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1965년 대한민국 정부와 미국 정부의 합의에 따라 설립된 연구 기관이다. KIST는 한국의 경제 성장과 기술 발전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1969년 완공된 동양 최대 규모의 연구소로 시작했다. 1981년 한국과학원(KAIS)과 통합되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되었다가, 1989년 다시 분리되어 현재의 한국과학기술연구원으로 독립했다. KIST는 뇌과학, 차세대 반도체, 로봇,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국제 협력을 통해 해외 연구 기관과의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과학기술원(UST)과 국제 연구개발 아카데미(IRDA) 등을 통해 과학 기술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건축물 - 경동고등학교
    경동고등학교는 1940년 욱구공립중학교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여러 변화를 겪은 서울 성북구 소재의 공립 고등학교로, 2011년 자율형 공립고등학교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지원하고 2022년 기준 4만 명이 넘는 졸업생을 배출했다.
  • 서울 성북구의 건축물 - 고려대학교안암병원
    고려대학교안암병원은 1991년 서울 안암동으로 이전하여 개원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병원이며, 1928년 조선여자의학강습소로 시작하여 여러 명칭 변경을 거쳐 2023년 최첨단 융복합 센터를 신축했다.
  • 정부출연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정부출연연구기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984년 한국해운기술원으로 시작하여 1997년 여러 기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출범한 해양수산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현재는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이다.
  • 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국립부산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은 부산시의 과학관 유치 운동으로 설립되어 자동차, 조선, 에너지 등 동남권 주력 산업을 주제로 한 과학기술 체험관이며, 2013년 착공하여 2015년 6월에 준공되었고,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 출연하는 국립과학관법인으로 운영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로고
이름한국과학기술연구원
로마자 표기Hangung Gwahakgisul Yeonguwon
한자 표기韓國科學技術硏究院
영어 이름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약칭KIST
설립일1966년 2월 10일
유형공공 연구 기관
소재지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14길 5 (하월곡동)
국가대한민국
캠퍼스서울
웹사이트한국어 웹사이트
영어 웹사이트
조직
기관장윤석진
부기관장오상록
상급기관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타
모토(알 수 없음)
직원(알 수 없음)
예산(알 수 없음)
학생(알 수 없음)
학부생(알 수 없음)
대학원생(알 수 없음)
박사 과정생(알 수 없음)
기타(알 수 없음)
제휴(알 수 없음)

2. 역사

KIST는 1965년 박정희 대통령과 린든 B. 존슨 미국 대통령의 합의로 설립이 추진되었다.[1] 1966년 한국과 미국 정부의 후원으로 설립된 KIST는 국가 경제 성장과 공학 분야의 현대화를 이끄는 최초의 종합 연구 기관이었다. KIST는 한국 산업화 초기 단계에 필요한 기술 개발에 집중하여 산업 현대화에 기여하고 한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또한, 최고의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고 수많은 전문 연구 기관을 설립하여 한국 최고의 과학기술 연구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져왔다.

1981년 한국과학원(KAIS)과 통합되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되었으나, 1989년 다시 분리되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으로 독립하였다.

1996년 KIST 유럽이 설립되었고, 이후 KIST는 국제 R&D 아카데미 개원, 강릉전북 분원 설립, 슈퍼컴퓨터 가동, NMR 시스템 설치, 스핀 트랜지스터 기술 개발 등 연구 역량을 강화해왔다.

KIST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65년한국과 미국의 대통령이 한국 산업 기술 및 응용 과학 연구소 설립에 관한 공동 성명 발표
1966년KIST 설립 및 공식 등록
1969년KIST 개원 기념 건물 준공식 개최
1971년한국 최초의 데스크톱 및 휴대용 계산기 개발
1971년한국 최초의 미국 특허 등록
1972년한국 최초의 컬러 TV 개발
1975년국산 최초의 소형 컴퓨터인 세종 1호 가동 시작
1981년KIST와 한국과학원(KAIS) 통합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설립
1985년석면 대체용 아라미드 섬유 개발 및 콜론(KOLON)으로 기술 이전
1988년KIST 도핑관리센터에서 '88 서울 올림픽 도핑 검사 실시
1989년KAIST에서 분리되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으로 재출범
1996년KIST 유럽 설립
1999년국무총리실 산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RCF) 회원으로 가입
1999년한국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센타우르(Centaur) 개발
2001년KIST 국제 R&D 아카데미(IRDA) 개원식 개최
2003년KIST 강릉 분원 설립
2003년KIST 리눅스 클러스터 슈퍼컴퓨터 가동 시작
2004년교육과학기술부 산하 KRCF 회원으로 재배치
2005년한국 최초로 900 MHz NMR 시스템 설치
2006년신희섭 박사, 한국 최초 국가과학자 선정
2008년KIST 전북 분원 설립
2009년세계 최초로 스핀 트랜지스터 기술(차세대 반도체 산업의 핵심) 개발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발전 (1965년 ~ 1970년대)

1965년 박정희 대통령과 린든 B. 존슨 미국 대통령 간 합의에 따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설립이 추진되었다.[1] 미국의 바텔 연구소(Battelle Memorial Institute)와 기술 협력을 맺고, 김수근이 설계를 맡아 1966년 착공, 1969년에 완공되었다.[1] 총면적 100만m2가 넘는 규모에 내자 36억 1천만 원과 외자 9188000USD가 투입된 대규모 사업이었다.[1]

연구소에는 고온자료, 고체물리, 조선 및 해양, 식량자원, 응용미생물, 종합체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실과 실험실이 마련되었고, 박사 학위 소지자 50여 명을 포함한 300여 명의 연구원이 참여했다.[1] 1971년에는 연구 용역 계약고가 5000만달러를 돌파하는 등 단기간에 세계적인 연구소로 성장했다.[1]

KIST의 설립과 초기 발전 과정을 간략하게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날짜사건
1965년 5월 18일한국과 미국의 대통령이 한국 산업 기술 및 응용 과학 연구소 설립에 관한 공동 성명 발표
1966년 2월 10일KIST 설립 및 공식 등록
1969년 10월 23일KIST 개원 기념 건물 준공식 개최
1971년 2월한국 최초의 데스크톱 및 휴대용 계산기 개발
1971년 11월 23일한국 최초의 미국 특허 등록
1972년 7월 20일한국 최초의 컬러 TV 개발
1975년 10월 13일국산 최초의 소형 컴퓨터인 세종 1호 가동 시작


2. 2. KAIST 통합과 분리 (1980년대 ~ 1990년대)

1981년 한국과학원(KAIS)과 통합되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설립되었다.[1] 1989년 한국과학기술원에서 분리되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으로 재출범하였다.[1]

날짜내용
1981년 1월 5일KIST와 한국과학원(KAIS) 통합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설립[2]
1989년 6월 12일KAIST에서 분리되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으로 재출범[2]


2. 3. 현재 (2000년대 ~ 현재)

1996년 독일 자르브뤼켄에 KIST 유럽연구소가 설립되어 기초 및 응용 연구 분야에서 국제 관계를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1] KIST 유럽은 유럽과 한국 간의 기술 및 경제 협력을 위한 포럼을 만들고, 유럽 국가들과의 과학 기술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혁신적인 오염 관리 기술 개발에 기여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1] 또한 미세유체역학 및 임상 진단, 그리고 학제 간 인간 생명공학 연구에도 힘쓰고 있다.[1]

KIST는 공동 연구 프로젝트, 과학자 교류 프로그램, 국제 워크숍 및 심포지엄 후원을 통해 국제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2] 27개국 70개 이상의 연구 기관과 협력 협정을 체결했으며, 앞으로 그 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2]

KIST 유럽 외에도, KIST는 인도의 풍부한 과학기술 역량을 활용하고 세계 최대 시장 중 하나와의 무역 협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인도-한국 과학기술센터(IKST)를 설립했다.[3] 2010년 설립된 IKST는 KIST가 개발한 기술의 상용화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2013년 11월부터 인도와의 연구 개발 협력을 확대했다.[3] 이를 위해 이승철 박사가 연구개발 책임자로 파견되어 인도의 연구 개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3] 현재 계산 재료 과학 및 대규모 계산을 용이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3]

KIST는 또한 개발도상국에 한국의 성공적인 산업화 경험과 기술을 이전하는 데에도 참여하고 있다.[4] 국제화된 연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캠퍼스 국제화 계획도 꾸준히 추진하여, 해외 과학자들에게 매력적인 연구 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4]

2000년대 이후 KIST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96년KIST 유럽 설립[5]
1999년한국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센타우르(Centaur) 개발
2001년KIST 국제 R&D 아카데미(IRDA) 개원
2003년KIST 강릉 분원 설립
2003년KIST 리눅스 클러스터 슈퍼컴퓨터 가동 시작
2005년한국 최초로 900 MHz NMR 시스템 설치
2006년신희섭 박사, 한국 최초 국가과학자 선정
2008년KIST 전북 분원 설립
2009년세계 최초로 스핀 트랜지스터 기술(차세대 반도체 산업의 핵심) 개발


3. 조직

KIS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 지원 연구기관이다. 기관 행정은 소장, 부소장 및 감사로 구성된다. 현 소장은 아크론 대학교에서 화학공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은 이병권 박사이다.[1]


  • 감사
  • * 감사부
  • 연구기획위원회
  • 연구심의위원회
  • SFS융합연구단
  • 치매DTC융합연구단
  • 연구기획조정본부
  • * 연구개발실
  • ** 기본사업운영팀
  • ** 수탁사업운영팀
  • * 도핑콘트롤센터
  • * 특성분석센터
  • * 안보기술개발단
  • * 연구동물자원센터
  • * 마이크로나노팹센터
  • 대외협력본부
  • * 국제협력실
  • ** 글로벌협력팀
  • ** 학연운영팀
  • * 인재개발실
  • KIST 스쿨
  • * 사무국
  • 경영지원본부
  • * 경영기획실
  • ** 기획예산팀
  • ** 재무팀
  • * 경영관리실
  • ** 총무복지팀
  • ** 인사경영팀
  • ** 구매팀
  • * 문화홍보실
  • ** 홍보팀
  • ** 문화경영팀
  • * 인프라운영실
  • ** 건설운영팀
  • ** 안전·보안팀
  • ** 정보통신팀
  • 기술정책연구소
  • * 정책실
  • ** 정책기획팀
  • ** 미래전략팀
  • ** 연구기획·분석팀
  • * 정책기획관
  • 융합연구정책센터
  • * 융합정책팀
  • 기술사업단
  • * 기술사업화실
  • ** 연구성과확산팀
  • ** 중소기업지원센터
  • VKIST설립지원단
  • * VKIST 사무국


KIST의 행정 부서는 연구기획조정본부, 대외협력본부, 경영지원본부, 기술정책연구소를 포함한다.

3. 1. 연구 조직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2개의 연구소와 2개의 연구본부, 그리고 여러 부서 및 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 '''연구소'''
  • 뇌과학연구소
  • 의공학연구소
  • 녹색도시기술연구소
  • 물자원순환연구단
  • 도시에너지연구단
  • 에너지융합연구단
  • 적정기술사업단
  • 친환경에너지사업단
  • 차세대 반도체연구소
  • 전자재료연구단
  • 스핀융합연구단
  • 인공뇌융합연구단
  • 양자정보연구단
  • 로봇· 미디어 연구소
  • 영상미디어연구단
  • 로봇연구단
  • 로봇기술플랫폼사업단

  • '''연구본부'''
  • 미래융합기술연구본부
  •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이 외에도 연구기획조정본부, 대외협력본부, KIST 스쿨, 경영지원본부, 기술정책연구소, 융합연구정책센터, 기술사업단, VKIST설립지원단 등이 있다.

3. 1. 1. 뇌과학연구소

뇌과학연구소는 신경과학연구단, 기능커넥토믹스연구단, 뇌의약연구단,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신경교세포연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2. 의공학연구소

의공학연구소는 바이오닉스연구단, 생체재료연구단, 테라그노시스연구단, 복잡계 적응항암전략연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3. 미래융합기술연구본부

미래융합기술연구본부에는 다음의 센터들이 있다.

센터
계산과학 연구센터
나노소재 기술개발센터
전통과학기술 연구센터



요약에 제시된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분자인식연구센터'는 원본 소스에 없으므로 추가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전통문화과학기술연구단'은 '전통과학기술 연구센터'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여 내부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다른 부분은 지시사항을 모두 준수하여 수정할 부분이 없습니다.

3. 1. 4.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는 과거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 존재했던 연구본부이다. 다음은 해당 연구본부에 소속되었던 센터 목록이다.

  • 스핀소자 연구센터
  • 나노소재 연구센터
  • 나노포토닉스 연구센터
  • 계면공학 연구센터
  • 고온에너지소재 연구센터
  • 나노하이브리드 연구센터
  • 전자재료 연구센터
  • 생체분자 기능 연구센터
  • 계산과학 연구센터
  • 나노시스템 연구센터
  • 나노소재 기술개발센터
  • 전통과학기술 연구센터
  • 금속 및 재료 신뢰성 평가센터

3. 2. 행정 조직

KIS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 지원 연구기관이다. 기관 행정은 소장, 부소장 및 감사로 구성된다. 현 소장은 아크론 대학교에서 화학공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은 이병권 박사이다.[1] 행정 부서는 연구기획조정본부, 대외협력본부, 경영지원본부, 기술정책연구소를 포함한다.

3. 3. 분원

KIST는 강릉시, 전라북도에 분원을 설립하여 각 지역의 R&D 특화 분야에서 대학, 연구소, 산업계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유럽 국가들과의 국제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독일에 분원을 설립했다.[1]

  • 강릉분원천연물연구소는 동해안 지역의 천연물을 활용한 생리활성물질 개발 및 강원도 환경보전 연구 등 지역 특성에 맞춘 전문 연구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1]
  • 전북분원복합소재기술연구소는 복합소재 산업 발전을 선도하기 위한 목표로 2008년 전라북도 완주군에 설립되었다.[1]
  • KIST유럽연구소는 1996년 독일 자르브뤼켄에 설립되었으며, 기초 및 응용 연구 분야에서 국제 관계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KIST Europe의 주요 목표는 유럽과 한국 간의 기술 및 경제 협력을 위한 포럼 조성, 유럽 국가들과의 과학 기술 협력 증진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그리고 혁신적인 오염 관리 기술 개발에 기여하는 것이다. 또한 미세유체역학 및 임상 진단, 그리고 학제 간 인간 생명공학 연구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1]
  • 인도-한국 과학기술센터는 2010년 인도 벵갈루루에 설립되어 한국과 인도 간 과학기술 분야의 글로벌 지식 플랫폼(Global Knowledge Platform, GKP) 구축이라는 특화된 목표를 가지고 있다.[1]

4. 주요 연구 분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과학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하위 섹션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로봇 및 인공지능', '미래 융합 기술' 분야는 생략)

KIST는 국가 어젠다 연구부를 통해 재생 에너지, 탄소 순환, 물 순환 및 로봇 공학 관련 독창적인 기술 개발을 담당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연료전지 연구센터
  • 태양전지 연구센터
  • 에너지 저장 연구센터
  • 청정에너지 연구센터
  • 수자원 연구센터
  • 환경센서 시스템 연구센터
  • 에너지 기계 연구센터
  • 상호작용 및 로봇공학 연구센터
  • R-러닝 개발, 홍보 및 지원 센터

4. 1. 로봇 및 인공지능

2005년 11월 4일, 일본의 로봇 크로이노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로봇 디자인 포럼에 등장한 적이 있다.[4]

4. 2. 미래 융합 기술

KIST영어는 미래 융합 기술 분야로 아래의 연구센터들을 산하에 두고 있다.

연구 센터명
스핀 소자 연구센터
나노소재 연구센터
나노포토닉스 연구센터
계면공학 연구센터
고온에너지소재 연구센터
나노하이브리드 연구센터
전자 재료 연구센터
생체분자 기능 연구센터
계산과학 연구센터
나노시스템 연구센터
나노소재 기술개발센터
전통과학기술 연구센터
금속 및 재료 신뢰성 평가센터


4. 3. 기타 연구 분야

국가 어젠다 연구부는 재생에너지원, 탄소순환, 물순환 및 로봇공학 관련 독창적인 기술 개발을 담당한다.

  • 연료전지 연구센터
  • 태양전지 연구센터
  • 에너지 저장 연구센터
  • 청정에너지 연구센터
  • 수자원 연구센터
  • 환경센서 시스템 연구센터
  • 에너지 기계 연구센터
  • 상호작용 및 로봇공학 연구센터
  • R-러닝 개발, 홍보 및 지원 센터

5. 국제 협력

1996년 독일 자르브뤼켄에 설립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럽연구소(KIST Europe)는 기초 및 응용 연구 분야에서 국제 관계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KIST Europe의 주요 목표는 유럽한국 간의 기술 및 경제 협력을 위한 포럼 조성, 유럽 국가들과의 과학 기술 협력 증진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그리고 혁신적인 오염 관리 기술 개발에 기여하는 것이다. 또한 미세유체역학 및 임상 진단, 그리고 학제 간 인간 생명공학 연구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1]

인도-한국 과학기술센터(Indo-Korea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Bangalore)는 2010년 인도 벵갈루루에 설립되어 한국과 인도 간 과학기술 분야의 글로벌 지식 플랫폼(Global Knowledge Platform, GKP) 구축이라는 특화된 목표를 가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공동 연구 프로젝트, 과학자 교류 프로그램, 국제 워크숍 및 심포지엄 후원을 통해 국제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 27개국 70개 이상의 연구 기관과 협력 협정을 체결했으며, 향후 몇 년 동안 그 수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

KIST는 인도의 풍부한 과학기술 역량을 활용하고 세계 최대 시장 중 하나와의 무역 협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인도-한국 과학기술센터(IKST)를 설립했다. 2010년 설립된 IKST는 한국 KIST가 개발한 기술의 상용화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2013년 11월부터 인도와의 연구 개발 협력을 확대했다. 이를 위해 이승철 박사가 연구개발 책임자로 한국에서 파견되어 인도의 연구 개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계산 재료 과학 및 대규모 계산을 용이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1]

KIST는 또한 개발도상국에 한국의 성공적인 산업화로 이어진 경험과 기술을 이전하는 데에도 참여하고 있다. 국제화된 연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캠퍼스 국제화 계획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외 과학자들에게 매력적인 연구 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1]

KIST의 국제 공동 연구소는 다음과 같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싱가포르과학기술청 공동연구소 (KIST-SSSA)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럽 분원 (KIST Europe Branch Lab)
  • 한국과학기술연구원-퍼듀대학교(KIST-Purdue University)
  • 한국과학기술연구원-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KIST-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1]

6. 학술 프로그램

한국과학기술원(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은 KIST를 포함한 한국의 22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설립한 대학원급 교육기관으로, 과학기술 분야 다양한 전공을 제공한다. UST 학생들은 연구 프로젝트와 산업 현장 실습에 참여하여 각 전공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현장 및 연구 중심 교육훈련을 받는다.

KIST는 2001년 대학원 과정으로 국제 연구개발 아카데미(IRDA)를 설립했다. 이 프로그램은 유망한 외국 과학자 및 엔지니어에게만 개방된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장차 외국 과학자 및 엔지니어들이 각자의 국가에서 학계 및 산업계 연구원이 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IRDA에 입학한 학생들은 KIST가 UST를 통해 학위를 수여하므로 UST에 등록된다.

2010년 기준으로 이스라엘, 러시아,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20개국 이상의 약 100명의 학생들이 KIST의 기술 및 연구개발 지식 교육 멘토링 시스템을 통해 KIST에서 연구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여 학제 간 융합 기술, 재료 및 장치, 로봇 및 시스템, 에너지, 환경, 생명 및 건강 분야를 연구했다.

KIST-대학 협력 프로그램은 한국의 대학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수행되는 과학기술 교육 프로그램이다. 참여 학생들은 소속 대학에서 기본 이수 과정을 이수해야 하며, 학업 시작 후 KIST에서 연구와 석사/박사 논문 프로젝트에 동시에 참여할 수 있다. KIST 연구원들은 학생들이 속한 대학의 교수진과 함께 공동 지도교수 역할을 한다.

KIST는 국제적인 전문가를 위한 스타 박사후과정(Star-Postdoctoral Program)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연중 수시 모집 및 안전한 검증 시스템을 통해 과학기술 분야의 새로운 글로벌 인재를 유치하고자 한다. 또한 KIST는 박사후연구원 프로그램(Postdoctoral Fellow Program)이라는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7. 비판 및 논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기초기술연구회 인력을 실제보다 매년 36~50명씩 과다 보고하여, 직원 성과급 등으로 인건비 58억을 부당하게 집행한 사실이 감사원 감사 결과 드러났다.[5]

8. 기타

KIST영어가 개발한 영어 교육 로봇은 타임지가 선정한 '2010년 50대 최고 발명품'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1], CNN[2]뉴욕 타임스[3]에도 소개되는 등 언론의 큰 주목을 받았다.

참조

[1] 뉴스 Time (November 11, 2010) https://web.archive.[...] Time 2010-11-11
[2] 뉴스 South Korea robot teachers http://edition.cnn.c[...] CNN 2010-11-22
[3] 뉴스 Teaching Machine Sticks to Script in South Kore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3-02-22
[4] 뉴스 귀엽고 앙증맞은 日 로봇 '크로이노' https://www.hellodd.[...] 헬로디디 2005-11-06
[5] 뉴스 KIST, 인원 부풀려 성과급 잔치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3-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