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지기는 펄프를 종이로 만드는 데 사용되는 기계로, 1799년 루이 니콜라 로베르가 발명했다. 초지기는 펄프 현탁액에서 물을 제거하고 종이 시트를 형성하는 일련의 공정을 거치며, 성형부, 압착부, 건조부, 사이즈 압착부, 캘린더부, 권취부 등으로 구성된다. 초지기는 펄프의 종류와 와이어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제지 공정은 펄프의 해리, 조해, 초조, 가공 및 마무리 공정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지 - 펄프
    펄프는 종이, 판지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목재 또는 비목재 식물 섬유 덩어리로, 목재펄프, 비목재펄프, 고지펄프로 나뉘며, 환경적 영향으로 인해 재생 펄프 사용과 친환경 펄핑 기술 개발이 중요해지고, 세계 최대 생산국은 미국이다.
  • 제지 - 사이징
    사이징은 종이, 섬유, 캔버스, 금박 등의 재료 표면 특성을 개선하는 공정으로, 종이의 강도, 섬유의 내마모성, 캔버스와 금박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 제지업 - 판지
    판지는 종이 섬유를 압축하여 만든 평평한 재료로, 포장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1817년 영국에서 처음 생산된 후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 다양한 종류와 등급으로 생산되는 전 세계적인 산업이다.
  • 제지업 - 크라프트법
    크라프트법은 1879년 카를 F. 달에 의해 개발된 펄프 제조 공정으로, 수산화나트륨과 황화나트륨을 사용하여 목재 칩에서 리그닌을 제거하며, 강도가 높은 펄프를 생산하지만 악취와 환경 오염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 기계 - 접지
    접지는 감전 및 화재 방지, 낙뢰 보호, 전자파 장해 방지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적 연결 방식이며, 전기 기기의 안전과 정상 작동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보호 접지, 기능 접지, 피뢰 접지, 정전기 방지 접지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기계 - 4절 링크
    4절 링크는 4개의 링크가 4개의 1자유도 관절로 연결된 기구로, 관절 조합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각 링크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고, 그라쇼프 조건은 움직임 특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여러 기계 시스템에 활용되는 기계 공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초지기
개요
포드리니어 제지기의 도표
포드리니어 제지기의 도표
종류산업 기계
사용 분야펄프 및 제지 산업
관련 항목종이, 펄프
작동 원리젖은 섬유 덩어리를 연속적인 망사를 통해 이동시켜 물을 짜내고 섬유를 엮어 시트를 형성한 다음, 건조시켜 종이를 만듦.
상세 정보
주요 구성 요소와이어 섹션 (성형 섹션)
프레스 섹션
건조기 섹션
캘린더
와이어 섹션 (성형 섹션)기능: 펄프 현탁액을 받아 물을 빼내고 섬유를 시트로 형성
구성 요소: 헤드박스, 와이어 테이블, 포밍 보드, 포일, 진공 박스
프레스 섹션기능: 와이어 섹션에서 나온 종이 시트에서 더 많은 물을 제거
구성 요소: 프레스 롤, 프레스 펠트
건조기 섹션기능: 종이 시트의 수분 함량을 더욱 줄임
구성 요소: 건조기 실린더 (증기로 가열), 건조기 캔버스
캘린더기능: 종이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두께를 균일하게 조정
구성 요소: 캘린더 롤
추가 구성 요소코팅 스테이션: 종이에 특수 코팅을 적용
릴: 완성된 종이를 롤 형태로 감음
용어
헤드박스 (Headbox)와이어 위에 펄프 슬러리를 분배하는 제지기의 부품
와이어 섹션 (Wire section)펄프 슬러리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종이 웹을 형성하는 제지기의 부분
프레스 섹션 (Press section)종이 웹에서 물을 더욱 짜내는 제지기의 부분
건조기 섹션 (Dryer section)종이를 건조시키는 제지기의 부분
캘린더 (Calender)종이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데 사용되는 롤러 세트
릴 (Reel)완성된 종이를 보관을 위해 감아주는 제지기의 부분

2. 역사

프로그모어 제지 공장에 전시된 루이 니콜라 로베르가 개발한 초지기의 모형.


초지기(抄紙機)는 종이를 만드는 기계이다. 1799년 루이 니콜라 로베르가 처음으로 연속식 제지 기계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21] 로베르의 고용주였던 디도 가문은 특허와 초지기를 매입하여 영국으로 건너가 초지기를 활용한 종이 생산을 했다.

1803년 브라이언 덩킨에 의해 초기 형태의 초지기가 영국 앱슬리, 허트퍼드셔의 프로그모어 제지소에 설치되었고, 이후 개량을 거듭했다. 한편, 존 디킨슨은 1809년에 실린더 몰드 머신이라는 다른 종류의 초지기를 개발했다.

미국에서는 1817년 토머스 길핀이 브랜디와인 크릭에서 최초로 실린더형 제지 기계를 만들었으며,[1] 찰스 킨지 또한 1807년에 연속 공정 제지 기계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2][3]

2. 1. 제지 기술의 발전



초기에는 펄프 현탁액을 수작업으로 얇게 떠서 말리는 방식으로 종이를 만들었다. 연속 생산 방식의 제지 기술이 발명되기 전에는 펄프 현탁액을 담은 용액을 저어 종이를 만들었다. 그런 다음, 시트 몰드라고 하는 천으로 된 체에 붓거나, 시트 몰드를 용기에서 담갔다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종이를 만들었다. 시트 몰드의 천 위에 올려진 젖은 종이는 과도한 물을 제거하기 위해 압착되었다. 그 후, 종이를 들어 올려 밧줄이나 나무 막대에 걸어 공기 중에서 건조시켰다.

1799년, 프랑스 에손 출신의 루이 니콜라 로베르는 연속식 제지 기계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21] 당시 로베르는 생레제 디도를 위해 일하고 있었는데, 그는 발명품의 소유권을 놓고 그와 다퉜다. 디도는 영국이 기계를 개발하기에 더 좋은 곳이라고 믿었지만, 프랑스 혁명의 격변으로 인해 직접 갈 수 없었기에, 파리에 살고 있던 그의 매형이자 영국인인 존 갬블을 보냈다. 갬블은 지인을 통해 런던의 문구상인 시리 포드리니어와 헨리 포드리니어 형제에게 소개되었고, 형제는 이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동의했다. 갬블은 1801년 10월 20일 영국 특허 2487호를 받았다.

숙련되고 독창적인 기계공인 브라이언 덩킨의 도움으로, 로베르의 원본을 개선한 버전이 1803년 앱슬리, 허트퍼드셔의 프로그모어 제지소에 설치되었고, 1804년에는 다른 기계가 설치되었다. 세 번째 기계는 포드리니어 형제가 소유한 투 워터스 제지소에 설치되었다. 포드리니어 형제는 또한 세인트 니오츠에 있는 제지소를 구입하여 두 대의 기계를 설치하려 했고, 공정과 기계는 계속 발전했다.

존 디킨슨은 1809년에 다른 종류의 기계인 실린더 몰드 머신을 설계하고 제작했다.[1]

1817년, 토머스 길핀은 델라웨어의 브랜디와인 크릭에서 최초의 미국식 실린더형 제지 기계를 만들었다. 이 기계는 실린더 몰드 머신이었다. 포드리니어 기계는 1827년까지 미국에 도입되지 않았다.[1]

찰스 킨지는 1807년에 이미 연속 공정 제지 기계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킨지의 기계는 지역에서 다니엘 손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1809년까지 킨지 기계는 패터슨의 에섹스 제지 공장에서 종이 생산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1807년 금수 조치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과 잠재적 기회는 결국 킨지와 그의 후원자들이 공장의 초점을 종이에서 면으로 바꾸도록 설득했고, 킨지의 초기 제지 성공은 곧 간과되고 잊혔다.[2][3]

3. 주요 구조 및 공정

초지기는 크게 5개의 주요 작동 구역으로 구성된다.[7]


  • 성형부(습부): 펄프 현탁액을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와이어 메쉬 위에 얇게 펴서 진공으로 물을 제거하여 종이의 기본 형태를 만든다. 헤드박스를 통해 섬유 뭉침을 방지하고 슬러리를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 압착부: 습윤 섬유 웹이 고압 롤 사이를 통과하며 물이 짜내진다. 펠트는 습지를 지지하고 압착된 물을 흡수한다.
  • 건조부: 압착된 시트가 증기 가열 건조 실린더를 통과하며 수분 함량이 약 6% 수준으로 줄어든다. 필요시 적외선 건조기가 추가 사용될 수 있다.
  • 사이즈 압착부: 반건조된 종이에 전분 및/또는 기타 화학 물질을 도포하여 분진 및 공기 투과성을 줄이고, 강성, 파열 강도 및 단경간 압축 강도를 높인다.
  • 캘린더부: 건조된 종이를 고하중 및 압력 하에서 매끄럽게 만든다. 여러 닙(두 롤 사이에서 시트가 압착되는 곳)을 통과하며 평활도가 증가하지만, 종이 강도는 약간 감소할 수 있다. 캘린더부는 기계 내부(온라인) 또는 별도(오프라인)일 수 있다.
  • 권취부: 완성된 종이를 추가 가공을 위해 스풀에 감는다.


고령토(중국 점토)와 같은 코팅으로 표면 특성을 수정하는 코팅 구역도 있을 수 있으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일 수 있다.

초지기는 섬유를 초지하는 망(와이어) 방식에 따라 장망 초지기와 원망 초지기로 구분된다.[18] 장망 초지기는 신문 용지나 인쇄 용지 등 고속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원망 초지기는 두꺼운 종이나 다양한 용도의 종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19][20]

기계 체스트에서 스톡은 헤드 탱크(스터프 박스)로 펌핑된다.[7] 스터프 박스는 섬유 슬러리(스톡)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기포를 제거한다. 여기서 펄프 슬러리 농도는 약 3%이며, 중량 밸브에 의해 제어되어 팬 펌프로 가는 물의 주 흐름에 주입된다. 팬 펌프로 펌핑되는 주된 물 흐름은 성형부에서 배수된 물을 모으는 백수 체스트에서 온다. 헤드 박스로 가는 슬러리는 원심 분리 청정기로 무거운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스크린으로 섬유 덩어리를 분해한다.[7]

헤드박스는 섬유 뭉침을 방지하고 슬러리를 와이어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난류를 생성한다.[8][9] 목재 섬유는 서로 뭉치는 경향(플록컬레이션)이 있는데, 농도를 낮추거나 슬러리를 교반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헤드박스 농도는 대개 0.4% 미만이다.[8][9]

스톡 슬러리는 슬라이스라는 조절 가능한 직사각형 개구를 통해 헤드 박스에서 빠져나와 제트 형태로 와이어에 떨어진다. 이때 제트와 와이어 속도 차이에 따라 섬유 배향이 달라져 종이 특성에 영향을 준다.[8][9]

배수 테이블 영역의 와이어를 지지하는 배수 요소들은 배수를 촉진하고 시트를 탈 플록컬레이션한다. 저속 기계는 테이블 롤, 고속 기계는 배수 포일을 주로 사용한다. 초음파 포일은 캐비테이션 기포를 터뜨려 섬유를 분리, 균일한 분포를 제공한다.[8][9]

테이블 드라이 라인에는 저진공 박스가, 드라이 라인 뒤에는 흡입 박스가 있다. 흡입 박스는 카우치 롤까지 확장되며, 카우치에서 시트 농도는 약 25%이다.[8][9]

3. 1. 공정 개요

초지기는 크게 원료 준비, 초지, 마무리 공정으로 나뉜다.
원료 준비펄프를 해리, 정련, 표백하고, 충전제, 사이즈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지 원료(Stock)를 만든다. 펄프는 정련 과정을 거쳐 섬유 외부층이 풀리고 섬유소가 분리되어 결합을 촉진하는 표면적이 증가한다. 이 과정을 통해 종이의 인장 강도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티슈 페이퍼는 비교적 정련되지 않은 펄프를 사용하는 반면, 포장 용지는 더 고도로 정련된 펄프를 사용한다.[5]

  • 충전제 첨가: 점토, 탄산 칼슘, 이산화 티타늄 등의 충전제를 첨가하여 불투명도를 높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킨다.[5]

초지 공정제지기를 사용하여 원료를 얇게 펴서 종이의 형태를 만들고(성형부), 압력을 가해 물기를 제거하고(압착부), 열을 가해 건조시킨다(건조부).[18]

  • 성형부(습부):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와이어 메쉬 위에 펄프 현탁액을 얇게 펴서 진공으로 물을 제거한다. 이때, 섬유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슬러리를 와이어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난류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헤드박스가 사용된다.[7][8][9]
  • 압착부: 습윤 섬유 웹이 고압으로 하중을 받는 대형 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물이 짜내진다. 이때, 펠트가 습지를 지지하고 압착된 물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7]
  • 건조부: 압착된 시트가 증기 가열 건조 실린더를 통과하면서 수분 함량이 약 6% 수준으로 줄어든다. 필요한 경우 적외선 건조기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7]

마무리 공정건조된 종이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광택을 내며(캘린더부), 롤 형태로 감는다(권취부).[7]

  • 사이즈 압착부: 반건조된 종이에 전분 및/또는 기타 화학 물질을 도포하여 분진 및 공기 투과성을 줄이고, 강성, 파열 강도 및 단경간 압축 강도를 증가시킨다.[7]
  • 캘린더부: 건조된 종이를 고하중 및 압력 하에서 매끄럽게 만든다. 여러 개의 닙(두 개의 롤 사이에서 시트가 압착되는 곳)을 통과하면서 평활도가 증가하지만, 종이 강도는 약간 감소할 수 있다. 캘린더부는 기계의 일부(온라인)이거나 별도 부분(오프라인)일 수 있다.[7]
  • 권취부: 기계에서 나온 종이를 추가 가공을 위해 개별 스풀에 감는다.[7]


포드린이어 제지기의 섹션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노동자가 오래된 홀랜더 풀퍼 또는 "비터"에서 젖고 표백된 펄프를 검사하고 있다.

3. 2. 주요 구성 요소

성형부(Wet End)는 펄프 슬러리를 와이어 위에 고르게 분산시켜 종이의 기본 형태를 만든다. 펄프 슬러리는 헤드박스에서 와이어 위로 공급되며, 와이어 아래에서는 진공 흡입을 통해 물을 제거한다.

압착부(Press Section)는 롤 사이의 압력을 이용하여 종이 웹의 수분을 제거한다. 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종이는 압착되고, 펠트가 물을 흡수한다.

건조부(Dryer Section)는 증기로 가열된 실린더를 이용하여 종이 웹을 건조시킨다. 종이는 여러 개의 뜨거운 실린더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증발한다.

사이즈 압착부(Size Press)는 종이 표면에 전분 등의 약품을 도포하여 내수성, 강도 등을 향상시킨다. 이 과정을 통해 종이의 품질이 개선된다.

캘린더부(Calender Section)는 여러 개의 롤을 통과시켜 종이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광택을 낸다. 이 과정은 종이의 두께를 균일하게 만드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권취부(Reel Section)는 완성된 종이를 롤 형태로 감는다. 이렇게 감긴 종이는 추가 가공을 위해 사용된다.

4. 펄프 종류 및 준비

펄프에 사용되는 식물 섬유는 대부분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이 존재할 때 섬유 간에 분자 결합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물이 증발한 후 섬유는 결합된 상태로 남는다. 대부분의 종이 등급에는 추가적인 접착제를 첨가할 필요는 없지만, 습윤 강도 및 건조 강도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목면과 린넨 헝겊은 목재 펄프 이전에는 종이 펄프의 주요 원료였다. 오늘날에는 거의 모든 펄프가 목재 섬유로 만들어진다. 면 섬유는 이력서 및 지폐와 같은 특수 용지에 사용된다. 헝겊 원료는 데님 조각이나 장갑 재단과 같은 다른 제조 과정의 폐기물로 나타난다. 의류의 섬유는 면 실에서 나오며, 섬유의 길이는 면 재배지에 따라 3~7cm 정도이다.

면 섬유의 또 다른 원료는 면화 씨 제거 과정에서 나오는 린터이다. 린터는 짧은 섬유로 씨앗을 둘러싸고 있으며, 솜털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린터는 섬유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짧아, 주로 1차 및 2차 절단으로 사용되며 1차 절단된 린터가 더 길다.

펄프는 크게 화학 펄프와 기계 펄프로 분류된다. 통합 펄프 및 제지 공장에서는 펄프를 재고 준비 전에 고밀도 타워에 저장하고, 비통합 공장에서는 건조 펄프 또는 습식 랩(압축) 펄프를 묶음으로 받아 [재]펄퍼에서 슬러싱한다.

4. 1. 펄프 종류

화학 펄프는 목재를 화학 약품으로 처리하여 섬유를 분리한 것이다. 주로 크라프트 공정이 사용되며, 아황산염 공정보다 강도가 우수하고 사용된 화학 물질을 회수하여 재사용하기 쉽다. 화학 펄프는 리그닌을 용해시켜 섬유를 분리하고, 섬유 코어에 결합하는 외부 피브릴을 결합시킨다. 크라프트 펄프는 라이너보드나 인쇄 및 필기 용지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기계 펄프는 목재를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만든다. 분쇄기는 나무를 말 그대로 분쇄하여 신문 용지나 잡지 용지의 주성분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리그닌 함량이 높아 강도가 낮고, 매우 짧은 섬유를 생성하여 배수가 느리다.

열기계 펄프(TMP)는 리그닌을 연화시킬 만큼 높은 온도에서 섬유를 기계적으로 분리하는 그라운드우드의 변형이다.

반화학 펄프는 화학 펄프와 기계 펄프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진다. 정제 후 완만한 화학 처리를 하며, 주로 골판지 매체에 사용된다.

탈묵 펄프(DIP)는 재활용 종이를 스크리닝, 세척, 표백, 부유 등의 과정을 거쳐 만든다. 주로 인쇄 및 필기 용지, 화장지, 냅킨, 키친 타월 등에 사용되며, 다른 펄프와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4. 2. 펄프 준비

펄프 섬유를 물에 풀어 분산시키는 과정을 해리라고 한다. 대부분의 종이 등급에는 추가적인 접착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지만, 습윤 강도 및 건조 강도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4] 정련은 펄프 슬러리가 한 쌍의 디스크 사이를 통과하는 작업으로, 디스크는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하며 표면에 돌출된 막대가 있어 좁은 간격을 두고 서로 통과한다. 이 작용은 섬유의 외부 층을 풀어 섬유소를 부분적으로 분리하고 바깥쪽으로 팽창시켜 결합을 촉진하는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정련은 인장 강도를 증가시킨다.[6] 표백제 및 기타 화학 물질은 일반적으로 증기를 사용하여 끓이는 과정에서 직물의 색상을 제거한다.[4] 충전제인 점토, 탄산 칼슘, 이산화 티타늄을 추가하면 불투명도가 증가하여 종이의 물성을 조절한다.[5]

5. 제지기의 종류

초지기는 섬유를 초지하는 망(와이어)의 방식에 따라, 와이어 파트가 컨베이어 형태인 장망 초지기와 와이어 파트가 실린더 형태인 원망 초지기로 크게 구분된다.[18] 장망 초지기는 신문 용지나 인쇄 용지 등 고속으로 대량 제지에 적합하며, 원망 초지기는 두꺼운 종이나 다양한 용도의 종이를 초지할 수 있다.[19][20]

6. 주요 제조사

7. 환경 문제 및 지속 가능한 발전

요약이 제공되지 않았고, 원본 소스도 비어있으므로, '초지기' 문서의 '환경 문제 및 지속 가능한 발전'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8. 기타 용어 (Glossary)


  • '''파지(broke):''' 제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지 조각으로, 시트가 찢어지거나 트리밍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를 수거하여 펄프 재투입을 위해 리펄퍼에 넣는다.
  • '''농도(consistency):''' 펄프 슬러리 내 건조 섬유의 비율.
  • '''코치(couch):''' 프랑스어로 "눕다"라는 뜻이다. 코치 롤을 통과한 후 시트는 와이어에서 들어 올려 프레스 섹션으로 옮겨진다.
  • '''댄디 롤''': 포드리니어 위에 놓인 메쉬로 덮인 속이 빈 롤. 섬유 덩어리를 분해하여 시트 형성을 개선하며, 결무늬 종이와 같이 무늬를 만들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수침도 참조.
  • '''팬 펌프''': 백수(white water)를 백수 체스트에서 헤드박스로 순환시키는 대형 펌프. 이 펌프는 베인 펄스(vane pulses)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특수한 저펄스 설계로, 이는 "바링(barring)"이라고 알려진 기계 방향으로 종이의 불균등한 평량을 유발할 수 있다. 팬 펌프에서 나온 유량은 사용 시 스크린과 클리너를 통과할 수 있다. 대형 제지 기계에서는 팬 펌프가 분당 수만 갤런을 처리할 수 있다.
  • '''펠트''': 프레스 롤 사이에 위치하는 직물 또는 합성 물질의 루프이며, 압착된 물을 받는 역할을 한다. 펠트는 또한 젖은 종이 웹을 지지하고 프레스 섹션을 통과하도록 안내한다. 펠트는 건조기 섹션에서도 시트가 건조기에 밀착되도록 유지하고 열 전달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된다.
  • '''충전제''': 종이 형성 과정에서 첨가되는 미세하게 분할된 물질. 충전제는 인쇄 품질, 밝기 및 불투명도를 향상시킨다. 가장 흔한 충전제는 점토와 탄산 칼슘이다. 이산화 티타늄도 충전제이지만 밝기와 불투명도를 향상시키기도 한다. 탄산 칼슘 충전제는 알칼리성 제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면, 카올린 점토는 산성 제지에서 널리 사용된다. 알칼리성 종이는 노화 특성이 우수하다.
  • '''형성(formation):''' 완성된 종이에서 섬유 분포의 균일성 정도. 종이를 빛에 비춰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헤드박스''': 슬러리 내 섬유 덩어리를 분해하기 위해 난류를 가하는 압력 챔버. 헤드박스의 주요 역할은 섬유 슬러리를 와이어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다.
  • '''닙(nip)''': 프레스나 캘린더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롤이 만나는 접촉 영역.
  • '''pH''': 용액의 산성 또는 알칼리성 정도. 알칼리성 종이는 수명이 매우 길다. 산성 종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어 도서관에서 보존 조치를 취하거나 많은 오래된 책을 교체해야 하는 원인이 되었다.
  • '''사이즈''': 종이에 적용되어 물 침투 속도를 늦추는 화학 물질 또는 전분. 사이징은 인쇄 중 잉크의 "번짐"을 방지하여 인쇄 선명도를 향상시킨다.
  • '''슬라이스''': 와이어에 백수 제트가 방출되는 헤드박스 하단에 있는 조절 가능한 직사각형 구멍. 슬라이스 개구부와 수압은 함께 슬라이스를 통과하는 백수 흐름의 양과 속도를 결정한다. 슬라이스에는 일반적으로 기계 전체의 종이 무게 프로파일을 균등하게 조정하는 조정 메커니즘이 있지만(CD 프로파일), 헤드박스 슬라이스 영역 전체에 물을 주입하여 CD 무게 프로파일을 제어하는 국부적인 농도를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도 있다.
  • '''원료(stock)''': 필요한 첨가물, 정련 및 pH 조절을 통해 원료 준비 영역에서 처리된 펄프 슬러리로, 종이 제조 준비가 완료되었다.
  • '''웹(web)''': 코치 롤에서 종이 기계로 내려오는, 건조되지 않은 섬유의 연속적인 흐름.
  • '''백수(white water)''': 배수 테이블에서 나오는 여과액. 테이블에서 나온 백수는 일반적으로 백수 체스트에 저장되며, 여기서 팬 펌프에 의해 헤드박스로 펌핑된다.
  • '''와이어''': 헤드박스에서 펄프 슬러리를 배수하는 데 사용되는 직조 메쉬 천 루프. 1970년대까지 청동 와이어가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낚싯줄과 유사하지만 매우 뻣뻣한 거친 모노 필라멘트 합성 섬유로 직조된다.

참조

[1] 서적 Papermaking in Britain 1488–1988 Athlone Press 1988
[2] 서적 American Paper Mills, 1690–1832: A Directory of the Paper Trade with Notes... http://www.upne.com/[...] Dartmouth College Press 2013
[3] 간행물 Historic American Engineering Record Essex Mill NJ-6 http://cdn.loc.gov/m[...] National Park Service Department of the Interior Washington D.C. 20240
[4] 서적 A Nation of Steel: The Making of Modern America 1865–1925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 서적 Wet End Operations Short Course Notes TAPPI Press
[6] 문서
[7] 서적 Paper Machine Operations Short Course Notes TAPPI Press
[8] 서적 Paper Machine Wet End, The TAPPI Press
[9] 서적 Wet End Operations Short Course Notes TAPPI Press
[10] 논문 Technology choice in a global industry : the case of the twin-wire in Canada http://ir.lib.sfu.ca[...] 1989
[11] 서적 Paper Machine Clothing: Key to the Paper Making Process CRC Press, Asten 1997
[12] 웹사이트 Cylinder machine {{!}} device https://www.britanni[...] 2020-04-05
[13] 서적 The Paper Machine Dry End TAPPI Press
[14] 서적 Pressing and Drying course notes TAPPI Press
[15] 간행물 Papermaking: Papermachine – Pressing http://www.fibrelab.[...] UBC Fibre Lab 2014-08-25
[16] 간행물 Barre granite quarries, Barre, Vermont 1987
[17] 웹사이트 Stainless Steels and Specialty Alloys for Modern Pulp and Paper Mills https://nickelinstit[...] 2017
[18] 서적 オフセット印刷技術作業手順と知識 日本印刷技術協会 2005
[19] 웹사이트 竹尾製紙/抄紙機 http://www.takeo.co.[...]
[20] 웹사이트 ミューズ/紙が出来るまで http://www.muse-pape[...]
[21] 간행물 柔軟媒体の搬送技術とその展望 https://www.jstage.j[...]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