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요테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요테속은 박과에 속하는 식물 속이다. 이 속에는 차요테를 포함한 여러 종이 속해 있으며, 과거에는 다른 속으로 분류되었던 종들도 존재한다. 또한, 미분류 상태인 종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시박족 - 차요테
차요테는 박과의 덩굴성 식물로 열매, 덩이줄기, 잎, 줄기, 씨앗 등 모든 부분을 식용으로 사용하며, 녹색 또는 흰색의 배 모양 열매는 샐러드, 볶음, 절임, 수프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가시박족 - 수세미오이
수세미오이는 인도나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열매의 섬유로 수세미를 만들고, 어린 열매는 식용, 수액은 화장수나 약용, 씨앗은 식용유 추출에 사용된다. - 1756년 기재된 식물 - 가시상추
가시상추는 유럽 원산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로, 잎에 가시가 있으며 샐러드나 약용으로 사용되고, 상추 노균병에 저항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 1756년 기재된 식물 - 파슬리속
파슬리속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속으로, 파슬리 등을 포함하며, 남부 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인 파슬리는 요리에 널리 사용되는 허브이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차요테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echium |
명명자 | P.Browne |
이명 | Frantzia Jacq. Chayota Jacq. ex Mill. Sicyos tacaco Sagot Sechium talamancensis Standl. Sechium pittieri Cogn. Sechium edule var. costaricensis Standl. Sechium americanum Poepp. & Endl. Sechium chayota Moench Sechium occidentale Standl. & Steyerm. Sechium hispidum S.F.Blake Sechium chinantlense Standl. Sechium guatemalense Standl. Sechium hintonii Paul G.Wilson Sechium compositum (Donn.Sm.) C.Jeffrey Sechium domingense Urb. Sechium sesquipedale G.Nicholson Sechium edule var. nigrum C.Jeffrey Sechium affine Cogn. Sechium megacarpum Standl. & Steyerm.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장미군 |
목 | 박목 |
과 | 박과 |
아과 | 박아과 |
족 | 가시박족 |
아족 | 가시박아족 |
속 | 차요테속 |
학명 명명 | (Jacq.) P. Browne |
모식종 | 차요테 S. edule (Jacq.) Sw. |
2. 하위 분류
차요테속에는 차요테를 포함하여 여러 종이 있다.
- 차요테 ''S. edule'' (Jacq.) Sw.
- * ''S. edule'' subsp. ''sylvestre'' Lira & Castrejón
- ''S. chinantlense'' Lira & F. Chiang
- ''S. compositum'' (Donn. Sm.) C. Jeffrey
- ''S. hintonii'' (Paul G. Wilson) C. Jeffrey
- ''S. mexicanum'' Lira & M. Nee
- ''S. panamense'' (Wunderlin) Lira & F. Chiang
- ''S. pittieri'' (Cogn.) C. Jeffrey
- ''S. tacaco'' (Pittier) C. Jeffrey
- ''S. talamancensis'' (Wunderlin) C. Jeffrey
- ''S. venosum'' (L. D. Gómez) Lira & F. Chiang
- ''S. villosum'' (Wunderlin) C. Jeffrey
2. 1. 현존하는 종
- 차요테 ''S. edule'' (Jacq.) Sw.
- * ''S. edule'' subsp. ''sylvestre'' Lira & Castrejón
- ''S. chinantlense'' Lira & F. Chiang
- ''S. compositum'' (Donn. Sm.) C. Jeffrey
- ''S. hintonii'' (Paul G. Wilson) C. Jeffrey
- ''S. mexicanum'' Lira & M. Nee
- ''S. panamense'' (Wunderlin) Lira & F. Chiang
- ''S. pittieri'' (Cogn.) C. Jeffrey
- ''S. tacaco'' (Pittier) C. Jeffrey
- ''S. talamancensis'' (Wunderlin) C. Jeffrey
- ''S. venosum'' (L. D. Gómez) Lira & F. Chiang
- ''S. villosum'' (Wunderlin) C. Jeffrey
2. 2. 과거에 세키움속으로 분류되었던 종
- 차요테 ''S. edule'' (Jacq.) Sw.
- ''S. edule'' subsp. ''sylvestre'' Lira & Castrejón
- ''S. chinantlense'' Lira & F. Chiang
- ''S. compositum'' (Donn. Sm.) C. Jeffrey
- ''S. hintonii'' (Paul G. Wilson) C. Jeffrey
- ''S. mexicanum'' Lira & M. Nee
- ''S. panamense'' (Wunderlin) Lira & F. Chiang
- ''S. pittieri'' (Cogn.) C. Jeffrey
- ''S. tacaco'' (Pittier) C. Jeffrey
- ''S. talamancensis'' (Wunderlin) C. Jeffrey
- ''S. venosum'' (L. D. Gómez) Lira & F. Chiang
- ''S. villosum'' (Wunderlin) C. Jeffrey
2. 3. 미분류 종
다음은 차요테속의 미분류 종 목록이다.[2]- 차요테 ''S. edule'' (Jacq.) Sw.
- * ''S. edule'' subsp. ''sylvestre'' Lira & Castrejón
- ''S. chinantlense'' Lira & F. Chiang
- ''S. compositum'' (Donn. Sm.) C. Jeffrey
- ''S. hintonii'' (Paul G. Wilson) C. Jeffrey
- ''S. mexicanum'' Lira & M. Nee
- ''S. panamense'' (Wunderlin) Lira & F. Chiang
- ''S. pittieri'' (Cogn.) C. Jeffrey
- ''S. tacaco'' (Pittier) C. Jeffrey
- ''S. talamancensis'' (Wunderlin) C. Jeffrey
- ''S. venosum'' (L. D. Gómez) Lira & F. Chiang
- ''S. villosum'' (Wunderlin) C. Jeffrey
- ''세키움 치난틀렌세''(Sechium chinantlense) 리라 & F. 치앙
- ''세키움 멕시카눔''(Sechium mexicanum) 리라 & M.니
- ''세키움 파나멘세''(Sechium panamense) (원더린) 리라 & F.치앙
- ''세키움 피테리''(Sechium pittieri) (코그.) C. 제프리
- ''세키움 타카코''(Sechium tacaco) (피티에) C. 제프리
- ''세키움 텔라만켄시스''(Sechium talamancensis) (원더린) C. 제프리
- ''세키움 베노섬''(Sechium venosum) (L.D.고메즈) 리라 & F.치앙
- ''세키움 빌로섬''(Sechium villosum) (원더린) C. 제프리
참조
[1]
웹사이트
POWO: retrieved 11 March 2024
https://powo.science[...]
2024-03-11
[2]
웹사이트
Checklist for ''Sechium'' at World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WCVP). Retrieved 10 June 2024.
https://checklistbui[...]
2024-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