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화학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화학회는 1946년 조선화학회로 창립되어 194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화학 분야 학술 단체이다. 화학 및 응용 기술 발전을 목표로 하며, 매년 정기총회와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한국화학올림피아드(KChO)를 주관한다. 또한, 학술지 《대한화학회지》와 영문 학술지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등을 발간하며,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의 국가 회원 기관으로 활동한다. 대한화학회는 12개의 지부, 12개의 분과회, 18개의 위원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시상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회 - 왕립화학회
    왕립화학회는 1841년 설립된 화학회를 기원으로 하는 영국의 학술 단체로서, 학술지 출판, 학회 개최, 교육 활동, 자격 인증 등을 통해 화학 분야 발전에 기여하며 공인화학자 자격 수여 및 상과 메달을 수여하는 화학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과학 단체 - 대한민국학술원
    대한민국학술원은 대한민국학술원법에 따라 설립된 학술 기관으로, 정부 학술 정책 자문, 학술 연구 지원, 국내외 학술 교류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 분야 최고 권위자인 회원들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과학 단체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자문 역할을 수행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감독을 받는,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199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학술 기관이다.
  • 서울 성북구 - 의릉 (조선 경종)
    의릉은 조선 20대 왕 경종과 계비 선의왕후 어씨의 능으로, 서울 성북구 천장산에 쌍릉 형태로 조성되었으며, 특이하게 능의 배치가 위아래로 되어 있고 왕릉과 왕비릉 모두 병풍석 없이 난간석을 둘렀다는 특징이 있다.
  • 서울 성북구 - 아리랑정보도서관
    아리랑정보도서관은 2004년 5월 4일에 개관했으며, 현재 시설 현황과 이용 안내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
대한화학회
기본 정보
이름대한화학회
원어 명칭Korean Chemical Society
약칭KCS
유형학술단체
형태사단법인
목적화학 및 그 응용에 관한 학술과 기술의 발전 및 보급에 기여함으로써 과학과 기술의 진흥에 이바지함
위치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19 한국화학회관 4층
언어한국어
웹사이트대한화학회 공식 웹사이트
조직
회장현-준 하
주요 인물이태규(초대 회장)
직원 수약 7000명
기타
관련 저널저널

2. 연혁

1946년 '조선화학회'로 창립되었다. 1949년 대한화학회로 이름을 바꾸고, 학술지 《대한화학회지》를 창간하였다. 1963년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에 가입하였다. 1980년에는 영문 학술지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를 발간하기 시작했다. 2002년에는 《대한화학회지》가 KCI에 등재되었다. 2020년에는 학회 창립 75주년 기념 학술 활동을 시행하였다.

3. 설립 목적

대한화학회는 화학 및 그 응용에 관한 학술과 기술의 발전 및 보급에 기여함으로써 과학과 기술의 진흥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이는 공익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것으로, 사회 일반의 이익에 공여하기 위함이다.

4. 주요 활동

대한화학회는 매년 정기총회와 여러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또한 KChO를 주관한다. KChO는 국내에서 잘 알려진 화학 경시대회이며, IChO 한국 대표팀 선발전을 겸한다. KChO는 여름학교와 겨울학교 각 두 차례로 구성된다. 만 16세 이상의 모든 고등학생은 학교 예선 시험에 참가할 수 있다. 계절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은 교수진의 강의를 듣고 시험을 치르며, 실험 시험도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화학올림피아드를 참조한다. 이는 화학 교육 및 확산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아울러 1967년 정부가 제정한 과학의 날(4월 21일)에는 중학생 대상 ‘화학시화 공모전’과 초·중학생 대상 ‘화학 포스터 공모전’을 개최한다. 수상작은 http://new.kcsnet.or.kr/contest_poem_result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한화학회는 2012년 탄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알리기 위해 ‘탄소문화상’을 제정했다. IUPAC의 국가 회원 기관으로서 한국어 화학 용어 및 화합물 명명법을 편찬하는 활동도 수행한다.

4. 1. 화학 용어 제정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화학 용어를 제정한다. 2014년에 개정된 화학용어 개정안에 따라 기존에 복수 표준으로 인정하던 소듐, 나트륨, 포타슘, 칼륨을 소듐과 포타슘의 단일 표준으로 변경하였다.

또한 기존에 알칸과 알킨으로 부르던 alkane과 alkyne을 알케인알카인으로 변경하였다. alkene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알켄으로 부른다.

대한화학회는 IUPAC의 국가 회원 기관으로서 한국어 화학 용어 및 화합물 명명법을 편찬하는 활동도 수행한다.

4. 2. 학술지 발간

대한화학회는 총 3개의 간행물을 발매하고 있다.[1]

  • 《대한화학회지》 (격월, 국문)[1]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약어 '''BKCS''', 월간, 영문, SCI)[1]
  • 《화학세계》 (월간)[1]


대한화학회지(Bulletin of Korean Chemical Society)는 기초 및 응용 화학 분야를 대표하는 대한화학회의 주력 학술지이다. 화학계의 광범위한 국제 독자들에게 호소력을 지니고 있다. 대한화학회의 공식 학술지로서 전 세계 화학계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엄격한 동료 심사를 거치며 영어로 작성된 논문을 환영한다. Wiley-VCH와 공동으로 발행되며, 모든 분야의 화학자들이 읽고 있다. 본 학술지는 SCI(Science Citation Index) 색인에 등재되어 있다.

협약 발간지는 다음과 같다.

  • 《Chemistry, an Asian Journal》
  • 《Asian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 《Physical Chemistry Chemical Physics》
  • 《ChemNanoMat》


《화학교육지》는 계간으로 발행되었으나, 2012년부터 휴간되었다.

4. 3. 학술대회 및 행사 개최

대한화학회는 매년 정기총회와 여러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또한 KChO를 주관한다. KChO는 국내에서 잘 알려진 화학 경시대회이며, IChO 한국 대표팀 선발전을 겸한다. KChO는 여름학교와 겨울학교 각 두 차례로 구성된다. 만 16세 이상의 모든 고등학생은 학교 예선 시험에 참가할 수 있다. 계절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은 교수진의 강의를 듣고 시험을 치르며, 실험 시험도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화학올림피아드를 참조한다. 이는 화학 교육 및 확산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아울러 1967년 정부가 제정한 과학의 날(4월 21일)에는 중학생 대상 ‘화학시화 공모전’과 초·중학생 대상 ‘화학 포스터 공모전’을 개최한다. 수상작은 http://new.kcsnet.or.kr/contest_poem_result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한화학회는 2012년 탄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알리기 위해 ‘탄소문화상’을 제정했다.

4. 4. 화학 대중화

대한화학회는 한국화학올림피아드(KChO)를 주관한다. KChO는 국제화학올림피아드(IChO) 한국 대표팀 선발전을 겸하는 국내에서 잘 알려진 화학 경시대회이다. KChO는 여름학교와 겨울학교 각 두 차례로 구성되며, 만 16세 이상의 모든 고등학생은 학교 예선 시험에 참가할 수 있다. 계절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은 교수진의 강의를 듣고 시험 및 실험 시험을 치른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화학올림피아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967년 정부가 제정한 과학의 날(4월 21일)에는 중학생 대상 ‘화학시화 공모전’과 초·중학생 대상 ‘화학 포스터 공모전’을 개최한다. 수상작은 대한화학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2년에는 탄소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탄소문화상’을 제정했다.

5. 조직 구성

대한화학회는 12개의 지부, 12개의 분과회, 18개의 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운영위원회대한화학회 운영위원회는 회장과 부회장단을 비롯하여, 총무, 학술, 기획, 홍보, 산학협력, 국제협력, 교육 부문별 담당자로 구성된다. 각 부문에는 실무이사가 배정되어 업무를 지원한다. 총무, 기획, 국제협력, 학술, 홍보, 산학협력 부문은 각 3명, 교육 부문은 2명의 실무이사로 구성된다.
지부 및 지회대한화학회는 전국에 12개의 지부 및 지회를 두고 활동하고 있다. 강원지부, 경기지부, 경남지부, 광주·전남지부, 대구·경북지부, 대전·충남·세종지부, 부산지부, 울산지부, 인천지부, 전북지부, 충북지부가 있으며, 제주지회가 있다.
분과회대한화학회에는 고분자화학분과회, 공업화학분과회, 무기화학분과회, 물리화학분과회, 분석화학분과회, 생명화학분과회, 유기화학분과회, 의약화학분과회, 재료화학분과회, 전기화학분과회, 화학교육분과회, 환경에너지분과회가 있다.
위원회대한화학회에는 국제협력위원회, 기금위원회, 선거관리위원회, 여성위원회, 연구실안전위원회, 연구윤리위원회, 정보화사업위원회, 출판위원회, 학술위원회, 학술지간행위원회가 있다. BKCS 편집위원회와 JKCS 편집위원회, 한만정학술상위원회, 화학교육위원회, 화학대중화위원회, 화학세계편집위원회, 화학술어위원회, 화학올림피아드위원회, 화학전공학위인증위원회도 운영되고 있다.

5. 1. 운영위원회

대한화학회 운영위원회는 회장과 부회장단을 비롯하여, 총무, 학술, 기획, 홍보, 산학협력, 국제협력, 교육 부문별 담당자로 구성된다. 각 부문에는 실무이사가 배정되어 업무를 지원한다. 총무, 기획, 국제협력, 학술, 홍보, 산학협력 부문은 각 3명, 교육 부문은 2명의 실무이사로 구성된다.

5. 2. 지부 및 지회

대한화학회는 전국에 12개의 지부 및 지회를 두고 활동하고 있다. 강원지부, 경기지부, 경남지부, 광주·전남지부, 대구·경북지부, 대전·충남·세종지부, 부산지부, 울산지부, 인천지부, 전북지부, 충북지부가 있으며, 제주지회가 있다.

5. 3. 분과회

대한화학회에는 고분자화학분과회, 공업화학분과회, 무기화학분과회, 물리화학분과회, 분석화학분과회, 생명화학분과회, 유기화학분과회, 의약화학분과회, 재료화학분과회, 전기화학분과회, 화학교육분과회, 환경에너지분과회가 있다.

5. 4. 위원회

대한화학회에는 국제협력위원회, 기금위원회, 선거관리위원회, 여성위원회, 연구실안전위원회, 연구윤리위원회, 정보화사업위원회, 출판위원회, 학술위원회, 학술지간행위원회가 있다. BKCS 편집위원회와 JKCS 편집위원회, 한만정학술상위원회, 화학교육위원회, 화학대중화위원회, 화학세계편집위원회, 화학술어위원회, 화학올림피아드위원회, 화학전공학위인증위원회도 운영되고 있다.

6. 시상

wikitable

수상
명칭시행 주기
대한화학회 공로상3년마다
학술상매년
우수논문상매년
학술진흥상매년
산업진흥상매년
교육진흥상매년
화학교육상2년마다
우수화학교사상매년
우수박사학위논문상매년
우수포스터발표상2년마다
화학분야 CEO상매년


7. 국제 협력

대한화학회(KCS)는 12개의 지부, 12개의 부서, 3개의 편집위원회 및 이사회를 포함한 운영위원회를 두고 있다. “대한화학회지”, “Bulletin of Korean Chemical Society”(영문, 월간, 1981년부터 SCI 등재), “아시아 화학 저널(Chemistry: An Asian Journal)”, “물리화학화학물리(Physical Chemistry Chemical Physics)”, 그리고 대한화학회 뉴스레터인 “ChemWorld”를 포함한 여러 학술지를 발행한다. 다른 국제 화학 학회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으며,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과 아시아 화학 연맹(FACS)의 회원 단체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