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우아이오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우아이오오는 하와이 오오새 중 하나로, 멸종된 조류이다. 몸길이가 20cm를 조금 넘는 작은 새였으며, 검은색 머리, 날개, 꼬리와 갈색 상체, 적갈색 엉덩이와 측면, 흰색 점이 있는 검은색 목과 가슴, 노란색 홍채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로벨리아와 오히아 르후아 나무의 꿀을 선호하고, 무척추동물과 과일도 섭취했다. 1980년대 후반 멸종되었으며, 모기 매개 전염병, 외래 포유류의 포식, 서식지 파괴 등이 멸종 원인으로 추정된다. 2023년 10월 멸종이 공식 선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5년 기재된 새 - 마다가스카르흰따오기
    마다가스카르흰따오기는 마다가스카르와 알다브라에서 발견되는 따오기과의 새이며, 흰색 깃털과 검은색 부리를 가지고 있으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카우아이오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카우아이 오오
카우아이 오오
멸종 시기1987년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참새목
모호이과
모호속
브라카투스
학명Mohoa braccata
학명 명명자(Cassin, 1855년)
학명 이명Moho nobilis braccatus
학명 이명 명명자Cassin, 1855
학명 이명2Pseudomoho braccatus
학명 이명2 명명자Cassin, 1855
학명 이명3Acrulocercus braccatus
학명 이명3 명명자Cassin, 1855
보존 상태
IUCNEX
IUCN 기준IUCN3.1
비고 (IUCN)https://www.iucnredlist.org/species/22704323/93963628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EX
비고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https://www.fws.gov/press-release/2023-10/21-species-delisted-endangered-species-act-due-extinction
울음소리
기타 정보
참고 문헌https://birdsna.org/Species-Account/bna/species/kauoo/introduction
https://doi.org/10.1016/j.cub.2008.10.051

2. 어원

하와이 원주민들은 이 새의 이름을 "오오아아"(ōʻō ʻāʻā)로 지었는데, 이는 하와이어에서 새 울음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인 "오오"(ʻōʻō)와 난쟁이를 뜻하는 "아아"(ʻāʻā)를 합친 것이다.[24]

3. 상세

카우아이오오는 꿀빨기새와 비슷하게 꿀 수집을 위한 날카롭고 약간 굽은 부리를 가졌으며, 로벨리아 꽃과 오히알레우하 나무의 꽃꿀을 선호하였다. 아파라파 나무에서도 먹이를 수집하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그 외에 작은 무척추동물과일을 먹었다. 플룻과 비슷한 불규칙한 소리를 냈으며, 수컷과 암컷 모두 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24]

3. 1. 외형

성체 ''Moho braccatus''
[24]

카우아이오오는 20cm를 겨우 넘는 하와이 오오새 중 가장 작은 새 중 하나였다.[9] 머리, 날개, 꼬리는 검정색이었다. 나머지 상체 부분은 점판암과 비슷한 갈색이었으며, 엉덩이와 측면은 적갈색을 띄었다. 목과 가슴은 흰색 점으로 뒤덮인 검정색이었고, 이는 암컷에게 특히 뚜렷하게 나타났다. 중앙에 있는 꼬리 깃털은 길었고, 날개 아랫부분에는 작은 회색 털 무더기가 있었다. 부리와 다리는 검정색이었지만, 다리에 난 깃털은 깊은 황금빛을 내는 노란색을 띄었다. 오오새 중 유일하게 노란색 홍채를 가졌었다. 꿀빨기새와 비슷하게 꿀 수집을 위한 날카롭고 약간 굽은 부리를 가졌었다. 로벨리아 꽃과 오히알레우하 나무의 꽃의 꿀을 선호하였다. 아파라파 나무에서도 먹이를 수집하는 것이 목격된 적 있다. 그 외에 작은 무척추동물과일을 먹었다. 상당히 소리가 컸으며, 플룻과 비슷한 불규칙한 빈 소리를 내었다. 수컷과 암컷 둘 다 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2. 생태

카우아이오오는 20cm를 겨우 넘는 하와이 오오새 중 가장 작은 새 중 하나였다.[9] 머리, 날개, 꼬리는 검은색이었다. 나머지 상체 부분은 점판암과 비슷한 갈색이었으며, 엉덩이와 측면은 적갈색을 띄었다. 목과 가슴은 흰색 점으로 뒤덮인 검정색이었고, 이는 암컷에게 특히 뚜렷하게 나타났다. 중앙에 있는 꼬리 깃털은 길었고, 날개 아랫부분에는 작은 회색 털 뭉치가 있었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었지만, 다리에 난 깃털은 깊은 황금빛을 내는 노란색을 띄었다. 오오새 중 유일하게 노란색 홍채를 가졌었다.[24] 꿀빨기새와 비슷하게 꿀 수집을 위한 날카롭고 약간 굽은 부리를 가졌었다. 로벨리아 꽃과 오히알레우하 나무의 꽃의 꿀을 선호하였다. 아파라파 나무에서도 먹이를 수집한 바가 목격된 적 있다. 그 외에 작은 무척추동물과일을 먹었다. 상당히 소리가 컸으며, 플룻과 비슷한 불규칙한 빈 소리를 내었다. 수컷과 암컷 모두 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3. 서식지

카우아이오오는 하와이 오오새 중 가장 작은 종 중 하나로, 몸길이는 20cm 정도였다.[9] 머리, 날개, 꼬리는 검은색이었다. 몸통 윗부분은 암갈색, 엉덩이와 옆구리는 적갈색이었다. 목과 가슴은 검은색 바탕에 흰색 가로줄 무늬가 있었는데, 암컷에게서 특히 두드러졌다. 가운데 꼬리 깃털은 길었고, 날개 아랫부분에는 작은 회색 깃털 뭉치가 있었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었지만, 다리 깃털은 짙은 금빛 노란색이었다. 노란색 홍채를 가진 유일한 오오새였다.

다른 꿀을 먹는 새들처럼 꿀을 먹기 좋게 날카롭고 약간 굽은 부리를 가졌다. 로벨리아 종과 오히아 르후아 나무의 꽃꿀을 선호했다. 라팔라파 나무에서 먹이를 찾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작은 무척추동물과일도 먹었다. 카우아이오오는 매우 소리가 컸고, 속이 빈 듯한 불규칙한 피리 소리를 냈다. 수컷과 암컷 모두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3. 4. 소리

카우아이오오는 매우 소리가 컸으며, 플룻과 비슷한 불규칙한 소리를 냈다. 수컷과 암컷 모두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9]

4. 멸종

카우아이오오는 카우아이섬의 울창한 숲이 우거진 협곡에 둥지를 틀었다. 하와이 오오, 비숍 오오, 오아후 오오와 같이 이 새의 친척들도 모두 멸종되었다. 이 멸종된 새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 종은 모기가 옮기는 질병, 포유류 포식자의 유입, 삼림 벌채 등 광범위한 문제로 인해 멸종되었다.[10] 1970년대에는 존 L. 싱콕이 슈퍼 8 필름으로 이 새에 대한 유일한 영상을 촬영했고, 해럴드 더글라스 프랫 주니어 등이 참여한 노래 녹음도 이루어졌다.[11] 1981년에는 한 쌍의 새가 발견되었다.

10년 간격으로 발생한 두 개의 허리케인인 이와와 이니키는 많은 고목들을 파괴했고, 두 번째 허리케인이 닥쳤을 때는 나무의 성장을 막아 이 종이 사라지게 만들었다. 마지막 수컷 새는 1985년에 마지막으로 목격되었고, 마지막 음성 녹음은 1987년 데이비드 보인턴에 의해 이루어졌다.[12][13][14] 1989년의 탐사 실패와 1992년의 허리케인 이니키 이후, 2000년 IUCN에 의해 멸종된 것으로 선언되었다. 이 종은 이미 두 번(1940년대에 멸종 선언 후 1960년에 재발견, 1960년대 후반 멸종 선언 후 1970년대 초반 존 싱콕에 의해 재발견)이나 멸종된 것으로 선언되었기 때문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채 살아남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다.[15] 그러나 1989년부터 2000년까지 이루어진 집중적인 조사에서 이 새의 크고 독특한 소리는 발견되지 않았다. 2021년,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은 이 종의 멸종을 선언할 것을 제안했다. 2023년 10월, 이 종은 멸종으로 선언되었고, 멸종 위기종 법에서 삭제되었다.[2]

4. 1. 멸종 원인

카우아이오오는 카우아이섬 깊은 산림에 공동 둥지를 트는 새였다. 하와이오오, 비숍 오오, 오하우오오 등 동족 조류들도 모두 멸종하였다. 현재 이 멸종한 새들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다. 멸종 원인으로는 모기 등에 의한 전염병, 각종 포유류 천적의 등장, 그리고 밀림 제거 등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25] 모기로 인해 새들은 알래스카이 야생 보호 구역 근처 숲 등 더 높은 지대로 피신하였지만,[25] 고지대 산림은 수목공동이 적어 둥지를 짓기에 부적합하였다. 1960년대 초반에는 예상 개체수가 34마리로 추산되었다. 남아있는 영상물은 존 L. 신콕이 1970년대에 슈퍼 8mm 필름에 기록하였고, 노래 녹음도 해롤드 더글라스 프랫 주니어 등 동료들과 함께 만들어졌다.[26] 1981년에 카우아이오오 한 쌍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10년 정도 되는 사이 이와 및 이니키 허리케인이 상륙하였고 그 여파로 많은 수목공동이 있는 고목들 중 상당수가 파괴되었고, 허리케인 이니키의 상륙으로 인해 나무 성장은 저해되었다. 결국 종은 사라지게 되었다. 허리케인 이와로 인해 마지막 암컷이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 수컷은 1985년 목격되었고, 데이비드 보인턴이 마지막으로 음성을 녹음하였다.[27][28] 1989년 탐사의 실패 및 1992년 허리케인 이니키 이후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종의 멸종을 선언하였다. 하지만 이미 1940년 멸종 선언 후 1960년 재발견, 그리고 1960년대 후반 멸종 선언 후 존 신콕의 1970년대 초반의 재발견 등, 멸종 선언이 이미 두 번 있었던 점을 들어 몇몇은 종이 추가로 살아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믿고 있다.[29] 하지만 크고 독특한 소리를 가졌음에도 1989년에서 2000년 사이의 조사들에는 카우아이오오의 소리는 포착되지 않았다. 2021년,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은 이 종의 멸종을 선언할 것을 제안했다. 2023년 10월, 이 종은 멸종으로 선언되었고, 멸종 위기종 법에서 삭제되었다.[2]

4. 2. 멸종 과정

카우아이오오는 카우아이섬 깊은 산림에 둥지를 트는 새였다. 하와이오오, 비숍 오오, 오하우오오 등 다른 친척 새들도 모두 멸종되었다. 현재 이 멸종된 새들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다. 멸종 원인으로는 모기 등에 의한 전염병, 각종 포유류 천적의 등장, 그리고 밀림 제거 등이 있다.[25] 모기로 인해 새들은 알래스카이 야생 보호 구역 근처 숲 등 더 높은 지대로 피신하였지만,[25] 고지대 산림은 나무 구멍이 적어 둥지를 짓기에 부적합하였다. 1960년대 초반에는 약 34마리가 생존했던 것으로 추산된다. 1970년대에 존 L. 신콕이 슈퍼 8mm 필름에 영상을 기록하였고, 해롤드 더글라스 프랫 주니어 등 동료들과 함께 노래 녹음도 제작되었다.[26] 1981년에는 카우아이오오 한 쌍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10년 정도 되는 사이에 이와 및 이니키 허리케인이 상륙하였고, 그 여파로 나무 구멍이 많은 고목들 중 상당수가 파괴되었으며, 허리케인 이니키의 상륙으로 인해 나무 성장이 저해되었다. 결국 카우아이오오는 사라지게 되었다. 허리케인 이와로 인해 마지막 암컷이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 수컷은 1985년에 목격되었고, 1987년 데이비드 보인턴이 마지막으로 음성을 녹음하였다.[27][28] 1989년 탐사가 실패하고 1992년 허리케인 이니키가 상륙한 이후,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2000년에 카우아이오오의 멸종을 선언하였다. 하지만 1940년 멸종 선언 후 1960년 재발견, 1960년대 후반 멸종 선언 후 1970년대 초반 존 신콕의 재발견 등 이미 두 번의 멸종 선언이 있었던 점을 들어 일부에서는 카우아이오오가 여전히 살아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믿고 있다.[29] 그러나 크고 독특한 소리를 가졌음에도 1989년에서 2000년 사이의 조사들에서는 카우아이오오의 소리가 포착되지 않았다.

참조

[1] 간행물 'Moho braccatus' 2016
[2] 웹사이트 Fish and Wildlife Service Delists 21 Species from the Endangered Species Act due to Extinction https://www.fws.gov/[...] 2023-10-16
[3] 논문 Notices of some new and little known Birds in the collection of the U. S. Exploring Expedition in the Vincennes and Peacock, and in the collection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https://www.biodiver[...] 1855
[4] 논문 Contribution to the ornithology of the Hawaiian Islands https://www.biodiver[...] 1944
[5] 논문 Nomenclatural Notes https://www.biodiver[...] 1925-04-25
[6] 서적 Aves Hawaiienses: The Birds of the Sandwich Islands R. H. Porter 1890-12
[7] 논문 Convergent evolution of Hawaiian and Australo-Pacific honeyeaters from distant songbird ancestors 2008-12-23
[8] 웹사이트 Kauai Oo - Introduction {{!}} Birds of North America Online https://birdsna.org/[...] 2019-11-14
[9] 서적 The Birds of Kauaʻi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1999
[10]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 2019-12-24
[11] 웹사이트 ML: Macaulay Library https://www3.macaula[...] 2020-02-20
[12] 웹사이트 Kauai Oo Moho braccatus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20-12-20
[13] 웹사이트 The Extinction of the Kauai ʻōʻō https://www.islandco[...] 2019-11-14
[14] 웹사이트 Recording Of The Last Kauai 'o'o Bird https://archive.org/[...] 2023-11-04
[15] 논문 Bird Believed Extinct Is Sighted in Hawaii https://scholarworks[...] 1972-01
[16] 간행물 'Moho braccatus' 2016
[17] 웹인용 Endangered and Threatened Wildlife and Plants; Removal of 23 Extinct Species From the Lists of Endangered and Threatened Wildlife and Plants https://www.regulati[...] 2022-06-13
[18] 논문 Notices of some new and little known Birds in the collection of the U. S. Exploring Expedition in the Vincennes and Peacock, and in the collection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https://www.biodiver[...] 1855
[19] 논문 Contribution to the ornithology of the Hawaiian Islands https://www.biodiver[...] 1944
[20] 논문 Nomenclatural Notes https://www.biodiver[...] 1925-04-25
[21] 서적 Aves Hawaiienses: The Birds of the Sandwich Islands R. H. Porter 1890-12
[22] 논문 Convergent evolution of Hawaiian and Australo-Pacific honeyeaters from distant songbird ancestors 2008-12-23
[23] 웹인용 Kauai Oo - Introduction {{!}} Birds of North America Online https://birdsna.org/[...] 2019-11-14
[24] 서적 The Birds of Kauaʻi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25] 웹인용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 2019-12-24
[26] 웹인용 ML: Macaulay Library https://www3.macaula[...] 2020-02-20
[27] 웹인용 Kauai Oo Moho braccatus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20-12-20
[28] 웹인용 The Extinction of the Kauai ʻōʻō https://www.islandco[...] 2019-11-14
[29] 논문 Bird Believed Extinct Is Sighted in Hawaii https://scholarwor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