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진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진우는 연세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나노 입자 합성 및 응용, 자기유전학 분야를 연구하는 과학자이다. 연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UCLA에서 박사후 연구원 및 스탭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조교수 및 부교수를 역임했다. 2002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15년부터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을 맡고 있다. 2009년부터 Accounts of Chemical Research (ACS) 편집장을, 2024년에는 Humboldt Research Award를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동문 - 박진영
    박진영은 대한민국의 가수, 프로듀서, 사업가로, 1994년 솔로 가수로 데뷔하여 JYP 엔터테인먼트를 설립, god, 비, 트와이스 등 아이돌 그룹을 프로듀싱하며 한국 3대 기획사로 성장시켰으며, 2024년 데뷔 30주년을 맞았다.
  •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동문 - 이희승
    이희승은 국어학자, 교육자, 언론인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투옥되었고, 서울대학교 교수로 국어 연구와 사전 편찬에 기여했으며, 『국어대사전』 발간, 동아일보 사장, 대구대학교 총장, 성균관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고 학술원 부회장 등을 지내며 국어 교육 발전에 힘썼으며, 시집 《박꽃》, 수필집 《딸깍발이》 등의 저서를 남겼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허준이
    허준이는 대수기하학적 방법으로 조합론 난제를 해결하고 그래프 이론의 리드 추측을 증명하여 2022년 필즈상을 수상한 한국계 수학자이다.
천진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천진우
출생1962년
국적대한민국
분야무기화학
재료화학
나노과학
나노결정
직장연세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의학 센터
모교연세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지도교수그레고리 S. 지롤라미
웹사이트천진우 연구 그룹
기초과학연구원
알려진 업적나노과학 및 나노의학
수상2010 인촌상 (인촌기념회)
2012 차세대 10년 100대 리더 (동아일보)
2012 POSCO TJ 박태준상 (POSCO TJ 박태준 재단)
2015 호암상 과학상 (호암재단)
한국어 이름천진우
한자 표기!
로마자 표기Cheon Jin-u
학위 논문
석사 논문 제목Ethylenediamine-N, N'-di-S-α-Isohexanoic acid 및 관련 ONNO-Type 리간드의 코발트(III) 착물
석사 논문 URL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석사 논문 발표 연도1987년
박사 논문 제목Mechanistic Studies of the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Ceramic and Metal Films From Organometallic Precursors
박사 논문 URL일리노이 대학교 디지털 도서관
박사 논문 발표 연도1993년

2. 학력

천진우는 1981년 연세대학교에 입학하여 화학을 전공으로 학업을 시작했다. 1985년과 1987년에 각각 연세대학교에서 이학사와 이학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3년에는 그레고리 S. 지롤라미 교수의 지도하에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화학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3. 경력

1993년부터 1995년까지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및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1995년부터 1998년까지는 UCLA의 스탭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1998년에는 대한민국으로 돌아와 KAIST 화학과에서 조교수 및 부교수로 재직했다.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연세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2008년부터는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특훈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창의적 연구지원사업 진화나노입자연구단의 단장을 맡았으며, 2015년부터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을 맡고 있다.

학술지 편집 활동으로는 2009년부터 ''Accounts of Chemical Research'' (ACS) 편집장(Senior Editor), 2010년부터 ''Nano Letters'' (ACS) 편집 이사, 2013년부터 ''Materials Horizons'' (RSC) 편집 이사를 맡고 있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는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RSC) 편집 이사를 역임했다.

4. 수상

천진우는 대한화학회-Wiley & Sons에서 Wiley 젊은 화학자 상(2001)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젊은 과학자상(2002), 대한화학회 KCS 무기화학상(20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송곡 과학기술상(2007), 인촌기념회 인촌상(2010), 교육과학기술부 지식창조대상(2010), 동아일보 선정 ‘향후 10년간 대한민국 100대 영향력 있는 인물’(2012), 포스코청암재단 POSCO 청암상(2012), 대한화학회 KCS 학술상(2013), 톰슨 로이터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자’(2014), 호암재단 호암상 과학상(2015), 일리노이 대학교 탁월한 업적에 대한 마두리 및 자그디쉬 N. 셰스 국제 동문상(2017/2018), 훔볼트 연구상(2024), 글렌 시보그 무기화학 기념 강연글렌 시보그 강연상(2024) 등을 수상하였다.

또한 2003년부터 현재까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8년부터 현재까지 영국왕립화학회 석학회원(Fellow), 2014년부터 현재까지 미국화학회 석학회원(Fellow)으로 활동하고 있다.

4. 1.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역
2001년Wiley 젊은 화학자 상 (대한화학회-Wiley & Sons)[38]
2002년젊은 과학자상 (한국과학기술한림원)[36][37]
2004년KCS 무기화학상 (대한화학회)
2007년송곡 과학기술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35]
2010년인촌상 (인촌기념회)
2010년지식창조대상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향후 10년간 대한민국 100대 영향력 있는 인물 (동아일보)
2012년POSCO 청암상 (포스코청암재단)[2][33][34]
2013년KCS 학술상 (대한화학회)[32]
2014년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과학자 (톰슨 로이터)[31]
2015년호암상 과학상 (호암재단)[29][30]
2017년/2018년탁월한 업적에 대한 마두리 및 자그디쉬 N. 셰스 국제 동문상 (일리노이 대학교)[3]
2024년훔볼트 연구상[27][28]
2024년글렌 T. 시보그 무기화학 기념 강연[24][25][26], 글렌 시보그 강연상[43][44][45]


4. 2. 회원

연도회원
2003년 ~ 현재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8년 ~ 현재영국왕립화학회 석학회원 (Fellow)
2014년 ~ 현재미국화학회 석학회원 (Fellow)


5. 연구 업적

천진우 교수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연구를 계속했으며, 이후 UCLA에서 3년간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대한민국으로 돌아온 후 KAIST에서 조교수, 부교수로 재직하며 나노 입자 및 자기 입자의 기하학적 형상 제어에 중점을 둔 연구를 수행했다.

2002년부터 연세대학교에서 정교수로 재직하며 나노 규모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2008년에는 언더우드 석좌교수로 임명되었으며,[15]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진화적 나노입자 국가 창의 연구 센터의 센터장을 역임했다. 2015년부터는 IBS 나노의학 연구 센터(IBS CNM at Yonsei)의 초대 센터장으로 재직하며 연구를 이끌고 있다.

천진우 교수의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주요 연구 내용
2024자성 구동 DNA 클러치 나노머신 개발[21], 체내 조직 역학의 비침습적 영상화를 위한 자기음향 단백질 나노구조 개발
2021자유롭게 움직이는 동물의 기계감각 이온 채널에 대한 비접촉 장거리 자기 자극[22][23], 신장 제거 가능한 산화철 껍질을 가진 덱스트란 나노입자를 통한 고해상도 T1 MRI 개발
2020플라스몬 열 순환 및 형광 검출 통합 휴대용 장치를 통한 SARS-CoV-2 RNA 신속 검출, 금속 산화물 나노결정의 형태 보존 비커켄달 음이온 교환
2017생물학적 표적을 위한 다목적 MRI 감지 플랫폼으로서 거리 의존적 자기 공명 튜닝
2016시공간 세포 신호 전달을 조사하기 위한 기계유전학 도구 키트
2015효과적인 박리 공정의 대안으로서 단층 나노시트를 위한 탠덤 삽입 전략
2014내이 유모 세포의 초고속 기계적 제어를 위한 자기 나노입자
20132차원 층상 나노결정의 화학적 반응성 및 구조적 변환 규명
2012시험관 내 및 생체 내 시스템에서 세포 사멸 신호 제어를 위한 자기 스위치, 일반화된 합성 프로토콜을 통한 잘 정의된 콜로이드 2차원 층상 전이 금속 칼코게나이드 나노결정
2011효율적인 열 유도를 위한 교환 결합 자기 나노입자
2008나노생명공학을 위한 다중 모드 프로브로서 시너지 통합 나노입자, 고성능 자기 공명 영상을 위한 나노입자 프로브의 화학적 설계
2007초고감도 분자 영상을 위한 인공적으로 조작된 자기 나노결정


5. 1. 나노 입자 합성 및 응용

천진우 교수는 초기 연구에서 나노 입자[8] 및 자기 입자[9][10]의 기하학적 형상을 제어하는 데 집중했다. 이는 나노 결정[11]에 대한 그의 첫 연구 결과 발표로 이어졌으며, 이후 그의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중요한 주제가 되어 여러 편의 논문에 인용되었다.[12][13][14][19]

연세대학교에서 나노 규모 현상에 대한 그의 연구는 생물학 분야에서 나노 물질을 응용하는 연구로 확장되었다. 특히 고감도 MRI 조영제[16][17][18] 개발과 세포 조절을 위한 나노 규모 도구 개발이 주목할 만하다. 2004년에는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크기에 따른 MRI 조영 효과의 원리를 증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자성 엔지니어링 산화철(MEIO)을 개발하여 조기 암 발견에 활용할 수 있는 초고감도 나노 입자 MRI 조영제를 개발했다.[19][20]

또한, 천 교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나노 구조를 원격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자기 나노 머신을 개발했다.[21] 이 나노 머신은 표적 약물 전달 및 최소 침습 수술에 응용될 가능성이 높다. 2021년부터는 자기유전학 분야의 연구를 통해 뇌 활동과 같은 생체 내 심부 조직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발전시켰다.[22][23] 자기유전학은 자기 나노 입자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 감각 이온 채널(예: Piezo1)을 통해 뉴런 활동을 조작함으로써, 뇌 기능을 비침습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5. 2. 자기유전학 연구

천진우 교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나노 구조를 원격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자기 나노 머신을 개발했다.[21] 이 나노 머신은 표적 약물 전달 및 최소 침습 수술에 유망하다.

2021년부터 천 교수는 뇌 활동과 같은 생체 내 심부 조직의 무선 제어를 위한 자기유전학 분야를 발전시켰다.[22][23] 자기유전학은 기계적 토크 또는 자기 나노 입자의 힘을 사용하여 기계 감각 이온 채널(예: Piezo1)을 통해 뉴런 활동을 조작하여, 뇌 기능을 미터 규모의 장거리에서 비침습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혁신적인 접근 방식은 자기장을 사용하여 뉴런 회로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신경 질환에 대한 잠재적인 새로운 치료법과 뇌 기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6. 대표 논문


  • Lin, M.; Lee, J.; Kim, Y.; Kim, G.; Jung, Y.; Jo, A.; Park, M.; Lee, S.; Lah, J.D.; Park, J.; Noh, K.; Lee, J.-H.; Kwak, M.; Lungerich, D.; Cheon, J. “A magnetically powered nanomachine with a DNA clutch” ''Nat. Nanotechnol.'' '''2024''', ''19'', 646.[8]
  • Kim, W.-S.; Min, S.; Kim, S.K.; Kang, S.; An, S.; Criado-Hidalgo, E.; Davis, H.; Bar-Zion, A.; Malounda, D.; Kim, Y.H.; Lee, J.-H.; Bae, S.H.; Lee, J.G.; Kwak, M.; Cho, S.-W.; Shapiro, M.G.; Cheon, J. “Magneto-acoustic protein nanostructures for non-invasive imaging of tissue mechanics in vivo” ''Nat. Mater.'' '''2024''', 23, 290.[8]
  • Lee, J. U.; Shin, W.; Lim, Y.; Kim, J.; Kim, W. R.; Kim, H.; Lee, J. H.; Cheon, J. "Non-contact long-range magnetic stimulation of mechanosensitive ion channels in freely moving animals" ''Nat. Mater.'' '''2021''', 20, 1029.[8]
  • Shin, T.-H.; Kim, P. K.; Kang, S.; Cheong, J.; Kim, S.; Lim, Y.; Shin, W.; Jung, J.-Y.; Lah, J. D.; Choi, B. W.; Cheon, J. "High-resolution T1 MRI via renally clearable dextran nanoparticles with an iron oxide shell" ''Nat. Biomed. Eng.'' '''2021''', 5, 252.[8]
  • Cheong, J.; Yu, H.; Lee, C. Y.; Lee, J.-u.; Choi, H.-J.; Lee, J.-H.; Lee, H.; Cheon, J. "Fast detection of SARS-CoV-2 RNA via the integration of plasmonic thermocycling and fluorescence detection in a portable device" ''Nat. Biomed. Eng.'' '''2020''', 4, 1159.[8]
  • Lim, Y.; Lee, C.-H.; Jun, C.-H.; Kim, K.; Cheon, J. “Morphology-conserving non-kirkendall anion exchange of metal oxide nanocrystals” ''J. Am. Chem. Soc.'' '''2020''', 142, 9130[8]
  • Choi, J.; Kim, S.; Cheon, J. et al. "Distance-dependent magnetic resonance tuning as a versatile MRI sensing platform for biological targets" ''Nat. Mater''. '''2017''', ''16'', 537.[8]
  • Seo, D.; Southard, K.M.; Cheon, J.; Jun, Y-w. et al. "A Mechanogenetic toolkit for interrogating cell signaling in space and time" ''Cell'', '''2016''', 165, 1507.[8]
  • Jeong, H.; Cheon, J. et al. "Tandem Intercalation Strategy for Single-layer Nanosheets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Exfoliation Processes" ''Nat. Commun.'' '''2015''', ''6'', 5763.[8]
  • Lee, J.; Cheon J. et al. "Magnetic Nanoparticles for Ultrafast Mechanical Control of Inner Ear Hair Cells" ''ACS Nano'', '''2014''', ''8'', 6590.[8]
  • Han, J. H.; Cheon J. et al. "Unveiling Chemical Reactivity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wo-dimensional Layered Nanocrystals" ''J. Am. Chem. Soc.'' '''2013''',''135'', 3736.[8]
  • Cho, M. H.; Cheon, J. et al. “A Magnetic Switch for the Control of Cell Death Signaling in in vitro and in vivo Systems” ''Nat. Mater.'' '''2012''', ''11'', 1038.[8]
  • Jeong, S.; Cheon J. et al. "Well-Defined Colloidal 2-D Layered Transition-Metal Chalcogenide Nanocrystals via Generalized Synthetic protocols" ''J. Am. Chem. Soc.'' '''2012''',''134'', 18233[8]
  • Lee, J.; Cheon, J. et al. "Exchange-coupled Magnetic Nanoparticles for Efficient Heat Induction" ''Nat. Nanotechnol.'' '''2011''', ''6'', 418.[8]
  • Cheon, J. et al. “Synergistically Integrated Nanoparticles as Multimodal Probes for Nanobiotechnology” ''Acc. Chem. Res.'' '''2008''', ''41'', 1630.[8]
  • Jun, Y.; Cheon, J. et al. “Chemical Design of Nanoparticle Probes for High-Performance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gew. Chemie. Int. Ed''. '''2008''', ''47'', 5122.[8]
  • Lee, J.; Cheon, J. et al. "Artificially Engineered Magnetic Nanocrystals for Ultra-Sensitive Molecular Imaging" ''Nat. Med.'' '''2007''', ''13'', 95.[8]

참조

[1] 웹사이트 천진우 이학부 정회원(연세대 교수), 언더우드 특훈교수로 선정 https://kast.tistory[...] 2018-01-17
[2] 논문 Angewandte News - TJ Park Science Award for Jinwoo Cheon https://onlinelibrar[...] 2013
[3] 웹사이트 International alumni awards https://illinoisalum[...] 2018-06-29
[4] 웹사이트 IBS Places First Among Korean Institutions by Featuring 9 Scientists in List of Highly Cited Researchers https://www.ibs.re.k[...] 2018-12-04
[5] 웹사이트 Editorial Board https://pubs.acs.org[...] American Chemical Society
[6] 논문 Synthesis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s of colloidal 2D layered metal chalcogenide nanocrystals https://pubs.rsc.org[...] 2012-12-04
[7] 웹사이트 Announcing new appointments to the Materials Horizons Advisory Board http://blogs.rsc.org[...]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3-06-24
[8] 논문 Controlled two-dimensional distribution of nanoparticles by spin-coating method https://aip.scitatio[...] 2002-01-30
[9] 논문 Synthesis of "solid solution" and "core-shell" type cobalt− platinum magnetic nanoparticles via transmetalation reactions https://pubs.acs.org[...] 2001-06-20
[10] 논문 Architectural control of magnetic semiconductor nanocrystals https://pubs.acs.org[...] 2002-01-30
[11] 논문 Size and shape controlled ZnTe nanocrystals with quantum confinement effect https://pubs.rsc.org[...] 2001
[12] 논문 Nanoscale Size Effect of Magnetic Nanocrystals and Their Utilization for Cancer Diagnosis via Magnetic Resonance Imaging https://pubs.acs.org[...] 2005-04-27
[13] 논문 Shape Control of Semiconductor and Metal Oxide Nanocrystals through Nonhydrolytic Colloidal Routes https://onlinelibrar[...]
[14] 논문 In vivo magnetic resonance detection of cancer by using multifunctional magnetic nanocrystals https://pubs.acs.org[...] 2005-08-16
[15] 웹사이트 Professor http://cheongroup.co[...]
[16] 논문 Critical enhancements of MRI contrast and hyperthermic effects by dopant-controlled magnetic nanoparticles https://onlinelibrar[...] 2009-02-02
[17] 논문 T1 and T2 Dual-Mode MRI Contrast Agent for Enhancing Accuracy by Engineered Nanomaterials https://pubs.acs.org[...]
[18] 특허 Mri contrast agent including t1 contrast material coated on surface of nanoparticle support https://patents.goog[...]
[19] 논문 Shape evolution of single-crystalline iron oxide nanocrystals https://pubs.acs.org[...] 2004-02-25
[20] 논문 Hot off the Press: Ultra-sensitive magnetic nanoparticle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https://pubs.rsc.org[...] 2007-02-07
[21] 논문 A magnetically powered nanomachine with a DNA clutch https://www.nature.c[...] 2024-05
[22] 논문 Non-contact long-range magnetic stimulation of mechanosensitive ion channels in freely moving animals https://www.nature.c[...] 2021-07
[23] 논문 In vivo magnetogenetics for cell-type-specific targeting and modulation of brain circuits https://www.nature.c[...] 2024-09
[24] 웹사이트 Glenn T. Seaborg Memorial Lectures in Inorganic Chemistry https://events.berke[...] 2024-11-14
[25] 웹사이트 Nanomachines for neuroscience and beyond https://www.bayareas[...] 2024-11-14
[26] 뉴스 천진우 IBS 단장, 한국인 최초 美 글렌 시보그 강연상 https://www.chosun.c[...] 2024-11-14
[27] 뉴스 천진우 IBS 나노 의학 단장, 독일 훔볼트 연구상 수상 https://www.chosun.c[...] The Chosun Ilbo 2024-01-29
[28] 뉴스 천진우 기초과학연 단장, 독일 '훔볼트 연구상' 수상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4-01-29
[29] 웹사이트 'OO교수 전성시대'…당신은 누구입니까? https://www.hankyung[...] 2015-04-15
[30] 웹사이트 "[人사이드 人터뷰] 백영심 간호사, 25년 의료봉사 '말라위 나이팅게일'…"한 생명이라도 더 구하는 게 내 행복" https://www.hankyung[...] 2015-05-29
[31]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Influential Scientific Minds 2014 http://homes.esat.ku[...] Thomson Reuters 2014-04
[32] 웹사이트 언더우드 특훈교수에 천진우·홍태훈·홍순만 교수 선정 http://www.wsobi.com[...] 여성소비자신문 2018-01-05
[33] 웹사이트 천진우'곽종문'소말리 맘 씨 포스코 청암상 수상 http://news.imaeil.c[...] 2012-02-04
[34] 웹사이트 소감말하는 천진우 교수 https://news.naver.c[...] Yonhap News Agency 2012-03-28
[35] 웹사이트 자연과학 부분-천진우 씨 (연세대 화학과 교수) http://www.donga.com[...] 2010-09-14
[36] 웹사이트 美 화학회 석학회원 한국인 첫 선정 http://www.fnnews.co[...] 2019-07-04
[37] 웹사이트 과학계 신인상 받은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들'…20년 만에 주역으로 우뚝 https://kast.tistory[...] 2020-08-21
[38] 웹사이트 Jinwoo Cheon wins POSCO TJ Prize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13-12-15
[39] 서적 Inchon Prize for Jinwoo Cheon Wiley-VCH 2011
[4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3-12-14
[4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rticle.joins[...] 2013-12-15
[4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rticle.joins[...] 2013-12-15
[43] 웹인용 Glenn T. Seaborg Memorial Lectures in Inorganic Chemistry https://events.berke[...] 2024-11-14
[44] 웹인용 Nanomachines for neuroscience and beyond https://www.bayareas[...] 2024-11-14
[45] 웹인용 천진우 IBS 단장, 한국인 최초 美 글렌 시보그 강연상 https://www.chosun.c[...] 2024-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