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칠거지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거지악은 조선 시대에 부인이 남편에게 버림받을 수 있는 일곱 가지 조건이다. 세종실록에는 좌찬성 이맹균의 처 이씨가 칠거지악 중 '투기'를 범했으나, 세종은 삼불거를 인용하여 이씨를 이혼시킬 수 없다고 판결한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

2. 조선시대 칠거지악과 삼불거의 실제 사례

세종실록에는 칠거지악과 삼불거의 사례가 언급되어 있다.[5] 좌찬성(左贊成) 이맹균의 처 이씨(李氏)는 나이가 거의 일흔이었으나 남편이 계집종을 총애하자 질투하여 계집종을 움 속에 가두고 학대하여 굶겨 죽였다. 세종사간원에서 이맹균을 탄핵하는 상소를 받고 그를 귀양보냈으나, 그의 부인은 벌하지 않았다.[5]

사헌부에서는 부인 이씨가 자식이 없고 질투가 심하여 칠거(七去) 중 이거(二去)를 범했다며 내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세종은 '전에는 빈천하다가 나중에 부귀해지면 버리지 못하는 것이고, 함께 삼년상(三年喪)을 입었으면 버리지 못한다'는 삼불거를 인용하여 부인을 이혼시킬 수 없다고 반대하였다.[6]

2. 1. 세종실록의 사례

세종실록에는 칠거지악과 삼불거의 사례가 언급되어 있다.[5] 좌찬성(左贊成) 이맹균의 처 이씨(李氏)는 나이가 거의 일흔이었으나 남편이 계집종을 총애하자 질투하여 계집종을 움 속에 가두고 학대하여 굶겨 죽였다. 세종사간원에서 이맹균을 탄핵하는 상소를 받고 그를 귀양보냈으나, 그의 부인은 벌하지 않았다.[5]

사헌부에서는 부인 이씨가 자식이 없고 질투가 심하여 칠거(七去) 중 이거(二去)를 범했다며 내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세종은 '전에는 빈천하다가 나중에 부귀해지면 버리지 못하는 것이고, 함께 삼년상(三年喪)을 입었으면 버리지 못한다'는 삼불거를 인용하여 부인을 이혼시킬 수 없다고 반대하였다.[6]

참조

[1] 뉴스 晩年の生きよう】貝原益軒 84歳で書いた「養生訓」 産経新聞 1995-10-22
[2] 뉴스 きょうの言葉 佐賀新聞 2013-02-21
[3] 논문 中日両国古代における離婚及び嫉妬について http://ir.hust.edu.t[...] 2008
[4] 서적 浮世の法律 https://dl.ndl.go.jp[...] 有斐閣 1937
[5]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세종 22년 6월 19일 두 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6]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세종 22년 6월 19일 첫 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