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인노첸시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인노첸시오 1세는 401년부터 417년까지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이었다. 그는 펠라기우스 논쟁에 단호한 입장을 취하고, 로마 사도좌의 권위를 강화하는 등 다양한 교회 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또한, 410년 로마 약탈 당시 사적인 이교도 관습을 임시로 허용하려 했다는 기록도 있다. 그는 417년 3월 12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현재 바트 간데르스하임에 안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노라치알레 출신 - 시모네 페페
시모네 페페는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로, 윙어와 윙백 등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했으며 유벤투스에서 세리에 A 4회 우승 등을 기록했고,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으로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201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 417년 사망 - 요홍
요홍은 후진의 마지막 황제로, 유약한 성격과 동생의 위협 속에서 즉위 후 동진의 북벌에 패배하여 처형당하며 후진을 멸망시킨 요흥의 장남이다. - 417년 사망 - 실성 마립간
실성 마립간은 신라의 제18대 왕으로, 왜와의 잦은 충돌과 고구려의 영향력 속에서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며, 김알지의 후손이자 미추 이사금의 사위이고, 고구려에 볼모로 잡혀갔다가 왕이 되었으며, 재위 말년에는 눌지에게 살해당했다는 기록도 있다. - 5세기 교황 - 교황 레오 1세
레오 1세는 440년부터 461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훈족과 반달족의 침공을 막고 칼케돈 공의회에서 교황의 권위를 확립하며 교황 무류성의 사례를 제시하여 로마의 수호자이자 교황 수위권을 강화한 인물이다. - 5세기 교황 - 교황 젤라시오 1세
교황 젤라시오 1세는 교황 수위권을 강조하고 '두 권력' 사상을 제시하며 교황권 강화와 교회 재산 관리 체계 확립에 힘쓴 5세기 로마 교황이다.
교황 인노첸시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성 |
이름 | 인노첸시오 1세 |
직함 | 로마 주교 |
![]() | |
직무 | |
교황 | 가톨릭 교회 |
임기 시작 | 401년 12월 22일 |
임기 종료 | 417년 3월 12일 |
이전 교황 | 아나스타시오 1세 |
다음 교황 | 조시모 |
개인 정보 | |
출생지 | 알바노, 로마 제국 |
사망일 | 417년 3월 12일 |
사망 장소 | 로마, 서로마 제국 |
공경 |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
축일 | 3월 12일 7월 28일 (13세기–20세기) |
라틴어 명칭 | |
라틴어 이름 | Innocentius I |
2. 생애
인노첸시오 1세는 알바노 라치알레 출신으로, 아버지의 이름은 인노첸티우스이다.[4] 제롬은 그를 아나스타시오 1세의 아들이라고도 언급했지만, 이는 생물학적 관계가 아닌 계층적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2]
인노첸시오 1세는 모든 교회 분쟁에서 로마 사도좌를 최종 중재자로 여기고 그 권위를 확대하려 노력했다. 루앙의 빅트리키우스, 툴루즈의 엑수페리우스, 안티오키아의 알렉산더 등과 서신을 주고받았고, 요한 크리소스토무스가 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루스에게 반대하여 호소했을 때도 이러한 노력을 보였다. 또한 이탈리아 수브비카리아 주교들에 대한 대주교 역할도 수행했다.[5][6]
405년, 툴루즈의 엑수페리우스에게 트리엔트 공의회의 목록과 동일한 성서 목록을 보냈다.[8][9][10][11] 다만, 바울 서신의 수에 대한 필사본 전승의 불확실성은 존재한다.[8]
펠라기우스 논쟁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취하여 416년 카르타고 시노드 결정을 강화하고 411년 첼레스티우스에 대한 정죄를 확정했다.[4] 아우구스티누스를 포함한 다섯 명의 아프리카 주교들은 펠라기우스주의에 대한 그들의 입장을 설명하는 개인적인 편지를 인노첸시오 1세에게 보내기도 했다.
알라리크 1세에 의한 410년 로마 약탈 당시, 인노첸시오 1세는 임시 방편으로 사적인 이교도 관습을 허용하려 했다고 역사가 조시무스는 기록했다. 그러나 이교도들의 공공 예배 회복 시도는 대중의 무관심으로 실패했다.[5]
인노첸시오 1세는 예로니모와 예루살렘의 요한 2세 주교에게 편지를 보냈으며, 베들레헴에서 펠라기우스주의자들로부터 괴롭힘을 당한 예로니모를 위로했다.
417년 3월 12일에 사망했으며, 축일은 현재 3월 12일에 기념된다. 13세기부터 20세기까지는 7월 28일에 기념되었다.[7] 그의 후임자는 조시무스였다.
2. 1. 가문 배경
교황 연대표에 따르면, 인노첸시오는 알바노 라치알레 출신이며, 인노첸티우스라는 남자의 아들이었다.[4] 반면에, 그의 동시대인인 제롬은 데메트리아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를 이전 교황인 아나스타시오 1세의 아들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제롬이 생물학적 관계가 아닌 단지 계층적인 관계를 설명한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2] 우르바노 체리는 교황 인노첸시오가 알바니아 출신이라고 주장했다.[3]2. 2. 교황 재위
인노첸시오 1세는 모든 교회 분쟁에 대한 최종 중재자로 여겨지는 로마 사도좌의 권위를 유지하고 확대하기 위해 노력했다. 루앙의 빅트리키우스, 툴루즈의 엑수페리우스, 안티오키아의 알렉산더 등과의 서신, 그리고 요한 크리소스토무스가 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루스에게 반대하여 그에게 호소했을 때의 행동을 통해 이러한 노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탈리아 수브비카리아 주교들에 대한 대주교 역할도 수행했다.[5][6]417년 3월 12일에 사망했으며, 축일은 현재 3월 12일에 기념된다. 13세기부터 20세기까지는 7월 28일에 기념되었다.[7] 후임자는 조시무스였다.
405년, 갈리아의 주교 툴루즈의 엑수페리우스에게 성서 목록을 보냈는데,[8] 이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목록과 동일하다.[9][10][11] 다만, 바울에게 귀속된 서신이 14개인지 13개인지에 대한 필사본 전승의 불확실성은 존재하며, 13개일 경우 히브리서가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8] 367년,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는 "정경화된" 구약과 신약 성경 목록을 언급하는 39번째 부활절 서한을 배포한 바 있다.
2. 2. 1. 펠라기우스 논쟁
교황 인노첸시오 1세는 펠라기우스 논쟁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416년 카르타고에서 열린 아프리카 총독 관구의 시노드 결정을 강화하여, 411년 펠라기우스주의자 첼레스티우스에 대한 정죄를 확정했다. 같은 해에 그는 누미디아의 밀레베 시노드 교부들에게도 편지를 썼다. 이 직후, 아우구스티누스를 포함한 다섯 명의 아프리카 주교들은 펠라기우스주의에 대한 그들의 입장을 설명하는 개인적인 편지를 인노첸시오 1세에게 보냈다.[4]인노첸시오 1세는 예로니모와 예루살렘의 요한 2세 주교에게도 편지를 보냈는데, 예로니모에게 보낸 편지는 베들레헴에서 펠라기우스주의자들로부터 당한 괴롭힘에 관한 것이었다.
2. 2. 2. 로마 약탈 (410년)
역사가 조시무스는 그의 저서 ''새로운 역사''에서 알라리크 1세에 의한 410년 로마 약탈 동안 인노첸시오 1세가 임시 방편으로 사적인 이교도 관습을 허용하려 했다고 시사한다.[5] 그러나 조시무스는 또한 공공 예배를 회복하려는 이교도들의 시도가 대중의 무관심으로 인해 실패했다고 시사하며, 이는 이전 세기에 로마가 기독교로 성공적으로 그리고 영구적으로 개종했음을 시사한다.[5]2. 2. 3. 기타 활동
교황 인노첸시오 1세는 모든 교회 분쟁에 대한 최종 중재자로 여겨지는 로마 사도좌의 권위를 유지하고 확대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펠라기우스 논쟁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취하여, 416년 카르타고에서 열린 아프리카 총독 관구 시노드 결정을 강화하고 411년 펠라기우스주의자 첼레스티우스에 대한 정죄를 확정했다.[4] 또한 이탈리아 수브비카리아 주교들에 대한 대주교 역할도 수행했다.[5][6]역사가 조시무스는 저서 ''새로운 역사''에서 알라리크 1세에 의한 410년 로마 약탈 당시 인노첸시오 1세가 임시 방편으로 사적인 이교도 관습을 허용하려 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시무스는 공공 예배를 회복하려는 이교도들의 시도가 대중의 무관심으로 실패했다고도 언급하며, 이는 이전 세기에 로마가 기독교로 성공적이고 영구적으로 개종했음을 시사한다.[5]
인노첸시오 1세는 예로니모와 예루살렘의 요한 2세 주교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예로니모에게 보낸 편지는 베들레헴에서 펠라기우스주의자들로부터 당한 괴롭힘에 관한 것이었다.
인노첸시오 1세는 417년 3월 12일에 사망했다. 그의 축일은 현재 3월 12일에 기념되지만, 13세기부터 20세기까지는 7월 28일에 기념되었다.[7] 그의 후임자는 조시무스였다.
405년, 인노첸시오 1세는 갈리아의 주교 툴루즈의 엑수페리우스에게 성서 목록을 보냈는데,[8] 이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목록과 동일하며(이는 1000년 이상 후에 열렸다),[9][10][11] 바울에게 귀속된 서신이 14개인지 13개인지에 대한 필사본 전승의 불확실성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후자의 경우 히브리서가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8]
3. 사망과 유산
인노첸시오 1세는 417년 3월 12일에 선종하였다.[12] 그는 폰티아누스 묘지에 묻혔다.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7월 28일이다.
3. 1. 성유물
846년, 교황 세르지오 2세는 성유물(렐릭)을 작센 백작 리우돌프와 그의 부인 오다가 그의 아버지이자 전임자인 아나스타시오의 유해와 함께 옮기는 것을 승인했다.[12] 이 유해들은 현재까지 대부분이 안치되어 있는, 옛 간데르스하임의 단과대학 교회(현재의 간데르스하임 수도원)의 지하 묘지로 옮겨졌다.[12] 또한, 성유물은 글래스턴베리 성모 마리아 성당 봉헌 시에도 옮겨졌다.[13]참조
[1]
웹사이트
Saint Innocent I | pope
http://www.britannic[...]
[2]
논문
Anastasius I and Innocent I: Reconsidering the Evidence of Jerome
http://dx.doi.org/10[...]
2007
[3]
서적
An account of the state of the Roman-Catholick religion throughout the world. Transl. To which is added, A discourse concerning the state of religion in England. Transl. With a large dedication to the present pope, by sir Richard Steele [really B. Hoadl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1715
[4]
웹사이트
Pope Innocent I
http://www.newadvent[...]
2017-09-15
[5]
웹사이트
Pope Innocent I
http://www.newadvent[...]
2017-09-15
[6]
간행물
Innocent I's Letter to the Bishops of Apulia
http://muse.jhu.edu/[...]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3-03
[7]
문서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8]
웹사이트
Text and translation of the list
http://www.bible-res[...]
[9]
서적
Dark Passages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CUA Press
[10]
서적
Formation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Hendrickson Publishers
[11]
서적
The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2]
문서
Aus Heiltum wird Geschichte. Der Gandersheimer Reliquienschatz in nachreformatorischer Zeit
Thomas Labusiak and Hedwig Röckelein, Regensburg
2009
[13]
웹사이트
Opening of the present church – Glastonbury Shrine
http://www.glastonbu[...]
[14]
문서
Sermon 131:10
[15]
문서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