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안해양관측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은 한반도 주변 해양 환경을 준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해양 관측 위성이다. 매일 8회, 1시간 간격으로 해양 관측 자료를 생산하여 해양 환경 변화를 감시하고, 해류 벡터 및 해색 등 수산 관련 정보를 어민에게 제공한다. 또한, 해양 생태계 모니터링, 해양 환경 및 기후 변화 감시, 유해 조류 발생 감지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위성 자료를 수신, 관리, 배포한다. 이 위성은 CMOS 센서를 사용하며, 8개의 밴드를 통해 다양한 해양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지 궤도의 인공위성 - GOES
미국 해양대기청에서 운용하는 정지 궤도 기상 위성 시스템인 GOES는 미국 본토 및 주변 해역의 기상 관측과 우주 환경 감시를 주요 임무로 하며, 여러 세대를 거쳐 개발되어 최신 GOES-R 시리즈는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 정지 궤도의 인공위성 - 히마와리 (기상위성)
일본의 정지 궤도 기상 위성 시리즈인 히마와리는 1977년 1호 발사 이후 현재 8호와 9호가 운용 중이며 2028년 발사 예정인 10호가 개발 중으로, 초기 미국 기술 기반에서 점차 국산화되어 기상 관측과 재해 감시에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인공위성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대한민국의 인공위성 - 아리랑 3호
아리랑 3호는 한국항공우주산업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국제협력을 통해 개발한 70cm급 고해상도 광학장비 탑재 지구관측위성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상용화되었으며 2012년 일본에서 발사되었다.
| 천리안해양관측위성 | |
|---|---|
| 개요 | |
![]() | |
| 종류 | 해양 원격 탐사 센서 |
| 상태 | 작동 중 |
| 개발 | |
| 개발 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대한민국) |
| 운영 기관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대한민국) |
| 궤도 정보 | |
| 궤도 | 정지 궤도 |
| 경도 | 동경 128.2도 |
| 장비 정보 | |
| 해상도 | 500m |
| 가시 스펙트럼 밴드 | 8개 |
| 스캔 범위 | 2500km x 2500km |
| 기타 | |
| 발사일 | 2010년 6월 26일 |
| 로켓 | 아리안 5 |
| 위성 | 천리안 |
| 공식 웹사이트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 천리안 해양관측위성 | |
![]() | |
| 종류 | 해양 관측 위성 |
| 운영 주체 | 대한민국 |
| 운용 기관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
| 임무 | 한반도 주변 해양 관측 |
| 위성 정보 | |
| 위성 이름 | 천리안 |
| 발사체 | 아리안 5 |
| 발사 장소 |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우주 센터 |
| 발사일 | 2010년 6월 27일 |
| 무게 | 2,500 kg |
| 전력 | 1.4 kW |
| 궤도 정보 | |
| 궤도 | 정지 궤도 |
| 위치 | 동경 128.2도 |
| 센서 | |
| 주요 센서 | 정지궤도 해양칼라영상기 (GOCI) |
| 해상도 | 500m |
| 밴드 수 | 8개 |
| 활용 | |
| 활용 분야 | 어업 자원 관리 해양 환경 모니터링 해양 재해 감시 |
| 자료 배포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
2. 비전 및 목표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은 한반도 주변 해양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유용한 해양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단기 생물리학적 현상 감지, 감시 및 예측
- 생지화학적 변수 및 순환 연구
- 상당한 규모의 유해 또는 독성 조류 대발생 감지, 감시 및 예측
- 해양 생태계 건강 모니터링
- 연안 구역 및 자원 관리
- 어업 공동체에 개선된 해양 어업 정보 제공
- 황사 및 토지 분류 정보 도출
2. 1. 한반도 주변 해양 감시
- '''한반도 주변 해양생태계 준실시간 모니터링''': 매일 8회 한반도 주변 해양에서 1시간 간격으로 생산되는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해양환경을 관측하고, 연안 및 주변 해양영토의 환경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 '''한반도 주변의 어장정보 생산 및 서비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서 생산할 수 있는 해류 벡터 및 해색 등 수산 관련 첨단 관측정보를 어민 등 관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 '''장단기 해양환경 및 기후변화 모니터링''': 천리안해양관측위성으로부터 얻어지는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반도 주변의 해양생태계를 모니터링한다.
- '''해양위성자료의 생산 및 서비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서 매일 주간 8회 생산하는 해양위성 관측자료를 주관운영기관인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직수신하여 각종 표준 위성자료를 생산, 저장, 관리, 배포 및 서비스한다.
- 단기 생물리학적 현상 감지, 감시 및 예측
- 생지화학적 변수 및 순환 연구
- 상당한 규모의 유해 또는 독성 조류 대발생 감지, 감시 및 예측
- 해양 생태계 건강 모니터링
- 연안 구역 및 자원 관리
- 어업 공동체에 개선된 해양 어업 정보 제공
- 황사 및 토지 분류 정보 도출
2. 2. 해양 정보 제공 및 활용
- '''한반도 주변 해양생태계 준실시간 모니터링''': 매일 8회 한반도 주변 해양에서 1시간 간격으로 생산되는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해양환경을 관측하고, 연안 및 주변 해양영토의 환경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 '''한반도 주변의 어장정보 생산 및 서비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서 생산할 수 있는 해류 벡터 및 해색 등 수산 관련 첨단 관측정보를 어민 등 관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 '''장단기 해양환경 및 기후변화 모니터링''': 천리안해양관측위성으로부터 얻어지는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반도 주변의 해양생태계를 모니터링한다.
- '''해양위성자료의 생산 및 서비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서 매일 주간 8회 생산하는 해양위성 관측자료를 주관운영기관인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직접 수신하여 각종 표준 위성자료를 생산, 저장, 관리, 배포 및 서비스한다.
- 단기 생물리학적 현상 감지, 감시 및 예측
- 생지화학적 변수 및 순환 연구
- 상당한 규모의 유해 또는 독성 조류 대발생 감지, 감시 및 예측
- 해양 생태계 건강 모니터링
- 연안 구역 및 자원 관리
- 어업 공동체에 개선된 해양 어업 정보 제공
- 황사 및 토지 분류 정보 도출
3. 기술 사양 (스펙)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은 CMOS 센서를 사용하며, 복사 보정은 태양 확산기와 DAMD(확산기 노후 감시 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공간 해상도는 500m이며, 8개의 밴드를 사용하여 관측한다. 각 밴드의 중심 파장, 대역폭, 신호 대 잡음비(SNR), 유형, 주요 활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 밴드 번호 | 중심 파장(nm) | 대역폭(nm) | SNR | 유형 | 주요 활용 분야 |
|---|---|---|---|---|---|
| 1 | 412 | 20 | 1,000 | 가시광선 | 황색 물질 및 탁도 |
| 2 | 443 | 20 | 1,090 | 가시광선 | 엽록소 흡수 최대값 |
| 3 | 490 | 20 | 1,170 | 가시광선 | 엽록소 및 기타 색소 |
| 4 | 555 | 20 | 1,070 | 가시광선 | 탁도, 부유 퇴적물 |
| 5 | 660 | 20 | 1,010 | 가시광선 | 탁한 물의 대기 보정, 형광 신호 기준선, 엽록소, 부유 퇴적물 |
| 6 | 680 | 10 | 870 | 가시광선 | 형광 신호 |
| 7 | 745 | 20 | 860 | 근적외선 | 대기 보정 및 형광 신호 기준선 |
| 8 | 865 | 40 | 750 | 근적외선 | 대기 보정, 식생, 해양의 수증기 참조 |
3. 1. 센서 및 관측 성능
| 항목 | 사양 |
|---|---|
| 센서 | CMOS (2D, 1415×1432 픽셀) |
| 복사 보정 | 태양 확산기 & DAMD(확산기 노후 감시 장치) |
| 공간 해상도 | 500m |
| 시야각 | 16 슬롯, 5,300×5,300 픽셀 |
| 관측 영역 | 2500km |
| 경도 | 128.2°E |
| 고도 | 35786km |
| 신호 대 잡음비 (SNR) | > 1,000 |
| 변조 전달 함수 (MTF) | > 0.3 |
| 밴드 수 | 8개 (가시광선 6개, 근적외선 2개) |
| 스펙트럼 영역 | 400~900 nm |
3. 2. 관측 밴드
| 밴드(#) | 중심파장(nm) | 파장대역폭(nm) | 해상도(m2) | 용도 |
|---|---|---|---|---|
| 1 | 412 | 20 | 500 | 황색물질 및 탁도 관측 |
| 2 | 443 | 20 | 500 | 클로로필 흡광 최대치 관측 |
| 3 | 490 | 20 | 500 | 클로로필 및 기타 색소 관측 |
| 4 | 555 | 20 | 500 | 탁도 및 부유물질 관측 |
| 5 | 660 | 20 | 500 | 형광신호, 클로로필, 부유물질 등 관측 |
| 6 | 680 | 10 | 500 | 대기보정 및 형광신호 관측 |
| 7 | 745 | 20 | 500 | 대기보정 및 형광신호 산출 |
| 8 | 865 | 40 | 500 | 에어로졸의 광학적 두께, 식생지수, 해상의 수증기량 계산 |
4. 활용 분야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단기 생물리학적 현상 감지, 감시 및 예측
- 생지화학적 변수 및 순환 연구
- 상당한 규모의 유해 또는 독성 조류 대발생 감지, 감시 및 예측
- 해양 생태계 건강 모니터링
- 연안 구역 및 자원 관리
- 어업 공동체에 개선된 해양 어업 정보 제공[1]
- 황사 및 토지 분류 정보 도출[1]
4. 1. 해양 환경 및 기후 변화 연구
- '''한반도 주변 해양생태계 준실시간 모니터링:''' 매일 8회 한반도 주변 해양에서 1시간 간격으로 생산되는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해양환경을 관측하고, 연안 및 주변 해양영토의 환경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 '''한반도 주변의 어장정보 생산 및 서비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서 생산할 수 있는 해류 벡터 및 해색 등 수산관련 첨단 관측정보를 어민 등 관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 '''장단기 해양환경 및 기후변화 모니터링:''' 천리안해양관측위성으로부터 얻어지는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반도 주변의 해양생태계를 모니터링한다.
- '''해양위성자료의 생산 및 서비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서 매일 주간 8회 생산하는 해양위성 관측자료를 주관운영기관인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직수신하여 각종 표준 위성자료를 생산, 저장, 관리, 배포 및 서비스한다.
- 단기 생물리학적 현상 감지, 감시 및 예측
- 생지화학적 변수 및 순환 연구
- 상당한 규모의 유해 또는 독성 조류 대발생 감지, 감시 및 예측
- 해양 생태계 건강 모니터링
- 연안 구역 및 자원 관리
- 어업 공동체에 개선된 해양 어업 정보 제공
- 황사 및 토지 분류 정보 도출
4. 2. 수산업 지원
- 한반도 주변 해양생태계 준실시간 모니터링: 매일 8회 한반도 주변 해양에서 1시간 간격으로 생산되는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해양환경을 관측하고, 연안 및 주변 해양영토의 환경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 한반도 주변의 어장정보 생산 및 서비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서 생산할 수 있는 해류 벡터 및 해색 등 수산 관련 첨단 관측 정보를 어민 등 관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 장단기 해양환경 및 기후변화 모니터링: 천리안해양관측위성으로부터 얻어지는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반도 주변의 해양생태계를 모니터링한다.
- 어업 공동체에 개선된 해양 어업 정보 제공
4. 3. 해양 재해 예측 및 대응
- '''한반도 주변 해양생태계 준실시간 모니터링''': 매일 8회 한반도 주변 해양에서 1시간 간격으로 생산되는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해양환경을 관측하고, 연안 및 주변 해양영토의 환경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 '''한반도 주변의 어장정보 생산 및 서비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서 생산할 수 있는 해류 벡터 및 해색 등 수산 관련 첨단 관측정보를 어민 등 관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 '''장단기 해양환경 및 기후변화 모니터링''': 천리안해양관측위성으로부터 얻어지는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반도 주변의 해양생태계를 모니터링한다.
- '''해양위성자료의 생산 및 서비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서 매일 주간 8회 생산하는 해양위성 관측자료를 주관운영기관인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직수신하여 각종 표준 위성자료를 생산, 저장, 관리, 배포 및 서비스한다.
- 단기 생물리학적 현상 감지, 감시 및 예측
- 생지화학적 변수 및 순환 연구
- 상당한 규모의 유해 또는 독성 조류 대발생 감지, 감시 및 예측
- 해양 생태계 건강 모니터링
- 연안 구역 및 자원 관리
- 어업 공동체에 개선된 해양 어업 정보 제공
- 황사 및 토지 분류 정보 도출
4. 4. 기타 활용
- 한반도 주변 해양생태계를 준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매일 8회 한반도 주변 해양에서 1시간 간격으로 관측 자료를 생산하여 해양환경을 관측하고, 연안 및 주변 해양영토의 환경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 한반도 주변의 어장정보를 생산 및 서비스한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서 생산할 수 있는 해류 벡터 및 해색 등 수산 관련 첨단 관측정보를 어민 등 관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 장단기 해양환경 및 기후변화를 모니터링한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으로부터 얻어지는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반도 주변의 해양생태계를 모니터링한다.
- 해양위성자료를 생산 및 서비스한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서 매일 주간 8회 생산하는 해양위성 관측자료를 주관운영기관인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직수신하여 각종 표준 위성자료를 생산, 저장, 관리, 배포 및 서비스한다.
- 단기 생물리학적 현상을 감지, 감시 및 예측한다.
- 생지화학적 변수 및 순환을 연구한다.
- 상당한 규모의 유해 또는 독성 조류 대발생을 감지, 감시 및 예측한다.
- 해양 생태계 건강을 모니터링한다.
- 연안 구역 및 자원을 관리한다.
- 어업 공동체에 개선된 해양 어업 정보를 제공한다.
- 황사 및 토지 분류 정보를 도출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