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라프트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라프트법은 1879년 카를 F. 달에 의해 발명된 펄프 제조 공정이다. 이 공정은 나폴레옹 전쟁 당시 사용된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수산화나트륨과 황화나트륨을 사용하여 목재 칩에서 리그닌을 제거한다. 크라프트 공정은 1930년대 회수 보일러의 발명으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아황산염 공정을 대체하여 목재 펄프 생산의 주요 방법이 되었다. 크라프트 펄프는 강도가 높고 다양한 섬유 공급원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악취를 유발하는 부산물과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9년 독일 - 반사회주의자 법
    반사회주의자 법은 1878년 독일 제국에서 사회주의 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제정되어 사회주의 단체, 집회, 노동조합을 금지하고, 사회주의자들의 활동을 제한했으며, 1890년 폐지되었다.
  • 1879년 과학 - 1879년 1월 22일 일식
    1879년 1월 22일에 발생한 금환 일식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줄루 전쟁 중 이산들와나 전투가 벌어진 날에 일어났으며, 줄루족은 이를 승리의 징조로 여겨 "죽은 달의 날"로 불렀고, 사로스 주기 129의 일부로 기록되었으며, 1879년의 다른 월식 및 일식들과 주기 및 시리즈로 연관되어 있다.
  • 1879년 과학 - 1879년 7월 19일 일식
  • 제지 - 펄프
    펄프는 종이, 판지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목재 또는 비목재 식물 섬유 덩어리로, 목재펄프, 비목재펄프, 고지펄프로 나뉘며, 환경적 영향으로 인해 재생 펄프 사용과 친환경 펄핑 기술 개발이 중요해지고, 세계 최대 생산국은 미국이다.
  • 제지 - 사이징
    사이징은 종이, 섬유, 캔버스, 금박 등의 재료 표면 특성을 개선하는 공정으로, 종이의 강도, 섬유의 내마모성, 캔버스와 금박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크라프트법
개요
종류화학 펄프
제조 공정황산염 펄프화법
용도종이
판지
기타
상세 정보
원료목재
화학 약품수산화 나트륨
황화 나트륨
주요 단계증해
표백
특징강도가 높음
공정
칩 준비목재를 작은 조각 (칩)으로 자름
증해칩을 화학 약품과 함께 고온, 고압에서 조리하여 리그닌 제거
펄프 세척잔류 화학 약품과 리그닌 제거
표백펄프를 표백하여 밝게 만듦
건조펄프를 건조시켜 종이 제조에 적합하게 만듦
환경 영향
배출 물질황 화합물, 유기 염소 화합물
영향대기 오염
수질 오염
저감 노력폐수 처리 시설 설치, 친환경 표백 기술 도입

2. 역사

크라프트 종이 롤


크라프트 공정의 전신은 나폴레옹 전쟁 당시 영국에서 사용되었다.[5] 1879년 카를 F. 달이 독일 제국 프로이센 단치히에서 크라프트 공정을 발명했다. 1884년에 관련 특허가 발급되었고, 1890년 스웨덴에서 이 기술을 사용한 펄프 공장이 시작되었다.[6] 1930년대 초 G. H. 톰린슨이 회수 보일러를 발명하면서 크라프트 공정은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7] 회수 보일러는 무기 펄프화 화학 물질의 회수 및 재사용을 가능하게 했다. 1940년대에 크라프트 공정은 아황산염 공정을 대체하여 목재 펄프 생산의 주요 방법이 되었다.[6]

2. 1. 개발 과정

나폴레옹 전쟁 당시 영국에서 크라프트 공정의 전신이 사용되었다.[5] 1879년 독일 제국 프로이센 단치히에서 카를 F. 달이 크라프트 공정을 발명했다. 1884년에 특허가 발급되었고, 1890년 스웨덴에서 이 기술을 사용한 펄프 공장이 가동되기 시작했다.[6]

1930년대 초 G. H. 톰린슨이 회수 보일러를 발명하면서 크라프트 공정은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7] 회수 보일러는 무기 펄프화 화학 물질을 회수하고 재사용할 수 있게 해, 크라프트 공장이 표백 공정에 사용되는 물질을 제외한 무기 화학 물질과 관련하여 거의 폐쇄된 사이클 공정이 되도록 했다. 이러한 이유로 1940년대에 크라프트 공정은 아황산염 공정을 대체하여 목재 펄프 생산의 주요 방법이 되었다.[6]

2. 2. 발전과 보급

나폴레옹 전쟁 당시 영국에서 크라프트 공정의 전신이 사용되었다.[5] 1879년 카를 F. 달이 독일 제국 프로이센 단치히에서 크라프트 공정을 발명했다. 1884년에 특허가 발급되었고, 1890년 스웨덴에서 이 기술을 사용한 펄프 공장이 시작되었다.[6]

1930년대 초 G. H. 톰린슨이 회수 보일러를 발명한 것은 크라프트 공정 발전에 획기적인 사건이었다.[7] 이는 무기 펄프화 화학 물질의 회수 및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크라프트 공장이 표백 공정에 사용되는 물질을 제외하고 무기 화학 물질과 관련하여 거의 폐쇄된 사이클 공정이 되도록 했다. 이러한 이유로 1940년대에 크라프트 공정은 아황산염 공정을 대체하여 목재 펄프 생산의 주요 방법이 되었다.[6]

3. 공정

수산화나트륨(가성 소다), 황화나트륨, 폴리황화나트륨[27]이 주성분인 알칼리성 약제를 칩으로 만든 목재에 첨가하여 고온·고압에서 끓인다.[26] 퀴논, 황산나트륨, 황화수소나트륨 등을 첨가한 약제(백액)를 조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가성 소다의 알칼리 성분은 끓이는 과정에서 리그닌을 수용화하고, 분해된 유기산을 중화시킨다. 황화나트륨은 가수분해를 통해 가성 소다가 되므로, 끓이는 동안 감소하는 가성 소다를 보충한다. 끓인 후 용액을 분리하면 흑액이 생성되고, 남은 펄프를 씻어 불순물을 제거하면 "강한 펄프"라는 뜻의 '''크라프트 펄프'''가 된다.

흑액에는 리그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소다 회수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된다. 연소 후 잔사(스멜트 혹은 녹액)는 수용성이며, 생석회를 섞어 백액으로 재활용한다.

3. 1. 전처리

일반적으로 펄프 생산에는 12mm에서 25mm 길이와 2mm에서 10mm 두께의 나무 조각이 사용된다. 나무 조각은 보통 증기로 적시고 예열하는 전처리 증기 처리를 거친다. 신선한 나무 조각 내부의 빈 공간은 부분적으로 액체로, 부분적으로 공기로 채워져 있다. 증기 처리를 하면 공기가 팽창하여 나무 조각에서 공기의 약 25%가 배출된다. 다음 단계는 나무 조각을 블랙 및 화이트 리커로 포화시키는 것이다. 함침 시작 시 나무 조각에 남아 있는 공기는 나무 조각 내부에 갇히게 된다. 함침은 나무 조각이 소화조에 들어가기 전이나 후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00°C 이하에서 수행된다. 조리 액체는 화이트 리커, 나무 조각의 물, 응축된 증기 및 약한 블랙 리커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함침 과정에서 조리 액체는 나무 조각의 모세관 구조로 침투하며 나무와의 저온 화학 반응이 시작된다. 균일한 요리와 낮은 거부율을 얻으려면 우수한 함침이 중요하다. 연속 공정에서 모든 알칼리 소비량의 약 40~60%가 함침 구역에서 발생한다.[26]

칩으로 만든 목재에 알칼리성 약제를 첨가하여 고온·고압 하에서 끓인다.[26] 이 알칼리성 약제는 수산화나트륨(가성 소다)과 황화나트륨·폴리황화나트륨[27]이 주성분이며, 조제로 퀴논, 황산나트륨, 황화수소나트륨 등이 첨가된 약제(백액)를 첨가하기도 한다.

3. 2. 증해 (Cooking)

목재 칩은 가압 소화조에서 증해(cooking)된다. 일부 소화조는 배치 방식으로 작동하고 일부는 연속 공정으로 작동한다. 하루에 1000ton 이상의 펄프를 생산하는 소화조가 일반적이며, 가장 큰 소화조는 하루에 3500ton 이상을 생산한다.[8] 일반적으로 리그닌 제거에는 170°C에서 176°C에서 약 2시간이 소요된다.[9] 소화 조건에서 리그닌과 헤미셀룰로스는 분해되어 강염기성 액체에 용해되는 조각을 생성한다. 고체 펄프(건조 목재 칩 무게의 약 50%)는 수집하여 세척한다. 이 시점에서 펄프는 색상 때문에 '갈색 펄프'로 알려져 있다. 블랙 리커(색상 때문에)로 알려진 혼합 액체에는 리그닌 조각, 헤미셀룰로스 분해로 인한 탄수화물, 탄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기타 무기 염이 포함되어 있다.

크라프트 공정을 뒷받침하는 주요 화학 반응 중 하나는 친핵성 황화물(S2−) 또는 바이설파이드(HS) 이온에 의한 에테르 결합의 절단이다.[7]

칩으로 만든 목재에 알칼리성 약제를 첨가하여 고온·고압 하에서 끓인다.[26] 이 알칼리성 약제는 수산화나트륨(가성 소다)과 황화나트륨·폴리황화나트륨[27]이 주성분이며, 조제로 퀴논, 황산나트륨, 황화수소나트륨 등이 첨가된 약제(백액)를 첨가하기도 한다.

끓이는 과정에서 가성 소다의 알칼리 성분으로 인해 리그닌이 수용화되고, 또한 분해된 유기산이 중화된다. 황화나트륨은 가수분해에 의해 황화수소나트륨을 거쳐 가성 소다가 되기 때문에, 끓이는 과정에서 줄어드는 가성 소다를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끓인 후 용액을 분리하고(분리된 것이 이른바 흑액이다), 잘 씻어 펄프 이외의 불순물을 제거한 것은 '''크라프트 펄프''' (독일어로 "강한 펄프"의 의미)라고 칭한다.

흑액은 리그닌을 많이 포함하며, 소다 회수 보일러에서 연료로 사용된다. 태운 후의 잔사(스멜트 혹은 녹액)는 수용성이며, 생석회를 섞어 다시 백액으로 되돌려 재이용된다.

3. 3. 회수 (Recovery)

과도한 흑액은 약 15%의 고형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다중 효과 증발기에서 농축된다. 첫 번째 단계 후 흑액은 약 20~30%의 고형물을 갖는다. 이 농도에서 로진 비누가 표면으로 떠올라 스키머로 걷어낸다. 수집된 비누는 추가로 처리되어 톨 오일이 된다. 비누를 제거하면 후속 효과의 증발 작업이 개선된다.

약한 흑액은 65% 또는 심지어 80%의 고형물("중 흑액"[10])로 더 증발되고 회수 보일러에서 연소되어 펄프 제조 공정에서 재사용하기 위한 무기 화학 물질을 회수한다. 농축된 흑액의 고형물이 높을수록 회수 사이클의 에너지 및 화학 효율성이 높아지지만 점도가 높아지고 고형물이 침전(장비 막힘 및 오염)된다.[11][12] 연소 중 황산나트륨은 혼합물 내 유기 탄소에 의해 황화나트륨으로 산화환원된다.

:1. Na2SO4 + 2 C → Na2S + 2 CO2

이 반응은 지구화학에서 열화학적 황산염 환원과 유사하다.

회수 보일러에서 나온 용융 염("스멜트")은 "약액 세정"으로 알려진 공정수에 용해된다. 또한 "약백액"이라고도 알려진 이 공정수는 석회 진흙과 녹액 침전물을 세척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액체로 구성된다. 그 결과 탄산나트륨과 황화나트륨 용액을 "녹액"이라고 한다. 녹액의 명칭인 녹색은 콜로이드성 황화철의 존재에서 기인한다.[13] 이 액체는 다음 평형 반응을 통해 펄프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백액을 재생성하기 위해 산화칼슘과 혼합되며, 용액에서 수산화칼슘이 된다(Na2S는 녹액의 일부이므로 반응에 참여하지는 않지만 표시된다).

:2. Na2CO3 + Ca(OH)2 ←→ 2 NaOH + CaCO3

탄산칼슘은 백액에서 침전되어 회수되어 소성로에서 가열되어 산화칼슘(생석회)로 변환된다.

:3. CaCO3 → CaO + CO2

산화칼슘(생석회)은 물과 반응하여 반응 2에서 사용된 수산화칼슘을 재생성한다.

:4. CaO + H2O → Ca(OH)2

반응 1에서 4까지의 조합은 나트륨, 황 및 칼슘과 관련하여 닫힌 사이클을 형성하며, 이는 탄산나트륨이 수산화나트륨을 재생성하기 위해 반응하는 소위 재생성 공정의 주요 개념이다.

회수 보일러는 또한 터보 발전기에 공급되는 고압 증기를 생성하여 공장의 증기 압력을 줄이고 전기를 생산한다. 현대적인 크라프트 펄프 공장은 전기 생산에 있어서 자급 자족 이상이며 일반적으로 관련 제지 공장에서 사용할 수 있거나 지역 전력망을 통해 인접 산업 또는 지역 사회에 판매할 수 있는 순 에너지 흐름을 제공한다.[14] 또한 수피와 목재 잔재는 종종 별도의 동력 보일러에서 연소되어 증기를 생성한다.

G.H. 톰린슨의 발명품을 사용한 회수 보일러는 1930년대 초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요리 화학 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보다 효율적인 공정을 찾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Weyerhaeuser는 노스캐롤라이나주 뉴 번 공장에서 Chemrec 1세대 흑액 가스화기를 성공적으로 운영해 왔으며, 2세대 공장은 스웨덴 피테오에 있는 Smurfit Kappa 공장에서 파일럿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15]

3. 4. 표백 (Bleaching)

현대적인 제지 공장에서는 펄프 제조 과정에서 생성된 브라운스톡(약 5%의 잔류 리그닌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섬유)을 먼저 세척하여 용해된 유기 물질을 일부 제거한 후, 다양한 표백 단계로 추가적인 탈리그닌화를 거친다.[16]

갈색 포대, 상자, 포장용 라이너보드를 만드는 공장에서는 펄프를 반드시 높은 밝기로 표백할 필요는 없다. 표백은 생산되는 펄프의 양을 약 5% 감소시키고, 섬유의 강도를 약화시키며,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3. 5. 선별 (Screening)

펄프화 공정 후 펄프의 선별은 펄프를 큰 셰이브, 매듭, 먼지 및 기타 이물질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이다. ''합격품''은 펄프이고, 펄프에서 분리된 물질을 ''거부품''이라고 한다.

선별 섹션은 다양한 유형의 (스크린)와 원심 분리 청소로 구성된다. 체는 합격 흐름에서 최대 순도를 달성하려 할 때 상당한 양의 양질의 섬유가 거부 흐름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단계 캐스케이드 방식으로 설정된다.

셰이브와 매듭이 포함된 섬유는 나머지 거부품에서 분리되어 정제기에서 재처리되거나 증해조로 다시 보내진다. 매듭 함량은 일반적으로 증해조 출력의 0.5%~3%인 반면, 셰이브 함량은 약 0.1%~1%이다.[1]

3. 6. 세척 (Washing)

블로우에서 나온 브라운스톡은 폐액을 셀룰로스 섬유로부터 분리하는 세척 단계로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펄프 공장에는 3~5개의 연속적인 세척 단계가 있다. 세척 단계는 산소 탈리그닌화 후와 표백 단계 사이에도 배치된다. 펄프 세척기는 각 단계 사이에 역류를 사용하여 펄프가 세척수의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농축/희석, 변위, 확산 등의 공정이 관련된다. '''희석 계수'''는 농축된 펄프에서 폐액을 제거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인 양과 비교하여 세척에 사용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희석 계수가 낮으면 에너지 소비가 줄어들고, 희석 계수가 높으면 일반적으로 더 깨끗한 펄프를 얻을 수 있다. 펄프를 철저히 세척하면 COD이 감소한다.[1]

사용되는 세척 장비는 다음과 같다.[1]

  • 압력 디퓨저
  • 대기압 디퓨저
  • 진공 드럼 세척기
  • 드럼 변위기
  • 워시 프레스

4. 공정 화학 물질

계면활성제는 칩의 조리액 침투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안트라퀴논은 소화조 첨가제로 사용된다. 이는 셀룰로스를 산화하고 리그닌을 환원시켜 산화 환원 촉매로 작용한다.[17] 셀룰로스가 분해되는 것을 보호하고 리그닌을 더 수용성으로 만든다. 응집제는 비누 분리 공정에 첨가되어 응집을 통해 사용된 조리액에서 비누의 분리를 가속화하고 개선할 수 있다.[18] 소포제는 거품을 제거하고 생산 공정을 가속화한다. 세척 장비의 배수를 개선하고 더 깨끗한 펄프를 제공한다. 분산제, 이형제 및 착화제는 시스템을 더 깨끗하게 유지하고 유지 보수 중단의 필요성을 줄인다. 고착제는 미세하게 분산된 잠재적 침전물을 섬유에 고착시켜 공정 밖으로 운반한다.

칩으로 만든 목재에 알칼리성 약제를 첨가하여 고온·고압 하에서 끓인다.[26] 이 알칼리성 약제는 수산화나트륨(가성 소다)과 황화나트륨·폴리황화나트륨[27]이 주성분이며, 조제로 퀴논, 황산나트륨, 황화수소나트륨 등이 첨가된 약제(백액)를 첨가하기도 한다.

5. 다른 펄프화 공정과의 비교

크라프트 공정으로 생산된 펄프는 다른 펄프 공정으로 만들어진 펄프보다 강하며, 종이의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높은 유효 황 비율(황화도)을 유지한다. 산성 아황산염 공정은 크라프트 공정보다 셀룰로스를 더 많이 분해하여 섬유를 약하게 만든다.[6] 크라프트 펄프 공정은 목재에 원래 존재하는 대부분의 리그닌을 제거하는 반면, 기계적 펄프 공정은 대부분의 리그닌을 섬유에 남겨둔다. 리그닌의 소수성 특성은 종이의 강도에 필요한 섬유 내 셀룰로오스(및 헤미셀룰로오스) 간의 수소 결합 형성을 방해한다.[19] (강도는 인장 강도 및 찢김 저항을 의미한다).

크라프트 펄프는 다른 목재 펄프보다 어둡지만 표백하여 매우 흰색 펄프를 만들 수 있다. 완전히 표백된 크라프트 펄프는 강도, 백색도 및 황변 저항이 중요한 고급 종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크라프트 공정은 대부분의 다른 펄프 공정보다 더 광범위한 섬유 공급원을 사용할 수 있다. 남부 소나무[20]와 같이 수지가 많은 종류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목재와 대나무, 케나프와 같은 비목재 종을 크라프트 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 크라프트 공정은 원료인 목재를 가리지 않고 펄프화할 수 있으며, 얻을 수 있는 펄프 또한 강도가 우수하다. 또한 아황산·아황산염(주로 아황산 칼슘)을 사용한 아황산법(설파이트 펄프), 아황산염 기반의 약액에 완충제로서 탄산 나트륨이나 중탄산 나트륨을 섞어 중성 액체로 만든 중성 아황산 세미 케미컬법에 비해 증해에 사용하는 약액의 재생이 용이하다는 점, 그리고 가성 소다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소다법처럼 유기산에 의한 약액 알칼리분의 중화에 대한 저항성이라는 이점이 있어, 표백 공정의 고도화와 함께 화학 펄프 제조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6. 부산물 및 배출

크라프트법은 펄프 공장에서 특징적인 악취를 발생시키는 대기 배출의 원인이 된다. 여기에는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다이메틸 설파이드, 다이메틸 다이설파이드 및 기타 휘발성 화합물이 포함된다.[22][23] 그러나 크라프트 펄프 공장의 이산화 황 배출량은 아황산염 공장의 배출량보다 훨씬 적다. 현대식 크라프트 펄프 공장에서는 공장 가동 중단이나 정전과 같은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이산화 황 냄새를 거의 맡을 수 없다. 악취는 흑액과 함께 회수 보일러에서 악취 가스를 모아 태워 제어한다. 현대식 공장에서는 보일러에서 이산화 황이 거의 배출되지 않으며, 고온에서 흑액 방울에서 나온 나트륨이 이산화 황과 반응하여 무취의 황산 나트륨을 만든다.

펄프 공장은 많은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규모 수역 근처에 위치한다. 화학 펄프 제조 과정에서 리그닌을 제거하면 상당량의 유기 물질이 강이나 호수로 배출된다. 폐수에는 리그닌, 높은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및 용존 유기 탄소(DOC) 외에도 알코올, 염소산염, 중금속, 킬레이션 제제 등이 포함되어 주요 오염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 폐수는 생물학적 산업 폐수 처리 시설에서 처리하여 독성을 줄일 수 있다.[24][25]

6. 1. 부산물

크라프트 펄프 제조의 주요 부산물은 조(粗) 황산 테레빈유와 톨유 비누이다. 이들의 존재량은 나무 종, 생장 조건, 통나무 및 칩의 저장 기간, 제지 공장의 공정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21] 소나무는 추출물이 가장 풍부한 나무이다. 원유 테레빈유는 휘발성이 있어 증해기에서 증류되고, 원유 비누는 폐수 흑액으로부터 흑액 저장 탱크 상단에 형성된 비누층의 분리를 통해 분리된다. 소나무에서 테레빈유의 평균 수율은 펄프 1톤당 5kg–10kg이며, 조 톨유는 펄프 1톤당 30kg–50kg이다.[21]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다이메틸 설파이드, 다이메틸 다이설파이드 및 기타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부산물은 크라프트 공정을 사용하는 펄프 공장의 특징적인 악취 대기 배출의 원인이다.[22][23] 크라프트 펄프 공장의 이산화 황 배출량은 아황산염 공장의 배출량보다 훨씬 적다. 전형적인 현대식 크라프트 펄프 공장 외부의 주변 대기에서 이산화 황 냄새는 공장이 유지 보수를 위해 가동 중단되거나 정전이 발생할 경우와 같은 교란 상황에서만 감지할 수 있다. 악취 제어는 흑액과 함께 회수 보일러에서 이러한 악취 가스를 수집하여 연소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잘 건조된 고형물이 회수 보일러에서 연소되는 현대식 공장에서는 보일러에서 이산화 황이 거의 배출되지 않는다. 보일러의 고온에서 흑액 방울에서 방출된 나트륨은 이산화 황과 반응하여 무취의 황산 나트륨 결정을 형성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펄프 공장은 상당한 물 수요로 인해 거의 항상 대규모 수역 근처에 위치해 있다. 화학 펄프의 리그닌 제거는 상당한 양의 유기 물질을 환경, 특히 강이나 호수로 방출한다. 폐수 배출물은 또한 나무의 리그닌, 높은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및 용존 유기 탄소(DOC)와 함께 알코올, 염소산염, 중금속 및 킬레이션 제제를 포함하여 주요 오염원이 될 수 있다. 공정 폐수는 생물학적 산업 폐수 처리 플랜트에서 처리할 수 있으며, 이는 독성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다.[24][25]

6. 2. 환경 문제

크라프트 펄프 제조의 주요 부산물은 조(粗) 황산 테레빈유와 톨유(tall oil) 비누이다. 이들의 존재량은 나무 종, 생장 조건, 통나무 및 칩의 저장 기간, 제지 공장의 공정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21] 소나무는 추출물이 가장 풍부한 나무이다. 원유 테레빈유는 휘발성이 있어 증해기에서 증류되고, 원유 비누는 폐수 흑액으로부터 흑액 저장 탱크 상단에 형성된 비누층의 분리를 통해 분리된다. 소나무에서 테레빈유의 평균 수율은 펄프 1톤당 5kg–10kg이며, 조 톨유는 펄프 1톤당 30kg–50kg이다.[21]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다이메틸 설파이드, 다이메틸 다이설파이드 및 기타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부산물은 크라프트 공정을 사용하는 펄프 공장의 특징적인 악취 대기 배출의 원인이다.[22][23] 크라프트 펄프 공장의 이산화 황 배출량은 아황산염 공장의 배출량보다 훨씬 적다. 전형적인 현대식 크라프트 펄프 공장 외부의 주변 대기에서 이산화 황 냄새는 공장이 유지 보수를 위해 가동 중단되거나 정전이 발생할 경우와 같은 교란 상황에서만 감지할 수 있다. 악취 제어는 흑액과 함께 회수 보일러에서 이러한 악취 가스를 수집하여 연소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잘 건조된 고형물이 회수 보일러에서 연소되는 현대식 공장에서는 보일러에서 이산화 황이 거의 배출되지 않는다. 보일러의 고온에서 흑액 방울에서 방출된 나트륨은 이산화 황과 반응하여 무취의 황산 나트륨 결정을 형성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펄프 공장은 상당한 물 수요로 인해 거의 항상 대규모 수역 근처에 위치해 있다. 화학 펄프의 리그닌 제거는 상당한 양의 유기 물질을 환경, 특히 강이나 호수로 방출한다. 폐수 배출물은 또한 나무의 리그닌, 높은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및 용존 유기 탄소(DOC)와 함께 알코올, 염소산염, 중금속 및 킬레이션 제제를 포함하여 주요 오염원이 될 수 있다. 공정 폐수는 생물학적 산업 폐수 처리 플랜트에서 처리할 수 있으며, 이는 독성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다.[24][25]

크라프트 펄프를 사용한 종이 봉투에서 대표되는 것처럼, 얻을 수 있는 펄프의 투명도, 순도, 수율 모두 아황산법으로 처리한 설파이트 펄프에 미치지 못한다. 또한 황화수소, 황화 메틸, 메틸 메르캅탄 등 악취를 유발하는 성분이 발생하는 것도 과제로 남아 있다.[28]

7. 응용 분야

응용품으로는 표백한 양지는 물론, 표백하지 않고 강도를 높인 크라프트지가 있다. 크라프트지는 골판지의 원료가 되기도 한다.

참조

[1] 논문 Spatiotemporal assessment (quarter century) of pulp mill metal (loid) contaminated sediment to inform remediation decisions 2017
[2] 논문 Assessment of public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compliance at a pulp and paper facility: a Canadian case study 2015
[3] 간행물 Paper and Pulp Wiley-VCH, Weinheim 2002
[4] 문서
[5] 서적 Pulp and Paper Manufacture, vol. 1 : The Pulping of Wood https://books.google[...] McGraw Hill 1969
[6] 서적 Essentials of Pulping and Papermaking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Inc.
[7] 서적 Wood Chemistry: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8] 웹사이트 Pollution Prevention Technologies for the Bleached Kraft Segment of the U.S. Pulp and Paper Industry https://nepis.epa.go[...]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22-02-06
[9] 웹사이트 Basics of Kraft Pulping http://biorefinery.u[...]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2021-10-23
[10] 웹사이트 Equipment to handle heavy black liquor http://www.sealspeci[...] 2007-10-09
[11] 웹사이트 Second Critical Solids Black Liquor Scaling http://thor.lib.chal[...] Pulp and Paper Engineering, School of Chemical Engineering,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7-10-09
[12] 특허 High solids black liquor of reduced viscosity and viscosity reduction method for high solids black liquor
[13] 서적 Pump Handbook http://accessenginee[...] McGraw Hill 2013-02-21
[14] 웹사이트 Kraft pulping: Energy consumption and production http://www2.biotech.[...] University of Wisconsin Biotech Center 2007-10-21
[15] 웹사이트 Chemrec web site http://chemrec.se/Ch[...] 2011-01-07
[16] 웹사이트 Environmental Comparison of Bleached Kraft Pulp ManufacturingTechnologies http://www.environme[...] 2007-09-28
[17] 서적 Anthraquinone Pulping. A TAPPI Press Anthology of Published Papers, 1977-1996 TAPPI Press
[18] 웹사이트 Tall Oil and Tall Oil Soap Recovery http://wcm.paprican.[...] 2008-12-19
[19] 학술지 The "Love-Hate" Relationship Present in Lignocellulosic Materials http://ojs.cnr.ncsu.[...] 2015-02-03
[20] 웹사이트 The Southern Pines http://www.fpl.fs.f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7-09-13
[21] 서적 Forest Products Chemistry Fapet OY
[22] 학술지 Odor and Fallout Control in a Kraft Pulp Mill 1962
[23] 논문 Pilot study investigating ambient air toxics emissions near a Canadian kraft pulp and paper facility in Pictou County, Nova Scotia 2017
[24] 논문 Assessment of public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compliance at a pulp and paper facility: a Canadian case study 2015
[25] 논문 Spatiotemporal assessment (quarter century) of pulp mill metal (loid) contaminated sediment to inform remediation decisions 2017
[26] 학술지 パルプ紙製造用薬品類(1) https://doi.org/10.2[...] 1971
[27] 보고서 "エネルギー使用合理化高効率パルプ化技術開発 プロジェクト評価(事後)報告書"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産業構造審議会産業技術分科会 評価小委員会
[28] 서적 あて材の科学: 樹木の重力応答と生存戦略 2016-03
[29] 논문 Spatiotemporal assessment (quarter century) of pulp mill metal (loid) contaminated sediment to inform remediation decisions 2017
[30] 논문 Assessment of public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compliance at a pulp and paper facility: a Canadian case study 2015
[31] 간행물 Paper and Pulp Wiley-VCH, Weinheim 2002
[3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