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혈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혈압은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의미하며, 대부분 증상이 없어 건강검진을 통해 발견된다. 일부 환자들은 두통, 어지럼증 등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고혈압 자체보다는 불안 증세와 관련이 깊을 수 있다. 고혈압은 원발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분류되며, 이차성 고혈압은 신장 질환과 같은 다른 질환에 의해 발생한다. 고혈압의 주요 합병증으로는 뇌졸중, 허혈성 심질환, 심부전 등이 있으며, 예방을 위해서는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치료는 생활 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를 병행하며, 목표 혈압은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혈압 - 폐고혈압
    폐고혈압은 폐동맥의 혈압이 높아지는 질환으로, 5가지 그룹으로 분류되며 호흡 곤란, 피로, 가슴 통증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진단 및 치료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다.
  • 고혈압 - 화이트 코트 신드롬
    화이트 코트 신드롬은 진료실에서 혈압이 높게 측정되지만, 가정에서는 정상 혈압을 보이는 현상을 의미하며, 불안감이나 스트레스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생활 습관 개선 또는 약물 치료를 통해 관리한다.
  • 혈압 - 혈압계
    혈압계는 혈관 내 혈액 압력인 혈압을 측정하는 장치로, 수동식은 청진기로 코로트코프 음을 듣고 혈압을 측정하며 자동식은 진동측정법으로 자동 측정하고, 기술 발전으로 자동 혈압계가 널리 사용된다.
  • 혈압 - 확장기
    확장기는 심장 주기 중 심방과 심실이 이완되어 혈액으로 채워지는 기간으로, 심방 수축을 통해 심실로 혈액이 추가 공급되며, 혈압 측정 시 확장기 혈압은 심장 기능 평가 및 고혈압 진단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고혈압
질병 정보
자동 혈압계. 액정 화면에, 수축기 혈압 158mmHg, 확장기 혈압 99mmHg, 심박수 80회/분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고혈압임을 나타낸다.
자동 혈압계. 액정 화면에, 수축기 혈압 158mmHg, 확장기 혈압 99mmHg, 심박수 80회/분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고혈압임을 나타낸다.
분야심장학, 신장학
동의어고혈압, 동맥 고혈압
증상무증상
합병증관상동맥 질환
뇌졸중
심부전
말초동맥 질환
시각 장애
만성 신장 질환
치매
원인일반적으로 생활 습관 및 유전 요인
위험 요인수면 부족
고나트륨혈증

흡연
진단성인의 경우 휴식 시 혈압 ≥ 130/80 mmHg 또는 ≥ 140/90 mmHg
치료생활 습관 변화, 약물 치료
빈도33% (전체 성인), 16% (진단된 성인) (전 세계, 2019년)
사망자 수1040만 명, 전체 사망의 19% (전 세계, 2019년)
국제질병분류 10판 (ICD-10)



온라인 멘델 유전 (OMIM)145500
질병 데이터베이스 (DiseasesDB)6330
메들린플러스 (MedlinePlus)000468
이메디신 주제 (eMedicineSubj)med
이메디신 토픽 (eMedicineTopic)1106
의학 주제 표제 (MeshID)D006973
관련 정보
혈압 변동 요인통증
스트레스
수면 부족
음식
운동
날씨
관련 질환당뇨병
신장 질환
심혈관 질환
뇌졸중

2. 징후 및 증상

고혈압은 증상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며, 대부분 건강검진 과정이나 다른 질환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했을 때 발견된다.[404][2][194] 고혈압 환자의 절반 정도는 자신이 고혈압이라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다.[156][361]

일부 고혈압 환자들은 두통(특히 아침에 머리 뒷부분에서 나타나는 두통), 어지러움, 현기증, 이명(귀에서 윙윙거리거나 쉿 하는 소리), 시력 변화, 실신 등을 경험하기도 한다.[404][18][210] 하지만, 이러한 증상들은 고혈압 자체보다는 동반되는 불안 증세와 더 관련이 깊을 수 있다.[424][19][211]

신체검사 시 검안경 검사를 통해 눈 뒤쪽 안저에서 나타나는 고혈압망막병증을 확인하여 고혈압을 의심할 수 있다.[405] 전통적으로 고혈압망막병증의 변화는 1~4등급으로 분류되지만, 경미한 변화는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405] 검안경 검사 결과는 고혈압의 유병 기간을 추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404] 오랫동안 치료받지 않은 고혈압은 안저검사를 통해 확인 가능한 안저 변화 등의 징후를 동반하는 장기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20][212] 의 심각도는 고혈압의 지속 기간이나 정도와 대략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18][210] 고혈압으로 인한 다른 장기 손상에는 만성 신장 질환 및 가 있다.[156][361]

2. 1. 일반적인 증상

고혈압은 거의 증상을 동반하지 않으며, 종종 검진을 통하여, 또는 다른 문제로 건강관리를 모색하면서 확인된다.[404] 고혈압 환자의 절반은 자신이 고혈압인 것을 모른다.[156][361] 일부 고혈압 환자는 두통(특히 아침에 머리 뒷 부분)과 함께 어지러움, 현기증, 이명(귀에서 윙윙거리거나 쉿 하는 소리), 시력 변화 또는 실신을 호소한다.[404][18][210] 그러나 이러한 증상은 고혈압 자체라기보다는 관련된 불안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424][19][211]

신체검사에서, 검안경 검사로 눈 뒷쪽의 안구 기저부에서 고혈압망막병증이 발견되는 것을 근거로 고혈압을 의심할 수 있다.[405] 전통적으로 고혈압망막병증의 변화는 1~4등급으로 나뉘어 있는데, 가벼운 증상은 구별하기 어렵다.[405] 검안경 검사의 발견은 또한 고혈압이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어느 정도 알려줄 수 있다.[404] 오랫동안 치료받지 않은 고혈압은 안저의 변화와 같은 징후가 있는 장기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안저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20][212] 고혈압성 망막병증의 심각도는 고혈압의 지속 기간 또는 심각도와 대략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18][210] 고혈압으로 인한 다른 장기 손상에는 만성 신장 질환과 심장 근육의 비후가 포함된다.[156][361]

2. 2. 이차성 고혈압의 징후

이차성 고혈압은 신장병이나 내분비성 질환과 같이 확인 가능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고혈압이다.[406] 예를 들어, 쿠싱 증후군은 중심성 비만, 포도당불내성, 달덩이얼굴, 물소혹변형과 자주색 선을 유발할 수 있다.[406][21][22] 갑상샘 질환과 말단비대증 또한 고혈압을 유발하여 특유의 증상과 징후를 보일 수 있다.[406] 비정상적인 잡음은 신동맥협착[407][216]의 지표가 될 수 있으며, 하지의 혈압 감소, 그리고/또는 넙다리 동맥 맥박이 지연되어가나 없다면 대동맥 협착[408][217]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두통, 심계항진, 창백, 발한을 동반한 불안정 또는 발작성 고혈압은 크롬친화세포종을 의심하게 한다.[406][22]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식욕 증가와 함께 체중 감소, 빈맥, 안구 돌출, 그리고 진전을 유발한다.[215] 내성 고혈압(resistant hypertension)의 일부는 자율 신경계가 만성적으로 활발한 것이 원인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신경성 고혈압'으로 알려져 있다.[409]

2. 3. 고혈압 위기

극심하게 높은 혈압(수축기 180 또는 이완기 110 이상, 때에 따라 악성 또는 가속성 고혈압)은 '고혈압위기'로 불리며, 합병증 위험이 크다.[23] 이러한 혈압 범위에 있는 사람들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일반인보다 두통(22%의 경우)이나[410] 어지러움을 더 호소한다.[404] 고혈압위기의 다른 증상으로는 시각적 열화, 심부전에 의한 숨참, 신장부전증에 의한 불안감 등이 있다.[406] 대부분의 고혈압위기 환자들은 혈압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추가적인 원인으로 급작스러운 혈압 상승이 야기될 수 있다.[411]

고혈압 위기는 말기 장기 손상의 유무에 따라 고혈압 위급증 또는 고혈압 응급증으로 분류된다.[24][25]

  • 고혈압 위급증: 상승된 혈압으로 인한 말기 장기 손상의 증거가 없는 경우이다. 24~48시간에 걸쳐 경구 약물을 사용하여 혈압을 서서히 낮춘다.[26]
  • 고혈압 응급증: 하나 이상의 장기에 대한 직접적인 손상의 증거가 있는 경우이다.[93][27] 뇌, 신장, 심장, 폐 등이 가장 많이 영향을 받으며, 혼란, 졸음, 가슴 통증, 숨가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26] 진행 중인 장기 손상을 멈추기 위해 혈압을 더 빠르게 낮춰야 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에 대한 무작위 대조 시험 증거는 부족하다.[27]


‘악성 고혈압(malignant hypertension)’은 심하게 상승한 혈압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기가 직접적인 손상을 입은 경우 진단된다. 여기에는 뇌가 붓고 기능 장애를 일으켜 두통과 졸림이 특징인 고혈압뇌병증이 포함될 수 있다.[411] 망막 부종 또는 안저 출혈과 삼출물은 표적장기 손상의 또 다른 징후이다. 흉통은 (심근경색으로 진행될 수 있는) 관상동맥증후군이나 대동맥 내벽이 찢어지는 대동맥박리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호흡곤란, 기침, 피가 섞인 가래 배출은 심장의 좌심실이 폐로부터의 피를 동맥계로 충분히 보내지 못하는 좌심실부전으로 폐 조직이 붓는 폐부종의 특징적 징후이다.[411] 급성 신부전과, 혈구가 파괴되는 미세혈관병증용혈빈혈이 일어날 수 있다.[411] 이러한 상황에서는, 계속 진행 중인 장기 손상을 막기 위해 혈압을 빠르게 낮추어야 한다.[411] 반면에 표적장기 손상의 증거가 없는 경우 혈압을 급히 낮추어야 한다는 증거는 없으며, 지나치게 적극적으로 혈압을 낮추는 것이 위험이 없지는 않다.[406] 고혈압위기에서는 경구용 약을 사용하여 24시간에서 48시간에 걸쳐 서서히 혈압을 낮추는 방식이 지지를 받는다.[411]

2. 4. 임신성 고혈압

임신의 약 8~10%에서 고혈압이 발생한다.[406][22][214] 6시간 간격을 두고 두 차례 혈압을 측정하여 140/90mmHg를 넘는 것으로 임신 중 고혈압을 진단한다.[412][28][223] 임신 중 고혈압인 대부분의 여성들은 이전부터 존재하던 원발성고혈압을 가지고 있지만, 임신 중 높은 혈압은 임신기의 후반부와 산욕의 심각한 건강 상태인 자간전증의 징후일 수 있다.[406] 임신 중 고혈압은 기존 고혈압, 임신 중 고혈압, 또는 자간전증으로 분류될 수 있다.[29][224] 임신 전 만성 고혈압을 가진 여성은 조기 출산, 저체중아 또는 사산과 같은 합병증 위험이 증가한다.[30][225] 임신 중 고혈압과 합병증을 경험한 여성은 임신 중 정상 혈압을 유지하고 합병증이 없었던 여성에 비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세 배나 높다.[31][32][226][227]

자간전증은 혈압의 증가와 단백뇨가 특징이다.[406] 이는 임신의 약 5%에서 발생하며, 전 세계의 모든 산모 사망의 약 16%의 원인이 된다.[406][22][214] 자간전증은 또한 출산전후사망의 위험을 두 배로 늘린다.[406][22][214] 대부분 자간전증은 증상이 없으나, 정기적 선별테스트로 알아낼 수 있다. 자간전증의 증상으로서 가장 흔히 일어나는 것은 두통, 시각 장애(종종 ‘광시증’), 구토, 명치 통증, 부종이기 때문이다.[406] 임신중독증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부종, 과도한 체중 증가, 점상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228] 자간전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자간증으로 가끔 발전될 수 있는데, 자간증은 고혈압성긴급증이며, 실명, 대뇌 부종, 간대성 간질성 발작 또는 경련, 콩팥기능부전, 폐부종, 파종 혈관내 응고(혈액이 응고되는 병)를 포함하는 여러 심각한 합병증이 있다.[406][413][22][33][214][229] 반대로, 임신 중 고혈압은 소변에 단백질이 없이 임신 중 새롭게 발생하는 고혈압으로 정의된다.[29][224] 임신으로 인한 고혈압의 근본적인 치료법으로는 임신의 종결, 즉 분만이 고려된다.[228]

운동이 단 한 번의 운동 후에도 고혈압의 영향을 줄이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중요한 연구 결과가 있다. 운동은 고혈압뿐만 아니라 자간전증과 자간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급성 생리적 반응에는 개인의 심박출량(CO) 증가(심박수 및 뇌졸중 용량 증가)가 포함된다. 이러한 CO의 증가는 근육으로 유입되는 혈액량을 유지하여 나중에 근육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운동은 또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개선하여 혈액이 신체로 펌핑되는 것을 더 쉽게 만듭니다. 규칙적인 신체 활동을 통해 혈압을 낮추어 고혈압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34]

유산소 운동은 저항 운동보다 혈압을 더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일주일에 5~7일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유형의 운동은 최대 심박수(220-나이)의 약 85%를 사용하는 가벼운 강도에서 중간 강도여야 한다. 유산소 운동은 SBP를 5~15mmHg 감소시키는 반면, 저항 운동은 3~5mmHg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깅, 로잉, 댄스 또는 하이킹과 같은 유산소 운동이 SBP를 가장 크게 감소시킨다. SBP 감소는 고혈압의 영향을 조절하여 아기에게 해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저항 운동은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의 심혈관계에 부담을 주어 고혈압 감소를 위한 저항 운동 처방을 꺼리게 만듭니다.[35][36]

2. 5. 영유아 및 어린이의 고혈압

성장 장애, 발작, 과민성, 졸음증, 호흡 곤란이 신생아와 영유아의 고혈압과 관련될 수 있다.[414] 그보다 나이가 많은 유아와 어린이에서 고혈압은 두통, 이유 없는 과민성, 피로감, 성장 장애, 흐린 시력, 코피, 벨 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414][459]

아기의 고혈압은 대략 0.2에서 3% 정도로 드문 편이며, 건강한 갓난아이의 혈압은 일상적으로 측정되지 않는다.[459] 고혈압은 고위험 신생아에서 더 흔하다. 신생아의 혈압이 정상인지를 결정할 때에는 임신나이, 수태 후 주령(週齡), 출생체중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459]

고혈압은 만 4세 이상의 어린이와 청소년에 흔히 발생하며,(연령, 성, 인종에 따라 2~9%)[460] 건강이 좋지 않게 되는 장기적 위험에 관련된다.[461] 아동기 혈압은 나이에 따라 상승하며, 어린이에 있어서 고혈압은 3회 이상의 시기에 수축기 또는 확장기 평균 혈압이 어린이의 성, 연령, 키에 적절한 혈압의 95/100 순위보다 높으면 고혈압으로 정의한다. 어린이의 고혈압 여부를 판단하려면 반복적으로 방문, 측정하여 확인해야 한다.[461] 어린이의 수축기 또는 확장기 혈압이 90/100 순위보다 높고 95/100 순위보다 낮으면 고혈압 전 단계(Prehypertension)로 정의한다.[461] 청소년기에는 성인과 동일한 기준으로 고혈압과 고혈압 전 단계를 진단, 분류하도록 제안되어 왔다.[461]

3세 이상 어린이의 고혈압에 있어서 정기점검이 유용한지의 여부는 논란 중이다.[462] 2004년, 미연방 고혈압 교육 프로그램은 3세 이상의 아동은 최소한 매번 건강 관리 방문시 고혈압을 측정할 것을 권고하였다.[407] 또한, 미연방 심장·폐·혈액 연구원과 미국 소아과학회에서도 유사한 권고를 하였다.[463] 어쨌거나, 미국 가정의학회[464]는 증세가 없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고혈압 검진이 어느 정도 이익이 되고 해가 되는지를 결정할 만한 증거는 충분하지 않다는 미국 예방 서비스 태스크 포스의 견해를 지지한다.[465]

3. 원인

고혈압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원발성 고혈압과 호르몬 이상 등에 따라 생기는 2차성 고혈압으로 분류된다. 선천성 고혈압의 원인은 부모로부터 이어진 유전적 요소로 인해 성장하면서 나이가 들면서 스트레스, 식사 등의 여러 환경 요인에 따라 고혈압이 일어난다고 추정된다. 유전적인 경우, 부모의 한 쪽, 또는 모두 고혈압인 경우 발생하기 쉽다. 환경적으로는 염분을 너무 많이 섭취할 때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생물학적 원인과 환경적 원인 모두가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235] 호르몬과 신장 기능도 관여한다.[236] 과도한 염분 섭취는 혈압을 상승시킨다.[237]

== 본태성 고혈압 ==

본태성 고혈압은 고혈압의 가장 흔한 유형으로, 전체 고혈압의 90~95%를 차지한다.[403] 거의 모든 현대 사회에서 고혈압은 노화와 함께 상승하며, 만년에 고혈압이 될 위험이 크다.[415]

본태성 고혈압은 유전자와 환경 요인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생한다. 혈압에 작은 영향을 주는 2000개 이상의 흔한 유전 변종이 확인되었으며,[38] 혈압에 큰 영향을 주는 희귀한 유전 변종도 확인되었다.[417] DNA 메틸화가 일부 염기서열 변이를 혈압과 연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40] 하지만, 고혈압의 유전적 근거는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여러 환경적 요인이 혈압에 영향을 준다. 혈압을 낮춰 주는 생활 방식으로는 소금 섭취 감소,[418][419] 과일과 저지방 제품의 소비 증가(고혈압증을 막는 식이성 접근법, DASH 다이어트), 운동,[420][421] 체중 감량,[422] 알콜 섭취 감소 등이 있다.[423] 서구식 식단과 생활 방식을 가진 사회에서는 나이가 들면서 혈압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41]

스트레스는 작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424] 특정 이완 기법은 입증되지 않았다.[425][472]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한 다른 인자로 카페인 소비,[426] 비타민 D 부족[427] 이 있으나, 더욱 명확하지 않다. 우울증,[53] 고독,[54] 치주 질환,[55] 식수를 통한 비소 노출,[56] 대기 오염[57]도 고혈압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인과 관계는 불분명하다. 통풍과 혈중 요산 수치 상승은 고혈압과 관련이 있으며,[58] 유전적 연구 및 임상 시험의 증거는 이러한 관계가 인과적일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낸다.[59] 비만에서 흔하고 X 증후군(또는 대사증후군)의 구성 요소인 인슐린 저항성은 고요산혈증과 통풍을 유발할 수 있으며,[60] 혈압 상승과도 관련이 있다.[428][61]

최근의 연구에서는 어린 시절의 일(예를 들면, 저체중출생,[429] 산모의 흡연,[429] 모유수유의 부족[429])이 성인의 본태성 고혈압의 위험 요소에 관계되었음을 시사하지만,[429] 이들을 연결하는 기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407] 평균 혈압은 여름보다 겨울에 더 높다.[52]

== 이차성 고혈압 ==

이차성 고혈압은 인식 가능한 원인으로부터 비롯된다. 신장질환이 가장 흔한 고혈압의 2차 원인이다.[406][22][214] 고혈압은 쿠싱 증후군,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말단비대증, 콘증후군, 고(高)알도스테론증, 신동맥 협착증,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크롬친화세포종과 같은 내분비 상태에 기인하기도 한다.[406][430][22][63][214][250]

이차성 고혈압의 다른 원인으로는 비만, 당뇨병, 수면무호흡, 임신, 대동맥축착, 감초나 스테로이드 성분의 약물, 불법 마약, 과도한 알코올 섭취, 특정 처방약, 한방 치료제, 코카인과 메탐페타민과 같은 자극제가 포함된다.[406][431][22][64][214][254] 2018년 검토에 따르면 어떠한 알코올도 남성의 혈압을 상승시키는 반면, 한두 잔 이상의 음주는 여성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65][260] 음용수를 통한 비소 노출은 고혈압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55][256] 우울증과 고독감/Loneliness영어 또한 고혈압과 관련이 있었다.[257][258] 대기오염 또한 고혈압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259]

3. 1. 본태성 고혈압

본태성 고혈압은 고혈압의 가장 흔한 유형으로, 전체 고혈압의 90~95%를 차지한다.[403] 거의 모든 현대 사회에서 고혈압은 노화와 함께 상승하며, 만년에 고혈압이 될 위험이 크다.[415]

본태성 고혈압은 유전자와 환경 요인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생한다. 혈압에 작은 영향을 주는 2000개 이상의 흔한 유전 변종이 확인되었으며,[38] 혈압에 큰 영향을 주는 희귀한 유전 변종도 확인되었다.[417] DNA 메틸화가 일부 염기서열 변이를 혈압과 연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40] 하지만, 고혈압의 유전적 근거는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여러 환경적 요인이 혈압에 영향을 준다. 혈압을 낮춰 주는 생활 방식으로는 소금 섭취 감소,[418][419] 과일과 저지방 제품의 소비 증가(고혈압증을 막는 식이성 접근법, DASH 다이어트), 운동,[420][421] 체중 감량,[422] 알콜 섭취 감소 등이 있다.[423] 서구식 식단과 생활 방식을 가진 사회에서는 나이가 들면서 혈압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41]

스트레스는 작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424] 특정 이완 기법은 입증되지 않았다.[425][472]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한 다른 인자로 카페인 소비,[426] 비타민 D 부족[427] 이 있으나, 더욱 명확하지 않다. 우울증,[53] 고독,[54] 치주 질환,[55] 식수를 통한 비소 노출,[56] 대기 오염[57]도 고혈압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인과 관계는 불분명하다. 통풍과 혈중 요산 수치 상승은 고혈압과 관련이 있으며,[58] 유전적 연구 및 임상 시험의 증거는 이러한 관계가 인과적일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낸다.[59] 비만에서 흔하고 X 증후군(또는 대사증후군)의 구성 요소인 인슐린 저항성은 고요산혈증과 통풍을 유발할 수 있으며,[60] 혈압 상승과도 관련이 있다.[428][61]

최근의 연구에서는 어린 시절의 일(예를 들면, 저체중출생,[429] 산모의 흡연,[429] 모유수유의 부족[429])이 성인의 본태성 고혈압의 위험 요소에 관계되었음을 시사하지만,[429] 이들을 연결하는 기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407] 평균 혈압은 여름보다 겨울에 더 높다.[52]

3. 2. 이차성 고혈압

이차성 고혈압은 인식 가능한 원인으로부터 비롯된다. 신장질환이 가장 흔한 고혈압의 2차 원인이다.[406][22][214] 고혈압은 쿠싱 증후군,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말단비대증, 콘증후군, 고(高)알도스테론증, 신동맥 협착증,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크롬친화세포종과 같은 내분비 상태에 기인하기도 한다.[406][430][22][63][214][250]

이차성 고혈압의 다른 원인으로는 비만, 당뇨병, 수면무호흡, 임신, 대동맥축착, 감초나 스테로이드 성분의 약물, 불법 마약, 과도한 알코올 섭취, 특정 처방약, 한방 치료제, 코카인과 메탐페타민과 같은 자극제가 포함된다.[406][431][22][64][214][254] 2018년 검토에 따르면 어떠한 알코올도 남성의 혈압을 상승시키는 반면, 한두 잔 이상의 음주는 여성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65][260] 음용수를 통한 비소 노출은 고혈압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55][256] 우울증과 고독감/Loneliness영어 또한 고혈압과 관련이 있었다.[257][258] 대기오염 또한 고혈압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259]

4. 병태생리

동맥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


대부분의 본태성 고혈압 환자는 심박출량은 정상이지만, 혈류 저항(전신 말초 저항)이 증가하여 혈압이 높아진다.[432][66][266] 일부 젊은 전고혈압 환자는 심박출량이 높고 심박수가 증가하며 말초 저항이 정상인 '고동력 경계성 고혈압'을 보이기도 한다.[433][67][267] 이들은 나이가 들면서 심박출량이 감소하고 말초 저항이 증가하는 전형적인 본태성 고혈압의 특징을 나타내기도 한다.[407][12][191] 하지만 이러한 패턴이 모든 고혈압 환자에게 전형적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434][68][268]

본태성 고혈압에서 말초 저항 증가는 주로 소동맥과 세동맥의 구조적 협착 때문이며,[435][69][269] 모세혈관의 수 또는 밀도 감소도 기여할 수 있다.[436][70][270] 고혈압은 말초 정맥 순응도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437][72][271] 이는 정맥환류를 증가시키고 심장 전부하를 증가시켜 좌심실 확장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높은 심박 변이도(HRV)는 심방세동의 위험 요소이다.[73][272]

맥압(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차이)은 고혈압이 있는 고령자에서 자주 증가하는데,[439][74][273] 이는 수축기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고 이완기 혈압은 정상이거나 낮은 분리성 수축기 고혈압을 의미할 수 있다.[439][75][274] 고령자의 고혈압 또는 분리성 수축기 고혈압에서 높은 맥압은 동맥 경직도 증가로 설명된다.[440][76][275]

고혈압에서 말초 저항 증가를 설명하기 위해 많은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대부분의 의학적 증거에서는 신장의 염분과 수분 처리 장애(특히 신장 내 레닌-안지오텐신계 이상)[441][77][276] 또는 교감신경계의 이상이 주로 거론된다.[442][78][277] 이러한 기전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본태성 고혈압의 대부분의 경우에는, 양쪽 모두가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비조절성 본태성 고혈압은 소금에 민감한 고혈압의 한 형태로, 나트륨 섭취가 부신 또는 신장 혈관계의 안지오텐신 II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지 않는다.[84][264] 이는 고혈압 인구의 25%를 차지한다.[85][265] 과도한 나트륨 또는 불충분한 칼륨 섭취는 세포 내 나트륨을 과도하게 증가시켜 혈관 평활근을 수축시키고 혈류를 제한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82][83][261][262]

또한, 내피 기능 장애와 혈관의 염증도 고혈압에서 말초 저항의 증가 및 혈관 손상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443][444][79][80][278][279] 인터루킨 17은 종양괴사인자 알파, 인터루킨 1, 인터루킨 6, 인터루킨 8 등과 같은 면역 체계 화학 신호의 생성을 증가시켜 고혈압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81][280]

4. 1. 말초혈관 저항 증가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대부분은 심박출량은 정상이지만, 혈류 저항(전신 말초 저항)이 증가하여 혈압이 높아진다.[66] 일부 젊은 전고혈압 환자는 심박출량이 높고 심박수가 증가하며 말초 저항이 정상인 '고동력 경계성 고혈압'을 보이기도 한다.[67] 이들은 나이가 들면서 심박출량이 감소하고 말초 저항이 증가하는 전형적인 본태성 고혈압의 특징을 나타내기도 한다.[12]

본태성 고혈압에서 말초 저항 증가는 주로 소동맥과 세동맥의 구조적 협착 때문이지만,[69] 모세혈관의 수 또는 밀도 감소도 기여할 수 있다.[70] 고혈압은 말초 정맥 순응도 감소와 관련이 있어,[72] 정맥환류를 증가시키고 심장 전부하를 증가시켜 이완기 기능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높은 심박 변이도(HRV)는 심방세동의 위험 요소이다.[73]

맥압(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차이)은 고혈압이 있는 고령자에서 자주 증가하는데,[74] 이는 동맥 경직도 증가로 설명된다.[76]

고혈압에서 말초 저항 증가를 설명하기 위해 여러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신장의 염분과 수분 처리 장애(특히 신장 내 레닌-안지오텐신계의 이상)[77], 교감신경계 이상[78], 내피 기능 장애와 혈관 염증[79][80] 등이 거론된다. 인터루킨 17은 종양괴사인자 알파, 인터루킨 1, 인터루킨 6, 인터루킨 8 등 다른 면역 체계 화학 신호의 생성을 증가시켜 고혈압에 영향을 줄 수 있다.[81] 과도한 나트륨 또는 불충분한 칼륨 섭취는 세포 내 나트륨을 과도하게 증가시켜 혈관 평활근을 수축시키고 혈류를 제한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82][83]

4. 2. 신장 기능 이상

고혈압의 영향을 보여주는 그림


고혈압에서 말초 저항 증가를 설명하기 위해 많은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대부분의 증거는 신장의 염분과 수분 처리 장애(특히 신장 내 레닌-안지오텐신계의 이상)[77] 또는 교감신경계의 이상을 시사한다.[78] 이러한 메커니즘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대부분의 본태성 고혈압 사례에서 어느 정도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비조절성 본태성 고혈압은 소금에 민감한 고혈압의 한 형태로, 나트륨 섭취가 부신 또는 신장 혈관계의 안지오텐신 II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지 않는다.[84] 이는 고혈압 인구의 25%를 차지한다.[85] 과도한 나트륨 또는 불충분한 칼륨 섭취는 세포 내 나트륨을 과도하게 증가시켜 혈관 평활근을 수축시키고 혈류를 제한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82][83]

또한 내피 기능 장애와 혈관 염증이 고혈압에서 말초 저항 증가와 혈관 손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제안도 있다.[79][80] 인터루킨 17은 고혈압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는 여러 다른 면역 체계 화학 신호(예: 종양괴사인자 알파, 인터루킨 1, 인터루킨 6, 인터루킨 8)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에 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81]

4. 3. 기타 요인



본태성 고혈압 환자 대부분은 심박출량은 정상이지만 혈류 저항(전신 말초 저항)이 증가하여 고혈압이 발생한다.[66][266] 일부 젊은 전고혈압 환자는 심박출량이 높고 심박수가 증가하며 말초 저항은 정상인 고동력 경계성 고혈압을 보이기도 한다.[67][267] 이들은 나이가 들면서 심박출량이 감소하고 말초 저항이 증가하는 본태성 고혈압의 전형적인 특징을 나타내기도 한다.[12][191] 하지만 이러한 패턴이 모든 고혈압 환자에게 전형적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68][268]

본태성 고혈압에서 말초 저항 증가는 주로 소동맥과 세동맥의 구조적 협착 때문이며,[69][269] 모세혈관의 수 또는 밀도 감소도 기여할 수 있다.[70][270] 고혈압은 말초 정맥 순응도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72][271] 이는 정맥환류를 증가시키고 심장 전부하를 증가시켜 이완기 기능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높은 심박 변이도(HRV)는 심방세동의 위험 요소이다.[73][272]

맥압(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차이)은 고혈압이 있는 고령자에서 자주 증가하는데,[74][273] 이는 수축기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고 이완기 혈압은 정상이거나 낮은 분리성 수축기 고혈압을 의미할 수 있다.[75][274] 고령자의 고혈압 또는 분리성 수축기 고혈압에서 높은 맥압은 동맥 경직도 증가로 설명된다.[76][275]

고혈압에서 말초 저항 증가를 설명하기 위해 많은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신장의 염분과 수분 처리 장애(특히 신장 내 레닌-안지오텐신계의 이상)[77][276] 또는 교감신경계의 이상이 주로 거론된다.[78][277] 이러한 메커니즘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대부분의 본태성 고혈압에 어느 정도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내피 기능 장애와 혈관 염증이 고혈압에서 말초 저항 증가와 혈관 손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제안도 있다.[79][80][278][279] 인터루킨 17은 종양괴사인자 알파, 인터루킨 1, 인터루킨 6, 인터루킨 8 등과 같은 면역 체계 화학 신호의 생성을 증가시켜 고혈압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81][280]

과도한 나트륨 또는 불충분한 칼륨 섭취는 세포 내 나트륨을 과도하게 증가시켜 혈관 평활근을 수축시키고 혈류를 제한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82][83][261][262] 비조절성 본태성 고혈압은 소금에 민감한 고혈압의 한 형태로, 나트륨 섭취가 부신 또는 신장 혈관계의 안지오텐신 II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지 않는다.[84][264] 이는 고혈압 인구의 25%를 차지한다.[85][265]

5. 진단

혈압은 변동하기 쉬우므로, 고혈압 진단은 적어도 두 번 이상 측정하는 것이 좋다.[445][446][447][448][449][450] 최근 가정용 혈압계가 보급되면서, 가정에서 측정한 혈압 수치가 병원 진단 수치보다 뇌졸중, 심근경색 예측에 더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가정에서의 정상 혈압 수치는 병원보다 낮아, 135/80mmHg 이상을 고혈압으로 정의한다. 아침 식사 전 2회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혈압은 지속적으로 높은 혈압에 근거하여 진단한다. 전통적으로,[455] 1달 간격으로 혈압을 측정해야 한다.[451] 진찰전 혈압 상승(백의 고혈압) 오진을 막기 위해 24시간 외래 혈압 측정이나 가정 혈압 측정이 권장된다. 영국에서는 외래 측정 또는 7일간 가정 혈압 모니터링이 권장된다.[455] 노인의 경우 동맥 석회화로 인한 거짓고혈압을 고려해야 한다.[452]

고혈압 진단 후, 위험 요소와 증상을 바탕으로 근본 원인을 파악한다. 이차고혈압은 사춘기 이전 어린이에게 흔하며, 신장병이 주 원인이다. 본태고혈압은 청소년에게 흔하며, 비만과 가족력이 위험 요소이다.[453] 이차고혈압 원인과 심장, 눈, 신장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검사를 할 수 있다. 당뇨병과 고 콜레스테롤 검사도 심장병 위험 요소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403]

신장병 확인을 위해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하며, 사구체여과율 과대평가 가능성 때문에 '신장병의 식습관 개선(MDRD)' 예측 공식을 사용하여 사구체여과율(eGFR)을 추정한다.[454] 사구체여과율은 항고혈압제 부작용 추적 관찰에 사용된다. 소변 샘플에서 단백뇨 검사도 신장병의 2차 지표로 사용한다. 심전도(EKG/ECG)로 심장 부담 흔적, 심장 근육 비대(좌심실비대), 이전 심장 장애 여부를 확인한다. 단순 흉부 촬영이나 심장초음파상 검사로 심장 비대나 손상을 확인한다.[406]

정확한 고혈압 진단을 위해 적절한 혈압 측정 기법이 필수적이다. 부적절한 측정은 최대 10 mmHg까지 혈압 수치를 변화시켜 오진을 유발할 수 있다. 최소 5분 동안 조용히 앉은 후, 상완에 맞는 혈압계를 부착하고, 등받이에 등을 기대고 발을 바닥에 붙인 채 다리를 꼬지 않고 앉아야 한다. 측정 중 말하거나 움직이지 않고, 측정 팔은 심장 높이에서 평평하게 받쳐야 한다. 조용한 방에서 청진기로 상완동맥의 코로트코프 음을 들으며 혈압계를 천천히 (초당 2~3 mmHg) 빼야 한다. 측정 전 방광을 비워야 하며, 1~2분 간격으로 최소 두 번 측정해야 한다. 12~24시간 24시간 혈압 모니터링이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이다. 예외적으로, 장기 기능 저하 시 매우 높은 혈압 수치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검사[445][446][447][448][449][450]
계통검사
비뇨계요검사, 단백뇨, 혈액요소질소(BUN) 그리고/또는 크레아티닌
내분비계혈청 나트륨, 칼륨, 칼슘, 갑상샘자극호르몬(TSH)
신진대사혈당검사, 고밀도지질단백질(HDL), 저밀도지질단백질(LDL), 총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기타적혈구용적률, 심전도, 단순흉부방사선사진


5. 1. 혈압 측정

혈압은 변동하기 쉬우므로, 고혈압 진단은 적어도 두 번 이상 측정하는 것이 좋다.[445][446][447][448][449][450] 최근 가정용 혈압계가 보급되면서, 가정에서 측정한 혈압 수치가 병원 진단 수치보다 뇌졸중, 심근경색 예측에 더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가정에서의 정상 혈압 수치는 병원보다 낮아, 135/80mmHg 이상을 고혈압으로 정의한다. 아침 식사 전 2회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혈압은 지속적으로 높은 혈압에 근거하여 진단한다. 전통적으로,[455] 1달 간격으로 혈압을 측정해야 한다.[451] 진찰전 혈압 상승(백의 고혈압) 오진을 막기 위해 24시간 외래 혈압 측정이나 가정 혈압 측정이 권장된다. 영국에서는 외래 측정 또는 7일간 가정 혈압 모니터링이 권장된다.[455] 미국 예방 서비스 태스크포스도 의료 환경 외부 측정을 권장한다.[283] 노인의 경우 동맥 석회화로 인한 거짓고혈압을 고려해야 한다.[452]

고혈압 진단 후, 위험 요소와 증상을 바탕으로 근본 원인을 파악한다. 이차고혈압은 사춘기 이전 어린이에게 흔하며, 신장병이 주 원인이다. 본태고혈압은 청소년에게 흔하며, 비만과 가족력이 위험 요소이다.[453] 이차고혈압 원인과 심장, 눈, 신장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검사를 할 수 있다. 당뇨병과 고 콜레스테롤 검사도 심장병 위험 요소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403]

신장병 확인을 위해 혈청 크레아티닌을 측정하며, 사구체여과율 과대평가 가능성 때문에 '신장병의 식습관 개선(MDRD)' 예측 공식을 사용하여 사구체여과율(eGFR)을 추정한다.[454] 사구체여과율은 항고혈압제 부작용 추적 관찰에 사용된다. 소변 샘플에서 단백뇨 검사도 신장병의 2차 지표로 사용한다. 심전도(EKG/ECG)로 심장 부담 흔적, 심장 근육 비대(좌심실비대), 이전 심장 장애 여부를 확인한다. 단순 흉부 촬영이나 심장초음파상 검사로 심장 비대나 손상을 확인한다.[406]

정확한 고혈압 진단을 위해 적절한 혈압 측정 기법이 필수적이다.[86] 부적절한 측정은 최대 10 mmHg까지 혈압 수치를 변화시켜 오진을 유발할 수 있다.[86] 최소 5분 동안 조용히 앉은 후, 상완에 맞는 혈압계를 부착하고, 등받이에 등을 기대고 발을 바닥에 붙인 채 다리를 꼬지 않고 앉아야 한다.[86] 측정 중 말하거나 움직이지 않고, 측정 팔은 심장 높이에서 평평하게 받쳐야 한다.[86] 조용한 방에서 청진기로 상완동맥의 코로트코프 음을 들으며 혈압계를 천천히 (초당 2~3 mmHg) 빼야 한다.[86][87] 측정 전 방광을 비워야 하며, 1~2분 간격으로 최소 두 번 측정해야 한다.[86][87] 12~24시간 24시간 혈압 모니터링이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이다.[88] 예외적으로, 장기 기능 저하 시 매우 높은 혈압 수치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89]

대표적인 검사[445] 기타[446][447][448][449][450]
계통검사
비뇨계요검사, 단백뇨, 혈액요소질소(BUN) 그리고/또는 크레아티닌
내분비계혈청 나트륨, 칼륨, 칼슘, 갑상샘자극호르몬(TSH)
신진대사혈당검사, 고밀도지질단백질(HDL), 저밀도지질단백질(LDL),
총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기타적혈구용적률, 심전도, 단순흉부방사선사진


5. 2. 진단 기준

만 18세 이상에서 수축기와 확장기 혈압 측정값이 일반적으로 용인된 값보다 일관적으로 높은 경우 고혈압이라 한다.[455] 24시간 외래 또는 홈 모니터링으로 측정된 경우에는 더 낮은 문턱값이 사용된다.[455] 최근의 국제 고혈압 지침은 고혈압의 범위 아래에 새로운 범주를 두어 정상 영역에서의 높은 혈압으로도 위험이 연결됨을 보여주고 있다. 2003년의 JNC7[454]에서는 수축기 120~139 mmHg에/또는 확장기 80~89 mmHg 범위의 혈압을 지칭하여 고혈압전단계로 부르고 있으며, 2007년의 ESH-ESC 지침 (2007)[456]과 2004년의 BHS IV[457]에서는 최적(optimal), 정상, 정상에서 높은 범주를 두어 수축기 140 mmHg에 확장기 90 mmHg 아래의 혈압을 세분하였다.

JNC7에서는 1단계 고혈압, 2단계 고혈압, 고립형 수축성 고혈압을 구분한다. 고립형 수축기 고혈압은 노인들에서 확장기 고혈압은 정상이면서 수축기 혈압은 올라가는 경우를 말한다.[454] 2007년의 ESH-ESC 지침[456] 과 2004년의 BHS IV[407]에서는 추가로 수축기 혈압이 179 mmHg를 초과하거나 확장기 혈압이 109 mmHg를 넘는 사람을 3단계 고혈압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이 혈압을 정상 수준으로 낮추지 못하면 고혈압이 '내성'이 있는 것으로 분류한다.[454] 8차 JNC 에서는 60세 이상 연령층의 고혈압 기준을 종전의 140/90에서 150/90으로 완화했다.[458]

혈압 측정값은 측정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95] 지침에서는 병원(또는 진료소), 가정(환자가 집에서 스스로 혈압을 측정하는 경우), 그리고 24시간 혈압 측정(24시간 동안 자동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서로 다른 기준치를 사용한다.[95]

혈압 분류
범주수축기 혈압, mmHg또는이완기 혈압, mmHg
측정 방법병원가정24시간 동적병원가정24시간 동적
미국심장학회/미국심장협회 (2017)[94]
정상<120<120<115그리고<80<80<75
상승120–129120–129115–124그리고<80<80<75
고혈압 1단계130–139130–134125–129또는80–8980–8475–79
고혈압 2단계≥140≥135≥130또는≥90≥85≥80
유럽심장학회 (2024)[95]
정상 또는 정상 상승<120<120<115그리고<70<70<65
상승120–139120–135115–129그리고70–8970–8565–79
고혈압≥140≥135≥130또는≥90≥85≥80
유럽고혈압학회/국제고혈압학회 (2023)[96]
최적<120그리고<80
정상120–129또는80–84
정상 고혈압130–139또는85–89
고혈압 1등급140–159≥135≥130또는90–99≥85≥80
고혈압 2등급160–179또는100–109
고혈압 3등급≥180또는≥110



혈압의 기준치는 학회에 따라 약간 다르다. 또한, 학회의 진료지침 개정에 따라 기준치가 변경되는 경우도 있다.

18세 이상에서는,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 또는 이완기 혈압 중 어느 하나가 항상 정상치(지침에 따라 수축기 혈압 129mmHg 또는 139mmHg 이상, 이완기 혈압 89mmHg 이상)보다 높은 경우로 정의된다.[203][200]

5. 3. 고혈압 분류 (대한고혈압학회, 2018)

만 18세 이상에서 수축기 혈압이 139 mmHg, 확장기 혈압이 89 mmHg보다 일관적으로 높은 경우 고혈압으로 분류한다.[455] 24시간 외래 또는 가정에서 혈압을 측정할 경우에는 더 낮은 기준값(수축기 135 mmHg, 확장기 85 mmHg)이 적용된다.[455] 최근 국제 고혈압 지침에서는 정상 혈압 범위 내에서도 높은 혈압은 위험과 연관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고혈압 범위 아래에 새로운 범주를 추가했다. 2003년 JNC7[454]에서는 수축기 혈압 120~139 mmHg 또는 확장기 혈압 80~89 mmHg 범위를 고혈압전단계로 정의했으며, 2007년 ESH-ESC 지침[456]과 2004년 BHS IV[457]에서는 최적, 정상, 정상에서 높은 범주로 나누어 수축기 혈압 140 mmHg, 확장기 혈압 90 mmHg 이하의 혈압을 세분화했다.

고혈압은 1단계 고혈압, 2단계 고혈압, 고립형 수축성 고혈압으로 하위 분류된다. 고립형 수축기 고혈압은 노인에게서 흔히 나타나며, 확장기 혈압은 정상이지만 수축기 혈압이 높은 경우를 말한다.[454] 2007년 ESH-ESC 지침[456]과 2004년 BHS IV[407]에서는 수축기 혈압이 179 mmHg를 초과하거나 확장기 혈압이 109 mmHg를 넘는 경우를 3단계 고혈압으로 추가 정의했다. 약물로 혈압이 정상 수준으로 낮아지지 않는 경우 '내성' 고혈압으로 분류한다.[454]

8차 JNC에서는 60세 이상 연령층의 고혈압 기준을 이전의 140/90에서 150/90으로 완화했다.[458] 혈압 측정값은 측정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95] 병원, 가정, 24시간 혈압 측정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치를 사용한다.[95]

다음은 미국심장학회/미국심장협회(2017)[94], 유럽심장학회(2024)[95], 유럽고혈압학회/국제고혈압학회(2023)[96]의 혈압 분류표이다.

혈압 분류
범주수축기 혈압, mmHg또는이완기 혈압, mmHg
측정 방법병원가정24시간 동적병원가정24시간 동적
미국심장학회/미국심장협회 (2017)[94]
정상<120<120<115그리고<80<80<75
상승120–129120–129115–124그리고<80<80<75
고혈압 1단계130–139130–134125–129또는80–8980–8475–79
고혈압 2단계≥140≥135≥130또는≥90≥85≥80
유럽심장학회 (2024)[95]
정상 또는 정상 상승<120<120<115그리고<70<70<65
상승120–139120–135115–129그리고70–8970–8565–79
고혈압≥140≥135≥130또는≥90≥85≥80
유럽고혈압학회/국제고혈압학회 (2023)[96]
최적<120#redirect#redirect그리고<80#redirect#redirect
정상120–129#redirect#redirect또는80–84#redirect#redirect
정상 고혈압130–139#redirect#redirect또는85–89#redirect#redirect
고혈압 1등급140–159≥135≥130또는90–99≥85≥80
고혈압 2등급160–179#redirect#redirect또는100–109#redirect#redirect
고혈압 3등급≥180#redirect#redirect또는≥110#redirect#redirect


5. 4. 기타 검사

고혈압 진단 후, 이차성 고혈압의 원인을 찾고, 당뇨병과 같은 동반 질환 여부, 고혈압으로 인한 장기 손상(만성 신장 질환, 좌심실 비대 등)을 확인하며,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추가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156][361]

이차성 고혈압은 사춘기 이전 어린이에게 더 흔하며, 대부분 신장병이 원인이다.[92][287] 반면, 본태성 고혈압은 청소년과 성인에게 더 흔하며, 비만과 고혈압 가족력 등의 위험 요인을 갖는다.[92][287]

고혈압의 초기 평가에는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가 포함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초기 검사로 혈청 전해질, 혈청 크레아티닌, 혈중 지질 검사, HbA1c 또는 공복 혈당, 요 일반 검사, 심전도(ECG/EKG)를 제안한다.[156][361]

혈청 크레아티닌은 신장 질환 유무를 평가하기 위해 측정되며, 신장병은 고혈압의 원인 또는 결과일 수 있다.[93][288] 사구체여과율(eGFR)은 특정 항고혈압제가 신장 기능에 미치는 부작용을 추적 관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454] 소변 샘플의 단백뇨 검사는 신장 질환의 이차적인 지표로 사용된다. 지질 프로파일 및 혈당 검사는 당뇨병 및 고지혈증과 같은 동반 질환을 확인하고 심혈관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다. 심전도 검사는 고혈압으로 인한 심장의 부담(좌심실 비대 등)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이전의 심장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다.[406]

다음은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에서 제시하는 대표적인 검사들이다.[445][446][447][448][449][450]

계통검사
비뇨계요검사, 단백뇨, 혈액요소질소(BUN) 그리고/또는 크레아티닌
내분비계혈청 나트륨, 칼륨, 칼슘, 갑상샘자극호르몬(TSH)
신진대사혈당검사, 고밀도지질단백질(HDL), 저밀도지질단백질(LDL), 총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기타적혈구용적률, 심전도, 단순흉부방사선사진


6. 예방

고혈압으로 판명되지 않은 사람들도 높은 혈압으로 인한 질병 부담을 경험한다.[457] 따라서 고혈압의 결과를 줄이고 항고혈압 약물 요법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인구 전략이 필요하다. 약물 요법을 시작하기 전에 혈압을 낮추기 위해 생활 습관 변화가 권고된다. 2004년 영국 고혈압 학회 지침[457]에서는 2002년 미연방 고혈압 교육 프로그램에서 제시된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 변화를 고혈압의 주요 예방법으로 제안했다.[466]


  • 성인은 표준 체중(예: 체질량 지수 20~25 kg/m2)을 유지해야 한다.[457][96]
  • 식이성 나트륨 섭취를 하루 100 mmol 미만(하루 염화나트륨 6g 미만 또는 나트륨 2.4g 미만)으로 줄여야 한다.[457][96]
  • 활발한 보행과 같은 규칙적인 신체 활동(일주일 중 대부분, 하루 30분 이상)을 해야 한다.[457] 중등도 강도의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주 최소 150분이 권장된다.[96]
  • 알코올 소비는 남자는 하루 3유닛, 여자는 하루 2유닛을 넘지 않도록 제한해야 한다.[457] 여성은 하루 최대 1잔, 남성은 2잔으로 제한한다.[7]
  • 과일과 야채가 풍부한 식사를 해야 한다.[457] 통곡물, 과일, 채소가 풍부한 식단 섭취가 권장되며,[96] DASH 식사요법이 그 예시이다.[96]
  • 금연해야 한다.[96]
  • 스트레스를 줄이고 관리해야 한다.[96] 예를 들어 명상과 요가를 할 수 있다.[96]


효과적인 생활양식 변경은 각각의 항고혈압 약제 만큼 혈압을 낮출 수 있다. 두 가지 이상의 생활양식 변경을 조합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457] 저염식과 같은 식생활 변화는 유용하다. 장기(4주 이상) 저염식은 고혈압 환자와 정상 혈압 환자 모두에게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469] DASH 식사요법은 견과류, 미정제 곡물, 생선, 가금류 고기, 과일과 야채가 풍부한 식사로, 혈압을 낮춘다. 이러한 식습관 개선의 주요 특징은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지만, 식사는 단백질과 더불어 칼륨, 마그네슘이 풍부한 것으로 해야 한다.[470]

생체 자기 제어, 이완 기법, 초월 명상 등 심리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고혈압을 줄이기 위한 부가적인 치료로 사용될 수 있다.[471] 그러나 전반적인 효험은 건강 교육보다 크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작은 효과가 입증되었다.[472][471][473]

고혈압에 대한 정기적인 선별 검사의 가치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103][104][105][301][302][303][304] 2004년, 미국 고혈압 교육 프로그램(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은 3세 이상 어린이의 경우 모든 건강 관리 방문 시 최소 한 번 이상 혈압 측정을 권장했으며,[98][296] 국립 심장, 폐, 혈액 연구소(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와 미국 소아과 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도 유사한 권고를 했다.[106] 그러나 미국 가정의학회(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107][302]는 미국 예방 서비스 태스크포스의 견해, 즉 증상이 없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고혈압 선별 검사의 이점과 해악의 균형을 결정하기에 충분한 증거가 없다는 견해를 지지한다.[108][109][303][304] 미국 예방 서비스 태스크포스는 18세 이상 성인에 대해 진료실 혈압 측정을 통한 고혈압 선별 검사를 권장한다.[105][110][305][306]

6. 1. 생활 습관 개선

고혈압으로 판명되지 않은 사람들도 높은 혈압으로 인한 질병 부담을 경험한다.[457] 따라서, 고혈압의 결과를 줄이고 항고혈압 약물 요법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인구 전략이 필요하다. 약물 요법을 시작하기 전에, 혈압을 낮추기 위한 생활 습관 변화가 권고된다. 2004년 영국 고혈압 학회 지침[457]에서는 2002년 미연방 고혈압 교육 프로그램에서 제시된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 변화를 고혈압의 주요 예방법으로 제안했다.[466]

  • 성인은 표준 체중(예: 체질량 지수 20~25 kg/m2)을 유지해야 한다.[457][96]
  • 식이성 나트륨 섭취를 하루 100 mmol 미만(하루 염화나트륨 6g 미만 또는 나트륨 2.4g 미만)으로 줄여야 한다.[457][96]
  • 활발한 보행과 같은 규칙적인 신체 활동(일주일 중 대부분, 하루 30분 이상)을 해야 한다.[457] 중등도 강도의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주 최소 150분이 권장된다.[96]
  • 알코올 소비는 남자는 하루 3유닛, 여자는 하루 2유닛을 넘지 않도록 제한해야 한다.[457] 여성은 하루 최대 1잔, 남성은 2잔으로 제한한다.[7]
  • 과일과 야채가 풍부한 식사를 해야 한다.[457] 통곡물, 과일, 채소가 풍부한 식단 섭취가 권장되며,[96] DASH 식사요법이 그 예시이다.[96]
  • 금연해야 한다.[96]
  • 스트레스를 줄이고 관리해야 한다.[96] 예를 들어 명상과 요가를 할 수 있다.[96]


효과적인 생활양식 변경은 각각의 항고혈압 약제 만큼 혈압을 낮출 수 있다. 두 가지 이상의 생활양식 변경을 조합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457]

고혈압 치료의 첫 단계는 생활 습관 개선이며, 여기에는 식생활 개선,[468] 육체적 운동, 체중 감량이 포함된다.[467] 이러한 방법들은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낮추는 데 상당한 효과가 있으며,[482] 그 효과는 하나의 약제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거나 더 좋을 수 있다.[476] 혈압이 높아 약물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도 생활 습관 변경은 여전히 권고된다.

저염식과 같은 식생활 변화는 유용하다. 장기(4주 이상) 저염식은 고혈압 환자와 정상 혈압 환자 모두에게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469] DASH 식사요법은 견과류, 미정제 곡물, 생선, 가금류 고기, 과일과 야채가 풍부한 식사로, 혈압을 낮춘다. 이러한 식습관 개선의 주요 특징은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지만, 식사는 단백질과 더불어 칼륨, 마그네슘이 풍부한 것으로 해야 한다.[470]

생체 자기 제어, 이완 기법, 초월 명상 등 심리적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고혈압을 줄이기 위한 부가적인 치료로 사용될 수 있다.[471] 그러나 전반적인 효험은 건강 교육보다 크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작은 효과가 입증되었다.[472][471][473]

6. 2. 정기적인 건강 검진

고혈압으로 진단되지 않은 사람들도 고혈압으로 인한 질병 부담을 경험한다.[457][99][297] 따라서 고혈압의 결과를 줄이고 항고혈압제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인구 전략이 필요하며, 약물 요법을 시작하기 전에 혈압을 낮추기 위한 생활 습관 변화가 권고된다.[457]

2004년 영국 고혈압 학회 지침[457]과 미연방 고혈압 교육 프로그램[466]에서는 고혈압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생활 습관 변화를 제안한다.

  • 성인의 경우 정상 체중 유지 (예: 체질량 지수 20~25 kg/m2)[457][96][189]
  • 식이 나트륨 섭취량 감소 (하루 100 mmol 미만(<6g의 소금(염화나트륨) 또는 하루 <2.4g의 나트륨)[457][96][189]
  • 활발한 보행과 같은 규칙적인 신체 활동 (일주일 중 대부분, 하루 30분 이상)[457], 중등도 강도의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주 최소 150분)[96][189]
  • 알코올 섭취 제한,[96][189] 남자는 하루 3유닛, 여자는 하루 2유닛을 넘지 않도록 한다.[457] 여성은 하루 최대 1잔, 남성은 2잔[7][199]
  • 과일과 채소가 풍부한 식사,[457] 통곡물, 과일, 채소가 풍부한 식단 섭취,[96] 예: DASH 식이요법[96][189]
  • 금연[96][189]
  • 스트레스 감소 및 관리,[96][189] 예: 명상과 요가[96][189]


효과적인 생활 습관 변경은 개별 항고혈압제만큼 혈압을 낮출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생활 양식 변경을 조합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457][99][297] 식이 소금 섭취량 감소가 혈압을 낮춘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지만,[100][298] 이것이 사망률과 심혈관 질환 감소로 이어지는지는 불확실하다.[100][298] 하루 6g 이상 및 3g 미만의 나트륨 섭취량은 모두 사망 또는 주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지만, 높은 나트륨 섭취와 부정적인 결과 사이의 연관성은 고혈압 환자에게서만 관찰된다.[101][299] 따라서 무작위 대조 시험의 결과가 없는 상황에서 하루 3g 미만의 식이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현명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100][298] ESC 가이드라인에서는 치주염이 좋지 않은 심혈관 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다고 언급한다.[102][300]

고혈압에 대한 정기적인 선별 검사의 가치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103][104][105][301][302][303][304] 2004년, 미국 고혈압 교육 프로그램(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은 3세 이상 어린이의 경우 모든 건강 관리 방문 시 최소 한 번 이상 혈압 측정을 권장했으며,[98][296] 국립 심장, 폐, 혈액 연구소(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와 미국 소아과 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도 유사한 권고를 했다.[106] 그러나 미국 가정의학회(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107][302]는 미국 예방 서비스 태스크포스의 견해, 즉 증상이 없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고혈압 선별 검사의 이점과 해악의 균형을 결정하기에 충분한 증거가 없다는 견해를 지지한다.[108][109][303][304] 미국 예방 서비스 태스크포스는 18세 이상 성인에 대해 진료실 혈압 측정을 통한 고혈압 선별 검사를 권장한다.[105][110][305][306]

7. 관리

뇌졸중, 심근 경색 등의 병은 아침 기상 후에 자주 일어나므로, 이른 아침에 고혈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474][478]

안내 지침에 따라 식이 요법이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에도 불구하고 140/90mmHg를 넘으면 약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474][478]

2003년에 발표된 한 총설에 따르면, 혈압을 5mmHg 낮추면 뇌졸중 위험을 34%, 허혈성 심질환 위험을 21% 줄일 수 있으며, 치매, 심부전, 그리고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도 감소시킬 수 있다.[111][307] 2009년부터 2016년에 발표된, 강압제 치료를 대상으로 한 여러 메타 분석에 따르면, 수축기 혈압 10 mmHg 또는 이완기 혈압 5 mmHg 감소에 따라 발병 위험은 주요 심혈관 사건에서 약 20%, 뇌졸중에서 30-40%, 관상동맥 질환에서 약 20%, 심부전에서 약 40%, 전체 사망률에서 10-15% 각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생활 습관 개선 ====

고혈압 치료의 첫 단계는 식이 요법, 신체 활동 및 체중 감량을 포함한 생활 습관 개선이다.[467][468][319] 이러한 방법들은 단일 약물 치료와 비슷하거나 때로는 그 효과를 능가하기도 한다.[476][96][189] 만약 고혈압이 약물 사용을 즉시 정당화할 만큼 심각한 경우에도, 약물 치료와 함께 생활 습관 개선을 권장한다.

혈압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난 식이 요법에는 저나트륨 식단,[125][126][321][322] DASH 식이요법(고혈압 예방을 위한 식이 접근법),[127][323] 및 식물성 식단이 포함된다.[129][325] DASH 식사요법은 견과류, 미정제 곡물, 생선, 가금류 고기, 과일과 야채가 풍부한 식사로,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고 단백질과 더불어 칼륨, 마그네슘이 풍부한 것으로 해야 한다.[470] 일본 고혈압 학회의 고혈압 치료 가이드라인 2014에서는, DASH식에서 수축기 혈압 강하 효과가 가장 크고, 이완기 혈압 효과도 체중 감량에 이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임상 지침에서는 고혈압 진단을 받은 여성의 경우 하루 최소 28g, 남성의 경우 하루 최소 38g의 식이섬유 섭취량 증가를 권장했다.[130][131]

식이 칼륨 섭취량을 늘리는 것은 고혈압 위험 감소에 잠재적인 이점이 있다.[132][133] 칼륨은 나트륨의 혈압 상승 작용에 길항적으로 작용하므로(일본 고혈압 학회, 2019, p.65), 혈압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326] 칼륨 섭취량이 많은 성인일수록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유의하게 낮고, 뇌졸중 위험도 낮다는 보고가 있다.[327] 2012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칼륨 섭취 가이드라인을 처음 발표하여, 권장 섭취량을 90mmol/일(3519mg) 이상으로 제시했다.[327] 신장에 장애가 없고 칼륨 섭취에 문제가 없다면, 칼륨이 풍부한 채소과일, 섭취를 늘림으로써 혈압 강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331] 그러나 특정 고혈압 치료제(ACE 저해제나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 등)를 복용하는 사람은 혈중 칼륨 농도가 높아질 위험이 있으므로, 칼륨 보충제나 칼륨 첨가 소금을 섭취해서는 안 된다.[332]

일본 고혈압 학회 가이드라인에서는 고혈압 환자의 경우 1일 6g 미만의 저염식을 목표로 하는 것이 권장되어 왔다. 식사 중 섭취하는 식염의 대부분은 가공식품에서 유래한다.

혈압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난 신체 운동 요법에는 등척성 저항 운동, 유산소 운동, 저항 운동 및 기기 유도 호흡이 포함된다.[136][341] 잘 설계된 연구에 따르면, 신체 활동 강도를 높이면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6~7mmHg 정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340]

생체 피드백 또는 초월 명상과 같은 스트레스 감소 기법은 고혈압을 줄이기 위한 다른 치료법에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지만, 단독으로 심혈관 질환 예방에 대한 증거는 없다.[471][136][137][138][341][342][343]

==== 약물 치료 ====

식이 요법이나 운동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혈압이 140/90mmHg를 넘으면 약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474][478]

현재 강압제로 불리는 여러 종류의 약들을 고혈압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약의 사용은 환자의 심혈관 질환(심근경색과 뇌졸중을 포함)과 혈압을 고려하여 환자의 심장혈관 측면을 파악해야 한다.[474] 가벼운 고혈압(수축기 혈압 160 mmHg 미만, 그리고/또는 확장기 혈압 100 mmHg 미만)이 있고 다른 건강상 문제가 없는 경우는 약물 치료로 사망 위험이나 건강 합병증의 비율이 감소하였음을 뒷받침하는 충분한 증거가 없다.[475] 고혈압 전 단계나 정상 범위에서 높은 혈압의 사람에는 약물 치료가 권고되지 않는다.[476]

JNC7[454]에서는 약물 치료가 시작되면 의사가 치료 반응뿐만 아니라 약제에 의한 부작용도 평가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5 mmHg의 혈압 감소는 뇌졸중 위험을 34%, 허혈성 심장 질환을 21% 줄일 수 있고, 치매, 심부전,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줄일 수 있다.[477]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혈압을 140/90 mmHg에서 160/100 mmHg보다 낮거나 같게 하도록 권장된다.[474][478] 낮은 수준의 혈압을 달성하려는 시도는 향상된 결과를 입증하지 못했다.[478] 일부에서는 당뇨나 신장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120/80 mmHg보다 낮은 혈압을 권장하지만,[474][479] 증명되지는 않았다.[478] 원하는 혈압에 도달하지 못하면, 고혈압 조절에서 치료의 타성(Therapeutic inertia)이 명확한 장애가 되므로 치료를 바꾸어야 한다.[480]

가장 좋은 1차 약제가 무엇인지는 논란이 되고 있다.[481] 코크레인 콜라보레이션, 세계보건기구, 미국의 지침은 1차 약제로 적은 양의 티아지드를 기본으로 한 이뇨제를 지지한다.[482][481][483][484] 영국의 지침은 55세 이상이거나 고향이 아프리카 또는 카리브해 지역인 경우 1차 약제로 칼슘통로차단제(CCB)를 주로 사용하고, 나이가 어린 경우 앤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CE-I)를 사용할 것을 강조한다.[490] 일본에서는 CCB, ACEI/ARB,[485] 티아지드 이뇨제, 베타차단제, 알파차단제를 포함한 여섯 종류의 약제 중 하나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지며, 캐나다와 유럽에서는 알파차단제를 제외한 나머지 중에 선택하도록 권고된다.[476][481]

고혈압의 1차 치료제로는 티아지드 이뇨제, 칼슘 채널 차단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CE 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가 있다.[140][9][345][201] 이러한 약물들은 단독 또는 병용(ACE 억제제와 ARB는 병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혈압 수치를 치료 전 수준으로 되돌리려는 항상성 기전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9][141][201][346] 하지만 1차 병용 요법에 대한 증거는 충분하지 않다.[142][347]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혈압을 조절하기 위해 두 가지 이상의 약제가 필요하다.[123][319] 목표 수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단계적 치료 접근 방식으로 혈압 조절 약물을 사용해야 한다.[139][344]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혈압을 조절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약제가 필요하다. 수축기 혈압이 160 mmHg를 초과하거나 이완기 혈압이 100 mmHg를 초과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미국심장협회에서는 티아지드와 함께 ACEI, ARB 또는 CCB로 시작하도록 권고한다.[482] ACEI와 CCB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482]

허용될 수 없는 조합으로는 비(非)디히드로피리딘 칼슘 차단제 (예를 들면 베라파밀이나 딜티아젬)과 베타 차단제, 이중의 레닌 안지오텐신 조직 차단 (예를 들면 안지오텐신 변환효소 억제제 +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레닌 안지오텐신 조직 차단제와 베타 차단제, 베타 차단제와 중추성 약물 등이 있다.[486] 'ACE 억제제' 또는 '앤지오텐신Ⅱ수용체길항물질', '이뇨제'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487](선택적 COX-2 억제제와 이부프로펜과 같은 규정되지 않은 약제 포함)의 조합은 가능하면 피해야 하는데, 이는 급성신부전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 조합은 오스트레일리아의 건강산업에서는 '3중의 위험'으로 알려져 있다.[467]

이전에는 베타 차단제 (예: 아테놀롤)가 고혈압의 1차 치료제로 사용될 때 유사한 유익한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13개의 임상 시험을 포함한 코크란 검토에 따르면 베타 차단제의 효과는 심혈관 질환 예방에 있어 다른 항고혈압제보다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144][349]

고령자의 경우, 이러한 약물의 휴약이 사망률,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에 영향을 미친다는 강력한 근거가 없으므로 전문가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143][348]

소아 고혈압에 대한 항고혈압제 처방은 증거가 제한적이다. 위약과 비교한 제한적인 증거는 단기간 혈압에 대한 적당한 효과를 보여준다. 고용량 투여는 혈압 감소를 더 크게 만들지 않았다.[145][350]

==== 치료 목표 ====

여러 전문가 그룹은 고혈압 치료 시 목표 혈압을 얼마나 낮춰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 이들 그룹은 일반 인구의 경우 140~160/90~100 mmHg 미만을 목표로 권장한다.[96][9][112][113][189][201][308][309] 코크란 검토에서는 당뇨병 환자[114][310] 및 이전 심혈관 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115][311]와 같은 하위 집단에 대해서도 유사한 목표치를 권장한다. 또한 코크란 검토에 따르면 중등도에서 고위험 심혈관 질환이 있는 고령자의 경우 표준 혈압 목표치(140/90 mmHg 이하)보다 낮은 수치를 달성하려는 시도의 이점보다 개입과 관련된 위험이 더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116][312] 이러한 결과는 다른 인구 집단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116][312]

많은 전문가 그룹은 60세에서 80세 사이의 사람들에게는 150/90 mmHg의 약간 높은 목표치를 권장한다.[112][113][117][308][309][313] JNC 8과 미국 내과 대학(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은 6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150/90 mmHg의 목표치를 권장하지만,[9][117][201][313] 이들 그룹 내 일부 전문가는 이 권장 사항에 동의하지 않는다.[118][314] 일부 전문가 그룹은 당뇨병[119][315] 또는 만성 신장 질환[120][316] 환자의 경우 약간 낮은 목표치를 권장했지만, 다른 그룹은 일반 인구와 동일한 목표치를 권장한다.[9][114][201][310] 최적의 목표치가 무엇이며 고위험군에 대한 목표치가 달라야 하는지 여부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지만,[121][317] 일부 전문가들은 일부 지침에서 주장하는 것보다 더 집중적인 혈압 강하를 제안한다.[122][318]

심혈관 질환 경험이 없고 10년 내 심혈관 질환 위험이 10% 미만인 사람의 경우, 2017년 미국 심장 협회(AHA) 지침은 수축기 혈압이 >140 mmHg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 mmHg인 경우 약물 치료를 권장한다.[8][200] 심혈관 질환 경험이 있거나 10년 내 심혈관 질환 위험이 10%를 초과하는 사람의 경우, 수축기 혈압이 >130 mmHg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80 mmHg인 경우 약물 치료를 권장한다.[8][200]

==== 내성 고혈압 ====

내성 고혈압은 서로 다른 종류에 속하는 3가지의 항고혈압 약제를 사용해도 목표한 혈압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고혈압을 말한다.[491][146] 내성 고혈압 치료 지침은 미국[491]과 영국[492]에서 출판되었다. 처방된 약물을 지시대로 복용하지 않는 것은 내약성 고혈압의 중요한 원인이다.[147]

내약성 고혈압의 일반적인 이차적 원인으로는 수면 무호흡증,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신동맥 협착증이 있으며, 드문 이차적 원인으로는 페오크로모사이토마와 대동맥협착이 있다.[148] 내약성 고혈압 환자 5명 중 1명은 치료 가능하고 때로는 완치 가능한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을 가지고 있다.[149] 내성 고혈압의 일부는 만성적으로 활발한 자율신경계의 활동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제안되었는데, 이를 '신경성 고혈압(neurogenic hypertension)'이라고 한다.[493][150] 압력 수용체 반사를 자극하는 전기 요법이 이러한 상황에 있는 사람들의 혈압을 낮추는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151]

난치성 고혈압은 서로 다른 종류의 다섯 가지 이상의 항고혈압제를 동시에 사용해도 혈압이 낮아지지 않는 고혈압을 말하며,[152] 난치성 고혈압 환자는 일반적으로 교감 신경계 활동이 증가하고, 더 심각한 심혈관 질환과 모든 원인 사망 위험이 높다.[152][153]

7. 1. 생활 습관 개선

고혈압 치료의 첫 단계는 식이 요법, 신체 활동 및 체중 감량을 포함한 생활 습관 개선이다.[467][468][319] 이러한 방법들은 단일 약물 치료와 비슷하거나 때로는 그 효과를 능가하기도 한다.[476][96][189] 만약 고혈압이 약물 사용을 즉시 정당화할 만큼 심각한 경우에도, 약물 치료와 함께 생활 습관 개선을 권장한다. 뇌졸중, 심근 경색 등의 병은 아침 기상 후에 자주 일어나므로, 이른 아침에 고혈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내 지침에 따라 식이 요법이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에도 불구하고 140/90mmHg를 넘으면 약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혈압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난 식이 요법에는 저나트륨 식단,[125][126][321][322] DASH 식이요법(고혈압 예방을 위한 식이 접근법),[127][323] (이는 엄브렐라 검토에서 다른 11가지 식단에 비해 가장 효과적이었다)[128][324] 및 식물성 식단이 포함된다.[129][325] DASH 식사요법은 견과류, 미정제 곡물, 생선, 가금류 고기, 과일과 야채가 풍부한 식사로,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고 단백질과 더불어 칼륨, 마그네슘이 풍부한 것으로 해야 한다.[470] 일본 고혈압 학회의 고혈압 치료 가이드라인 2014에서는, DASH식에서 수축기 혈압 강하 효과가 가장 크고, 이완기 혈압 효과도 체중 감량에 이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임상 지침에서는 고혈압 진단을 받은 여성의 경우 하루 최소 28g, 남성의 경우 하루 최소 38g의 식이섬유 섭취량 증가를 권장했다.[130][131]

식이 칼륨 섭취량을 늘리는 것은 고혈압 위험 감소에 잠재적인 이점이 있다.[132][133] 칼륨은 나트륨의 혈압 상승 작용에 길항적으로 작용하므로(일본 고혈압 학회, 2019, p.65), 혈압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326] 칼륨 섭취량이 많은 성인일수록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유의하게 낮고, 뇌졸중 위험도 낮다는 보고가 있다.[327] 2012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칼륨 섭취 가이드라인을 처음 발표하여, 권장 섭취량을 90mmol/일(3519mg) 이상으로 제시했다.[327] 신장에 장애가 없고 칼륨 섭취에 문제가 없다면, 칼륨이 풍부한 채소과일, 섭취를 늘림으로써 혈압 강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331] 그러나 특정 고혈압 치료제(ACE 저해제나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 등)를 복용하는 사람은 혈중 칼륨 농도가 높아질 위험이 있으므로, 칼륨 보충제나 칼륨 첨가 소금을 섭취해서는 안 된다.[332]

일본 고혈압 학회 가이드라인에서는 고혈압 환자의 경우 1일 6g 미만의 저염식을 목표로 하는 것이 권장되어 왔다. 식사 중 섭취하는 식염의 대부분은 가공식품에서 유래한다.

혈압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난 신체 운동 요법에는 등척성 저항 운동, 유산소 운동, 저항 운동 및 기기 유도 호흡이 포함된다.[136][341] 잘 설계된 연구에 따르면, 신체 활동 강도를 높이면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6~7mmHg 정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340]

생체 피드백 또는 초월 명상과 같은 스트레스 감소 기법은 고혈압을 줄이기 위한 다른 치료법에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지만, 단독으로 심혈관 질환 예방에 대한 증거는 없다.[471][136][137][138][341][342][343]

7. 2. 약물 치료

식이 요법이나 운동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혈압이 140/90mmHg를 넘으면 약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474][478] 뇌졸중, 심근 경색 등의 병은 아침 기상 후에 자주 일어나므로, 이른 아침에 고혈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강압제로 불리는 여러 종류의 약들을 고혈압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약의 사용은 환자의 심혈관 질환(심근경색과 뇌졸중을 포함)과 혈압을 고려하여 환자의 심장혈관 측면을 파악해야 한다.[474] 가벼운 고혈압(수축기 혈압 160 mmHg 미만, 그리고/또는 확장기 혈압 100 mmHg 미만)이 있고 다른 건강상 문제가 없는 경우는 약물 치료로 사망 위험이나 건강 합병증의 비율이 감소하였음을 뒷받침하는 충분한 증거가 없다.[475] 고혈압 전 단계나 정상 범위에서 높은 혈압의 사람에는 약물 치료가 권고되지 않는다.[476]

JNC7[454]에서는 약물 치료가 시작되면 의사가 치료 반응뿐만 아니라 약제에 의한 부작용도 평가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5 mmHg의 혈압 감소는 뇌졸중 위험을 34%, 허혈성 심장 질환을 21% 줄일 수 있고, 치매, 심부전,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줄일 수 있다.[477]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혈압을 140/90 mmHg에서 160/100 mmHg보다 낮거나 같게 하도록 권장된다.[474][478] 낮은 수준의 혈압을 달성하려는 시도는 향상된 결과를 입증하지 못했다.[478] 일부에서는 당뇨나 신장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120/80 mmHg보다 낮은 혈압을 권장하지만,[474][479] 증명되지는 않았다.[478] 원하는 혈압에 도달하지 못하면, 고혈압 조절에서 치료의 타성(Therapeutic inertia)이 명확한 장애가 되므로 치료를 바꾸어야 한다.[480]

가장 좋은 1차 약제가 무엇인지는 논란이 되고 있다.[481] 코크레인 콜라보레이션, 세계보건기구, 미국의 지침은 1차 약제로 적은 양의 티아지드를 기본으로 한 이뇨제를 지지한다.[482][481][483][484] 영국의 지침은 55세 이상이거나 고향이 아프리카 또는 카리브해 지역인 경우 1차 약제로 칼슘통로차단제(CCB)를 주로 사용하고, 나이가 어린 경우 앤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CE-I)를 사용할 것을 강조한다.[490] 일본에서는 CCB, ACEI/ARB,[485] 티아지드 이뇨제, 베타차단제, 알파차단제를 포함한 여섯 종류의 약제 중 하나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지며, 캐나다와 유럽에서는 알파차단제를 제외한 나머지 중에 선택하도록 권고된다.[476][481]

고혈압의 1차 치료제로는 티아지드 이뇨제, 칼슘 채널 차단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CE 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가 있다.[140][9][345][201] 이러한 약물들은 단독 또는 병용(ACE 억제제와 ARB는 병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혈압 수치를 치료 전 수준으로 되돌리려는 항상성 기전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9][141][201][346] 하지만 1차 병용 요법에 대한 증거는 충분하지 않다.[142][347]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혈압을 조절하기 위해 두 가지 이상의 약제가 필요하다.[123][319] 목표 수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단계적 치료 접근 방식으로 혈압 조절 약물을 사용해야 한다.[139][344]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혈압을 조절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약제가 필요하다. 수축기 혈압이 160 mmHg를 초과하거나 이완기 혈압이 100 mmHg를 초과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미국심장협회에서는 티아지드와 함께 ACEI, ARB 또는 CCB로 시작하도록 권고한다.[482] ACEI와 CCB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482]

허용될 수 없는 조합으로는 비(非)디히드로피리딘 칼슘 차단제 (예를 들면 베라파밀이나 딜티아젬)과 베타 차단제, 이중의 레닌 안지오텐신 조직 차단 (예를 들면 안지오텐신 변환효소 억제제 +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레닌 안지오텐신 조직 차단제와 베타 차단제, 베타 차단제와 중추성 약물 등이 있다.[486] 'ACE 억제제' 또는 '앤지오텐신Ⅱ수용체길항물질', '이뇨제'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487](선택적 COX-2 억제제와 이부프로펜과 같은 규정되지 않은 약제 포함)의 조합은 가능하면 피해야 하는데, 이는 급성신부전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들 조합은 오스트레일리아의 건강산업에서는 '3중의 위험'으로 알려져 있다.[467]

이전에는 베타 차단제 (예: 아테놀롤)가 고혈압의 1차 치료제로 사용될 때 유사한 유익한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13개의 임상 시험을 포함한 코크란 검토에 따르면 베타 차단제의 효과는 심혈관 질환 예방에 있어 다른 항고혈압제보다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144][349]

고령자의 경우, 이러한 약물의 휴약이 사망률,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에 영향을 미친다는 강력한 근거가 없으므로 전문가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143][348]

소아 고혈압에 대한 항고혈압제 처방은 증거가 제한적이다. 위약과 비교한 제한적인 증거는 단기간 혈압에 대한 적당한 효과를 보여준다. 고용량 투여는 혈압 감소를 더 크게 만들지 않았다.[145][350]

7. 3. 치료 목표

뇌졸중, 심근 경색 등의 병은 아침 기상 후에 자주 일어나므로, 이른 아침에 고혈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내 지침에 따라 식이 요법이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에도 불구하고 140/90mmHg를 넘으면 약물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식사 요법으로는 식염 제한 또는 저염식이 있고, 그 외 체중 감량, 육체적 운동, 금연, 약물 요법 등이 있다.

여러 전문가 그룹은 고혈압 치료 시 목표 혈압을 얼마나 낮춰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 이들 그룹은 일반 인구의 경우 140~160/90~100 mmHg 미만을 목표로 권장한다.[96][9][112][113][189][201][308][309] 코크란 검토에서는 당뇨병 환자[114][310] 및 이전 심혈관 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115][311]와 같은 하위 집단에 대해서도 유사한 목표치를 권장한다. 또한 코크란 검토에 따르면 중등도에서 고위험 심혈관 질환이 있는 고령자의 경우 표준 혈압 목표치(140/90 mmHg 이하)보다 낮은 수치를 달성하려는 시도의 이점보다 개입과 관련된 위험이 더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116][312] 이러한 결과는 다른 인구 집단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116][312]

많은 전문가 그룹은 60세에서 80세 사이의 사람들에게는 150/90 mmHg의 약간 높은 목표치를 권장한다.[112][113][117][308][309][313] JNC 8과 미국 내과 대학(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은 6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150/90 mmHg의 목표치를 권장하지만,[9][117][201][313] 이들 그룹 내 일부 전문가는 이 권장 사항에 동의하지 않는다.[118][314] 일부 전문가 그룹은 당뇨병[119][315] 또는 만성 신장 질환[120][316] 환자의 경우 약간 낮은 목표치를 권장했지만, 다른 그룹은 일반 인구와 동일한 목표치를 권장한다.[9][114][201][310] 최적의 목표치가 무엇이며 고위험군에 대한 목표치가 달라야 하는지 여부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지만,[121][317] 일부 전문가들은 일부 지침에서 주장하는 것보다 더 집중적인 혈압 강하를 제안한다.[122][318]

심혈관 질환 경험이 없고 10년 내 심혈관 질환 위험이 10% 미만인 사람의 경우, 2017년 미국 심장 협회(AHA) 지침은 수축기 혈압이 >140 mmHg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 mmHg인 경우 약물 치료를 권장한다.[8][200] 심혈관 질환 경험이 있거나 10년 내 심혈관 질환 위험이 10%를 초과하는 사람의 경우, 수축기 혈압이 >130 mmHg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80 mmHg인 경우 약물 치료를 권장한다.[8][200]

7. 4. 내성 고혈압

내성 고혈압은 서로 다른 종류에 속하는 3가지의 항고혈압 약제를 사용해도 목표한 혈압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고혈압을 말한다.[491][146] 내성 고혈압 치료 지침은 미국[491]과 영국[492]에서 출판되었다. 처방된 약물을 지시대로 복용하지 않는 것은 내약성 고혈압의 중요한 원인이다.[147]

내약성 고혈압의 일반적인 이차적 원인으로는 수면 무호흡증,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신동맥 협착증이 있으며, 드문 이차적 원인으로는 페오크로모사이토마와 대동맥협착이 있다.[148] 내약성 고혈압 환자 5명 중 1명은 치료 가능하고 때로는 완치 가능한 일차성 알도스테론증을 가지고 있다.[149] 내성 고혈압의 일부는 만성적으로 활발한 자율신경계의 활동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제안되었는데, 이를 '신경성 고혈압(neurogenic hypertension)'이라고 한다.[493][150] 압력 수용체 반사를 자극하는 전기 요법이 이러한 상황에 있는 사람들의 혈압을 낮추는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151]

난치성 고혈압은 서로 다른 종류의 다섯 가지 이상의 항고혈압제를 동시에 사용해도 혈압이 낮아지지 않는 고혈압을 말하며,[152] 난치성 고혈압 환자는 일반적으로 교감 신경계 활동이 증가하고, 더 심각한 심혈관 질환과 모든 원인 사망 위험이 높다.[152][153]

8. 합병증

고혈압이 지속되면 동맥 경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합병증으로 이어진다.[499][406][165][231] 주요 합병증으로는 뇌졸중,[500][406][166][22] 허혈성 심질환,[500][406][166][22] 말초혈관병,[501][167][233] 심부전, 대동맥류, 광범위 죽상동맥경화증, 폐색전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이 있다.[406][6][22][198][214] 또한, 고혈압은 인지 장애, 치매,[406][22][214] 만성 신장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406][22][198][214]

악성 고혈압은 신장망막에 있는 세동맥벽을 빠르게 경화 또는 손상시켜 세포사를 유발할 수 있다. 그 외의 합병증으로는 고혈압망막병과 고혈압신장병 등이 있다.[454][93][288] 세계보건기구의 2002년 보고에 따르면, 뇌졸중의 62%, 관상동맥질환의 49%가 고혈압 때문에 발생했다.[234]

지속적인 고혈압의 주요 합병증

9. 역학

2000년에는 전 세계 성인 인구의 약 26%인 10억 명에 가까운 사람이 고혈압을 앓고 있었으며,[495] 이는 선진국(3억 3천 3백만 명)과 저개발국(6억 3천 9백만 명) 모두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495] 1975년에는 약 6억 명이었던 고혈압 환자는 2015년에 11억 3천만 명으로 증가했는데,[7]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에서 고혈압 위험 요인이 증가했기 때문이다.[7] 2019년 기준으로 세계 인구의 3분의 1(33%)가 고혈압인 것으로 추정되며,[156][157] 이 중 약 46%는 자신이 고혈압인지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7][156]

고혈압 유병률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인도의 시골에서는 남성 3.4%, 여성 6.8%인 반면,[496] 폴란드에서는 남성 68.9%, 여성 72.5%로 나타났다.[496] 2013년 유럽에서는 약 30~45%의 유병률을 보였다.[476] 2019년 기준으로 고혈압 진단 비율은 아프리카에서 30%(남녀 모두)로 가장 높았고, 아메리카에서 18%(남녀 모두)로 가장 낮았다.[157] 페루(남성 22.8%, 여성 18.4%)와 파라과이(남성 61.6%, 여성 50.9%)처럼 같은 지역 내에서도 국가별 편차가 크다.[157]

고혈압은 남성에게 더 흔하고,[403] 나이가 들수록 더 흔해진다.[11] 50세 미만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고혈압 유병률이 높고,[157] 50세 이상에서는 남녀 유병률이 비슷하며,[157] 65세 이상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고혈압 유병률이 높다.[96] 또한,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나며,[403] 당뇨병 환자에게서 약 2배 더 흔하다.[159]

1960년대 초, 한국에서는 고혈압 환자가 8·15 해방 전보다 10배, 한국전쟁 전보다 5배 증가했는데,[497] 이는 육식 증가와 복잡해진 생활 환경 때문으로 분석되었다.[497] 1980년대 초 경제기획원 통계에 따르면 전체 사망원인 중 약 30%가 순환기계 질환이었고, 고혈압으로 인한 사망은 15%를 넘었다.[498]

미국에서는 1995년 인구의 24%가 고혈압이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었으며,[160] 2004년에는 29%,[180][161] 2017년에는 32%(미국 성인 7600만 명)로 증가했다.[8] 2017년 미국 지침에서 고혈압 정의가 변경됨에 따라 미국 인구의 46%가 고혈압의 영향을 받고 있다.[8] 특히, 미국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성인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고혈압 비율(44%)을 보인다. 지난 20년 동안 미국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고혈압 발생률이 증가했으며,[163] 특히 사춘기 이전 아동의 소아 고혈압은 성인보다 기저 질환에 의한 이차적 원인일 가능성이 더 높다.[164] 신장 질환은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가장 흔한 고혈압의 이차적 원인이다.[164]

10. 역사

심혈관계에 대한 현대적 이해는 의사 윌리엄 하비(1578–1657)의 연구에서 시작되었는데, 그는 자신의 저서 "''De motu cordis''"에서 혈액 순환을 기술하였다.[168][175] 영국의 성직자 스티븐 헤일스는 1733년에 최초로 혈압 측정 결과를 발표하였다.[168][175] 1896년 스키피오네 리바 로치가 팔에 차는 식의 혈압계를 발명하면서 고혈압이 임상적 실체로 자리 잡게 되었다.[169] 이는 진료소에서 수축기 혈압을 쉽게 측정할 수 있게 해주었다. 1905년, 니콜라이 코로트코프는 혈압계 팔토시의 공기를 빼면서 청진기로 동맥을 청진할 때 들리는 코로트코프음을 기술함으로써 이 기술을 개선하여,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168]

중세 페르시아 의학 서적의 "만성질환(fullness disease)" 장에서는 두통, 두중감, 둔한 움직임, 전반적인 발적과 체온 상승, 도드라지고 팽창되고 긴장된 혈관, 맥박의 충만, 피부 팽창, 색깔이 짙고 농축된 소변, 식욕 부진, 시력 약화, 사고력 장애, 하품, 졸음, 혈관 파열, 그리고 출혈성 뇌졸중을 포함하여 고혈압 위기 환자의 증상과 유사한 증상들이 논의된다.[170][171]

고혈압을 질병으로 기술한 내용은 토마스 영의 1808년 연구와 리처드 브라이트의 1836년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175] 신장 질환 증거가 없는 사람에게서 고혈압을 처음으로 보고한 사람은 프레더릭 아크바르 마호메드(1849~1884)였다.[172]

1990년대까지, 수축기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 160mmHg 이상으로 정의되었다.[173] 1993년, WHO/ISH 가이드라인에서는 고혈압의 기준을 140mmHg로 정의했다.[174]

과거 "경맥 질환(hard pulse disease)"으로 불린 질병의 치료는 사혈이나 거머리를 이용하여 혈액량을 줄이는 것이었다.[175] 이는 중국의 황제, 코르넬리우스 켈수스, 갈레노스, 히포크라테스에 의해 옹호되었다.[175] 경맥 질환 치료를 위한 치료법에는 생활 습관의 변화(분노와 성교 피하기)와 환자를 위한 식단 프로그램(와인, 고기, 페이스트리 섭취 금지, 식사량 줄이기, 저에너지 식단 유지, 시금치와 식초 섭취)이 포함되었다.

19세기와 20세기에 고혈압에 대한 효과적인 약물 치료가 가능해지기 전에는 엄격한 나트륨 제한(예: 현미식(rice diet)),[175] 교감신경절제술(교감신경계 일부의 외과적 절제), 발열 요법(열을 유발하는 물질을 주사하여 간접적으로 혈압을 낮추는 방법)과 같은 세 가지 치료법이 사용되었으나, 수많은 부작용이 있었다.[175][176]

고혈압 치료제로 처음 사용된 티오시안산나트륨은 1900년에 사용되었지만 많은 부작용이 있어 인기가 없었다.[17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메토늄, 히드랄라진, 라우볼피아 세르펜티나라는 약초에서 추출한 레세르핀과 같은 여러 다른 약제가 개발되었으나, 모두 내약성이 좋지 않았다.[177][178] 1958년 최초의 티아지드계 이뇨제이자 항생제 설파닐아마이드에서 개발된 클로로티아지드가 사용 가능해지면서 경구 투여가 가능하고 내약성이 좋은 최초의 약제가 발견되었다.[175][179] 그 후 베타 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레닌 억제제가 고혈압 치료제로 개발되었다.[176]

참조

[1] 서적 Medical sciences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
[2] 웹사이트 About High Blood Pressure https://www.cdc.gov/[...] 2024-05-15
[3] 논문 Global burde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stroke: hypertension at the core 2015-05
[4] 서적 Global atlas on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http://whqlibdoc.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World Heart Federation and the World Stroke Organization 2011
[5] Review Treatment options and considerations for hypertensive patients to prevent dementia 2017-07
[6] Review Modifiable Risk Factors and Atrial Fibrillation 2017-08
[7] 웹사이트 Hypertens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3-03-16
[8] 논문 2017 ACC/AHA/AAPA/ABC/ACPM/AGS/APhA/ASH/ASPC/NMA/PCNA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8-06
[9] 논문 2014 evidence-based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report from the panel members appointed to the Eighth Joint National Committee (JNC 8) 2014-02
[10] 웹사이트 How Is High Blood Pressure Treated? http://www.nhlbi.nih[...] 2015-09-10
[11] 논문 Hypertension 2015-08-00
[12] 논문 Pharmacotherapy for hypertension in adults 60 years or older 2019-06-00
[13] 논문 Effects of blood pressure reduction in mild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2-00
[14] 논문 Effects of intensive blood pressure lowering on cardiovascular and renal outcomes: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www.med-sovet[...] 2019-02-11
[15] 논문 Pharmacotherapy for mild hypertension 2012-08-00
[16] 논문 Blood pressure targets for hypertension in older adults 2017-08-00
[17] 논문 Pharmacotherapy for hypertension in adults aged 18 to 59 years 2017-08-00
[18]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https://archive.org/[...] McGraw-Hill
[19] 논문 Lay perspectives on hypertension and drug adherence: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2012-07-00
[20] 논문 The eye in hypertension 2007-02-00
[21] 웹사이트 Truncal obesity (Concept Id: C4551560) – MedGen – NCBI https://www.ncbi.nlm[...] 2022-04-24
[22] 서적 ABC of hypertension BMJ Books
[23] 웹사이트 High Blood Pressure – Understanding the Silent Killer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1-01-21
[24] 논문 Hypertensive crisis 2010-04-01
[25] 웹사이트 Hypertensive Crisis http://www.heart.org[...] 2015-07-25
[26] 논문 Hypertensive crises: challenges and management http://chestjournal.[...] 2007-06-01
[27] 논문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hypertensive emergencies 2008-01-01
[28]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29] 웹사이트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http://www.uptodate.[...] 2015-07-30
[30] 논문 Impact of Chronic Hypertension and Antihypertensive Treatment on Adverse Perinatal Outcom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05-01
[31] Plain English summary Pregnancy complications increase the risk of heart attacks and stroke in women with high blood pressure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3-11-21
[32] 논문 Association Between Chronic Hypertension and the Risk of 12 Cardiovascular Diseases Among Parous Women: The Role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2023-07-01
[33] 웹사이트 Hypertension and Pregnancy http://emedicine.med[...] Medscape 2009-07-30
[34] 논문 Hipertensão arterial e exercício físico https://linkinghub.e[...] 2012-02-01
[35] 보고서 ResearchGATE http://www.scivee.tv[...] SciVee 2009-01-13
[36] 논문 Exercise as Hypertension Therapy https://www.scienced[...] 2001-08-01
[37] 웹사이트 Hypertension http://emedicine.med[...] Medscape 2010-04-06
[38] 논문 Genome-wide analysis in over 1 million individuals of European ancestry yields improved polygenic risk scores for blood pressure traits 2024-05-01
[39] 논문 Molecular mechanisms of human hypertension 2001-02-01
[40] 논문 Trans-ancestry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identifies 12 genetic loci influencing blood pressure and implicates a role for DNA methylation 2015-11-01
[41] 논문 The western diet and lifestyle and diseases of civilization https://www.dovepres[...] 2011-03-09
[42] 논문 Residual lifetime risk for developing hypertension in middle-aged women and men: The Framingham Heart Study 2002-02-00
[43] 논문 Blood Pressure Effects of Sodium Reduction: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Studies 2021-04-20
[44] 논문 Weight-Loss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https://www.ahajourn[...] 2021-11-00
[45] 논문 Exercise training and resting blood pressure: a large-scale pairwise and network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https://pubmed.ncbi.[...] 2023-10-00
[46] 논문 Effects of Vegetarian Diets on Blood Pressure Lowering: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and Trial Sequential Analysis 2020-05-29
[47] 논문 Potassium and Hypertension: A State-of-the-Art Review https://academic.oup[...] 2023-09-29
[48] 논문 Calcium supplementation for prevention of primary hypertension 2022-01-11
[49] 논문 Alcohol Intake and Blood Pressure Levels: A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Nonexperimental Cohort Studies 2023-10-00
[50] 논문 The effect of coffee on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hypertensive individu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1-10-00
[51] 논문 Vitamin D and hypertension: current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s 2010-11-01
[52] 논문 Seasonal variation in blood pressure: current evidence and recommendations for hypertension management https://www.nature.c[...] 2021-11-01
[53] 논문 Depression increases the risk of hypertension incidence: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2012-05-01
[54] 논문 Loneliness matter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 of consequences and mechanisms 2010-10-01
[55] 논문 Periodontitis i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1-01
[56] 논문 Arsenic exposure and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2012-04-01
[57] 논문 Global association between ambient air pollution and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4-01
[58] 논문 Association between serum urate, gout and comorbidities: a case–control study using data from the UK Biobank https://academic.oup[...] 2021-07-01
[59] 논문 Urate,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 Evidence From Mendelian Randomization and Meta-Analysis of Clinical Trials 2021-02-01
[60] 논문 Assess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Hyperuricemia and Gout Using Bidirectional Mendelian Randomization 2021-11-01
[61] 논문 Associations of Insulin Resistance Wi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 Study From the HCHS/SOL 2021-09-01
[62] 논문 Early life determinants of adult blood pressure 2005-05-01
[63] 서적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W.B. Saunders
[64] 논문 Drug-induced hypertension: an unappreciated cause of secondary hypertension 2012-01-01
[65] 논문 Sex-Specific Associations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Incidence of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2018-06-01
[66] 논문 Hemodynamic aspects of essential hypertension in humans 1984-04-01
[67] 논문 The role of cardiac autonomic function in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2009-06-01
[68] 논문 Prediction of future hypertension by casual blood pressure or invasive hemodynamics? A 30-year follow-up study
[69] 논문 Physiological aspects of primary hypertension 1982-04-01
[70] 논문 The microcirculation and hypertension 1992-12-01
[71] 논문 Reactivity of small blood vessels in hypertension: relation with structural changes. State of the art lecture 1992-02-01
[72] 논문 Arterial and venous compliance in sustained essential hypertension 1987-08-01
[73] 논문 Higher heart rate variability as a predictor of atrial fibrillation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e
[74] 논문 Vascular stiffness and increased pulse pressure in the aging cardiovascular system 2011-08-02
[75] 논문 Clinical practice.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in the elderly 2007-08-01
[76] 논문 Mechanisms, pathophysiology, and therapy of arterial stiffness 2005-05-01
[77] 논문 Counterpoint: Activation of the intrarenal renin-angiotensin system is the dominant contributor to systemic hypertension 2010-12-01
[78] 논문 Point: Chronic activa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is the dominant contributor to systemic hypertension 2010-12-01
[79] 논문 Endothelium-dependent contractions and endothelial dysfunction in human hypertension 2009-06-01
[80] 논문 Role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in vascular inflammation 2008-07-01
[81] 논문 Targeting the immune system to treat hypertension: where are we? 2014-09-01
[82] 논문 Sodium and potassium in the pathogenesis of hypertension 2007-05-01
[83] 논문 Sodium-to-potassium ratio and blood pressure, hypertension, and related factors 2014-11-01
[84] 논문 Non-modulating essential hypertension: a subset particularly responsive to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1985-11-01
[85]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Education 2018-01-01
[86] Review Screening for Hypertension and Lowering Blood Pressure f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Events 2017-07-01
[87] Review Hypertension: From basic research to clinical practice 2017-01-01
[88] 논문 Screening for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5-11-01
[89] 서적 Hypertension (NICE CG 127)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11-12-22
[90] 논문 Unusual hypertensive phenotypes: what is their significance? 2012-02-01
[91] 논문 Orthostatic hypertension: a measure of blood pressure variation for predicting cardiovascular risk 2009-06-00
[92] 논문 Hyperten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6-05-00
[93] 논문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2003-12-00
[94] 논문 Harmonization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and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Blood Pressure/Hypertension Guidelines 2022-09-14
[95] 논문 2024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elevated blood pressure and hypertension: Developed by the task force on the management of elevated blood pressure and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and endorsed by the European Society of Endocrinology (ESE) and the European Stroke Organisation (ESO) 2024-08-30
[96] 논문 2023 ESH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Endorsed by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Hypertension (ISH) and the European Renal Association (ERA) 2023-12-01
[97] 논문 Hypertension in infancy: diagnosis, management and outcome 2012-01-00
[98] 논문 The fourth report on the diagnosis,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4-08-00
[99] 논문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hypertension: report of the fourth working party of the British Hypertension Society, 2004-BHS IV 2004-03-00
[100] 논문 Evidence-based policy for salt reduction is needed 2016-07-00
[101] 논문 Associations of urinary sodium excretion with cardiovascular events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hypertension: a pooled analysis of data from four studies https://ecommons.aku[...] 2016-07-01
[102] 논문 European Guidelines on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clinical practice (version 2012). The Fifth Joint Task Forc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and Other Societies on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Clinical Practice (constituted by representatives of nine societies and by invited experts) 2012-07-01
[103] 논문 Screening for elevated blood pressur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critical appraisal 2013-03-01
[104] 논문 Blood pressure screen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the glass half empty or more than half full? 2013-03-01
[105] 논문 Screening strategies for hypertension 2020-05-01
[106] 논문 Expert panel on integrated guidelines for cardiovascular health and risk redu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ummary report 2011-12-01
[107] 웹사이트 Hypertension – Clinical Preventive Service Recommendation http://www.aafp.org/[...] 2013-10-13
[108] 논문 Screening for primary hyperten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3-11-01
[109] 웹사이트 Document {{!}} United States Preventive Services Taskforce https://www.uspreven[...] 2020-04-22
[110] 논문 Screening for Hypertension in Adul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affirmation Recommendation Statement 2021-04-01
[111] 논문 Lowering blood pressure to prevent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a new preventive strategy
[112] 논문 The 2015 Canadian Hypertension Education Program recommendations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diagnosis, assessment of risk,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https://escholarship[...] 2015-05-00
[113] 웹사이트 Hypertension: Recommendations, Guidance and guidelines http://www.nice.org.[...] 2015-08-04
[114] 논문 Blood pressure targets for hypertension in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2013-10-00
[115] 논문 Blood pressure targets for the treatment of people with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2022-11-00
[116] 논문 Blood pressure targets in adults with hypertension 2020-12-00
[117] 논문 Pharmacologic Treatment of Hypertension in Adults Aged 60 Years or Older to Higher Versus Lower Blood Pressure Targets: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d the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2017-03-00
[118] 논문 Evidence supporting a systolic blood pressure goal of less than 150 mm Hg in patients aged 60 years or older: the minority view 2014-04-00
[119] 논문 Hypertension Management in Diabetes: 2018 Update 2018-08-01
[120] 논문 KDIGO 2021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Blood Pressure in Chronic Kidney Disease 2021-03-00
[121] 논문 Lower blood pressure targets: to whom do they apply? https://zenodo.org/r[...] 2016-01-01
[122] 논문 Intensive blood pressure lowering – Authors' reply 2016-06-01
[123] 논문 An effective approach to high blood pressure control: a science advisory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and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04-01
[124] 논문 Long-term effects of weight-reducing diets in people with hypertension 2021-02-01
[125] Systematic Review & Meta-Analysis Effect of longer-term modest salt reduction on blood pressure 2013-04-01
[126] 논문 Effect of dose and duration of reduction in dietary sodium on blood pressure level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trials 2020-02-01
[127] 논문 Effects on blood pressure of reduced dietary sodium and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DASH-Sodium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2001-01-04
[128] 논문 Efficacy of different dietary patterns on lowering of blood pressure level: an umbrella review 2020-12-01
[129] 논문 Plant-Based Diets and Hypertension
[130] 논문 Lifestyle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ternational Society of Hypertension position paper endorsed by the World Hypertension League and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131] 논문 Recommendations for the Use of Dietary Fiber to Improve Blood Pressure Control
[132] 논문 Effect of increased potassium intake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2013-04-00
[133] 논문 Potassium Intake, Bioavailability, Hypertension, and Glucose Control 2016-07-00
[134] 웹사이트 Scientific Report of the 2015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https://health.gov/d[...] 2017-04-26
[135] 논문 Hyperkalemia associated with use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2012-06-00
[136] 논문 Beyond medications and diet: alternative approaches to lowering blood pressur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3-06-00
[137] 논문 Clinical effectiveness of stress-reduction technique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10-00
[138] 논문 Relaxation therapies for the management of primary hypertension in adults 2008-01-00
[139] 논문 Interventions used to improve control of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http://researchonlin[...] 2019-02-11
[140] 논문 First-line drugs for hypertension 2018-04-00
[141] 논문 Blood pressure lowering efficacy of diuretics as second-line therapy for primary hypertension 2009-10-01
[142] 논문 First-line combination therapy versus first-line monotherapy for primary hypertension 2020-02-01
[143] 논문 Withdrawal of antihypertensive drugs in older people 2020-06-01
[144] 논문 Beta-blockers for hypertension 2017-01-01
[145] 논문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hypertension in children 2014-02-01
[146] 논문 Management of Resistant Hypertension-An Update 2024-04-01
[147] 논문 Electronic monitors of drug adherence: tools to make rational therapeutic decisions 2009-11-01
[148] 논문 Resistant hypertension: underlying causes and treatment 2013-05-01
[149] 논문 Diagnosis and treatment of primary aldosteronism: practical clinical perspectives 2019-02-01
[150] 논문 Autonomic-immune-vascular interaction: an emerging concept for neurogenic hypertension 2011-06-01
[151] 논문 Baroreceptors in the carotid and hypertension-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baroreflex activation therapy on blood pressure 2018-09-01
[152] 논문 Treatment of resistant and refractory hypertension 2019-03-01
[153] 논문 Refractory hypertension: A novel phenotype of antihypertensive treatment failure 2016-06-01
[154] 웹사이트 Blood Pressur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04-22
[155] 웹사이트 WHO Disease and injury country estimate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11-11
[156] 서적 Global report on hypertension: the race against a silent killer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3-09-19
[157] 논문 Worldwide trends in hypertension prevalence and progress in treatment and control from 1990 to 2019: a pooled analysis of 1201 population-representative studies with 104 million participants 2021-09-11
[158] 논문 Socioeconomic status and hypertension: a meta-analysis https://journals.lww[...] 2015-02-01
[159] 논문 Diabetes,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Clinical Insights and Vascular Mechanisms 2018-05-01
[160] 논문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the US adult population.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1 1995-03-01
[161] 논문 Trends in hypertension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in older U.S. adult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 to 2004 https://zenodo.org/r[...] 2007-07-00
[162] 논문 Epidemiological issues are not simply black and white 2011-10-00
[163] 논문 Hyperten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pidemiology and natural history 2010-07-00
[164] 논문 Hyperten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www.aafp.org/[...] 2006-05-00
[165] 웹사이트 Global health risks: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selected major risk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02-10
[166] 논문 Age-specific relevance of usual blood pressure to vascular mortality: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or one million adults in 61 prospective studies 2002-12-00
[167] 논문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peripheral arterial disease: does the choice of drugs matter? 2008-06-00
[168] 논문 Historical trends and milestones in hypertension research: a model of the process of translational research 2011-10-00
[169] 서적 A century of arterial hypertension 1896–1996 Wiley
[170] 논문 The medieval origins of the concept of hypertension 2014-07-00
[171] 논문 Avicenna's doctrine about arterial hypertension
[172] 서적 Manual of hypertension Blackwell Science
[173] 논문 Determinants of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http://jama.jamanetw[...] 1988-12-16
[174] 논문 1993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mild hypertension: memorandum from a WHO/ISH meeting. 1993
[175] 논문 From blood pressure to hypertension: the history of research 1991-10
[176] 논문 Controlling hypertension. A research success story 1996-09
[177] 논문 Experiences with tetraethylammonium chloride in hypertension 1948-02
[178] 논문 The evolution of antihypertensive therapy: an overview of four decades of experience 1989-12
[179] 논문 Benzothiadiazine dioxides as novel diuretics
[180] 논문 Trends in the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the adult US population. Data from the health examination surveys, 1960 to 1991 http://hyper.ahajour[...] 1995-07
[181] 논문 Impact of World Hypertension Day 2007-05-00
[182] 논문 World Hypertension Day and global awareness 2008-06-00
[183]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 – 2010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0-02-00
[184] 논문 Hypertension, a health economics perspective 2008-06-00
[185] 논문 The economic impact of hypertension 2003-10-00
[186] 논문 Economic benefits of treating high-risk hypertension with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s (blockers)
[187] 논문 ISFM Consensus Guidelines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Cats 2017-03-00
[188] 논문 ACVIM consensus statement: Guidelines for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systemic hypertension in dogs and cats 2018-11-00
[189] 논문 2023 ESH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Endorsed by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Hypertension (ISH) and the European Renal Association (ERA) 2023-12-01
[190] 서적 Medical sciences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00-00
[191] 웹사이트 Why Does My Blood Pressure Fluctuate? https://www.healthli[...] 2024-09-16
[192]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Pressure and Pain https://www.ncbi.nlm[...] 2013-06-10
[193] 웹사이트 高血圧|病気について|循環器病について知る|患者の皆様へ|国立循環器病研究センター 病院 https://www.ncvc.go.[...] 2024-09-16
[194] 웹사이트 About High Blood Pressure https://www.cdc.gov/[...] 2024-05-22
[195] 논문 Global burde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stroke: hypertension at the core 2015-05
[196] 서적 Global atlas on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World Heart Federation and the World Stroke Organization 2011
[197] Review Treatment options and considerations for hypertensive patients to prevent dementia 2017-07
[198] Review Modifiable Risk Factors and Atrial Fibrillation 2017-08
[199] 웹사이트 Hypertension https://www.who.int/[...] 세계보건기구 (WHO) 2024-05-22
[200] 논문 2017 ACC/AHA/AAPA/ABC/ACPM/AGS/APhA/ASH/ASPC/NMA/PCNA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8-06
[201] 논문 2014 evidence-based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report from the panel members appointed to the Eighth Joint National Committee (JNC 8) 2014-02-01
[202] 웹사이트 How Is High Blood Pressure Treated? http://www.nhlbi.nih[...] 2015-09-10
[203] 논문 Hypertension 2015-08-01
[204] 논문 Pharmacotherapy for hypertension in adults 60 years or older 2019-06-01
[205] 논문 Effects of blood pressure reduction in mild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2-01
[206] 논문 Effects of intensive blood pressure lowering on cardiovascular and renal outcomes: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www.med-sovet[...] 2016-01-01
[207] 논문 Pharmacotherapy for mild hypertension 2012-08-01
[208] 논문 Blood pressure targets for hypertension in older adults 2017-08-01
[209] 논문 Pharmacotherapy for hypertension in adults aged 18 to 59 years 2017-08-01
[210]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https://archive.org/[...] McGraw-Hill
[211] 논문 Lay perspectives on hypertension and drug adherence: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2012-07-01
[212] 논문 The eye in hypertension 2007-02-01
[213] 웹사이트 Truncal obesity (Concept Id: C4551560) – MedGen – NCBI https://www.ncbi.nlm[...] 2022-04-24
[214] 서적 ABC of hypertension BMJ Books
[215] 웹사이트 甲状腺機能亢進症 - 甲状腺機能亢進症 https://www.msdmanua[...] 2024-09-16
[216] 서적 Clinical Examination: A Systematic Guide to Physical Diagnosis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3-09-20
[217] 웹사이트 大動脈縮窄症 - 大動脈縮窄症 https://www.msdmanua[...] 2024-09-16
[218] 웹사이트 High Blood Pressure – Understanding the Silent Killer https://www.fda.gov/[...] 미국식품의약국 2024-08-06
[219] 논문 Hypertensive crisis 2010-04-01
[220] 웹사이트 Hypertensive Crisis http://www.heart.org[...] 2015-07-25
[221] 논문 Hypertensive crises: challenges and management http://chestjournal.[...] 2007-06-01
[222] 논문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hypertensive emergencies 2008-01-01
[223]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224] 웹사이트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http://www.uptodate.[...] 2015-07-30
[225] 논문 Impact of Chronic Hypertension and Antihypertensive Treatment on Adverse Perinatal Outcom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05-01
[226] Plain English summary Pregnancy complications increase the risk of heart attacks and stroke in women with high blood pressure https://evidence.nih[...]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Research 2023-11-21
[227] 논문 Association Between Chronic Hypertension and the Risk of 12 Cardiovascular Diseases Among Parous Women: The Role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2023-07-01
[228] 웹사이트 妊娠高血圧腎症および子癇 - 妊娠高血圧腎症および子癇 https://www.msdmanua[...] 2024-09-19
[229] 웹사이트 Hypertension and Pregnancy http://emedicine.med[...] Medscape 2009-07-30
[230] 웹사이트 Hypertension http://emedicine.med[...] Medscape 2010-04-06
[231] 웹사이트 Global health risks: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selected major risk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02-10
[232] 논문 Age-specific relevance of usual blood pressure to vascular mortality: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or one million adults in 61 prospective studies 2002-12
[233] 논문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peripheral arterial disease: does the choice of drugs matter? 2008-06
[234] 웹사이트 World health report : 2002 https://iris.who.int[...] 세계보건기구 2024-08-07
[235] 웹사이트 Discrimination at work is linked to high blood pressure https://www.health.h[...] 2023-05-30
[236] 논문 塩分の過剰摂取と高血圧の関係 2012
[237] 논문 食塩感受性高血圧とNa{{sup|+}}/Ca{{sup|2+}}交換体:食塩負荷から血管トーヌス亢進への古くて新しい機序 2006
[238] 논문 Genetic variants in novel pathways influence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2011-09
[239] 논문 Molecular mechanisms of human hypertension 2001-02
[240] 논문 Trans-ancestry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identifies 12 genetic loci influencing blood pressure and implicates a role for DNA methylation 2015-11
[241] 논문 The western diet and lifestyle and diseases of civilization https://www.dovepres[...] 2011-03-09
[242] 논문 Residual lifetime risk for developing hypertension in middle-aged women and men: The Framingham Heart Study 2002-02-01
[243] 논문 The effect of coffee on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hypertensive individu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1-10-01
[244] 논문 Vitamin D and hypertension: current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s 2010-11-01
[245] 논문 Obesity hypertension in children: a problem of epidemic proportions 2002-10-01
[246] 논문 Early life determinants of adult blood pressure 2005-05-01
[247] 논문 Pharmacotherapy for hyperuricaemia in hypertensive patients 2020-09-01
[248] 논문 Winter Hypertension: Potential mechanisms 2013-06-01
[249] 논문 Periodontitis i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1-01
[250] 서적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W.B. Saunders
[251] 논문 Liquorice: a root cause of secondary hypertension https://www.ncbi.nlm[...] 2017-01-01
[252] 웹사이트 Potential role of sugar (fructose) in the epidemic of hypertension,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kidney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http://www.foodaddic[...]
[253] 웹사이트 Just a spoonful of sugar helps the blood pressure go up http://informahealth[...]
[254] 논문 Drug-induced hypertension: an unappreciated cause of secondary hypertension 2012-01-01
[255] 논문 Association between Arsenic Exposure from Drinking Water and Longitudinal Change in Blood Pressure among HEALS Cohort Participants 2015-08-01
[256] 논문 Arsenic exposure and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2012-04-01
[257] 논문 Depression increases the risk of hypertension incidence: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2012-05-01
[258] 논문 Loneliness matter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 of consequences and mechanisms 2010-10-01
[259] 논문 Global association between ambient air pollution and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4-01
[260] 논문 Sex-Specific Associations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Incidence of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2018-06-01
[261] 논문 Sodium-to-potassium ratio and blood pressure, hypertension, and related factors 2014-11-00
[262] 논문 Sodium and potassium in the pathogenesis of hypertension 2007-05-00
[263] 논문 食塩感受性の成因̶腎臓説と血管説 https://www.jstage.j[...] 2017-02-00
[264] 논문 Non-modulating essential hypertension: a subset particularly responsive to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1985-11-00
[265]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Education 2018-00-00
[266] 논문 Hemodynamic aspects of essential hypertension in humans 1984-04-00
[267] 논문 The role of cardiac autonomic function in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2009-06-00
[268] 논문 Prediction of future hypertension by casual blood pressure or invasive hemodynamics? A 30-year follow-up study
[269] 논문 Physiological aspects of primary hypertension 1982-04-00
[270] 논문 The microcirculation and hypertension 1992-12-00
[271] 논문 Arterial and venous compliance in sustained essential hypertension 1987-08-01
[272] 논문 Higher heart rate variability as a predictor of atrial fibrillation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e
[273] 논문 Vascular stiffness and increased pulse pressure in the aging cardiovascular system 2011-08-02
[274] 논문 Clinical practice.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in the elderly 2007-08-01
[275] 논문 Mechanisms, pathophysiology, and therapy of arterial stiffness 2005-05-01
[276] 논문 Counterpoint: Activation of the intrarenal renin-angiotensin system is the dominant contributor to systemic hypertension 2010-12-01
[277] 논문 Point: Chronic activa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is the dominant contributor to systemic hypertension 2010-12-01
[278] 논문 Endothelium-dependent contractions and endothelial dysfunction in human hypertension 2009-06-01
[279] 논문 Role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in vascular inflammation 2008-07-01
[280] 논문 Targeting the immune system to treat hypertension: where are we? 2014-09-01
[281] Review Screening for Hypertension and Lowering Blood Pressure f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Events 2017-07-00
[282] Review Hypertension: From basic research to clinical practice 2017-00-00
[283] 논문 Screening for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5-11-00
[284] 서적 Hypertension (NICE CG 127) 英国国立医療技術評価機構 2011-12-22
[285] 논문 Unusual hypertensive phenotypes: what is their significance? 2012-02-00
[286] 논문 Orthostatic hypertension: a measure of blood pressure variation for predicting cardiovascular risk 2009-06-00
[287] 논문 Hyperten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6-05-00
[288] 논문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2003-12-00
[289] 논문 Hypotension based on office and ambulatory monitoring blood pressure. Prevalence and clinical profile among a cohort of 70,997 treated hypertensives https://pubmed.ncbi.[...] 2016-09-01
[290] 논문 Harmonization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and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Blood Pressure/Hypertension Guidelines https://academic.oup[...] 2022-09-14
[291] 논문 2023 ESH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Endorsed by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Hypertension (ISH) and the European Renal Association (ERA) https://pubmed.ncbi.[...] 2023-12-01
[292] 웹사이트 一般向け「高血圧治療ガイドライン 2019」解説冊子 高血圧の話 https://www.jpnsh.jp[...] 日本高血圧学会 2024-07-20
[293] 웹사이트 未治療者の方への受診勧奨(重症化予防事業)を実施しています 健診・保健指導 全国健康保険協会 https://www.kyoukaik[...] 2024-08-20
[294] 웹사이트 特定健診における受診勧奨判定値についての正しいご理解を https://jpnsh.jp/dat[...] 日本高血圧学会 2024-08-21
[295] 논문 Hypertension in infancy: diagnosis, management and outcome 2012-01
[296] 논문 The fourth report on the diagnosis,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4-08
[297] 논문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hypertension: report of the fourth working party of the British Hypertension Society, 2004-BHS IV 2004-03
[298] 논문 Evidence-based policy for salt reduction is needed 2016-07
[299] 논문 Associations of urinary sodium excretion with cardiovascular events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hypertension: a pooled analysis of data from four studies https://ecommons.aku[...] 2016-07
[300] 논문 European Guidelines on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clinical practice (version 2012). The Fifth Joint Task Forc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and Other Societies on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Clinical Practice (constituted by representatives of nine societies and by invited experts) 2012-07
[301] 논문 Expert panel on integrated guidelines for cardiovascular health and risk redu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ummary report 2011-12-01
[302] 웹사이트 Hypertension – Clinical Preventive Service Recommendation http://www.aafp.org/[...] 2013-10-13
[303] 논문 Screening for primary hyperten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3-11-01
[304] 웹사이트 Document United States Preventive Services Taskforce https://www.uspreven[...] 2020-04-22
[305] 논문 Screening strategies for hypertension 2020-05-01
[306] 논문 Screening for Hypertension in Adul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affirmation Recommendation Statement 2021-04-01
[307] 논문 Lowering blood pressure to prevent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a new preventive strategy
[308] 논문 The 2015 Canadian Hypertension Education Program recommendations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diagnosis, assessment of risk,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https://escholarship[...] 2015-05-01
[309] 웹사이트 Hypertension: Recommendations, Guidance and guidelines http://www.nice.org.[...] 2015-08-04
[310] 논문 Blood pressure targets for hypertension in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2013-10-01
[311] 논문 Blood pressure targets for the treatment of people with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2022-11-01
[312] 논문 Blood pressure targets in adults with hypertension 2020-12-01
[313] 논문 Pharmacologic Treatment of Hypertension in Adults Aged 60 Years or Older to Higher Versus Lower Blood Pressure Targets: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d the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2017-03-01
[314] 논문 Evidence supporting a systolic blood pressure goal of less than 150 mm Hg in patients aged 60 years or older: the minority view 2014-04-01
[315] 논문 Hypertension Management in Diabetes: 2018 Update 2018-08-01
[316] 논문 KDIGO 2021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Blood Pressure in Chronic Kidney Disease 2021-03-01
[317] 논문 Lower blood pressure targets: to whom do they apply? https://zenodo.org/r[...] 2016-01-01
[318] 논문 Intensive blood pressure lowering – Authors' reply 2016-06-01
[319] 논문 An effective approach to high blood pressure control: a science advisory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and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04-01
[320] 논문 Long-term effects of weight-reducing diets in people with hypertension 2021-02-01
[321] Systematic Review & Meta-Analysis Effect of longer-term modest salt reduction on blood pressure 2013-04-01
[322] 논문 Effect of dose and duration of reduction in dietary sodium on blood pressure level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trials 2020-02-01
[323] 논문 Effects on blood pressure of reduced dietary sodium and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DASH-Sodium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2001-01-01
[324] 논문 Efficacy of different dietary patterns on lowering of blood pressure level: an umbrella review 2020-12-01
[325] 논문 Plant-Based Diets and Hypertension
[326] 논문 本態性高血圧症患者におけるカリウムの降圧効果 1983-07-01
[327] 웹사이트 カリウム摂取量が多いほど血圧が低く、脳卒中リスクも低い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13-04-18
[328] 논문 Effect of increased potassium intake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2013-04-01
[329] 논문 Potassium Intake, Bioavailability, Hypertension, and Glucose Control 2016-07-01
[330] 웹사이트 Scientific Report of the 2015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https://health.gov/d[...] 2017-04-26
[331] 논문 高齢者高血圧治療のこつ https://doi.org/10.3[...] 2010-00-00
[332] 논문 Hyperkalemia associated with use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2012-06-00
[333] 웹사이트 尿ナトカリ比の目標値を設定 高血圧学会が公式見解 https://www.mtjnews.[...] 2024-10-10
[334] 논문 Effect of green tea supplementation on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20-02-00
[335] 논문 The efficacy of sour tea (Hibiscus sabdariffa L.) on selecte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https://onlinelibrar[...] 2020-02-00
[336] 논문 Hibiscus sabdariffa L. tea (tisane) lowers blood pressure in prehypertensive and mildly hypertensive adults 2010-02-00
[337] 웹사이트 Beetroot juice lowers high blood pressure, suggests research https://www.bhf.org.[...] British Heart Foundation
[338] 논문 Inorganic nitrate and beetroot juice supplementation reduces blood pressure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3-06-00
[339] 논문 The Nitrate-Independent Blood Pressure-Lowering Effect of Beetroot Juic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doi.org/10.3[...] 2017-11-00
[340] 논문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Working Group Report on Primary Prevention of Hypertension http://archinte.jama[...] 1993-01-25
[341] 논문 Beyond medications and diet: alternative approaches to lowering blood pressur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3-06-01
[342] 논문 Clinical effectiveness of stress-reduction technique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10-01
[343] 논문 Relaxation therapies for the management of primary hypertension in adults 2008-01-01
[344] 논문 Interventions used to improve control of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http://researchonlin[...] 2010-03-01
[345] 논문 First-line drugs for hypertension 2018-04-01
[346] 논문 Blood pressure lowering efficacy of diuretics as second-line therapy for primary hypertension 2009-10-01
[347] 논문 First-line combination therapy versus first-line monotherapy for primary hypertension 2020-02-01
[348] 논문 Withdrawal of antihypertensive drugs in older people 2020-06-01
[349] 논문 Beta-blockers for hypertension 2017-01-01
[350] 논문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hypertension in children 2014-02-01
[351] 논문 Management of Resistant Hypertension-An Update 2024-04-00
[352] 논문 Electronic monitors of drug adherence: tools to make rational therapeutic decisions 2009-11-00
[353] 논문 Resistant hypertension: underlying causes and treatment 2013-05-00
[354] 논문 Diagnosis and treatment of primary aldosteronism: practical clinical perspectives 2019-02-00
[355] 논문 Autonomic-immune-vascular interaction: an emerging concept for neurogenic hypertension 2011-06-00
[356] 논문 Baroreceptors in the carotid and hypertension-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baroreflex activation therapy on blood pressure 2018-09-00
[357] 논문 Treatment of resistant and refractory hypertension 2019-03-00
[358] 논문 Refractory hypertension: A novel phenotype of antihypertensive treatment failure 2016-06-00
[359] 웹사이트 Blood Pressur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04-22
[360] 웹사이트 WHO Disease and injury country estimate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11-11
[361] 서적 Global report on hypertension: the race against a silent killer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3-09-19
[362] 논문 Worldwide trends in hypertension prevalence and progress in treatment and control from 1990 to 2019: a pooled analysis of 1201 population-representative studies with 104 million participants 2021-09-11
[363] 논문 Socioeconomic status and hypertension: a meta-analysis https://journals.lww[...] 2015-02-01
[364] 논문 Diabetes,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Clinical Insights and Vascular Mechanisms 2018-05-01
[365] 논문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the US adult population.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1 1995-03-01
[366] 논문 Trends in hypertension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in older U.S. adult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 to 2004 https://zenodo.org/r[...] 2007-07-01
[367] 논문 Epidemiological issues are not simply black and white 2011-10-01
[368] 논문 Hyperten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pidemiology and natural history 2010-07-01
[369] 논문 Hyperten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www.aafp.org/[...] 2006-05-01
[370] 웹사이트 William Harvey - Circulation, Anatomy, Physiology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9-19
[371] 웹사이트 William Harvey: Biography, Inventions and Contributions to Science https://www.lifepers[...] 2024-09-19
[372] 논문 Historical trends and milestones in hypertension research: a model of the process of translational research 2011-10
[373] 서적 A century of arterial hypertension 1896–1996 Wiley
[374] 논문 Historical trends and milestones in hypertension research: a model of the process of translational research 2011-10
[375] 논문 90th Anniversary of the Development by Nikolai S. Korotkoff of the Auscultatory Method of Measuring Blood Pressure https://www.ahajourn[...] 1996-07-15
[376] 논문 The medieval origins of the concept of hypertension 2014-07
[377] 논문 Avicenna's doctrine about arterial hypertension
[378] 서적 Manual of hypertension Blackwell Science
[379] 논문 Determinants of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http://jama.jamanetw[...] 1988-12-16
[380] 논문 1993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mild hypertension: memorandum from a WHO/ISH meeting. 1993
[381] 논문 From blood pressure to hypertension: the history of research 1991-10-01
[382] 논문 Controlling hypertension. A research success story 1996-09-01
[383] 논문 The evolution of antihypertensive therapy: an overview of four decades of experience 1989-12-01
[384] 논문 Experiences with tetraethylammonium chloride in hypertension 1948-02-01
[385] 논문 Benzothiadiazine dioxides as novel diuretics
[386] 논문 Trends in the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the adult US population. Data from the health examination surveys, 1960 to 1991 http://hyper.ahajour[...] 1995-07-01
[387] 논문 Impact of World Hypertension Day 2007-05-01
[388] 논문 World Hypertension Day and global awareness 2008-06-01
[389] 웹사이트 食塩・塩蔵食品摂取と胃がんとの関連について 現在までの成果 多目的コホート研究 国立研究開発法人 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がん対策研究所 予防関連プロジェクト https://epi.ncc.go.j[...] 2024-08-07
[390] 논문 A comprehensive review on salt and health and current experience of worldwide salt reduction programmes https://www.nature.c[...] 2009-06-01
[391] 논문 Projected Effect of Dietary Salt Reductions on Future Cardiovascular Disease http://www.nejm.org/[...] 2010-02-18
[392] 웹사이트 A global brief on Hypertension: Silent killer, global public health crisis http://ish-world.com[...] 세계보건기구 2024-08-07
[393] 웹사이트 道は険しい? “減塩社会”への挑戦 https://www.nhk.or.j[...]
[394] 웹사이트 Salt http://www.cdc.gov/s[...]
[395] 논문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 – 2010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0-02
[396] 웹사이트 Japan GDP - Gross Domestic Product 2017 {{!}} countryeconomy.com https://countryecono[...]
[397] 논문 Productivity burden of hypertension in Japan https://www.nature.c[...] 2021-11
[398] 논문 Hypertension, a health economics perspective 2008-06
[399] 논문 The economic impact of hypertension 2003-10
[400] 논문 Economic benefits of treating high-risk hypertension with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s (blockers)
[401] 저널 ISFM Consensus Guidelines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Cats 2017-03-01
[402] 저널 ACVIM consensus statement: Guidelines for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systemic hypertension in dogs and cats 2018-11-01
[403] 저널 http://circ.ahajourn[...]
[404] 서적
[405] 저널
[406] 서적 https://archive.org/[...]
[407] 일반
[408] 일반
[409] 저널 http://hyper.ahajour[...] 2013-06-10
[410] 저널
[411] 저널 Hypertensive crises: challenges and management http://chestjournal.[...] 2013-07-02
[412]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413] 웹인용 Hypertension and Pregnancy http://emedicine.med[...] Medscape 2013-10-07
[414] 웹인용 Hypertension http://emedicine.med[...] Medscape 2013-10-07
[415] 저널 Residual lifetime risk for developing hypertension in middle-aged women and men: The Framingham Heart Study 2002-02-27
[416] 저널 Genetic variants in novel pathways influence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417] 저널 Molecular mechanisms of human hypertension 2001-02-23
[418] 저널 A comprehensive review on salt and health and current experience of worldwide salt reduction programmes
[419] 저널 Effect of longer term modest salt reduction on blood pressure: Cochran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trials. 2013-04-03
[420] 저널 Lifestyle interventions to reduce raised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421] 웹사이트 DASH diet(Dietary Approach to Stop Hypertension) http://www.hypertens[...] 국민고혈압사업단 2005-10-27
[422] 저널 Obesity
[423] 저널 Primary prevention of hypertension:Clinical and public health advisory from The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424] 저널 Lay perspectives on hypertension and drug adherence: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2012-07-09
[425] 저널 Lifestyle interventions to reduce raised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426] 저널 The effect of coffee on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hypertensive individu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427] 저널 Vitamin D and hypertension: current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s
[428] 저널 Obesity hypertension in children: a problem of epidemic proportions http://hyper.ahajour[...] 2013-10-09
[429] 저널 Early life determinants of adult blood pressure
[430] 서적 Endocrine hypertension WB Saunders
[431] 저널 Drug-induced Hypertension: An Unappreciated Cause of Secondary Hypertension
[432] 저널 Hemodynamic aspects of essential hypertension in humans
[433] 저널 The role of cardiac autonomic function in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434] 저널 Prediction of future hypertension by casual blood pressure or invasive hemodynamics? A 30-year follow-up study
[435] 저널 Physiological aspects of primary hypertension
[436] 저널 The microcirculation and hypertension
[437] 저널 Arterial and venous compliance in sustained essential hypertension
[438] 저널 Reactivity of small blood vessels in hypertension: relation with structural changes. State of the art lecture
[439] 저널 Clinical practice.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in the elderly
[440] 저널 Mechanisms, pathophysiology, and therapy of arterial stiffness
[441] 저널 Counterpoint: Activation of the intrarenal renin-angiotensin system is the dominant contributor to systemic hypertension
[442] 저널 Point: Chronic activa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is the dominant contributor to systemic hypertension
[443] 저널 Endothelium-dependent contractions and endothelial dysfunction in human hypertension
[444] 저널 Role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in vascular inflammation
[445]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Medical
[446] 저널 The 2009 Canadian Hypertension Education Program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Part 1 – blood pressure measurement, diagnosis and assessment of risk
[447] 저널 The 2008 Canadian Hypertension Education Program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Part 1 – blood pressure measurement, diagnosis and assessment of risk
[448] 저널 The 2007 Canadian Hypertension Education Program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Part 1 – blood pressure measurement, diagnosis and assessment of risk
[449] 저널 The 2006 Canadian Hypertension Education Program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Part I – Blood pressure measurement, diagnosis and assessment of risk
[450] 저널 The 2005 Canadian Hypertension Education Program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part 1- blood pressure measurement, diagnosis and assessment of risk
[451] 서적 Essential hypertension (NICE CG18) http://guidance.nic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13-10-19
[452] 저널 Unusual hypertensive phenotypes: what is their significance? 2012-02
[453] 저널 Hyperten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454] 저널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http://hyper.ahajour[...]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2013-10-24
[455] 서적 Hypertension (NICE CG 127) http://www.nice.org.[...]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14-01-09
[456] 저널 2007 ESH-ESC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ESH-ESC Task Force on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457] 저널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hypertension: report of the fourth working party of the British Hypertension Society, 2004-BHS IV 2004-03
[458] 뉴스 美혈압전문위, 고혈압 기준 일부 변경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12-19
[459] 저널 Hypertension in infancy: diagnosis, management and outcome
[460] 저널 High blood pressure trend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national surveys, 1963 to 2002
[461] 저널 The fourth report on the diagnosis,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462] 저널 Blood pressure screen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the glass half empty or more than half full? 2013-03-00
[463] 저널 Expert panel on integrated guidelines for cardiovascular health and risk redu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ummary report 2011-12-00
[464] 웹사이트 Hypertension http://www.aafp.org/[...] AAFP 2014-11-01
[465] 저널 Screening for Primary Hyperten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3-10-00
[466] 저널 Primary prevention of hypertension. Clinical and public health advisory from the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467] 웹인용 NPS Prescribing Practice Review 52: Treating hypertension https://web.archive.[...] NPS Medicines Wise 2010-09-01
[468] 저널 Long-term effects of weight-reducing diets in hypertensive patients 2011-09-07
[469] 저널 Effect of longer-term modest salt reduction on blood pressure https://web.archive.[...] 2014-02-13
[470] 웹인용 Your Guide To Lowering Your Blood Pressure With DASH http://www.nhlbi.nih[...] 2014-02-14
[471] 저널 Beyond medications and diet: alternative approaches to lowering blood pressur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3-06-00
[472] 저널 Meditation practices for health: state of the research 2007-06-00
[473] 저널 The effects of biofeedback for the treat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2009-10-00
[474] 저널 Drug treatment of elevated blood pressure http://www.australia[...] 2010-08-11
[475] 저널 Pharmacotherapy for mild hypertension
[476] 저널 2013 ESH/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ESH) and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2013-07-00
[477] 저널 Lowering blood pressure to prevent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a new preventive strategy http://www.hta.ac.uk[...] 2010-08-24
[478] 저널 Treatment blood pressure targets for hypertension 2009-07-08
[479] 웹인용 Prehypertension: Early-stage High Blood Pressure http://www.webmd.com[...] WebMD 2009-03-07
[480] 저널 Therapeutic Inertia Is an Impediment to Achieving the Healthy People 2010 Blood Pressure Control Goals http://hyper.ahajour[...] 2006-01-23
[481] 저널 Identification of factors driving differences in cost effectiveness of first-line pharmacological therapy for uncomplicated hypertension 2010-05-00
[482] 저널 An Effective Approach to High Blood Pressure Control: A Science Advisory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and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hyper.ahajour[...] 2014-02-13
[483] 저널 First-line drugs for hypertension
[484] 저널 2014 Evidence-Based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Report From the Panel Members Appointed to the Eighth Joint National Committee (JNC 8). 2013-12-00
[485] 기타
[486] 저널 Hypertension management 2011: optimal combination therapy 2011-10-00
[487] 기타
[488] 저널 Pharmacotherapy for hypertension in the elderly
[489] 저널 2014 Evidence-Based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2013-12-18
[490] 웹인용 1.5 Initiating and monitoring antihypertensive drug treatment, including blood pressure targets http://publications.[...] 2014-02-17
[491] 저널 Resistant hypertension: diagnosis, evaluation, and treatment.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Professional Education Committee of the Council for High Blood Pressure Research 2008-06
[492] 웹인용 CG34 Hypertension - quick reference guide http://www.nice.org.[...]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원(NIC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14-02-17
[493] 저널 Autonomic-immune-vascular interaction: an emerging concept for neurogenic hypertension http://hyper.ahajour[...] 2013-06-10
[494] 웹인용 WHO Disease and injury country estimates http://www.who.int/h[...] 2014-02-17
[495] 저널 Global burden of hypertension: analysis of worldwide data
[496] 저널 Worldwid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2004-01
[497] 뉴스 血壓 경향신문 1963-01-19
[498] 뉴스 韓國人死因 순환기질환 29.5%로 으뜸 경향신문 1983-10-01
[499] 웹인용 Global health risks: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selected major risks http://www.who.int/h[...] 2012-02-10
[500] 저널 Age-specific relevance of usual blood pressure to vascular mortality: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or one million adults in 61 prospective studies 2002-12
[501] 저널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peripheral arterial disease: does the choice of drugs matter? 2008-06-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