrotarsomys ingens''
  • * 페터큰발쥐, ''Macrotarsomys petteri''
  • '''Monticolomys'''
  • * 마다가스카르 산쥐, ''Monticolomys koopmani''
  • '''Nesomys'''
  • * 흰배네소미스, ''Nesomys audeberti''
  • * 서부네소미스, ''Nesomys lambertoni''
  • * 섬쥐, ''Nesomys rufus''
  • '''Voalavo'''
  • * 동부보알라보, ''Voalavo antsahabensis''
  • * 북부보알라보, ''Voalavo gymnocaudus''

3. 6. 아프리카바위생쥐아과 (Petromyscinae)

'''아프리카바위생쥐아과''' 또는 '''페트로미스쿠스아과'''(Petromyscinae)는 붉은숲쥐과에 속하는 설치류 아과이다.

4. 계통 분류

다음은 쥐아목의 계통 분류이다.[3]

{| class="wikitable"

|-

! 쥐아목

|-

|

{| class="wikitable"

|-

! 뛰는쥐과

|-

! 쥐상과

|-

|

{| class="wikitable"

|-

| 가시겨울잠쥐과

|-

|

{| class="wikitable"

|-

| 소경쥐과

|-

! Eumuroida

|-

|

{| class="wikitable"

|-

| '''붉은숲쥐과'''

|-

|

{| class="wikitable"

|-

| 칼로미스쿠스과

|-

|



|}

|}

|}

|}

|}

|}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 논문 Evolutionary history of the most speciose mammals: molecular phylogeny of muroid rodents 2001-11
[3] 간행물 Ancient phylogenetic divergence of the enigmatic African rodent Zenkerella and the origin of anomalurid gliding.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