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렌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렌진어는 케냐와 탄자니아에서 사용되는 닐로트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Glottolog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칼렌진어는 칼렌진어족, 중앙 칼렌진어파, 엘곤-마우 칼렌진어파, 북부 칼렌진어, 오키에크-아키에어 등 다양한 하위 분류로 나뉜다. 또한, 칼렌진어는 난디어, 킵시기스어, 테릭어, 케이요어, 투겐어, 마르케타어, 포코트어 등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휘 비교를 통해 다른 언어와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의 언어 - 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의 반투어 기반 사바키어파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되고 탄자니아와 케냐의 공용어이자 동아프리카의 링구아프랑카이다. - 케냐의 언어 - 오로모어
오로모어는 동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아프리카 전체에서 네 번째로 많은 사용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복잡한 음운 체계 및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1991년 라틴 문자 기반 쿠베 정서법이 채택되어 오로미아 주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 칼렌진어 | |
|---|---|
| 지도 정보 | |
| 언어 정보 | |
| 이름 | 칼렌진어족 |
| 지역 | 케냐 서부, 우간다 동부, 탄자니아 북부 |
| 어족 | 나일사하라어족 |
| 하위 어족 | 동수단어군 |
| 하위 어군 | 남동수단어군 |
| 하위 어군 | 나일어군 |
| 하위 어군 | 남나일어군 |
| ISO 639-3 | kln |
| 글롯로그 | kale1246 |
| 글롯로그 참조 | 칼렌진 |
| 하위 언어 | |
| 하위 언어 | 엘곤어군 |
| 하위 언어 | 난디마크웨타어군 |
| 하위 언어 | 오키에크어 - 아키에어 |
| 하위 언어 | 포코트어 |
2. 분류
Glottolog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칼렌진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1]
- 칼렌진어족
- * 중앙 칼렌진어파
- ** 킵시기스어
- ** 고원 중앙 칼렌진어
투겐어
서부 고원 중앙 칼렌진어
* 케이요어
* 난디어
* 테릭어
- * 엘곤-마우 칼렌진어파
- ** 컵사비니어
- ** 사바오트어
- * 북부 칼렌진어
- ** 마르케타어
- ** 포코트어
- * 오키에크-아키에어
- ** 아키에어
- ** 오키에크어
2. 1. 주요 분파
칼렌진어족[1]: 중앙 칼렌진어파
:: 킵시기스어
:: 고원 중앙 칼렌진어
::: 투겐어
::: 서부 고원 중앙 칼렌진어
:::: 케이요어
:::: 난디어
:::: 테릭어
: 엘곤-마우 칼렌진어파
:: 컵사비니어
:: 사바오트어
: 북부 칼렌진어
:: 마르케타어
:: 포코트어
: 오키에크-아키에어
:: 아키에어
:: 오키에크어
3. 어휘 비교
반 오터루(1979)[2]와 로틀란트(1982)[3]는 칼렌진어 기본 어휘를 원시 남부 닐로트어와 비교하여 분석했다. 상세한 내용은 "기본 어휘 비교표" 하위 섹션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
3. 1. 기본 어휘 비교표
이 표는 반 오터루(1979)[2]가 제시한 칼렌진어 기본 어휘 표본과 로틀란트(1982)[3]의 원시 남부 닐로트어를 비교한 것이다.
3. 2. 어휘 비교 분석
반 오터루(1979)[2]와 로틀란트(1982)[3]가 비교한 칼렌진어 기본 어휘 표본은 다음과 같다.| 언어 | 눈 | 귀 | 코 | 이빨 | 혀 | 입 | 피 | 뼈 | 나무 | 물 | 먹다 | 이름 |
|---|---|---|---|---|---|---|---|---|---|---|---|---|
| 원시 남부 닐로트어 | *kɔːŋ|italics=nomis, *kɔŋ|italics=nomis | *iːt|italics=nomis | *ser|italics=nomis | *keːL-ɑt|italics=nomis | *ŋɛLyɛp|italics=nomis | *kʊːt|italics=nomis | *kaːw|italics=nomis | *kɛːt|italics=nomis | *peR|italics=nomis | *kɑːRɪn|italics=nomis | ||
| 난디어 | ko̱ːnda̱niq | iːtitniq | seruːtniq | ke̱ːlde̱tniq | ŋe̱lye̱pta̱niq | ku̱ːti̱tniq | korotiːkniq | kaːweːtniq | keːtitniq | beːkniq | keamniq | ka̱ːyne̱ːtniq |
| 킵시기스어 | ko̱ːnda̱sgc | iːtitsgc | seruːtsgc | ke̱ːlde̱tsgc | ŋe̱lye̱pta̱sgc | ku̱ːti̱tsgc | korotiːksgc | kaːweːtsgc | keːtitsgc | beːksgc | keamsgc | ka̱ːyne̱ːtsgc |
| 테리크어 | ko̱ːŋda̱tec | iːtittec | seruːttec | ke̱ːnde̱ttec | ŋe̱nye̱pta̱tec | ku̱ːti̱ttec | korotiːktec | kaːweːttec | keːtittec | beːktec | keamtec | ka̱ːyne̱ːttec |
| 케이요어 | ko̱ːnda̱eyo | iːtiteyo | seruːteyo | ke̱ːlde̱teyo | ŋe̱lye̱pta̱eyo | ku̱ːti̱teyo | korotiːkeyo | kaːweːteyo | keːtiteyo | beːkeyo | keameyo | ka̱ːyne̱ːteyo |
| 남부 투겐어 | ko̱ːŋda̱tuy | iːtittuy | seruː(t)tuy | ke̱ːlde̱(t)tuy | ŋe̱lye̱pta̱tuy | ku̱ːti̱tuy | korotiːktuy | kaːweːtuy | keːt(it)tuy | beːktuy | keamtuy | ka̱ːyne̱ːttuy |
| 북부 투겐어 | ko̱ːŋtuy | iːttuy | ser̃tuy | ke̱ːla̱ttuy | ŋe̱lye̱ptuy | ku̱ːttuy | korotituy | kaːwetuy | keːttuy | beːytuy | keamtuy | ka̱ːyne̱tuy |
| 코니-사바오트어 | ko̱ːŋda̱spy | iːtitspy | serwutspy | ke̱ːlde̱tspy | ŋe̱lye̱pta̱spy | ku̱ːti̱tspy | korotiːkspy | kaːweːtspy | keːtitspy | peːgospy | keamspy | ka̱ːyne̱ːtspy |
| 체랑가니(Cherang'any) | ko̱ːnda̱/ko̱ːŋmis | iːtitmis | seruːtmis | ke̱ːla̱tmis | ŋe̱lye̱pmis | ku̱ːt(i̱t)mis | korotiːkmis | kaːwemis | keːtmis | beːymis | keammis | ka̱ːyne̱mis |
| 탈라이어 | ko̱ːŋenb | iːtenb | ser̃enb | ke̱ːla̱tenb | ŋa̱lya̱penb | ku̱ːtenb | korotienb | kaːwaenb | keːtenb | pʰeːyenb | keamenb | ka̱ːyne̱enb |
| 엔도어 | ko̱ːŋenb | iːtenb | ser̃enb | ke̱ːla̱tenb | ŋa̱lya̱penb | ku̱ːtenb | koroti/kisunenb | kaːwaenb | keːtenb | bu̱r̃enb | keamenb | ka̱r̃e̱nenb |
| 동부 포코트어 | koːŋpko | yiːtpko | sa̱r̃pko | ke̱ːla̱tpko | ŋa̱lya̱ppko | ku̱ːtpko | kisʉnpko | kaːwaʔpko | keːtpko | pʉːɣpko | keampko | ka̱ːyne̱ːtpko |
참조
[1]
웹사이트
Glottolog 5.0 - Lwoo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4-05-06
[2]
서적
A Kalenjin dialect study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979
[3]
서적
Die Südnilotischen Sprachen: Beschreibung, Vergleichung und Rekonstruktion
Dietrich Reimer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