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하와이 섬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1778년 제임스 쿡 선원에 의해 처음 영어로 기록되었으며, 1820년 미국 선교사들에 의해 표준 철자법이 만들어졌다. 하와이어는 로마자를 사용하며, 5개의 모음과 8개의 자음으로 구성된다. 하와이어는 VSO 어순의 고립어이며, 다양한 불변화사를 통해 시제, 상, 법을 나타낸다. 하와이어는 자연과 관련된 풍부한 어휘를 가지고 있으며, 훌라, 하와이 음악 등 하와이 문화와 관련된 단어들이 널리 사용된다. 1896년 영어 사용 의무화로 쇠퇴했으나, 1970년대 하와이 르네상스 이후 부흥 운동을 통해 교육 및 문화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와이어 - 오키나 (글자)
오키나는 폴리네시아 언어에서 성문 파열음이나 모음 사이 쉼표를 나타내는 글자로, 하와이어에서는 ʻokina로 불리며 언어 발음 구분에 중요하고, 유니코드 U+02BB로 표현된다. - 하와이어 - 하와이어 문법
하와이어 문법은 VSO형 어순을 따르는 고립어이며, 동사는 굴절되지 않고 불변화사를 사용하여 시제, 상, 법을 나타내고, 전치사로 명사의 격을 나타내는 주격-대격 언어이다. - 분석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분석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폴리네시아어군 - 마오리어
마오리어는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언어로, 뉴질랜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고, 영어의 영향으로 쇠퇴했으나 부흥 운동을 통해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뉴질랜드 문화적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폴리네시아어군 - 라파누이어
라파누이어는 이스터 섬에서 사용되는 동폴리네시아어군 언어로, 마르키즈어와 형태가 유사하고 마오리어와 음운이 유사하며, 타히티어 피진과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 및 문법 변화를 겪었고, 삼단계 지시사 체계와 이중 부정, 합성어, 양도 가능/불가능 소유 구분 등의 특징을 지닌다.
하와이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하와이어 |
원어 이름 | ʻŌlelo Hawaiʻi |
로마자 표기 | 'Ōlelo Hawai'i |
지역 | 하와이 제도 |
사용 민족 | 하와이 원주민 |
모국어 화자 수 | 약 300명 |
제2언어 화자 수 | 22,000–24,000명 |
가정 내 사용자 수 | 18,000명 |
사용 시기 | 2007년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오세아니아어군 |
어계 | 폴리네시아어군 |
분파 | 동폴리네시아어군 |
세부 분파 | 마르키즈어군 |
조상 언어 |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
조상 어파 |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 |
조상 어군 | 원시 오세아니아어 |
조상 어계 | 원시 중앙 태평양어 |
조상 분파 | 원시 폴리네시아어 |
문자 | 라틴 문자 (하와이 문자) |
수화 | 하와이 점자 |
국가 | 미국 하와이주 |
지도 상태 | }} |
ISO 639-2 | haw |
ISO 639-3 | haw |
Lingua 코드 | 39-CAQ-e |
Glottolog | hawa1245 |
Glottolog 참조 | Hawaiian |
방언 | 표준 하와이어 니이하우 방언 기타 방언 |
기본 정보 | |
언어명(하와이어) | Ōlelo Hawaii |
기타 정보 | |
언어 상태 | 심각 |
사용 현황 | 하와이 원주민, 특히 니이하우섬에서 주로 사용됨. 학교, 미디어, 공공 생활에서의 사용은 제한적. |
관련 자료 | |
하와이 헌법 | https://www.capitol.hawaii.gov/hrscurrent/Vol01_Ch0001-0042F/05-Const/CONST_0015-0004.htm에 따라 하와이어는 영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됨. |
1840년 헌법 | https://manoa.hawaii.edu/punawaiola/2018/10/09/okatoba-8-kumukanawai-o-ka-makahiki-1840/에서 하와이어 사용을 명시. |
하와이어 금지 사과 | 학교에서 하와이어 사용 금지에 대한 공식 사과 진행. https://www.hawaiinewsnow.com/2022/04/28/lawmakers-adopt-resolution-apologizing-ban-hawaiian-language-schools/ |
1897년 하와이 합병 반대 청원서 | https://www.archives.gov/education/lessons/hawaii-petition/는 하와이 원주민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 |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지도 | http://www.unesco.org/languages-atlas/index.php에서 하와이어를 위급 언어로 분류. |
하와이 언어 사용 현황 | https://exclusivehawaiirehab.com/blog/languages-spoken-in-hawaii/ 관련 정보 제공. |
언어 표준화 | http://www.unesco.org/languages-atlas/index.php 참고 |
표준어 대 방언 문제 | https://www.jstor.org/stable/3584728 |
2. 이름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인 하와이 (하와이어로 ''Hawaiihaw'')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 섬 이름은 1778년 영국 탐험가 제임스 쿡과 그의 선원들에 의해 처음으로 영어로 기록되었는데, "Owhyhee" 또는 "Owhyee"라고 표기했다.[16] 1781년 Tobias Conrad Lotterde가 새긴 샌드위치 제도의 첫 번째 지도에는 "Oh-Why-hee"라고 적혀 있다.[16] 탐험가 모티머(1791년)와 오토 폰 코체부(1821년)도 같은 철자를 사용했다.[17]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인 하와이 (하와이어로 ''Hawaiihaw'')에서 유래했다. 1778년 영국 탐험가 제임스 쿡과 그의 선원들은 이 섬 이름을 "Owhyhee" 또는 "Owhyee"라고 기록했다. 1781년 샌드위치 제도의 첫 번째 지도에는 "Oh-Why-hee"라고 적혀 있었다.[16]
"Oh-Why-hee"라는 이름의 첫 "O"는 하와이어가 고유 명사 앞에 ''o''라는 보어 형태를 사용하여 독특한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을 반영한다.[18] 따라서 하와이어로 섬의 이름은 ''O Hawai''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이것]이 하와이이"라는 뜻이다.[19] 쿡 탐험대는 "Tahiti"가 아닌 "Otaheite"라고도 표기했다.[20]
이름에 있는 "why"라는 철자는 18세기 영어에서 ''wh''의 발음을 반영한다 (아직 일부 지역에서 사용됨).[21] ''Why''는 로 발음되었다. 이름에 있는 "hee" 또는 "ee"라는 철자는 또는 소리를 나타낸다.[21]
부분들을 합치면, ''O-why-(h)ee''는 를 반영하는데, 이는 원어 발음 의 근사치이다.
하와이이로 향하는 미국의 선교사들은 1819년 10월 출발 전 보스턴에서 그리고 하와이이로 가는 5개월간의 항해 중에 "Owhihe Language"와 "Owhyhee language"라는 문구를 사용했다.[22] 그들은 1822년 3월까지도 그러한 문구를 사용했다.[23] 그러나 1823년 7월까지는 "Hawaiian Language"라는 문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24]
하와이어로 이 언어는 형용사가 명사 뒤에 오기 때문에 ''i}}''라고 한다.[25]
3. 역사
"Oh-Why-hee"라는 이름의 첫 번째 "O"는 하와이어가 고유 명사 앞에 ''o''라는 보어 형태를 사용하여 독특한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을 반영한다.[18] 따라서 하와이어로 섬의 이름은 ''i}}''이며, "[이것]이 하와이"라는 뜻이다.[19] 이름에 있는 "why"라는 철자는 18세기 영어에서 ''wh''의 발음을 반영하며, 로 발음되었다.[21] "hee" 또는 "ee"는 또는 소리를 나타낸다.[21] ''O-why-(h)ee''는 를 반영하는데, 이는 원어 발음 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다.
미국의 선교사들은 1819년 10월 출발 전 보스턴에서, 그리고 하와이로 가는 항해 중에 "Owhihe Language"와 "Owhyhee language"라는 문구를 사용했다.[22] 1823년 7월부터는 "Hawaiian Language"라는 문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24]
하와이어로 이 언어는 ''i}}''라고 하며, 형용사가 명사 뒤에 온다.[25]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폴리네시아어이며, 사모아어, 마르케사스어, 타히티어, 마오리어, 라파누이어, 통가어 등 다른 폴리네시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27]
마르케사스인들이 기원후 약 300년경에 이 군도를 식민지화했고,[28] 그 뒤 소시에테 제도와 사모아-통가에서 여러 차례 이주가 있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의 언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하와이어가 되었다.[29] 하와이어는 동폴리네시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남마르케사스 제도와의 연관성이 강하고, 타히티와의 제2의 연관성은 하와이 제도와 소시에테 제도 사이의 항해로 설명될 수 있다.[30]
다른 모든 구어와 마찬가지로 하와이어는 원래 구전 언어였다. 하와이 원주민들은 이야기를 통해 종교, 전통, 역사 및 세계관을 전달했다. 이야기 전달 방식 중 하나는 훌라이며, 공동체의 상상력을 국가의 전설적인 과거와 생생하게 연결시켜 주었다.[37]
마셜 샐린스는 18세기에 하와이 민담이 서구 세계의 민담과 유사한 내용을 담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38] 그는 이것이 제임스 쿡 선장의 도착 시기가 마카히키 축제와 겹쳤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섬 주민들의 이야기는 마카히키 축제 기간에 신 로노(Lono)가 돌아올 것이라고 예언했다.[40]
3. 1. 문자 도입과 문어화
1778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유럽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하와이 제도와 최초 접촉을 기록하면서 하와이어 발전의 새로운 국면이 시작되었다.[32] 이후 40년 동안 스페인어(1789년), 러시아어(1804년), 프랑스어(1816년), 독일어(1816년) 등 다양한 언어의 소리가 탐험가들과 사업가들을 통해 하와이에 전해졌다.[32]
초기 탐험가와 상인들은 하와이 원주민 선원들을 고용하여 하와이어를 새로운 지역으로 가져갔다.[33] 오부키아(ia}})는 뉴잉글랜드로 항해하여 코네티컷주 콘월의 외국 선교 학교에서 학생이 되었고, 뉴잉글랜드 사람들에게 하와이 선교를 지원하도록 고무시켰으며, 1819년 하와이로 출발하기 전에 미국 선교사들에게 하와이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35]
1820년, 미국 뉴잉글랜드 출신의 개신교 선교사들이 하와이에 도착하여 족장들을 합동교회 계열의 개신교로 개종시켰고, 족장들은 다시 백성들을 개종시켰다. 선교사들은 하와이어로 성경을 번역하기 위해 쉽게 습득할 수 있는 표준 철자법을 만들어야 했다.
1834년, 선교사들은 최초의 하와이어 신문을 발행했다. 또한 하와이어 어휘집(1836),[41] 문법(1854),[42] 사전(1865)[43] 출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39년에 하와이어 성경이 완성되었고, 1840년 하와이 의회는 14세 미만 모든 어린이(여아 포함)에 대한 국가 지원 의무 교육을 명령했다. 이는 미국 어떤 주에서도 유사한 의무교육 법이 제정되기 12년 전이었다.[44]
하와이 국왕 칼라카우아는 세계 여행을 할 때 모국어를 가지고 갔다. 카피올라니 여왕과 릴리우오칼라니가 1887년 북미와 영국령 제도를 여행했을 때, 릴리우오칼라니의 작품 "알로하 오에haw"는 이미 미국에서 유명한 노래였다.[47]
1820년부터 1826년 사이에 미국 개신교 선교사들이 하와이어 표기법을 개발했다.[74] 1822년 1월 7일에 하와이에서 최초로 인쇄된 이 표기법은 현재의 자음(H, K, L, M, N, P, W) 외에 B, D, R, T, V를 포함했고, "외국어 철자"를 위해 F, G, S, Y, Z가 있었다. 초기 인쇄물에는 5개의 모음(A, E, I, O, U)과 7개의 짧은 이중모음(AE, AI, AO, AU, EI, EU, OU)이 표시되었다.[75]
1826년, 개발자들은 기능적으로 중복되는 음운 변이체("상호교체 가능한 문자")를 나타내는 일부 문자를 제거하여 하와이어 알파벳을 한 기호-한 음소(phoneme)에 가깝게 만들었다.[76]
삭제된 문자 | 유지된 문자 |
---|---|
B | P |
R, D | L |
T | K |
V | W |
3. 2. 하와이어 억압과 쇠퇴
하와이어의 쇠퇴는 하와이 왕국을 전복하고 하와이 여왕을 폐위시킨 쿠데타로 인해 가속화되었다. 이후 학교 교육에서 영어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61] 이 법은 1896년 하와이 공화국 법률 제57조 30항에 명시되어 있다.[48]이 법은 정부가 인정하는 "공립 및 사립" 학교에서 교육 언어로 영어를 사용하도록 규정했다. 하와이어 사용을 직접 금지하지는 않았지만, 학교에서 이 법을 시행하면서 큰 영향을 미쳤다. 영어 전용 학교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 법을 초기 교육 단계에서 하와이어를 없애는 수단으로 여겼다. 학교에서 하와이어를 사용한 아이들은 체벌을 받거나, 집에 하와이어 사용을 중단하도록 권고하는 방문을 받기도 했다.[49] 메리 카웨나 푸쿠이(Mary Kawena Pukui)는 1900년부터 하와이어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벌을 받았고,[50] 위노나 비머(Winona Beamer)는 1937년 하와이어 찬송을 불렀다는 이유로 카메하메하 학교에서 퇴학당했다.[51]
하와이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비공식적인 압력 외에도, 외국인 노동자와 그 자녀들이 계속 유입되면서 하와이 원주민들이 자신의 땅에서 소수 민족이 되어가는 상황도 하와이어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 1890년에는 순수 하와이 학생들이 전체 학생의 56%를 차지했지만, 1900년에는 32%, 1910년에는 16.9%로 감소했다.[52] 또한, 하와이 원주민과 백인의 혼혈 자녀인 "혼혈 하와이인"의 수도 증가했는데,[52] 이러한 혼혈 가정에서는 하와이어의 낮은 지위 때문에 영어를 가족 언어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와이 원주민들은 대부분 도시나 시골에 흩어져 살면서 다른 민족 집단과 접촉했고, 니이하우섬을 제외하고는 하와이어를 지킬 수 있는 거점이 없었다. 순수 하와이인 아이들조차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급우들과 매일 영어로 대화해야 했고, 영어는 학교 밖에서도 친구, 이웃과의 소통에 필요한 공용어가 되었다.
이러한 언어 억압으로 인해 하와이어는 심각한 소멸 위기 언어로 간주된다. 1900년경 약 3만 7천 명이었던 하와이어 사용자 수는 2000년대 초 약 1천 명으로 감소했다. 현재 하와이 제도 대부분 지역에서 하와이어는 영어로 대체되었고, 일상 대화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예외적으로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하와이어를 일상 대화에서 사용하지만, 이 섬은 사유지이며 외부 방문이 엄격하게 제한된다.
3. 3. 하와이어 부흥 운동
1820년, 미국 뉴잉글랜드 출신의 개신교 선교사들이 하와이에 도착하여 족장들을 합동교회 계열의 개신교로 개종시켰다. 선교사들은 하와이어로 성경을 번역하고, 표준 철자법을 만들었다. 1834년에는 최초의 하와이어 신문이 발행되었고, 선교사들은 하와이어 어휘집(1836),[41] 문법(1854),[42] 사전(1865)[43] 출판에도 기여했다. 1839년에는 하와이어 성경이 완성되었다. 1840년 하와이 의회는 14세 미만 모든 어린이(여아 포함)에 대한 국가 지원 의무 교육을 명령했다.[44]1842년에는 1819년 이후 출생자는 결혼을 위해 문해력이 있어야 한다는 법이 제정되었다. 1853년 공교육 장관 리처드 암스트롱은 성인 인구의 75%가 읽을 수 있다고 보고했다.[45] 1881년경 하와이어 사용이 정점에 달했지만, 1854년부터 멸종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다.[46]
다비드 칼라카우아 국왕은 세계 여행 때 모국어를 사용했고, 그의 여동생 릴리우오칼라니의 알로하 오에haw는 미국에서 유명한 노래였다.[47]
하와이 왕국이 전복된 후, 1896년 하와이 공화국 법률 제57조 30항에 따라 학교 교육의 주요 언어로 영어가 의무화되었다.[61] 이 법은 학교에서 하와이어 사용을 금지하지는 않았지만, 하와이어를 사용하는 아이들은 체벌을 받거나 가정 방문을 통해 하와이어 사용 중단을 권고받았다.[49] 메리 카웨나 푸쿠이는 하와이어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벌을 받았고,[50] 위노나 비머는 하와이어 찬송을 불렀다는 이유로 학교에서 퇴학당했다.[51]
외국 노동자와 자녀들의 유입으로 하와이 원주민들은 소수 민족이 되었다. 1890년 순수 하와이 학생 비율은 56%였으나, 1910년에는 16.9%로 감소했다.[52] 혼혈 가정에서는 영어가 가족 언어로 채택되었고, 하와이 원주민들은 도시나 시골에 흩어져 살면서 다른 민족과 접촉했다. 한 세대 만에 영어가 모든 아이들의 주요 언어가 되었다.
1949년, 메리 푸쿠이와 새뮤얼 엘버트는 하와이어 사전을 개정했다.[53] 1957년에 출판된 사전은 하와이어와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에 기여했다.
1970년대 하와이 르네상스 이후 하와이어 부흥 운동이 일어났다.[54] 1983년 설립된 ʻAha Pūnana Leo("언어 둥지")는 1984년 첫 센터를 열었다.[55]
최근 하와이어 "몰입" 학교가 개교하고,[56] 아하 푸나나 레오의 하와이어 유아학교는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57] 전국 공영 라디오는 "오늘의 하와이어 단어" 코너와 하와이어 뉴스 방송을 제공한다. 호놀룰루의 KGMB 방송국은 ''아하이 올레로 올라''를 방영했고,[58] ''호놀룰루 스타-애드버타이저''는 ''카우아쿠칼라할레''를 게재한다.[59]
1997년 하와이 원어민 화자 수는 주 전체 인구의 0.1% 미만이었지만, 2011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2만 4천 명 중 2천 명으로 증가했다. 니이하우에서는 하와이어가 거의 독점적으로 사용된다.[60][61][62]
하와이어 교육 시스템은 공립, 사립, 공립 차터 스쿨(charter school)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K-6학년 학교는 교육부와 차터 스쿨의 공동 관리 아래 운영되며, 유치원-12학년 실험학교 시스템은 교육부, 아하 푸나나 레오(ʻAha Pūnana Leo) 및 차터 스쿨의 관리를 받는다. 졸업생의 80% 이상이 대학에 진학한다.[65] 하와이어는 현재 교육부 언어 교육과정에서 공인된 과목이지만, 모든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은 아니다.[15]
하와이어 몰입 교육 학교는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 전 과정을 하와이어로 진행하는 학교와, 7학년부터 12학년까지 일부 과목만 하와이어로 진행하는 부분 몰입 교육 학교가 있다.[66] 하와이어 몰입 교육 학교는 문장을 "페페케(pepeke)"(하와이어로 오징어)를 모델로 삼아 하와이어의 형태와 구조를 가르친다.[67] 페페케는 오징어의 몸통을 비유적으로 사용하여 문장 구조를 나타낸다. 즉, 머리(poʻo)는 서술어, 몸통과 다리의 연결 부위(piko)는 주어, 그리고 다리(ʻawe)는 목적어를 나타낸다.[68] 하와이어 몰입 교육 학교는 주 정부의 교육 기준을 준수하면서 하와이 문화와 가치관을 강조하는 내용을 가르친다. 하와이에 몰입 교육 학교가 존재함으로써 가정 내에서 하와이어를 전승할 기회가 생겨났다.[69]
현재 하와이어는 소멸 위기 언어이다. 하와이 제도 대부분 지역에서는 영어로 대체되었고, 일상 대화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예외적으로 니이하우섬에서는 아직도 일상 대화에 하와이어를 사용한다.
하와이어 사용자 수는 1900년경 약 3만 7천 명에서 2000년대 초 약 1천 명으로 감소했다. 현재 살아있는 하와이어 모어 사용자의 절반은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태어난 세대이다.
전통있는 하와이어를 부흥시키려는 하와이 원주민들의 노력은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으로, 1990년대 중반부터 활발해지고 있다. 하와이어를 다음 세대에 물려주고자 하는 가족들의 아이들을 위해, 현재 하와이어 몰입 교육( 이머전 교육 )을 실시하는 “카메하메하 스쿨”이 개교하였다.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의 하와이 공영 라디오(Hawaii Public Radio)는 “오늘의 하와이어”(Hawaiian word of the day)라는 프로그램을 매일 방송하고 있다.
원주민계 하와이인들은 제2언어로 하와이어를 배우고 있지만, 모델이 될 모어 화자가 부족하고, 하와이어 철자도 영어 음가를 기반으로 표기되며 영어 어순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하와이어는 하와이주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1970년대 시민권 운동이 활발해지던 무렵부터, 일본인·하와이인 혼혈인 래리 키무라가 힘쓴 하와이어 유아 교육 푸우나나 레오와 초·중등 교육기관에서 하와이어만으로 수업하는 카이아푸니 스쿨(Kaiapuni school)이 생겨났다.[120][121] 하와이섬 히로에는 “나바히 학교”(Nāwahī School)도 생겨나,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600명을 하와이어로 교육하고 있다.[122] 하와이대학교 히로캠퍼스의 하와이어 학부(Ka Haka ʻUla O Keʻelikōlani)도 개설되었다.
4. 현재 상황
1970년대 하와이 르네상스 이후 하와이어 부흥과 하와이 문화는 주요 부흥기를 맞았다.[54] 1983년에 설립된 ʻAha Pūnana Leo(하와이어로 "언어 둥지")는 1984년 첫 센터를 열었다. 이는 하와이 원주민 원로들이 매일 아이들에게 하와이어로 말하는 것을 권장하는 민간 자금 지원 하와이 유아 교육 프로그램이었다.[55]
최근 수십 년 동안 하와이어 장려 노력이 증가했다. 하와이어 "몰입" 학교는 미래 세대를 위해 하와이어를 다시 도입하기를 원하는 가정의 아이들에게 문을 열고 있다.[56] 아하 푸나나 레오의 하와이어 유아학교는 힐로에 있으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57] 현지 전국 공영 라디오 방송국에서는 "오늘의 하와이어 단어"라는 짧은 코너와 하와이어 뉴스 방송을 제공한다. 호놀룰루의 KGMB 방송국은 2010년까지 매주 하와이어 프로그램인 ''아하이 올레로 올라''를 방영했다.[58] 또한 하와이에서 가장 큰 신문인 ''호놀룰루 스타-애드버타이저''의 일요일판에는 교사, 학생 및 지역 주민들이 하와이어로 작성한 짧은 기사인 ''카우아쿠칼라할레''가 실린다.[59]
카우아이 남서쪽 해안에 위치한 고립된 섬 니이하우는 하와이어(보다 구체적으로는 니이하우 방언으로 알려진 하와이어의 지역 방언)가 여전히 일상 언어로 사용되는 유일한 섬이다.[60] 에서는 "[하와이어 방언의 변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니이하우 방언이 가장 변칙적이며 가장 연구가 필요한 방언"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특히 하와이어 대학(히로 대학교 소속)에서 교육받은 사람들과 같이, 니이하우에서 하와이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사람들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했다. 대학에서는 하와이어 어휘 편찬 위원회(Kōmike Huaʻōlelo Houhaw)를 후원하여 "컴퓨터"나 "휴대전화"와 같이 역사적으로 하와이어에 존재하지 않았던 개념에 대한 단어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단어는 일반적으로 니이하우 방언에는 통합되지 않으며, 니이하우 방언은 종종 자체적으로 단어를 만들어낸다.[64]
하와이어 교육 시스템은 공립, 사립, 그리고 공립 차터 스쿨(charter school)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K-6학년 학교는 교육부와 차터 스쿨의 공동 관리 아래 운영되며, 유치원-12학년 실험학교 시스템은 교육부, 아하 푸나나 레오(ʻAha Pūnana Leo) 및 차터 스쿨의 관리를 받는다. 이러한 실험학교 졸업생의 80% 이상이 대학에 진학하며, 그중 일부는 아이비리그 대학교를 포함한다.[65] 하와이어는 현재 교육부 언어 교육과정에서 공인된 과목이지만, 모든 학교에서 하와이어를 가르치는 것은 아니다.[15]
하와이어 몰입 교육 학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 전 과정을 하와이어로 진행하는 학교와, 7학년부터 12학년까지 일부 과목만 하와이어로 진행하고 나머지는 영어로 진행하는 부분 몰입 교육 학교가 있다.[66]
4. 1. 과제와 전망
하와이 왕국을 전복하고 기존 하와이 여왕을 폐위시킨 쿠데타는 하와이어 쇠퇴를 가속화했다. 이후 학교 교육의 주요 언어로 영어를 의무화하는 법이 제정되었다.[61] 1896년 하와이 공화국 법률 제57조 30항은 "영어는 모든 공립 및 사립학교에서 교육의 매체이자 기반이 된다"고 명시하며, 영어 외 다른 언어를 가르치는 것은 부서의 승인을 받도록 규정했다.[48]이 법은 정부가 인정하는 학교에서 영어를 교육 매체로 확립했지만, 다른 맥락에서 하와이어를 금지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이 법 시행은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영어 전용 학교를 추진해 온 사람들은 이 법을 초기 교육 수준에서 토착어를 없애는 허가로 받아들였다. 학교에서 하와이어를 사용한 아이들은 징계를 받았으며, 여기에는 체벌과 가정 방문을 통한 하와이어 사용 중단 권고가 포함되었다.[49] 메리 카웨나 푸쿠이는 하와이어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벌을 받았고,[50] 위노나 비머는 하와이어 찬송을 불렀다는 이유로 카메하메하 스쿨에서 퇴학당했다.[51]
그러나 하와이어를 버리도록 하는 비공식적인 강압만으로는 효과가 없었을 것이다. 외국 노동자와 그 자녀들의 유입으로 토착 하와이 원주민들이 소수 민족이 되어가고 있었다. 1890년 순수 하와이 학생들은 학생 등록의 56%를 차지했지만, 1900년에는 32%, 1910년에는 16.9%로 감소했다.[52] 혼혈 가정에서는 하와이어의 낮은 위상으로 인해 영어가 가족 언어로 채택되었다.
대부분의 하와이 원주민 원로들이 사용하는 하와이어와 교육기관에서 가르치는 하와이어("대학 하와이어") 사이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 "대학 하와이어"는 원로들이 사용하는 언어와 매우 달라서, 하와이 원주민 아이들은 집에서 하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부끄러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언어의 영역이 학계로 제한될 수 있다.[70]
현재 하와이어는 소멸 위기 언어이다. 하와이 제도 대부분 지역에서는 영어로 대체되었고, 니이하우섬을 제외하면 일상 대화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하와이어 사용자 수는 1900년경 약 3만 7천 명에서 2000년대 초 약 1천 명으로 감소했다.
하와이 원주민들의 전통있는 하와이어를 부흥시키려는 노력은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으로, 1990년대 중반부터 활발해지고 있다. 하와이어 몰입 교육(이머전 교육)을 실시하는 “카메하메하 스쿨”이 개교하였고,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의 하와이 공영 라디오는 “오늘의 하와이어” 프로그램을 매일 방송하고 있다.
모델이 될 모어 화자가 부족하고, 하와이어 철자도 영어 음가를 기반으로 표기되며 영어 어순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 그리고 19세기 초 순수한 하와이어를 부활시키려는 사람들과, 영어 및 혼성어와 100년 이상의 접촉을 통해 형성된 하와이어로 성장한 사람들 사이의 긴장 관계도 보인다.
현재 하와이어는 하와이주의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 1970년대 시민권 운동이 활발해지던 무렵부터, 일본인·하와이인 혼혈인 래리 키무라가 힘쓴 하와이어 유아 교육 푸우나나 레오와 초·중등 교육기관에서 하와이어만으로 수업하는 카이아푸니 스쿨이 생겨났다.[120][121] 하와이섬 히로에는 “나바히 학교”도 생겨나,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600명을 하와이어로 교육하고 있으며,[122] 하와이대학교 히로캠퍼스의 하와이어 학부도 개설되었다.
5. 문자 및 표기법
서양과 접촉하기 전, 하와이어에는 문자가 없었다. 오늘날 하와이어는 로마자를 기반으로 하는 현대 하와이 알파벳, ''ka pīʻāpā Hawaiʻi''를 사용하여 표기한다.[127] 하와이어 문자에는 5개의 모음 글자와 8개의 자음 글자가 있으며, 한 글자가 한 음소에 대응한다. 글자 순서는 모음이 자음보다 먼저 오며, 다음 표와 같다.[123]
하와이어 단어는 모음으로만 끝나며,[72] 모든 자음 뒤에는 모음이 온다.
이 표기법은 1820년부터 1826년 사이에 미국 개신교 선교사들에 의해 개발되었다.[74] 1822년 1월 7일, 하와이에서 최초로 인쇄된 이 표기법에는 현재의 자음(H, K, L, M, N, P, W) 외에 B, D, R, T, V가 포함되었고, "외국어 철자"를 위해 F, G, S, Y, Z가 있었다. 초기 인쇄물에는 5개의 모음(A, E, I, O, U)과 7개의 짧은 이중모음(AE, AI, AO, AU, EI, EU, OU)이 표시되었다.[75]
1826년, 개발자들은 사람들이 하와이어 읽기와 쓰기를 더 쉽게 배울 수 있도록 기능적으로 중복되는 음운 변이체(allophone)("상호교체 가능한 문자"라고 함)를 나타내는 일부 문자를 제거하여, 하와이어 알파벳이 한 기호-한 음소(phoneme)의 이상적인 상태에 가깝게 만들었다.[76]
- 상호교체 가능한 B/P: B는 삭제되고 P는 유지되었다.
- 상호교체 가능한 L/R: R과 D는 삭제되고 L은 유지되었다.
- 상호교체 가능한 K/T: T는 삭제되고 K는 유지되었다.
- 상호교체 가능한 V/W: V는 삭제되고 W는 유지되었다.
하지만 수백 개의 단어가 영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라틴어 및 시리아어에서 하와이어로 빠르게 차용되었다.[77][78][79] 이러한 차용어는 반드시 하와이식으로(Hawaiianize) 변형되었지만, 출판된 형태에서는 종종 "하와이어가 아닌 문자"를 일부 유지했다. 예를 들어, 브라질(Brazil)은 완전히 하와이식으로 변형되면 Palakila이지만, "외국어 문자"를 유지하면 Barazila이다.[80] 또 다른 예로 지브롤터(Gibraltar)는 Kipalaleka 또는 Gibaraleta로 표기된다.[81] 와 는 하와이어 음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 , 는 원래 알파벳에 표현되어 있었으므로, 후자에 대한 문자(b, r, t)는 1826년 이후 출판물에서 외래어 단어를 표시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진정으로 "하와이어가 아닌" 또는 "외국어" 문자가 아니다.
1834년, 현지인들과 함께 일하는 선교사들이 최초의 하와이어 신문을 발행했다. 선교사들은 또한 하와이어 어휘집(1836),[41] 문법(1854),[42] 사전(1865)[43] 출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와이어 성경은 1839년에 완성되었고, 그 당시 선교부는 학교 네트워크가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기 때문에, 1840년 하와이 정부에 학교를 넘겨줄 때 하와이 의회는 미국 어떤 주에서도 유사한 의무교육 법이 제정되기 12년 전인 14세 미만의 모든 어린이(여아 포함)에 대한 국가 지원 의무 교육을 명령했다.[44]
하와이어는 언어 유형론에서 “마찰음이 하나밖에 없는 언어에서는 그 마찰음은 [s]이다”라는 설의 반증이기도 하다(하와이어 유일의 마찰음은 [h]이다).
현대 하와이어 표기법에서는 라틴 문자 외에 악센트 기호로 오키나(성문 폐쇄음 기호, ʻokinahaw)와 마크론(장음 기호, kahakōhaw)을 추가한다.
5. 1. 오키나(ʻOkina)
'''오키나'''(ʻokinahaw)는 하와이어에서 성문 파열음을 나타내는 글자로서, 뒤집어진 쉼표나 왼쪽 홑따옴표처럼 생겼다. 유니코드 문자 (U+02BB)로 쓰는 것이 표준이지만, 실제로는 입력하기 편한 아포스트로피(')나 억음 부호(`) 등으로 쓰는 경우도 많다.[127]ʻOkina (ʻokihaw '자르다' + -nahaw '-하는 것')는 성문 폐쇄음을 나타내는 기호(문자)에 대한 현대 하와이어 명칭이다.[82] 이전에는 u("뚝" 또는 "탁")으로 알려져 있었다.[83][84]
의 예로 하와이어 단어 ''Hawai''와 ''O'' (영어 철자에서는 종종 ''Hawaii''와 ''Oahu''로 간략화됨)를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와이어에서 이 단어들은 와 로 발음되며, 성문 폐쇄음이 발음되는 위치에 를 사용하여 표기한다.[85][86]
는 전자적 사용을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작성된다.
- 쉼표를 뒤집은 모양: '''''' (유니코드 16진수 값 02BB, 10진수 699). 일부 글꼴에서는 지원되지 않으므로 항상 올바른 모양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 여는 작은따옴표 (왼쪽 작은따옴표): '''‘''' (유니코드 16진수 값 2018, 10진수 8216). 많은 글꼴에서 이 문자는 왼쪽으로 기울어진 작은따옴표 또는 아래쪽이 위쪽보다 두꺼운 따옴표처럼 보인다. 타임스 뉴 로만과 같은 보다 전통적인 세리프 글꼴에서는 원 안에 검은색으로 채워진 아주 작은 "6"처럼 보일 수 있다. ('''‘''')
를 쓰고 싶어하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특정 문자에 익숙하지 않거나 적절한 글꼴과 입력 및 표시 시스템에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더 익숙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문자로 작성하는 경우가 있다.
- ASCII 아포스트로피: ''''''' (유니코드 16진수 값 27, 10진수 39)[92] - 선교사 전통을 따른다.
- ASCII 억음 부호 (종종 "백쿼트" 또는 "백틱"이라고 함): '''`''' (유니코드 16진수 값 60, 10진수 96)[93]
- 오른쪽 작은따옴표 또는 "곱슬 아포스트로피": '''’''' (유니코드 16진수 값 2019, 10진수 8217)[94]
'''오키나'''는 하와이어 표기에 사용되는 아포스트로피와 비슷한 모양의 문자이다. 자음의 일종인 성문 폐쇄음 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하와이”, “오아후”의 원래 발음은 각각 [124], (IPA)이지만, 이것을 각각 Hawaiʻihaw, Oʻahuhaw처럼 표기한다.
유니코드 등에서는 공식적으로 “ʻhaw”(U+02BB)를 사용하지만, 대응하지 않는 글꼴이나 웹 브라우저에서는 제대로 표시되지 않으므로, 작은따옴표 왼쪽 여는 괄호 “‘”(U+2018)가 타협안이다. 억음 부호 “`” (U+0060)나 아래가 굵은 따옴표를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5. 2. 카하코(Kahakō)
하와이어에서 모음 글자 위에 매크론을 붙여 장모음을 나타내는 것을 카하코(kahakō)라고 한다. 장모음은 Ā ā, Ē ē, Ī ī, Ō ō, Ū ū처럼 쓰며 보다 길게 발음한다.[95]카하코는 '카하'(kaha, '표시')와 '코'(ko, '긴')가 합쳐진 말이다.[95] 이전에는 매크론(macron)을 하와이식으로 표기한 '메코나'로 알려져 있었다. 카하코는 모음 위에 하이픈이나 대시처럼 생긴 구분 부호로, ā ē ī ō ū 및 Ā Ē Ī Ō Ū 와 같이 사용된다. 이 기호는 표시된 모음이 "이중", "축약" 또는 "장모음"임을 나타낸다.[96]
1821년 초, 히람 빙엄 선교사는 하와이어 모음을 필사하면서 마크론을 사용했다.[97] 선교사들은 보스턴의 후원자에게 마크론이 있는 모음을 포함한 활자체(폰트)를 보내달라고 요청했지만, 후원자는 잘못된 크기의 폰트를 보내는 바람에 ā, ē, ī, ō, ū를 원하는 크기로 인쇄할 수 없었다.[91]
6. 음운론
하와이어는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음운 체계가 비교적 단순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와이어의 음절 구조는 (C)V이다. ''wū''를 제외한 모든 CV 구조의 음절이 나타난다.[136] ''wu''는 영어에서 차용한 단어 두 개에만 나타난다.[137][138] 단어 강세는 음절 수가 넷 이하인 단어에서는 예측 가능하지만 다섯 이상인 단어에서는 예측할 수 없다.[139] 하와이어에서는 자음의 구개음화와 탈락, 모음의 상승, 이중모음화, 탈락, 보상적 장음화 등 다양한 음운변동이 일어난다.[129][140]
잭 H. 워드(Jack H. Ward, 1962)의 연구에 따르면, 하와이어는 마르케사어와 41.2%, 타히티어와 37.5%, 사모아어와 25.5%, 통가어와 6.4%의 상호 이해도를 보였다.[31]
광범위한 동소이음으로 인해, 하와이어는 13개 이상의 음을 가지고 있다. 모음의 길이는 음소적이지만, 장모음이 항상 그렇게 발음되는 것은 아니다.[96] 하와이어의 강세 부여 규칙에 따르면 장모음은 항상 강세를 받는다.[98][99]
역사적으로 성문 폐쇄음은 *k*에서 발달했다. 모음 사이의 자음 음소의 소실은 하와이어 장모음과 이중모음을 만들었다.[112][113][114][115]
일반적으로 폴리네시아 언어의 음성 체계는 단순하다. 모음은 a, e, i, o, u의 5종류이며, 각각 장단 구별이 있다. 자음 음소의 수는 8~11개 정도이다. 음절 말에 자음이 오지 않으며, 이중 자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음절은 V 또는 CV의 형태뿐이다. 하와이어도 이러한 특징을 보인다.
표기 체계는 사모아어나 타히티어와 마찬가지로, 음소와 알파벳이 거의 완전히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 하와이어에 사용하는 알파벳(ka pīʻāpā Hawaiʻihaw ; 카피이아파 하와이이)은 13자이다.[123] 장모음은 마크론(하와이어: kahakōhaw ; 카하코)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이것들의 음가는 대체로 글자 그대로이지만, 애포스트로피와 비슷한 문자 "ʻhaw"는 오키나( ʻokinahaw)라고 불리는 성문 폐쇄음 이다. 장음에는 반드시 억양이 놓인다. 길이에 따라 모음의 음색이 바뀌지는 않는다.
음소의 적음으로 많은 이음이 허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는 전설 모음 앞에서 음으로 조음되는 경우가 많고, 가 에 가깝게 발음되는 경우도 많다. 하와이어는 마찰음이 하나밖에 없는 언어에서는 그 마찰음은 [s]라는 언어 유형론 가설에 대한 반증이 되기도 한다(하와이어 유일의 마찰음은 [h]이다).
6. 1. 자음
하와이어는 자음소의 수가 적기로 유명하며, 의 여덟 개뿐이다. 하와이어에서 와 ,[128][129][130][131] 와 ,[132] 그리고 (몇몇 방언에서) 과 이 변이음 관계에 있는 것은 특이한 일이다.[133] 세계적으로 – 간의 변이는 매우 드물다. 하와이어에서 이런 현상이 보이는 이유는 하와이어의 자음이 매우 적은데다, 과거의 *k가 로 변한 후 과거의 *t가 현재의 –로 변한 지 오래되지 않아서라고 생각된다. 몇몇 방언에서는 일부 단어의 가 여전히 로 남아 있다.이러한 변이는 대체로 자유롭지만 관여하는 요인이 없지는 않다. 이 으로 발음되는 경향은 ''Lānai'' (–)처럼 과 이 모두 있는 단어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그러나 "검다"는 뜻의 ''eleele'' 또는 ''eneene''의 예에서 보듯, 항상 그렇지는 않다. 어두에서는 거의 항상 변이음이 나타나고, 모음 앞에서는 가 더 흔하다. 모음 와 뒤에서는 가 일반적이고, 와 뒤에서는 가 일반적인데, 뒤나 어두에서는 와 가 자유변이한다.[134] 자음은 모음 앞에만 나타나므로 자음 둘이 붙어 있는 경우는 없고 음절은 항상 모음으로 끝난다.
6. 2. 모음
하와이어에는 단모음 다섯 개와 장모음 다섯 개 및 이중모음이 있다.
하와이어의 단모음은 로 다섯 개이다. 장모음을 단모음 둘이 붙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음소로 간주하면 마찬가지로 의 다섯 개이다. 단모음 와 가 강세를 받으면 각각 와 로 소리나고, 강세를 받지 않으면 와 로 소리난다고 한다. 그러나 Parker Jones (2017)는 힐로 출신의 어린 화자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a/가 로 약화되는 것을 관찰하지 못했다. 따라서 /a/가 실현되는 방식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135] 또 는 , , 또는 또다른 옆에서 로 소리나는 경향이 있다. ''Pele'' 와 같은 예가 있다. 어떤 불변화사는 단모음과 장모음 양쪽으로 실현되는데, 예를 들어 "-의"라는 뜻의 ''a''와 ''o'', "-에"라는 뜻의 ''ma'', "-를 위해"라는 뜻의 ''na''와 ''no'' 등이 있다. 후설 모음 또는 뒤에 후설이 아닌 모음 이 오면 그 사이에 가 삽입되며, 보통 철자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전설 모음 또는 뒤에 전설이 아닌 모음 이 오면 그 사이에 가 삽입되며 철자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로 끝남 | 로 끝남 | 로 끝남 | 로 끝남 | |
---|---|---|---|---|
로 시작 | align=center | | |||
로 시작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
로 시작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
로 시작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이중모음은 가 있으며 이는 모두 (어쩌면 를 제외하고) 하강 이중모음이다. 그러나 이들은 영어의 이중모음처럼 단단히 결합되어 있지는 않으며, 두 개의 모음이 연속된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135] (이렇게 연속된 모음 중 두 번째 것이 강세를 받는 경우도 있는데, 그럴 때는 이중모음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빠르게 말할 때 는 처럼, 는 처럼 발음되는 경향이 있어 및 와 구분이 흐려진다.
장모음 뒤에 모음이 오는 경우는 로 더 제한적이며 이 또한 이중모음으로 보기도 한다.
로 끝남 | 로 끝남 | 로 끝남 | 로 끝남 | |
---|---|---|---|---|
로 시작 | align=center | | |||
로 시작 | align=center | | |||
로 시작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align=center | |
7. 문법
하와이어는 VSO 어순의 고립어이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다른 여러 언어와 마찬가지로, 하와이어 대명사는 청자포함 1인칭과 청자배제 1인칭을 구별하며, 단수, 쌍수, 복수를 구분한다. 동사의 시제·상·법을 나타내기 위해 동사 앞뒤로 불변화사를 놓는다.
동사구 패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87]
- ''ua'' – 완료
- ''e'' ''ana'' – 미완료
- ''ke'' ''nei'' – 현재 진행
- ''e'' – 명령법
- ''mai'' – 부정 명령
- ''i'' – 목적
- ''ke'' – 부정사
명사는 관사로 표시될 수 있다.
- ''ka honu'' (거북이)
- ''nā honu'' (거북이들)
- ''ka hale'' (집)
- ''ke kanaka'' (사람)
''ka''와 ''ke''는 단수 정관사이다. ''ke''는 a-, e-, o- 및 k-로 시작하는 단어와 일부 ʻ- 및 p-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사용된다. ''ka''는 다른 모든 경우에 사용된다. ''nā''는 복수 정관사이다.
집단의 일부를 나타내려면 ''kekahi''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더 큰 부분을 나타내려면 ''mau''를 삽입하여 주어를 복수로 만든다.
예시:
- ''kekahi pipi'' (소들 중 하나)
- ''kekahi mau pipi'' (소들 중 일부)
관사는 ka, ke, nā, he, ʻo의 5가지 종류가 있다.
관사 종류 | 설명 |
---|---|
ke (정관사) | a, e, k, o로 시작하는 단수 보통명사 |
ka (정관사) | h, i, l, m, n, p, u, w, '로 시작하는 단수 보통명사 |
nā (정관사) | 복수 보통명사 |
he (부정관사) | 단수 보통명사 |
ʻo | 주격이 되는 고유명사 |
위 5가지 종류가 나오면 그 뒤에 이어지는 단어는 대부분 명사이다. 단, Ke에는 뒤에 동사가 이어져 "Ke + 동사 + nei + 주어" 형태를 취하여, 현재를 나타내는 "주어는 동사하고 있다"라는 구문이 되는 경우도 있다.
하와이어의 중복어는, 중복에 의해 단어의 의미나 품사가 바뀌는 등 문법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어 전체의 중복 예시:
- kila(높은 지위) → kilakila(위엄 있는)
- holo(달리다) → holoholo(산책하다)
- wai(물) → waiwai(유복한, 풍부한)
부분적인 중복 예시:
- mālama(주의하다) → mālamalama(지식의 빛)
- nahele(숲) → nāhelehele(잡초)
하와이어의 기본어순 원칙은 동사+주어이다.
- Hula(춤추다)+au(나)=나는 춤춘다.
- Inu(마시다)+ʻoe(너)=너는 마신다.
수식어의 어순은 수식받는 말+수식하는 말이다.
- 명사구: lei(레이)+nani(아름다운)=아름다운 레이
- 동사구: hula(춤추다)+leʻa(즐겁게)=즐겁게 춤추다
8. 어휘
하와이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폴리네시아어이다.[26] 사모아어, 마르케사스어, 타히티어, 마오리어, 라파누이어(이스터섬의 언어), 통가어 등 다른 폴리네시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27]
다른 모든 구어와 마찬가지로 하와이어는 원래 구전 언어였다. 하와이 원주민들은 세대를 거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를 통해 종교, 전통, 역사 및 세계관을 전달했다. 하와이 제도와 가장 흔히 연관되는 이야기 전달 방식 중 하나는 훌라이다. 내덜니얼 B. 에머슨(Nathaniel B. Emerson)은 "이것이 공동체의 상상력을 국가의 전설적인 과거와 생생하게 연결시켜 주었다"고 언급했다.[37]
하와이어에는 자연의 요소를 나타내는 수천 개의 단어가 있다. 하와이 전자 도서관(Hawaiian Electronic Library)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바람, 비, 바다의 부분, 산봉우리, 그리고 하늘의 형태에 대한 수천 개의 이름이 있으며, 이는 하와이 문화에서 자연 세계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Hoʻomalumalu"는 "피난처가 되는 구름"을 의미하고 "Hoʻoweliweli"는 "위협적인 구름"을 의미한다.[116]
하와이어는 훌라, 하와이 음악 등 하와이 고유의 문화와 관련하여, aa 용암, 파호이호이 용암, 키푸카 등의 학술 용어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 알로하
- 알로하 오에 - 하와이 왕국의 노래.
- 위키위키 - 위키피디아 등 위키의 어원이다.
- 우쿨렐레
- 훌라
- 호클레아 - 고대 폴리네시아에서 사용되던 목조선.
- 호로호로 - 산책 [125]
- 로미로미
- 호오포노포노
- 마할로 - 고맙습니다.

하와이에 사는 사람들은,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도 하와이어 어구를 자주 사용한다.
- 케이키(Keiki) - 아이. 예를 들어 사유 도로 표지판에서 “Keiki at Play” “아이들이 놀고 있습니다(아이들 출입주의)”
- 카네(Kane)과 와히네(Wahine) - 남성과 여성. 화장실 입구에서 이 단어들도 함께 표기되어 있다.
- 마카이(Makai) - 바다 쪽, 마우카(Mauka) - 산 쪽. 섬에 살고 있으므로 바다 쪽에 있는지, 산 쪽(내륙 쪽)에 있는지 항상 의식하고 있다.
- 오하나(ʻOhana) - 가족을 의미한다. 다만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 코쿠아(Kōkua) - 협력.
- 카마아이나(Kamaʻāina) - 하와이 현지인(하와이주의 운전면허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현지인에게 적용되는 할인 대상.
- 할레(Hale) - 집, 건물을 의미하며, 할레 호놀룰루 등.
- 라니(lani)[126] - 하늘, 천국을 의미한다. 할레쿨라니 등.
그 외, 하와이 제도 전역의 섬 이름과 그 각 섬의 지명 대부분은 하와이어이다. 과거에는 북서 하와이 제도의 각 섬에도 하와이어 이름이 있었다.
- Aloha. - 안녕하세요, 안녕히 가세요.
- Aloha kakahiaka. - 좋은 아침입니다.
- Aloha awakea. - 안녕하세요.
- Aloha ahiahi. - 좋은 저녁입니다.
- Maikaʻi. - 잘 지냅니다.
- Mahalo. - 감사합니다.
- Mahalo nui loa. - 정말 감사합니다.
- E komo mai. - 어서 오세요, 환영합니다.
- Mele Kalikimaka. - 메리 크리스마스.
- Hauʻoli makahiki hou.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Hauʻoli lā hānau. - 생일 축하합니다.
- Hauʻoli lā aloha. - 해피 발렌타인데이.
9. 하와이어 학습 자료
하와이 힐로 대학교(University of Hawaiʻi at Hilo)의 케에리코라니 하와이어 대학(Ka Haka ʻUla O Keʻelikōlani College of Hawaiian Language)은 하와이어로만 수업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하와이어 교육 학교의 교사와 교장을 위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한다.[70] 미국에서 원주민 언어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제공하는 유일한 대학이다.[70] 케에리코라니 하와이어 대학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힐로 모델"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여러 원주민 언어 부흥 프로그램에서 모방하고 있다.[70]
1921년부터 하와이 마노아 대학교(University of Hawaiʻi at Manoa)와 하와이 커뮤니티 대학(University of Hawaiʻi Community Colleges)은 학점을 인정하는 하와이어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71] 현재는 듀오링고(듀오링고(Duolingo))와 같은 웹사이트 및 앱을 통해 학점이 인정되지 않는 무료 온라인 강좌도 제공한다.[71] 듀오링고와 멤라이즈(Memrise)에서 하와이어를 배울 수 있다.[119]
1990년대 중반부터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카메하메하 스쿨과 같은 하와이어 몰입 교육( 이머전 교육 ) 기관이 설립되었다.[119]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의 하와이 공영 라디오(Hawaii Public Radio)는 “오늘의 하와이어”(Hawaiian word of the day)라는 프로그램을 매일 방송하고 있다.
하와이주의 공용어 중 하나인 하와이어는 1970년대 시민권 운동 이후 일본인·하와이인 혼혈인 래리 키무라의 노력으로 하와이어 유아 교육 푸우나나 레오와 초·중등 교육기관인 카이아푸니 스쿨(Kaiapuni school)이 생겨났다.[120][121] 하와이섬 히로에는 “나바히 학교”(Nāwahī School)가 있어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600명을 하와이어로 교육하고 있다.[122] 하와이대학교 히로캠퍼스에는 하와이어 학부(Ka Haka ʻUla O Keʻelikōlani)가 개설되었다.
참고 도서로는 기무라 유카(木村由香)의 『마즈와 코레다케 하와이어』(まずはこれだけ ハワイ語), 『하지메테노 하와이어』(はじめてのハワイ語), 『잇소 일러스트 하와이 단어장』(いっそイラストハワイ単語帳), 도리야마 치카오(鳥山親雄)의 『다레데모 와카루 하와이어노 혼』(誰でもわかるハワイ語の本)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awaiian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16-01-13
[2]
웹사이트
Hawaiian - Endangered Languages Project
https://www.endanger[...]
2024-10-07
[3]
웹사이트
How Many People Speak Hawaiian? - Hawaii Star
https://www.hawaiist[...]
2023-08-05
[4]
웹사이트
https://www.census.g[...]
2024-08-01
[5]
웹사이트
https://www.research[...]
2024-08-01
[6]
Hawaiian Dictionaries
ōlelo
[7]
웹사이트
Article XV, Section 4
https://www.capitol.[...]
Hawaiʻi State Legislature
1978
[8]
웹사이트
ʻOkatoba 8: Kumukānāwai o ka Makahiki 1840
https://manoa.hawaii[...]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2024-08-22
[9]
웹사이트
Lawmakers adopt resolution apologizing for ban on Hawaiian language in schools
https://www.hawaiine[...]
Ben Gutierrez
2022-04-28
[10]
인용
[11]
웹사이트
The 1897 Petition Against the Annexation of Hawaii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6-08-15
[12]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2017-11-20
[13]
뉴스
Languages Spoken in Hawaii
https://exclusivehaw[...]
Exclusive Hawaii Rehab
2022-01-16
[14]
논문
'Standard' versus 'Dialect' in Bilingual Education: An Old Problem in a New Context
1977
[15]
서적
Nana i Ke Kumu Vol. 2
Hui Hanai
[16]
웹사이트
Carte de l'OCÉAN PACIFIQUE au Nord de l'équateur / Charte des STILLEN WELTMEERS nördlichen des Äequators
https://library.prin[...]
2020-10-26
[17]
Harvcoltxt
[18]
Harvcoltxt
[19]
Harvcoltxt
[20]
Harvcoltxt
[21]
학술
[22]
학술
[23]
학술
[24]
학술
[25]
학술
[26]
학술
[27]
웹사이트
Polynesi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20-06-02
[28]
학술
[29]
학술
[30]
학술
[31]
서적
Hawaiian Language Past, Present, and Futur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Vanishing Voic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Unwritten Literature of Hawaii: The Sacred Songs of the Hula
https://archive.org/[...]
Washington Government Printing Office
[38]
서적
Islands of Hi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9]
서적
Native Planters in Old Hawaii: Their Life, Lore, and Environment
Bishop Museum Press
[40]
간행물
Nature Gods and Tricksters of Polynesia
http://[institution][...]
Ka Streaming
[41]
harvcoltxt
[42]
harvcoltxt
[43]
harvcoltxt
[44]
harvcoltxt
[45]
harvcoltxt
[46]
harvcoltxt
[47]
harvcoltxt
[48]
서적
Congressional Edition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7-07-20
[49]
서적
Native Hawaiians Study Commission : report on the culture, needs, and concerns of native Hawaiians.
http://worldcat.org/[...]
"[U.S. Dept. of the Interior]"
[50]
서적
Nana i ke Kumu, Vol. 2
[51]
서적
Voices of Wisdom: Hawaiian Elders Speak
[52]
서적
Language and dialect in Hawaii : a sociolinguistic history to 1935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Hawaii Press
[53]
논문
[54]
간행물
He kuleana kō kākou: Hawaiian-language learners and the construction of (alter)native identities
https://doi.org/10.1[...]
2013-05-01
[55]
간행물
"For the Interest of the Hawaiians Themselves": Reclaiming the Benefits of Hawaiian-Medium Education
https://www.mokuolah[...]
2006
[56]
논문
[57]
뉴스
Hawaiian Language Preschools Garner International Recognition
http://indiancountry[...]
Indian Country Today Media Network
2014-06-07
[58]
웹사이트
Hawaiian News: ʻÂhaʻi ʻÔlelo Ola – Hawaii News Now – KGMB and KHNL
http://www.hawaiinew[...]
2012-05-12
[59]
웹사이트
KAUAKUKALAHALE archives
https://www.staradve[...]
2019-01-20
[60]
논문
[61]
웹사이트
Meet the last native speakers of Hawaiian
https://www.pri.org/[...]
2016-07-28
[62]
웹사이트
Niʻihau family makes rare public address
http://hawaiiindepen[...]
2017-05-10
[63]
서적
[64]
웹사이트
Meet the last native speakers of Hawaiian
https://www.pri.org/[...]
The World (radio program)
2016-07-28
[65]
간행물
Hawaiian: back from brink
Honolulu Advertiser
[66]
서적
Mai loko mai o ka 'i'ini: Proceeding from a dream: The Aha Pûnana Leo connection in Hawaiian language revitalization
Academic Press
[67]
논문
The hawaiian pepeke system
[68]
웹사이트
The Kāhulu Pepeke Relative Clause
https://www.hawaiian[...]
2021-11-01
[69]
서적
Revitalization of endangered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0]
논문
Macro-Scale Features of School-Based Language Revitalization Programs
[71]
웹사이트
Kawaihuelani Center for Hawaiian Language {{!}} 2021–2022 Catalog
https://manoa.hawaii[...]
2021-11-01
[72]
논문
[73]
논문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기타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웹사이트
Hawaii County Real Property Tax Office
http://www.hawaiipro[...]
2009-03-03
[93]
웹사이트
Hawaiian diacriticals
http://pipwerks.com/[...]
2009-03-03
[94]
웹사이트
Laʻakea Community
http://www.permacult[...]
2009-03-03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107]
논문
Hawaiian
https://www.cambridg[...]
2018-04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학술
[112]
학술
[113]
학술
[114]
학술
[115]
학술
[116]
서적
ULUKAU: THE HAWAIIAN ELECTRONIC LIBRARY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117]
간행물
Authenticity and the Revitalization of Hawaiian
[118]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Endangered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2-08
[119]
뉴스
5 Languages on the Brink of Extinction That You Can Learn Online
https://matadornetwo[...]
2022-03-04
[120]
웹사이트
Kaiapuni schools — Hawaiian language immersion (Hawaiʻi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https://www.hawaiipu[...]
[121]
논문
ハワイ語再活性化運動の現況 ─ ナーヴァヒー校卒業生に対する追跡調査報告
http://id.nii.ac.jp/[...]
電気通信大学
2006-12
[122]
뉴스
E ola ka 'ōlelo Hawai'i. ハワイ語は生き続ける
http://globe.asahi.c[...]
朝日新聞日曜版 The Asahi Shimbun GLOBE
2014-04-12
[123]
기타
[124]
기타
[125]
웹사이트
ハワイでホロホロ(楽しいお散歩)
http://www.hawaii-ar[...]
[126]
기타
[127]
서적
1994
[128]
서적
1994
[129]
서적
1979
[130]
서적
1956
[131]
기타
[132]
기타
[133]
기타
[134]
기타
[135]
저널
Hawaiian
https://www.cambridg[...]
2018-04
[136]
기타
[137]
기타
[138]
기타
[139]
기타
[140]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