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외 충격파 쇄석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신장 결석을 치료하는 비침습적 방법으로, 외부에서 고밀도 음향 펄스를 가해 결석을 분쇄한다. 1969년 독일 국방부의 자금 지원으로 연구가 시작되어, 1980년 최초로 인간에게 적용되었으며 1984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시술 시 진정 또는 마취를 시행하며, 형광 투시 X선 또는 초음파 촬영을 통해 결석 위치를 확인한다. 이 시술은 다른 침습적 치료법에 비해 결석 제거율이 낮고, 통증,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체외 충격파 쇄석술 | |
---|---|
기본 정보 | |
![]() | |
일반 사항 | |
ICD10 | 해당 없음 |
MeSH ID | D008096 |
기타 코드 | 해당 없음 |
2. 역사
체외 충격파 쇄석술(SWL)은 1980년 2월 최초로 인간에게 시행된 치료법이다.[4] 1983년 말 도니어 HM3 쇄석기가 개발 및 배급되었고, 1984년 미국 식품의약국의 승인을 받았다.[4]
2. 1. 개발
1969년을 기점으로 독일 국방부의 자금 지원을 받은 도니어는 조직에 대한 충격파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1972년 도니어 메디컬 시스템즈가 수행한 기초 연구를 기반으로 뮌헨 대학교의 비뇨기학 책임자 에그베르트 슈미트(Egbert Schmiedt)와 합의에 도달하였다. 도니어 쇄석술의 개발은 여러 원형들을 통해 발전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1980년 2월 최초로 인간에게 충격파 쇄석술(SWL)을 사용하여 치료하기에 이른다. 도니어 HM3 쇄석기의 개발과 배급은 1983년 말에 시작되었으며 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1984년 미국 식품의약국에 의해 승인되었다.[4]2. 2. 발전 및 보급
1969년을 기점으로 독일 국방부의 자금 지원을 받은 도니어는 조직에 대한 충격파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1972년 도니어 메디컬 시스템즈(Dornier Medical Systems)가 수행한 기초 연구를 기반으로 뮌헨 대학교의 비뇨기학 책임자 에크베르트 슈미트(Egbert Schmiedt)와 합의에 도달하였다. 도니어 쇄석술의 개발은 여러 원형들을 통해 발전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1980년 2월 최초로 인간에게 충격파 쇄석술(SWL)을 사용하여 치료하기에 이른다.[4] 도니어 HM3 쇄석기의 개발과 배급은 1983년 말에 시작되었으며 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1984년 미국 식품의약국에 의해 승인되었다.[4]3. 비침습 치료
체외 충격파 쇄석술(ESWL)은 몸 밖에서 충격파를 발생시켜 몸 안의 결석을 잘게 부수는 비침습적 치료 방법이다. 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다른 침습적 치료 방식들에 비해 결석 제거율이 낮고,[6] 충격파로 인해 모세혈관 손상,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드물게는 신부전, 고혈압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5]
3. 1. 시술 과정
쇄석기는 외부에서 적용되고 고밀도로 집중되는 음향 펄스를 사용하여 부수적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쇄석을 시도한다. 환자를 가만히 있도록 하고 잠재적인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에게 시술할 때 진정작용 또는 마취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5] 환자는 기구의 침상에 눕고 등은 물로 채워진 기기에 지탱하며 콩팥이 있는 곳까지 위치시킨다. 형광 투시 엑스선 촬영 시스템이나 초음파 촬영 시스템을 사용하여 치료를 위해 돌 방향으로 조준하게 된다.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확고한 결석 치료를 위한 최소한의 침습을 동반하지만 RIRS(retrogade intrarenal surgery) 또는 경피적신쇄석술 또는 레이저 쇄석술을 동반한 요관경검사 등 기타 다른 침습 치료 방식들에 비해 더 낮은 결석 제거율을 보인다.[6] 돌 조각들이 빠져나가는 데까지는 수일에서 1주가 소요될 수 있으며 환자와 시술의 성공 정도에 따라 온화한 정도에서 극심한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시기에 환자는 가능한 물을 많이 마실 것을 지시받는다.
체외 충격파 쇄석술 자체가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다. 충격파 그 자체 외에도 소변 매개체의 움직임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현상의 거품들은 모세혈관 손상, 신실질, 피막하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신부전과 고혈압과 같은 장기간의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다. ESWL의 전반적인 합병증 비율은 3%에서 20% 사이이다. 종종 환자들은 감염을 경험하므로 의료 전문의는 발열이 발생할 경우 조속히 의료적인 지원을 받을 것을 충고한다.
3. 2. 치료 효과 및 한계
쇄석기는 외부에서 적용되고 고밀도로 집중되는 음향 펄스를 사용하여 부수적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쇄석을 시도한다. 환자를 가만히 있도록 하고 잠재적인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에게 시술할 때 진정작용 또는 마취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5] 환자는 기구의 침상에 눕고 등은 물로 채워진 기기에 지탱하며 콩팥이 있는 곳까지 위치시킨다. 형광 투시 엑스선 촬영 시스템이나 초음파 촬영 시스템을 사용하여 치료를 위해 돌 방향으로 조준하게 된다.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확고한 결석 치료를 위한 최소한의 침습을 동반하지만 RIRS(retrogade intrarenal surgery) 또는 경피적신쇄석술 또는 레이저 쇄석술을 동반한 요관경검사 등 기타 다른 침습 치료 방식들에 비해 더 낮은 결석 제거율을 보인다.[6] 돌 조각들이 빠져나가는 데까지는 수일에서 1주가 소요될 수 있으며 환자와 시술의 성공 정도에 따라 온화한 정도에서 극심한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시기에 환자는 가능한 물을 많이 마실 것을 지시받는다.
체외 충격파 쇄석술 자체가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다. 충격파 그 자체 외에도 소변 매개체의 움직임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현상의 거품들은 모세혈관 손상, 신실질, 피막하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신부전과 고혈압과 같은 장기간의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다. ESWL의 전반적인 합병증 비율은 3%에서 20% 사이이다. 종종 환자들은 감염을 경험하므로 의료 전문의는 발열이 발생할 경우 조속히 의료적인 지원을 받을 것을 충고한다.
4. 합병증 및 부작용
체외 충격파 쇄석술(ESWL)은 음향 펄스를 집중시켜 결석을 분쇄하는 비침습적 치료법이다. 시술 시 환자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진정작용이나 마취를 시행한다.[5]
ESWL은 다른 침습적 치료법에 비해 결석 제거율이 낮을 수 있다.[6] 결석 조각이 배출되는 데 수일에서 1주일 정도 걸릴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 후에는 충분한 수분 섭취가 권장된다.
ESWL은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지만, 다음과 같은 합병증 및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 일반적인 부작용:
- 통증: 결석 조각이 배출되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 혈뇨: 충격파로 인해 모세혈관이 손상되어 혈뇨가 나타날 수 있다.
-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
- 신장 손상: 충격파나 소변 내 기포 형성으로 인해 신실질 또는 피막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신부전이나 고혈압으로 이어질 수 있다.
- 감염: 드물게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ESWL의 전반적인 합병증 발생률은 3~20% 정도이다.
4. 1. 일반적인 부작용
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결석 치료를 위한 최소한의 침습적인 방법이지만, RIRS(역행성 신장 내 수술), 경피적신쇄석술, 레이저 쇄석술을 동반한 요관경검사 등 다른 침습적 치료 방식들에 비해 결석 제거율이 낮다.[6] 돌 조각이 빠져나가는 데는 수일에서 1주가 소요될 수 있으며, 환자와 시술 성공 정도에 따라 가벼운 통증에서 극심한 통증까지 나타날 수 있다. 이 시기에 환자는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다.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다. 충격파 자체 외에도 소변 매개체의 움직임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 현상의 거품은 모세혈관 손상, 신실질, 피막하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신부전과 고혈압 같은 장기간의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 ESWL의 전반적인 합병증 비율은 3%에서 20% 사이이다. 환자들이 감염을 경험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의료 전문의는 발열 발생 시 조속히 의료 지원을 받을 것을 권고한다.
4. 2. 드물지만 심각한 부작용
쇄석기는 외부에서 적용되고 고밀도로 집중되는 음향 펄스를 사용하여 부수적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쇄석을 시도한다. 환자를 가만히 있도록 하고 잠재적인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에게 시술할 때 진정작용 또는 마취를 하는 것이 보통이다.[5]체외 충격파 쇄석술 자체가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다. 충격파 그 자체 외에도 소변 매개체의 움직임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현상의 거품들은 모세혈관 손상, 신실질, 피막하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신부전과 고혈압과 같은 장기간의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다. ESWL의 전반적인 합병증 비율은 3%에서 20% 사이이다. 종종 환자들은 감염을 경험하므로 의료 전문의는 발열이 발생할 경우 조속히 의료적인 지원을 받을 것을 충고한다.
5. 추가 문헌
- Abe T, Akakura K, Kawaguchi M, et al. (2005). “Outcomes of shockwave lithotripsy for upper urinary-tract stones: a large-scale study at a single institution”. 《J. Endourol.》 19 (7): 768–73.
- Albala DM, Assimos DG, Clayman RV, et al. (2001). “Lower pole I: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and percutaneous nephrostolithotomy for lower pole nephrolithiasis-initial results”. 《The Journal of Urology》 166 (6): 2072–80.
- Anagnostou T, Tolley D. (2004). “Management of ureteric stones”. 《Eur. Urol.》 45 (6): 714–21.
- Auge BK, Preminger GM. (2002). “Update on shock wave lithotripsy technology”. 《Curr. Opin. Urol.》 12 (4): 287–90.
- Chacko J, Moore M, Sankey N, Chandhoke PS. (2006). “Does a slower treatment rate impact the efficacy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for solitary kidney or ureteral stones?”. 《J. Urol.》 175 (4): 1370–3.
- Chaussy CG, Fuchs GJ. (1989). “Current state and future developments of noninvasive treatment of human urinary stones with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J Urol.》 141 (3 Pt 2): 782–9.
- Collins JW, Keeley FX. (2002). “Is there a role for prophylactic shock wave lithotripsy for asymptomatic calyceal stones?”. 《Curr. Opin. Urol.》 12 (4): 281–6.
- Delius M. (1988). “This month in Investigative Urology: effect of extracorporeal shock waves on the kidney”. 《J. Urol.》 140 (2): 390.
- Hayes J, Ding S. (2012). “Pancreatic stone and treatment using ERCP and ESWL procedures: a case study and review”. 《NZMJ》 125 (1361).
- Joshi HB, Obadeyi OO, Rao PN. (1999). “A comparative analysis of nephrostomy, JJ stent and urgent in situ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for obstructing ureteric stones”. 《BJU Int.》 84 (3): 264–9.
- Kim FJ, Rice KR. (2006). “Prediction of shockwave failure in patients with urinary tract stones”. 《Curr. Opin. Urol.》 16 (2): 88–92.
- Krambeck AE, Gettman MT, Rohlinger AL, et al. (2006).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associated with shock wave lithotripsy of renal and proximal ureteral stones at 19 years of followup”. 《J. Urol.》 175 (5): 1742–7.
- Lee C, Ugarte R, Best S, Monga M. (2007). “Impact of renal function on efficacy of extracorporeal shockwave lithotripsy”. 《J. Endourol.》 21 (5): 490–3.
- Lee YH, Tsai JY, Jiaan BP, et al. (2006).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mparing shock wave lithotripsy and ureteroscopic lithotripsy for management of large upper third ureteral stones”. 《Urology》 67 (3): 480–4.
- Lindqvist K, Holmberg G, Peeker R, Grenabo L. (2006). “Extracorporeal shock-wave lithotripsy or ureteroscopy as primary treatment for ureteric stones: a retrospective study comparing two different treatment strategies”. 《Scand. J. Urol. Nephrol.》 40 (2): 113–8.
- Lingeman JE, Zafar FS. (1996). “Lithotripsy systems”. In Smith AD, Badlani GH, Bagley DH, et al. 《Smith's Textbook of Endourology》. St Louis, Mo: Quality Medical Publishing. 553–89.
- Lingeman JE, Kim SC, Kuo RL, et al. (2003). “Shockwave lithotripsy: anecdotes and insights”. 《J. Endourol.》 17 (9): 687–93.
- Liou LS, Streem SB. (2001). “Long-term renal functional effects of shock wave lithotripsy, percutaneous nephrolithotomy and combination therapy: a comparative study of patients with solitary kidney”. 《J. Urol.》 166 (1): 36.
- Macaluso JN, Thomas R. (1991).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an outpatient procedure”. 《The Journal of Urology》 146 (3): 714–7.
- Macaluso JN. (1996). “Management of stone disease-bearing the burden”. 《The Journal of Urology》 156 (5): 1579–80.
- Macaluso JN. (2004). “Shock Wave Lithotripsy for Stones in the Ureter”. 《Business Briefing: North America Pharmacotherapy》: 85–88.
- Macaluso JN. (1999). “Editorial Comment: re Incorporation of patient preferences in the treatment of upper urinary tract calculi: a decision analytical view”. 《Journal of Urology》 162.
- Madaan S, Joyce AD. (2007). “Limitations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Curr. Opin. Urol.》 17 (2): 109–13.
- Martin TV, Sosa RE. (1998). “Shock-wave lithotripsy”. In Walsh PC, Retik AB, Vaughan ED, Wein AJ. 《Campbell's Urology》. 3 (7th ed.). Philadelphia, Pa: WB Saunders. 2735–52.
- Micali S, Grande M, Sighinolfi MC, et al. (2007). “Efficacy of expulsive therapy using nifedipine or tamsulosin, both associated with ketoprofene, after shock wave lithotripsy of ureteral stones”. 《Urol. Res.》 35 (3): 133–7.
- Moody JA, Evans AP, Lingeman JE. (2001). “Extracorporeal shockwave lithotripsy”. In Weiss RM, George NJR, O'Reilly PH. 《Comprehensive Urology》. Mosby International Limited. 623–36.
- Pareek G, Armenakas NA, Fracchia JA. (2003). “Hounsfield units on computerized tomography predict stone-free rates afte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J. Urol.》 169 (5): 1679–81.
- Pearle MS, Lingeman JE, Leveillee R, et al. (2005).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comparing shock wave lithotripsy and ureteroscopy for lower pole caliceal calculi 1 cm or less”. 《The Journal of Urology》 173 (6): 2005–9.
- Putman SS, Hamilton BD, Johnson DB. (2004). “The use of shock wave lithotripsy for renal calculi”. 《Curr. Opin. Urol.》 14 (2): 117–21.
- Sayed MA, el-Taher AM, Aboul-Ella HA, Shaker SE. (2001). “Steinstrasse after extracorporeal shockwave lithotripsy: aetiology, prevention and management”. 《BJU Int.》 88 (7): 675–8.
- Segura JW, Preminger GM, Assimos DG, et al. (1994). “Nephrolithiasis Clinical Guidelines Panel summary report on the management of staghorn calculi”. 《J. Urol.》 (The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Nephrolithiasis Clinical Guidelines Panel) 151 (6): 1648–51.
- Segura JW, Preminger GM, Assimos DG, et al. (1997). “Ureteral Stones Clinical Guidelines Panel summary report on the management of ureteral calculi”. 《The Journal of Urology》 (The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158 (5): 1915–21.
- Sheir KZ, Madbouly K, Elsobky E, Abdelkhalek M. (2003).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in anomalous kidneys: 11-year experience with two second-generation lithotripters”. 《Urology》 62 (1): 10–5.
- Sheir KZ, El-Diasty TA, Ismail AM. (2005). “Evaluation of a synchronous twin-pulse technique for shock wave lithotripsy: the first prospective clinical study”. 《BJU Int.》 95 (3): 389–93.
- Skolarikos A, Alivizatos G, de la Rosette J. (2006).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25 years later: complications and their prevention”. 《Eur. Urol.》 50 (5): 981–90.
- Tan EC, Tung KH, Foo KT. (1991). “Comparative studies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by Dornier HM3, EDAP LT 01 and Sonolith 2000 devices”. 《J. Urol.》 146 (2): 294–7.
- Thomas R, Macaluso JN, Vandenberg T, Salvatore F. (1993). “An innovative approach to management of lower third ureteral calculi”. 《Journal of Urology》 149 (6): 1427–1430.
- Unal B, Kara S, Bilgili Y, et al. (2005). “Giant abdominal wall abscess dissecting into thorax as a complication of ESWL”. 《Urology》 65 (2): 389.
- Weiland D, Lee C, Ugarte R, Monga M. (2007). “Impact of shockwave coupling on efficacy of extracorporeal shockwave lithotripsy”. 《J. Endourol.》 21 (2): 137–40.
- Winters JC, Macaluso JN. (1995). “Ungated Medstone Outpatient Lithotripsy”. 《Journal of Urology》 153 (3): 593–595.
참조
[1]
저널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versus percutaneous nephrolithotomy (PCNL) or retrograde intrarenal surgery (RIRS) for kidney stones
http://onlinelibrary[...]
2015-04-02
[2]
웹인용
Salivary duct stones: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www.nlm.nih.g[...]
[3]
웹인용
Pancreatic stone and treatment using ERCP and ESWL procedures: a case study and review - New Zealand Medical Journal
https://web.archive.[...]
2017-12-13
[4]
웹인용
Gastroenterology and Urology Devices; Reclassification of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ter AGENCY: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HS ACTION: Proposed rule
http://www.fda.gov/o[...]
Federal Register (US Government)
1999-02-08
[5]
웹사이트
Lithotrypsy
https://www.kidney.o[...]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17-02-06
[6]
웹사이트
Comparing ureteroscopy, shockwave lithotripsy, and percutaneous nephrolithotripsy
http://www.kidneysto[...]
Health Guide - New York Times
2017-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