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헌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헌장은 백사선생(白沙先生) 또는 진백사(陳白沙) 등으로 불린 명나라의 학자이다. 광동성 신회현 출신으로, 1447년 향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회시에 합격하여 국자감에 입학했으나 오강재에게 수학한 후 과거를 포기했다. 그의 학문은 정좌(靜坐)를 중심으로, 마음과 이(理)가 하나가 되어야 도리를 깨달을 수 있다고 보았다. 명말 청초의 학자 황종희는 진헌장의 학문이 명대 학문의 정수를 보여주며, 왕양명과 유사하다고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00년 사망 - 고쓰치미카도 천황
    고쓰치미카도 천황은 일본의 제103대 천황으로, 오닌의 난 시기에 즉위하여 재정 고갈과 권위 실추를 겪었으나 쇠퇴한 조정의 의례를 부활시키려 노력했으며, 사후 장례조차 어려움을 겪었다.
  • 1500년 사망 - 바르톨로메우 디아스
    바르톨로메우 디아스는 15세기 포르투갈 탐험가로, 유럽인 최초로 희망봉을 돌아 인도 항로 개척의 가능성을 열었으며, 이는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항해와 포르투갈 해상 제국 건설의 토대가 되었으나, 유럽 열강의 아프리카 식민 지배를 촉진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1428년 출생 - 만귀비
    만귀비는 명나라 성화제의 후궁이자 19세 연상이었던 만정이로, 성화제의 깊은 신임을 얻어 귀비에 책봉되어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으며 후사 문제에 깊이 관여하며 논란을 낳았고 다양한 미디어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1428년 출생 - 오단토니오 다 몬테펠트로
    오단토니오 다 몬테펠트로는 1443년부터 1444년 암살당할 때까지 우르비노를 통치한 초대 공작이었으며, 방탕한 생활과 과도한 세금 징수로 백성들의 불만을 사 암살당했다.
  • 명나라의 유학자 - 송렴
    송렴은 원나라 말과 명나라 초에 활동하며 학문, 문학에 뛰어났고, 명나라 건국 후 주원장의 부름을 받아 출사하여 《원사》 편찬 등을 주도했으나, 호유용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 중 사망한 인물이다.
  • 명나라의 유학자 - 고염무
    고염무는 명말청초의 유학자이자 사상가로, 주자학 비판과 경세치용 학풍 주창, 반청복명 운동 참여, 그리고 《일지록》 등의 저술 활동을 통해 청대 고증학의 선구자이자 청초 3대 유학자로 평가받으며 "천하흥망 필부유책"이라는 어록으로도 알려져 있다.
진헌장
기본 정보
진헌장
진헌장
이름진헌장
공보(公甫)
백사(白沙)
시호문공(文恭)
출생1428년 11월 19일
사망1500년 2월 16일 (향년 71세)
묘소강문(江門) 백사리(白沙里)
국적명(明)
학문
학파강문학파(江門學派)
스승주자
경력
직업유학자, 시인, 서예가, 교육자
관직한림원 검토(翰林院檢討)
가족
배우자오씨(吳氏)

2. 생애

광동성 신회현 백사리(白沙里) 출신으로, 백사선생(白沙先生) 또는 진백사(陳白沙) 등으로 불렸다. 신장은 8척이었고, 눈빛은 별과 같았으며, 우검(右瞼)에 북두(北斗)와 같은 일곱 개의 흑점이 있었다고 한다. 1447년 광동(廣東)의 향시(鄕試)에 합격하고, 다음 해 중앙정부에서 행한 회시(會試)에 합격했다. 국자감(國子監)에 입학하여 진사시험을 준비하였으나, 오강재(吳康齋, 1391-1469)에게 수학한 후 과거에 대한 의욕을 버렸다.

2. 1. 초기 생애

진헌장은 광동성 신회현 백사리(白沙里) 출신으로, 백사선생(白沙先生) 또는 진백사(陳白沙) 등으로 불렸다. 신장은 8척이었고, 눈빛은 별과 같았으며, 우검(右瞼)에 북두(北斗)와 같은 일곱 개의 흑점이 있었다고 한다. 1447년 광동(廣東)의 향시(鄕試)에 합격하고, 다음 해 중앙정부에서 행한 회시(會試)에 합격했다. 국자감(國子監)에 입학하여 진사시험을 준비하였으나, 오강재(吳康齋, 1391-1469)에게 수학한 후 과거에 대한 의욕을 버렸다.

2. 2. 관직 진출과 학문적 전환

광동성 신회현 백사리(白沙里) 출신으로 백사선생(白沙先生), 진백사(陳白沙) 등으로 불렸다. 신장은 8척이었고, 눈빛은 별과 같았으며, 오른쪽 눈꺼풀에 북두칠성과 같은 7개의 검은 점이 있었다고 한다. 정통(正統) 12년(1447) 광동(廣東)의 향시(鄕試)에 합격하고, 다음 해인 1448년 중앙정부에서 시행한 회시(會試)에 합격했다. 국자감(國子監)에 입학하여 진사 시험을 준비했으나, 오강재(吳康齋)에게 수학한 후 과거를 포기하였다.

3. 학문

그의 학문은 정좌(靜坐)를 주로 하는 것이었다. 성현의 유교(遺敎)를 구하여 침식을 잊은 채 책을 읽었지만 도리를 얻을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것은 곧 마음과 이(理)가 하나로 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정좌(靜坐)에 의하여 물(物)이 이(理)를 체인(體認)하는 것만이 학문(學問)이라고 하였다. 명말(明末) 청초(淸初)의 학자인 황종희는 "명대(明代)의 학문은 백사(白沙)에 이르러서 비로소 정미(精微)한 데 들어갔다. 그 가장 중요한 공부는 함양(涵養)에 있다.……왕양명에 이르러 커졌다. 두 선생의 학문이 가장 가깝다고 하겠다"고 말하고 있다.[4]

3. 1. 정좌(靜坐) 중심의 심학(心學)

그의 학문은 정좌(靜坐)를 주로 하는 것이었다. 성현의 유교(遺敎)를 구하여 침식을 잊은 채 책을 읽었지만 도리를 얻을 수가 없었다고 한다. 그것은 곧 마음과 이(理)가 하나로 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정좌(靜坐)에 의하여 물(物)이 이(理)를 체인(體認)하는 것만이 학문(學問)이라고 하였다. 명말(明末) 청초(淸初)의 학자인 황종희는 "명대(明代)의 학문은 백사(白沙)에 이르러서 비로소 정미(精微)한 데 들어갔다. 그 가장 중요한 공부는 함양(涵養)에 있다.…왕양명에 이르러 커졌다. 두 선생의 학문이 가장 가깝다고 하겠다"고 말하고 있다.[4]

3. 2. 왕양명과의 관계

진헌장의 학문은 정좌(靜坐)를 중심으로, 마음과 이(理)가 하나가 되지 않기 때문에 도리를 얻을 수 없다고 보았다. 그는 정좌를 통해 물(物)이 이(理)를 체인(體認)하는 것을 학문이라고 여겼다.[4] 황종희는 "명대(明代)의 학문은 백사(白沙)에 이르러서 비로소 정미(精微)한 데 들어갔다. 그 가장 중요한 공부는 함양(涵養)에 있다.…왕양명에 이르러 커졌다. 두 선생의 학문이 가장 가깝다고 하겠다"고 평가했다.[4]

4. 평가

4. 1. 명나라 시대의 평가

4. 2. 한국 유학에 미친 영향

5. 저서

참조

[1] 서적 The lost daughters of China: abandoned girls, their journey to America and the search for a missing past https://books.google[...]
[2] 서적 Monumenta serica, Volume 46 https://books.google[...]
[3] 서적 Emperor and ancestor: state and lineage in South China https://books.google[...]
[4] 간행물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송·명의 사상 - 진헌장 글로벌세계대백과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