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GOE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OES(Geostationary Oper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는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에서 운영하는 정지 궤도 환경 위성으로, 기상 관측, 우주 환경 감시, 데이터 수집 및 중계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1975년 GOES-1 발사를 시작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발전해 왔으며, 현재는 GOES-16, GOES-18 등을 포함한 4세대 GOES-R 시리즈가 운영 중이다. GOES 위성은 35,790km 상공에서 미국 본토, 태평양, 대서양,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캐나다 남부 지역의 기상 현상 및 우주 환경을 관측하며, 이미저, 사운더, 우주 환경 감시 장비 등의 탑재체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기상 예보, 우주 환경 감시, 수치 예보 모델 개발 등에 활용되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기상 및 환경 감시에 기여한다.

2. 역사

GOES 위성 프로그램은 미국의 정지궤도 기상 관측 시스템으로, 그 역사는 1970년대 초 동기 기상 위성(SMS)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다. SMS-1과 SMS-2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1975년 GOES-1이 발사되었고, 이후 GOES-2(1977년), GOES-3(1978년)가 이어졌다. 이 초기 위성들은 SMS와 동일하게 필코-포드에서 제작한 스핀 안정화 방식을 사용했다.

1980년대에는 휴즈 항공기가 제작한 1세대 GOES 위성(GOES-4 ~ GOES-7)이 운영되었다. 스핀 안정 방식은 유지되었으나, 고도별 온도와 습도 측정이 가능한 VAS 장비를 탑재하여 관측 기능이 개선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에는 위성 고장 및 발사 실패 등 운영상의 어려움도 있었다.

1994년부터는 스페이스 시스템즈/로랄에서 제작한 2세대 GOES 위성(GOES-8 ~ GOES-12)이 도입되며 중요한 기술적 전환점을 맞았다. 위성 자세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삼축 자세 제어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영상 관측 장비(이미저)와 대기 연직 구조 관측 장비(사운더)를 분리하여 탑재함으로써 관측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였다.

2006년부터 발사된 3세대 GOES 위성(GOES-13 ~ GOES-15)은 보잉에서 제작했다. 이전 세대의 설계를 기반으로 태양 활동 관측 장비(SXI)를 기본 탑재하고 전력 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성능을 향상시켰다.

현재 운영 중인 4세대 위성, 즉 GOES-R 시리즈(GOES-16 ~ GOES-19)는 2016년부터 발사되었다. 록히드 마틴이 록히드 마틴 A2100 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제작했으며, ABI(Advanced Baseline Imager), GLM(Geostationary Lightning Mapper) 등 혁신적인 고성능 관측 장비를 탑재하여 관측 속도, 해상도, 채널 수 등 모든 면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GOES-R 시리즈는 2036년까지 미국의 핵심 정지궤도 기상 위성 시스템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2. 1. 초기 역사 (SMS 위성 포함)

GOES 위성 프로그램의 시작은 동기 기상 위성(SMS)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첫 GOES 위성이 발사되기 전에 두 대의 SMS 위성이 먼저 발사되었는데, SMS-1은 1974년 5월에, SMS-2는 1975년 2월에 각각 발사되었다. SMS 위성은 회전 안정화 방식으로 설계되었으며, 가시광선 및 적외선 스핀 스캔 방사계(VISSR)를 탑재하여 기상 영상을 제공했다.

최초의 GOES 위성인 GOES-1은 1975년 10월 16일에 발사되었다. 이후 약 1년 간격으로 GOES-2가 1977년 6월 16일에, GOES-3가 1978년 6월 16일에 발사되었다. 이 초기 GOES 위성 3기는 SMS 위성을 위해 개발되었던 필코-포드사의 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SMS 기반의 초기 위성 3기 이후, 휴즈 항공기(Hughes)에서 5대의 위성을 추가로 조달하여 1세대 GOES 위성 시리즈를 구성했다. 이 중 4대는 성공적으로 궤도에 도달했지만, GOES-G 위성은 발사 실패로 소실되었다.

2. 2. 1세대 GOES 위성 (GOES-4 ~ GOES-7)

초기 3대의 동기 기상 위성(SMS) 및 필코-포드 버스를 사용한 GOES 위성에 이어, 휴즈 항공기(Hughes)에서 5대의 위성을 조달하여 1세대 GOES 위성 시대를 열었다. 이 중 4대가 성공적으로 궤도에 도달했으며, GOES-G는 발사 실패로 손실되었다.

GOES-4부터 GOES-7까지의 1세대 위성은 스핀 안정 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미국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한 일본의 해바라기(GMS-1부터 5호)와 외관상 유사점을 보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시리즈부터는 VAS(가시광선 적외선 스핀 스캔 방사계, Visible Infrared Spin Scan Radiometer (VISSR) Atmospheric Sounder)를 탑재하여 고도별 온도 및 습도 측정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사운더가 이미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두 기능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방식이었다.

1세대 위성의 운영은 순탄치만은 않았다. GOES-4는 비교적 순조롭게 관측 임무를 시작했지만, 1981년에 발사된 GOES-5는 운용 초기부터 VAS 장비 문제로 관측 이미지에 장애가 발생했다. 이는 스캔 시작 위치를 특정하는 램프 필라멘트의 열화 때문으로 밝혀졌으며, 결국 이미지 시작점 동기 신호 추출이 불가능해져 1984년 6월 29일에 관측 임무를 중단했다.

설상가상으로 GOES-6가 될 예정이었던 GOES-G가 1986년 발사 과정에서 실패하면서, GOES 시스템은 대서양과 태평양 양쪽을 동시에 관측하는 데 차질을 빚게 되었다. 부족한 위성 자원으로 인해 기존 위성을 이동시키는 등 불안정한 운영을 할 수밖에 없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차세대 위성인 GOES-8 이후 모델의 이미저 개발이 지연되면서 문제가 더욱 심화되었다. 수명이 다해가던 GOES-4와 GOES-6가 잇따라 고장났고, 결국 1991년에는 유럽의 기상 위성 METEOSAT-3를 임대하여 대서양 지역(서경 50도) 관측을 맡기고, GOES-7을 태평양 지역(서경 83도)에 배치하여 간신히 관측 공백을 메울 수 있었다. 이러한 임시방편은 GOES-8이 성공적으로 운용을 시작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GOES-8의 배치 이후에야 다시 대서양과 태평양 동시 관측이 가능해졌다(GOES-9 운용 개시 전까지).

GOES-7은 1996년 1월 기상 관측 임무를 종료한 후, 통신 위성인 Peacesat으로 용도가 변경되어 활용되다가 2012년 4월 최종적으로 궤도를 이탈하며 임무를 마쳤다.[79]

1세대 GOES 위성 목록
설계명위성명발사일 (UTC)발사체발사장운영 위치 (서경)상태퇴역일비고
GOES-DGOES 41980년 9월 9일, 22:57델타 3914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발사단지 17A135°퇴역1988년 11월 22일[74]
GOES-EGOES 51981년 5월 22일, 22:29델타 3914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발사단지 17A75°퇴역1990년 7월 18일[75]VAS 고장 (1984년 6월 29일 관측 중단)
GOES-FGOES 61983년 4월 28일, 22:26델타 3914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발사단지 17A136°[76]퇴역1989년 1월 21일[76]
GOES-GN/A1986년 5월 3일, 22:18델타 3914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발사단지 17A135° (예정)실패발사 71초 후 파괴발사 실패[77]
GOES-HGOES 71987년 2월 26일, 23:05델타 3914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발사단지 17A75°, 112°, 105°, 95°퇴역1996년 1월[78]Peacesat으로 운용, 2012년 4월 궤도 이탈[79]


2. 3. 2세대 GOES 위성 (GOES-8 ~ GOES-12)

다음 5개의 GOES 위성(GOES-8부터 GOES-12)은 NASA와의 계약에 따라 스페이스 시스템즈/로랄에서 제작되었다. 이미저 및 사운더 장비는 ITT 항공우주/통신 부서에서 생산했다. 1세대 위성이 회전 안정화 방식을 사용한 것과 달리, 2세대 위성부터는 삼축 자세 제어 방식을 채택하여 설계가 전면적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사운더를 이미저와 독립된 관측 장치로 탑재하여 관측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GOES-8과 -9는 3년 동안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GOES-10, -11, -12는 5년의 예상 수명을 가졌다. 특히 GOES-11과 -12는 예상 수명보다 오래 생존할 경우를 대비하여 10년 동안 작동할 수 있는 연료를 충분히 탑재하여 발사되었다.

  • GOES-8: 1994년 4월 13일에 발사된 2세대 시리즈의 첫 번째 위성이다. 대서양 측의 서경 75도에 정지하여 관측을 시작했으며, 허리케인 앤드루와 같은 대형 열대 저기압 관측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설계 수명 3년을 넘겨 운용되다가 2003년 1월, GOES-12로 교체되었다. 이후 동경 165도로 이동되었고, 2004년 5월 4일에 궤도를 이탈하여 모든 운용을 종료했다.[80]

  • GOES-9: 1995년 5월 23일에 발사된 삼축 자세 제어 방식의 2호기이다. 관측 기능은 GOES-8과 거의 동일했으나, 운용 초기 이미저의 가시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일출 및 일몰 전후에 노이즈가 심했다. 이후 자세 제어를 위한 두 개의 모멘텀 휠 중 하나가 고장 나면서, 1997년에 발사된 GOES-10으로 교체되고 예비 위성으로 전환되었다.

1999년 H-II 로켓 8호기 발사 실패로 일본의 차기 기상 위성 MTSAT 운용이 지연되자, 2002년경 노후화된 일본의 GMS-5(해바라기 5호)를 대체하기 위해 일본 기상청미국 해양대기청으로부터 GOES-9를 임차했다. GOES-9는 동경 155도로 이동하여 2003년 5월 하순부터 일본 및 서태평양 지역의 기상 관측을 시작했다. 일본 기상청은 이 기간 동안 GOES-9를 "'''퍼시픽 고즈'''"라고 불렀으나, "해바라기"만큼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다. NHK 기상 정보에서도 이 기간에는 "기상 위성 영상"으로 표현을 변경했다.

2005년 6월 하순, MTSAT-1R(해바라기 6호)의 본격 운용이 시작되면서 일본에서의 GOES-9 데이터 수신은 7월 중순에 중단되었다. 미국 해양대기청은 이후에도 독자적으로 관측을 계속하다가 태풍 시즌이 끝난 2005년 11월 19일에 일부 통신 기능을 제외한 관측을 중단했고, 2007년 6월 14일에 모든 기능을 정지시키고 운용을 종료했다.[81]

  • GOES-10: 1997년 4월 25일에 발사되었다. 처음에는 GOES-9의 백업 역할을 하며 태평양 측(서경 135도)에서 엘니뇨 등의 감시에 기여했다. 2006년 5월, 설계 수명 5년에 가까워지면서 GOES-11로 교체되었다. 이후 남아메리카 기후 감시 지원을 위해 서경 65도로 이동하여 하루 24회 남미 지역 관측 임무를 수행했다. 2009년 12월 1일에 궤도에서 이탈하며 운용을 종료했다.[82]

  • GOES-11: 2000년 5월 3일에 발사되었다. GOES-10을 대체하여 태평양 측(서경 135도) 관측 임무를 수행했다. 설계 수명 5년을 넘어 10년 이상 운용되었으며, 2011년 12월 16일에 퇴역하고 궤도에서 이탈했다.[83]

  • GOES-12: 2001년 7월 23일에 발사된 2세대 마지막 위성이다. 처음으로 SXI 이미저가 탑재되어 태양을 X선 파장대에서 직접 관측하며 태양 활동을 상시 감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2003년 10-11월의 대규모 태양 흑점 폭발(X28 플레어 관측) 직후 SXI 이미저 일부가 고장 났고, 2006년 9월에는 필터 제어계 장애로 이미저 관측이 불가능해졌다. 테스트 모드로 관측을 재개했으나 상태가 좋지 않아 2007년 4월 19일부터 SXI 이미저 관측은 완전히 중단되었다.

2007년 12월 4일, 자세 제어용 스러스터에서 추진제가 누출되어 자세 제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약 2주간 GOES-10이 임시로 대서양 측 관측을 대신 수행했다. 문제가 된 스러스터 밸브(LATVB)를 폐쇄하고 12월 17일부터 운용을 재개했지만, 추진제 공급 라인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2008년 12월 14일, 또다시 추진제 누출이 발생하여 예비 위성이던 GOES-13이 임시로 관측을 대신했다. GOES-12는 2009년 1월 5일에 관측을 재개했지만, 잦은 추진제 누출 문제로 인해 운용 계획이 변경되었다. 2010년 4월, 대서양 측 관측 임무를 GOES-13에게 넘겨주고, 5월 중순부터는 GOES-10이 수행하던 남아메리카 관측(서경 60도)을 맡았다. 최종적으로 2013년 8월 16일에 궤도를 이탈하며 운용을 종료했다.[66]

2세대 GOES 위성 발사 및 운영 요약
임무명위성명발사일시 (UTC)발사체발사장주요 운용 위치운용 시작일상태운용 종료일최종 상태
GOES-IGOES-81994년 4월 13일 06:04아틀라스 ICCAFS LC-36B서경 75°1994년 5월 9일퇴역2004년 5월 4일[80]묘지 궤도
GOES-JGOES-91995년 5월 23일 05:52아틀라스 ICCAFS LC-36B서경 135°, 동경 155°1995년 6월 19일퇴역2007년 6월 14일[81]묘지 궤도
GOES-KGOES-101997년 4월 25일 05:49아틀라스 ICCAFS LC-36B서경 135°, 서경 65°1997년 5월 13일퇴역2009년 12월 1일[82]묘지 궤도
GOES-LGOES-112000년 5월 3일 07:07아틀라스 IIACCAFS SLC-36A서경 135°2000년 5월 17일퇴역2011년 12월 16일[83]궤도 이탈
GOES-MGOES-122001년 7월 23일 07:23아틀라스 IIACCAFS SLC-36A서경 60°2001년 8월 17일운용 종료2013년 8월 16일[66]궤도 이탈 (남미 관측 종료)


2. 4. 3세대 GOES 위성 (GOES-13 ~ GOES-15)

4대의 3세대 GOES 위성을 개발하는 계약은 원래 휴즈 항공기 회사에 수여되었으며, 위성들은 2002년에서 2010년 사이에 델타 III 로켓으로 발사될 예정이었다. 휴즈가 보잉에 합병된 후 보잉이 개발 계약을 인수했으며, 델타 III 로켓이 퇴역함에 따라 발사는 델타 IV 로켓으로 변경되었다. 네 번째 위성인 GOES-Q에 대한 계약은 GOES-R 시리즈의 발사 시기와 겹친다는 이유로 2006년에 취소되어, 최종적으로 3대의 위성(GOES-N, O, P)만 제작 및 발사되었다.

3세대 위성(GOES-13, GOES-14, GOES-15)은 보잉이 개발하고 제조했으며, 기본 체계는 이전 세대인 GOES-8부터 GOES-12까지의 위성을 계승했다. 특히 GOES-12에서 처음 탑재되었던 태양 X선 영상 관측 장치(SXI 이미저)가 모든 3세대 위성에 탑재되었다. 전력 시스템도 크게 향상되어 최대 2kW급의 전력을 사용하며, 위성이 지구 그림자에 들어가는 식(eclipse) 현상 중에도 최대 72분간 운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터리 용량이 강화되었다. 설계 수명은 10년(운용 8년)이며, 예상 수명보다 더 오래 작동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충분한 추가 연료를 탑재하고 발사되었다.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 전체 길이: 8.4m (태양 전지 및 본체 포함)
  • 높이: 9.1m (본체, 자력계 붐 끝)
  • 깊이: 2.9m
  • 질량: 3.2ton (발사 시), 1.6ton (최종 시)
  • 설계 수명: 10년 (운용 8년)
  • 전력: 2kW (운용 시), 1.95kW (최대 72분 위성 식 배터리 운용)
  • 관측 장치:
  • * 광학 관측 장치 (이미저)
  • * 특정 파장 대별 관측 (사운더)
  • * 태양 X선 영상 관측 장치 (SXI 이미저)
  • * 자력계
  • * X선 관측 장치
  • * 고에너지 계측 장치
  • * 하전 입자 관측 장치
  • * 프로톤 · α선 관측 장치


GOES-15 위성

  • GOES-13 (GOES-N): 2006년 3월 24일 발사되어[84] 처음에는 궤도 백업 위성으로 대기했다. 2010년 4월, GOES-12가 추진제 누출 문제로 남아메리카 지역 관측으로 이동하면서 GOES-13이 GOES-East 임무를 맡아 대서양 지역 관측을 시작했다. 이후 SXI 이미저에 태양 플레어로 인한 장애가 발생하여 태양 표면 정규 관측은 중단되었으나, 비정상 관측은 수행되었다. 2017년 12월, GOES-16(GOES-R)이 운용을 시작하면서 GOES-13은 서경 60도로 이동하여 백업 위성 역할을 했다. 이후 인도양 상공의 기상 관측 공백을 메우기 위해, 2019년 7월부터 인도양으로 이동하여 2020년 2월 중순부터 동경 61.5도에서 관측을 시작했다.[63] 이 과정에서 위성 소관이 NOAA에서 미국 우주군으로 이전(NOAA와 합동 운영)되었고, 명칭도 EWS-G1(Electro-optical Infrared Weather System Geostationaryeng)으로 변경되었다.[64] EWS-G1은 2023년 11월 GOES-15(EWS-G2)가 임무를 이어받을 때까지 운영되었으며, 이후 궤도에서 이탈했다.[84][65]

  • GOES-14 (GOES-O): 2009년 6월 27일 발사되었다.[85] 2010년 4월부터 우주 환경 관측 장비(SEM/SXI)를 이용한 관측을 시작한 것 외에는 대부분의 기간 동안 서경 105도에서 궤도상 예비 위성으로 대기 중이다.[85]

  • GOES-15 (GOES-P): 2010년 3월 4일 발사되어[86] 성능 시험 후 태평양 지역(GOES-West)에 배치되어 관측 임무를 수행했다. GOES-13(EWS-G1)의 연료 잔량 문제로 인해, 2023년 11월부터 인도양 상공 동경 61.5도로 이동하여 EWS-G2로서 임무를 이어받아 운영 중이다.[86]


3세대 GOES 위성 발사 기록
위성 원명위성명발사일 (UTC)발사체발사장최종 위치궤도 진입일상태비고
GOES-NGOES 13
(EWS-G1)
2006년 3월 24일, 22:11델타 IV-M+(4,2)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SLC-37B동경 61.5°2006년 6월 22일운용 종료인도양에서 EWS-G1으로 운용 후 궤도 이탈[84]
GOES-OGOES 142009년 6월 27일, 22:51델타 IV-M+(4,2)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SLC-37B서경 105°2009년 7월 27일대기궤도상 예비[85]
GOES-PGOES 15
(EWS-G2)
2010년 3월 4일, 23:57델타 IV-M+(4,2)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SLC-37B동경 61.5°2010년 4월 7일소관 이행
(운용 중)
인도양에서 EWS-G2로 운용 중[86]


2. 5. 4세대 GOES 위성 (GOES-16 ~ GOES-U)

4세대 위성인 GOES-R 시리즈는 록히드 마틴에서 록히드 마틴 A2100 위성 버스를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GOES-R 시리즈는 2036년까지 운영 GOES 위성 시스템의 가용성을 연장하기 위한 4개의 위성 프로그램(GOES-R, -S, -T, -U)이다. 첫 위성인 GOES-R은 2016년 11월 19일에 발사되어 궤도 진입 후 GOES-16으로 명명되었고, 2017년 12월 18일부터 GOES-East 임무를 수행 중이다.[54][88] 두 번째 위성인 GOES-S는 2018년 3월 1일에 발사되어 GOES-17로 명명되었으며, 2018년 12월 10일부터 운용을 시작했다.[55][90] 세 번째 위성 GOES-T는 2022년 3월 1일에 발사되어 GOES-18이 되었고, 2023년 1월 4일부터 GOES-West 임무를 수행 중이다.[91][92] 네 번째 위성 GOES-U는 2024년 6월 25일에 발사되어 GOES-19가 되었으며, 성능 시험 후 2025년 4월 운용 개시 예정이다.[93]

GOES-R 시리즈를 위해 초기에 제안된 기기 패키지는 다음과 같다:[34][35]

  • 고급 기준선 영상 장치(ABI, Advanced Baseline Imager)
  • 초분광 환경 센서(HES, Hyperspectral Environmental Suite)
  • 우주 환경 현장 센서(SEISS, Space Environment In-Situ Suite): 두 개의 자기권 입자 센서(MPS-HI 및 MPS-LO), 고에너지 중이온 센서, 태양 및 은하 양성자 센서 포함.
  • 태양 영상 장치: 태양 자외선 영상 장치(SUVI, Solar Ultra Violet Imager), 태양 X선 센서(XRS, Solar X-ray Sensor), 극자외선 센서(EUVS, Extreme Ultra Violet Sensor) 포함.
  • 정지 궤도 번개 매핑기(GLM, Geostationary Lightning Mapper)
  • 자력계(Magnetometer)


2006년 9월, 비용 문제로 HES는 계획에서 취소되었다. 같은 해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비용 초과 우려로 인해 GOES-R 위성의 계획 수를 4대에서 2대로 줄이고 납품 일정도 연기했다. 이 시리즈의 예상 비용은 당시 76.9억달러로, 이전 추정치 70억달러에서 6.7억달러 증가했다.[39] (결과적으로는 계획이 변경되어 4대의 위성이 모두 발사되었거나 발사 예정이다.)

위성 제작 및 자력계, SUVI, GLM 제조 계약은 록히드 마틴에 수여되었다. 이 계약 수주에 대해 입찰에서 탈락한 보잉이 이의를 제기했으나, 이후 기각되었다.[40] ABI 장비는 L3해리스에서, SEISS는 어슈어런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Assurance Technology Corporation)에서 납품했다.[41] XRS와 EUVS는 콜로라도 대학교의 대기 및 우주 물리학 연구소(LASP)에서 납품한 극자외선 및 X선 조도 센서(EXIS, Extreme ultraviolet and X-ray Irradiance Sensors)로 통합되었다.[42] 데이터 처리를 포함한 지상 시스템 계약은 L3해리스의 기상 시스템 부서가 주도하는 팀에 수여되었으며, 여기에는 보잉, 대기 및 환경 연구(AER), Honeywell, Carr Astronautics, Wyle Laboratories, Ares 등이 하청업체로 참여했다.[43]

GOES-17


4세대 위성은 이전 GOES 시리즈와 비교하여 관측 장비가 대폭 개선되었고, 위성 크기가 커졌으며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주요 탑재 장비 및 특징

  • ABI (Advanced Baseline Imager, 첨단 기본 영상 장치): 이전 세대 GOES 위성의 이미저(구름 등 수평 분포 관측)와 사운더(온도, 습도 등 연직 분포 관측) 기능을 통합하고 발전시킨 장비이다.
  • 관측 성능 향상: 전 지구 관측 시간을 기존 24분에서 5분으로 단축했으며(모드에 따라 10분 또는 15분), 미국 본토 지역 관측은 30분/회에서 5분/회로 단축되었다. 또한 특정 목표 지역(MESO-1, MESO-2)을 30초 간격으로 고빈도 관측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56][59][60]
  • 채널 및 해상도: 파장대는 기존 5개 채널(적외선 4, 가시광선 1)에서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포함한 16개 채널[58]로 늘어났고, 해상도는 최대 4배(가로, 세로 각각 2배) 향상되었다. 이는 일본의 히마와리 8/9호 위성에 탑재된 AHI(Advanced Himawari Imager)와 유사하며, AHI는 ABI의 파장 대역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결과적으로 ABI보다 먼저 운용을 시작했다.
  • GOES-17 ABI 문제: GOES-17의 ABI는 냉각 시스템 문제로 인해 특정 조건(태양광 입사각)에서 일부 채널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가 확인되었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관측과 다른 냉각 시간을 포함한 특별 관측 스케줄이 운영되었으며,[57] 2023년 봄 GOES-18로 교체된 후 예비 위성으로 대기 중이다.[61]


밴드 No파장대
(μm)
파장의 명칭파장의 종류
10.47청색가시광선
20.64적색가시광선
30.86식생대근적외선
41.37상층운계근적외선
51.6설빙역근적외선
62.2운립근적외선
73.9근적외선 윈도우근적외선
86.2대류권 상층 수증기적외선
96.9대류권 중층 수증기적외선
107.3대류권 하층 수증기적외선
118.4운정면적외선
129.6오존적외선
1310.3적외선 (장파장 윈도우)적외선
1411.2적외선 (장파장 윈도우)적외선
1512.3적외선 (장파장 윈도우)적외선
1613.3CO2적외선


  • GLM (Geostationary Lightning Mapper, 정지 궤도 번개 매퍼): 정지궤도에서 번개를 지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전에는 일부 극궤도 위성에만 번개 관측 시스템이 탑재되었다.
  • SUVI (Solar Ultra Violet Imager, 태양 자외선 영상 장치): 태양을 자외선 파장대에서 관측한다.
  • EXIS (Extreme Ultra Violet / X-Ray Irradiance Sensor, 극자외선/X선 방사선 센서): 태양의 극자외선 및 X선 방사량을 측정한다.
  • SEISS (Space Environmental In-Situ Suite, 우주 환경 현장 측정 장치): 이전 세대 위성의 우주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확장하여, X선 단파장 측정을 포함한 다양한 우주 환경 데이터를 수집한다.

정지 위치 변경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GOES-West 위성의 정지 위치가 GOES-S(GOES-17)부터 서경 135도에서 서경 137.2도로 변경되었다. 이는 GOES-R 시리즈가 사용하는 전파 주파수가 인접 위성 및 기존 GOES-N 시리즈와의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국제 기구와의 조정을 통해 결정되었다. GOES-18은 서경 137도에 위치한다.
GRB (GOES Rebroadcast, GOES 재방송)관측 채널 증가로 데이터양이 늘어남에 따라, 위성을 통해 전송되는 관측 영상 데이터의 전송 방식(GRB)이 변경되었다. 기존 GVAR 방식의 전송 속도는 2.1Mbps였으나, GRB는 최대 17.2Mbps로 대폭 향상되었다. 기존 GVAR 수신 장비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의 불편을 줄이고 원활한 전환을 위해, GRB 데이터 중 일부 채널을 추출하여 기존 GVAR과 유사한 형태로 제공하는 EGVAR(Emulated GVAR) 서비스도 제공된다. EGVAR는 기존 GVAR 수신 설비와 호환되지만, 일부 수정이 필요할 수 있다.
제원

  • 최대 치수: 길이 6.1m, 높이 5.6m, 깊이 3.9m
  • 질량:
  • 발사 직후 (궤도상 초기): 5192kg (GOES-16/17 기준)
  • 궤도상 말기: 2857kg (GOES-16/17 기준)
  • 설계 수명: 약 15년
  • 전력: 최대 4,000W

운용 현황 및 기여GOES-16은 GOES-East 위치(서경 75°)에서 운용되며, 고빈도 관측 능력을 통해 허리케인 등 열대 저기압 및 악천후 감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GOES-18은 GOES-West 위치(서경 137°)에서 운용 중이다. GOES-17은 ABI 냉각 문제로 인해 GOES-18로 교체된 후 현재 궤도 예비 위성으로 대기하고 있다. GOES-19는 발사 후 성능 시험 중이며, 2025년 4월 운용 개시 예정이다.

4세대 GOES 위성 발사 및 운용 현황
위성 명칭 (발사 전)위성 명칭 (궤도상)발사일발사체발사장목표 경도운용 시작일상태비고
GOES-RGOES-16[87]2016년 11월 19일아틀라스 V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서경 75°2017년 12월 18일운용 중GOES-East[88]
GOES-SGOES-17[89]2018년 3월 1일아틀라스 V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서경 137.2°2018년 12월 10일대기궤도 예비 위성 (ABI 냉각 문제 발생)[90]
GOES-TGOES-18[91]2022년 3월 1일아틀라스 V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서경 137°2023년 1월 4일운용 중GOES-West[92]
GOES-UGOES-192024년 6월 25일팰컨 헤비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서경 89.5° (시험 위치)(2025년 4월 예정)성능 시험 중2025년 4월 운용 개시 예정[93]


3. 위성 목록 및 운영 현황

GOES 위성은 발사 전에는 알파벳 문자(A, B, C 등)로 지정되고, 성공적으로 궤도에 진입하면 숫자(1, 2, 3 등)로 재지정된다. 예를 들어, GOES-A부터 GOES-F까지는 GOES-1부터 GOES-6이 되었다. 발사에 실패한 GOES-G는 숫자를 부여받지 못했다. GOES-H부터 GOES-R은 GOES-7부터 GOES-16이 되었으며, 제작되지 않은 GOES-Q는 건너뛰었다.

운용 중인 위성은 관측 지역에 따라 GOES-East, GOES-West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이 명칭은 위성의 숫자 지정보다 더 자주 사용된다. 현재 GOES-East는 GOES-16이, GOES-West는 GOES-18이 담당하고 있다. 과거에는 남아메리카 전담 관측을 위한 GOES-South 위치도 있었으나, GOES-R 시리즈의 성능 향상으로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미국 우주군으로 이관되어 인도양 지역을 관측하는 위성은 EWS-G(Electro-optical Infrared Weather System Geostationary)로 명명된다.

'''현재 운영 현황'''

현재 운용 중이거나 대기 상태인 주요 GOES 위성은 다음과 같다.

운영 위치
상태경도위성
GOES-East서경 75.2°GOES-16
GOES-West서경 137.0°GOES-18
인도양 (EWS-G2)동경 61.5°GOES-15 (미국 우주군 이관)
대기/예비서경 105°GOES-14
대기/예비서경 137.2°GOES-17
성능 시험서경 89.5°GOES-19 (GOES-U)


  • GOES-16: 2016년 11월 19일 발사 (발사 전 GOES-R). 2017년 12월 18일부터 서경 75.2°에서 GOES-East 임무를 수행 중이다.[50][88]
  • GOES-18: 2022년 3월 1일 발사 (발사 전 GOES-T). GOES-17의 ABI 냉각 시스템 문제[57]를 해결하기 위해 배치되었으며, 2023년 1월 3일부터 서경 137.0°에서 GOES-West 임무를 수행 중이다.[45][92]
  • GOES-15: 2010년 3월 4일 발사 (발사 전 GOES-P). 2011년부터 2018년까지 GOES-West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후 대기 상태를 거쳐 미국 우주군으로 이관되었다. EWS-G2로 명명되어 2023년 11월부터 동경 61.5°에서 인도양 지역을 관측하고 있다.[49][86] 이는 EWS-G1(GOES 13)의 임무를 승계한 것이다.
  • GOES-14: 2009년 6월 27일 발사 (발사 전 GOES-O). 현재 서경 105°에서 궤도상 예비 위성으로 대기 중이다.[15][85] 다른 위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 GOES-17: 2018년 3월 1일 발사 (발사 전 GOES-S). 2019년 2월부터 GOES-West 임무를 수행했으나, 주 탑재 센서인 ABI의 냉각 시스템 문제로 인해 2023년 1월 GOES-18로 교체되었다. 현재 서경 137.2°에서 대기 상태이다.[52][90]
  • GOES-19: 2024년 6월 25일 발사 (발사 전 GOES-U). 현재 성능 시험 중이며, 시험 완료 후 2025년 4월경 GOES-East 임무를 맡을 예정이다.[53][93]


'''주요 퇴역 및 용도 변경 위성'''

여러 GOES 위성들이 임무를 마치고 퇴역했거나 다른 용도로 변경되었다.

  • GOES-3: 1978년 발사. 기상 임무 종료 후 1989년부터 2016년 퇴역 시까지 아문센-스콧 남극 기지와의 통신 중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5][73]
  • GOES-8: 1994년 발사. GOES-East 임무를 수행했으나 2003년 추진 시스템 고장으로 퇴역하여 2004년 비활성화되었다.[26][27][80]
  • GOES-9: 1995년 발사. 자세 제어 문제로 예비 위성이 된 후, 일본 기상청의 MTSAT 발사 지연으로 인해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일본에 임대되어 "퍼시픽 고즈"라는 애칭으로 서태평양 지역 관측 임무를 수행했다. 2007년 최종 퇴역했다.[81]
  • GOES-10: 1997년 발사. GOES-West 임무 후 GOES-South 임무를 수행하다 2009년 연료 고갈로 묘지 궤도로 이동하며 퇴역했다.[28][47][82]
  • GOES-12: 2001년 발사. SXI 이미저의 고장 및 추진제 누출 문제를 겪었으며, 이후 남아메리카 지역 관측 임무를 수행하다 2013년 퇴역했다.[29][48][66]
  • GOES-13: 2006년 발사 (발사 전 GOES-N). GOES-East 임무를 수행하다 GOES-16으로 대체된 후, 미국 우주군으로 이관되어 EWS-G1으로 명명되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동경 61.5°에서 인도양 지역을 관측했으며, GOES-15(EWS-G2)에게 임무를 인계하고 퇴역했다.[63][64][84]


'''위성 목록'''

다음은 역대 GOES 위성의 목록이다. 날짜는 모두 협정 세계시(UTC) 기준이다.

발사 시 명칭운용 시 명칭발사일시 (UTC)로켓발사장최종/현재 경도첫 관측일상태퇴역일비고
GOES-AGOES 11975년 10월 16일, 22:40델타 2914CCAFS LC-17A1975년 10월 25일퇴역1985년 3월 7일[71]
GOES-BGOES 21977년 6월 16일, 10:51델타 2914CCAFS LC-17B서경 60°퇴역1993년[72]1995년 통신 위성(Peacesat) 복귀, 2001년 5월 최종 정지[72]
GOES-CGOES 31978년 6월 16일, 10:49델타 2914CCAFS LC-17B서경 90°퇴역1993년[73]1995년 통신 위성 복귀, 2016년 6월 29일 최종 퇴역[25][73]
GOES-DGOES 41980년 9월 9일, 22:57델타 3914CCAFS LC-17A서경 135°퇴역1988년 11월 22일[74]
GOES-EGOES 51981년 5월 22일, 22:29델타 3914CCAFS LC-17A서경 75°퇴역1990년 7월 18일[75]
GOES-FGOES 61983년 4월 28일, 22:26델타 3914CCAFS LC-17A서경 136°[76]퇴역1989년 1월 21일[76]
GOES-GN/A1986년 5월 3일, 22:18델타 3914CCAFS LC-17A(서경 135° 예정)N/A발사 실패발사 71초 후 파괴[77]
GOES-HGOES 71987년 2월 26일, 23:05델타 3914CCAFS LC-17A서경 95°퇴역1996년 1월[78]Peacesat으로 운용, 2012년 4월 궤도 이탈[46][79]
GOES-IGOES 81994년 4월 13일, 06:04아틀라스 ICCAFS LC-36B서경 75°1994년 5월 9일퇴역2004년 5월 4일[80]묘지 궤도[27]
GOES-JGOES 91995년 5월 23일, 05:52아틀라스 ICCAFS LC-36B동경 155°1995년 6월 19일퇴역2007년 6월 14일[81]일본 기상청 임대(2003-2005), 묘지 궤도
GOES-KGOES 101997년 4월 25일, 05:49아틀라스 ICCAFS LC-36B서경 65°1997년 5월 13일퇴역2009년 12월 1일[82]묘지 궤도[28][47]
GOES-LGOES 112000년 5월 3일, 07:07아틀라스 IIACCAFS SLC-36A서경 135°2000년 5월 17일퇴역2011년 12월 16일[83]궤도 이탈
GOES-MGOES 122001년 7월 23일, 07:23아틀라스 IIACCAFS SLC-36A서경 60°2001년 8월 17일퇴역2013년 8월 16일[66]남미 관측 후 궤도 이탈[29][48]
GOES-NGOES 13 (EWS-G1)2006년 5월 24일, 22:11델타 IV-M+(4,2)CCAFS SLC-37B동경 61.5°2006년 6월 22일퇴역2023년 10월 31일[84]미 우주군 이관, 인도양 관측 후 궤도 이탈
GOES-OGOES-142009년 6월 27일, 22:51델타 IV-M+(4,2)CCAFS SLC-37B서경 105°2009년 7월 27일대기궤도상 예비[15][85]
GOES-PGOES-15 (EWS-G2)2010년 3월 4일, 23:57델타 IV-M+(4,2)CCAFS SLC-37B동경 61.5°2010년 4월 7일운용 중 (USSF)미 우주군 이관, 인도양 관측[49][86]
GOES-RGOES-16[87]2016년 11월 19일, 23:42아틀라스 V 541CCSFS SLC-41서경 75.2°2017년 12월 18일[50]운용 중GOES-East[23][88]
GOES-SGOES-17[89]2018년 3월 1일, 22:02아틀라스 V 541CCSFS SLC-41서경 137.2°2018년 12월 10일[52]대기궤도상 예비[24][90]
GOES-TGOES-18[91]2022년 3월 1일, 21:38아틀라스 V 541CCSFS SLC-41서경 137.0°2023년 1월 3일[45]운용 중GOES-West[92]
GOES-UGOES-192024년 6월 25일, 21:26팰컨 헤비KSC LC-39A서경 89.5°2024년 9월 17일 (예정)성능 시험2025년 4월 운용 개시 예정[53][93]


4. 주요 목적 및 기능

GOES 위성은 지구 상공 약 35790km의 정지 궤도에서 운영되며, 미국 본토를 포함한 서반구의 기상 변화와 우주 환경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 위성 시스템은 기상 위성으로서 일기 예보, 특히 열대 저기압과 같은 위험 기상 현상의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태양 활동과 지구 주변 우주 환경 변화를 관측하여 우주 날씨 예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30][31] 수집된 데이터는 지상국을 통해 배포되어 기상 서비스 운영, 과학 연구, 수치 예보 모델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4. 1. 기상 관측 및 예보

GOES 위성은 지구 상공 35790km의 정지 궤도에서 작동하며, 미국 본토, 태평양과 대서양,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 그리고 캐나다 남부 지역을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위성은 3축 몸체 안정화 설계를 통해 센서가 항상 지구를 향하도록 유지하여, 구름 이미지를 더 자주 촬영하고 지구 표면 온도와 수증기 분포를 감시하며, 대기의 수직적인 온도 및 수증기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대기 현상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GOES 위성은 심각한 국지적 폭풍이나 열대 저기압과 같은 위험 기상 현상에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능력의 중요성은 1989년 허리케인 휴고와 1992년 허리케인 앤드루 발생 시 입증되었다.

GOES 위성은 기상 예보 서비스 개선뿐만 아니라, 대기 과학 연구, 수치 예보 모델 개발, 환경 센서 설계 및 개발에도 기여한다. 위성 데이터는 L 밴드를 통해 방송되며, 버지니아주 월롭스 섬[30]에 있는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명령 및 데이터 수신 지상국에서 받아 사용자들에게 배포된다. 또한, 일반 사용자도 소형 위성 안테나와 특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위성으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31]

위성 운영은 메릴랜드주 수트랜드에 위치한 위성 운영 제어 센터에서 담당하며, 심각한 기상 상황이나 다른 중요한 사건이 발생하면 미국 국립기상청(NWS) 등 관련 기관의 요청에 따라 일반적인 관측 일정을 변경하여 필요한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최신 세대 위성인 GOES-16은 대서양 지역 관측을 담당하며, 고빈도 관측 능력을 통해 열대 저기압(허리케인 포함) 및 전선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적란운과 관련된 악천후 감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4. 2. 우주 환경 감시

320px


GOES-12 이후 발사된 GOES 위성들은 태양 X선 이미저(SXI)와 우주 환경 모니터링(SEM) 장비를 탑재하여 우주 환경 감시 임무를 수행한다.

SXI는 우주 환경 서비스 센터(SESC)의 임무 수행을 돕기 위해 태양의 대규모 구조 변화를 자주 관측하는 장비이다. 다만, GOES-13에 탑재된 SXI 장비는 2006년 발생한 태양 플레어로 인해 손상을 입은 바 있다.

SEM은 지구 근처의 태양-지구 간 전자기 환경에 태양이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SESC에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GOES-14 위성부터 SEM과 SXI를 이용한 본격적인 관측이 시작되었다.

SESC는 미국의 '우주 날씨' 서비스 기관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태양-지구 관련 데이터를 받아 분석하고 감시한다. 또한 태양 플레어지자기 폭풍과 같은 주요 우주 기상 현상에 대한 보고서, 경고, 예측 정보를 발표한다. 이러한 정보는 군사 및 민간 분야의 무선 통신, 위성 통신 및 항법 시스템 운영에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전력망 운영, 지구물리학 탐사 활동, 국제 우주 정거장 우주 비행사의 안전, 고고도 항공기 운항 및 과학 연구 활동에도 필수적인 정보로 활용된다.

4. 3. 데이터 수집 및 중계

GOES 데이터 릴레이 패턴.


GOES 위성이 수집한 데이터는 L 밴드를 통해 지상으로 전송된다. 이 데이터는 버지니아 월롭스 섬([30])에 위치한 NOAA의 명령 및 데이터 획득 지상국에서 수신되어 필요한 사용자들에게 배포된다. 또한, 개인 사용자도 소형 위성 안테나와 특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위성으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31]

이렇게 수집된 위성 데이터는 기상 예보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대기과학 연구, 수치 예보 모델 개선, 환경 감지 센서의 설계 및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GOES 위성의 운영 및 제어는 메릴랜드주 수트랜드에 있는 위성 운영 제어 센터(SOCC)에서 담당한다. 특히, 허리케인과 같은 심각한 기상 현상이나 기타 중요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는 NWS 등 관련 기관의 요청에 따라 위성의 관측 일정을 조정하여 필요한 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5. 탑재 장비

GOES 위성의 핵심 임무는 탑재된 다양한 관측 장비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주요 장비로는 지구의 기상 현상을 관측하는 이미저와 대기의 수직 구조를 파악하는 사운더가 있다.[33] 이 두 장비는 GOES 위성의 주 임무를 수행하며, 기상 예보, 대기 과학 연구 등에 필수적인 데이터를 제공한다.

초기 GOES 위성(GOES-1~GOES-7)은 위성 자체를 회전시켜 자세를 안정시키는 '스핀 방식'을 사용했다. 이 위성들에는 가시광선 및 적외선 스핀 스캔 방사계(VISSR) 또는 이를 개선하여 대기 연직 구조 관측 기능을 추가한 VAS(VISSR Atmospheric Sounder)가 탑재되었다. 스핀 방식 위성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지만, 센서가 지구를 계속해서 바라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GOES-8부터 도입된 2세대 이후 위성들은 3축 자세 제어 방식을 채택하여 설계가 크게 변경되었다. 이 방식은 위성이 특정 방향을 계속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이미저와 사운더가 독립된 장비로 탑재되어 지구를 지속적으로 관측하며 더 정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특정 지역의 구름 변화나 수증기 이동 등을 더 자주, 상세하게 포착할 수 있게 되었다.

우주 환경 감시 역시 GOES 위성의 중요한 임무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GOES 위성에는 우주 환경 모니터(SEM) 세트가 탑재되어 태양 활동이 지구 근처의 전자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33] SEM은 자력계, X선 센서, 고에너지 양성자알파 입자 검출기, 그리고 기타 고에너지 입자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우주 날씨 예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GOES-12 이후 위성에는 태양 표면의 활동을 X선 파장으로 직접 촬영하는 태양 X선 이미저(SXI)가 추가되어 태양 활동 감시 능력이 향상되었다. GOES-N 시리즈(GOES-13~GOES-15) 우주선에는 태양을 특정 자외선 파장으로 관측하는 태양 지향 극자외선 센서도 추가되었다.

이 외에도 GOES 위성은 지상에 설치된 자동 기상 관측 장비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계하는 데이터 수집 시스템(DCS)[33] 역할을 수행하며, 조난 상황 발생 시 비상 위치 표시 무선 비콘(EPIRB) 등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수색 및 구조(SAR) 활동을 지원하는 중계기를 탑재하고 있다.

최신 세대인 GOES-R 시리즈 위성에는 이러한 기존 장비들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것은 물론, 번개 발생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정지 궤도 번개 매핑기(GLM)와 같은 새로운 첨단 장비들이 다수 탑재되어 관측 능력이 크게 확장되었다. (각 장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섹션 참조)

5. 1. 이미저 (Imager)

GOES 위성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주요 탑재체 기기인 이미저(Imager)에 의해 수행된다.[33] 이미저는 지구 표면과 대기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복사 에너지가시광선 반사된 태양 에너지를 감지하는 다중 채널 기기이다. 기상 예보 등에 사용되는 구름 영상은 이 장치를 통해 관측된다.

GOES-7까지의 위성은 위성 자체를 회전시켜야만 스캔이 가능했지만, GOES-8 이후 모델부터는 위성이 지구를 향해 이미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캔 미러를 조정하여 특정 지역만 집중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상자형 유닛(모듈) 설계 덕분이다.

일본의 기상위성인 MTSAT에 탑재된 이미저는 GOES의 이미저를 기본 모델로 삼고 있다. 다만, 관측하는 파장대에 차이가 있어, 과거 일본 기상청이 GMS에서 GOES-9[62](임시 운용)로 관측 시스템을 전환했을 때 파장대에 의존하는 일부 관측 및 통계 요소가 중단되기도 했다. 각 위성 시리즈별 이미저 제조사는 다음과 같다.

위성 시리즈이미저 제조사
GOES-8 ~ GOES-15ITT Corporation (현재 HARRIS)
MTSAT-1R레이시온
MTSAT-2ITT Corporation (현재 HARRIS)



참고로 발사에 실패했던 MTSAT-1과 MTSAT-2의 이미저는 ITT사 제품으로 GOES 시리즈와 거의 동일한 사양이었다. MTSAT-1R은 본래 MTSAT-3으로 계획되었던 위성으로, 적외선 영역의 분해능은 MTSAT-2보다 높았으나 무선 대역폭 제한으로 인해 성능이 조정되었다.[62]

5. 2. 사운더 (Sounder)

GOES 위성의 주요 탑재 기기 중 하나인 사운더(Sounder)는 대기의 수직 구조를 관측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수직 대기 온도 및 습도 프로파일, 지표면 및 구름 상단 온도, 그리고 오존 분포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는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운용하는 극궤도 위성 TIROS-N/NOAA 시리즈의 TOVS(TIROS Operational Vertical Sounder) 장비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5. 3. 우주 환경 감시 장비 (SEM)



SEM(Space Environment Monitoring)은 GOES 위성의 초기 모델부터 탑재되어 온 우주 환경 감시 장비 세트이다.[33] SEM의 주된 역할은 지구 근처 우주 공간에서 태양 활동이 지구의 전자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측정된 실시간 데이터는 미국 해양대기청(NOAA) 산하의 우주 환경 서비스 센터(SESC)로 보내져 분석된다. 이 정보는 전파 통신 장애 예측, 인공위성의 안정적인 운영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SEM 장비 세트는 주로 다음과 같은 기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 '''자력계''': 지구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한다.
  • '''X선 센서''': 태양 플레어 등 태양 활동 시 방출되는 강력한 X선의 양을 감지한다.
  • '''고에너지 양성자알파 입자 검출기''': 태양에서 날아오는 고에너지 입자인 양성자와 알파 입자를 탐지하여 그 양과 에너지 수준을 파악한다.
  • '''고에너지 입자 센서''': 그 외 다른 종류의 고에너지 하전 입자들을 관측한다.


GOES-N 시리즈(GOES-13부터 GOES-15) 위성에는 이러한 기본적인 SEM 장비 외에도, 태양의 극자외선(EUV) 방출을 직접 관측하는 센서가 추가로 탑재되었다.

또한 GOES-12 이후 위성에는 태양 X선 이미저(SXI)라는 별도의 장비도 탑재되었다. SXI는 태양 표면의 활동 모습을 X선 영상으로 직접 촬영하는 반면, SEM은 그 태양 활동이 지구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SEM을 통해 얻어지는 우주 환경 정보는 군사 및 민간 무선 통신, GPS와 같은 위성 항법 시스템, 지상의 전력망 안정성 확보, 국제 우주 정거장(ISS) 우주 비행사의 안전 관리 등 현대 사회의 여러 중요 기술 시스템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데 필수적이다.

5. 4. GOES-R 시리즈 탑재 장비



GOES-R 시리즈는 이전 GOES 위성들과 비교하여 관측 장비가 대폭 개선되었고, 위성의 크기가 커졌으며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시리즈는 록히드 마틴에서 제작하였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2016년 11월 19일에 GOES-R 위성(후에 GOES-16으로 명명)을 발사하여 2017년 12월 18일부터 대서양 지역을 담당하는 GOES-East로 운용을 시작했다.[54] 이어서 GOES-S 위성(GOES-17)을 2018년 3월 1일에 발사하여,[55] 2019년 3월 12일부터 서경 137.2도에서 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GOES-West로 운용하고 있다.

GOES-R 시리즈에 탑재된 주요 장비는 다음과 같다.

=== ABI (Advanced Baseline Imager, 첨단 기본 영상 장치) ===

ABI는 기존 GOES 위성(GOES 8~14)에 탑재되었던 이미저(구름 등의 수평 분포 관측)와 사운더(온도, 습도 등의 연직 분포 관측)의 기능을 통합하고 발전시킨 장비이다. ABI 덕분에 전 지구를 관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기존 24분에서 5분으로 크게 단축되었다. 또한, 관측할 수 있는 파장대의 종류(채널)도 기존 5개에서 16개로 대폭 늘어났으며, 해상도 역시 4배(가로, 세로 각각 2배) 향상되었다. 이는 일본의 히마와리 8/9호 위성에 탑재된 AHI(Advanced Himawari Imager)와 유사한 성능을 가진다.[58] AHI는 ABI의 기술을 기반으로 일부 수정하여 개발되었으나, 결과적으로 ABI보다 먼저 운용을 시작했다.

ABI는 관측 빈도도 크게 향상시켰다. 전 지구 관측은 3시간에 한 번에서 10분에 한 번으로, 미국 본토 지역 관측은 30분에 한 번에서 5분에 한 번으로 늘어났다. 또한, 특정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측하는 목표 관측(MESO-1, MESO-2) 기능이 추가되어 고빈도 관측이 가능해졌다.[56] 스캔 방식은 이전 GOES-N 시리즈와 비슷하지만, 한 번에 스캔할 수 있는 남북 방향의 범위가 넓어져 전 지구 관측 시간을 28분에서 15분으로 단축했다.[59][60]

하지만 GOES-17 위성에 탑재된 ABI는 냉각 시스템 문제로 인해, 특정 시간대(태양 빛이 센서에 직접 들어오는 봄, 가을철 야간)에 일부 파장대(근적외선, 수증기, 적외선) 영상에 노이즈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확인되었다.[57][61] 이 때문에 해당 기간에는 정상적인 관측 대신 냉각 시간을 확보하는 특별 관측 스케줄이 운영되었다. 2023년 봄부터는 GOES-18 위성이 GOES-17의 임무를 대신하고 있으며, GOES-17은 현재 예비 위성으로 대기 중이다.

ABI가 관측하는 16개 채널의 파장대 정보는 다음과 같다.

밴드 No파장대
(μm)
파장의 명칭파장의 종류
10.47청색가시광선
20.64적색가시광선
30.86식생대근적외선
41.37상층운계근적외선
51.6설빙역근적외선
62.2운립근적외선
73.9근적외선 윈도우근적외선
86.2대류권 상층 수증기적외선
96.9대류권 중층 수증기적외선
107.3대류권 하층 수증기적외선
118.4운정면적외선
129.6오존적외선
1310.3적외선 (장파장 윈도우)적외선
1411.2적외선 (장파장 윈도우)적외선
1512.3적외선 (장파장 윈도우)적외선
1613.3CO₂적외선



=== GLM (Geostationary Lightning Mapper, 정지 궤도 번개 매핑기) ===

정지 궤도 번개 매핑기(GLM)는 기존에 일부 극궤도 위성에만 탑재되었던 번개 관측 시스템을 정지궤도 위성에서도 가능하게 한 장비이다. 이를 통해 특정 지역의 번개 활동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었다.

=== SUVI (Solar Ultra Violet Imager, 태양 자외선 영상 장치) ===

태양을 자외선 파장으로 관측하는 장비이다.

=== EXIS (Extreme Ultra Violet / X-Ray Irradiance Sensor, 극자외선/X선 방사선 센서) ===

태양에서 방출되는 극자외선(EUV)과 X선의 강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 SEISS (Space Environmental In-Situ Suite, 우주 환경 현장 측정 장치) ===

SEISS는 위성이 위치한 우주 공간의 환경을 직접 측정하는 장비 모음이다. 기존 GOES-12 및 GOES-N 시리즈에 탑재되었던 우주 환경 모니터(SEM)의 기능을 확장하여, X선 단파장 영역까지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 제안 단계에서는 두 개의 자기권 입자 센서(MPS-HI, MPS-LO), 고에너지 중이온 센서, 태양 및 은하 양성자 센서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었다.[34][35]

=== 기타 장비 ===

초기 GOES-R 시리즈에는 초분광 환경 센서(HES, Hyperspectral Environmental Suite)도 탑재될 예정이었으나, 2006년 9월에 계획이 취소되었다.[34][35] 이 외에도 자력계가 탑재되어 지구 자기장을 측정한다.

=== 운용 및 데이터 전송 관련 변경 사항 ===


  • 정지 위치 변경: GOES-R 시리즈 위성들은 사용하는 전파 주파수가 인접 위성 및 기존 GOES-N 시리즈 위성과의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국제적인 조정을 거쳐 태평양 지역 담당 위성(GOES-West)의 정지 위치가 기존 서경 135도에서 서경 137.2도로 변경되었다.
  • GRB (GOES Rebroadcast, GOES 재방송): 관측 채널 수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위성에서 지상으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도 증가했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새로운 데이터 전송 규격인 GRB가 도입되었다. 기존 GVAR 방식의 전송 속도는 2.1Mbps였으나, GRB는 최대 17.2Mbps까지 속도가 향상되었다. 기존 GVAR 수신 장비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GRB 데이터 중 일부 채널을 추출하여 기존 GVAR과 유사한 형태로 변환한 EGVAR(Emulated GVAR) 데이터도 함께 제공된다. EGVAR는 기존 GVAR 수신 설비와 호환되지만, 일부 장비 개조가 필요할 수 있다.


=== GOES-R 시리즈 제원 ===

항목내용
최대 치수길이: 6.1m, 높이: 5.6m, 깊이: 3.9m
질량 (GOES 16/17 기준)발사 직후: 5192kg, 궤도상 말기: 2857kg
설계 수명약 15년
생성 전력최대 4,000 W


6. 위성 명칭 체계

GOES 위성은 발사되기 전에는 알파벳 문자(A, B, C 등)로 명명된다. 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궤도에 오르면, 숫자로 된 이름(1, 2, 3 등)을 다시 받게 된다. 예를 들어, GOES-A부터 GOES-F까지는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각각 GOES-1부터 GOES-6까지의 번호를 부여받았다. 하지만 GOES-G는 발사에 실패했기 때문에 숫자를 받지 못했다. 마찬가지로 GOES-H부터 GOES-R까지는 GOES-7부터 GOES-16까지 번호를 부여받았으며, 이 과정에서 제작되지 않은 GOES-Q는 건너뛰었다.

위성이 실제 운용에 들어가면, 담당하는 관측 지역에 따라 특정 위치 이름이 부여된다. 대표적으로 미국 동부 해안을 감시하는 GOES-East와 미국 서부 해안을 감시하는 GOES-West가 있다. 현재 GOES-East 임무는 GOES-16이, GOES-West 임무는 GOES-18이 맡고 있다. 실제 운용에서는 위성의 고유 번호보다 GOES-East나 GOES-West 같은 위치 명칭이 더 자주 사용된다. 2020년 5월에는 인도양 지역을 담당하는 GOES-IO (인도양)라는 새로운 명칭이 공개되었으며, 현재 이 위치는 GOES-13(DOD-1)이 담당하고 있다.

과거에는 남아메리카 지역을 전담하여 관측하는 GOES-South 위치도 운영되었다. GOES-R 시리즈 위성이 도입되기 전에는 남아메리카 지역의 영상 정보가 3시간 간격으로만 업데이트되었으나, GOES-South 전담 위성이 있을 경우 30분 간격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었다. 주로 북미 지역 임무를 새로운 위성에게 넘겨준 오래된 위성들이 GOES-South 임무를 맡았다. 예를 들어, GOES-10은 GOES-11에게 GOES-West 자리를 넘겨준 뒤 GOES-South로 이동하여 임무를 수행했다. GOES-10이 2009년 12월 1일에 퇴역하자 GOES-12가 이어서 GOES-South 임무를 맡았으나, GOES-12마저 2013년 8월 16일에 퇴역하면서 GOES-South 위치는 현재 비어있는 상태이다. GOES-16과 같은 최신 위성들은 10분마다 지구 전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면서, 별도의 GOES-South 전담 위성의 필요성은 크게 줄었다.

운영 위치
상태경도위성
GOES-East서경 75°GOES-16
GOES-West서경 137°GOES-18
GOES-South서경 60°공석


7. 한반도 및 동아시아 지역에 미치는 영향



GOES 위성은 주로 미국 본토, 태평양과 대서양, 중앙 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캐나다 남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지구 상공 35790km의 정지 궤도에서 운영된다. 이 위성은 구름 분포, 지구 표면 온도, 수증기 분포 등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대기의 수직 구조를 파악하여 대기 현상의 변화를 추적한다. 이를 통해 심각한 국지성 호우나 열대 저기압과 같은 기상 현상에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GOES 위성에서 관측된 데이터는 L 밴드를 통해 방송되며, 미국 버지니아주 월롭스 섬[30]에 위치한 NOAA의 명령 및 데이터 수신 지상국에서 수신되어 사용자들에게 배포된다. 또한, 개인이 소형 위성 안테나와 특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위성으로부터 직접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31] 이러한 데이터는 기상 서비스 운영 개선, 대기 과학 연구, 수치 예보 모델 개발, 환경 센서 설계 및 개발 등에 활용된다.

GOES-12 이후의 위성에는 태양 X선 촬영기(SXI)와 우주 환경 모니터(SEM) 장비가 탑재되어 우주 날씨 변화를 감시하는 임무도 수행한다. SEM 장비는 지구 주변의 태양-지구 전자기 환경에 미치는 태양의 영향을 측정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정보는 태양 플레어나 지구 자기 폭풍과 같은 현상을 예측하고 경보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전 세계적인 군사 및 민간 통신, 위성 항법 시스템 운영뿐만 아니라 전력망 관리, 국제 우주 정거장 우주 비행사의 안전, 고고도 비행 및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중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SMS 1, 2 / GOES 1, 2, 3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09-06-23
[2] 웹사이트 GOES 4, 5, 6, G, 7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09-06-23
[3] 웹사이트 GOES 8, 9, 10, 11, 12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09-06-23
[4] 웹사이트 GOES-NO/PQ Status https://web.archive.[...] NASA 2006-06-13
[5] 웹사이트 GOES N, O, P, Q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09-06-23
[6] 웹사이트 GOES-NEWS https://web.archive.[...] NASA 2009-05-09
[7] 웹사이트 GOES-13 is America's New GOES-East Satellite https://web.archive.[...] NASA 2009-04-16
[8] 웹사이트 GOES Operational Status https://www.ospo.noa[...] Office of Satellite and Product Operations 2023-12-03
[9] 웹사이트 GOES-R Mission Overview http://www.goes-r.go[...] GOES-R Program Office 2014-08-29
[10] 웹사이트 GOES Flyout Schedule http://www.nesdis.no[...] NOAA Satellite and Information Service 2014-08-29
[11] 웹사이트 Spaceflight Now https://web.archive.[...] 2009-05-07
[12] 웹사이트 GOES-O Mission Page http://www.nasa.gov/[...] 2009-05-07
[13] 웹사이트 NASA and NOAA's GOES-O Satellite Successfully Launched http://www.nasa.gov/[...] NASA 2009-06-27
[14] 웹사이트 GOES Spacecraft Status Main Page https://web.archive.[...] NOAA 2011-12-28
[15] 웹사이트 NASA and NOAA's GOES-O Satellite Ready for Launch http://www.spaceref.[...] SpaceRef Interactive Inc. 2009-06-16
[16] 웹사이트 GOES-14 Replaces GOES-13 as the GOES-East Satellite https://web.archive.[...] NOAA 2012-09-24
[17] 웹사이트 NASA's Shuttle and Rocket Launch Schedule http://www.nasa.gov/[...] 2009-10-31
[18] 웹사이트 GOES-P Mission http://www.nasa.gov/[...] NASA 2010-03-04
[19] 웹사이트 GOES-15 Spacecraft Status Summary https://web.archive.[...] NOAA 2011-12-27
[20] 웹사이트 GOES-17 Transition to Operations │ GOES-R Series https://www.goes-r.g[...] 2018-10-25
[21] 웹사이트 GOES-15 is no longer sending data — CIMSS Satellite Blog, CIMSS https://cimss.ssec.w[...] 2020-03-02
[22] 웹사이트 Pacific Tropical Infrared, GOES-West - NOAA GOES Geostationary Satellite Server https://www.goes.noa[...]
[23] 웹사이트 NASA Debuts the Entire 2008 Hurricane Season in New On-line Video https://web.archive.[...] 2009-06-28
[24] 웹사이트 ULA Atlas V successfully launches with GOES-S – NASASpaceFlight.com https://www.nasaspac[...] 2018-03-01
[25] 웹사이트 Goes-3 Satellite Decommissioned After Linking Antarctica To The World For More Than 20 Year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Miami
[26] 웹사이트 GOES-8 Spacecraft Status Summary https://web.archive.[...] NOAA
[27] 간행물 NOAA DEACTIVATES GOES-8 AFTER 10 YEARS OF SERVICE http://www.noaanews.[...] NOAA 2004-05-03
[28] 웹사이트 Farewell to GOES-10 « CIMSS Satellite Blog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NOAA's Office of Satellite and Product Operations - GOES Status http://www.ospo.noaa[...]
[30] 문서 GOES-I/M MISSION, Goddard Space Flight Center (accessed 17 March 2008) http://rsd.gsfc.nasa[...]
[31] 웹사이트 GOES-R User Systems http://www.goes-r.go[...]
[32] 웹사이트 Extreme Space Weather Events http://sxi.ngdc.noa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33] 웹사이트 GOES DCS https://www.noaasis.[...]
[34] 웹사이트 GOES-R Spacecraft http://www.goes-r.go[...] Goddard Space Flight Center
[35] 웹사이트 GOES-R Solar and Space Environment Data Products: Benefiting Users https://web.archive.[...] NOAA Space Weather Prediction Center 2008-01-01
[36] 웹사이트 NOAA's newest geostationary satellite will be positioned as GOES-East this fall http://www.noaa.gov/[...] 2017-05-25
[37] 웹사이트 TPXS10 PGTW 040315 https://www.metoc.n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0-05-04
[38] 웹사이트 U.S. to Reposition Satellite Over Amazon https://news.yahoo.c[...]
[39] 웹사이트 Acquisition Is Under Way, but Improvements Needed in Management and Oversight http://www.gao.gov/n[...] 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2009-04-02
[40] 웹사이트 Boeing GOES-R Protest Halts Lockheed Work http://www.aviationw[...]
[41] 웹사이트 ITT Geospatial Systems http://www.geospatia[...] 2011-09-17
[42] 웹사이트 GOES-R EXIS Extreme Ultra Violet and X-Ray Irradiance Sensors https://info.aiaa.or[...]
[43] 웹사이트 GOES-R (Geostationary Oper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 http://www.govcomm.h[...] 2011-05-11
[44] 뉴스 Colorado Built GOES-17 Satellite Now Operational For Western U.S. https://denver.cbslo[...] CBS Denver 2019-02-12
[45] 웹사이트 Earth from Orbit: NOAA's GOES-18 is now GOES West https://www.nesdis.n[...] 2023-01-04
[46] 웹사이트 TECHNICAL NOTES ON GOES-7 http://www.peacesat.[...]
[47] 뉴스 GOES-10 Is Going, Going... Gone... http://www.satnews.c[...] 2009-12-02
[48] 웹사이트 GOES Decommissioned Satellites http://www.ospo.noaa[...]
[49] 웹사이트 Space Force accepts second weather satellite through NOAA partnership https://www.spacefor[...] 2023-09-22
[50] 뉴스 GOES-16 to GOES-East Drift Plan https://satellitelia[...] 2017-09-28
[51] 뉴스 ULA Atlas V successfully launches with GOES-S https://www.nasaspac[...] 2018-03-01
[52] 웹사이트 Next-Gen Weather Satellite Operational Over Western U.S. https://www.nextgov.[...] 2019-02-12
[53] 간행물 NOAA's GOES-U Has Lift-Off! https://www.nesdis.n[...] 2024-06-25
[54] 뉴스 GOES-R http://www.goes-r.go[...] NOAA/NASA
[55] 뉴스 NOAA’s GOES-S satellite roars into orbit http://www.noaa.gov/[...] NOAA
[56] Youtube ABI Scan Mode Demonstration Hurris https://www.youtube.[...]
[57] 뉴스 GOES-17 ABI Performance https://www.goes-r.g[...] NOAA
[58] 뉴스 GOES-R ABI Bands Quick Information Guides https://www.goes-r.g[...] NOAA
[59] 뉴스 GOES-East ABI Flex Mode (Routine) Schedule - Abridged http://www.ospo.noaa[...] NOAA
[60] 뉴스 ABI Scan Mode Demonstration https://www.youtube.[...] HARRIS
[61] 웹사이트 GOES-17 ABI Performance NOAA https://www.goes-r.g[...]
[62] 서적 運輸多目的衛星新1号のイメージャについて https://www.data.jma[...] 2001-03
[63] 블로그 CIMSS Satellite Blog https://cimss.ssec.w[...] 2021-03
[64] 웹사이트 USSF and NOAA Begin Joint Operations of Infrared Weather Satellite https://www.losangel[...] 2020-09
[65] 블로그 CIMSS Satellite Blog https://cimss.ssec.w[...] 2021-03
[66] 웹사이트 Notification of GOES-12 (GOES-South America) Decommissioning http://www.ssd.noaa.[...] 2013-07-09
[67] 웹사이트 GOES-17 Post-Launch Testing and Transition to Operations https://www.goes-r.g[...] 2018-10
[68] 웹사이트 NOAA’s GOES-T blasts into orbit Earth from Orbit: NOAA’s GOES-18 is now GOES West https://www.nesdis.n[...] 2023-01-04
[69] 웹사이트 GOES-19 Post-Launch Testing and Transition to Operations https://www.goes-r.g[...] NESDIS/NOAA
[70] 문서 총람 세계의 지구관측위성 Web판 http://www.restec.or[...]
[71] 웹사이트 GOES-1 http://goes.gsfc.nas[...] NASA 2009-06-23
[72] 웹사이트 GOES-2 http://goes.gsfc.nas[...] NASA 2009-06-23
[73] 웹사이트 GOES-3 http://goes.gsfc.nas[...] NASA 2009-06-23
[74] 웹사이트 GOES-4 http://goes.gsfc.nas[...] NASA 2009-06-23
[75] 웹사이트 GOES-5 http://goes.gsfc.nas[...] NASA 2009-06-23
[76] 웹사이트 GOES-6 http://goes.gsfc.nas[...] NASA 2009-06-23
[77] 웹사이트 GOES-G http://goes.gsfc.nas[...] NASA 2009-06-23
[78] 웹사이트 GOES-7 http://goes.gsfc.nas[...] NASA 2009-06-23
[79] 뉴스 NOAA retires GOES-7 after 25 years as a weather and communications satellite http://www.tipg.net/[...] NOAA 2012-04-12
[80] 웹사이트 GOES-8 STATUS http://goes.gsfc.nas[...] NASA 2009-06-23
[81] 웹사이트 GOES-9 STATUS http://goes.gsfc.nas[...] NASA 2009-06-23
[82] 웹사이트 NOAA Deactivates GOES-10 after 12 Years of Tracking Storms http://www.noaanews.[...] NOAA 2009-12-03
[83] 웹사이트 Tomorrow's Operational GOES-West Transition Plan (GOES-11 to GOES-15), Issued: December 5, 2011, 1915 UTC http://www.ssd.noaa.[...] NOAA 2011-12-06
[84] 웹사이트 Last Image and “Graveyard” Orbit https://cimss.ssec.w[...] NOAA 2023-11-22
[85] 웹사이트 GOES 14 Operational Status https://www.ospo.noa[...] NOAA 2021-03-28
[86] 웹사이트 GSpace Force accepts second weather satellite through NOAA partnership https://www.spacefor[...] USSF 2023-10-25
[87] 문서 GOES-16 wikipedia english gpage https://en.wikipedia[...]
[88] 웹사이트 GOES Operational Status https://www.ospo.noa[...] NOAA 2021-03-28
[89] 문서 GOES-17 wikipedia english gpage https://en.wikipedia[...]
[90] 웹사이트 Earth from Orbit NOAA’s GOES-18 is now GOES West https://www.nesdis.n[...] NOAA 2023-01-07
[91] 웹사이트 GNOAA's GOES-18 Satellite https://www.nesdis.n[...] NOAA 2022-03-03
[92] 웹사이트 Earth from Orbit: NOAA’s GOES-18 is now GOES West https://www.nesdis.n[...] NOAA 2023-01-07
[93] 웹사이트 GOES-19 Post-Launch Testing and Transition to Operations https://www.goes-r.g[...] NESDIS 2024-11-01
[94] 뉴스 나사가 공개한 크리스마스의 환상적인 지구 사진 http://news.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