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혜서는 총 19장으로 구성된 책으로, 크게 종말론, 지혜의 서, 역사서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이 책은 세상의 통치자들에게 의를 사랑하고 지혜를 추구하도록 권고하며, 기원전 1세기 말에서 기원후 1세기 초 알렉산드리아에서 그리스어로 쓰여졌다. 지혜서는 유대교와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았으며, 정경성 논란을 거쳐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 일부 개신교에서 정경으로 인정받았다. 주요 주제는 의와 불의, 죽음과 불멸이며, 지혜는 인간에게 내재된 것이 아닌 외부에서 오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 책은 허먼 멜빌 등 여러 작가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존 브라운 추도 예배에서도 낭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세기 책 - 사도행전
사도행전은 신약성경의 다섯 번째 책이자 누가복음과 함께 누가-사도행전으로 불리는 작품의 후반부로, 예수의 승천 이후 사도들의 활동과 초기 교회의 성장, 특히 베드로와 바울의 활동을 중심으로 예루살렘에서 로마까지 복음이 전파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 1세기 책 - 변신 이야기
《변신 이야기》는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세계 창조부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죽음까지의 역사를 3음보 6보격으로 구성한 서사시로, 신화 속 변신을 소재로 사랑과 인간의 열정을 다루며 신들의 우스꽝스러운 면모를 드러낸다. - 지혜문학 - 집회서
집회서는 벤 시라가 히브리어로 저술한 지혜 문헌으로, 다양한 사상의 영향을 받아 하나님 경외, 윤리적 삶, 사회적 책임을 다루며, 가톨릭과 동방정교회에서는 정경, 유대교와 개신교에서는 외경으로 분류된다. - 지혜문학 - 욥기
욥기는 구약성경의 지혜 문학으로, 의인이 고난을 겪는 이유와 신의 정의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욥의 고난, 친구들과의 논쟁, 신과의 대화를 통해 서양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제2경전 - 집회서
집회서는 벤 시라가 히브리어로 저술한 지혜 문헌으로, 다양한 사상의 영향을 받아 하나님 경외, 윤리적 삶, 사회적 책임을 다루며, 가톨릭과 동방정교회에서는 정경, 유대교와 개신교에서는 외경으로 분류된다. - 제2경전 - 다니엘 추가본
다니엘서 보충은 기독교 성경의 다니엘서에서 개신교 외경으로 분류되는 부분들을 모아놓은 것으로, 70인역에 포함된 아자리야의 기도와 세 젊은이의 노래, 수산나 이야기, 벨과 용 등이 수록되어 있다.
지혜서 |
---|
2. 구조, 장르 및 내용
지혜서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레스터 그라베는 이를 요약하여 제시했다.[3]
지혜서는 유대교와 비유대교의 고대 문학의 여러 형태와 연관될 수 있지만, 욥기와 같은 성경의 지혜서와 관련이 있다. 고전적인 장르 측면에서 이 책은 찬사이며, 교사가 다른 사람에게 특정한 행동 방침을 설득하려는 시도인 그리스 장르인 "권고적 담론"으로 확인되었다.
2. 1. 구성
지혜서는 총 19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3] 레스터 그라베는 이 부분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제목 | 내용 |
---|---|
종말론의 서 | |
지혜의 서 | |
역사서 |
2세기경 오리게네스는 지혜서에 대한 불확실성을 언급했다.[4] 사르디스의 멜리토[5] (추정), 아우구스티누스[6]와 교황 인노첸시오 1세(405년)[7][8]는 솔로몬의 지혜서를 구약성경의 일부로 여겼다. 아타나시우스는 지혜서를 포함한 다른 세 권의 제2경전이 정경의 일부는 아니지만, "교부들이 읽도록 지정했다"라고 기록했다.[9]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솔로몬의 지혜서가 정경으로 인정되는지에 논란이 있었다고 언급했다.[10] 수도승 아퀼레이아의 루피누스에 따르면, 지혜서는 "정경"이 아닌 "교회적인" 것으로 분류되었다.[11]
지혜서는 의와 불의, 죽음과 불멸이라는 대조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3] 지혜는 인간에게 원래부터 있는 자질이 아니고, 가르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외부에서 오는 것이다. 그리고 오직 의를 통해 준비된 사람들에게만 주어진다.[3] 의로운 사람들이 겪는 고통은 불멸로 보상받지만, 악한 사람들은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다.[3] 불의한 사람들은 하나님의 뜻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멸망할 운명이지만, 의로운 사람들은 하나님의 임재 안에서 불의한 자들을 심판한다.[3]
허먼 멜빌은 《지혜서》를 꼼꼼하게 읽고 기록을 남겼다. 그는 성서 비평에 대한 지식 없이도 헬레니즘 플라톤주의와 유대 철학의 상호 작용을 파악하여 "이 훌륭한 책은 그 어조에서 부분적으로는 모세적이고 부분적으로는 플라톤적인 것 같다. 누가 썼는지는 모르겠다. 플라톤과 모세 모두 대부가 되어준 누군가가 썼을 것이다."라고 적었다.[21] 멜빌의 작품, 특히 《모비 딕》과 《클라렐》에서 여러 철학의 상호 작용이 잘 나타나 있으며, 여기에서 종교적 및 철학적 상호 작용은 19세기의 불확실성에 대한 투쟁을 보여준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 지혜서에 대한 한국적 관점을 다루는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1]
서적
The Septuagint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4-06-08
이 책은 세상의 통치자들(1:1절)에게 보내는 메시지로, 그들에게 의를 사랑하고 지혜를 추구하도록 권고한다. 악인들은 모든 것이 우연이라고 생각하고 매일 즐겨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들은 속고 있다. 두 번째 부분에서 솔로몬(명시적으로 이름이 언급되지는 않지만 강하게 암시됨)은 지혜를 찾기 위한 그의 탐구를 이야기한다.
지혜서는 유대교와 비유대교의 고대 문학의 여러 형태와 연관될 수 있지만, 고대 유대 문학에서 단 다섯 권뿐인 욥기와 같은 성경의 지혜서와 분명히 관련이 있다. 고전적인 장르 측면에서 볼 때, 이 책은 찬사로, 그리고 교사가 다른 사람에게 특정한 행동 방침을 설득하려는 시도인 그리스 장르인 "권고적 담론"으로 확인되었다.
학자들 사이에서는 (몇몇 소수의 반대 의견을 제외하고) 지혜서는 기원전 1세기 말에서 기원후 1세기 초 무렵 알렉산드리아(이집트)에서 그리스어로 쓰여졌다는 일반적인 합의가 있다. 저자의 주요 문학적 원천은 칠십인역이었으며, 특히 지혜 문학과 이사야서였으며, 에녹서와 같은 후기 유대교 작품과 그리스 철학 문학에도 익숙했다. 이 책이 단일 저자에 의해 쓰여졌는지 아니면 여러 작가의 학파에서 나왔는지 불확실하지만, 무라토리 단편에서는 "솔로몬의 친구들이 그를 기리기 위해 썼다"고 말한다.[20] 그러나 최근의 학문은 이를 통일된 작품으로 간주하는 것을 선호해 왔다.
3. 정경성
지혜서는 로마 공의회(382년),[12] 히포 시노드(393년),[13] 카르타고 공의회 (397년)와 카르타고 공의회 (419년),[14][15] 퀴니섹스트 공의회(692년),[16] 피렌체 공의회(1442년),[17] 트리엔트 공의회(1546년)에서 정경으로 목록에 올랐다.[18]
다마스쿠스의 요한은 그의 저서 ''정통 신앙 해설''(730년경)에서 지혜서가 언약궤 안에 있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파나레투스, 즉 솔로몬의 지혜와 예수의 지혜가 있는데, 이 책은 시라크의 아버지에 의해 히브리어로 출판되었고, 그의 손자 예수, 시라크의 아들에 의해 그리스어로 번역되었다. 이들은 훌륭하고 고귀하지만, 언약궤 안에 포함되거나 놓이지 않았다."[19]
4. 주제
지혜 부인은 지혜서 6장 12절에서 처음으로 "그녀"로 언급되며, 솔로몬이 말하는 책의 중간 부분(6-9장)을 이끈다.[3] 그녀는 창조 때부터 존재했으며, 하나님은 그녀의 근원이자 인도자이시다.[3] 그녀는 사랑하고 갈망해야 할 대상이며, 왕들은 그녀를 찾는다. 솔로몬 자신은 부, 건강, 그리고 다른 모든 것보다 지혜를 더 선호했다.[3] 그녀는 아담에서 탈출에 이르기까지 의로운 사람들을 항상 도왔다.[3] 지혜서의 마지막 부분인 10-19장은 의로운 사람들의 구원을 주제로 삼고, 탈출을 중심으로 한다. "주님(하나님)께서는 항상 모든 곳에서 (당신의 백성인 유대인)을 돕는 것을 게을리하지 않으셨습니다." (지혜 19:22).[3]
5. 영향
《지혜서》의 상당 부분은 존 브라운의 처형일인 1859년 12월 2일 매사추세츠주 콩코드에서 열린 버지니아 대 존 브라운 추도 예배에서 낭독되었다.[22]
6. 한국적 관점
참조
[2]
웹사이트
The theological paraphrasing of history: The Exodus tradition in the Wisdom of Solomon
http://www.scielo.or[...]
Stellenbosch University
2024-03-03
[3]
서적
Jerusalem Bible
Jerusalem Bible
1966
[4]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Apocrypha: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3-01
[5]
서적
Church History (Book IV)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0-07-10
[6]
서적
On Christian Doctrine Book II Chapter 8:2
http://www.newadvent[...]
newadvent
2016-10-12
[7]
서적
Letter from Innocent I to Exsuperius, bishop of Toulouse.
http://www.bible-res[...]
[8]
서적
A general survey of the history of the canon of the New Testament Page 570
Wipf & Stock
2005
[9]
웹사이트
Athanasius of Alexandria, Excerpt from Letter 39
http://www.ccel.org/[...]
[10]
서적
The Panarion of Epiphanius of Salamis 8:6:1-4
http://www.masseiana[...]
E.J. Brill
2016-10-11
[11]
서적
Commentary on the Apostles' Creed #38
http://www.newadvent[...]
newadvent
2016-10-12
[12]
웹사이트
Decretum Galasianum
http://www.tertullia[...]
[13]
간행물
The Canons of the 217 Blessed Fathers who assembled at Carthage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14]
서적
A General Survey of the History of the Canon of the New Testament
1881
[15]
웹사이트
Council of Carthage (in 419) Canon 24
http://www.newadvent[...]
[16]
웹사이트
Канон Библии. История канонизации книг Священного Писания
https://apologetica.[...]
2023-02-05
[17]
웹사이트
Session 11—4 February 1442
https://www.ewtn.com[...]
[18]
웹사이트
Session IV Celebrated on the eighth day of April, 1546 under Pope Paul III
http://www.ewtn.com/[...]
[19]
서적
An Exposition of the Orthodox Faith (Book IV)
https://www.newadven[...]
[20]
위키문헌
[21]
서적
Melville's Marginalia
Garland
1987
[22]
서적
Echoes of Harper's Ferry
Thayer and Eldridge
[23]
서적
구약성경 입문 제2권(''Introduction à l'Ancien Testament'')
수원가톨릭대학교출판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