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르탕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탕 정리는 슈타인 다양체 위의 연접층과 아핀 스킴 위의 준연접층에 대한 두 가지 정리로 구성된다. 카르탕 A정리는 가군층이 대역적 단면들로부터 생성된다는 것을, 카르탕 B정리는 층 코호몰로지가 자명군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정리는 앙리 카르탕에 의해 1953년에 증명되었고, 아핀 스킴에 대한 카르탕 정리는 장피에르 세르에 의해 1955년에 증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변수 복소함수론 - 쿠쟁 문제
    쿠쟁 문제는 복소다양체 위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유리형 함수의 존재성을 묻는 문제로, 특이점을 갖는 함수를 찾는 것과 관련되며, 제1 쿠쟁 문제(덧셈)와 제2 쿠쟁 문제(곱셈)로 나뉜다.
  • 다변수 복소함수론 - 복소기하학
    복소기하학은 복소다양체, 복소대수다양체 등을 연구하며, 층 코호몰로지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켈러 다양체, 슈타인 다양체 등 다양한 복소 공간을 분류하고 연구하는 기하학의 한 분야이다.
  • 대수기하학 정리 - 리만-로흐 정리
    리만-로흐 정리는 콤팩트 리만 곡면에서 인자의 차수, 유리형 함수 공간의 차원, 곡면의 종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로서, 유리형 함수를 구성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대수기하학 정리 - 고다이라 매장 정리
    콤팩트 켈러 다양체가 사영 대수다양체가 될 필요충분조건을 제시하는 고다이라 매장 정리는 켈러 형식이 정수 코호몰로지에 속하는 켈러 다양체, 즉 호지 다양체가 사영 대수다양체를 이룬다는 내용으로, 고다이라 구니히코가 1954년에 고다이라 소멸 정리를 사용하여 증명했다.
  • 복소다양체 - 트위스터 공간
    트위스터 공간은 다양한 시공간 차원에 대해 정의되는 수학적 공간으로, 4차원 시공간의 경우 바일 스피너의 텐서곱으로 표현되며, 6차원 및 3차원 시공간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정의되어 이론물리학에서 파동 방정식의 해나 양-밀스 이론과 연결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복소다양체 - 히르체브루흐-리만-로흐 정리
    히르체브루흐-리만-로흐 정리는 콤팩트 복소다양체 위의 해석적 벡터 다발의 코호몰로지를 통해 정의되는 오일러 지표를 천 지표와 토드 특성류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정리이다.
카르탕 정리
개요
종류정리
분야다변수 복소해석학
발견자앙리 카르탕
정리 내용
정리 A스탕 다양체 위의 코히어런트 시프는 단면들에 의해 생성된다.
정리 B스탕 다양체 위의 코히어런트 시프는 더 높은 코호몰로지가 없다. 즉, 모든 p > 0에 대해 Hp(X, F) = 0이다.
관련 개념
관련 정리오카의 결합성 정리
참고 문헌
참고 문헌https://www.ams.org/journals/bull/1957-63-03/S0002-9904-1957-10134-8/S0002-9904-1957-10134-8.pdf
https://projecteuclid.org/journals/michigan-mathematical-journal/volume-3/issue-1/Cohomologie-des-faisceaux-alg%C3%A9briques-coh%C3%A9rents/10.1307/mmj/1028989852.full
https://books.google.co.kr/books/about/Algebraic_Geometry.html?id=n9dgAAAAcAAJ&redir_esc=y

2. 정의

카르탕 정리는 슈타인 다양체와 아핀 스킴에 대해 성립한다. 카르탕 정리는 카르탕 A정리와 카르탕 B정리로 구성된다. 카르탕 A정리는 연접층이 대역적 단면들로부터 생성됨을 의미하고, 카르탕 B정리는 특정 층 코호몰로지자명군임을 의미한다.[1]

2. 1. 슈타인 다양체 위의 카르탕 정리

슈타인 다양체 X 위의 연접층 \mathcal F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카르탕 A정리''' Cartan’s theorem A영어) \mathcal F\mathcal O_X-가군층으로서, \mathcal F의 대역적 단면들로부터 생성된다.
  • ('''카르탕 B정리''' Cartan’s theorem B영어) 임의의 p>0에 대하여, 층 코호몰로지 H^p(X;\mathcal F)자명군이다.


아핀 스킴에 대해서도 유사한 정리가 성립한다. 임의의 아핀 스킴 X 및 그 위의 준연접층 \mathcal F에 대하여,

  • ('''아핀 스킴에 대한 카르탕 A정리''') \mathcal F\mathcal O_X-가군층으로서, \mathcal F의 대역적 단면들로부터 생성된다.
  • ('''아핀 스킴에 대한 카르탕 B정리''') 임의의 p>0에 대하여, 층 코호몰로지 H^p(X;\mathcal F)자명군이다.[1]

2. 2. 아핀 스킴 위의 카르탕 정리

아핀 스킴에 대해서도 유사한 정리가 성립한다. 임의의 아핀 스킴 X 및 그 위의 준연접층 \mathcal{F}에 대하여,

  • ('''아핀 스킴에 대한 카르탕 A정리''') \mathcal{F}\mathcal{O}_X-가군층으로서, \mathcal{F}의 대역적 단면들로부터 생성된다.
  • ('''아핀 스킴에 대한 카르탕 B정리''') 임의의 p>0에 대하여, 층 코호몰로지 H^p(X;\mathcal{F})자명군이다.[1]

3. 역사

앙리 카르탕이 1953년에 증명하였다.[2] 아핀 스킴에 대한 카르탕 정리는 장피에르 세르가 1955년에 증명하였다.[3]

참조

[1] 서적 Algebraic Geometry Springer 1977
[2] 서적 Colloque sur les fonctions de plusieurs variables, tenu à Bruxelles, 1953 Georges Thone 1953
[3] 저널 Faisceaux algébriques cohérents http://www1.mat.unir[...] 195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