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바오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바오성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그는 1974년부터 1999년까지 간쑤성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1999년부터 2008년까지 간쑤성 주취안 지역위원회 서기, 간쑤성 위원회 상임위원, 란저우시 위원회 서기 등을 역임했다. 2008년부터는 중앙 중국 공산당 간부학교 부총장, 국가행정학교 당 위원회 서기 겸 부원장, 교육부장을 차례로 지냈다. 중국 공산당 제17, 18기 중앙위원이며, 교육부장으로 연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란저우시 출신 - 가오청융
    가오청융은 1988년부터 2002년까지 중국 간쑤성과 내몽골 자치구에서 11명의 여성을 성폭행하고 살해한 연쇄살인범으로, '중국의 잭 더 리퍼'로 불리며 2018년 사형 선고 후 2019년 사형이 집행되었다.
  • 란저우시 출신 - 황쉬안
    황쉬안은 란저우 출신으로 베이징 무용학원 연극과를 졸업한 중국의 배우이며, 2007년 영화 데뷔 후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 베이징 대학 동문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베이징 대학 동문 - 보시라이
    보시라이는 중국 공산당 고위 간부로서 다롄 시장, 랴오닝성 성장 등을 역임하며 '충칭 모델'로 경제 성장과 사회 안정을 추구했으나, 닐 헤이우드 사망 사건과 왕리쥔 사건으로 몰락하여 부패 혐의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정치적 논란을 야기했다.
  • 1956년 출생 - 조대환
    조대환은 강력 및 특수 분야 수사를 담당한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 변호사 개업 후 삼성 비자금 의혹 특별검사보,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활동 및 대우조선해양 사외이사 추천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
  • 1956년 출생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천바오성
기본 정보
이름천바오성
원어 이름陈宝生
로마자 표기Chen Baosheng
출생일1956년 5월
출생지란저우, 간쑤, 중국
국적중화인민공화국
정당중국 공산당
학력베이징 대학 경제학과 정치경제학과 졸업, 중국 공산당 중앙당교 정치학과 졸업
직책
직책 1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장
임기 시작 12016년 7월 2일
임기 종료 12021년 8월 20일
이전 1위안구이런
이후 1화이진펑
총리 1리커창
기타

2. 이력

천바오성은 1999년 1월부터 간쑤성 주취안 지역위원회 서기를 맡으며 고위직에 올랐다. 2002년 4월에는 중국 공산당 간쑤성 위원회 상임위원 겸 성 위원회 선전부 부장에 임명되었고, 2003년 12월부터는 성 사회과학연합회 주석직도 겸임했다. 2004년 11월부터는 란저우시 위원회 서기를 맡았으며, 2005년 3월부터 시 인민대표 상임위원회 주임도 겸임했다.

2008년 6월, 천바오성은 중앙으로 진출하여 중앙 중국 공산당 간부학교 부총장을 역임했다. 2013년 3월, 국가행정학원 당 위원회 서기 겸 부원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같은 해, 중국 공산당 제17회 중앙후보위원, 제18회 중앙위원이 되었으며, 중국 공산당 제17대, 18대 대표 및 간쑤성 제18회 성 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2016년 7월, 천바오성은 교육부장 및 당 비서에 임명되었다. 2018년 3월에는 교육부장으로 연임되었으나, 찬성 2908표로 가장 낮은 지지를 받았고, 반대 47표와 기권 14표로 가장 높은 반대를 기록했다.[1]

2. 1. 초기 경력 (1974년 ~ 1999년)

천바오성은 1974년 5월부터 1975년 12월까지 간쑤성 란저우시 위중현 샤오캉잉 인민공사에서 지식청년으로 일했다. 1975년 12월부터 1978년 9월까지는 같은 현의 우편전신국에서 기선원으로 근무했다. 1978년 9월, 베이징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하여 정치경제학을 전공, 1982년 8월에 졸업했다.

졸업 후, 천바오성은 간쑤성 상업청 조기처 간사(1982년 8월~1983년 11월)를 시작으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간쑤성 상업청 정책연구소 부주임(1983년 11월~1985년 1월), 중국 공산당 간쑤성 위원회 경제부 조사연구처 처장 및 간쑤성 인민정부 사무실 정책연구실 부주임(1986년 9월~1988년 11월)을 역임했다.

1988년 11월부터 1989년 8월까지 간쑤성 인민정부 경제기술사회발전연구센터 정책연구실 주임을 맡았고, 1989년 8월부터 1991년 6월까지는 같은 센터의 부지급 정책연구원으로 승진했다. 1991년 6월부터 1994년 4월까지 간쑤성 인민정부 발전연구센터 부주임을 역임했으며, 1994년 4월부터 1996년 11월까지는 주임으로 승진하여 활동했다. 1996년 11월부터 1999년 1월까지는 간쑤성 인민정부 부비서장, 행정 부서 당원, 성 정부발전연구센터(연구실) 주임을 겸임했다.

천바오성의 초기 경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기간직책
1974년 5월 ~ 1975년 12월간쑤성 란저우시 위중현 샤오캉잉 인민공사 지식청년
1975년 12월 ~ 1978년 9월간쑤성 란저우시 위중현 우편전신국 기선원
1978년 9월 ~ 1982년 8월베이징대학교 경제학과 정치경제학 전공
1982년 8월 ~ 1983년 11월간쑤성 상업청 조기처 간사
1983년 11월 ~ 1985년 1월간쑤성 상업청 정책 연구소 부주임
1986년 9월 ~ 1988년 11월중국 공산당 간쑤성 위원회 경제부 조사연구처 처장, 간쑤성 인민정부 사무실 정책연구실 부주임
1988년 11월 ~ 1989년 8월간쑤성 인민정부 경제기술사회발전연구센터 정책연구실 주임
1989년 8월 ~ 1991년 6월간쑤성 인민정부 경제기술사회발전연구센터 부지급 정책연구원
1991년 6월 ~ 1994년 4월간쑤성 인민 정부발전연구센터 부주임
1994년 4월 ~ 1996년 11월간쑤성 인민정부발전연구센터(연구실) 주임
1996년 11월 ~ 1999년 1월간쑤성 인민정부 부비서장, 행정 부서 당원, 성 정부발전연구센터(연구실) 주임


2. 2. 간쑤성 주요 직책 (1999년 ~ 2008년)

기간직책
1999년 1월 ~ 2002년 4월중국 공산당 간쑤성 주취안시 지역위원회 서기
2002년 4월 ~ 2003년 12월중국 공산당 간쑤성 위원회 상임위원, 성 위원회 선전부 부장
2003년 12월 ~ 2004년 11월중국 공산당 간쑤성 위원회 상임위원, 성 위원회 선전부 부장 겸 성 사회과학연합회 주석
2004년 11월 ~ 2005년 3월란저우시 위원회 서기 겸 성 사회과학연합회 주석
2005년 3월 ~ 2008년 6월중국 공산당 간쑤성 위원회 상임위원, 란저우시 위원회 서기, 시 인민대표 상임위원회 주임 겸 성 사회과학연합회 주석(2005년까지)


2. 3. 중앙정부 경력 (2008년 ~ 현재)

천바오성은 2008년 6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중앙 중국 공산당 간부학교 부총장을 지냈다.[1] 2013년 3월에는 국가행정학원 당 위원회 서기 겸 부원장으로 자리를 옮겼으며,[1] 중국 공산당 제17회 중앙후보위원, 제18회 중앙위원을 역임했다.[1] 또한 중국 공산당 제17대, 18대 대표, 중국공산당 간쑤성 제18회 성 위원회 위원을 지냈다.[1]

2016년 7월에는 교육부장 및 당 비서를 맡았으며,[1] 2018년 3월 교육부장으로 연임되었으나, 찬성 2908표, 반대 47표, 기권 14표를 기록했다.[1]

참조

[1] 뉴스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任免员 http://www.gov.cn/go[...] 2014-12-13
[2] 뉴스 Top legislature concludes bi-monthly session http://news.xinhuane[...] 2016-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